KR200451432Y1 - 멀티박스를 포함한 수신기 - Google Patents

멀티박스를 포함한 수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1432Y1
KR200451432Y1 KR2020090000731U KR20090000731U KR200451432Y1 KR 200451432 Y1 KR200451432 Y1 KR 200451432Y1 KR 2020090000731 U KR2020090000731 U KR 2020090000731U KR 20090000731 U KR20090000731 U KR 20090000731U KR 200451432 Y1 KR200451432 Y1 KR 2004514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service
service provider
network
digi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07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7671U (ko
Inventor
양한칠
김영선
허진석
Original Assignee
양한칠
허진석
김영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한칠, 허진석, 김영선 filed Critical 양한칠
Priority to KR20200900007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1432Y1/ko
Publication of KR2010000767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767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14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143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6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8External card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client device, e.g. for conditional acc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15Interfacing a Home Network, e.g. for connecting the client to a plurality of peripher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2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d protocol, e.g. IEEE 1394
    • H04N21/43635HDM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33Control signals issued by server directed to the network components or client
    • H04N21/6332Control signals issued by server directed to the network components or client directed to client
    • H04N21/6334Control signals issued by server directed to the network components or client directed to client for authorisation, e.g. by transmitting a ke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박스를 포함한 수신기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에 따른 서비스를 통합 처리를 위해 모듈화된 멀티박스를 포함한 수신기의 일 예는, 인터넷 프로토콜로 연결된 네트워크 환경을 제공하고, 상기 제공하는 네트워크를 통해 다수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업자; 상기 서비스 제공업자로부터 제공되는 다수의 서비스를 각각 모듈화하여 통합 처리하되 상기 각 모듈로, 상기 서비스 제공업자로부터 전송되는 디지털 텔레비전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셋톱박스 모듈, 상기 서비스 제공업자를 통해 외부와의 커뮤니케이션 및 다양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커뮤니케이션 모듈과, 상기 멀티박스 내 각 모듈에 대한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PC 모듈을 포함하는 멀티박스; 및 상기 멀티박스 내 셋톱박스 모듈로부터 수신되는 디지털 텔레비전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르면, 제공되는 멀티박스를 통해 가정 내 분산된 각 서비스와 향후 추가되는 다양한 서비스에 대한 통합 제어를 할 수 있으며, 고객이 외부에서 연결된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멀티박스를 통해 홈 매니징 서비스를 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업자,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 멀티박스, 네트워크, 모듈

Description

멀티박스를 포함한 수신기{A receiver including a multibox}
본 고안은 멀티박스를 포함한 수신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홈 디지털 컨버전스를 위해 분산된 각 서비스의 통합 제공을 위한 모듈이나 향후 서비스 추가를 위한 확장성을 가진 멀티박스를 포함한 수신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아날로그 방송이 디지털 방송으로 대체되고 있다. 이에 따라 많은 서비스가 디지털 방송용으로 제작되어 제공되고 있다.
최근에는 종래 지상파, 위성, 케이블과 같은 매체에 한정되지 않고 각 가정에 많이 보급되어 있는 인터넷을 매체로 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IPTV 서비스가 활성화되고 있다.
다만, 가정에서 사용하고 있는 다양한 제품들은 현재 분산되어 서비스되고 있어 사용자의 입장에서 개별적으로 제어를 하여야 하는 실정이므로 불편함을 느끼고 있다. 또한, 이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의 입장에서도 수익 구조의 한계와 함께 새로운 서비스의 추가가 힘든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가정 내 분산된 각 서비스에 대한 통합 제어 수단인 모듈화된 멀티박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상기 멀티박스를 통해 향후 추가되는 다양한 서비스에 대한 통합 제어를 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고객이 외부에서 연결된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멀티박스를 통해 홈 매니징 서비스를 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이하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서비스를 통합 처리를 위해 모듈화된 멀티박스를 포함한 수신기의 일 예는, 인터넷 프로토콜로 연결된 네트워크 환경을 제공하고, 상기 제공하는 네트워크를 통해 다수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업자; 상기 서비스 제공업자로부터 제공되는 다수의 서비스를 각각 모듈화하여 통합 처리하되 상기 각 모듈로, 상기 서비스 제공업자로부터 전송되는 디지털 텔레비전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셋톱박스 모듈, 상기 서비스 제공업자를 통해 외부와의 커뮤니케이션 및 다양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커뮤니케이션 모듈과, 상기 멀티박스 내 각 모듈에 대한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PC 모듈을 포함하는 멀티박스; 및 상기 멀티박스 내 셋톱박스 모듈로부터 수신되는 디지털 텔레비전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멀티박스는, 상기 멀티박스 내 각 모듈과 PC 모듈을 인터페이스하는 인터페이스 모듈, 입력되는 각 기록/재생 매체를 기록/재생하는 기록/재생 장치 모듈과,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로 외부 입력을 전송하는 외부 입력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PC 모듈은,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서비스 제공업자와 통신하여 상기 멀티박스 내 각 모듈에 대한 서비스 장애시 원격으로 복구하는 원격 복구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뮤니케이션 모듈은,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또는 SoIP(Service over Internet Protocol)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멀티박스는, 상기 멀티박스 내 각 모듈에서 처리되는 서비스의 현황 및 처리 과정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PC 모듈은, 상기 서비스 제공업자와 통신하여 상기 멀티박스 내 각 모듈의 업데이트 여부를 판단하여 자동으로 업데이트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디스플레이 기능을 포함한 네비게이터(navigator),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과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멀티박스는, 상기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와 연결하여 이용 가능한 게임 모듈, 홈씨어터용 앰프 모듈, 원격의 병원과 연계된 서비스 제공을 위한 의료 서비스 모듈, 별도의 OS 부팅없이 바로 접속 및 거래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증권 거래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옵션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르면,
첫째, 제공되는 멀티박스를 통해 가정 내 분산된 각 서비스에 대한 통합 제어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상기 멀티박스를 통해 향후 추가되는 다양한 서비스에 대한 통합 제어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고객이 외부에서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멀티박스와 연결하여 홈 매니징 서비스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통합 박스 내 모듈화된 다양한 서비스 중 어느 하나의 서비스에 장애가 생긴 경우 원격에서 해당 장애를 처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 상기 멀티박스를 통해 서비스 제공업자 또는 네트워크 제공업자의 새로운 수익 모델을 창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 특성 및 이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아울러 본 고안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다. 그러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용어를 선정하였으며, 이 경우에는 해당되는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하였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로서 파악하여야 할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과 관련하여 IPTV 서비스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개념적인 시스템 구성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IPTV 시스템은 서비스 제공업자 영역(service provider domain), 네트워크 제공업자 영역(network provider domain)과, 고객 영역(consumer domain)을 포함한다.
서비스 제공업자 영역은, 콘텐츠 제공업자(contents provider) 및 서비스 제공업자(service provider)를 포함할 수 있다. 콘텐츠 제공업자는 서비스 제공업자에게 콘텐츠를 제공하고, 서비스 제공업자는 상기 콘텐츠 제공업자로부터 제공받는 콘텐츠를 가입한 고객에게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때, 서비스 제공업자는 상기 서비스 제공 과정에서 다양한 콘텐츠를 수집하여 IP 환경에 맞게 신호를 변형하여 고객에게 전달한다. 또한, 서비스 제공업자는 고객(customer or consumer)이 콘텐츠를 안정적으로 수신할 수 있도록 전송망을 유지, 보수, 관리하고, 콘텐츠 제공업자가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할 수 있는 기반 시설과 기능을 제공한다. 여기에서, 서비스 제공업자는 가상의 존재일 수 있고, 콘텐츠 제공업자 또는/및 네트워크 제공업자와 중복될 수 있다.
네트워크 제공업자 영역은, 고객 영역과 서비스 제공업자 영역을 IP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한다. 이때, 전송 시스템은 접속망(access network), 기간 망(backbone network) 및 무선 WAN(wireless Wide Area Network) 등의 다양한 네트워크 망을 이용할 수 있다.
고객 영역은, IPTV 서비스를 소비하는 영역이다. 상기 고객 영역은 xDSL이나 케이블과 같은 기반 시설을 이용하여 들어온 데이터를 재생하고 사용자의 요구에 즉시 반응한다. 이러한 고객 영역에는, IPTV 수신기, IP 셋톱박스(SetTop Box; STB), IP 폰(Phone) 등이 포함된다. 상기 고객 영역은 상기 서비스 제공업자로부터 콘텐츠를 제공받아, 방송을 수신하기 위해 고객 영역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고객 영역 장치는 예를 들어, 셋탑박스(STB), PC, 이동 단말기, ITF(IPTV Terminal Function) 장치, DNG(Delivery Network Gateway) 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각 영역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콘텐츠 제공업자는 방송 프로그램을 제작하는 TV 방송국(TV station), 라디오 방송국(Radio Station) 등이 포함된다. 여기에서, 상기 TV 방송국은 종래 지상파나 케이블 방송국을 의미하며, 이러한 방송국은 사용자들이 시청할 수 있는 방송 프로그램을 제작하고 저장한 후 디지털로 변환하여 전송한다. 이는 여러 가지 방송 형태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라디오 방송국은 일반적인 라디오 방송국을 의미한다. 이때, 상기 라디오 방송국은 채널을 운용 과정에서 비디오 채널 없이 운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때에 따라서는 비디오 채널이 포함될 수도 있다. VoD(Video on Demand), AoD(Audio on Demand) 서비스는 TV 방송국이나 라디오 방송국과는 다른 특성이 있다.
콘텐츠 제공업자는 일반적으로 방송할 프로그램을 저장해서 보관한다. 즉, 이러한 방송 프로그램은 연속성 있는 라이브 방송으로, 레코딩을 하지 않으면 되감아서 보거나 정지시켜서 볼 수 없다. 그러나 VoD나 AoD 서비스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원하는 방송 프로그램, 영화, 음악 등을 저장하고, 그 이후에 사용자가 재생하여 볼 수 있도록 서비스한다. 예를 들어, 시간이 없어서 제대로 보지 못했던 방송 프로그램이 있는 경우, 이러한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이트에 접속해서 해당 파일을 다운로드 받거나 바로 재생을 해서 볼 수 있다. AoD도 마찬가지로 오디오 프로그램을 녹화하기 어렵거나 실시간으로 들을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MoD (Music on Demand) 서비스는 내가 원하는 음악을 다운로드 받아서 들을 수 있다. MoD의 서비스의 대상은 음반사 또는 음반 배포사가 기존의 웹 서비스를 확대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콘텐츠 제공업자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대하여 살펴본다.
PF 서버는 콘텐츠 제공업자가 제공하는 모든 방송 정보와 위치(Location) 정보 등을 대신 관리해주는 업체가 서비스를 할 수 있다. 이 서비스는 주로 해당 방송국의 방송 시간이나 방송에 필요한 위치 정보 및 고객이 접속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포함한다. 고객은 이 정보를 얻어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PF 서버는 방송국마다 갖추어야 하는 서비스 중에 하나로 IPTV 환경에서는 이 서비스를 제공하여, 고객이 해당 방송국에 접속하도록 할 수 있다.
EPG 서비스는 방송 프로그램을 고객이 시간대 별로 조회하고, 채널별로 파악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EPG 서비스는 이미 프로그램이 자동으로 고객 측에 설치되어 실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고객은 PF 서버로부터 해당 방송국에 대한 정보만을 얻을 수 있지만, EPG 서비스는 모든 방송국의 실시간 방송 채널에 대한 정보들을 한꺼번에 얻을 수 있어서 매우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가령, CNN 뉴스를 예약 녹화를 한다든지, 디즈니(Disney) 방송을 시청 예약한다든지 하는 강력한 기능을 내장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EPG 서비스는 해당 지역의 방송 프로그램의 정보를 시간대 별로 자세하게 제공해야 한다. 특히, 어떤 드라마의 경우 드라마의 내용을 검색하거나, 카테고리(Category)로 나누어 SF, 드라마(Drama), 애니메이션(Animation) 등으로 구분할 수 있고, 영화나 드라마의 줄거리나 등장인물들에 대한 세부적인 정보도 포함할 수 있다. EPG 서비스를 접속하려면, 고객(Customer)은 간단하게 입력 키를 리모컨에서 찾아서 누르기만 하면 된다.
ECG 서비스는 콘텐츠 제공업자의 콘텐츠에 대한 정보, 각 콘텐츠에 대한 접속 서버의 위치 및 각 콘텐츠에 대한 접근 권한 등을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모든 기능을 포함한다. 간단히 말하면, 콘텐츠를 가진 서버들을 쉽게 접속하도록 하는 기능과 콘텐츠에 대한 상세 정보를 알려주는 전자 콘텐트 가이드(Electronic Content Guide; ECG)이다. ECG 서비스는, 실시간 방송이 아니라 AoD, MoD, VoD와 같은 서비스들을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EPG)와 같이 하나로 묶어 고객이 원하는 콘텐츠의 다운로드를 위한 개별 접속의 부담을 덜어 준다. EPG 서비스와 비슷하지만, 이 서비스는 실시간 방송 채널 정보를 알려 주는 것이 아니라 이미 서버에 저장이 되어 있어서 언제든지 시청할 수 있고 다운로드를 해서 저장할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가 각 콘텐트가 있는 서버에 접속하려면 매우 어려운 주소 나 PF 서버들을 접속해서 얻어야 할 것이다. 이것은 매우 복잡한 과정이며,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ECG를 제공하는 업체는 ECG 프로그램을 고객에 자동 설치되도록 하고, 모든 콘텐츠들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데이터를 제공한다. ECG 서비스에 접속하려면 고객은 리모컨에 있는 입력 키 버튼을 클릭하면 된다.
포털 서버(Portal Server)는 각 방송국에서 제공하는 웹 서비스로 방송국이나 콘텐츠를 서비스하는 업체의 웹 서버로 연결이 된다. 포털 서버의 역할은 각 방송국이나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업자들이 제공하는 프로그램 리스트를 검색하거나 리스트를 볼 수 있다. 이것은 마치 전자 콘텐트 가이드(ECG)나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EPG)와 같은 기능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다. 그러나 포털 서비스에서는 사용자의 인증이나 라이센스 계약 등과 같은 기능도 갖추고 있어서 내가 원하는 프로그램을 시청하기 위해서 접속할 필요가 있다. 또한, 전자 콘텐트 가이드(ECG)나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EPG)는 통합된 방송이나 콘텐츠 리스트를 제공하지만, 포털 서비스는 해당 프로그램 제공 업체에 대한 방송이나 콘텐츠 리스트 정보를 제공하여 세부적인 검색이 가능할 수 있다. 포털 서비스에 접속하려면, 고객은 리모컨에서 포털 입력 버튼을 클릭하면 된다.
이렇게 해서 콘텐츠 제공업자는 이러한 서비스들을 제공하는 기능 등이 포함되어야 하고, 이러한 기능들이 정상적으로 동작하려면, 실시간으로 해당 프로그램을 전송하거나 방송 정보를 전송할 수 있도록 각 서비스 업체들의 서버(130)는 IP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어야 한다. 또한 각 방송국이나 서비스 업체들은 서비스 제공업자의 네트워크에 연결이 되어 지연과 에러 없이 전송이 되어야 하므로 RTP(Real-Time Protocol), RTSP(Real-Time Streaming Protocol), RSVP(Resource Reservation Protocol) 그리고 MPLS(Multi Protocol Label Switching) 등의 인터넷 실시간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도록 시스템이 갖추어져야 한다. 예를 들어, 현재 뉴스를 제공하는 TV 스튜디오에서 실시간으로 멀티미디어를 전송하려고 할 때, MPEG-2와 AC-3 오디오 스펙으로 꾸며져 있는 경우 이를 IPTV의 포맷에 맞게 바꾸는 트랜스코드(Transcode) 작업을 해야 한다. 이러한 작업을 하는 서버를 통과하면, 캡션(Caption)이나 립싱크(Lip sync)를 맞출 수 있도록 시간 정보가 포함된 RTP/UDP 프로토콜을 붙여 서비스 제공업자가 제공한 IP 네트워크를 통과하도록 시스템을 구성한다.
서비스 제공업자는 콘텐츠 제공업자에서 전송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와 방송 데이터들을 잘 전송할 수 있도록 네트워크의 안정성과 대역폭을 제공한다. 서비스 제공업자들은 기존의 케이블 망을 이용하여 IPTV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는데, 이런 경우에는 전송 네트워크(Delivery Network)의 장비들의 변경이 필요하다. 즉, 실시간 데이터 전송을 할 수 있는 네트워크 장비들로 구성을 해야 하고, 고객에도 대역폭을 감안하여 네트워크를 구성해야 한다. 이러한 장비들은 IPTV의 기본적인 네트워크 서비스인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사용하여 대용량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들을 처리하여 대역폭을 줄여야 한다. 대역폭이 확보되지 못할 경우에는 서비스 제공업자에서 대역폭을 확보하려는 노력으로 광케이블 망 구성이나 콘텐츠 제공업자로부터 오는 멀티미디어 방송 데이터들을 다시 트랜스코드(transcode)하여 MPEG-4 나 MPEG-7과 같은 형태로 변형해서 전송할 수도 있다. 서비스 제공업자에서는 이를 위 해서 크게 몇 가지 서비스를 제공해야 하는데 크기 NMS(Network Management System), DHCP(Dynamic Host Control Protocol) 그리고 CDN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되어 있다.
NMS 서비스는 서비스 제공업자가 각 고객에게 전송할 수 있는 딜리버리 네트워크를 관리하고 RCMS(Remote Configuration and Management Server) 기능을 수행한다. 즉, 전송망에 문제가 발생하여 고객이 방송 수신을 못 하는 경우 이를 응급 처리할 수 있는 수단을 가져야 한다. NMS는 원격의 전송 계층의 기계들을 원활하게 제어하고 관리할 수 있는 표준화된 수단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 서비스를 이용하여 어떤 방송에 대하여 얼마만큼의 트래픽(traffic)이 발생하고 있고, 어떤 지역에서 대역폭이 모자라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제공업자에게 멀티캐스트(Multicast) 시에 그룹을 생성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콘텐츠 제공업자들에게 제공해야 한다. 때에 따라서는 멀티캐스트 그룹을 더 생성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DHCP 서비스는 고객의 IPTV 수신기에게 자동으로 IP를 할당할 수 있도록 하고, CDN 서버의 주소를 알려 주는데 사용한다. DHCP 서비스는 일반 네트워크에서도 PC에 IP를 할당하는 좋은 수단이 되고 있다. 사용이 허락된 IPTV 수신기에게 접속할 수 있는 주소를 전송해 주어 사용자가 최초 접속할 때 등록 절차를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IPv4를 IPTV 수신기에서는 제공할 것이지만, IPv6도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IPv4를 제공하는 IPTV 수신기라고 해서 사용하지 못하는 것은 아니다.
CDN 서비스는 서비스 제공업자가 제공하는 데이터로 IPTV 수신기가 최초로 전원이 인가되어 동작할 때, DHCP 서비스에 의하여 IP를 받으면서 CDN 정보를 서비스 제공업자에게 수신받게 된다. 이 정보는 IPTV 사업자의 사용자의 등록이나 인증 그리고 앞서 언급했던 PF 정보들을 담고 있다. IPTV 수신기가 서비스 제공업자에게서 CDN 정보를 얻음으로써, IP 방송 신호 수신이 가능할 수 있다.
고객은 여러 가지 형태의 IPTV 수신기를 가질 수 있다. 일반 TV를 가지고 있는 사용자의 경우에는 IPTV 셋톱박스(STB)를 임대하여 저렴하게 IPTV를 즐길 수 있으며, 서비스 제공업자가 저렴한 가격으로 추가적인 서비스 비용을 지불하고 IP 폰(Phone)도 함께 신청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IPTV 수신기는 기본적으로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Network Interface)가 있고, 인터넷 프로토콜을 가지고 있어서 네트워크(Network)로부터 들어오는 데이터 패킷을 받아 처리하여 멀티미디어 데이터인 경우에는 화면에 재생할 수 있고, 리모컨으로 조작할 경우, 데이터 패킷을 네트워크로 신속하게 전송해서 해당 정보를 서버에서 얻어 반응을 해야 한다. 즉, IPTV 수신기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처리하면서 양방향으로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전송할 수 있도록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를 잘 이용할 수 있도록 리모컨에 IPTV용 버튼들을 제공할 수 있다. 이렇게 제공된 IPTV 수신기에서 사용자는 드라마에 나오는 멋진 장면을 저장하여 볼 수 있고, 위치정보라든지 호텔 예약이라든지 하는 부가 서비스를 누릴 수 있다.
한편, 앞서 언급했던 NMS는 서비스 제공업자가 망을 관리하는 기능뿐만 아니라 RCMS 기능을 수행한다. RCMS는 사용자가 가지고 있는 IPTV 수신기를 제어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도와 주는데, IPTV 수신기가 급증하고 부가적인 서비스가 늘어나 면, RCMS의 역할은 더욱 중요하게 된다. 이 때문에 IPTV 방송 수신기에 SNMP 프로토콜을 의무화하고 있다. 이는 서비스 제공업자가 IPTV 방송 수신기를 관리하고 제어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의도이다. 이렇게 되면, IPTV 방송 수신기는 현재 통신하고 있는 프로토콜의 통계자료 그리고 사용하는 프로세서의 정보, 어떤 TV 생산업체인지 등에 대하여 자세하게 파악할 수 있다.
고객 영역에서 IPTV 서비스를 수신하기 위해, ITF(120)는 DNS 서버(110)에 서버 주소 응답 요청(Server Address resolution request)을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DNS 서버(110)는 ITF(120)에게 서버 주소를 전송한다. 그러면 ITF(120)는 전송받은 서버 주소로 서버(130)에 연결하고 IPTV 서비스를 수신받을 수 있게 된다. 여기서 ITF(120)는 서버(130)와 멀티캐스트 방식 및 유니캐스트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2는 멀티캐스트 방식에 대해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멀티캐스트 방식은 특정한 그룹의 다수의 수신자에게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서비스 제공업자는 데이터를 미리 등록된 다수의 ITF에 한꺼번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멀티캐스트 등록을 위해 IGMP(Internet Group Management Protocol) 프로토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도 3은 유니캐스트 방식에 대해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유니캐스트 방식은 하나의 송신자와 하나의 수신자 사이에 데이터를 1:1로 전송하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유니캐스트 방식의 경우 ITF에서 서비스 제공업자에 서비스를 요청하면, 상기 서비스 제공업자는 요청에 따 라 해당 서비스를 상기 ITF에 전송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구성한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서비스 시스템은, 서비스 제공업자(410), 네트워크(420), FTTH(Fiber To The Home) 망(430), 멀티박스(440) 및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45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업자(410)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네트워크 제공업자의 기능을 포함하여 상기 서비스와 함께 네트워크 환경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비스 제공업자(410)는, 콘텐츠 제공업자의 기능도 포함하여 서비스와 관련된 콘텐츠를 직접 제작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이러한 서비스 제공업자(410)는 예를 들어, 국내에서 서비스 제공업자 또는 네트워크 제공업자 영역의 기능을 수행하는 KT(Korea Telecom)을 들 수 있다.
네트워크(420)는, 서비스 제공업자(410)가 제공하는 네트워크 환경으로 인터넷 프로토콜(internet protocol)을 포함한다.
FTTH 망(430)은 FTTP(Fiber to the premises)라고도 불리우는 초고속 인터넷 설비 방식의 한 종류에 따른 망으로, 서비스 제공업자(410)가 제공하는 망이다. FTTH 망(430)은 다른 광통신 방식의 초고속 인터넷이 외부의 어느 지점까지만 광섬유로 연결하고 집안의 경우는 랜 선이나 동축 케이블 등 기타 다른 방식으로 연결되는 것과 다른 것으로 집안까지 광섬유가 연결되어 속도에서 유리하다. 왜냐하면, 구리선이나 동축 케이블에 비해 광섬유의 정보 전달 능력이 뛰어나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고객 영역에 속하는 멀티박스(440)와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 기(450)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구성한 멀티박스(440)의 구성 블록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구성한 멀티박스(440)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5 내지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박스(440)는, 제1 디스플레이부(501,601), VoIP(502), 제2 디스플레이부(503,604), PC 모듈(504,605), HDMI부(505,606), 셋톱박스 모듈(506,607) 및 옵션 모듈(507,608)과 같은 구성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멀티박스(440)는 상기 예시한 각 구성 요소들을 포함하는 하나의 통합 모듈이다. 이러한 멀티박스(440)는 예를 들어, 서비스 제공업자(410)에서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6을 참조하여 상기 멀티박스(440)를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 디스플레이부(501,601)는, 멀티박스(440)의 메인 디스플레이부로서, 상기 멀티박스(440)를 구성하는 각 모듈의 상태를 디스플레이한다. 제1 디스플레이부(501,601)는 연결된 네트워크(420)를 통해 서비스 제공업자(410)로부터 제공되는 실시간 생활 정보들을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또한, 제1 디스플레이부(501,601)는 멀티박스(440)를 액세스하는 외부 입력수단 즉, 무선 마우스, 무선 키보드, 리모콘 등의 입력에 따른 UI 등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1 디스플레이 장치(501,601)는, 서비스 제공업자(410)가 제공하는 디지털 액자 서비스와 관련된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멀티박스(440)에 장 착된 다른 기기 예를 들어, PC 모듈(504,605)나 외부 입력장치(USB) 등으로부터 다운로드 되는 사진이나 기타 간단한 동영상을 재생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제1 디스플레이 장치(501,601)는, 후술하는 VoIP 폰(502), SoIP 폰(602), 모바일/IP 폰(603)과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만, 상기에서 디지털 액자 서비스는 예를 들어, 서비스 포털에 등록한 회원에 한하여 사진 및 동영상 공유 서비스가 제공될 수도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장치(501,601)는 멀티박스(440)에 탈부착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장치(501,601)는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기능을 포함한 네비게이션(navigation),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과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을 들 수 있다. 따라서, 네비게이션, PDA 및 PMP를 제1 디스플레이 장치(501,601)로 사용하는 경우, 멀티박스(440)에 장착 시에는 디스플레이 기능을 수행하고, 탈착 시에는 원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네비게이션, PDA 및 PMP는 크래들(cradle)에 장착시 싱크(Sync) 모듈을 통해 실시간으로 원래 기능과 관련된 데이터를 업그레이드하거나 업데이트할 수도 있다.
VoIP(502)는 종래 사용되는 데이터 통신용 패킷망을 인터넷 폰에 이용하는 것으로, 음성 데이터를 인터넷 프로토콜 데이터 패킷으로 변화하여 일반 전화망에서의 통화를 가능하게 해주는 통신 서비스 기술을 이용하여 통신하는 기능을 한다. 케이블을 통하여 여러 명이 동시에 사용할 수 있고 확장성도 뛰어나며, 종래 전화에 비하여 요금도 훨씬 저렴하다. 소위 말하는 인터넷 폰이 바로 VoIP를 사용한 예 이다. 이러한 VoIP는 인터넷 텔레포니의 핵심 기술로, 종래 PSTN 네트워크를 통해 이루어졌던 음성 서비스를 인터넷 프로토콜(IP)을 사용하여 여러 가지 다양한 서비스로 제공하는 것으로, 음성이 디지털화되고, 전달 체계가 IP로 됨으로써 전화는 물론 인터넷 팩스, 웹 콜, 통합 메시지 처리 등의 향상된 인터넷 텔레포니 서비스가 가능하다.
SoIP(Service over IP)는(602)는, 단순 음성 통화뿐 아니라 진화된 커뮤니케이션 및 정보, 엔터테인먼트 등의 다양한 부가 서비스를 고객이 쉽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서비스로, SoIP를 통해 서비스 제공업자(410)가 제공하는 음성 및 영상 등의 커뮤니케이션, 지역 정보 및 교통 정보 등의 생활 기반 서비스들을 수신하여 처리한다. 서비스 제공업자(410)는 SoIP를 통해 광고, 교육, 의료, 쇼핑 등 타산업과 제휴를 통해 융합 서비스의 제공도 가능하다.
제2 디스플레이부(503,604)는,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를 포함하여 멀티박스(440)의 보조 디스플레이부 역할을 한다. 특히,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치(503)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장치(501)가 탈착된 경우에 디스플레이부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PC 모듈(504,605)은, 멀티박스(440)의 전체적인 제어 역할을 담당한다. 즉, PC 모듈(504,605)은 멀티박스(440)에 모듈화되어 장착된 각 구성요소를 제어하고, 서비스 제공업자(410)와의 통신을 통해 각 구성요소의 서비스 장애나 필요한 데이터의 다운로드 등에 관여한다. 또한, PC 모듈(504,605)은 셋톱박스 모듈(506,607)을 제어하여 후술하는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 등에 디스플레이도 제어한다. 이러 한 PC 모듈(504,605)은 예를 들어, 유무선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세컨드 미니 PC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PC 모듈(504,605)은 입력 수단으로 무선 마우스 내지 무선 키보드를 이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PC 모듈(504,605)은 작은 크기의 고성능 PC로서, 전면에 USB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PC 모듈(504,605)은 기본 운영체제(Operating System; OS)로 윈도우즈(Windows)를 사용하나, 리눅스 기반의 임베디드 형태로 별도로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PC 모듈(504,605)은 DivX 등 종래 PC에 지원하는 모든 멀티미디어 재생 및 게임도 가능하도록 지원한다. 다만,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 및 본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해 멀티박스(440)의 전반적인 제어가 상기 PC 모듈(504,605)에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기술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PC 모듈(504,605)의 제어가 없이 개별 모듈별로 운용할 수도 있다.
도 7은 상기 PC 모듈(504,605)의 내부 구성 요소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인터페이스부(701)는, 일종의 허브(HUB) 역할을 담당한다. 상기 인터페이스부(701)는 멀티박스(440)의 각 구성요소를 정해진 통신망에 연결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기록/재생 장치(506)는, 기록/재생 가능한 모든 장치를 포함한다. 이러한 기록/재생 장치(506)는 예를 들어, CD(Compact Disc), DVD(Digital Versatile Disc), BD(Blu-ray Disc), HD-DVD(High Definition-DVD) 등 광 기록/재생 매체들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원격 복구모듈(703)은, 상기 PC 모듈(504,605)의 기능 장애시에 이를 원격에 서 복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모듈로서 해당 멀티박스(440)를 제공하는 업체에서 미리 내장하거나 서비스 제공업자(410)와의 협의에 의해 지정된 원격 복구모듈일 수 있다.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모듈(508)은, 멀티박스(440)를 통해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하여 비디오/사운드를 출력하기 위한 것이다. 도 5 내지 6을 참조하면, HDMI 모듈(508)은 PC 모듈(504,605)의 제어에 따라 비디오/사운드를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450)의 외부 입력 단자와 연결하여 상기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45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다만, 본 명세서에서는 HDMI 모듈(508)을 일 예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유무선 전송 방식을 이용할 수도 있다.
상술한 PC 모듈(504,605), 인터페이스부(701), 기록/재생 장치(702), 원격 복구모듈(703) 및 외부 입력모듈(505,606)을 포함하는 하나의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셋톱박스 모듈(506,607)은, 서비스 제공업자(410)에 의해 제공되는 콘텐츠 내지 서비스를 수신하여 처리한 후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450)로 출력한다. 여기에서, 상기 콘텐츠 내지 서비스는 IPTV 서비스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셋톱박스 모듈(509)은 서비스 제공업자(410)에 의해 제공되는 것으로, 디지털 방송 서비스를 위한 디지털 셋톱박스나 IPTV 서비스를 위한 IPTV 셋톱박스가 포함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옵션 모듈(507,608)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는 향후 제공되는 서비스의 증가에 따라 멀티박스(440)의 사용성 내지 확장성을 고려한 것으로, 상기 옵션 모듈(507,608)에는 최근 각 가정에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와 연결하여 이용 가능한 게임 기기들(예를 들어, 플레이 스테이션(Play Station; PS)이나 엑스박스(XBOX) 등)을 탈부착 가능한 게임 모듈, 홈씨어터용 앰프, 원격의 병원과 연계된 서비스 제공을 위한 의료 서비스 모듈(예를 들어, 당, 혈압 등을 측정할 수 있는 헬스케어 모듈), 별도의 OS 부팅없이 바로 접속 및 거래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증권 거래 모듈 등 다양한 모듈이 포함될 수 있다.
PC 모듈(504,605)은, 상술한 멀티박스(440)를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를 통합 제어하고 연결되는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에서 멀티박스(440)에 장착된 각 구성요소 고유의 기능이 수행을 제어하도록 프로그래밍되어 있다. 또한, PC 모듈(504,605)는 내장된 원격 복구모듈(703)을 이용하여 제어부 자체의 장애나 멀티박스(440)에 장착되는 다른 구성요소들에 이상이 있는 경우 네트워크(420)를 통해서 서비스 제공업자(410)와 연결하여 원격에서 장애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하여 해당 구성요소의 본래 기능을 복구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PC 모듈(504)은, 다양한 입력 수단의 입력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PC 모듈(504)은 장착된 각 구성 모듈의 각 기능 실현을 위한 입력 수단 즉, 통합 리모콘, 무선 키보드, 무선 마우스나 조이스틱의 입력 신호를 수신하여 각 구성 모듈이나 연결된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450)에서 처리하도록 제어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술한 도 5 내지 7의 멀티박스(440)를 구성하는 각 구성 요소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예시한 것으로, 본 고안에 따른 상기 멀티박스(440)는 이에 한정되는 것 은 아니며, 향후 고객의 요구에 의해 추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추가 가능한 구성 요소로는 홈 서비스를 위해 필요한 상기 구성 요소를 제외한 다른 모든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
도 8은 상기 도 5 내지 6의 멀티박스를 실제 구현한 모델을 도시한 것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멀티박스(440)는, 가정 내 PC와 셋톱박스를 결합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손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멀티박스(440)를 이용함으로써, 디지털 TV, IPTV, 인터넷, 멀티미디어, 생활 정보 등을 동시에 이용가능하며, 모듈화된 설계를 통해 기능 확장도 용이하다. 또한, PC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 멀티박스(440)에 구비된 원격 복구모듈(703)을 통해 원격에서 해당 장애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리성을 추구할 수도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멀티박스(440)는, 홈 자동화 모듈(Home Automation Module)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정 내 가전기기 및 CCTV(Closed Circuit TeleVision), 전원 제어 등의 홈 매니징 제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PC 모듈(504,605)과 연동하여 다양한 가정 내 가전기기들을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멀티박스(440)의 제1 디스플레이부(501)나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450) 화면을 통해 전체 제어 현황이나 제어를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멀티박스(440)가 인터넷을 통해 연결되어 있으므로 외출시에도 서비스 제공업자(410)와 인터넷 연결 및 인증 시스템을 통해 인증 후에 원격에서 홈 자동화 현황을 파악하고, 그에 따른 제어를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멀티박스(440)는, 크래들에 장착된 각종 기기에 대한 실시간 업그레이드 내지 업데이트나 멀티미디어 파일을 송수신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로도 이용 가능한 네비게이션이나 PDA, PMP 등이 크래들에 장착되는 경우에는 실시간으로 관련 데이터를 업그레이드 내지 업데이트할 수 있다. 또한, PC 모듈(504,605)를 통해 상기 네비게이션이나 PDA, PMP 등에 멀티미디어 파일을 송수신할 수도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멀티박스는, PC 모듈(504,605)의 USB(Universal Serial Bus) 포트 및 올인원 카드 리더기(All-in-all Card Reader)를 통해 디지털 카메라 및 캠코더의 영상이나 동영상을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 장치들을 통해 재생 가능하다.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 시스템의 사용 시나리오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기본적인 사용 시나리오는 지역의 상가(901), 서비스 포털(902)과 해당 지역의 각 가정(903,904)을 연계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지역 상가(901)는, 영업을 위한 상업적인 광고를 수행함에 있어서, 종래에는 주로 오프라인 광고 루트를 많이 이용하였으나, 본 고안에 따라 서비스 포털(902)을 이용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광고를 할 수 있다.
서비스 포털(902) 즉, 서비스 제공업자(410)는 지역 상가(901)와 각 가정(903,904) 사이에 광고 루트를 제공함으로써 광고 수익을 얻을 수 있다. 이때, 서비스 포털(902)은 지역 상가(901)의 상업적인 광고를 각 가정에 디지털 액자 원격 공유 서비스를 이용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포털(902)은 상기 광고 에 따른 주문 및 결제 시스템을 구축할 수도 있다. 이때, 서비스 포털(902)은 각 가정에 보급된 멀티박스 내 SoIP 모듈(602)과 통신을 통해 지역 상가(901)와 해당 가정(903,904)을 서로 연결할 수 있다. 즉, 서비스 포털(902)은 가입자의 IP 주소 및 멀티박스의 MAC 주소 등의 정보를 통하여 주문한 가정을 식별하여 자동 주문 및 확인 서비스를 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정보를 통하여 지역별로 구분하고 해당 지역에 특화된 지역 광고를 제공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르면, 서비스 포털(902)은 새로운 수익 구조를 창출하고, 지역 상가(901)는 광고의 효과를 누리며, 각 가정(903,904)에서는 편리하게 검색하고 주문 및 결제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사용 시나리오는 일 예로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어, 1:1 과외 모델, 도시와 농어촌 간 연계 쇼핑 커뮤니티 모델(예를 들어, 강남구와 거제도), 멀티박스를 통한 가스, 냉난방, 전기 등을 제어하는 홈 매니징 서비스, 멀티박스 화상 통화용 카메라를 통한 홈/상가 내부를 외부에서 휴대폰을 통해 관제, 실시간 뉴스 방식, 리포트나 차트, 분석틀 제공 등 글/칼럼 등 경제적 가치가 있는 정보를 특정인에게 제공하는 모델, 멀티박스 고객 간 게임 전용 사이트 제공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 가능할 것이다.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멀티박스(440) 내 PC 모듈(504,605)의 장애 시에 원격 복구모듈(703)을 이용하여 해당 장애를 처리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순서도이다.
원격 복구모듈(703)은 PC 모듈(504,605)에 내장된 모듈로 원격 복구에 사용 되는 것으로 본 명세서에서는 예를 들어, PC 모듈(504,605)에 내장된 것을 예로 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원격 복구모듈(703)은 사용자의 PC 모듈(504,605)에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에 BIOS에서 상기 원격 복구 모듈을 선택하여 부팅함으로써 수행된다. 이는 IDC(Internet Database Connector)의 백업본에서 사용자 PC의 로컬 하드 디스크(HDD)를 복구하는 것으로, USB 나 기록/재생 매체를 활용할 수도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PC 모듈(504,605)에 장애가 발생하면, 사용자는 BIOS에서 원격 복구모듈(703)을 선택(S1001)하고, 부팅(S1002)을 한다.
상기 S1002 단계에서 사용자는 원격 복구모듈(703)을 선택하여 부팅이 되면, 원격 복구모듈(703)이 시작된다. 상기와 같이 원격 복구모듈(703)이 시작되면, PC 관리 요소를 제거한다(S1003). 그리고 멀티박스(440)는 연결된 FTTH 망(430)과 네트워크(420)를 통해 서비스 제공업자(410)로 보고(S1004)를 한다.
서비스 제공업자(410)는 상기 보고가 수신되면, 해당 사용자의 IP 주소와 멀티박스의 MAC 주소를 파악하여 해당 사용자를 식별한다(S1005).
서비스 제공업자(410)는 해당 사용자를 식별한 후에 해당 장애를 원격에서 복구하기 위한 IDC 백업센터와 해당 사용자의 PC 모듈(504,605)을 연결한다(S1006).
상기 S1006 단계를 통해 연결이 되면, IDC 백업 센터는 해당 사용자의 PC 모듈(504, 605)와 통신하여 장애를 파악하고 파악된 장애를 치유하기 위한 백신 프로그램 등 기 백업된 프로그램을 전송하여 해당 사용자의 PC 모듈(504,605)을 원격에 서 복구한다(S1007).
상술한 과정은 PC 모듈(504,605)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멀티박스(440)내 다른 구성요소에도 적용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1 디스플레이부로 사용되는 네비게이터에 장애가 발생하였다면, 상술한 과정과 유사하게 서비스 제공업자는 사용자의 장애 보고를 수신하여 해당 네비게이터를 제조한 제조회사와 연결함으로써 원격에서 장애를 처리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본 고안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용어들로써,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고안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이 속한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한다.
그리고 상기에서 언급한 수치들은 바람직한 실시예이거나, 단순한 예시인 바, 상기 수치들에 본 고안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않으며,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이 속한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한다.
도 1은 본 고안과 관련하여 IPTV 서비스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개념적인 시스템 구성 블록도,
도 2는 멀티캐스트 방식에 대해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유니캐스트 방식에 대해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구성한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구성한 멀티박스의 구성 블록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구성한 멀티박스의 구성 블록도,
도 7은 상기 PC 모듈의 내부 구성 요소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
도 8은 상기 도 5 내지 6의 멀티박스를 실제 구현한 모델을 도시한 것,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 시스템의 사용 시나리오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멀티박스 내 PC 모듈의 장애시에 원격 복구모듈을 이용하여 해당 장애를 처리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410; 서비스 제공업자 420; 네트워크
430; FTTH 망 440; 멀티박스
501,601; 제1 디스플레이부 502; VoIP
503,604; 제2 디스플레이부 504, 605; PC 모듈
505,606; HDMI부 506,607; 셋톱박스 모듈
507,608; 옵션 모듈

Claims (8)

  1. 서비스를 처리하는 다수 개의 모듈들을 포함하는 디지털 수신기에 있어서,
    연결된 네트워크를 통해 서비스 제공업자에 의해 제공되는 방송 서비스를 수신하여 디코딩하는 제1 모듈;
    음성 및 영상을 적어도 하나 이상 송수신하여 외부 기기와 통신하고, 상기 서비스 제공업자에 의해 제공되는 지역 정보 및 교통 정보를 포함한 생활 기반 서비스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제2 모듈;
    각 모듈의 상태와 사용자의 입력에 따른 UI(User Interface)를 출력하고, 탈/부착 가능한 제3 모듈; 및
    상기 각 모듈의 동작, 상기 각 모듈간 통신, 상기 각 모듈의 기능 장애에 대한 원격 복구 및 상기 각 모듈의 데이터 다운로드를 포함하여 상기 각 모듈에서의 서비스 수신 및 처리에 관한 전반적인 제어를 담당하는 제4 모듈;
    을 포함하는 디지털 수신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듈에서 디코딩된 방송 서비스를 출력하는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모듈은,
    상기 각 모듈 및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를 정해진 통신망에 연결시키는 인터페이스부;
    기록/재생 장치;
    상기 각 모듈의 기능 장애에 대한 원격 복구를 위해 해당 모듈에 대한 서버와 통신하는 원격 복구 모듈; 및
    HDMI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
    를 포함하는 디지털 수신기.
  4. 제3항에 있어서,
    탈/부착 가능하고, 상기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와 연결되어 실행 가능한 게임 모듈, 홈씨어터용 앰프, 상기 제4 모듈을 통해 연결된 서버와 통신하여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헬스케어 모듈, 및 상기 연결된 네트워크를 통해 직접 해당 서버에 접속하여 증권 거래를 제어하는 증권거래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5 모듈;
    을 더 포함하는 디지털 수신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업자 및 네트워크 인증을 거쳐 상기 제4 모듈을 통해 연결된 가정 내 가전기기 및 CCTV에 대해 동작을 제어하는 제6 모듈;
    을 더 포함하는 디지털 수신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모듈은,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및 SoIP(Service over Internet Protocol)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디지털 수신기.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모듈은,
    디지털 카메라 및 캠코더의 영상이나 동영상을 실시간으로 상기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를 통해 출력하는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및 올인원 카드 리더(All-in-all card Reader)부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수신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모듈은,
    네비게이터(navigator),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과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디지털 수신기.
KR2020090000731U 2009-01-21 2009-01-21 멀티박스를 포함한 수신기 KR2004514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0731U KR200451432Y1 (ko) 2009-01-21 2009-01-21 멀티박스를 포함한 수신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0731U KR200451432Y1 (ko) 2009-01-21 2009-01-21 멀티박스를 포함한 수신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7671U KR20100007671U (ko) 2010-07-29
KR200451432Y1 true KR200451432Y1 (ko) 2010-12-15

Family

ID=444529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0731U KR200451432Y1 (ko) 2009-01-21 2009-01-21 멀티박스를 포함한 수신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143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7671U (ko) 2010-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0444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dexing content within a media stream
US8613016B2 (en) Apparatus for receiving adaptive broadcast signal and method thereof
US7953255B2 (en) Avatars in social interactive television
US20050246757A1 (en) Convergence of network file system for sharing multimedia content across several set-top-boxes
US20090187950A1 (en) Audible menu system
US20090222853A1 (en) Advertisement Replacement System
US20100115575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cording and distributing media content
US20050226170A1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secure sharing of multimedia content across several electronic devices
US20090307719A1 (en) Configurable Access Lists for On-Demand Multimedia Program Identifiers
US20100192183A1 (en) Mobile Device Access to Multimedia Content Recorded at Customer Premises
US20080168506A1 (en) Providing user communication
WO2007103853A2 (en) Method and system of distributing media content and generating playlists
US20110173665A1 (en) System and method of personalized broadcasting service based on subscriber terminal
US864602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n interactive application within a media stream
CN101448134A (zh) 广播接收机和用于接收自适应广播信号的方法
US20090328117A1 (en) Network Based Management of Visual Art
CN102577416A (zh) 用于选择性输出多媒体内容的方法、装置和系统
US867143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services via a set-top box
US20030033612A1 (en) Software appliance method and system
US10237627B2 (en) System for providing audio recordings
EP2271048B1 (en) Method for provisioning a multimedia service
US2012028474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nteractive content within media streams using vertical blanking intervals
KR200451432Y1 (ko) 멀티박스를 포함한 수신기
KR101328540B1 (ko) 멀티박스를 포함한 수신 시스템, 원격 주문/결제 시스템 및원격 장애 복구 방법
KR101653627B1 (ko) 시청 모드 전환 방법, 시스템 및 미디어 재생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7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