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9235Y1 - 농업용 온풍장치 - Google Patents

농업용 온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9235Y1
KR200449235Y1 KR2020080004264U KR20080004264U KR200449235Y1 KR 200449235 Y1 KR200449235 Y1 KR 200449235Y1 KR 2020080004264 U KR2020080004264 U KR 2020080004264U KR 20080004264 U KR20080004264 U KR 20080004264U KR 200449235 Y1 KR200449235 Y1 KR 2004492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heater
combustion
blower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42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0093U (ko
Inventor
김경한
Original Assignee
김범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범구 filed Critical 김범구
Priority to KR20200800042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9235Y1/ko
Publication of KR2009001009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009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92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923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6Air-conditioning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6Electric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Greenho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농업용 온풍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류를 인가받아 발열하는 전열 히터구조와 기름을 연소하여 발열하는 연소 히터구조가 각각 구비되어, 요구되는 열량에 따라 상기 전열 히터구조와 연소 히터구조를 선택 또는 병행하여 구동시킴으로써, 작물의 생육에 요구되는 온도조건을 안정되게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된 농업용 온풍장치에 관한 것이다.
농업용 온풍장치, 전열 히터구조, 연소 히터구조, 송풍관, 송풍기

Description

농업용 온풍장치{A heating apparatus for agriculture}
본 고안은 농업용 온풍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류를 인가받아 발열하는 전열 히터구조와 기름을 연소하여 발열하는 연소 히터구조가 각각 구비되어, 요구되는 열량에 따라 상기 전열 히터구조와 연소 히터구조를 선택 또는 병행하여 구동시킴으로써, 작물의 생육에 요구되는 온도조건을 안정되게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된 농업용 온풍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채소류를 재배하거나 또는 각종 열대식물을 재배하는 하우스 등지에는, 식물이 성장하는데 절대적으로 요구되는 비교적 높은 온도의 유지가 요구된다.
따라서, 일반 농가에서는 동절기에 외부의 온도가 급격히 떨어질 경우에는 온풍장치 등 별도의 난방장치를 설치하여 하우스 내에 비교적 높은 온도의 공기를 공급함으로써, 하우스 내부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하고 있다.
특히, 상기 온풍장치는 열 교환되는 고온의 공조공기를 비교적 단시간 내에 실내의 전체에 골고루 강제 송풍할 수 있어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고 종래 대표적인 농가용 온풍장치로는, 연소구조를 통해 온풍을 송풍하 는 형태와, 전열구조를 통해 온풍을 송풍하는 형태가 있다.
먼저, 전자인 연소구조가 마련된 온풍장치는, 용량에 제약을 받지 아니하는 이점을 가지고는 있으나, 기름 등 연소물이 전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비싸기 때문에 농가에서는 기피하고 있다.
그리고 후자인 전열구조를 이용한 온풍장치는, 열 발생원으로 상기 기름 등 연소물에 상대적으로 가격이 저렴한 전기를 사용하므로 상기 전자의 온풍장치에 대비하여 경제적으로 유리하나, 농가의 전류사용량이 한정된 관계로 용량을 초과하여 가동할 수 없는 한계성을 가지고 있다.
부연하자면, 일반적으로 농가용 전기는 30KW로 한정된 관계로, 30KW 이상을 초과하여 사용할 수 없는 한계성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고안의 목적은, 전류를 인가받아 발열하는 전열 히터구조와 기름을 연소하여 발열하는 연소 히터구조가 각각 구비되어, 요구되는 열량에 따라 상기 전열 히터구조와 연소 히터구조를 선택 또는 병행하여 구동시킴으로써, 작물의 생육에 요구되는 온도조건을 안정되게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된 농업용 온풍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고안에서 제공되는 하기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본 고안에 따른 농업용 온풍장치는,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송풍관과; 상기 송풍관의 후미에 설치되어, 송풍력을 제공하는 송풍기와; 상기 송풍관의 내부에 설치되어서 전류를 인가받아 전열을 생성하는 하나 이상의 전열 히터로 이루어진 전열 히터부; 및 상기 송풍관의 내부에 설치되어서 기름을 연소하여 연소열을 생성하는 연소 히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송풍기의 구동에 의해 배출되는 공기는, 상기 전열 히터부와 연소 히터부 또는 이들 양자에서 발생된 열과 열교환 작용을 통해 가열하여 배출됨으로써, 사용자는 상기 전열 히터부와 연소 히터부를 선택 또는 병행하여 구동시켜 작물의 생육에 요구되는 온도조건을 안정되게 형성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열 히터부를 구성하는 전열히터는, 전도관과, 상기 전 도관에 배설되는 복수의 방열판과, 상기 전도관의 내경에 설치되는 것으로, 전류를 인가받아 발열하는 복수의 히터셀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히터셀은, 호형의 봉상 케이스의 내부에 히터코일이 장입하여 설치되고, 이 히터코일이 장입된 호형의 봉상 케이스의 내부에는 절연 고형물이 충입된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히터코일은 호형의 봉상 케이스의 내부에 절연 고형물을 통해 고정된 상태를 이루며,
전도관의 내경에는 상기 히터셀들이 방사구조로 배설되어, 상기 히터셀의 히터코일에 전류를 공급하면 상기 히터셀을 이루는 호형의 봉상 케이스는 히터코일에서 발생된 열에 의해 팽창하여 방열판이 배설된 전도관의 내벽에 긴밀히 밀착되어서, 히터코일에서 발생된 열이 전도관과 방열판을 통해 신속히 전도되어 방출되도록 구성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소 히터부는, 기름을 연소하여 열을 발생시키는 버너와, 상기 버너에서 생성된 열을 송풍관의 내부로 순환시켜 송풍관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와 버너에서 생성된 열을 상호 열교환 하는 연관과, 상기 연관을 통해 열교환을 마친 연기의 배출경로인 연통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버너는, 연소열의 토출방향이 하향 형성되어서, 상기 버너에서 토출된 연소열이 아래로 내려갔다가 다시 상부로 이동하여 배출되게 함으로써, 연소열이 장시간 연관에 머물러 송풍기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와 버너에서 발생 된 연소열이 장시간 열교환 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송풍관은 곡관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소 히터부의 연관은, 버너에서 최초 생성된 연소열의 이동경로인 주연관과, 상기 주연관을 통해 이동된 연소열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보조연관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버너에서 최초 생성된 연소열의 이동경로인 주연관은 송풍관에서 유속이 가장 빠른 송풍관의 곡관부의 외측에 배설되어서, 송풍기를 통해 송출되는 공기와 열교환이 보다 신속히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는, 전류를 인가받아 발열하는 전열 히터구조와 기름을 연소하여 발열하는 연소 히터구조가 각각 구비되어, 요구되는 열량에 따라 상기 전열구조와 연소구조를 선택 또는 병행하여 구동시킴으로써, 작물의 생육에 요구되는 온도조건을 안정되게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된 농업용 온풍장치를 제공하고 있다.
상기 농업용 온풍장치는, 연소 히터구조가 마련된 농업용 온풍장치와, 전열 히터구조가 마련된 농업용 온풍장치를 개별적으로 설치하는 것에 대비하여, 케이스 구조체와 송풍관 및 송풍기를 공용하므로 제작에 따른 부대비용이 저감되고, 또 설치 및 운용이 간편해지는 한편, 설치공간이 대폭 절약되는 이점을 가진다.
특히, 본 고안에서는 전열과 연소열의 순환경로인 송풍관에 연소구조를 배열함에 있어, 유속이 가장 빠른 송풍관의 곡관부에 연소구조를 배설함으로써, 신속한 열교환 작용의 향상을 도모하고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 는 농업용 온풍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농업용 온풍장치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정면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농업용 온풍장치에 있어, 연소 히터부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며, 도 3은 본 고안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농업용 온풍장치에 있어, 전열 히터부를 구성하는 전열히터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며, 도 4는 상기 도 3에 도시된 전열히터를 구성하는 히터셀의 단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며, 도 5는 상기 도 3에 도시된 전열히터에 있어, 열팽창에 따른 히터셀과 전도관의 접단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농업용 온풍장치(1)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송풍기(30)가 마련된 송풍관(20)의 내부에 전열 히터부(40)와 연소 히터부(50)를 각각 마련하여서, 요구되는 열량 조건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전열 히터부(40)와 연소 히터부(50)를 선택 또는 병행하여 구동시켜 작물의 생육에 요구되는 온도조건을 안정되게 형성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를 상술하자면,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농업용 온풍장치(1)는,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되는 송풍관(20)과; 상기 송풍관(20)의 후미에 설치되어 공기를 송풍하는 송풍기(30)와; 상기 송풍관(20)의 내부에 설치되어서 전류를 인가받아 전열을 생성하는 전열 히터(41)들로 이루어진 전열 히터부(40); 및 상기 송풍관(20)의 내부에 설치되어서 기름을 연소하여 연소열을 생성하는 연소 히터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을 보면 상기 본체(10)의 바닥에는 복수의 이송롤러(11)가 마련되어 향상된 이동성을 겸비하며, 또 상기 송풍관(20)은 곡관부(21)가 마련된 곡관형태로 이루어져 송풍기(30)를 통해 송풍된 공기가 전열 히터부(40)와 연소 히터부(50)가 마련된 송풍관(20)을 장시간 순환한 다음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곡관 형태로 구성된 송풍관(20)은 만곡지게 절곡된 곡관부(21)의 외측이 유속이 가장 빠른 상태를 이룬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송풍관(20)의 곡관부(21)에 기름을 연소하여 연소열을 생성하는 연소 히터부(50)를 배설하여, 열교환 작용이 보다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연소 히터부(50)는, 도 1과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기름을 연소하여 열을 발생시키는 버너(51)와, 상기 버너(51)에서 생성된 연소열을 송풍관(20)의 내부로 순환시켜 송풍관(20)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와 버너(51)에서 생성된 연소열을 상호 열교환하는 주연관(52a)과, 이와 연통된 보조연관(52b)을 포함하는 연관(52)과, 상기 연관(52)을 통해 열교환을 마친 연기의 배출경로인 연통(5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면을 보면, 본 실시예에서는 버너(51)에서 배출된 연소열이 최초 배출되는 주연관(52a)을 유속이 가장 빠른 송풍관(20)의 곡관부(21) 외측에 배출하여, 열교환 작용이 보다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송풍관(20)의 곡관부(21)에 연소 히터부(50) 를 배설함에 있어, 상기 버너(51)를 하향 배설하여 연소열이 하향 토출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버너(51)를 통해 배출되는 연소열이 하향 토출되면, 상기 토출된 연소열이 아래로 내려갔다가 다시 상부로 이동하여 배출되므로, 연소열이 장시간 연관(52)에 머물게 된다.
따라서, 송풍기(30)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와 버너(51)에서 발생된 연소열이 장시간 열교환하여, 열효율이 향상되는 이점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송풍관(20)에 연소 히터부(50)와 함께 설치되는 전열 히터부(40)는 복수의 전열 히터(41)가 군집된 형태로, 상기 전열 히터(41)는 도 1과 도 3 내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도관(43)과, 상기 전도관(43)에 배설되는 복수의 방열판(42), 및 상기 전도관(43)의 내경에 설치되는 것으로, 전류를 인가받아 발열하는 복수의 히터셀(4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방열판(42)은 중앙에 관통공(42b)이 형성된 알루미늄 재질의 판상몸체(42a)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도관(43)은 스텐 재질의 관체로, 상기 방열판(42)의 관통공(42b)을 관통한 전도관(43)은 제조과정에서 확관공정을 통해 방열판(42)의 관통공(42b)의 내경에 긴밀하게 밀착된 상태로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전도관(43)의 내부에 설치되는 히터셀(44)은, 호형의 봉상 케이스(44a)의 내부에 히터코일(44b)이 장입하여 설치되고, 이 히터코일(44b)이 장입된 호형의 봉상 케이스(44a)의 내부에는 절연 고형물(44c)이 충입되어서, 상기 히터코일(44b)은 호형의 봉상 케이스(44a)의 내부에 절연 고형물(44c)을 통해 고정된 상태를 이룬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히터셀(44)들을 전도관(43)의 내부에 방사구조로 설치하여서,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히터셀(44)의 히터코일(44b)에 전류를 공급하면 상기 히터셀(44)을 이루는 호형의 봉상 케이스(44a)는 히터코일(44b)에서 발생된 열에 의해 팽창하여 방열판(42)이 배설된 전도관(43)의 내벽에 긴밀히 밀착된다.
이때, 상기 히터셀(44)을 구성하는 호형의 봉상 케이스(44a)는 열팽창성 재질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전도관(43)은 원형으로 구성되고, 이 전도관(43)의 내부에 호형의 봉상 케이스(44a)를 마련한 3개의 히터셀(44)을 방사구조로 배설된다.
그리고, 이들 각 히터셀(44)에 마련된 히터코일(44b)의 각 타단(44b-a)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호 연결상태를 이루어 접점을 형성하고, 각 히터코일(44b)의 일단(44b-b)은 3상 전류인 R, S, T 단자를 통해 전류를 공급받도록 구성되어, 이들 전도관(43)의 내부에 수용된 히터셀(44)들은 하나의 회로를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히터코일(44b)에 3상 전류를 공급하면 각 전열히터(41)는 가열되며, 이 전열은 송풍기(30)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와 열교환되어 최종적으로 상기 전열과 열교환된 가열된 공기는 비닐 하우스 등의 내부로 유입되어서, 작물에 생육에 요구되는 온도조건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전열 히터부(40)를 통해서도 비닐 하우스 등지의 내부 온도 조건이 안정되게 형성되지 아니하면, 연소 히터부(50)가 가동되어서 상기 전열 히터 부(40)에 의한 가온작용을 보조함으로써, 작물의 생육에 적합한 온도조건을 안정되게 형성하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농업용 온풍장치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정면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농업용 온풍장치에 있어, 연소 히터부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며,
도 3은 본 고안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농업용 온풍장치에 있어, 전열 히터부를 구성하는 전열히터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4는 상기 도 3에 도시된 전열히터를 구성하는 히터셀의 단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며,
도 5는 상기 도 3에 도시된 전열히터에 있어, 열팽창에 따른 히터셀과 전도관의 접단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농업용 온풍장치
10. 본체 11. 이송롤러
20. 송풍관 21. 곡관부
30. 송풍기
40. 전열 히터부 41. 전열 히터
42. 방열판 42a. 판상몸체
42b. 관통공 43. 전도관
44. 히터셀 44a. 호형의 봉상 케이스
44b. 히터코일 44b-a. 타단
44b-b. 일단 44c. 절연 고형물
50. 연소 히터부 51. 버너
52. 연관 53. 연통

Claims (4)

  1.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송풍관과; 상기 송풍관의 후미에 설치되어, 송풍력을 제공하는 송풍기와; 상기 송풍관의 내부에 설치되어서 전류를 인가받아 전열을 생성하는 하나 이상의 전열 히터로 이루어진 전열 히터부; 및 상기 송풍관의 내부에 설치되어서 기름을 연소하여 연소열을 생성하는 연소 히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송풍기의 구동에 의해 배출되는 공기는, 상기 전열 히터부와 연소 히터부 또는 이들 양자에서 발생된 열과 열교환 작용을 통해 가열하여 배출됨으로써, 사용자는 상기 전열 히터부와 연소 히터부를 선택 또는 병행하여 구동시켜 작물의 생육에 요구되는 온도조건을 안정되게 형성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송풍관은 곡관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소 히터부의 연관은, 버너에서 최초 생성된 연소열의 이동경로인 주연관과, 상기 주연관을 통해 이동된 연소열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보조연관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버너에서 생성된 연소열의 이동경로인 주연관은 송풍관에서 유속이 가장 빠른 송풍관의 곡관부의 외측에 배설되어서, 송풍기를 통해 송출되는 공기와의 열교환이 보다 신속히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온풍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열 히터부를 구성하는 전열히터는, 전도관과, 상기 전도관에 배설되는 복수의 방열판과, 상기 방열판의 내경에 설치되는 것으로, 전류를 인가받아 발열하는 복수의 히터셀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히터셀은, 호형의 봉상 케이스의 내부에 히터코일이 장입하여 설치되고, 이 히터코일이 장입된 호형의 봉상 케이스의 내부에는 절연 고형물이 충입된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히터코일은 케이스의 내부에 절연 고형물을 통해 고정된 상태를 이루며,
    전도관의 내경에는 상기 히터셀들이 방사구조로 배설되어, 상기 히터셀의 히터코일에 전류를 공급하면 상기 히터셀을 이루는 호형의 봉상 케이스는 히터코일에서 발생된 열에 의해 팽창하여 방열판이 배설된 전도관의 내벽에 긴밀히 밀착되어서, 히터코일에서 발생된 열이 전도관과 방열판을 통해 신속히 전도되어 방출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온풍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 히터부는, 기름을 연소하여 열을 발생시키는 버너와, 상기 버너에서 생성된 열을 송풍관의 내부로 순환시켜 송풍관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와 버너에서 생성된 열을 상호 열교환 하는 연관과, 상기 연관을 통해 열교환을 마친 연기의 배출경로인 연통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버너는, 연소열의 토출방향이 하향 형성되어서, 상기 버너에서 토출된 연소열이 아래로 내려갔다가 다시 상부로 이동하여 배출되게 함으로써, 연소열이 장시간 연관에 머물러 송풍기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와 버너에서 발생 된 연소열이 장시간 열교환 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온풍장치.
  4. 삭제
KR2020080004264U 2008-04-01 2008-04-01 농업용 온풍장치 KR2004492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4264U KR200449235Y1 (ko) 2008-04-01 2008-04-01 농업용 온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4264U KR200449235Y1 (ko) 2008-04-01 2008-04-01 농업용 온풍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0093U KR20090010093U (ko) 2009-10-07
KR200449235Y1 true KR200449235Y1 (ko) 2010-06-25

Family

ID=41536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4264U KR200449235Y1 (ko) 2008-04-01 2008-04-01 농업용 온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9235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87459U (ja) * 1992-04-24 1993-11-26 株式会社日立ホームテック 温風暖房器
KR200163433Y1 (ko) 1999-07-09 2000-02-15 김선중 확산열매체를이용한온풍기
KR200280879Y1 (ko) 2002-04-17 2002-07-06 박성만 농업용 전기 열풍기
KR20020058196A (ko) * 2000-12-29 2002-07-12 최진민 하향 연소식 보일러의 열교환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87459U (ja) * 1992-04-24 1993-11-26 株式会社日立ホームテック 温風暖房器
KR200163433Y1 (ko) 1999-07-09 2000-02-15 김선중 확산열매체를이용한온풍기
KR20020058196A (ko) * 2000-12-29 2002-07-12 최진민 하향 연소식 보일러의 열교환기
KR200280879Y1 (ko) 2002-04-17 2002-07-06 박성만 농업용 전기 열풍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0093U (ko) 2009-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2927891U (zh) 全效炕连灶
KR200449235Y1 (ko) 농업용 온풍장치
KR101047638B1 (ko) 카본발열체를 이용한 온풍장치
CN102613669A (zh) 一种柿子饼烘干房装置
KR101219072B1 (ko) 길이방향으로 확장 가능한 단위발열관 및 상기 발열관을 이용한 광역난방장치
CN202145021U (zh) 送风移动式多功能光波家用电暖器
KR102199993B1 (ko) 인덕션 원리를 이용한 히트파이프 냉난방 겸용 온풍기
KR101556446B1 (ko) 온풍, 온수, 냉풍 및 냉수 공급이 가능한 다기능 냉난방 기기
KR102102838B1 (ko) 열매체유 순환구조를 갖는 온풍기
KR101327384B1 (ko) 일체형 히트 방열기
CN201059671Y (zh) 电热式地板采暖装置
KR200480314Y1 (ko) 열매체를 이용한 순환식 전기 열풍기
KR100891465B1 (ko) 온수가열용 히트파이프를 구비하는 난방용 난로
KR20140136782A (ko) 열매체유와 전기를 이용한 온풍장치
CN209890629U (zh) 一种微生物检测用保温试剂盒
KR102157098B1 (ko) 할로겐히터를 이용한 냉풍 겸용 온풍기
KR102055560B1 (ko) 가열수단 내외장형 냉풍 겸용 온풍기
CN205579717U (zh) 一种电热取暖装置
CN219713674U (zh) 一种电磁热管式暖风机
KR200280879Y1 (ko) 농업용 전기 열풍기
KR20110128102A (ko) 순간 가열형 전열 보일러
KR100681344B1 (ko) 연탄 보일러
KR200220782Y1 (ko) 연탄보일러
KR200334038Y1 (ko) 온실용 난방시스템
KR200269046Y1 (ko) 보일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