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8544Y1 - 자전거용 다기능 플래쉬라이트 - Google Patents

자전거용 다기능 플래쉬라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8544Y1
KR200448544Y1 KR2020090009383U KR20090009383U KR200448544Y1 KR 200448544 Y1 KR200448544 Y1 KR 200448544Y1 KR 2020090009383 U KR2020090009383 U KR 2020090009383U KR 20090009383 U KR20090009383 U KR 20090009383U KR 200448544 Y1 KR200448544 Y1 KR 2004485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housing
lamp
switch
flash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93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8093U (ko
Inventor
안성준
Original Assignee
아몬드 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몬드 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아몬드 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20200900093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8544Y1/ko
Publication of KR2009000809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809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85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854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6/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on cycles;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
    • B62J6/02Headligh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45/00Electrical equipmen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use as accessories on cy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J45/40Sensor arrangements; Mounting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6/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on cycles;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
    • B62J6/01Electric circ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6/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on cycles;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
    • B62J6/16Arrangement of swi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6/00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with additional source of power, e.g. combustion engine or electric motor
    • B62M6/80Accessories, e.g. power sources; Arrangements thereof
    • B62M6/85Solar ce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6/00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with additional source of power, e.g. combustion engine or electric motor
    • B62M6/80Accessories, e.g. power sources; Arrangements thereof
    • B62M6/90Batte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9/00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 F21S9/02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9/00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 F21S9/02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 F21S9/03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rechargeable by exposure to ligh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 H05B47/11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by determining the brightness or colour temperature of ambient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7/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 F21W2107/1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for land vehicles
    • F21W2107/13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for land vehicles for cy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다기능 플래쉬라이트는 발광 다이오드(LED) 램프가 장착된 램프 하우징, 2차 전지를 수납하고, 공통 접지를 제공하며, 램프 하우징과 기계적으로 결합되는 전지 하우징, 상기 2차 전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소정의 디지털 기능을 수행하는 디지털 기능 회로, 제1 스위치 및 제2 스위치를 장착시킬 수 있으며, 상기 전지 하우징과 기계적으로 결합되는 회로 하우징 및 상기 2차 전지와 상기 LED 램프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스위치를 통해 상기 디지털 기능 회로로 연결되는 전도체와 상기 제2 스위치를 통해 상기 LED 램프로 연결되는 전도체 사이에 절연을 제공하는 전원 분리부를 포함한다.
자전거 라이트 , 전조등 , LED , 엘이디 , 발광다이오드 , 플래시 라이트 , 플래쉬 라이트 , 손전등 , MP3 , 엠피쓰리 , 라디오 , 임베디드 , embedded , GPS , 속도계 , 거리측정기

Description

자전거용 다기능 플래쉬라이트{MULTI-FUNCTIONAL FLASHLIGHT FOR A BICYCLE}
본 발명은 플래쉬라이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전거용 다기능 플래쉬라이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전지를 전원으로 하는 플래쉬라이트은 백열 전구를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백열 전구의 특성상 종래의 플래쉬라이트은 전지의 전압이 높으면 광량이 크고 전지의 전압이 낮아지면 광량도 낮아지며, 전지의 수명이 다해 가더라도 빛이 점점 어두워질 뿐 발광은 지속되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러나, 최근에 보급되는 LED(light emitting diode) 소자를 쓰는 플래쉬라이트의 경우, LED의 발광 특성상 전지의 전압이 LED의 통전 전압보다 높을 때에만 LED가 발광한다. 이에 따라, 전지의 전압이 낮아지다가 LED 통전 전압보다 낮아지면 전지에 아직 전력이 남아 있음에도 LED가 발광하지 않는 것을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상적인 LED 소자는 그 동작 전압이 약 2V라면 전지의 전압이 2V보다 낮아지면 빛을 내지 않는다. 따라서, DC-DC 컨버터를 사용하여 동작 전압 이상의 고정된 직류 전압을 공급하는 정전압 방식이 종종 채용된다.
형상의 측면에서, 토치형(torch type) 플래쉬라이트는 철,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제 하우징(housing)을 포함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 금속제 하우징은 적절한 내경을 가지고 속이 빈 파이프 형상이고 외부는 손으로 쥐기 좋게 요철이 부가되기도 하다. 또한 이러한 금속제 하우징은 한쪽 끝에 LED 램프가 연결되고 다른 쪽 끝에는 캡이 구비된다. 캡과 하우징은 나사 결합될 수 있으며, 하우징으로부터 캡을 분리하면 하우징에서 전지를 꺼내거나 하우징 내에 전지를 삽입할 수 있다. DC-DC 컨버터와 스위치는 LED 램프와 전지 사이에 위치한다. 구조에 따라서 캡을 제한된 회전각만큼 회전시킴으로써 스위치 역할을 대신 하기도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플래쉬라이트에 충전 기능과 디지털 기능을 부가하는 데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플래쉬라이트는,
발광 다이오드(LED) 램프가 장착된 램프 하우징;
2차 전지를 수납하고, 공통 접지를 제공하며, 램프 하우징과 기계적으로 결합되는 전지 하우징;
상기 2차 전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소정의 디지털 기능을 수행하는 디지털 기능 회로, 제1 스위치 및 제2 스위치를 장착시킬 수 있으며, 상기 전지 하우징과 기계적으로 결합되는 회로 하우징; 및
상기 2차 전지와 상기 LED 램프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스위치를 통해 상기 디지털 기능 회로로 연결되는 전도체와 상기 제2 스위치를 통해 상기 LED 램프로 연결되는 전도체 사이에 절연을 제공하는 전원 분리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로 하우징은 그 내부에 상기 LED 램프의 발광에 적합하도록 상기 2차 전지의 전압을 변환하는 직류 컨버터 회로를 더 장착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로 하우징은
그 내부에 상기 2차 전지에 충전하는 충전 회로를 더 장착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로 하우징은
그 외부 표면에 상기 충전 회로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연결된 태양전지를 더 장착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로 하우징은
그 외부 표면에 상기 충전 회로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휴대 전화 표준 충전기 인터페이스를 더 장착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로 하우징은 외부의 광량에 따라 상기 LED 램프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조도 감지기를 더 장착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로 하우징은 상기 조도 감지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3 스위치를 더 장착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소정의 디지털 기능은 디지털 오디오 재생, GPS 신호 수신, 디지털 통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로 하우징은 이어폰 줄을 감거나 고정할 수 있도록 홈이 형성된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플래쉬라이트는
발광 다이오드(LED) 램프가 장착된 램프 하우징;
외부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소정의 디지털 기능을 수행하는 디지털 기능 회로, 제1 스위치 및 제2 스위치를 장착시킬 수 있으며, 상기 램프 하우징과 기계적으로 결합되는 회로 하우징; 및
상기 2차 전지로부터 상기 제1 스위치를 통해 상기 디지털 기능 회로로 연결 되는 전기적 경로와 상기 제2 스위치를 통해 상기 LED 램프로 연결되는 전기적 경로 사이에 절연을 제공하는 전원 분리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로 하우징은
외부의 광량에 따라 상기 LED 램프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조도 감지기를 더 장착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로 하우징은
상기 조도 감지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제3 스위치를 더 장착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소정의 디지털 기능은 디지털 오디오 재생, GPS 신호 수신, 디지털 통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로 하우징은 이어폰 줄을 감거나 고정할 수 있도록 홈이 형성된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플래쉬라이트 내에 충전 기능과 디지털 기능을 추가하여 사용시 편의를 도모하고 야외 활동시 휴대해야 하는 장치를 줄일 수 있다.
본문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 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 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 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플래쉬라이트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다기능 플래쉬라이트는 전지 하우징(11), 램프 하우징(12) 및 회로 하우징(13)을 포함한다. 도면에 표현되지는 않았지만, 다기능 플래쉬라이트는 자전거 핸들 등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고정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지 하우징(11)은 내부가 비어 있고 대체로 길쭉한 원통형으로서, 내부에 충전 가능한 2차 전지가 수납될 수 있다. 전지 하우징(11)은 바람직하게는 내부에 수납된 2차 전지와 램프 등에 공통 접지를 제공할 수 있고 또한 램프에서 발생하는 열을 효과적으로 방열시킬 수 있으며 내구성이 있도록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 재질로 구현되고, 나아가 절연 목적과 미감, 부식 방지 등을 위해 아노다이징 처리될 수 있다. 2차 전지의 음극은 전지 하우징(11)의 금속 부위에 연결될 수 있다.
램프 하우징(12)은 헤드 몸체 내에 램프를 수납하며, 집광을 위해 적절한 소재로 된 렌즈와 반사경을 포함할 수 있다. 장착되는 램프는 바람직하게는 LED 램프일 수 있다. 램프 하우징(12)의 헤드 몸체는 상기 전지 하우징(11)과 마찬가지로 금속 재질로 구현된 후 아노다이징 처리된 것일 수 있다. 램프 하우징(12)의 헤드 몸체는 상기 전지 하우징(11)과 나사 체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램프 하우징(12)의 헤드 몸체와 전지 하우징(11)의 나사 체결 부위는 아노다이징 처리되지 않거나 또는 아노다이징 후 절삭 가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외부에 보이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전지 하우징(11)과 램프 하우징(12) 사이에 전원 분리부가 있을 수 있다. 전원 분리부는 램프에 공급되는 전압과 디지털 기능 회로에 공급되는 전압을 분리시키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램프 하우징(12) 내의 램프는, 그 양의 단자가 전원 분리부 및 전선을 통해 회로 하우징(13) 내의 DC-DC 컨버터에서 공급되는 전압과 연결된다. 램프 하우징(12) 내 램프의 음의 단자는 상기 램프 하우징(12)의 헤드 몸체와 접촉함으로써 공통 접지와 연결될 수 있지만, 램프의 음의 단자가 전지 하우징(11) 또는 2차 전지의 음극에 전선을 통해 연결될 수도 있다.
회로 하우징(13)은 그 내부에 DC-DC 컨버터 회로, 충전 회로, 디지털 기능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DC-DC 컨버터 회로는 LED 램프에 정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회로이다. 통상적으로 리튬 이온 또는 리튬 폴리머 계열의 2차 전지는 최대 충전 시 공급 전압이 약 4.2V에 달하지만, 사용에 따라 전압이 떨어지다가 LED 램프의 동작 전압인 약 3V보다 낮아지면 전력이 남아 있음에도 LED 램프의 작동은 중지된다. DC-DC 컨버터 회로는 2차 전지의 전압이 LED 램프의 동작 전압 이상을 유지하도록 승압하거나 또는 소정의 정전압을 유지하는 회로이다.
충전 회로는 전지 하우징(11)에서 2차 전지를 분리해서 충전한 다음 다시 장착하는 작업 없이 계속 사용할 수 있도록 2차 전지를 충전하는 회로이다.
디지털 기능 회로는 본 발명의 자전거용 다기능 플래쉬라이트가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디지털 기능을 구현한 회로이다. 예를 들어, 야외에서 레저용도로 자전거를 이용할 때에는 통상적으로 플래쉬라이트를 핸들에 장착한다. 자전거를 타 는 도중에 음악을 감상하는 것도 흔히 있는 동작이다. 그 밖에 속도계나 GPS 수신기를 더 장착하는 것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이러한 기능들을 하나의 장치, 즉 플래쉬라이트 내에서 구현한다면 관리 및 사용이 간편해질 수 있다. 상기 디지털 기능 회로는 이렇게 MP3 재생 기능, GPS 신호 수신 기능 등을 수행하는 회로이다.
나아가, 상기 디지털 기능 회로는 블루투스(Bluetooth)와 같은 통신 기능을 수행하는 회로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디지털 기능 회로는 블루투스로 연결된 휴대 전화와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기능 회로는 그 명칭에도 불구하고 반드시 디지털 기능이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아날로그 기능 예를 들어 AM 내지 FM 라디오 회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회로 하우징(13)에는 다수의 개구부가 형성되어, 각각의 개구부에는 램프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1 스위치(134), 디지털 기능 회로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2 스위치(135), 디지털 기능 회로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LED, 디지털 기능 회로에 대한 입력/출력 인터페이스, 무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안테나 인터페이스, 음성 신호 등을 입/출력할 수 있는 플러그, 충전 전원을 인가할 수 있는 플러그, 스피커, 마이크 등이 각각 장착될 수 있다. 나아가 회로 하우징(13)에는 이어폰 줄을 감거나 고정할 수 있도록 홈이 있는 돌출부(138)가 구비될 수 있다.
회로 하우징(13)의 상면에는 태양전지(15)가 장착될 수 있어, 야외 활동 중에 자연스럽게 태양광 또는 태양열로부터 전력을 생산하여 2차 전지를 충전시킬 수 있다.
회로 하우징(13)은 전지 하우징(11) 및 램프 하우징(12)과 마찬가지로 금속 재질로 제조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합성 수지로 제조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체결 수단이 더 추가될 수 있으며, 체결 수단은 무게 배분이 적절하도록 전지 하우징(11) 하부에 부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플래쉬라이트의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다기능 플래쉬라이트의 전지 하우징(11), 램프 하우징(12), 회로 하우징(13)이 나타나 있다.
전지 하우징(11)에는 2차 전지(111)가, 램프 하우징(12)에는 램프(121)가, 회로 하우징(13)에는 회로 기판들(131, 132, 133)이 각각 수납되어 있다.
전지 하우징(11)과 램프 하우징(12) 사이에는 전원 분리부(14)가 있다. 전원 분리부(14)는 2차 전지(111)로부터 램프(121)에 제공되는 전원 경로와 2차 전지(111)로부터 디지털 기능 회로 기판(133)에 제공되는 전원 경로를 각각 분리시키기 위한 부분이다. 전원 분리부(14)를 이용함으로써, 램프 기능과 디지털 기능 동작은 전원을 공통적으로 사용하면서도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전원 분리부(14)는 적어도 두 개의 서로 절연된 도체 부재를 포함하는데, 하나의 도체 부재는 2차 전지(111)의 양극과 각 회로들의 전원 단자 사이를 연결하며, 다른 하나의 도체 부재는 DC-DC 컨버터 회로의 출력 전압과 램프(121)의 양극 사이를 연결한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전원 분리부(14)의 도체 부재와 램프(121)의 양극 사이에 스프링 형상의 도체 부재(미도시)를 이용하여 양측을 서로 밀착시킬 수 있다.
회로 하우징(13) 내에는 DC-DC 컨버터 회로 기판(131), 충전 회로 기판(132), 디지털 기능 회로 기판(133)이 각각 적절한 위치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회로 기판들(131, 132, 133) 중 적어도 하나와 2차 전지(111)의 음극 사이에는 스프링 도체 부재(SP1)가 개재하여, 상기 회로 기판에 접지 전압을 제공한다. 상기 회로 기판들(131, 132, 133) 중 또 다른 하나와 상기 전지 하우징(11) 사이에도 스프링 도체 부재(SP2)가 개재하여, 그 회로 기판에 접지 전압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스프링 도체 부재는 금속편 등 적절한 도체 부재로 대체될 수 있다.
회로 하우징(13)에는 램프(121)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1 스위치(134), 디지털 기능 회로 기판(133)의 디지털 기능 회로 동작을 제어하는 제2 스위치(135), 디지털 기능 회로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LED, 디지털 기능 회로에 대한 입력/출력 인터페이스, 무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안테나 인터페이스, 음성 신호 등을 입/출력할 수 있는 플러그, 충전 전원을 인가할 수 있는 플러그, 스피커, 마이크 등을 각각 장착할 수 있는 개구 부분들이 형성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회로 하우징(13)에는 태양전지가 더 장착될 수 있다. 나아가 회로 하우징(13)에는 이어폰 줄을 감거나 고정할 수 있도록 홈이 있는 돌출부가 구비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플래쉬라이트의 회로 연결을 예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다기능 플래쉬 라이트는 2차 전지(111), 전원 분리부(14), 램프(121), 회로들(131, 132, 133), 제1 스위치(134) 및 제2 스위치(135)를 포함한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추가적으로 충전 회로(132)와 디지털 기능 회로(133)의 동작 상태를 알려주는 LED가 더 포함될 수 있다.
2차 전지(111)의 양극으로부터 전원 분리부(14)를 거쳐 DC-DC 컨버터 회로(131), 충전 회로(132), 디지털 기능 회로(133)가 연결된다. DC-DC 컨버터 회로(131)의 출력 전압은 제1 스위치(134)와 전원 분리부(14)를 거쳐 램프(121)로 인가될 수 있다. 전원 분리부(14)와 디지털 기능 회로(133) 사이에는 제2 스위치(135)가 위치하여 디지털 기능 회로(133)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DC-DC 컨버터 회로(131)는 사용에 따라 낮아지는 2차 전지(111)의 출력 전압을 승압 또는 레귤레이팅하여 정전압을 출력하거나, 또는 2차 전지(111)의 출력 전압으로부터 정전류를 생성하여 램프(121)에 공급할 수 있다.
충전 회로(132)는 외부로부터 충전 전원을 인가받아 2차 전지(111)에 충전을 수행한다. 충전 회로(132)는 전용 충전 어댑터로부터 충전 전원을 인가받을 수도 있고, 휴대전화 표준 충전기로부터 충전 전원을 인가받을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태양전지(15)로부터 충전 전원을 인가받을 수 있다.
디지털 기능 회로(133)는 GPS 기능, MP3 등 미디어 재생 및 녹음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는 회로들을 포함하며, 이러한 회로들은 종래의 기술로 구현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임베디드 IC로 구현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플래쉬라이트의 회로 연결을 예시한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다기능 플래쉬 라이트는 2차 전지(111), 전원 분리부(14), 램프(121), 회로들(131a, 132, 133), 제1 내지 제3 스위치들(134, 135, 136) 및 조도 센서(CDS, 139)를 포함한다. 도 3과 마찬가지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추가적으로 충전 회로(132)와 디지털 기능 회로(133)의 동작 상태를 알려주는 LED가 더 포함될 수 있다.
DC-DC 컨버터 회로(131a)는 도 3과 달리, 조도 센서(139)와 제3 스위치(136)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3 스위치(136)가 온 위치에 있을 때에는 조도 센서(139)가 외부 환경의 밝기에 따라 램프(121)의 점등을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조도 센서(139)는 주변이 소정의 밝기보다 어두워질 때에 통전되며 램프(121)에 전원을 공급하고, 주변이 소정의 밝기보다 밝을 때에는 컷오프되며 램프(121)에 전원 공급을 차단한다. 상기 조도 센서(139) 및 제3 스위치(136)는 제2 스위치(135)와는 독립적으로 동작하기 때문에, 제2 스위치(135)가 오프 상태이더라도 주변 밝기에 따라 램프(121)가 자동으로 발광하도록 할 수 있다. 반대로, 제2 스위치(135)가 온 상태이면, 상기 조도 센서(139) 및 제3 스위치(136)의 통전 상태 여부는 램프(121)의 발광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플래쉬라이트는 DC-DC 컨버터 회로(131)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으며, 이 경우에 전원 분리부(14)를 거친 전원이 DC-DC 변환되지 않고 그대로 상기 제2 스위치(135)를 거치거나 또는 상기 제3 스위치(136)와 조도 센서(139)를 거쳐 램프(121)로 공급될 수 있다.
다른 회로들과 구성 요소들은 도 3의 상응하는 구성요소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플래쉬라이트의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다기능 플래쉬라이트의 램프 하우징(22) 및 회로 하우징(23)이 나타나 있다.
램프 하우징(22)에는 램프(221)가, 회로 하우징(23)에는 디지털 기능회로가 장착된 디지털 기능 회로 기판(233)이 각각 수납되어 있다.
회로 하우징(23) 내에는 전원 분리부(24)가 있다. 전원 분리부(24)는 외부 전원으로부터 램프(221)로 전기적 경로를 연결하기 위한 전도체와 외부 전원으로부터 디지털 기능 회로 기판(233)으로 전기적 경로를 연결하기 위한 전도체를 각각 분리시키기 위한 부분이다. 전원 분리부(24)를 이용함으로써, 램프 기능과 디지털 기능은 외부 전원을 공통적으로 사용하면서도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전원 분리부(24)는 적어도 두 개의 서로 절연된 도체 부재를 포함하는데, 하나의 도체 부재는 외부 전원의 양극과 디지털 기능 회로 기판(233) 사이를 연결하며, 다른 하나의 도체 부재는 외부 전원의 양극과 램프(221)의 양극 사이를 연결한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전원 분리부(24)의 도체 부재와 램프(221)의 양극 사이에 스프링 형상의 도체 부재를 이용하여 양측을 서로 밀착시킬 수 있다.
회로 하우징(23) 내에는 디지털 기능 회로 기판(233)이 적절한 위치에 고정되어 있다.
회로 하우징(23)에는 램프(221)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1 스위치(미도시), 디지털 기능 회로 기판(233)에 장착된 디지털 기능 회로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2 스위치(235), 디지털 기능 회로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LED, 디지털 기능 회로에 대한 입력/출력 인터페이스, 무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안테나 인터페이스, 음성 신호 등을 입/출력할 수 있는 플러그, 충전 전원을 인가할 수 있는 플러그, 스피커, 마이크 등을 각각 장착할 수 있는 개구 부분들이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회로 하우징(23)에는 이어폰 줄을 감거나 고정할 수 있도록 홈이 있는 돌출부가 구비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플래쉬라이트의 회로 연결을 예시한 블록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다기능 플래쉬 라이트는 전원 분리부(24), 램프(221), 디지털 기능 회로 기판(233), 제1 스위치(234) 및 제2 스위치(235)를 포함한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추가적으로 디지털 기능 회로의 동작 상태를 알려주는 LED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외부 전원의 양극 전압은 전원 분리부(24)를 거쳐 제1 스위치(234)를 통해 램프(221)로 인가될 수 있다. 외부 전원의 양극으로부터 전원 분리부(24)를 거쳐 제2 스위치(235)를 통해 디지털 기능 회로 기판(233)의 디지털 기능 회로가 연결된다.
디지털 기능 회로 기판(233)에 장착된 디지털 기능 회로는 GPS 기능, MP3 등 미디어 재생 및 녹음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는 회로들을 포함하며, 이러한 회로들은 종래의 기술로 구현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임베디드 IC로 구현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와 균등하거나 또는 등가적인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플래쉬라이트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플래쉬라이트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플래쉬라이트의 회로 연결을 예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플래쉬라이트의 회로 연결을 예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플래쉬라이트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플래쉬라이트의 회로 연결을 예시한 블록도이다.

Claims (14)

  1. 발광 다이오드(LED) 램프(121)가 장착된 램프 하우징(12);
    2차 전지(111)를 수납하고, 공통 접지를 제공하며, 램프 하우징(12)과 기계적으로 결합되는 전지 하우징(11);
    상기 2차 전지(111)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소정의 디지털 기능을 수행하는 디지털 기능 회로(133), 제1 스위치(134) 및 제2 스위치(135)를 장착시킬 수 있으며, 상기 전지 하우징(11)과 기계적으로 결합되는 회로 하우징(13); 및
    상기 2차 전지(111)와 상기 LED 램프(121)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스위치(134)를 통해 상기 LED 램프(121)로 연결되는 도체 부재와 상기 제2 스위치(135)를 통해 상기 디지털 기능 회로(133)로 연결되는 도체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도체 부재들 사이는 서로 절연된 전원 분리부(14)를 포함하는 다기능 플래쉬라이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로 하우징(13)은 그 내부에 상기 LED 램프(121)의 발광에 적합하도록 상기 2차 전지(111)의 전압을 변환하는 직류 컨버터 회로(131)를 더 장착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플래쉬라이트.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로 하우징(13)은
    그 내부에 상기 2차 전지(111)에 충전하는 충전 회로(132)를 더 장착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플래쉬라이트.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회로 하우징(13)은
    그 외부 표면에 상기 충전 회로(132)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연결된 태양전지(15)를 더 장착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플래쉬라이트.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회로 하우징(13)은
    그 외부 표면에 상기 충전 회로(132)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휴대 전화 표준 충전기 인터페이스를 더 장착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플래쉬라이트.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로 하우징(13)은 외부의 광량에 따라 상기 LED 램프(121)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조도 센서(139)를 더 장착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플래쉬라이트.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회로 하우징(13)은 상기 조도 센서(139)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3 스위치(136)를 더 장착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플래쉬라이트.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디지털 기능은 디지털 오디오 재생, GPS 신호 수신, 디지털 통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플래쉬라이트.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로 하우징(13)은 이어폰 줄을 감거나 고정할 수 있도록 홈이 형성된 돌출부(13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플래쉬라이트.
  10. 발광 다이오드(LED) 램프(221)가 장착된 램프 하우징(22);
    외부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소정의 디지털 기능을 수행하는 디지털 기능 회로(233), 제1 스위치(234) 및 제2 스위치(235)를 장착시킬 수 있으며, 상기 램프 하우징(22)과 기계적으로 결합되는 회로 하우징(23); 및
    상기 외부의 전원으로부터 상기 제1 스위치(234)를 통해 상기 LED 램프(221)로 연결되는 도체 부재와 상기 제2 스위치(235)를 통해 상기 디지털 기능 회로(233)로 연결되는 도체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도체 부재들 사이는 서로 절연된 전원 분리부(24)를 포함하는 다기능 플래쉬라이트.
  11. 삭제
  12. 삭제
  13.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디지털 기능은 디지털 오디오 재생, GPS 신호 수신, 디지털 통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플래쉬라이트.
  14.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회로 하우징은 이어폰 줄을 감거나 고정할 수 있도록 홈이 형성된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플래쉬라이트.
KR2020090009383U 2009-07-20 2009-07-20 자전거용 다기능 플래쉬라이트 KR20044854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9383U KR200448544Y1 (ko) 2009-07-20 2009-07-20 자전거용 다기능 플래쉬라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9383U KR200448544Y1 (ko) 2009-07-20 2009-07-20 자전거용 다기능 플래쉬라이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8093U KR20090008093U (ko) 2009-08-07
KR200448544Y1 true KR200448544Y1 (ko) 2010-04-21

Family

ID=413005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9383U KR200448544Y1 (ko) 2009-07-20 2009-07-20 자전거용 다기능 플래쉬라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854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0788B1 (ko) * 2012-08-24 2012-12-13 김승우 자전거 휠 발광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4698B1 (ko) * 2012-07-06 2014-05-15 강준묵 자전거용 블루투스 스피커 유닛
KR101292822B1 (ko) * 2012-11-09 2013-08-07 이제균 태양광을 이용한 엘이디 조명 장치
WO2020122295A1 (ko) * 2018-12-14 2020-06-18 이재용 라이트 소형화를 위한 구조 및 방법과 이들이 적용된 자전거용 라이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86460A (ja) * 1995-09-25 1997-03-31 Oomu:Kk 二輪車盗難警報機能付、夜間走行表示器
US20050281020A1 (en) 2004-06-16 2005-12-22 Liaw Suh J Battery charger for water-resistant flashlight
KR20070013253A (ko) * 2006-12-22 2007-01-30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자가발전기, 연료전지, 태양전지를 이용한 자전거용 전원공급 장치
US20090147505A1 (en) * 2007-12-05 2009-06-11 Mark Robinett Rechargeable portable Light with Multiple Charging System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86460A (ja) * 1995-09-25 1997-03-31 Oomu:Kk 二輪車盗難警報機能付、夜間走行表示器
US20050281020A1 (en) 2004-06-16 2005-12-22 Liaw Suh J Battery charger for water-resistant flashlight
KR20070013253A (ko) * 2006-12-22 2007-01-30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자가발전기, 연료전지, 태양전지를 이용한 자전거용 전원공급 장치
US20090147505A1 (en) * 2007-12-05 2009-06-11 Mark Robinett Rechargeable portable Light with Multiple Charging System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0788B1 (ko) * 2012-08-24 2012-12-13 김승우 자전거 휠 발광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8093U (ko) 2009-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082989A1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improving LED performance
CN106678582B (zh) 多模式手电筒装置及系统
US10010143B2 (en) Umbrella with a bluetooth sound device
US9410666B2 (en) Modular lamp
US20070052385A1 (en) Streetlight powered by solar energy
KR200448544Y1 (ko) 자전거용 다기능 플래쉬라이트
US20150103517A1 (en) Rechargeable Lighting Devices
US20130181623A1 (en) Power source apparatus and lighting apparatus
US20150311747A1 (en) Mini solar portable multi-device
CN104470092A (zh) 一种调光手电筒的控制电路及无极调光手电筒
US20180175663A1 (en) Solar dual-system controller and control circuit thereof
KR101048754B1 (ko) 충전이 가능한 휴대용 조명장치
CN201137823Y (zh) 轻小型两用手电筒
CN201521805U (zh) 太阳能手提灯
CN208349017U (zh) 轻便聚光灯
KR101089043B1 (ko) 비상용 전원을 구비한 충전식 엘이디 랜턴
US20120155068A1 (en) Multifunction electricity generating assembly using solar power
KR200428262Y1 (ko) 솔라셀을 이용한 휴대형 통신단말기 충전장치
CN218845799U (zh) 多功能野外应急手提灯
CN207421845U (zh) 一种usb充电式手电筒
CN211976571U (zh) 一种多功能照明灯泡
US20100165608A1 (en) Warning lamp with emergency power
CN211345111U (zh) 一种多功能太阳能灯
CN210724824U (zh) 一种便携式多功能的手摇充电收音机
CN216556581U (zh) 多功能手电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5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