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0487Y1 - 전화기의 각도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전화기의 각도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0487Y1
KR200450487Y1 KR2020080008489U KR20080008489U KR200450487Y1 KR 200450487 Y1 KR200450487 Y1 KR 200450487Y1 KR 2020080008489 U KR2020080008489 U KR 2020080008489U KR 20080008489 U KR20080008489 U KR 20080008489U KR 200450487 Y1 KR200450487 Y1 KR 20045048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groove
telephone
mounting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84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0065U (ko
Inventor
최광호
김준호
오충호
Original Assignee
(주)드림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드림텍 filed Critical (주)드림텍
Priority to KR20200800084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0487Y1/ko
Publication of KR2010000006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006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04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048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11Supports for sets, e.g. incorporating armre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전화기의 각도조절장치에 대한 고안이 개시된다. 개시된 전화기의 각도조절장치는: 전화기의 전면에 설치되어 화면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설치된 면과 반대되는 상기 전화기의 후면에 돌출 형성된 장착부와, 상기 장착부에 힌지 연결되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설치된 방향 또는 그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경사 각도를 조절하는 회전지지부 및 상기 회전지지부가 회전되는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디스플레이부, 장착부, 회전지지부, 각도조절부,

Description

전화기의 각도조절장치{ANGULAR REGULATION DEVICE OF TELEPHONE}
본 고안은 전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화기에 구비되어 각종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의 시야 각도를 확보하기 위하여 전화기의 각도를 조절하는 전화기의 각도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화기는 전화기 본체와, 전화기 본체에 연결되는 송수화기를 포함하게 된다.
전화기 본체에는 사용자가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한 키패드부와 키패드부를 통하여 입력된 전화번호 및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평면화면상에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된다.
디스플레이부는 시야각 확보를 위하여 전화기의 전면에서 기울어진 상태로 설치가 이루어진다.
전술한 고안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배경기술을 의미하며, 종래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종래의 전화기는 디스플레이부가 소정 각도 경사진 상태에서 고정된 것에 의하여 전화기가 책상 등의 평면에 설치되거나 벽면에 설치될 때 사용자가 전화기의 디스플레이를 볼 수 있는 각도가 변하는 것에 의하여 디스플레이에 출력된 정보를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전화기가 벽면에 걸려서 사용되거나 평면에 놓여져서 사용될 때, 디스플레이부의 각도를 조절하지 못하는 것에 의하여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에 나타난 화상정보를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전화기의 각도조절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전화기의 각도조절장치는: 전화기의 전면에 설치되어 화면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와, 디스플레이부가 설치된 면과 반대되는 전화기의 후면에 돌출 형성된 장착부와, 장착부에 힌지 연결되어서 디스플레이부가 설치된 방향 또는 그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어 디스플레이부의 경사 각도를 조절하는 회전지지부 및 회전지지부가 회전되는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부를 포함하게 된다.
또한 장착부는 전화기의 후면 양측에 돌출 형성된 제1장착편과 제2장착편을 포함하고, 회전지지부는 제1장착편에 힌지연결된 제1연결편과 제2장착편에 힌지연결된 제2연결편 및 제1연결편과 제2연결편을 연결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장착편에는 힌지홈이 형성되며, 힌지홈에 삽입되는 힌지축이 제1연결편에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장착편과 제2연결편에는 연통된 체결홀이 구비되어 체결볼트에 의해 체결됨으로 제2장착편에 제2연결편이 힌지 연결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지지부재의 일측면은 벽걸이용 걸이홈이 형성되며 지지부재의 타측면은 전화기가 설치되는 지지면과 접하기 위한 지지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도조절부는 장착부 또는 회전지지부에 돌출 형성된 고정돌기와, 고정돌기가 삽입되어 회전지지부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장착부 또는 회전지지부에 홈이 형성된 고정홈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고정홈부는 회전지지부가 디스플레이부의 설치 방향으로 회전된 상태에서 고정돌기가 삽입되기 위한 제1지지홈과, 제1지지홈에서 원주방향으로 이격되어 회전지지부가 디스플레이부의 설치 반대 방향으로 회전된 상태에서 고정돌기가 삽입되기 위한 제2지지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화기는 화상정보를 받는 제2안테나와 제2안테나를 통하여 들어온 화상정보를 디스플레이부로 출력하는 화상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전화기의 각도조절장치는 종래 고안과 달리 전화기의 후면에 힌지 연결된 회전지지부를 회전시켜 전화기 본체의 설치각도 변화를 주는 것에 의하여 디스플레이부의 경사각도를 평면타입과 벽면타입으로 각각 조절할 수 있게 됨으로 전화기 전면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의 시야 각도를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전화기의 각도조절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디스플레이부가 전면에 경사지게 설치된 전화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화기의 각도조절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화기의 저면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전화기의 우측면도이며,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전화기의 좌측면도이며, 도 5는 도 2에 도시된 회전지지부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전화기의 각도조절장치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2는 도 1에 도시된 전화기가 무선을 통하여 음성전화를 하는 것과 화상신호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부에 화상을 출력하는 것을 보이는 블럭도이다.
도 1 내지 도 6 및 도 12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전화기의 각도조절장치는, 전화기의 전면(5)에 설치되어 화면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1)가 구비된다.
디스플레이부(1)의 후측에 구비된 경사부재(3)에 의하여 디스플레이부(1)는 일정 각도 경사진 상태로 고정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전화기의 전면(5)에는 숫자 또는 문자 등을 입력할 수 있는 키패드부(7)가 구비된다.
디스플레이부(1)가 설치된 면과 반대되는 전화기의 후면(13)에는 장착부(20)가 돌출 형성된다.
장착부(20)는 전화기의 후면(13) 양측에 돌출 형성된 제1장착편(30)과 제2장착편(4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양측에 구비된 제1장착편(30)과 제2장착편(40)에 의하여 회전지지부(50)가 힌지 연결됨으로 일측만 힌지 연결된 구조보다 안정적인 연결구조를 갖게 된다.
장착부(20)에 힌지 연결되어서 디스플레이부(1)가 설치된 방향 또는 그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어 디스플레이부(1)의 경사 각도를 조절하는 회전지지부(50)가 구비된다.
회전지지부(50)가 디스플레이부(1)가 설치된 방향으로 회전됨은 회전지지부(1)가 힌지 연결된 장착부(20)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전화기의 후면에서 디스플레이부(1)가 반대편에 설치된 방향(도3 기준 우측)으로 회전하는 것을 지칭한다.
그리고, 회전지지부(50)가 디스플레이부(1)가 설치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됨은 회전지지부(1)가 힌지 연결된 장착부(20)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전화기의 후면에 서 디스플레이부(1)가 반대편에 설치되지 않은 방향(도3 기준 좌측)으로 회전하는 것을 지칭한다.
회전지지부(50)는 제1장착편(30)에 힌지연결된 제1연결편(52)과 제2장착편(40)에 힌지연결된 제2연결편(60) 및 제1연결편(52)과 제2연결편(60)을 연결하는 지지부재(76)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전지지부(50)는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서 힌지 연결된 제1장착편(30)과 제2장착편(40)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에 의하여 전화기의 후면(13)에서 상측(도2 기준 우측)으로 회전하거나 하측(도2 기준 좌측)으로 회전하여 전화기의 본체가 기울어진 각도를 조절하게 된다.
제1장착편(30)에 제1연결편(52)이 힌지 연결되고 제2장착편(40)에 제2연결편(60)이 힌지 연결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방식의 연결방법이 적용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는 제1장착편(30)에는 힌지홈(32)이 형성되며, 힌지홈(32)에 삽입되는 힌지축(56)이 제1연결편(52)에 구비되고, 제2장착편(40)과 제2연결편(60)에는 연통된 체결홀(62,63)이 구비되어 체결볼트(72)에 의해 체결됨으로 제2장착편(40)에 제2연결편(60)이 힌지 연결된다.
이로 인하여, 제1연결편(52)의 힌지축(56)이 제1장착편(30)의 힌지홈(32)에 삽입되어 고정된 이후에 체결볼트(72)가 제2연결편(60)의 체결홀(62)을 통해 제2장착편(40)의 체결홀(63)에 체결되는 것에 의하여 제2연결편(60)이 제2장착편(40)에 힌지 연결된다.
따라서, 한번의 체결작업 만으로 회전지지부(50)는 장착부(20)에 힌지 연결 되는 것에 의하여 작업공정이 감소된다.
장착부(20)에 힌지 연결되어 회전됨으로 디스플레이부(1)의 각도를 변화시키는 회전지지부(50)는 각도조절부(70)에 의하여 회전되는 각도가 조절된다.
이러한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구조가 각도조절부(70)로 사용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각도조절부(70)는 장착부(20) 또는 회전지지부(50)에 돌출 형성된 고정돌기(54,61)와, 고정돌기(54,61)가 삽입되어 회전지지부(50)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장착부(20) 또는 회전지지부(50)에 홈이 형성된 고정홈부(39,69)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1장착편(30)과 제1연결편(52)이 접하여 힌지 연결되고 제2장착편(40)과 제2연결편(60)이 접하여 힌지 연결된 상태에서, 제1장착편(30) 또는 제1연결편(52)의 일측면에 고정돌기(54)가 돌출 형성되고 이와 마주하는 타측면에 고정홈부(39)가 형성되며, 제2장착편(40) 또는 제2연결편(60)의 일측면에 고정돌기(61)가 돌출 형성되고 이와 마주하는 타측면에 고정홈부(69)가 형성된다.
고정홈부(39,69)에 형성된 홈의 위치와 각도에 의하여 회전지지부(50)가 정지된 상태가 정해진다.
또한 고정홈부(39,69)는 회전지지부(50)가 디스플레이부(1)의 설치 방향으로 회전된 상태에서 고정돌기(54,61)가 삽입되기 위한 제1지지홈(34,64)과, 제1지지홈(34,64)에서 원주방향으로 이격되어 회전지지부(50)가 디스플레이부(1)의 설치 반대 방향으로 회전된 상태에서 고정돌기(54,61)가 삽입되기 위한 제2지지홈(36,66)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는 제1장착편(30)에 제1지지홈(34)과 제2지지홈(36)이 형성되며, 제1지지홈(34)과 제2지지홈(36) 사이에 제3지지홈(38)이 형성되어 고정홈부(39)를 구성하게 된다.
그리고, 제1연결편(52)에는 고정홈부(39)에 삽입되기 위한 고정돌기(54)가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제2연결편(60)에는 제1지지홈(64)과 제2지지홈(66)이 형성되며, 제1지지홈(64)과 제2지지홈(66) 사이에 제3지지홈(68)이 형성되어 고정홈부(69)를 구성하게 된다.
그리고, 제2장착편(40)에는 고정홈부(39)에 삽입되기 위한 고정돌기(61)가 돌출 형성된다.
장착부(20)에 형성된 제1지지홈(34,64)과 제2지지홈(36,66) 및 제3지지홈(38,68)의 위치는 회전지지부(50)가 회전되어 정지동작을 갖기 위한 위치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상기와 같은 기술사상 안에서 고정돌기가 삽입되기 위한 지지홈은 다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는 것과 함께 지지홈 개수의 증감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지지부재(76)의 일측면(도 5기준 상측)은 삽입공(77)과 안내공(78)을 포함하는 벽걸이용 걸이홈(79)이 형성되며 지지부재(76)의 타측면(도 5기준 하측)은 전화기가 설치되는 지지면과 접하기 위한 지지돌기(74)가 돌출 형성되며, 지지돌기(74)는 고무 등의 재질로 만들어 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삽입공(77)은 원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벽면(95)에 구비된 못 등이 삽입되는 공간이 되며, 삽입공(77)과 연통된 안내공(78)은 일직선 형상으로 이루어져서 삽입공(77)을 통하여 삽입된 못의 머리가 걸리게 된다.
벽걸이용 걸이홈(79)은 회전지지부(50)가 디스플레부가 설치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때, 회전지지부(50)에 구비된 삽입공(77)이 하측을 향하고 삽입공(77)과 연통된 안내공(78)이 상측을 향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전화기의 후면(13) 상측에 구비된 장착홈(92)도 벽걸이용 걸이홈(79)과 동일 형상으로 이루어져서 삽입공(77)이 하측을 향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전화기가 벽면(95)에 설치될 때, 못이 벽면(95)에 상하로 박혀있으며, 장착홈(92)과 벽걸이용 걸이홈(79)의 삽입공(77)으로 못이 삽입되어 안내공(78)을 따라 상측으로 이동되어 못의 머리가 걸리는 것에 의하여 전화기가 벽면(95)에 고정된다.
본 고안에 의한 전화기는 유선 전화기를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무선 전화기 또는 유무선 복합 전화기를 사용할 수 있다.
무선 전화기로 사용되는 경우 도 1과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성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제1안테나(9)가 전화기 본체에 결합되며, 이 외에도 화상정보를 무선으로 수신하기 위한 제2안테나(11)도 전화기 본체에 결합된다.
제2안테나(11)로 들어온 화상정보는 전화기 내에 구비된 화상제어부(80)를 통하여 신호가 변환된 후에 디스플레이부(1)를 통하여 영상정보를 출력한다.
그리고, 무선으로 전화기를 사용하는 경우, 음성통화나 화상통화 관련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1안테나(9)를 통한 신호는 제어부(82)를 통해 디스플레이부(1)에 관련 정보가 출력된다.
제어부(82)는 송수화기(84)와 연결되어 음성신호를 내보내거나 받아들이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전화기의 각도조절장치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전화기가 벽면에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우측면도이며,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전화기가 벽면에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좌측면도이며, 도 9는 도 6에 도시된 전화기에서 회전지지부가 디스플레이부 방향으로 회전된 상태에서 평면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우측면도이며, 도 10은 도 6에 도시된 전화기에서 회전지지부가 디스플레이부 방향으로 회전된 상태에서 평면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좌측면도이며,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전화기에서 회전지지부의 경사각도가 조절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화기가 벽면(95)에 설치될 경우, 회전지지부(50)를 디스플레이부(1)가 없는 전화기 하측(도 7기준)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며, 고정돌기(54,61)가 제2지지홈(36,66)에 삽입되는 것에 의하여 회전지지부(50)의 측면이 벽면(95)에 접한 상태로 고정된다.
회전지지부(50)에 구비된 벽걸이용 걸이홈(79)과 전화기 후면(13)에 구비된 장착홈(92)으로 못 등의 걸이용 고리가 삽입되는 것에 의하여 전화기 본체가 벽면(95)에 고정된다.
이로 인하여, 전화기 전면(5)에서 돌출되어 경사지게 설치된 디스플레이 부(1)가 하측을 향하지 않고 사용자의 전면을 향하게 됨으로 디스플레이부(1)의 시인성이 보다 향상된다.
도 9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화기가 책상 등의 평면(97)에 설치될 경우, 회전지지부(50)를 디스플레이가 설치된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하여 회전지지부(50)의 지지돌기(74)와 전화기의 완충돌기(90)가 평면(97)에 접하여 설치된다.
이때, 고정돌기(54,61)는 제2지지홈(36,66)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에 의하여 회전지지부(50)는 디스플레이부(1)와 평면(97)이 이루는 각도를 더 크게 하여 디스플레이부(1)의 시인성을 향상시킨다.
평면(97)에 설치된 전화기의 각도를 조절할 필요가 있을 경우, 고정돌기(54,61)가 제1지지홈(34,64)에 인접하게 형성된 제3지지홈(38,68)에 삽입되도록 하여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화기의 설치각도를 변화시키는 것에 의하여 디스플레이부(1)의 설치각도도 변화된다.
본 고안에 의한 전화기의 각도조절장치는 회전지지부(50)가 일측 또는 타측으로 회전되어 전화기 본체의 각도를 조절하는 것에 의하여 디스플레이부(1)의 각도 역시 조절되어 디스플레이부(1)의 시인성이 향상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화가 가능할 것이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화기의 각도조절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화기의 저면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전화기의 우측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전화기의 좌측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회전지지부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전화기의 각도조절장치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전화기가 벽면에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우측면도이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전화기가 벽면에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좌측면도이다.
도 9는 도 6에 도시된 전화기에서 회전지지부가 디스플레이부 방향으로 회전된 상태에서 평면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우측면도이다.
도 10은 도 6에 도시된 전화기에서 회전지지부가 디스플레이부 방향으로 회전된 상태에서 평면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좌측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전화기에서 회전지지부의 경사각도가 조절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1에 도시된 전화기가 무선을 통하여 음성전화를 하는 것과 화상신호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부에 화상을 출력하는 것을 보이는 블럭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디스플레이부 3: 경사부재
9: 제1안테나 11: 제2안테나
13: 후면 20: 장착부
30: 제1장착편 32: 힌지홈
34: 제1지지홈 36: 제2지지홈
38: 제3지지홈 39: 고정홈부
40: 제2장착편 50: 회전지지부
52: 제1연결편 54: 고정돌기
56: 힌지축 60: 제2연결편
61: 고정돌기 62,63: 체결홀
64: 제1지지홈 66: 제2지지홈
68: 제3지지홈 69: 고정홈부
70: 각도조절부 79: 벽걸이용 걸이홈

Claims (8)

  1. 전화기의 전면에 설치되어 화면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설치된 면과 반대되는 상기 전화기의 후면에 돌출 형성된 장착부;
    상기 장착부에 힌지 연결되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설치된 방향 또는 그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경사 각도를 조절하는 회전지지부; 및
    상기 회전지지부가 회전되는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부
    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부는 상기 전화기의 후면 양측에 돌출 형성된 제1장착편과 제2장착편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지지부는 상기 제1장착편에 힌지연결된 제1연결편과 상기 제2장착편에 힌지연결된 제2연결편 및 상기 제1연결편과 상기 제2연결편을 연결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의 각도조절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장착편에는 힌지홈이 형성되며, 상기 힌지홈에 삽입되는 힌지축이 상기 제1연결편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의 각도조절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장착편과 제2연결편에는 연통된 체결홀이 구비되어 체결볼트에 의해 체결됨으로 상기 제2장착편에 상기 제2연결편이 힌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의 각도조절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의 일측면은 벽걸이용 걸이홈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재의 타측면은 전화기가 설치되는 지지면과 접하기 위한 지지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의 각도조절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부는 상기 장착부 또는 상기 회전지지부에 돌출 형성된 고정돌기와, 상기 고정돌기가 삽입되어 상기 회전지지부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장착부 또는 상기 회전지지부에 홈이 형성된 고정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 로 하는 전화기의 각도조절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홈부는 상기 회전지지부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설치 방향으로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돌기가 삽입되기 위한 제1지지홈과,
    상기 제1지지홈에서 원주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회전지지부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설치 반대 방향으로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돌기가 삽입되기 위한 제2지지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의 각도조절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기는 화상정보를 받는 제2안테나와 상기 제2안테나를 통하여 들어온 화상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출력하는 화상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의 각도조절장치.
KR2020080008489U 2008-06-25 2008-06-25 전화기의 각도조절장치 KR20045048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8489U KR200450487Y1 (ko) 2008-06-25 2008-06-25 전화기의 각도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8489U KR200450487Y1 (ko) 2008-06-25 2008-06-25 전화기의 각도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0065U KR20100000065U (ko) 2010-01-06
KR200450487Y1 true KR200450487Y1 (ko) 2010-10-06

Family

ID=441940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8489U KR200450487Y1 (ko) 2008-06-25 2008-06-25 전화기의 각도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0487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07012A (en) 1995-07-31 1998-09-15 Motorola, Inc. Coupling apparatus
KR200178552Y1 (ko) * 1999-11-08 2000-04-15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전화기의 높낮이 조절가능한 데스크와 벽걸이 겸용 웨지구조
KR20010078552A (ko) * 2000-02-09 2001-08-21 윤종용 교환기에서 기지국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JP2007278497A (ja) 2006-04-05 2007-10-25 Nec Infrontia Corp 電子機器の角度調節脚機構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07012A (en) 1995-07-31 1998-09-15 Motorola, Inc. Coupling apparatus
KR200178552Y1 (ko) * 1999-11-08 2000-04-15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전화기의 높낮이 조절가능한 데스크와 벽걸이 겸용 웨지구조
KR20010078552A (ko) * 2000-02-09 2001-08-21 윤종용 교환기에서 기지국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JP2007278497A (ja) 2006-04-05 2007-10-25 Nec Infrontia Corp 電子機器の角度調節脚機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0065U (ko) 2010-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562179Y2 (ja) 携帯電話用スタンド
EP1868357B1 (en) Mobile terminal having speaker control and method of use
US20030222853A1 (en) Rotary-keypad for a mobile handset
EP1267576A3 (en) Portable phone with camera
US20070151078A1 (en) Portable terminal with hinge apparatus
KR200450487Y1 (ko) 전화기의 각도조절장치
KR100827095B1 (ko) 거치대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CN218671275U (zh) 一种中轴可调的支架
US9785189B2 (e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KR200449677Y1 (ko) 각도조절형 전화기
KR20050117203A (ko)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CN203206299U (zh) 电话机
KR101537576B1 (ko) 휴대형 전자기기용 거치대
JP6926612B2 (ja) 電子機器の支持機構
KR100528548B1 (ko) 수평 회전이 가능한 표시 장치를 갖춘 폴더형 휴대폰
KR100628151B1 (ko) 이동통신 단말기
CN215173724U (zh) 一种可收纳的摇杆装置及具有其的稳定器
CA2436268A1 (en) Vibration motor boot for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KR200330441Y1 (ko) 이동통신 중계기 및 패치 안테나의 틸트 유니트
USD1020725S1 (en) Supporting device for installing screen protectors on mobile telephones
CN212479662U (zh) 一种新型便携式风扇
KR20110131779A (ko) 모바일 단말기용 오토틸트형 스탠드
JP3050272U (ja) 携帯電話機用アンテナ
KR20110139828A (ko) 휴대단말기용 틸트 업 모듈
KR20060073085A (ko) 캠 구조의 지지대를 이용하여 각도조절이 가능한이동통신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