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8902Y1 - photo frame with standing unit - Google Patents
photo frame with standing uni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48902Y1 KR200448902Y1 KR2020080006275U KR20080006275U KR200448902Y1 KR 200448902 Y1 KR200448902 Y1 KR 200448902Y1 KR 2020080006275 U KR2020080006275 U KR 2020080006275U KR 20080006275 U KR20080006275 U KR 20080006275U KR 200448902 Y1 KR200448902 Y1 KR 200448902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rame
- pair
- support
- present
- pictur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14—Photograph stands
- A47G1/142—Supporting legs or feet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16—Devices for hanging or supporting pictures, mirrors, or the like
- A47G1/1646—Devices for hanging or supporting pictures, mirrors, or the like for decorative plat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16—Devices for hanging or supporting pictures, mirrors, or the like
- A47G1/17—Devices for hanging or supporting pictures, mirrors, or the like using adhesives, suction or magnetism
Landscapes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간단한 구성으로 사진 액자를 테이블과 같은 장소에 세워두기 위한 직립 보조체를 포함하는 사진 액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icture frame including an upright auxiliary body for placing the picture frame in a simple place such as a table.
본 고안은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중앙에 사진이 삽입 부착되는 액자부와, 일면에는 접착수단이 구비되어 상기 액자부의 이면 하단부에 서로 일정 간격을 가지며 접착되며 측면에는 핀홀을 가지는 한 쌍의 돌기부와; 상기 돌기부를 관통시켜 체결되어 상기 액자를 지지하는 받침부와, 상기 받침부와 체결된 한 쌍의 돌기부에 마련된 핀홀 각각에 관통하여 삽입되는 핀부로 이루어지는 직립 보조체를 가지는 액자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rame and a frame portion to which the picture is inserted and attached to the center of the frame, one side is provided with an adhesive means and a pair of projections having a predetermined distance to each other at the bottom of the rear surface of the frame portion and a pinhole on the side; Provided is a frame having an upright auxiliary body consisting of a support portion fastened by penetrating the protrusion to support the frame, and a pin portion inserted through each pin hole provided in the pair of protrusions fastened to the support portion.
사진액자, 구슬, 핀, 직립보조체, 절곡면, 십자수 Photo frames, beads, pins, uprights, bends, crosses
Description
본 고안은 통상의 나무재 사진 액자뿐만 아니라 천이나 가죽재질의 사진액자 그리고 십자수를 놓은 장식판 등을 테이블과 같은 장소에 세워두기 위한 직립 보조체를 가지는 사진 액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icture frame having an upright auxiliary body for setting up a picture frame made of cloth or leather material and a cross-stitch embellished with cross-stitch as well as a normal wooden picture frame.
사진을 넣어 두는 액자는, 테이블에 세워두고 장식하거나 벽체에 걸어두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에 통상의 액자는 액자 프레임 배면에 벽에 걸기 위한 고리가 구성되거나 지면에 세워두기 위한 받침대가 구성된다.It is common to put a picture frame on a table, decorate it, or hang it on a wall. In the conventional picture frame, a hook is formed on the back of the picture frame frame or a stand is placed on the ground.
특히, 액자를 지면에 세워두기 위하여는 첨부된 도 1에서와 같이, 액자 이면에 접철식 받침대로 구성되어 일정 지지각을 조절하여 액자를 지지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상기 접철식 받침대는 통상 목재나 플라스틱의 액자 재질과 동일한 재질로 구성되도록 하며 나사결합되는 경첩 등으로 상기 액자 이면에 결합시키는 것이 일반적이었다.In particular, in order to place the picture frame on the ground, as shown in Figure 1, it is composed of a folding pedestal on the back of the picture frame to adjust the predetermined support angle to support the picture frame. In addition, the folding pedestal is generally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frame material of wood or plastic, and it was common to combine the back of the frame with a hinge that is screwed together.
하지만, 상기 액자가 천이나 비닐 재질, 가죽 재질이거나 액자 없이 사진이나 메모지, 엽서 그 자체를 세워 장식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접철식 받침대를 구성하기에는 무리가 있었다. 또한, 근래에는 사기 재질이나 세라믹 재질 등과 같이 다양한 재질의 장식 액자 등이 개발되고 있다. 이에, 이젤 등과 같은 부속을 더욱 사용하여 지지하였으나 이는 제작 단가의 상승의 요인이 되고 복잡한 구성을 가지는 단점이었다.However, when the picture frame is made of cloth, vinyl material, leather material, or a picture, a note paper, or a postcard itself without a picture frame, it is difficult to construct the folding base. In addition, recently, decorative picture frames made of various materials such as porcelain materials or ceramic materials have been developed. Thus, the support using more parts such as an easel, but this was a disadvantage of having a complicated configuration and a factor of the increase in manufacturing cost.
본 고안은 목재나 플라스틱 재질이 아닌 천(페브릭 등)이나 종이, 가죽, 사기(세라믹) 재질의 사진 액자 등에 종래의 접철식 받침대를 대신하여 지지를 위한 간단한 구성의 직립 보조체가 포함되는 직립 보조체를 가지는 액자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n upright auxiliary body which includes a simple upright auxiliary body for supporting in place of a conventional folding base such as cloth (fabric, etc.), paper, leather, or ceramic (ceramic) photo frame which is not made of wood or plastic material. The branch aims to provide a picture frame.
본 고안은,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중앙에 사진이 삽입 부착되는 액자부와; 일면에는 접착수단이 구비되어 상기 액자부의 이면 하단부에 서로 일정 간격을 가지며 접착되며, 측면에는 핀홀을 가지는 한 쌍의 돌기부와; 상기 돌기부를 관통시켜 체결되어 상기 액자를 지지하는 받침부와; 상기 받침부와 체결된 한 쌍의 돌기부에 마련된 핀홀 각각에 관통하여 삽입되는 핀부로 이루어지는 직립 보조체를 가지는 액자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the frame and the frame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photo frame attached to the center of the frame; A pair of protrusions provided on one surface thereof to be bonded to each other at a lower end of the rear surface of the frame par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having a pinhole at a side thereof; A support portion fastened by penetrating the protrusion to support the frame; It provides a frame having an upright auxiliary body consisting of a pin portion inserted through each of the pin holes provided in the pair of protrusions fastened to the support portion.
한편, 상기 받침부는 접을 수 있는 판 형상이며, 중앙부에는 산을 이루도록 접는 수직 방향의 중앙 절곡면이 구비되고 상단부 양 측부에 한 쌍의 핀홀이 마련되는 몸체면과; 상기 몸체면의 상단부 양 측부에서 각각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몸체면에 대하여 골을 이루도록 접히는 상단 절곡면와 상기 돌기부가 관통되는 관통홀 각각이 형성되는 한 쌍의 결합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립 보조체를 가지는 액자를 제공한다.On the other hand, the support portion is a collapsible plate shape, the central portion is provided with a central bending surface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form a mountain at the center portion and the pair of pinholes on both sides of the upper end; And a pair of coupling surfaces each extending from both sides of the upper end of the body surface and having a top bending surface folded to form a bone with respect to the body surface and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protrusion is formed; It provides a picture frame having an auxiliary body.
본 고안은, 사용자의 간단한 구성과 조작으로 사진 액자 등을 세워 지지할 수 있는 직립 보조체를 제공하여, 기존의 접철식 받침대가 부착되지 못하는 사진 액자나 이젤의 구성없이 사진 액자를 세울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upright auxiliary body that can support a picture frame, etc., with a simpl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a user, and the effect of setting up a picture frame without the composition of a picture frame or an easel to which a conventional folding base cannot be attached is provided. have.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각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데,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each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or configurations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If so,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먼저,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액자의 이면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액자의 조립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돌기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구성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받침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구성도이다.First,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ack of the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of the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proj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support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과 도 2 각각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액자는 크게, 액자부(10)와, 한 쌍의 돌기부(100)와, 받침부(200)와, 핀부(300)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 1 and FIG. 2, the picture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largely composed of a
상기 액자부(10)는 통상의 목재나 플라스틱재의 프레임으로 구성된 사진 액자이면 충분하다. 특히 본 고안은 상기 프레임이 구성된 사진 액자외에 달력, 인화된 사진, 엽서, 메모지 등과 같이 종이류나 얇은 판형의 대상체이면 충분하다.The
상기 사진 액자나 판형의 대상체(달력, 인화된 사진, 엽서, 메모지 등)모두는, 그 일면을 사용자가 장식용으로 바라볼 수 있도록 책상이나 탁자에 직립시키기 위한 것이면 충분하다. 특히, 상술한 판형의 대상체 외에도 페브릭 재료의 사진 액자나 (십)자수를 놓은 평판형의 장식체(또는 섬유체)가 액자 내부에 수용된 상태가 아니더라도 가능하다.All of the photo frame or plate-shaped object (calendar, printed photo, postcard, note paper, etc.) is sufficient to stand on one side of the desk or table so that the user can view the surface for decoration. In particular,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plate-shaped object, it is possible even if a photo frame or fabric (or fibrous) of a fibrous material is placed inside the frame.
이하, 설명되는 구성인 한 쌍의 돌기부(100)와, 받침부(200)와, 핀부(300) 각각은 상기의 사진 액자 등을 세우기 위한 구성이다. Hereinafter, each of the pair of
도 2과 도 3 그리고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한 쌍의 돌기부(100)는 그 일면에 접착수단(120)이 구비되어 상기 액자부(10)의 이면 하단부에 서로 일정 간격을 가지며 접착되도록 구성된다.2, 3 and 4, the pair of
특히, 접착수단(120)은 통상의 접착제를 도포하여 상용할 수 있으며 도 4에와 같이 접착부(122)와 상기 접착부(122)상에 구성되는 보호비닐(121)로 구성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보다 간편하게 상기 액자부(10) 이면 하단부에 접착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In particular, the
또한, 상기 돌기부(100)의 측면에는 핀홀(110)이 형성되어 후술되는 핀부(300)가 관통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도 4에서과 같이, 상기 돌기부(100)의 형상은 길이방향으로 돌출된 돌출편이면 충분하며, 목걸이 등에 형성되는 구슬 형상이어도 무관하다.In addition, the side of the
다음으로, 받침부(200)는 상기 돌기부(100)를 관통시켜 체결되어 상기 액자부(10)를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이는 도 3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몸체가 삼각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몸체의 전면에는 상기 한 쌍의 돌기부(100)를 수용하는 관통 홀이 구성되도록 구성한다.Next, the
이에, 본 고안은 도 5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상기 받침부(200)를 다음과 같이 제안한다. 특히 본 고안은 판 형상의 받침부(200)를 제공하고 이를 사용자가 접어서 구성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us,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the supporting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받침부(200)는 크게 몸체면(210)과 상기 몸체면(210)의 양 상부 귀퉁이가 돌출되어 형성된 한 쌍의 결합면(220)으로 이루어지는 형상으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 5, the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몸체면(210)은 중앙부에는 산을 이루도록 접는 수직 방향의 중앙 절곡면(201)이 구비되고 상단부 양 측부에 한 쌍의 핀홀(215)이 마련된다. 그리고 결합면(220)은 상기 몸체면(210)의 상단부 양 측부에서 각각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몸체면(210)에 대하여 골을 이루도록 접히는 상단 절곡면(202)와 상기 돌기부(100)가 관통되는 관통홀(225) 각각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More specifically, the
이에, 도 3에서 같이, 상기 몸체면(210)은 중앙부가 산이 되도록 접어 삼각형상으로 만들고, 상기 결합면(220) 각각은 액자부(10) 이면과 접하도록 접어 형성시킨다. 그리고 상기 접어 형성된 받침부(200)를 상기 한 쌍의 돌기부(100)에 끼운다. 이후, 별도의 핀부(300)를 일 돌기부(100)의 핀홀(110)로 삽입시켜 상기 일 돌기부(100)와 인접한 결합면(220)의 핀홀(215) 및 다른 결합면(220)의 핀홀(215) 그리고 다른 돌기부(100)의 핀홀(110)로 차례로 관통하도록 구성한다.Thus, as shown in Figure 3, the
상기 핀부(100)는 한쌍의 돌기부(100)와 받침부(200) 각각을 결합시켜 액자부(10)가 상기 받침부(20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The
한편, 상기 받침부(200)의 재질은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으며 그 일 예로 두꺼운 종이류, 얇은 함석판 그리고 합성수지재 등 중 선택하여 사용하면 충분하다. 또한, 상기 핀부(300)는 통상의 핀 형상이면 충분하며 사용자의 사용시 편의를 위하여 손잡이부를 더욱 구성하거나 ㄱ 자형으로 꺾어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On the other hand, the material of the
상기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한 예를 위주로 상술하였으나,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각 구성요소는 동일한 목적 및 효과의 달성을 위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범위 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each compon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nged or modified with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same purpose and effect. Could be.
도 1은 종래의 사진 액자를 보여주는 이면 사시도.1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photo frame.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액자의 이면을 보여주는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ack of the picture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액자의 조립 사시도.Figure 3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of the picture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돌기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구성도.Figure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proj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받침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구성도.Figure 5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sup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0 : 액자부 100 : 돌기부10: frame portion 100: projection
200 : 받침부 300 : 핀부200: support 300: pin
110 : 돌기부의 핀홀 201 : 중앙 절곡면110: pinhole of the projection 201: center bending surface
202 : 상단 절곡면 210 : 몸체면202: upper bent surface 210: body surface
215 : 몸체면의 핀홀 220 : 결합면215: pinhole of the body surface 220: coupling surface
225 : 관통홀225: through hole
Claims (2)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80006275U KR200448902Y1 (en) | 2008-05-14 | 2008-05-14 | photo frame with standing uni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80006275U KR200448902Y1 (en) | 2008-05-14 | 2008-05-14 | photo frame with standing unit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11693U KR20090011693U (en) | 2009-11-18 |
KR200448902Y1 true KR200448902Y1 (en) | 2010-06-07 |
Family
ID=442373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80006275U KR200448902Y1 (en) | 2008-05-14 | 2008-05-14 | photo frame with standing uni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48902Y1 (en)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70074Y1 (en) | 1999-08-10 | 2000-02-15 | 최재명 | Frame |
KR200284325Y1 (en) | 1998-11-05 | 2002-11-16 | 박종호 | A collapsible standing mirror |
-
2008
- 2008-05-14 KR KR2020080006275U patent/KR200448902Y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84325Y1 (en) | 1998-11-05 | 2002-11-16 | 박종호 | A collapsible standing mirror |
KR200170074Y1 (en) | 1999-08-10 | 2000-02-15 | 최재명 | Fram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11693U (en) | 2009-11-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533288A (en) | Quick mount picture frame | |
US5626926A (en) | Stand-alone decorative assembly | |
BRPI0716000A2 (en) | folding display module | |
JPH0730826U (en) | Article stand | |
US2480918A (en) | Collapsible easel | |
US8403021B1 (en) | Portable partition system having modular frames, bars, and friction fit spacers | |
US1950540A (en) | Folding card table | |
KR200448902Y1 (en) | photo frame with standing unit | |
US20120227298A1 (en) | Sign Exhibiting Kit | |
KR101755007B1 (en) | Frame include folding type bridge | |
KR102160280B1 (en) | Foldable picture frame, method for making the same and planer paper board for the frame | |
CN201101335Y (en) | Paper picture frame | |
JP3120689U (en) | A simple stand that can be used with two sheets of paper vertically and horizontally | |
JP3688647B2 (en) | 3D frame for books | |
KR101065194B1 (en) | Paper picture frame | |
KR200470858Y1 (en) | Standing calender | |
JP3119945U (en) | Handmade multifunctional picture frame | |
KR200163759Y1 (en) | A aseless wood use of a table support | |
KR200342972Y1 (en) | Frame | |
CN207594629U (en) | A kind of cartoon design multifunction drawing board | |
JP3114568U (en) | Stand-up (simple retrofit stand) | |
JP2943057B2 (en) | Wall holder for calligraphy works | |
JPH0114226Y2 (en) | ||
JP3033383U (en) | Color paper | |
KR200316137Y1 (en) | a folding table combined with picture fram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