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1189Y1 - 스윙 궤적이 안정되고 비거리가 향상되는 골퍼 클럽 - Google Patents

스윙 궤적이 안정되고 비거리가 향상되는 골퍼 클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1189Y1
KR200451189Y1 KR2020100005057U KR20100005057U KR200451189Y1 KR 200451189 Y1 KR200451189 Y1 KR 200451189Y1 KR 2020100005057 U KR2020100005057 U KR 2020100005057U KR 20100005057 U KR20100005057 U KR 20100005057U KR 200451189 Y1 KR200451189 Y1 KR 20045118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tube
plate
swing trajectory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50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공용호
이정태
Original Assignee
이정태
공용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태, 공용호 filed Critical 이정태
Priority to KR20201000050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118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11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118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0/00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60/50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with through-ho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63B53/0416Heads having an impact surface provided by a face inser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63B53/0466Heads wood-typ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23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for driving
    • A63B69/3632Clubs or attachments on clubs, e.g. for measuring, aligning
    • A63B69/3635Clubs or attachments on clubs, e.g. for measuring, aligning with sound-emitting sourc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32Golf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1Special aerodynamic features, e.g. airfoil shapes, wings or air passag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olf Club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스윙 궤적이 안정되고 비거리가 향상되는 골퍼 클럽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드라이브 또는 우드의 헤드 내부에 내부를 통과하는 공기에 의해 소리가 발생 되는 소리 떨림편이 구비된 소리발생관을 분리 또는 고정하여 헤드의 임팩트시 소리발생관의 소리 떨림편에서 발생되는 소리를 듣고 골퍼가 자기 스윙 궤적을 스스로 판단할 수 있어 골프를 자주 접하지 못하는 주말 골퍼들이 자기 스윙 궤적 유지에 도움을 주는 효과가 제공되고, 또한 드라이브 또는 우드의 헤드 내부에 비거리향상용 임팩트부재를 구비하여 헤드의 임팩트시 동시에 헤드의 임팩트 면의 후면을 때리게 되어 이중으로 골퍼공을 때리게 됨에 따라 비거리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스윙 궤적이 안정되고 비거리가 향상되는 골퍼 클럽{A golf club head improved a flight and swing trajectory estimation}
본 고안은 스윙 궤적이 안정되고 비거리가 향상되는 골퍼 클럽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골퍼 클럽의 헤드에 공기가 통과하고, 통과하는 공기에 의해 소리가 나는 소리 떨림편이 구비된 소리발생관을 헤드 내부에 분리 또는 고정시켜 이 소리를 듣고 스윙 궤적을 알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골프 게임에 있어서 공을 멀리 치는 드라이버는 가장 중요하면서도 플레이어들에게 자주 좌절감을 안겨주는 과정이다. 골프공이 정확한 각도와 적절한 힘으로 맞지 않으면 공은 엉뚱한 방향으로 나가서 덤불에 빠지기 십상이다.
하지만 이제까지의 대부분드라이버들은 주로 골프공을 멀리 날아가게 하는데 초점을 맞추어 고안되었기 때문에 반발력을 최대화하는데 초점을 맞추어 개발되어 스윙시 드라이버의 궤적 안정성에 관심을 두지 않았다.
하지만, 플레이어들이 티-오퍼시 스윙을 할 때 드라이버 헤드의 속도는 초속 40 내지 50meter를 넘게 된다. 이는 시속 150Km를 넘는 것이다. 이 속도에 이르면 클럽 헤드에 미치는 공기 저항은 심각한 것이다. 뒤로 당기는 저항의 힘인 드래그 포스의 미세한 불균형도 클럽헤드의 궤적을 흔들어서 골프공을 때리는 접촉점을 클럽헤드의 중심에서 이동시킨다.
아트킨스(Atkins)의 미국 특허 제5,464,211호에는 속이 빈 "메탈우드" 에 클럽 타격면의 강도와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보강판을 내장한 골프 클럽에 대하여 소개되어 있다. 바람직한 고안의 형태로는 보강판이 압축된 형태로 내장되어 타격면을 보다 단단히 보조해 줌으로써 타격면이 골프공을 때릴 때 쉽게 물러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소개되어있다.
하지만 클럽 헤드의 전면에서 후면까지 관통되는 구멍은 없다. 쉐어러(Shearer)의 미국 특허 제4,944,515호에는 주물로 캐스트 된 속이 빈 골프 클럽 헤드의 전면과 후면 사이에 최소한 하나의 내부 구조 보강 물이 설치되어 있는데, 내부 구조 보강물의 한쪽 끝은 클럽 헤드의 기하학적 중심에 설치되어 있고 다른 한쪽 끝은 속이 빈 클럽 헤드의 뒷면을 관통하여 열려있으며 열린 쪽의 밑 부분은, 방음 물질로 골프 클럽 헤드의 빈 부분을 메운 후에, 바닥판에 공고히 고착되어 있는 골프클럽 헤드를 소개하고 있다. 이 내부 구조물에는 미리 정해진 골프 클럽 헤드의 무게를 맞추기 위하여 금속이나 유사한 물질을 더한다.
하지만, 클럽 헤드의 전면에서 후면까지 관통되는 구멍은 없다. 야마다 (Yamada)의 미국 특허 제 4,535,990 가벼운 특성을 살리기 위하여 속을 비운 골프 클럽이 소개되어있다. 여기에는 골프 클럽 헤드와는 별도로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튜브 형의 보강물이 클럽의 앞 뒷면의 내면을 가로질러 설치되어 있어 골프공 타격시의 충격에 의하여 클럽헤드의 면이 찌그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기계적 강도와 견고함을 갖도록 되어있다. 하지만, 관형의 보강물 양끝은 막혀 있다. 미국특허 제4,461,481호에는 내부 면이 평평한 뒷면과 착탈식의 바닥판 그리고 앞면을 조합해서 만든 속이 빈 클럽헤드를 소개되어 있다. 골프 헤드의 뒷면에 형성된 뒷판에 연결되며 위 아래로 조절 가능한 원통형의 추가 장착된 축이 부착되어 있다.
미국특허 제4,067,572호에는 축과 클럽 헤드로 이루어진 골프 클럽이 소개되어있다. 클럽 헤드는 고정부, 본체, 그리고 고정부와 축과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고정부에서 떼어낼 수 있는 앞면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상의 선행기술에는 본 고안과 같이 드라이버를 포함하여 클럽헤드의 앞면에서 뒷면에 이르기까지 공기가 통과할 수 있도록 기공이 형성되어 클럽헤드의 궤적 안정성을 높여주는 사례는 없었다.
이러한 선행기술에서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6-0128616호(고안의 명칭: 표면에 생성된 공기구멍에 의하여 궤적 안정도가 증된 골프 클럽)를 제공하였으나, 이는 드라이버 헤드에 공기가 통과하는 기공을 형성하여 스윙시 공기 저항이 줄어들어 궤적의 안정성을 향상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골프 클럽은 스윙시 궤적의 안정성과 비거리가 늘어나는 효과가 있으나, 골퍼가 드라이브로서 준비자세, 테이크어웨어, 백스윙, 탑스윙, 다운스윙 및 임팩트까지 일련의 연속되는 과정에서 스스로 스윙궤적에 대한 만족도를 판단할 수 없어 자세교정 및 유지에 별 도움이 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은 골퍼 클럽의 헤드에 공기가 통과하고, 내부를 통과하는 공기에 의해 소리가 나는 소리 떨림편이 구비된 소리발생관을 분리 또는 고정시켜 임팩트시 발생 되는 소리를 듣고 골퍼가 자기 스윙 궤적을 스스로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클럽 헤드 내부에 비거리향상용 임팩트부재를 구비하여 헤드의 임팩트시 동시에 헤드의 임팩트 면을 때리게 되어 이중으로 골퍼공을 때리게 됨에 따라 비거리를 향상시키는 데 있다.
본 고안 과제의 해결 수단은, 전면과 바닥면이 개구되고, 내부가 중공인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전면과 바닥면에 마감되는 전면판과 바닥판으로 이루어진 펙킹판으로 구성된 헤드와; 상기 헤드의 튜브에 삽입 고정되는 샤프트로 구성된 골프 클럽에 있어서, 상기 펙킹판의 전면판, 바닥판 및 케이스 사이를 관통하여 형성된 다수의 관통공; 및 상기 관통공 사이를 삽입 고정하여 공기가 통과하게 되고, 후방 영역에 소리 떨림편이 구비된 소리발생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헤드의 케이스 내부에 골퍼의 스윙시 비거리를 늘리기 위한 비거리향상용 임팩트부재를 구비하게 하되, 상기 비거리향상용 임팩트부재는 상기 케이스 내부의 상기 전면판과 바닥판 사이에 고정된 중공의 이동관; 상기 이동관의 중앙 영역에 고정된 고정바; 및 상기 고정바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임팩트시 전면판의 후면을 때리기 위한 임팩트 블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골퍼 클럽은, 드라이브 또는 우드의 헤드 내부에 내부를 통과하는 공기에 의해 소리가 발생 되는 소리 떨림편이 구비된 소리발생관을 분리 또는 고정하여 헤드의 임팩트시 소리발생관의 소리 떨림편에서 발생되는 소리를 듣고 골퍼가 자기 스윙 궤적을 스스로 판단할 수 있어 골프를 자주 접하지 못하는 주말 골퍼들이 자기 스윙 궤적 유지에 도움을 주는 효과가 제공된다.
또한, 드라이브 또는 우드의 헤드 내부에 비거리향상용 임팩트부재를 구비하여 헤드의 임팩트시 동시에 헤드의 임팩트 면의 후면을 때리게 되어 이중으로 골퍼공을 때리게 됨에 따라 비거리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스윙 궤적이 안정되고 비거리가 향상되는 골퍼 클럽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요부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결합상태 확대 단면도.
도 4는 제1실시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요부 단면 구성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스윙 궤적이 안정되고 비거리가 향상되는 골퍼 클럽의 제2실시예를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요부 확대 단면도.
도 8은 제2실시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9는 도 8의 결합상태 확대 단면도.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스윙 궤적이 안정되고 비거리가 향상되는 골퍼 클럽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단면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 중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스윙 궤적이 안정되고 비거리가 향상되는 골퍼 클럽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요부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결합상태 확대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골프 클럽은 일측에 튜브(12)가 일체로 돌출 형성된 헤드(10)와; 헤드(10)의 튜브(12)에 삽입 고정되는 샤프트(40)로 이루어진다.
상기 헤드(10)는 전면과 바닥면이 개구되고, 내부가 중공인 케이스(20)와; 케이스(20)의 전면과 바닥면에 마감되어 차단하도록 L자형의 전면판(32)과 바닥판(34)으로 이루어지고, 박판의 금속으로 이루어진 펙킹판(30)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펙킹판(30)의 전면판(32)은 골프공이 임팩트 되는 면이 되고, 바닥판(34)은 헤드(10)의 바닥면을 부분적으로 마감하는 보강판이 된다.
상기 샤프트(40)는 튜브(12)에 하단이 삽입 고정되어 골퍼가 안정되게 파지하기 위한 손잡이로 사용되는 것이다.
한편, 펙킹판(30)의 전면판(32)과 바닥판(34) 및 케이스(20) 사이를 수평으로 관통하여 다수의 관통공(50)을 형성하고, 이 관통공(50) 사이를 통해 소리발생관(52)을 각각 삽입 고정하여 골퍼의 스윙시 공기가 통과하게 된다.
이때, 소리발생관(52)은 금속 또는 합성수지로 구성되고, 중공으로 이루어지며, 임팩트 면인 전면판(32) 측에는 내경을 크게 형성하고, 바닥판(34) 및 케이스(20) 측에는 내경을 작게 형성하게 된다. 즉, 내경을 테이퍼 지게 형성하여 공기가 통과하도록 구성하게 된다.
이러한 소리발생관(52) 내주연의 후방 영역에 소리 떨림편(52a)을 각각 구비하여 바람(공기)의 통과시 소리 떨림편(52a)에서 진동(떨림)이 발생하여 예컨대 "삑" 하는 소리가 발생 됨과 동시에 골프공을 임팩트 하게 된다.
따라서, 골퍼는 이 소리를 듣고 지금 자신의 스윙 궤적에 대한 안정성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한편, 도 4는 제1실시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요부 단면 구성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펙킹판(30)의 전면판(32)과 바닥판(34) 및 케이스(20)를 수평으로 관통 형성한 다수의 관통공(50) 사이에 외부관(54)을 각각 삽입 고정하고, 이 외부관(54) 내부에 소리 떨림편(55a)이 구비된 내부관(55)을 분리 가능하게 삽입하게 된다. 이때, 내부관(55)은 소리발생관(52)과 동일한 재질과 내경이 테이퍼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스윙 궤적이 안정되고 비거리가 향상되는 골퍼 클럽의 제2실시예를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요부 확대 단면도로서, 이는 골프 클럽의 헤드(10)의 케이스(20) 상부 영역에 수평끼움공(61)이 형성된 상부돌출부(60)를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상부돌출부(60)의 수평끼움공(61)을 내부에 떨림편(63)을 구비하게 된다. 이때, 상부 수평끼움공(61)은 소리발생관(52)과 동일하게 내경이 테이퍼지게 형성된다.
또한, 도 8은 제2실시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결합상태 확대 단면도로서, 이는 상기 상부돌출부(60)의 수평끼움공(61)을 통하여 내부에 소리 떨림편(65)이 구비된 상부 떨림관(66)을 분리 가능하게 삽입하게 된다.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스윙 궤적이 안정되고 비거리가 향상되는 골퍼 클럽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단면 구성이다.
이는 상기 골프 클럽을 구성하는 헤드(10)의 케이스(20) 내부에 골퍼의 스윙시 비거리를 늘리기 위한 비거리향상용 임팩트부재(70)를 구비하게 된다.
상기 비거리향상용 임팩트부재(70)는 케이스(20) 내부의 펙킹판(30)의 전면판(32)과 바닥판(34) 사이에 고정된 중공의 이동관(72)과; 이동관(72)의 중앙 영역에 고정된 고정바(74)와; 고정바(74)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임팩트시 전면판(32)의 후면을 때리기 위한 임팩트 블럭(76)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이동관(72)이 고정되는 펙킹판(30)의 전면판(32)과 바닥판(34)에는 공기유동공(72a)을 형성하여 임팩트시 공기가 흐르도록 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제1실시예에 대한 동작상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일측에 튜브(12)가 일체로 돌출 형성된 헤드(10)와, 헤드(10)의 튜브(12)에 삽입 고정되는 샤프트(40)로 이루어진 골퍼 클럽으로써 스윙을 하게 된다.
즉, 골퍼가 드라이브의 샤프트(40)를 안정되게 잡은 다음, 준비자세, 테이크어웨어, 백스윙, 탑 스윙, 다운스윙 및 임팩트까지 일련의 연속되는 과정으로 스윙을 진행하게 된다.
이때, 탑 스윙에서 다운스윙 및 임팩트까지 헤드(10)가 적정한 궤적을 그리게 되면서, 골퍼 공을 강하게 임팩트 하여 멀리 날려 보내게 된다. 이와 동시에 펙킹판(30)의 전면판(32)과 바닥판(34) 및 케이스(20)의 관통공(50) 사이에 고정 삽입된 소리발생관(52)을 통하여 스윙시 발생되는 바람이 통과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소리발생관(52) 내주연의 후방 영역에 구비된 소리 떨림편(52a)에서 떨림이 발생함으로써 예컨대 "삑" 하는 등의 소리가 발생 된다.
이러한 과정으로 다양한 자세를 반복적으로 진행하여 이중 가장 안정되고, 이상적은 자세에서 스윙의 궤적이 유지되면서 임팩트될 때, 소리발생관(52)의 소리 떨림편(52a)에서 발생하는 소리를 기억하게 된다.
이와 같이 가장 안정되고, 이상적인 자세에서 발생하는 소리만 듣고도 지금 자신의 스윙 궤적에 대한 안정성 여부를 골퍼 자신이 스스로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주말 골퍼 등의 안정적인 스윙 자세를 유지하는데 도움을 주게 되는 것이다.
이때, 소리발생관(52)은 금속 또는 합성수지로 구성되고, 임팩트 면인 전면판(32) 측에는 내경을 크게 형성하고, 바닥판(34) 및 케이스(20) 측에는 내경을 작게 형성하게 된다. 즉, 테이퍼지게 내경을 형성하여 공기가 테이퍼진 내경을 통과하여 경쾌하게 소리가 발생된다.
한편,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펙킹판(30)의 전면판(32)과 바닥판(34) 및 케이스(20)에 형성된 관통공(50) 사이에 외부관(54)을 각각 삽입 고정한 다음, 이이 외부관(54) 내부에 소리 떨림편(55a)이 구비된 내부관(55)을 분리 가능하게 삽입하게 된다. 즉, 소리 떨림편(55a)이 구비된 내부관(55)을 분리하여 청소를 할 수 있으며, 소리 떨림편 등이 망실 되면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본 고안에 따른 골퍼 클럽의 제2실시예에 따른 동작상태를 설명하면, 골프 클럽의 헤드(10)를 구성하는 케이스(20) 상부 영역의 상부돌출부(60)에 형성된 수평끼움공(61)을 통하여 내부에 소리 떨림편(63)이 구비된 상부 떨림관(64)을 완전히 삽입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한 바와 같은 동작으로 스윙을 하게 되면, 이 상부 떨림판(64)에서 소리가 발생 되어 안정된 스윙의 궤적을 알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8 및 도 9에서와 같이 상부돌출부(60)의 수평끼움공(61)을 통하여 내부에 소리 떨림편(63)이 구비된 상부 떨림관(64)을 분리 가능하게 삽입하여 필요시 교체 및 청소를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0에서 도시된 골프 클럽의 제3실시예의 동작상태를 설명하면, 헤드(10)의 케이스(20) 내부에 비거리향상용 임팩트부재(70)가 구비된 골프 클럽을 준비자세, 테이크어웨어, 백스윙, 탑 스윙, 다운스윙 및 임팩트까지 일련의 연속되는 과정으로 스윙을 진행하게 된다.
이때, 탑스윙에서 다운스윙 및 임팩트까지 헤드(10)가 적정한 궤적을 유지하면서, 헤드(10)가 골퍼 공을 강하게 임팩트 하여 멀리 날려 보내게 된다.
이와 동시에 헤드(10)의 케이스(20) 내부에 구비된 임팩트부재(70)가 동작하여 임팩트시 전면판(32)의 후면을 때리게 되어 비거리를 향상시키게 된다. 즉, 헤드(10)가 탑스윙에서 다운스윙 및 임팩트까지 적정한 궤적을 그리게 될 때, 헤드(10)를 구성하는 케이스(20) 내부의 이동관(72)에 고정된 고정바(74)를 따라 임팩트 블록(74)이 자유롭게 이동하다가, 헤드(10)가 골프공을 임팩트할 때, 임팩트 블록(74)이 펙킹판(30)의 전면판(32) 후면을 동시에 때리게 됨에 따라 비거리를 향상시키게 된다.
10 : 헤드 12 : 튜브
20 : 케이스 30 : 펙킹판
32 : 전면판 34 : 바닥판
40 : 샤프트 50 : 관통공
52 : 소리발생관 52a,55a : 소리 떨림편
54 : 외부관 55 : 내부관
60 : 상부돌출부 61 : 수평끼움공
63 : 소리 떨림편 64 : 상부 떨림관
70 : 임팩트부재 72 : 이동관
72a : 공기유통공 74 : 고정바
74 : 임팩트 블록

Claims (8)

  1. 전면과 바닥면이 개구되고, 내부가 중공인 케이스(20)와, 상기 케이스(20)의 전면과 바닥면에 마감되는 전면판(32)과 바닥판(34)으로 이루어진 펙킹판(30)으로 구성된 헤드(10)와; 상기 헤드(10)의 튜브(12)에 삽입 고정되는 샤프트(40)로 구성된 골프 클럽에 있어서,
    상기 펙킹 판(30)의 전면판(32), 바닥판(34) 및 케이스(20) 사이를 관통하여 형성된 다수의 관통공(50); 및
    상기 관통공(50) 사이를 삽입 고정하여 공기가 통과하게 되고, 후방 영역에 소리 뜰림편(52a)이 구비되며, 내경을 테이퍼지게 형성한 소리발생관(52);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 궤적이 안정되고 비거리가 향상되는 골퍼 클럽.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펙킹판(30)의 전면판(32), 바닥판(34) 및 케이스(20) 사이의 관통공(50)에 외부관(54)을 각각 삽입 고정하고,
    상기 외부관(54) 내부에 소리 떨림편(55a)이 구비된 내부관(55)을 분리 가능하게 삽입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 궤적이 안정되고 비거리가 향상되는 골퍼 클럽.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관(55)은 내경을 테이퍼지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 궤적이 안정되고 비거리가 향상되는 골퍼 클럽.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10)의 케이스(20) 상부 영역에 수평끼움공(61)이 형성된 상부돌출부(60)를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상부돌출부(60)의 수평끼움공(61) 내부에 소리 떨림편(63)이 구비된 상부 떨림관(64)을 고정 또는 분리 가능하게 삽입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 궤적이 안정되고 비거리가 향상되는 골퍼 클럽.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떨림관(64)은 내경을 테이퍼지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 궤적이 안정되고 비거리가 향상되는 골퍼 클럽.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10)의 케이스(20) 내부에 골퍼의 스윙시 비거리를 늘리기 위한 비거리향상용 임팩트부재(70)를 구비하게 하되,
    상기 비거리향상용 임팩트부재(70)는
    상기 케이스(20) 내부의 상기 전면판(32)과 바닥판(34) 사이에 고정된 중공의 이동관(72);
    상기 이동관(72)의 중앙 영역에 고정된 고정바(74); 및
    상기 고정바(74)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임팩트시 전면판(32)의 후면을 때리기 위한 임팩트 블럭(74);
    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 궤적이 안정되고 비거리가 향상되는 골퍼 클럽.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관(72)이 고정되는 펙킹판(30)의 전면판(32)과 바닥판(34)에 공기유동공(72a)을 형성하여 스윙시 공기가 흐르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 궤적이 안정되고 비거리가 향상되는 골퍼 클럽.


KR2020100005057U 2010-05-14 2010-05-14 스윙 궤적이 안정되고 비거리가 향상되는 골퍼 클럽 KR20045118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5057U KR200451189Y1 (ko) 2010-05-14 2010-05-14 스윙 궤적이 안정되고 비거리가 향상되는 골퍼 클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5057U KR200451189Y1 (ko) 2010-05-14 2010-05-14 스윙 궤적이 안정되고 비거리가 향상되는 골퍼 클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1189Y1 true KR200451189Y1 (ko) 2010-12-01

Family

ID=44478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5057U KR200451189Y1 (ko) 2010-05-14 2010-05-14 스윙 궤적이 안정되고 비거리가 향상되는 골퍼 클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1189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78860A (ja) * 1999-12-27 2001-07-03 Sumitomo Rubber Ind Ltd ゴルフクラブ
KR100645254B1 (ko) 2006-06-19 2006-11-15 정지영 골프클럽
US20060281580A1 (en) 2005-06-10 2006-12-14 Kim Yeoung H Trajectory stability increased golf clubs with pluralities of hole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78860A (ja) * 1999-12-27 2001-07-03 Sumitomo Rubber Ind Ltd ゴルフクラブ
US20060281580A1 (en) 2005-06-10 2006-12-14 Kim Yeoung H Trajectory stability increased golf clubs with pluralities of holes
KR100645254B1 (ko) 2006-06-19 2006-11-15 정지영 골프클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048205B (zh) 高尔夫球杆杆头或其他击球装置的结构
JP5497200B2 (ja) 錘が内蔵されたトップ、インパクト、及びフィニッシュタイミング調節用ゴルフ練習バット
US6860817B2 (en) Golf club
US8070622B2 (en) Golf putter
WO2007103095A3 (en) Golf clubs and golf club heads having feel alering systems
US20090209364A1 (en) Extreme Weighted Hybrid and Other Wood-Type Golf Clubs and Golf Club Heads
KR101620521B1 (ko) 골프 퍼터
WO2011062733A1 (en) Golf club with a support bracket
JP5566023B2 (ja) ゴルフクラブ
GB2451323A (en) Golf club head with low centre of gravity
CA2637097A1 (en) Golf clubs and methods of manufacture
US7431659B2 (en) Golf club head
WO2008050074A1 (en) Golf club
KR20060128616A (ko) 표면에 생성 된 공기 구멍에 의하여 궤적 안정도가 증가된골프 클럽
KR200487187Y1 (ko) 직진성 개선 구조를 이루는 퍼터 헤드
US20060276263A1 (en) Golf club head
KR200451189Y1 (ko) 스윙 궤적이 안정되고 비거리가 향상되는 골퍼 클럽
US20080102979A1 (en) Golf Putter
KR200461567Y1 (ko) 중량추가 내장된 임팩트타이밍 조절용 골프연습배트
KR200429067Y1 (ko) 골프클럽 아이언 헤드
JP4922543B2 (ja) ゴルフクラブ
KR101649887B1 (ko) 골프용 임팩트 측정기
JP2022103788A (ja) ウッド型ゴルフクラブ
KR200429070Y1 (ko) 골프클럽 헤드
JP2011152427A (ja) ゴルフクラブを使用するための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4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