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0124Y1 - Tube Earphone - Google Patents

Tube Earpho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0124Y1
KR200450124Y1 KR2020090013766U KR20090013766U KR200450124Y1 KR 200450124 Y1 KR200450124 Y1 KR 200450124Y1 KR 2020090013766 U KR2020090013766 U KR 2020090013766U KR 20090013766 U KR20090013766 U KR 20090013766U KR 200450124 Y1 KR200450124 Y1 KR 2004501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aker
tubular
sound wave
transmission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3766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수경
양희종
Original Assignee
이수경
양희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수경, 양희종 filed Critical 이수경
Priority to KR20200900137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0124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01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0124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16Earpieces of the intra-aural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41Mechanical or electronic switches, or control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Earpiece supports, e.g. ear hoo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3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 H04R1/34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by using a single transducer with sound reflecting, diffracting, directing or guiding means
    • H04R1/345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by using a single transducer with sound reflecting, diffracting, directing or guiding means for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covered by H04R1/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10Details of 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earphones or monophonic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105Manufacture of mono- or stereophonic headphone compon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covered by H04R1/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10Details of 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earphones or monophonic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107Monophonic and stereophonic headphones with microphone for two-way hands free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각종 전자장치와 유무선으로 연결되어 음성 신호를 출력하되, 스피커 내장부의 사출물 내외부에 공명 방지 홀(hole)을 형성하여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음파가 울림없이 튜브형 음파 가이드부를 통해 사용자의 귀로 전달되도록 하고, 튜브형 음파 가이드부의 부드러운 소재가 귀에 걸치도록 되어 하중이 저감됨으로써, 사용자의 귀에 삽입되는 청취부가 귀에 통증을 주지않고 빠지지 않도록 안정되게 사용하면서 고음질의 음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튜브형 이어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일면에 따른 튜브형 이어폰은, 전자장치로부터 음성 신호를 수신하는 송수신 제어부, 전선 케이블을 통해 상기 송수신 제어부와 연결된 스피커를 내장하고, 상기 음성 신호에 따라 상기 스피커로부터 출력되는 음파를 돌기부의 관통홀로 유도하는 스피커 내장부, 및 상기 돌기부에 삽입되는 일정 길이의 튜브를 포함하고, 상기 튜브 내의 공간을 통해 상기 스피커로부터 출력되는 음파를 끝단의 청취부로 전달하는 튜브형 음파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청취부의 관통홀로 전달되는 음파를 통해 상기 전자장치에서 발생하는 음성 신호를 청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a variety of electronic devices and wired or wireless to output a voice signal, forming a resonance prevention hole (hole) inside and outside the injection molded part of the speaker so that the sound waves output from the speaker is transmitted to the user's ear through the tubular sound wave guide without ringing In addition, the soft material of the tubular sound wave guide portion is placed on the ear, the load is reduced, and relates to a tube-type earphone that can output a high-quality sound signal while using a stable so that the listening portion inserted into the user's ear does not fall out without causing pain in the ear. . Tube-type earphon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control unit for receiving a voice signal from an electronic device, a speaker connected to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control unit via a wire cable, and penetrates the sound wave output from the speaker in accordance with the voice signal And a tube-type sound wave guide unit for transmitting a sound wave output from the speaker to a listening end of the speaker through a speaker internal portion leading to the hole, and a tube of a predetermined length inserted into the protrusion par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for listening to the voice signal generated by the electronic device through the sound wave transmitted to the through-hole.

스피커, 튜브, 이어폰, 공명, 스피커 내장부, 송수신 제어부 Speaker, Tube, Earphone, Resonance

Description

튜브형 이어폰{Tube Earphone}Tube Earphones {Tube Earphone}

본 고안은 이어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가정내의 AV(Audio/Video) 시스템뿐만 아니라, 휴대용의 MP3 재생기,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무전기 등 각종 전자장치와 유무선으로 연결되어 음성 신호를 출력하되, 스피커 내장부의 사출물 내외부에 공명 방지 홀(hole)을 형성하여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음파가 울림없이 튜브형 음파 가이드부를 통해 사용자의 귀로 전달되도록 하고, 튜브형 음파 가이드부의 부드러운 소재가 귀에 걸치도록 되어 하중이 저감됨으로써, 사용자의 귀에 삽입되는 청취부가 귀에 통증을 주지않고 빠지지 않도록 안정되게 사용하면서 고음질의 음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튜브형 이어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earphones, in particular, not only AV (Audio / Video) system in the home that outputs a voice signal, but also portable MP3 player, mobile phone,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radio, etc. Connected with various electronic devices and wired or wireless to output a voice signal, by forming a resonance prevention hole (hole) inside and outside the injection molded part of the speaker so that the sound waves output from the speaker is transmitted to the user's ear through the tubular sound wave guide without ringing, tubular Since the soft material of the sound wave guide portion is placed on the ear and the load is reduced, it relates to a tubular earphone capable of outputting a high quality voice signal while being used stably so that the listening portion inserted into the user's ear does not fall out without causing pain to the ear.

일반적인 이어폰은 가정내의 AV 시스템 또는 휴대용의 MP3 재생기, 휴대폰, PDA, PMP, 무전기 등 각종 전자장치의 음성 신호 출력을 위한 이어폰 잭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귀까지 연결되는 전선 케이블을 통해 음성 신호를 전달하고 귀에 삽입되는 작은 스피커를 통해 음성 신호를 출력한다.General earphones are connected to earphone jacks for outputting audio signals from various electronic devices such as AV systems in homes or portable MP3 players, mobile phones, PDAs, PMPs, walkie-talkies, and the like. The voice signal is output through a small speaker inserted into the ear.

이와 같은 일반적인 이어폰의 사용은 스피커로부터의 음파가 직접 귀속으로 전달되면서 귀에 피로감을 주며 심할 경우에는 이명 현상을 유발시키기도 한다. 또한, 일반적인 이어폰의 스피커 부분이 귀에 삽입되면서 그 무게나 딱딱한 재질로 인하여, 많은 사용자가 귀에 통증을 호소하기도 한다. In general, the use of such earphones causes the sound waves from the speaker to be directly transferred to the ear, causing ear fatigue, and in some cases, tinnitus. In addition, the speaker portion of a typical earphone is inserted into the ear, due to its weight or hard material, many users complain of pain in the ear.

이외에도, 일반적인 이어폰을 사용하면서 운동이나 기타 경호 또는 수사 업무 등 운동량이 많은 업무를 수행하는 경우에는 위와 같은 문제점이 더욱 더 심해지며, 특히 움직임이 많을 때에 이어폰의 스피커 부분이 쉽게 빠질 염려가 있으며 심한 경우에는 연결잭이 전자장치에서 빠져 나와 사용자의 불편을 초래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In addition, the above problems are more severe when using general earphones and performing a large amount of exercise such as exercise or other escort or investigation work, especially when there is a lot of movement, the speaker part of the earphone may easily fall out, and in severe cases In many cases, the connection jack is pulled out of the electronic device to cause inconvenience to the user.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사용자의 귀에 피로감을 줄이고 고음질의 음성 신호를 출력하기 위하여, 스피커의 음파가 튜브형 음파 가이드부를 통해 사용자의 귀로 전달되도록 하고, 스피커 내장부의 사출물 내외부에 공명 방지 홀(hole)을 형성하여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음파가 울림없이 전달될 수 있는 튜브형 이어폰을 제공하는 데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reduce the fatigue of the user's ear and output a high-quality voice signal, so that the sound wave of the speaker is transmitted to the user's ear through the tubular sound wave guide portion To provide a tube-type earphone that can be transmitted without sound ring sound wave output from the speaker by forming a resonance prevention hole (hole) inside and outside the injection molded part of the speaker.

그리고, 튜브형 음파 가이드부의 부드러운 소재가 사용자의 귀에 걸치도록 되어 하중이 저감됨으로써, 사용자의 귀에 삽입되는 청취부가 귀에 통증을 주지않고 빠지지 않도록 안정되게 사용할 수 있는 튜브형 이어폰을 제공하는 데 있다.In addition, the soft material of the tubular sound wave guide portion to the user's ear to reduce the load, to provide a tubular earphone that can be used stably so that the listening portion inserted into the user's ear does not fall out without pain to the ear.

먼저, 본 고안의 특징을 요약하면, 본 고안의 일면에 따른 튜브형 이어폰은, 전자장치로부터 음성 신호를 수신하는 송수신 제어부; 전선 케이블을 통해 상기 송수신 제어부와 연결된 스피커를 내장하고, 상기 음성 신호에 따라 상기 스피커로부터 출력되는 음파를 돌기부의 관통홀로 유도하는 스피커 내장부; 및 상기 돌기부에 삽입되는 일정 길이의 튜브를 포함하고, 상기 튜브 내의 공간을 통해 상기 스피커로부터 출력되는 음파를 끝단의 청취부로 전달하는 튜브형 음파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청취부의 관통홀로 전달되는 음파를 통해 상기 전자장치에서 발생하는 음성 신호를 청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irst, to summarize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 tubular earphon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control unit for receiving a voice signal from the electronic device; A speaker built-in unit configured to include a speaker connected to the transmission / reception control unit through a wire cable, and guide the sound wave output from the speaker to the through hole of the protrusion according to the voice signal; And a tub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inserted into the protrusion, and including a tube-type sound wave guide unit for transmitting the sound wave output from the speaker to the listening unit at the end through the space in the tube, and through the sound wave delivered to the through hole of the listening unit. And listen to a voice signal generated by the electronic device.

상기 청취부는 상기 튜브에 삽입되는 형태를 포함한다.The listening unit includes a form inserted into the tube.

상기 청취부는 관통홀 끝 주변에 고정되어 있고, 사용자의 귀에 삽입시 귀 구멍 주변에 밀착되도록 플렉서블 소재로 이루어진 날개를 포함한다.The listening unit is fixed around the end of the through-hole, and includes a wing made of a flexible material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periphery of the ear when inserted into the user's ear.

상기 날개는 귀로 삽입되는 방향이 반대쪽보다 좁게 접힌 형태 또는 귀로 삽입되는 방향이 반대쪽보다 넓게 펴진 형태를 포함한다.The wing includes a form in which the direction of insertion into the ear is narrower than the opposite side or a form in which the direction of insertion into the ear is wider than the opposite side.

상기 송수신 제어부는 연결잭에 연결된 전선 케이블을 통해 상기 음성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control unit may receive the voice signal through a wire cable connected to a connection jack.

상기 송수신 제어부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를 통해 상기 음성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control unit may receive the voice signal through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상기 송수신 제어부는 사용자의 음성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전자장치로 송신하기 위한 마이크로폰을 포함한다.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control unit includes a microphone for converting a user's voice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transmitting the same to the electronic device.

상기 송수신 제어부는 상기 스피커의 음량을 조절하기 위한 음량 조절 수단을 포함한다.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control unit includes a volume control means for adjusting the volume of the speaker.

상기 스피커 내장부는 상기 스피커를 내장하는 사출물 외부로 상기 돌기부가 돌출되는 형태이고, 상기 사출물에 공명 방지를 위한 복수의 홀들이 형성된다.The speaker built-in part has a form in which the protrusion is protruded out of the injection molded product that houses the speaker, and a plurality of holes are formed in the injection molded product to prevent resonance.

상기 사출물 내에서 상기 스피커는 하부 덮개와 상부 덮개로 둘러싸이며, 상기 상부 덮개의 홀을 통하여 상기 음파가 상기 돌기부의 관통홀로 전달된다.In the injection molding, the speaker is surrounded by a lower cover and an upper cover, and the sound wave is transmitted to the through hole of the protrusion through the hole of the upper cover.

상기 하부 덮개에는 공명 방지를 위한 복수의 홀들이 형성된다.The lower cover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holes for preventing resonance.

상기 상부 덮개의 내면에는 음파 전달을 보조하는 금속재가 코팅된다.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cover is coated with a metal material to assist the sound wave transmission.

상기 튜브형 음파 가이드부의 상기 튜브는 상기 청취부로부터 일정 길이가 사용자의 귀에 걸치도록 구부러진 부분을 갖는다.The tube of the tubular sound wave guide portion has a portion bent from the listening portion so that a predetermined length is over a user's ear.

상기 튜브형 음파 가이드부의 상기 튜브는 고분자 합성수지, 또는 고분자 합성수지에 은나노 또는 향 원료가 첨가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tube of the tubular sound wave guide part may be made of a polymer synthetic resin, or a material in which silver nano or fragrance raw material is added to the polymer synthetic resin.

상기 음성 신호는 스테레오를 위한 두개의 음성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스피커 내장부는 상기 두개의 음성 신호를 전달하는 각각의 전선 케이블에 연결되는 두개의 스피커를 포함하며, 상기 튜브형 음파 가이드부는 상기 두개의 스피커 각각에 대응된 돌기부에 각각 삽입되는 튜브를 통해 좌우 각각의 청취부로 음파를 전달할 수 있다.The voice signal includes two voice signals for stereo, the speaker built-in part includes two speakers connected to respective wire cables carrying the two voice signals, and the tubular sound wave guide part includes the two speakers. Sound waves may be transmitted to the left and right listening units through the tubes respectively inserted into the corresponding protrusions.

상기 송수신 제어부는 상기 두개의 스피커의 출력 방향과 음량을 조절하기 위한 방향 조절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방향 조절 수단의 좌우 조절에 따라 한쪽 스피커의 음량은 커지고 다른쪽 스피커의 음량은 작아지도록 동작한다.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control unit includes a direction adjusting means for adjusting the output direction and the volume of the two speakers, the volume of one speaker increases and the volume of the other speaker is reduced according to the left and right adjustment of the direction adjusting means.

상기 스피커 내장부는 상기 두개의 스피커를 내장하는 사출물 외부로 각 스피커로부터의 음파를 전달하는 각각의 돌기부가 돌출되는 형태이고, 상기 사출물에 공명 방지를 위한 복수의 홀들이 형성된다.The speaker built-in part has a form in which each projection for transmitting sound waves from each speaker to the outside of the injection molding containing the two speakers is formed, a plurality of holes for preventing resonance is formed in the injection molding.

상기 사출물 내에서 상기 두개의 스피커가 각각 하부 덮개와 상부 덮개로 둘러싸이며, 상기 상부 덮개의 홀을 통하여 상기 음파가 해당 돌기부의 관통홀로 전달될 수 있다.The two speakers may be respectively surrounded by a lower cover and an upper cover in the injection molding, and the sound waves may be transmitted to the through holes of the corresponding protrusions through the holes of the upper cover.

상기 사출물 내의 음성 간섭 차단벽을 사이에 두고 상기 두개의 스피커가 서로 다른 내부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The two speakers may be disposed in different interior spaces with the voice interference blocking wall in the injection molding interposed therebetween.

상기 두개의 스피커에 각각 연결되는 전선 케이블이 상기 음성 간섭 차단벽으로 나누어진 어느 한 공간으로 모아져 상기 사출물의 측면 관통홀을 통해 나와 상기 송수신 제어부로 연결될 수 있다.Wire cables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two speakers may be collected into one space divided by the voice interference blocking wall, and may be connected to the transmission / reception control unit through a side through hole of the injection molded product.

본 고안에 따른 튜브형 이어폰에 따르면, 스피커 내장부의 사출물 내외부에 형성된 공명 방지 홀(hole)에 의하여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음파가 튜브형 음파 가이드부를 통해 울림없이 사용자의 귀로 전달되어, 사용자의 귀에 피로감을 줄일 수 있고, 고음질의 음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tubular ear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ound wave output from the speaker is transmitted to the user's ear without ringing through the tubular sound wave guide portion by a resonance prevention hole formed in the inside and outside the injection molded part of the speaker, reducing fatigue in the user's ear And a high quality audio signal can be output.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튜브형 이어폰에 따르면, 튜브형 음파 가이드부의 부드러운 소재가 사용자의 귀에 걸치도록 되어 하중이 저감됨으로써, 사용자의 귀에 삽입되는 청취부가 귀에 통증을 주지않고 빠지지 않도록 안정되게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tubular ear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oft material of the tubular sound wave guide portion is put on the user's ear, the load is reduced, so that the listening portion inserted into the user's ear can be used stably without falling out of the ear.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 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고안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to the embodiments. Lik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denote like elements.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튜브형 이어폰(10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view for explaining a tubular earphon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튜브형 이어폰(100)은 연결잭(jack)(110), 송수신 제어부(120), 스피커 내장부(130), 및 튜브형 음파 가이드부(guide unit)(140)를 포함한다. 송수신 제어부(120)는 마이크로폰(microphone)(121), 온/오프 스위치(122), 음량 조절기(123), 및 방향 조절기(124)를 포함한다. 스피커 내장부(130)는 사출물에 형성된 공명 방지를 위한 복수의 홀(hole)들(131)을 포함하고, 튜브형 음파 가이드부(140)는 사용자의 귀에 삽입되는 부분인 끝단의 청취부(141)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the tubular earphone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nection jack 110, a transmission / reception control unit 120, a speaker built-in unit 130, and a tube-type sound wave guide unit. 140. The transmission / reception control unit 120 includes a microphone 121, an on / off switch 122, a volume controller 123, and a direction controller 124. The speaker built-in unit 130 includes a plurality of holes 131 for preventing resonance formed in the injection molding, and the tubular sound wave guide unit 140 is a listening unit 141 at the end which is inserted into the user's ear. It includes.

연결잭(110)은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가정내의 AV 시스템, 또는, 휴대용의 MP3 재생기, 휴대폰, PDA, PMP, 무전기 등 각종 전자장치의 이어폰 잭에 삽입 연결되고, 전자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신호가 전선 케이블을 통해 송수신 제어부(120)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송수신 제어부(120)의 마이크로폰(121)은 사용자의 음성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전자장치로 송신한다. 마이크로폰(121)을 통해 전자장치로 송신되는 음성신호는, 전자장치가 핸드폰, 무전기 등일 때 상대방 전자장치로 전송되어 음성 통화를 가능하게 하며, 기타 재생기 등에서는 사용자의 음성이 녹음되도록 할 수 있다.The connection jack 110 is inserted into an earphone jack of various electronic devices such as an AV system in a home that outputs a voice signal or a portable MP3 player, a mobile phone, a PDA, a PMP, a radio, and the audio signal output from the electronic device is wired. It may be transmitted to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control unit 120 through a cable. In addition, the microphone 121 of the transmission / reception control unit 120 converts a user's voice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transmits it to the electronic device. The voice signal transmitted to the electronic device through the microphone 121 is transmitted to the counterpart electronic device when the electronic device is a mobile phone, a walkie-talkie, or the like, to enable a voice call, and other players can record the voice of the user.

송수신 제어부(120)가 전자장치로부터 수신하는 음성신호는 전선 케이블을 통해 스피커 내장부(130)로 전달된다. 스피커 내장부(130)는 전선 케이블을 통해 송수신 제어부(120)와 연결된 스피커를 내장하고 있으며, 수신한 음성 신호에 따라 스피커로부터 출력되는 음파를 돌기부(132)의 관통홀로 유도한다. 스피커 내장부(130)는 스피커를 내장하는 사출물 외부로 돌기부(132)가 돌출되는 형태이고, 사출물에는 공명 방지를 위한 복수의 홀들(131)이 형성되어 있다. 공명 방지를 위한 복수의 홀들(131)은 스피커 내장부(130) 내의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음파가 공명에 의해 울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The voice signal received by the transmission / reception control unit 120 from the electronic device is transmitted to the speaker internal unit 130 through a wire cable. The speaker built-in unit 130 includes a speaker connected to the transmission / reception control unit 120 through a wire cable, and guides the sound wave output from the speaker to the through hole of the protrusion 132 according to the received voice signal. The speaker built-in unit 130 has a form in which the protrusion 132 protrudes out of an injection molded product incorporating a speaker, and a plurality of holes 131 are formed in the injection molded product to prevent resonance. The plurality of holes 131 for preventing resonance may prevent a sound wave output from a speaker in the speaker built-in unit 130 ringing due to resonance.

돌기부(132)에는 튜브형 음파 가이드부(140)의 튜브가 삽입되고, 돌기부(132)를 통해 나오는 음파는 튜브형 음파 가이드부(140)의 튜브 내 공간을 통해 그 끝단의 청취부(141)로 전달된다. 사용자는 청취부(141)를 귀에 삽입하여 청취부(141)의 관통홀로 전달되는 음파를 통해 전자장치에서 발생하는 음성 신호를 청취할 수 있게 된다. 스피커 내장부(130) 내의 스피커의 음량은 음량 조절기(123)를 조절하여 그 크기가 조절될 수 있다. 음량 조절기(123)는 슬라이드 형태 또는 회전형태의 조절 수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tube of the tubular sound wave guide 140 is inserted into the protrusion 132, and the sound wave coming out of the protrusion 132 is transmitted to the listening unit 141 at its end through the space in the tube of the tubular sound wave guide 140. do. The user may listen to a voice signal generated by the electronic device through the sound wave transmitted to the through hole of the listener 141 by inserting the listener 141 into the ear. The volume of the speaker in the speaker built-in unit 130 may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volume controller 123. The volume controller 123 may be formed of a sliding means or a rotating means of adjusting means.

돌기부(132)에 삽입되는 튜브형 음파 가이드부(140)의 튜브는 끝단의 청취부(141)로부터 일정 길이가 사용자의 귀에 쉽게 걸치도록 구부러져 있다. 이에 따라 청취부(141)를 귀에 꼽았을 때의 튜브형 음파 가이드부(140), 하부의 스피커 내장부(130), 송수신 제어부(120), 전선 케이블 등에 의한 하중이 귀구멍에 전달되지 않도록 하여 통증을 주지 않도록 할 수 할 수 있다. 튜브형 음파 가이드부(140)의 튜브는 고분자 합성수지(예를 들어, 고무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기분 좋은 향기를 발산할 수 있도록 고분자 합성수지에 콜로이드 형태, 문말, 또는 겔(gel) 형태의 은나노 또는 향(과일, 꽃 향기 등) 원료가 첨가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tube of the tubular sound wave guide portion 140 inserted into the protrusion 132 is bent so that a predetermined length easily hangs over the user's ear from the listening portion 141 at the end. Accordingly, when the listening unit 141 is inserted into the ear, the tube-type sound wave guide unit 140, the lower speaker built-in unit 130, the transmission / reception control unit 120, the wire cable, and the like are prevented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ear hole. You can avoid giving it. The tube of the tubular sound wave guide unit 140 may be made of a polymer synthetic resin (for example, rubber), and colloidal, written, or gel-type silver nano or It may be made of a material to which a fragrance (fruit, floral fragrance, etc.) raw material is added.

튜브형 음파 가이드부(140) 끝단의 청취부(141)는 별도로 제작되어 상기 튜브의 끝에 삽입되는 형태일 수 있다. 도 2와 같이, 청취부(141)의 관통홀 끝 주변에 날개(143)가 고정되며 날개(143) 부분은 사용자의 귀에 삽입시 귀 구멍 주변에 밀착되도록 플렉서블(flexible)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날개(143) 이외의 청취부(141)의 몸통 부분은 실리콘 등 수지계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날개(143) 부분은 고분자 합성수지(예를 들어, 고무 형태)로 이루어지되, 얇게 만들어 귀 구멍에 삽입 시 음파가 밖으로 새지 않도록 하면서 귀 구멍에 부드럽게 밀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와 같이, 날개(143)는 귀로 삽입되는 방향이 반대쪽보다 좁게 접힌 형태일 수도 있으나, 도 3과 같이 음파를 좀더 모아서 사용자의 귀로 전달할 수 있도록 귀로 삽입되는 방향이 반대쪽보다 넓게 펴진 형태일 수도 있다. The listening unit 141 at the end of the tubular sound wave guide 140 may be manufactured separately and inserted into the end of the tube. As shown in FIG. 2, the wing 143 is fixed around the end of the through hole of the listening unit 141, and the wing 143 may be made of a flexible material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ear hole when inserted into the user's ear. For example, the body portion of the listening unit 141 other than the wing 143 may be made of a resin such as silicone, and the wing 143 portion is made of a polymer synthetic resin (for example, rubber), but made thin When inserted into the hole, it is desirable to allow the sound wave to stick smoothly to the ear hole while not leaking out. As shown in FIG. 2, the wing 143 may be folded into a narrower shape than the opposite side, but as shown in FIG. 3, the direction inserted into the ear may be wider than the opposite side so that the sound waves may be collected and delivered to the user's ear. have.

한편, 도 1과 같이, 스피커 내장부(130) 내의 스피커와 연결된 전선 케이블은 스피커 내장부(130)를 이루는 사출물의 하부면의 관통홀을 통하여 외부로 연장되어 송수신 제어부(120)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송수신 제어부(120)와 스피커 내장부(130) 사이의 전선 케이블은, 사용자의 사용 상태에 따라 조금씩 꺽여 질 수 있다. 특히, 본 고안에서는 송수신 제어부(120)와 스피커 내장부(130) 사이의 전선 케이블을 도 4와 같이 스피커 내장부(130)를 이루는 사출물의 측면의 관통홀을 통해 외부로 연장되도록 함으로써 전선 케이블의 단선 방지와 사용자의 사용 상의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였다. 예를 들어, 도 7과 같이, 사용자가 튜브형 이어폰(100)을 뒤로 돌려 사용하는 경우에, 스피커 내장부(130)를 이루는 사출물의 측면을 통해 연장된 전선 케이블은 꺽임 없이 어깨를 넘어 부드럽게 사용자 가슴 쪽의 송수신 제어부(120)으로 연결되어, 케이블의 단선 방지와 사용자의 사용 상의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1, the wire cable connected to the speaker in the speaker built-in unit 130 may extend to the outside through the through hol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injection molding forming the speaker built-in 130 may be connected to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control unit 120. . At this time, the wire cable between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control unit 120 and the speaker built-in unit 130 may be bent little by little depending on the user's use state. Particular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e cable between the transmission / reception control unit 120 and the speaker built-in unit 130 is extended to the outside through a through hole on the side of the injection molding forming the speaker built-in unit 130 as shown in FIG. 4. It can prevent disconnection and provide user convenience. For example, as shown in FIG. 7, when the user turns the tubular earphone 100 back and uses the wire cable extending through the side of the injection molding forming the speaker internal part 130, the user's chest is gently crossed over the shoulder without bending. Is connected to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control unit 120 of the side,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convenience of the user and the prevention of disconnection of the cable.

한편, 스피커 내장부(130)는 하나의 스피커를 내장할 수도 있지만, 도 5와 같이 스테레오(stereo)를 위한 두개의 음성 신호를 전달하는 송수신 제어부(120)로부터의 각각의 전선 케이블에 연결되는 두개의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튜브형 음파 가이드부(140)는 상기 두개의 스피커 각각에 대응된 돌기부(132)에 각각 삽입되는 튜브를 통해 좌우 각각의 청취부(141)로 음파를 전달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peaker built-in unit 130 may be a built-in speaker, but two connected to each wire cable from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control unit 120 for transmitting two voice signals for stereo (stereo) as shown in FIG. It may include a speaker of. In this case, the tubular sound wave guide unit 140 may transmit sound waves to the left and right listening units 141 through tubes respectively inserted into the protrusions 132 corresponding to the two speakers.

이때, 도 5와 같이, 스피커 내장부(130)는 상기 두개의 스피커를 내장하는 사출물 외부로 각 스피커로부터의 음파를 전달하는 각각의 돌기부(132)가 돌출되는 형태를 갖는다. 도 1과 같이, 스피커 내장부(130)를 이루는 사출물에는 공명 방지를 위한 복수의 홀들(131)이 형성되어 있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ure 5, the speaker built-in unit 130 has a form in which each of the protrusions 132 for transmitting sound waves from each speaker to the outside of the injection molding containing the two speakers. As illustrated in FIG. 1, a plurality of holes 131 for preventing resonance are formed in the injection molding forming the speaker internal part 130.

도 5와 같이, 스피커 내장부(130)를 이루는 사출물 내에서 상기 두개의 스피커가 각각 하부 덮개(133)와 상부 덮개(134)로 둘러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피커와 연결되는 전선 케이블이 하부 덮개(133)의 소정 홀을 관통하여 스피커와 연결될 수 있고, 스피커 위에 상부 덮개(134)를 덮고, 상부 덮개(134)의 홀(hole)을 통 하여 스피커로부터의 음파가 해당 돌기부(132)의 관통홀로 전달될 수 있다. 스피커 내장부(130)를 이루는 외부 사출물에 형성된 공명 방지를 위한 복수의 홀들(131) 이외에도, 하부 덮개(133)에도 공명 방지를 위한 복수의 홀들(139)을 형성함으로써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음파가 공명에 의해 울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 더 고음질을 출력하기 위하여 상부 덮개(136)의 내면(136)에는 금속재(예를 들어, Al, Ag, Mg, W 등)가 코팅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부 덮개(136)의 내부의 공간에 퍼지는 음파가 상부 덮개(136)의 내면(136)에 코팅된 금속재에서 반사되어 돌기부(132)의 관통홀로 더욱더 잘 출력되도록 음파 전달을 보조할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 5, the two speakers may be surrounded by the lower cover 133 and the upper cover 134 in the injection molding forming the speaker internal part 130. For example, a wire cable connected to the speaker may be connected to the speaker by passing through a predetermined hole of the lower cover 133, covering the upper cover 134 on the speaker, and passing through a hole of the upper cover 134. Sound waves from the speaker may be transmitted to the through holes of the protrusion 132. In addition to the plurality of holes 131 for preventing resonance formed in the external injection molded part of the speaker internal part 130, the sound waves output from the speaker are formed by forming the plurality of holes 139 for preventing resonance in the lower cover 133. The ringing phenomenon can be prevented. In order to output even higher sound quality, a metal material (eg, Al, Ag, Mg, W, etc.) may be coated on the inner surface 136 of the upper cover 136. For example, the sound wave spreading in the space inside the upper cover 136 is reflected by the metal material coated on the inner surface 136 of the upper cover 136 to assist the sound wave transmission so as to be better output to the through hole of the protrusion 132. Can be.

이외에도, 스피커 내장부(130)를 이루는 외부 사출물 내에는 두 스피커 간의 음성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음성 간섭 차단벽(135)가 설치될 수 있으며, 음성 간섭 차단벽(135)을 사이에 두고 위와 같은 두개의 스피커가 서로 다른 내부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위와 같은 두개의 스피커에 각각 연결되는 전선 케이블이 음성 간섭 차단벽(135)으로 나누어진 어느 한 공간으로 모아져 사출물의 측면 관통홀을 통해 나와 송수신 제어부(120)로 연결될 수 있다.In addition, a voice interference blocking wall 135 may be installed in the external injection molding constituting the speaker internal part 130 to prevent voice interference between the two speakers, and the two as described above with the voice interference blocking wall 135 interposed therebetween. Speakers may be arranged in different interior spaces. Accordingly, the wire cables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two speakers as described above may be collected into one space divided by the voice interference blocking wall 135, and may be connected to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control unit 120 through the side through hole of the injection molded product.

위에서도 기술한 바와 같이, 송수신 제어부(120)의 음량 조절기(123)는 스피커 내장부(130) 내의 스피커의 음량을 조절하며, 특히, 위와 같이 두개의 스피커가 내장된 경우에 음량 조절기(123)의 조절에 따라 두 스피커 모두가 한번에 같은 양씩 음량이 조절될 수도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두 스피커의 음량을 각각 조절할 수 있도록 음량 조절기(123)가 두개의 조절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송수신 제어부(120)의 온/오프 스위치(122)는 토글 스위치 형태로서, 스피커 내장부(130) 내의 스피커의 출력을 온/오프(on/off)할 수 있으며, 특히, 위와 같이 두개의 스피커가 내장된 경우에 온/오프 스위치(122)의 누름에 따라 두 스피커 모두가 한번에 온 또는 오프되도록 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volume controller 123 of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control unit 120 adjusts the volume of the speaker in the speaker built-in unit 130, in particular, when the two speakers are built as described above of the volume controller 123 According to the adjustment, both speakers may adjust the volume by the same amount at a time, and in some cases, the volume controller 123 may be composed of two controllers to adjust the volume of the two speakers, respectively. The on / off switch 122 of the transmission / reception control unit 120 may be a toggle switch, and may turn on / off an output of the speaker in the speaker internal unit 130. In particular, two speakers may be In a built-in case, both speakers may be turned on or off at a time by pressing the on / off switch 122.

또한, 송수신 제어부(120)의 위와 같은 두개의 스피커의 출력 방향과 음량을 조절하기 위한 방향 조절기(124)를 포함하며, 방향 조절기(124)로서 슬라이드 또는 회전 형태의 소정 조절 수단을 움직여 좌우 조절함에 따라 한쪽 스피커의 음량은 커지고 다른쪽 스피커의 음량은 작아지도록 동작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방향 조절기(124)를 좌로 움직이는 경우에 한쪽 스피커의 음량은 커지고 다른쪽 스피커의 음량은 작아지며 방향 조절기(124)를 좌측 끝까지 움직이면 상기 한쪽 스피커에서만 음파가 발생되도록 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방향 조절기(124)를 우로 움직이는 경우에 한쪽 스피커의 음량은 작아지고 다른쪽 스피커의 음량은 커지며 방향 조절기(124)를 우측 끝까지 움직이면 상기 한쪽 스피커에서만 음파가 발생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ncludes a direction adjuster 124 for adjusting the output direction and volume of the two speakers as above of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control unit 120, the direction adjuster 124 to move the predetermined adjustment means of the slide or rotation type to adjust the left and right Therefore, the volume of one speaker may be increased and the volume of the other speaker may be reduced. For example, when the direction controller 124 is moved to the left, the volume of one speaker is increased, the volume of the other speaker is decreased, and the sound waves are generated only at the one speaker when the direction controller 124 is moved to the left end. Similarly, when the direction controller 124 is moved to the right, the volume of one speaker is reduced, the volume of the other speaker is increased, and when the direction controller 124 is moved to the right end, sound waves can be generated only at the one speaker.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송수신 제어부(120)의 구체적인 도면이다.6 is a detailed view of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control unit 1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송수신 제어부(120)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마이크로폰(121), 온/오프 스위치(122), 음량 조절기(123), 및 방향 조절기(124)를 포함하는 이외에 근거리 무선 통신부(1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무선 통신부(125)를 적용하는 경우에, 연결잭(110) 및 연결잭(110)과 송수신 제어부(120) 사이의 전선 케이블이 제거될 수 있으며, 이때에는 근거리 무 선 통신부(125)는 소정 안테나를 이용하여 전자장치로부터의 음성 신호를 수신하여 해당 무선 통신 프로토톨에 따라 처리된 후 스피커 내장부(130)로 전달할 수 있으며, 마이크로폰(121)를 통해 생성되는 음성 신호도 근거리 무선 통신부(125)에서 해당 무선 통신 프로토톨에 따라 처리된 후 안테나를 통하여 전자장치로 전송됨으로써 휴대폰 등 상대방 단말과의 통화가 가능하도록 하거나 녹음 등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근거리 무선 통신부(125)의 무선 통신 방식은 지그비(Zigbee), 블루투스(Bluetooth), NFC(Near Field Communication),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등 다양한 통신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ure 6,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control unit 1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icrophone 121, the on / off switch 122, the volume controller 123, and the direction controller 124 as described above In addition to including, it may further include a near field communication unit 125. In the case of applying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25, the wire cable between the connection jack 110 and the connection jack 110 and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control unit 120 may be removed. In this case,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25 may use a predetermined antenna. After receiving a voice signal from the electronic device by us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protocol to be processed according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protocol to the speaker internal unit 130, the voice signal generated through the microphone 121 is also in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25 After processing according to the corresponding wireless communication protocol, the antenna may be transmitted to the electronic device through an antenna to enable a call or a recording with a counterpart terminal such as a mobile phone. Th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of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25 may include various communication methods such as Zigbee, Bluetooth,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an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튜브형 이어폰(100)에서는, 도 7과 같이, 사용자가 뒤로 돌려 사용하는 경우에, 스피커 내장부(130)를 이루는 사출물의 측면을 통해 연장된 전선 케이블은 꺽임 없이 어깨를 넘어 부드럽게 사용자 가슴 쪽의 송수신 제어부(120)으로 연결되어, 케이블의 단선 방지와 사용자의 사용 상의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외에도, 본 고안에 따른 튜브형 이어폰(100)에서는, 튜브형 음파 가이드부(140)의 부드러운 소재가 사용자의 귀에 걸치도록 되어 하중이 저감됨으로써, 사용자의 귀에 삽입되는 청취부(141)가 귀에 통증을 주지않고 빠지지 않도록 안정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스피커 내장부(130)의 사출물 내외부에 형성된 공명 방지 홀을 통해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음파의 울림을 제거하여 사용자의 귀에 피로감을 줄이고 고음질의 음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tubular earphon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7, when the user is used to turn the back, the electric wire cable extending through the side of the injection-molded part constituting the speaker internal part 130 goes beyond the shoulder without bending. Gently connected to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control unit 120 on the user's chest,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convenience of the user to prevent disconnection of the cable. In addition, in the tubular earphon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oft material of the tubular sound wave guide portion 140 is put on the user's ear, so that the load is reduced, so that the listening unit 141 inserted into the user's ear does not cause pain in the ear. It can be used stably so as not to fall out, and by eliminating the ringing of sound waves output from the speaker through the resonance prevention hole formed inside and outside the injection molded part of the speaker built-in 130 can reduce the fatigue to the user's ear and output a high quality voice signal. .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from such descriptions. This is possible.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utility model registration claims as described below and equivalents to the utility model registration claims.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튜브형 이어폰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view for explaining a tubular ear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튜브형 음파 가이드부의 끝단 청취부의 일례이다.Figure 2 is an example of the end listening portion of the tubular sound wave guide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튜브형 음파 가이드부의 끝단 청취부의 다른 예이다.Figure 3 is another example of the end of the tubular sound wave guide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피커 내장부로 들어가는 다른 케이블 삽입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4 is a view for explaining another cable insertion form to enter the speaker built-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피커 내장부의 구체적인 도면이다.5 is a detailed view of a speaker embedded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송수신 제어부의 구체적인 도면이다.6 is a detailed view of a transmission and reception contro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튜브형 이어폰의 사용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7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use of the tubular ear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20)

전자장치로부터 음성 신호를 수신하는 송수신 제어부;A transmission and reception control unit for receiving a voice signal from the electronic device; 전선 케이블을 통해 상기 송수신 제어부와 연결된 스피커를 내장하고, 상기 음성 신호에 따라 상기 스피커로부터 출력되는 음파를 돌기부의 관통홀로 유도하는 스피커 내장부; 및A speaker built-in unit configured to include a speaker connected to the transmission / reception control unit through a wire cable, and guide the sound wave output from the speaker to the through hole of the protrusion according to the voice signal; And 상기 돌기부에 삽입되는 일정 길이의 튜브를 포함하고, 상기 튜브 내의 공간을 통해 상기 스피커로부터 출력되는 음파를 끝단의 청취부로 전달하는 튜브형 음파 가이드부를 포함하고,It includes a tube of a predetermined length that is inserted into the projections, and includes a tubular sound wave guide portion for transmitting the sound waves output from the speaker through the space in the tube to the listening portion of the end, 상기 스피커 내장부는 상기 스피커를 내장하는 사출물 외부로 상기 돌기부가 돌출되는 형태이고, 상기 사출물에 공명 방지를 위한 복수의 홀들이 형성되어 있으며,The speaker built-in is a form in which the protrusion is projected to the outside of the injection molding the speaker, a plurality of holes for preventing resonance is formed in the injection, 상기 청취부의 관통홀로 전달되는 음파를 통해 상기 전자장치에서 발생하는 음성 신호를 청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형 이어폰.The tubular earphone, characterized in that for listening to the voice signal generated by the electronic device through the sound wave transmitted to the through-hole of the listening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청취부는 상기 튜브에 삽입되는 형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형 이어폰.The tubular earphone of claim 1, wherein the listening unit includes a shape inserted into the tub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청취부는 관통홀 끝 주변에 고정되어 있고, 사용자의 귀에 삽입시 귀 구멍 주변에 밀착되도록 플렉서블 소재로 이루어진 날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형 이어폰.The tubular earphon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istening part is fixed around the end of the through hole and includes a wing made of a flexible material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ear hole when inserted into the user's ea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는 귀로 삽입되는 방향이 반대쪽보다 좁게 접힌 형태 또는 귀로 삽입되는 방향이 반대쪽보다 넓게 펴진 형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형 이어폰.4. The tubular earphone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wing has a shape in which the direction of insertion into the ear is narrower than the opposite side or a shape in which the direction of insertion into the ear is wider than the opposite si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 제어부는 연결잭에 연결된 전선 케이블을 통해 상기 음성 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형 이어폰.The tubular earphone of claim 1, wherein the transmission / reception control unit receives the voice signal through a wire cable connected to a connection jack.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 제어부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를 통해 상기 음성 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형 이어폰.The tubular earphone of claim 1, wherein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controller receives the voice signal through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 제어부는 사용자의 음성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전자장치로 송신하기 위한 마이크로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형 이어폰.The tubular earphone of claim 1, wherein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controller comprises a microphone for converting a user's voice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transmitting the same to the electronic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 제어부는 상기 스피커의 음량을 조절하기 위한 음량 조절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형 이어폰.The tubular earphon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ransmission / reception control unit includes a volume adjusting means for adjusting the volume of the speaker.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출물 내에서 상기 스피커는 하부 덮개와 상부 덮개로 둘러싸이며, 상기 상부 덮개의 홀을 통하여 상기 음파가 상기 돌기부의 관통홀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형 이어폰.The tubular earphone of claim 1, wherein the speaker is surrounded by a lower cover and an upper cover in the injection molding, and the sound wave is transmitted to the through hole of the protrusion through the hole of the upper cover.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덮개에는 공명 방지를 위한 복수의 홀들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형 이어폰.11. The tubular earphone according to claim 10, wherein the lower cover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holes for preventing resonanc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덮개의 내면에는 음파 전달을 보조하는 금속재가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형 이어폰.11. The tubular earphone according to claim 10, wherein an inner surface of the upper cover is coated with a metal material to assist sound wave transmiss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형 음파 가이드부의 상기 튜브는 상기 청취부로부터 일정 길이가 사용자의 귀에 걸치도록 구부러진 부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형 이어폰.The tubular earphon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ube of the tubular sound wave guide part has a portion bent from the listening part so as to extend over a user's ea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형 음파 가이드부의 상기 튜브는 고분자 합성수지, 또는 고분자 합성수지에 은나노 또는 향 원료가 첨가된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형 이어폰.The tubular earphon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ube of the tubular sound wave guide part is made of polymer synthetic resin or a material in which silver nano or fragrance raw material is added to the polymer synthetic resin. 전자장치로부터 음성 신호를 수신하는 송수신 제어부;A transmission and reception control unit for receiving a voice signal from the electronic device; 전선 케이블을 통해 상기 송수신 제어부와 연결된 스피커를 내장하고, 상기 음성 신호에 따라 상기 스피커로부터 출력되는 음파를 돌기부의 관통홀로 유도하는 스피커 내장부; 및A speaker built-in unit configured to include a speaker connected to the transmission / reception control unit through a wire cable, and guide the sound wave output from the speaker to the through hole of the protrusion according to the voice signal; And 상기 돌기부에 삽입되는 일정 길이의 튜브를 포함하고, 상기 튜브 내의 공간을 통해 상기 스피커로부터 출력되는 음파를 끝단의 청취부로 전달하는 튜브형 음파 가이드부를 포함하고,It includes a tube of a predetermined length that is inserted into the projections, and includes a tubular sound wave guide portion for transmitting the sound waves output from the speaker through the space in the tube to the listening portion of the end, 상기 음성 신호는 스테레오를 위한 두개의 음성 신호를 포함하고, The voice signal comprises two voice signals for stereo, 상기 스피커 내장부는 상기 두개의 음성 신호를 전달하는 각각의 전선 케이블에 연결되는 두개의 스피커를 포함하며,The speaker built-in includes two speakers connected to each wire cable for transmitting the two voice signals, 상기 튜브형 음파 가이드부는 상기 두개의 스피커 각각에 대응된 돌기부에 각각 삽입되는 튜브를 통해 좌우 각각의 청취부의 관통홀로 음파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형 이어폰.The tubular earphone, characterized in that the tubular sound wave guide unit transmits the sound waves to the through hole of each of the left and right through the tube respectively inserted into the projection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two speakers.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 제어부는 상기 두개의 스피커의 출력 방향과 음량을 조절하기 위한 방향 조절 수단을 포함하고,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control unit comprises a direction adjusting means for adjusting the output direction and volume of the two speakers, 상기 방향 조절 수단의 좌우 조절에 따라 한쪽 스피커의 음량은 커지고 다른쪽 스피커의 음량은 작아지도록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형 이어폰.Tubular earphone, characterized in that the volume of one speaker is increased and the volume of the other speaker is reduced according to the left and right adjustment of the direction adjusting means.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 내장부는 상기 두개의 스피커를 내장하는 사출물 외부로 각 스피커로부터의 음파를 전달하는 각각의 돌기부가 돌출되는 형태이고, 상기 사출물에 공명 방지를 위한 복수의 홀들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형 이어폰.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the speaker built-in portion is a protrusion projecting each projection for transmitting sound waves from each speaker to the outside of the injection molding containing the two speakers, the injection molding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holes for preventing resonance The tubular earphone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사출물 내에서 상기 두개의 스피커가 각각 하부 덮개와 상부 덮개로 둘러싸이며, 상기 상부 덮개의 홀을 통하여 상기 음파가 해당 돌기부의 관통홀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형 이어폰.18. The tubular earphone according to claim 17, wherein the two speakers are respectively surrounded by a lower cover and an upper cover in the injection molding, and the sound waves are transmitted to the through holes of the protrusions through the holes of the upper cover.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사출물 내의 음성 간섭 차단벽을 사이에 두고 상기 두개의 스피커가 서로 다른 내부 공간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형 이어폰.18. The tubular earphone according to claim 17, wherein the two speakers are arranged in different interior spaces with the voice interference blocking wall in the injection molded product interposed therebetween.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두개의 스피커에 각각 연결되는 전선 케이블이 상기 음성 간섭 차단벽으로 나누어진 어느 한 공간으로 모아져 상기 사출물의 측면 관통홀을 통해 나와 상기 송수신 제어부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형 이어폰.20. The tubular type according to claim 19, wherein an electric wire cable connected to each of the two speakers is collected into one space divided by the voice interference blocking wall, and comes out through a side through hole of the injection molding and connected to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control unit. earphone.
KR2020090013766U 2009-10-22 2009-10-22 Tube Earphone KR200450124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3766U KR200450124Y1 (en) 2009-10-22 2009-10-22 Tube Earph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3766U KR200450124Y1 (en) 2009-10-22 2009-10-22 Tube Earpho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0124Y1 true KR200450124Y1 (en) 2010-09-07

Family

ID=444791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3766U KR200450124Y1 (en) 2009-10-22 2009-10-22 Tube Earpho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0124Y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6741Y1 (en) * 2011-11-11 2013-05-10 전연숙 Air tube earphone
EP2710814A4 (en) * 2011-05-17 2015-05-06 Charles M Siebenberg Sheath to mask electrical conductor
KR20180092958A (en) * 2015-12-14 2018-08-20 하만 베커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게엠베하 Headphone devi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1517Y1 (en) * 2000-11-24 2001-04-16 이병훈 Tube-type Earphone for Cellular-phone
KR200228454Y1 (en) 2001-01-11 2001-06-15 김기수 Earphone connected with a sound-transmitting tube
KR200362430Y1 (en) * 2004-07-05 2004-09-18 박창수 A tube type ear-microphone
KR100810108B1 (en) * 2006-05-25 2008-03-06 주식회사 한국이어폰텍 acousticwaveguide tube-type earphone for portable information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1517Y1 (en) * 2000-11-24 2001-04-16 이병훈 Tube-type Earphone for Cellular-phone
KR200228454Y1 (en) 2001-01-11 2001-06-15 김기수 Earphone connected with a sound-transmitting tube
KR200362430Y1 (en) * 2004-07-05 2004-09-18 박창수 A tube type ear-microphone
KR100810108B1 (en) * 2006-05-25 2008-03-06 주식회사 한국이어폰텍 acousticwaveguide tube-type earphone for portable information devic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710814A4 (en) * 2011-05-17 2015-05-06 Charles M Siebenberg Sheath to mask electrical conductor
KR200466741Y1 (en) * 2011-11-11 2013-05-10 전연숙 Air tube earphone
KR20180092958A (en) * 2015-12-14 2018-08-20 하만 베커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게엠베하 Headphone device
KR102507186B1 (en) * 2015-12-14 2023-03-07 하만 베커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게엠베하 headphone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49014B2 (en) Wireless pair of earbuds
CN108496374B (en) Earphone working mode switching method and device, audio circuit, earphone and earphone system
EP3790291A1 (en) Wireless earphones communication method, master earphone, slave earphone, and earphones system
US8908899B1 (en) Earphone
CN108886647B (en) Earphone noise reduction method and device, master earphone, slave earphone and earphone noise reduction system
US8369548B2 (en) Wireless headset device capable of providing balanced stereo and method thereof
KR100936393B1 (en) Stereo bluetooth headset
US20090279722A1 (en) Wireless headset device capable of providing balanced stereo and method thereof
EP2107825A1 (en) System for transmitting amplified audio signals to a user
KR101330476B1 (en) Wire and wireless earphone apparatus using in ear-type microphone
EP2129165A2 (en) Wireless headset device capable of providing balanced stereo and method thereof
US20180139529A1 (en) Portable acoustic device
KR200450124Y1 (en) Tube Earphone
CN206686345U (en) A kind of earphone
JP2013509039A (en) Wireless audio system
CN208940178U (en) A kind of dual microphone TWS earphone
CN106658265B (en) Noise reduction earphone and electronic equipment
JP3117272U (en) Wireless transceiver for audio signals
KR20110024077A (en) Wireless communication microphone
JP4628347B2 (en) Relay code
CN101959097A (en) Cassette wireless earphone device
CN206181306U (en) Multifunctional noise reduction earphone
KR20210088201A (en) Over-ear wireless earphone silicone cover with bluetooth antenna
CN206323531U (en) A kind of In-Ear metal earphone
CN101373993A (en) Stereo Bluetooth earpho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