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9568Y1 - 가슴운동기구 - Google Patents

가슴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9568Y1
KR200449568Y1 KR2020080006627U KR20080006627U KR200449568Y1 KR 200449568 Y1 KR200449568 Y1 KR 200449568Y1 KR 2020080006627 U KR2020080006627 U KR 2020080006627U KR 20080006627 U KR20080006627 U KR 20080006627U KR 200449568 Y1 KR200449568 Y1 KR 20044956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hinge
fasteners
coil spring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66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1979U (ko
Inventor
이진복
Original Assignee
이진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진복 filed Critical 이진복
Priority to KR20200800066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9568Y1/ko
Publication of KR2009001197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197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95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956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23Wound spring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5Linearly-compressed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41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s of the interface
    • A63B21/4047Pivoting movement

Abstract

본 고안은 마름모 형태로 된 몸체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탄성구가 장착되어 운동효과를 증진시키며,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어느 하나의 탄성구를 제거하여 운동강도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하측의 지지판을 상측의 가압판으로부터 분리하는 경우 2개의 가슴운동기구로 분리되어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본 고안을 허벅지사이에 끼워서 가압함으로써 다리운동을 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이러한 효과를 갖기 위한 본 고안은, 한 쌍의 판 형태의 몸체를 가지며, 몸체의 상단에 각각 구비된 상부결합힌지에 의해 상호간 힌지결합되고, 각 몸체의 내측에는 체결구가 형성됨과 아울러 체결구의 하측에 각각 힌지결합부가 형성된 제1가압판 및 제2가압판; 주름관의 내측으로 코일 스프링이 삽입되고, 코일 스프링의 양측으로는 체결구가 형성된 체결캡이 장착되어, 그 체결캡이 제1가압판 및 제2가압판의 체결구와 체결되는 상부탄성구; 한 쌍의 판 형태의 몸체를 가지며, 몸체의 하단에 각각 하부결합힌지가 형성되어 몸체의 하부가 상호간 힌지결합되고, 각 몸체의 상단에는 제1가압판 및 제2가압판의 힌지결합부와 각각 힌지결합되는 상부결합힌지가 형성되며, 각 몸체의 내측에는 체결구가 형성된 제1지지판 및 제2지지판; 주름관의 내측으로 코일 스프링이 삽입되고, 코일 스프링의 양측으로는 체결구가 형성된 체결캡이 장착되어, 그 체결캡이 제1지지판 및 제2지지판의 체결구와 체결되는 하부탄성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가슴운동기구, 스프링

Description

가슴운동기구{omitted}
본 고안은 가슴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남녀노소의 구분없이 누구나 운동강도를 쉽게 조절하여 가슴운동을 행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사용용도에 따라 다리운동까지 겸할 수 있도록 한 가슴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건강한 삶과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하여 올바른 음식의 섭취는 물론 꾸준한 운동을 통하여 건강을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건강 유지를 위한 운동을 위하여 가슴운동기구가 사용되는데, 기존의 가슴운동기구는 가정보다는 휘트니스 클럽이나 체육시설 등에 비치된 벤치 프레스 등의 기구를 이용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기구들은 가정에 비치하기란 사실상 힘이 들고, 특정한 장소에 가서 운동을 해야하는 불편한 점이 있다.
또한, 어린아이나 노약자, 여성들은 이러한 기구를 쉽게 사용하지 못하여 이들을 위한 적당한 운동기구 개발되지 않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고안은 가정에서 남녀노소 누구나 손쉽게 휴대하여 가슴운동을 하기 위한 기구를 제공하고, 이러한 기구를 사용용도에 따라 다리운동에도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가슴운동기구를 제안하는데 과제가 있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팔을 가슴쪽으로 내민 다음 본 고안의 가슴운동기구를 양팔의 안쪽에 위치하도록 하고, 가슴운동기구의 양쪽으로부터 안쪽으로 팔을 이용해 가압함으로써 스프링의 탄력에 의해 부하가 발생하여 가슴근육을 강화하도록 하기 위한 수단을 가지는 것으로, 이러한 수단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본 고안의 가슴운동기구는
한 쌍의 판 형태의 몸체를 가지며, 몸체의 상단에 각각 구비된 상부결합힌지에 의해 상호간 힌지결합되고, 각각 몸체의 내측에는 체결구가 형성된 제1가압판 및 제2가압판; 주름관의 내측으로 코일 스프링이 삽입되고, 코일 스프링의 양측으로는 체결구가 형성된 체결캡이 장착되어, 그 체결캡이 제1가압판 및 제2가압판의 체결구와 체결되는 탄성구; 제1가압판 및 제2가압판의 내측에서 체결구 하측으로 각각 형성된 힌지결합부; 한 쌍의 판 형태의 몸체를 가지며, 몸체의 하단에 각각 하부결합힌지가 형성되어 몸체의 하부가 상호간 힌지결합되고, 각 몸체의 상단에는 제1가압판 및 제2가압판의 힌지결합부와 각각 힌지결합되는 상부결합힌지가 형성되며, 각 몸체의 내측에는 체결구가 형성된 제1지지판 및 제2지지판; 주름관의 내측으로 코일 스프링이 삽입되고, 코일 스프링의 양측으로는 체결구가 형성된 체결캡 이 장착되어, 그 체결캡이 제1지지판 및 제2지지판의 체결구와 체결되는 하부탄성구;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은, 마름모 형태로 된 몸체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탄성구가 장착되어 운동효과를 증진시키며,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어느 하나의 탄성구를 제거하여 운동강도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하측의 지지판을 상측의 가압판으로부터 분리하는 경우 2개의 가슴운동기구로 분리되어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본 고안을 허벅지사이에 끼워서 가압함으로써 다리운동을 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본 고안의 가슴운동기구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로서, 제1가압판(100)은 팔의 안쪽에 위치하도록 상하로 긴 판 형태로 형성되고, 상부에는 고리 형태의 상부결합힌지(110)가 형성된다.
또한, 안쪽면에는 원형의 체결구(120)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 체결구(120)는 상부면이 일정간격으로 다수개의 체결홈(121)이 형성되어 있고, 그 하측방향으로는 고리형태의 힌지결합부(230)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외측면에는 탄력성을 갖는 밴드(140)가 부착되어 있어서, 이 밴드(140)에 팔을 끼워서 제1가압판(100)이 팔의 내측에 위치하여 고정되도록 한다.
제2가압판(200)은 제1가압판(100)과 대칭적인 형태로 형성되며, 제1가압판 (100)과 동일한 형태의 상부결합힌지(210), 체결홈(221)을 갖는 체결구(220), 힌지결합부(230), 밴드(240)가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제1가압판(100)의 상부결합힌지(110)와 제2가압판(200)의 상부결합힌지(210)가 맞대진 다음 체결핀(300)이 끼워져서 힌지 결합된다.
제1가압판(100)의 체결구(120)와 제2가압판(200)의 체결구(220)에는 상부탄성구(400)의 체결캡(420)(430)이 각각 결합되는데, 상부탄성구(400)는 주름관(410)의 내부에 코일 스프링이 끼워져 장착되고, 주름관(410)의 양측으로는 체결캡(420)(430)이 장착되어 마감된다.
이때, 체결캡(420)(430)의 외측으로는 체결구(120)(220)의 체결홈(121)(221)에 끼워지도록 체결돌기(421)(431)가 다수개 형성되어, 체결돌기(421)(431)를 체결홈(121)(221)에 삽입한 다음 돌리게 되면 돌려끼워맞춤식으로 결합되는 것이다.
따라서, 'A'자 형태의 상부체가 결합되는 것이다.
제1가압판(100)의 힌지결합부(130)에는 상하로 긴 판 형태의 제1지지판(500)의 상부가 지결합되고, 제2가압판(200)의 힌지결합부(230)에는 상하로 긴 판 형태의 제2지지판(600)의 상부가 힌지결합되는데, 제1지지판(500)의 상단에는 힌지결합부(130)와 힌지결합되기 위한 상부결합힌지(510)가 형성되어 체결핀(530)에 의해 힌지결합되며, 하측으로는 제2지지판(600)의 하측과 힌지결합되기 위한 하부결합힌지(640)가 형성된다.
또한, 제1지지판(500)의 안쪽면 가운데 부분에는 제1가압판(100)의 체결구(120)와 동일한 형태의 체결구(520)가 형성되며, 이 체결구(520)에는 마찬가지로 체결홈(521)이 형성된다.
제2지지판(600)은 제1지지판(500)과 대칭되어 형성됨으로써 제1지지판(500) 및 제2지지판(600)의 하부에 형성된 하부결합힌지(540)(640)가 체결핀(650)에 의하여 힌지결합되며, 상부는 상부결합힌지(610)가 체결핀(630)에 의하여 제2가압판(200)의 힌지결합부(230)에 힌지결합된다.
제1지지판(500)의 체결구(520)와 제2지지판(600)의 체결구(620)에는 하부탄성구(700)의 체결캡(720)(730)이 각각 결합되는데, 이 하부탄성구(700)는 상부탄성구(400)와 동일한 형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자 형태의 하부체가 상부체의 하측으로 결합되는 것이다.
상부탄성구(400)는 도2 및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연한 재질로 되어 자바라 형태의 주름이 진 주름관(410)이 구비되는데, 이 주름관(410)의 주름은 나선 형태로 되어 이에 코일 스프링(440)이 나사 결합 형태로 끼워져 삽입된다.
이때, 주름관(410)은 코일 스프링(440)이 압축될 때 버팀력을 가져서 사용자가 더 큰 힘을 가하여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신장할 때도 버팀력을 가지도록 하여 압축된 코일 스프링(440)이 천천히 복원되도록 함으로써 코일 스프링(440)이 빠른 속도로 신장되면서 튕겨져 사용자가 부상을 당하는 것을 방지한다.
코일 스프링(440)은 몰펜의 스프링과 같이 그 양측(441)(442)의 피치가 몸체 부위보다 더 조밀하게 형성되어, 그 양측(441)(442)이 주름관(410)의 양쪽으로 노출되고, 그 노출된 양측(441)(442)에 체결캡(420)(430)이 각각 나사 결합형태로 결합된다. 이를 위해서 체결캡(420)(430)의 내측으로는 나사산(422)(432)이 형성된 다.
주름관(410)은 도3에 도시한 바와같이 산 부위에 코일 스프링(440)이 끼워져서 장착되고, 또한, 코일 스프링(440)의 양측(441)(442)이 피치가 조밀한 나선 형태로 되어 있으므로, 이에 체결캡(420)(430)이 나사산(422)(432)에 의해 나사 결합된다.
하부탄성구(700)의 구조 또한 상부탄성구(400)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한편, 코일스프링이 하나로 된 경우 압축될 때 꺾어짐이 발생할 수 있어서 코일 스프링의 파손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를 예방하기 위하여 도4에서와 같이 코일 스프링(440)(450)을 두 개로 나누어 주름관(410)의 내부에 삽입하여 장착시키고, 코일 스프링(440)(450)을 주름관(410)의 내부에서 서로 떨어지게 위치시킨다.
이때, 떨어지는 간격은 주름관(410)이 완전히 압축되었을때 코일 스프링(440)(450)이 맞닿을 수 있을 정도의 간격이 적당하다.
도5는 동작 상태를 보인 도로서, 제1가압판(100)의 밴드(140)에 왼손의 팔뚝을 끼우고, 제2가압판(200)의 밴드(240)에 오른손의 팔뚝을 끼운 다음 가압하게 되면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탄성구(400) 및 하부 탄성구(700)가 압축되고, 힘을 빼게 되면 다시 (a)와 같이 본래의 형태로 복귀하게 되어 가슴운동이 이루어진다.
사용자가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이러한 본 고안을 거꾸로 뒤집어 허벅지 사이에 끼워서 다리 운동도 할 수 있다.
또한, 여성 사용자가 상부 탄성구(400)만을 이용하여 운동하고자 하는 경우 체결핀(530)(630)을 제거하여 제1지지판(500) 및 제2지지판(600)을 제1가압판(100)과 제2가압판(200)으로부터 분리하여 사용하도록 하고, 이 분리된 제1가압판(500)과 제2가압판(600)은 다른 사용자가 가슴운동기구로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사용자가 가슴운동한 횟수를 확인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상측에 카운터를 설치할 수 있을 것이고, 다리운동한 횟수를 확인하기 위하여 하측에도 카운터를 설치할 수 있을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도2는 탄성구의 분해도.
도3은 탄성구의 결합 단면도.
도4는 탄성구의 다른 형태를 보인 도.
도5는 본 고안의 동작 상태를 보인 도.

Claims (3)

  1. 한 쌍의 판 형태의 몸체를 가지며, 몸체의 상단에 각각 구비된 상부결합힌지에 의해 상호간 힌지결합되고, 각 몸체의 내측에는 체결구가 형성됨과 아울러 체결구의 하측에 각각 힌지결합부가 형성된 제1가압판 및 제2가압판;
    주름관의 내측으로 코일 스프링이 삽입되고, 코일 스프링의 양측으로는 체결구가 형성된 체결캡이 장착되어, 그 체결캡이 제1가압판 및 제2가압판의 체결구와 체결되는 상부탄성구;
    한 쌍의 판 형태의 몸체를 가지며, 몸체의 하단에 각각 하부결합힌지가 형성되어 몸체의 하부가 상호간 힌지결합되고, 각 몸체의 상단에는 제1가압판 및 제2가압판의 힌지결합부와 각각 힌지결합되는 상부결합힌지가 형성되며, 각 몸체의 내측에는 체결구가 형성된 제1지지판 및 제2지지판;
    주름관의 내측으로 코일 스프링이 삽입되고, 코일 스프링의 양측으로는 체결구가 형성된 체결캡이 장착되어, 그 체결캡이 제1지지판 및 제2지지판의 체결구와 체결되는 하부탄성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슴운동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주름관은 나선형으로 형성되어 코일 스프링이 주름관의 산부위 내측에 나사결합형태로 끼워져 장착되며, 코일 스프링의 양측은 그 피치가 몸체부위보다 더 조밀하게 형성되어 이에 체결캡이 나사 결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슴운동기구.
  3. 한 쌍의 판 형태의 몸체를 가지며, 몸체의 상단에 각각 구비된 상부결합힌지에 의해 상호간 힌지결합되고, 각 몸체의 내측에는 체결 구가 형성된 제1가압판 및 제2가압판;
    주름관의 양측으로 체결구가 형성되어, 그 체결구가 제1가압판 및 제2가압판의 체결구와 체결되는 탄성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슴운동기구.
KR2020080006627U 2008-05-20 2008-05-20 가슴운동기구 KR20044956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6627U KR200449568Y1 (ko) 2008-05-20 2008-05-20 가슴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6627U KR200449568Y1 (ko) 2008-05-20 2008-05-20 가슴운동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1979U KR20090011979U (ko) 2009-11-25
KR200449568Y1 true KR200449568Y1 (ko) 2010-07-20

Family

ID=442418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6627U KR200449568Y1 (ko) 2008-05-20 2008-05-20 가슴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956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5712Y1 (ko) 2011-06-20 2011-09-20 임형빈 가슴운동기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03159U (ko) 1984-12-14 1986-07-01
KR870002884Y1 (ko) * 1985-06-22 1987-08-26 최정삼 완력기
US5267929A (en) 1992-09-23 1993-12-07 Chen Chyuan C Portable hand/leg exerciser
JP2007275601A (ja) 2006-04-11 2007-10-25 Tae Jin An 腕力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03159U (ko) 1984-12-14 1986-07-01
KR870002884Y1 (ko) * 1985-06-22 1987-08-26 최정삼 완력기
US5267929A (en) 1992-09-23 1993-12-07 Chen Chyuan C Portable hand/leg exerciser
JP2007275601A (ja) 2006-04-11 2007-10-25 Tae Jin An 腕力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5712Y1 (ko) 2011-06-20 2011-09-20 임형빈 가슴운동기구
WO2012177009A2 (ko) * 2011-06-20 2012-12-27 Im Hyung Bin 가슴운동기구
WO2012177009A3 (ko) * 2011-06-20 2013-04-04 Im Hyung Bin 가슴운동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1979U (ko) 2009-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283023A1 (en) Massage roller
US20190143168A1 (en) Multi-functional exercise device
KR100923868B1 (ko) 허리운동이 가능한 회전판형 트위스트 스텝퍼
TWM503920U (zh) 健身球椅
US20170036052A1 (en) Muscles And Bones Stretching Health Device
KR200449568Y1 (ko) 가슴운동기구
KR20130074439A (ko) 시소형 스탭퍼
CN108273230B (zh) 一种带有辅力功能的健身器材
CN203194985U (zh) 具有锻炼功能的桌子
CN211023872U (zh) 一种神经内科自主训练装置
KR101578447B1 (ko) 하체 운동기구
JPWO2013190605A1 (ja) エクササイズ装置
CN208176848U (zh) 一种康复护理用手指锻炼器
CN213555229U (zh) 手部康复训练器
CN211459498U (zh) 一种按摩椅小腿伸缩机构
RU2531880C2 (ru) Тренажёр "балатрон"
EP1829585A4 (en) SADDLE FOR EXERCISE APPARATUS AND EXERCISE APPARATUS USING THE SAME
CN110393887A (zh) 一种蹦床
CN110559599A (zh) 户外扩胸训练器
KR101239994B1 (ko) 운동기구
CN213609667U (zh) 一种康复科用手部训练器
CN218357145U (zh) 一种仰卧起坐用健身器材
CN211300763U (zh) 一种老人护理运动装置
CN208943392U (zh) 一种双人用拉筋装置
CN215136561U (zh) 一种神经内科护理用的肢体功能锻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