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1243Y1 - 유량계 - Google Patents

유량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1243Y1
KR200451243Y1 KR2020080005976U KR20080005976U KR200451243Y1 KR 200451243 Y1 KR200451243 Y1 KR 200451243Y1 KR 2020080005976 U KR2020080005976 U KR 2020080005976U KR 20080005976 U KR20080005976 U KR 20080005976U KR 200451243 Y1 KR200451243 Y1 KR 20045124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ing
sensor
cover
unit
upper ca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59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1447U (ko
Inventor
선홍기
정귀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위지트동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위지트동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위지트동도
Priority to KR20200800059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1243Y1/ko
Publication of KR2009001144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144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12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124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of groups G01F1/00 - G01F13/00 insofar as such details or appliances are not adapted to particular types of such apparatus
    • G01F15/14Casings, e.g. of special materi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0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 G01F1/05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mechanical effects
    • G01F1/06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mechanical effects using rotating vanes with tangential admiss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0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 G01F1/56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 G01F1/58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by electromagnetic flow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of groups G01F1/00 - G01F13/00 insofar as such details or appliances are not adapted to particular types of such apparatu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asuring Volume Flow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량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배관에 설치되고 고장이 없는 하부케이싱은 그대로 재사용하고, 상기 하부케이싱의 상부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며 고장이 잦거나 유효기간이 만료된 기타부품은 신속하고 용이하게 교체 가능하여 이에 따른 유지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유량계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유량계는, 하부케이싱과, 상기 하부케이싱의 내주면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된 상부케이싱과, 상부케이싱의 내측 수용부에 설치되고 유체의 통과체적을 측정하기 위해 설치된 계량부와, 계량부의 함몰된 홈에 삽입되도록 센서홈이 형성되고 상부케이싱의 상부에 설치된 하부커버와, 하부커버의 상부에 설치되며 투명창을 구비한 상부커버를 포함하는 한 쌍의 커버와, 한 쌍의 커버 내부에 설치되며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설치된 배터리와, 감지수단의 회전을 감지하기 위해 대향되는 하부커버의 센서홈에 설치된 센서와, 센서의 측정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연산하는 연산부와, 연산부에 의해 산출된 측정값을 표시하기 위해 커버의 투명창의 하부에 설치된 표시부와, 하부케이싱의 상부 유출구의 주연부와 대응되는 계량부 사이에 기밀을 유지하기 위해 패킹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부케이싱, 상부케이싱, 나사산, 계량부, 연산부, 표시부, 패킹

Description

유량계{FLOWMETER}
본 고안은 유량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배관에 설치되고 고장이 없는 하부케이싱은 그대로 재사용하고, 상기 하부케이싱의 상부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며 고장이 잦거나 유효기간이 만료된 기타부품은 신속하고 용이하게 교체 가능하여 이에 따른 유지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유량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량계는 기체나 액체의 유량을 측정하는 계기로써, 산업용 및 단독주택, 연립주택, 아파트 등의 주거용으로 설치되어 사용한다. 그리고 사용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할 수 있으며, 그 중 송수도관을 통하여 공급되는 수돗물의 계측하기 위해 사용되는 수도미터(Water meter)와, 난방 시스템에서 공급되는 열(에너지)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난방수의 소비열량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적산열량계(CALORI METER)를 많이 사용한다.
본 고안의 유량계는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수도미터나 적산열량계를 통칭하며, 통상적으로 배관에 연결 설치된 하부케이싱과, 하부케이싱의 내부에 설치되고 유체의 통과체적을 측정하는 계량부와, 계량부를 측정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연산하는 연산부와, 연산부에 의해 연산된 측정값을 표시하는 표시부 및 커버 그리 고 상부케이싱을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유량계는, 배관에 연결 설치된 하부케이싱과 계량부, 연산부, 표시부를 수용하는 커버를 포함하는 상부케이싱이 일체로 구성되어 있어서, 고장이 발생하거나 유효기간이 만료된 경우 유량계 전체를 교체해야 한다. 따라서, 유량계 전체를 교체하게 되면 하부케이싱의 유입구 및 유출구과 연결되는 각각의 배관 부분을 분리한 후 재차 조립해야 하기 때문에 교체 작업이 번거롭고 복잡하며, 작업 시간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고장없고 사용이 가능한 부분까지 전부 교체해야 하기 때문에 이에 따른 교체 비용이 증가되는 다른 문제점이 있다.
또한, 교체 작업을 위해 다량의 부품과 공구를 필수적으로 구비해야 하고 이를 가지고 다녀야 하기 때문에 작업이 힘이 들며, 부주의에 의한 사고 발생 위험이 높은 또 다른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배관과 연결된 하부케이싱은 교체하지 않고 그대로 재사용하며, 하부케이싱의 상부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고 일체로 된 계량부, 연산부, 표시부가 구비되고 커버에 의해 조립된 상부케이싱 만을 교체하면 됨으로 교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유량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하부케이싱의 유입구 및 유출구와, 상기 유입구와 유출구 측에 각각 연결되어 유체가 흐르도록 설치된 배관을 분해하지 않아도 교체 작업이 가능하기 때문에, 이에 따른 작업이 간소화되고, 좁은 공간에서의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교체 작업이 가능한 유량계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교체하기 위해 무게가 많이 나가는 하부케이싱을 매번 들고다닐 필요가 없어서 작업자가 이동시 힘이 덜 들고, 이동 및 작업 중 안전 사고 위험이 감소되는 유량계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유량계는, 가스, 수도, 온수, 난방 등의 사용량을 검침하기 위해 광범위하게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고안에 따른 유량계는, 유입구와 유출구가 격벽에 의해 분리되어 있고, 상기 유입구와 유출구의 상부가 개구되며, 개구의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하부케이싱과, 상기 하부케이싱의 내주면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기 위해 대응되는 일단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내측에 수용부가 형성된 상부케이싱과, 상기 상부케이싱의 내측 수용부에 설치되고 상기 유입구를 통해 공급된 유체의 통과체적을 측정하기 위해 설치된 계량부와, 상기 계량부의 함몰된 홈에 삽입되도록 센서홈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케이싱의 상부에 설치된 하부커버와, 상기 하부커버의 상부에 설치되며 투명창을 구비한 상부커버를 포함하는 한 쌍의 커버와, 상기 한 쌍의 커버 내부에 설치되며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설치된 배터리와, 상기 감지수단의 회전을 감지하기 위해 대향되는 상기 하부커버의 센서홈에 설치된 센서와, 상기 센서의 측정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연산하는 연산부와, 상기 연산부에 의해 산출된 측정값 을 표시하기 위해 상기 커버의 투명창의 하부에 설치된 표시부와, 상기 하부케이싱의 상부 유출구의 주연부와 대응되는 상기 계량부 사이에 기밀을 유지하기 위해 패킹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계량부는, 상기 상부케이싱의 수용부에 설치되고 상기 유출구의 상부와 연통되도록 중심이 관통되며, 중심이 관통된 주연부에 상기 유입구의 상부 유로와 연통되도록 복수의 관통구멍이 형성된 스트레너와, 상기 상부케이싱의 수용부의 내주면과 간격을 유지하며 상기 스트레너에 설치되고, 일단이 상기 스트레너의 관통된 중심과 연통되고 내측에 수용부가 형성되며 상기 수용부를 향한 외주면에 상기 스트레너의 복수의 관통구멍을 통과한 유체가 유입되도록 복수의 유입구멍이 형성된 하부캡과, 상기 하부캡의 내측 수용부에 복수의 유입구멍을 통해 유입된 유체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감지수단을 구비한 임펠러와, 상기 임펠러의 감지수단을 향하여 함몰된 홈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캡의 타단에 설치된 상부캡을 포함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감지수단은, 상기 임펠러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도체부와 비도체부를 갖는 금속판이고, 상기 센서는, 상기 금속판의 회전을 감지하기 위해 설치된 인덕터 및 상기 인덕터와 함께 LC공진회로를 구성하도록 상기 인덕터와 연결된 커패시터를 갖는 비자기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감지수단은, 상기 임펠러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자성체이고, 상기 센서는, 상기 자성체의 회전을 감지하기 위한 자기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상부캡의 타단 외주면에는 하나 이상의 돌출된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걸림돌기와 대응되는 상기 상부케이싱의 내주면에는 각각 걸림홈이 더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상부케이싱과 커버 사이에 설치되며 유체의 공급온도와 회수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감온부가 더 포함하며, 상기 연산부는, 상기 감온부의 측정신호를 입력받아 소비열량을 산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유체를 공급하는 각각의 배관과 연결되고 고장나지 않는 하부케이싱은 그대로 둔 상태에서 유량계의 주요부분 만을 교체하면 됨으로, 교체 작업이 간소화되고 효율적이다. 또한, 하부케이싱은 재사용할 수 있으므로 이에 따른 교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좁은 공간에서의 신속하고 능률적인 교체 작업이 가능하다. 또한, 교체하기 위해 무게가 많이 나가는 하부케이싱을 들고다닐 필요가 없어서, 작업자가 이동시 힘이 덜 들고, 이동 및 작업 중 안전 사고 위험이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유량계의 일실시예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유량부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분해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유량계(100)는, 하부케이싱(110) 및 상부케이싱(120)과 한 쌍의 커버(130) 그리고 계량부(140)와 연산부(134) 및 표시부(137)를 포함한다.
하부케이싱(110)은, 격벽(114)에 의해 유입구(111)와 유출구(112)로 분리되어 있다. 즉, 일단에 형성된 유입구(111)는 공급된 유체는 격벽(114)에 의해 상부를 향하여 흐르고, 유입구(111)를 통과한 유체가 계량부(140)를 통과하여 유입구(111)의 상부와 연통된 유출구(112)를 통해 타단으로 배출한다. 또한, 개구의 내주면에는 내측나사부(113)가 형성되어 있다.
상부케이싱(120)은 하부케이싱(110)과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상부케이싱(120)은, 내측 수용부(121)에 계량부(140)가 설치되고 상부에는 연산부(135)와 표시부(137) 등이 설치되며, 상부케이싱(120)의 상부에는 기밀 유지를 유지하고 내부를 보호하기 위해 한 쌍의 커버(130)가 설치되어 있다. 즉, 상부케이싱(120)은 일단에서 타단 방향을 향하여 내측에 수용부(121)가 형성되어 있고, 타단에는 수용부(121)를 향하여 관통된 구멍이 형성되며, 하부케이싱(110)의 내측나사부(113)와 맞물려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기 위해 일단 외주면에 외측나사부(12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부케이싱(120)의 상부에 하부커버(131)와 상부커버(132)로 구성된 한 쌍의 커버(130)가 설치되어 있다. 그 중 하부커버(131)는 상부케이싱(120)의 타단에 조립 설치되고, 상부커버(132)는 하부커버(131)의 상부에 조립되며, 내측에 설치된 표시부(137)를 볼 수 있도록 일면에 투시창(132a)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부케이싱(120)의 수용부(121) 일단에는 유체의 통과 체적을 측정하 기 위해 계량부(140)가 설치되어 있다.
계량부(140)는, 스트레너(141)와 하부캡(142) 및 상부캡(143) 그리고 임펠러(144)를 포함하며, 스트레너(141)의 하부는 하부케이싱(110)의 유출구(112)의 개구된 상부의 유로와 연통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송수도관을 통해 공급된 유체는 유입구(111)를 따라 상부 유로를 통과하여 스트레너(141)의 복수의 관통구멍(141a)을 통과한다. 그리고, 하부캡(142)의 외주면에 형성된 복수의 유입구멍(142a)을 통과하여 임펠러(144)를 회전시킨 다음 하부캡(142)의 내측에 형성된 복수의 유출구멍(142b)를 통과하여 하부케이싱(110)의 유출구(112)와 연통된 상부 유로를 따라 흐르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스트레너(141)는, 상부케이싱(120)의 수용부(121)에 설치되고 유출구(111)의 상부와 연통되도록 중심이 관통되며, 유입구(111)의 상부 유로와 연통되도록 중심이 관통된 주연부에 복수의 관통구멍(141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부캡(142)의 일단을 향하여 중심이 관통된 주연부에 돌출된 테두리(141b)가 형성되어 있다.
하부캡(142)은, 상부케이싱(120)의 내주면(121)과 간격을 유지하며 일단에 스트레너(141)가 설치된다. 이때, 스트레너(141)의 돌출된 테두리(141b)가 하부캡(142)의 일단에 형성된 홈(142c)에 일부 삽입되도록 조립 설치된 구조를 가지며,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형태로 분리되지 않도록 조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하부캡(142)의 타단은 임펠러(144)를 설치하기 위해 수용부가 형성되어 있고, 임펠러(144)를 회전시키기 위해 스트레너(141)의 복수의 관통구멍(141a) 을 통과한 유체가 유입되도록 타단 외주면에 복수의 유입구멍(142a)이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유입구멍(142a)은 수용부에 설치된 임펠러(144)를 동일 방향으로 회전시켜 정확하게 유량을 측정할 수 있도록 외주면에서 수용부를 향하여 동일한 방향의 곡면형상을 갖도록 관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수용부의 내주면에는 축홈(미도시 됨)이 형성되고, 축홈의 외측 주변에는 스트레너(141)의 관통된 중심과 연통된 복수의 유출구멍(142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복수의 유입구멍(142a)이 형성된 타단 소정위치에는 각각 결합홈(142d)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는 하부캡(142)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캡(143)을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상부캡(143)은, 하부캡(142)의 축홈과 마주보는 내측 동일 축선상에 축홈(미도시 됨)이 형성되어 있고, 임펠러(144)의 감지수단과 대향되는 외측에 함몰된 홈(143a)이 형성되며, 홈(143a)이 형성된 단부가 상부케이싱(120)의 타단의 관통된 구멍에 삽입되어 조립되어 있다. 또한, 하부캡(142)의 결합홈(142d)에 삽입되어 고정되기 위해 일단에 각각 결합돌기(143c)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부캡(143)의 외주면에는 하나 이상의 돌출된 걸림돌기(143b)가 더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케이싱(120)의 내주면에는 걸림돌기(143b)와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걸림홈(미도시 됨)이 형성됨은 물론이다. 상기 걸림돌기(143b)는 유체에 의해 임펠러(144)가 회전시 스트레너(141)와 하부 및 상부(142,143)이 회전되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임펠러(144)는 축을 중심으로 외주면에 복수의 날개가 형성되어 있고, 일면에 감지수단을 포함하고 있다.
본 고안의 유량계(100)는, 숫자판의 회전에 의한 아날로그 방식이 아니라 펄스를 이용한 디지털방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임펠러(144)에 감지수단으로 자성체가 설치되고, 자성체의 회전을 감지하기 위해 자기센서를 사용할 경우에는 자석의 자기장 변화를 이용하여 임펠러(144)의 회전수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임펠러(144)의 감지수단으로 비자성 금속을 이용한 도체부와 비도체부를 갖는 금속판을 설치하고, 금속판의 회전을 감지하기 위해 금속판의 상면과 대향되는 면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덕터와 각각의 인덕터와 연결되는 커패시터를 구비한 비자기센서를 이용하여 임펠러(144)의 회전수를 검출할 수 있다.
즉 금속판은, 와전류가 발생하는 도체부(41)와, 와전류가 발생하지 못하는 비도체부(42)로 구성되며, 도 6a에 도시된 것과 같이, 금속판은 비도체부(42) 상면에 도체부(41)이 결합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도체부(41)의 재질로는 구리나 알루미늄과 같은 비자성 금속이 이용될 수 있고, 비도체부(42)의 재질로는 플라스틱이 이용될 수 있다. 물론, 도체부(41)은 구리나 알루미늄 이외의 다른 비자성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비도체부(42)는 플라스틱 이외의 다른 비도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비자기감지센서(43)는, LC공진회로의 특성을 이용하여 금속판의 회전을 감지하는 것으로, 금속판의 상면과 대면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는 인덕터(44,47)와, 각 인덕터(44,47)와 연결되는 커패시터(45)로 구성된다.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각 비자기감지센서(43)는 각 인덕터(44,47)와 각 커패시터(45)가 병렬로 연결되어 LC병렬공진회로를 구성하고, 전원(134)으로부터 전압을 공급받으 며, 비자기감지센서(43)의 작동 원리는 다음과 같다.
비자기감지센서(43)에 펄스전압이 공급되면 인덕터(44)와 커패시터(45)에 에너지가 충전된다. 이상적인 인덕터(44)와 커패시터(45)일 경우 이 에너지는 그 크기가 항상 일정한 형태로 공진하게 되고, 이 때의 공진주파수는 다음과 같은 식으로 표현된다.
Figure 112008032400719-utm00001
일반적으로, 인덕터(44)는 저항이 있으므로 LC공진회로의 파형은 시간에 따라 서서히 감소하는 형태가 된다. 이때 인덕터(44)의 하부에 도체부(41)가 놓이게 되면 인덕터(44)에 의해 생긴 자기장이 도체부(41)에 와전류를 생성시킨다. 이 와전류는 새로운 자기장을 만들어 인덕터(44)의 상호 인덕턴스를 변화시킨다. 따라서, 공진주파수가 변하게 되고 LC공진회로의 전압 파형이 급격하게 감쇠하게 된다. 즉, 공진하고 있는 LC공진회로에 도체부(42)가 인접하게 되면 전기 부하의 형태가 되어 전압 파형이 급격하게 감쇠되는 것이다.
도 6a에 도시된 것과 같이 금속판이 회전하여 비자기감지센서(43)의 인덕터(44)가 도체부(41)와 대면할 때, 도체부(41)에는 와전류가 생성되어 비자기감지센서(43)의 전압 파형은 급속하게 감쇠된다. 반면, 도 6b에 도시된 것과 같이 금속판이 회전하여 비자기감지센서(43)의 인덕터(44)가 비도체부(42)와 대면할 때, 비도체부(42)에는 와전류가 생성되지 않기 때문에 비자기감지센서(43)의 전압 파형은 천천히 감쇠된다.
따라서, 일정한 시간(tdelay)이 지난 후에 전압 파형의 크기를 기준값(Vref)과 비교하여, 기준값(Vref)보다 더 큰 신호가 없으면 인덕터(44)가 도체부(41)와 대면하는 것이고, 기준값(Vref)보다 더 큰 신호가 있으면 인덕터(44)가 비도체부(42)와 대면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전압 파형의 변화 특성을 통해 비자기감지센서(43)는 금속판 및 임펠러(144)의 회전을 감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유량계(100)는 LC공진회로의 특성을 이용한 비자기감지를 이용함으로써 저전력으로 금속판의 회전을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비자기감지센서로도 금속판의 회전을 감지할 수 있지만, 고장 발생을 고려하여 비자기감지센서의 개수는 복수인 것이 좋다.
상기 상부캡(143)의 홈(143a)에 삽입되도록 함몰된 센서홈(131a)이 형성되고 상부케이싱(120)의 상부에 하부커버(131)가 설치되고, 하부커버(131)의 상부에 설치되며 투명창(132a)을 구비한 상부커버(132)를 포함하는 한 쌍의 커버(13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한 쌍의 커버(130)의 내부에 설치되며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134)와, 감지수단의 회전을 감지하기 위해 대향되는 하부커버(131)의 센서홈(131a)에 설치된 센서(133)와, 센서(133)의 측정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연산하는 연산부(135)를 포함한다.
또한, 상부커버(132)의 투명창(132a)의 하부에 설치되며 연산부(135)에 의해 산출된 측정값을 표시하기 위해 표시부(137)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하부케이싱(110)의 상부 유출구(112)의 주연부와 대응되는 계량부(140) 사이에 기밀을 유지하기 위해 제2패킹(P2)이 설치되며, 이는 격벽(114)에 의해 분리된 유입구(111)를 통해 유입된 유체가 하부케이싱(110)의 개구된 상부의 유출구(112)를 통해 곧바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여 정확하게 유체의 통과체적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하부케이싱(110)과 상부케이시(120)의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부분에 누수되지 않도록 기밀을 유지하기 위해 제1패킹(P1)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량계(100)에 있어서, 난방수의 소비열량을 측정하는 적산열량계로 사용할 경우, 상부케이싱(120)의 상부인 커버(130)의 내측에 유체의 공급온도와 회수온도를 측정하기 위해 감온부(136)를 더 설치한다. 이때, 연산부(135)는 감온부(136)의 측정신호을 입력받아 사용된 소비열량을 산출하여 표시부(137)에 표시할 수 있도록 연산됨은 물론이다.
본 고안에 따른 유량계(100)는, 배관에 각각 연결 설치되며 통과되는 유량을 측정하기 위해 설치 고정 설치된 하부케이싱(110)과, 하부케이싱(110)의 상부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며 내측에 연산부(135)와 배터리(134)와 감온부(136) 그리고 표시부(137)가 일체로 형성된 커버(130)에 의해 보호되는 상부케이싱(120)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유량계(100)가 고장나거나 유효기간이 만료된 경우 유체가 흐르는 배관에 연결된 하부케이싱(110)은 그대로 둔 상태에서 하부케이싱(110)의 상부에 설치되고 내측에 주요부분이 설치된 커버(130)를 구비한 상부케이싱(120) 만을 용이하게 분리한 다음 새것으로 신속하게 교체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고안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유량계의 일실시예의 단면도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유량부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유랑계의 일실시예의 비자기감지센서 회로도
도 6(a) 및 도 6(b)는 도 5에 도시된 금속판 및 비자기감지센서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면 부호의 간단한 설명>
100 유량계 110 하부케이싱
111 유입구 112 유출구
113 내측나사부 120 상부케이싱
121 수용부 122 외측나사부
130 커버 131 하부커버
132 상부커버 133 센서
134 배터리 135 연산부
136 감온부 137 표시부
140 계량부 141 스트레너
142 하부캡 143 상부캡
144 임펠러 P1,P2 제1 및 제2패킹

Claims (6)

  1. 삭제
  2. 유입구와 유출구가 격벽에 의해 분리되어 있고, 상기 유입구와 유출구의 상부가 개구되며, 개구의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하부케이싱과,
    상기 하부케이싱의 내주면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기 위해 대응되는 일단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내측에 수용부가 형성된 상부케이싱과,
    상기 상부케이싱의 내측 수용부에 설치되고 상기 유입구를 통해 공급된 유체의 통과체적을 측정하기 위해 설치된 계량부와,
    상기 계량부의 상부에 형성된 홈에 끼워지도록 센서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부케이싱의 상부에 설치되는 하부커버와, 상기 하부커버의 상부에 설치되며 투명창을 구비한 상부커버를 포함하는 한 쌍의 커버와,
    상기 한 쌍의 커버 내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설치된 배터리와, 상기 센서홈에 설치되고 감지수단의 회전을 감지하는 센서와, 상기 센서의 측정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연산하는 연산부와, 상기 연산부에 의해 산출된 측정값을 표시하기 위해 상기 커버의 투명창의 하부에 설치된 표시부와,
    상기 하부케이싱의 상부 유출구의 주연부와 대응되는 상기 계량부 사이에 기밀을 유지하기 위해 패킹이 설치되고,
    상기 계량부는, 상기 상부케이싱의 수용부에 설치되고 상기 유출구의 상부와 연통되도록 중심이 관통되며, 중심이 관통된 주연부에 상기 유입구의 상부 유로와 연통되도록 복수의 관통구멍이 형성된 스트레너와,
    상기 상부케이싱의 수용부의 내주면과 간격을 유지하며 상기 스트레너에 설치되고, 일단이 상기 스트레너의 관통된 중심과 연통되고 내측에 수용부가 형성되며 상기 수용부를 향한 외주면에 상기 스트레너의 복수의 관통구멍을 통과한 유체가 유입되도록 복수의 유입구멍이 형성된 하부캡과,
    상기 하부캡의 내측 수용부에 복수의 유입구멍을 통해 유입된 유체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감지수단을 구비한 임펠러와,
    상기 임펠러의 감지수단을 향하여 홈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캡의 타단에 설치되는 상부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수단은, 상기 임펠러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도체부와 비도체부를 갖는 금속판이고,
    상기 센서는, 상기 금속판의 회전을 감지하기 위해 설치된 인덕터 및 상기 인덕터와 함께 LC공진회로를 구성하도록 상기 인덕터와 연결된 커패시터를 갖는 비자기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계.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수단은, 상기 임펠러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자성체이고,
    상기 센서는, 상기 자성체의 회전을 감지하기 위한 자기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계.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캡의 타단 외주면에는 하나 이상의 돌출된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걸림돌기와 대응되는 상기 상부케이싱의 내주면에는 각각 걸림홈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케이싱과 커버 사이에 설치되며 유체의 공급온도와 회수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감온부가 더 포함하며,
    상기 연산부는, 상기 감온부의 측정신호를 입력받아 소비열량을 산출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계.
KR2020080005976U 2008-05-07 2008-05-07 유량계 KR20045124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5976U KR200451243Y1 (ko) 2008-05-07 2008-05-07 유량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5976U KR200451243Y1 (ko) 2008-05-07 2008-05-07 유량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1447U KR20090011447U (ko) 2009-11-11
KR200451243Y1 true KR200451243Y1 (ko) 2010-12-06

Family

ID=429315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5976U KR200451243Y1 (ko) 2008-05-07 2008-05-07 유량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124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286800A1 (de) * 2022-06-03 2023-12-06 Landis+Gyr GmbH Dichtungselemen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286800A1 (de) * 2022-06-03 2023-12-06 Landis+Gyr GmbH Dichtungsel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1447U (ko) 2009-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14267B2 (ja) 可変周波数型電磁流量計
JP4591249B2 (ja) 流量計
KR102221495B1 (ko) 과부하 초과 모드를 포함하는 디지털 수도계량기
JP5259452B2 (ja) 電磁ポンプ吐出量測定方法
DK2994724T3 (en) CONSUMER METER WITH SELECTABLE LEGAL REGISTERS
JP6408553B2 (ja) 接着ptfe電極を備えた磁気流量計
EP3201574B1 (en) Magnetic flowmeter with vapor permeation sensor
KR101560265B1 (ko) 비자성체가 적용된 전자식 수도미터
US20140091785A1 (en) Target clearance measurement device
JP2010025917A5 (ko)
US9661977B2 (en) System for determining an operating state of a dishwasher and an according method
JP2005308740A (ja) 磁気誘電性流量測定方法及び磁気誘電性流量計
KR200451243Y1 (ko) 유량계
KR20100025289A (ko) 비자성 회전체의 회전 감지기 및 이를 적용한 유량 측정장치
KR101242131B1 (ko) 분리형 전자식 수도계량기
US3372589A (en) Side-saddle magnetic flowmeter
EP3184973B1 (en) Device for measuring a property of a flowing fluid
JP3615921B2 (ja) 流量計
JP2007298400A (ja) 流量センサ
JP6031170B1 (ja) 流量計測方法
KR20090130543A (ko) 수도 계량기의 유체 진행방향 검출장치 및 그 방법
KR101213201B1 (ko) 비자성체가 적용된 유량 측정장치
CN206192419U (zh) 一种防漏油式气体腰轮流量计
KR100729643B1 (ko) 전자유량계의 영점보정장치
JP6864843B2 (ja) 電磁誘導式電気伝導率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6

Year of fee payment: 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