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8525Y1 - Stick - Google Patents

Stic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8525Y1
KR200448525Y1 KR2020090006605U KR20090006605U KR200448525Y1 KR 200448525 Y1 KR200448525 Y1 KR 200448525Y1 KR 2020090006605 U KR2020090006605 U KR 2020090006605U KR 20090006605 U KR20090006605 U KR 20090006605U KR 200448525 Y1 KR200448525 Y1 KR 20044852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dentification member
handle
cane
receiving groove
handl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6605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상순
Original Assignee
김상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순 filed Critical 김상순
Priority to KR20200900066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8525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852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8525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9/00Apparatus for mountaineering
    • A63B29/08Hand equipment for climb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9/00Details
    • A45B9/02Handles or hea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Walking Sticks, Umbrellas, And Fans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지팡이가 개시된다. 지팡이 몸체; 및 상기 지팡이 몸체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부는, 수용홈이 형성된 손잡이 몸체; 및 상기 수용홈에 인출입 가능하게 설치되는 식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식별부재는 상기 수용홈에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 몸체의 외부에서 식별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팡이는 손잡이부는 식별부재가 수용홈에 인입된 상태에서 손잡이 몸체의 외부에서 식별이 가능하도록 형성됨으로써, 사용자는 식별부재에 배치되거나 표시된 표식 등을 손잡이 몸체의 외부에서 식별하여 자신의 지팡이인지 또는 타인의 지팡이인지를 용이하게 구별할 수 있다. 또한, 식별부재의 노출부의 측면에는 오목하거나 볼록한 걸림부가 형성됨으로써, 사용자는 손가락을 걸림부에 건 상태로 식별부재를 잡아당기면 수용홈으로부터 식별부재를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다.The wand is disclosed. Cane body; And a handle installed at an upper end of the cane body, wherein the handle includes: a handle body having a receiving groove; And an identification member installed to be retractable from the receiving groove, wherein the identification member is recognizable from the outside of the handle body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Since it is formed to be identified from the outside of the handle body in the recessed state, the user can easily identify whether it is his own stick or another person's stick by identifying a mark placed on or displayed on the identification member from the outside of the handle body. Can be. In addition, the concave or convex locking portion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exposed portion of the identification member, so that the user can easily withdraw the identification member from the receiving groove by pulling the identification member with the finger on the locking portion.

지팡이, 손잡이, 식별부재 Walking stick, handle, identification

Description

지팡이{Stick}Stick {Stick}

본 고안은 지팡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ne.

일반적으로 등산 및 레저용 지팡이는 상호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파이프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지팡이는 인접한 파이프 간의 상대 위치를 조정하여 지팡이 전체 길이를 조절한다.Generally, hiking and leisure canes comprise a plurality of pipes that are slidably coupled to each other. Such a cane adjusts the relative position between adjacent pipes to adjust the overall length of the cane.

이와 같은 종래의 지팡이는 동일한 디자인을 갖는 다른 지팡이와 구별이 용이하지 않아 여러 사람이 동일한 디자인의 지팡이를 사용하는 경우 혼동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Such a cane is not easily distinguished from other canes having the same design, and confusion occurs when several people use a cane having the same design.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다른 지팡이와 식별이 용이하도록 구성된 지팡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ane configured to facilitate identification with other canes.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지팡이 몸체; 및 상기 지팡이 몸체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부는, 수용홈이 형성된 손잡이 몸체; 및 상기 수용홈에 인출입 가능하게 설치되는 식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식별부재는 상기 수용홈에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 몸체의 외부에서 식별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팡이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object, cane body; And a handle installed at an upper end of the cane body, wherein the handle includes: a handle body having a receiving groove; And an identification member installed to be retractable from the accommodation groove, wherein the identification member is provided to be distinguishable from the outside of the handle body in a state in which the identification member is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on groove.

상기 수용홈은 상기 손잡이 몸체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 몸체의 상단부는 상기 식별부재가 보이는 재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receiving groove may be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handle body, the upper end of the handle body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material that the identification member is visible.

상기 수용홈은 상기 손잡이 몸체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개방될 수 있다.The receiving groove may be opened to the front or rear of the handle body.

상기 지팡이 몸체는 상호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복수의 파이프 중 최상단 파이프의 상단부에 설치될 수 있다.The wand body may include a plurality of pipes slidably coupled to each other, and the handle part may be installed at an upper end of the uppermost pipe of the plurality of pipes.

상기 식별부재는, 상기 수용홈에 인출입되는 식별부재 몸체; 및 상기 식별부재 몸체의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식별부재 몸체가 상기 수용홈에 인입 시 상기 수용홈의 외부로 노출되는 노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identification member, the identification member body drawn in and out of the receiving groove; And an exposed part formed at an end of the identification member body and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accommodation groove when the identification member body is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on groove.

상기 노출부의 측면에는 오목하거나 볼록한 걸림부가 형성될 수 있다.A side of the exposed portion may be formed with a concave or convex locking portion.

상기 손잡이 몸체의 측면에는 보조식별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An auxiliary identifying member may be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handle body.

상기 보조식별부재는 상기 손잡이 몸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The auxiliary identifying member may be detachably installed on the handle body.

본 고안에 따르면, 손잡이부는 식별부재가 수용홈에 인입된 상태에서 손잡이 몸체의 외부에서 식별이 가능하도록 형성됨으로써, 사용자는 식별부재에 배치되거나 표시된 표식 등을 손잡이 몸체의 외부에서 식별하여 자신의 지팡이인지 또는 타인의 지팡이인지를 용이하게 구별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andle portion is formed to be identified from the outside of the handle body in the state that the identification member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so that the user can identify the marking or the like placed on the identification member from the outside of the handle body to his own stick It can be easily distinguished whether or not it is someone's staff.

또한, 식별부재의 노출부의 측면에는 오목하거나 볼록한 걸림부가 형성됨으로써, 사용자는 손가락을 걸림부에 건 상태로 식별부재를 잡아당기면 수용홈으로부터 식별부재를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cave or convex locking portion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exposed portion of the identification member, so that the user can easily withdraw the identification member from the receiving groove by pulling the identification member with the finger on the locking portion.

또한, 손잡이 몸체의 측면에 보조식별부재가 설치됨으로써, 사용자는 자신의 지팡이인지 또는 타인의 지팡이인지를 용이하게 구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uxiliary identification member is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handle body, the user can easily distinguish whether the stick of his or another.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or corresponding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팡이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지팡이(100)는 지팡이 몸체(110)와, 손잡이부(120)를 포함한다.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a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the can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cane body 110 and a handle part 120.

지팡이 몸체(110)는 상호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파이프(11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지팡이(100)는 등산용 또는 레저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Cane body 11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plurality of pipes 112 that are slidably coupled to each other. In this case, the cane 100 may be used for climbing or leisure.

여기서, 각 파이프(112)를 상호 슬라이딩 시켜 지팡이 몸체(110)의 전체 길이를 조절하는 방법은 등산용 지팡이의 일반적인 메커니즘을 따른다. Here, the method of adjusting the overall length of the cane body 110 by sliding each pipe 112 mutually follows the general mechanism of the cane for climbing.

지팡이 몸체(110)의 상단부에는 손잡이부(120)가 설치된다. 보다 상세히, 도 1을 참조하면, 손잡이부(120)는 지팡이 몸체(110)를 구성하는 복수의 파이프(112) 중 최상단 파이프(112a)의 상단부에 설치될 수 있다.The handle 120 is installed at the upper end of the cane body 110. In more detail, referring to FIG. 1, the handle part 120 may be installed at an upper end portion of the uppermost pipe 112a among the plurality of pipes 112 constituting the stick body 110.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팡이에 포함되는 손잡이부(120)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손잡이부(120)는 손잡이 몸체(122)와, 식별부재(124)를 포함한다.Figure 2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handle portion 120 included in the ca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2, the handle part 120 includes a handle body 122 and an identification member 124.

손잡이 몸체(122)는 지팡이(100)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파지하는 부분으로서, 파지하기 용이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에서 사용자가 지팡이(100)를 앞에 놓은 상태에서 손잡이 몸체(122)를 파지한 경우, 손잡이 몸체(122)의 전방을 F로 표시한다.The handle body 122 is a part held by a user who uses the cane 100 and may be formed in a shape that is easy to grip. In FIG. 2, when the user grips the handle body 122 in a state where the cane 100 is placed in front, the front of the handle body 122 is indicated by F. FIG.

손잡이 몸체(122)에는 수용홈(123)이 형성된다. 수용홈(123)은 손잡이 몸체(122)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수용홈(123)은 도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손잡이 몸체(122)의 전방으로 개방될 수 있다.The receiving body 123 is formed in the handle body 122. Receiving groove 123 may be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handle body (122). In this case, the receiving groove 123 may be opened to the front of the handle body 122, as can be seen in FIG.

한편으로, 수용홈(123)은 손잡이 몸체(122)의 후방으로 개방될 수 있다. 또는 수용홈(123)은 손잡이 몸체(122)의 좌측 또는 우측으로 개방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receiving groove 123 may be opened to the rear of the handle body 122. Alternatively, the receiving groove 123 may be opened to the left or right of the handle body 122.

본 실시예에 따르면, 수용홈(123)에 식별부재(124)가 인출입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식별부재(124)는 식별부재 몸체(127)와, 노출부(128)를 포함할 수 있 다. 식별부재 몸체(127)는 수용홈(123)에 인입되는 구성으로서, 식별부재 몸체(127)의 일 면 및 타 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에는 식별 가능한 표식 등이 배치되거나 표시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identification member 124 may be installed in the receiving groove 123 to be withdrawn. The identification member 124 may include an identification member body 127 and an exposed portion 128. The identification member body 127 is configured to be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123, and at least one of one surface and the other surface of the identification member body 127 may be disposed or displayed.

식별부재 몸체(127)의 단부에는 노출부(128)가 형성될 수 있다. 노출부(128)는 식별부재 몸체(128)가 수용홈(123)에 인입 시 수용홈(123)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An exposed portion 128 may be formed at an end of the identification member body 127. The exposed part 128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receiving groove 123 when the identification member body 128 is drawn into the receiving groove 123.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별부재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식별부재(124)의 노출부(128)의 측면에는 오목한 걸림부(129)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손가락을 걸림부(129)에 건 상태로 식별부재(124)를 잡아당기면 수용홈(123)(도 2 참조)으로부터 식별부재(124)를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다.3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n identification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3, a concave engaging portion 129 may be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exposed portion 128 of the identification member 124. In this case, the user can easily pull out the identification member 124 from the receiving groove 123 (see FIG. 2) by pulling the identification member 124 with the finger held on the locking portion 129.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별부재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식별부재(124')의 노출부(128')의 측면에는 볼록한 걸림부(129')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손가락을 걸림부(129')에 건 상태로 식별부재(124')를 잡아당기면 수용홈으로부터 식별부재(124')를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다.4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n identification mem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4, a convex locking portion 129 ′ may be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exposed portion 128 ′ of the identification member 124 ′. In this case, the user can easily pull out the identification member 124 'from the receiving groove by pulling the identification member 124' with the finger on the locking portion 129 '.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부(120)는 식별부재(124)가 수용홈(123)에 인입된 상태에서 손잡이 몸체(122)의 외부에서 식별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손잡이 몸체(122)의 상단부는 수용홈(123)에 인입된 식별부재(124)가 보이는 재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handle 120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may be formed to be distinguishable from the outside of the handle body 122 in a state in which the identification member 124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123. To this end, the upper end of the handle body 122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material that the identification member 124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123 is visible.

이에 따라, 사용자는 식별부재(124)에 배치되거나 표시된 표식 등을 손잡이 몸체(122)의 외부에서 식별하여 자신의 지팡이인지 또는 타인의 지팡이인지를 용이하게 구별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user can easily distinguish whether the cane is his own stick or another person's stick by identifying a mark or the like placed on the identification member 124 from the outside of the handle body 122.

도 1을 참조하면, 손잡이 몸체(122)의 측면에는 보조식별부재(130)이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보조식별부재(130)는 손잡이 몸체(122)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의 지팡이와 타인의 지팡이를 용이하게 구별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n auxiliary identifying member 130 may be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handle body 122. In this case, the auxiliary identifying member 130 may be detachably installed on the handle body 122. Accordingly, the user can easily distinguish his staff and someone else's staff.

본 실시예에 따르면, 손잡이부(120)는 도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손잡이 끈(12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손잡이 끈(126)은 폐루프를 형성하고, 손잡이 몸체(122)에 측부에 설치될 수 있다. 손잡이 끈(126)에 의해 형성된 폐루프에 사용자의 손목이 위치되고, 사용자의 손목이 폐루프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손잡이부(120)를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handle portion 120 may further include a handle strap 126 as can be seen in FIG. The handle strap 126 forms a closed loop and may be installed at the side of the handle body 122. The user's wrist may be positioned in a closed loop formed by the handle strap 126, and the user's wrist may be supported by the closed loop. Accordingly, the user can easily grip the handle portion 120.

이상에서 본 고안의 일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고안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Althoug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presented herei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ho underst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idea, Other embodiments may be easily proposed by addition, modification, deletion, addition, etc., but this also fall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팡이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a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팡이에 포함되는 손잡이부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고,Figure 2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handle portion included in the ca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별부재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3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n identification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별부재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4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n identification mem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10 : 지팡이 몸체 112a : 최상단 파이프110: cane body 112a: top pipe

120 : 손잡이부 122 : 손잡이 몸체120: handle portion 122: handle body

123 : 수용홈 124 : 식별부재123: receiving groove 124: identification member

126 : 손잡이 끈 127 : 식별부재 몸체126: hand strap 127: identification member body

128 : 걸림부 130 : 보조식별부재128: locking portion 130: auxiliary identifying member

Claims (8)

지팡이 몸체; 및Cane body; And 상기 지팡이 몸체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고,A handle part installed at an upper end of the cane body, 상기 손잡이부는,The handle portion, 수용홈이 형성된 손잡이 몸체; 및A handle body having a receiving groove formed therein; And 상기 수용홈에 인출입 가능하게 설치되는 식별부재를 포함하고,It includes an identification member that is installed in the retractable groove, 상기 식별부재는 상기 수용홈에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 몸체의 외부에서 식별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팡이.The cane, characterized in that the identification member can be identified from the outside of the handle body in the retracted state into the receiving groov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수용홈은 상기 손잡이 몸체의 상부에 형성되고,The receiving groove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handle body, 상기 손잡이 몸체의 상단부는 상기 식별부재가 보이는 재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팡이. Cane,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end of the handle body comprises a material that the identification member is visible.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수용홈은 상기 손잡이 몸체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팡이.Cane, characterized in that the receiving groove is opened to the front or rear of the handle body.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지팡이 몸체는 상호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파이프를 포함하고,The wand body includes a plurality of pipes slidably coupled to each other,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복수의 파이프 중 최상단 파이프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팡이.The handle portion cane, characterized in that installed on the upper end of the uppermost pipe of the plurality of pipes. 제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식별부재는,The identification member, 상기 수용홈에 인출입되는 식별부재 몸체; 및An identification member body drawn in and out of the receiving groove; And 상기 식별부재 몸체의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식별부재 몸체가 상기 수용홈에 인입 시 상기 수용홈의 외부로 노출되는 노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팡이.Is formed on the end of the identification member body, the cane, characterized in that the identification member body includes an exposed portion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receiving groove when the receiving groove.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노출부의 측면에는 오목하거나 볼록한 걸림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팡이.Can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cave or convex engaging portion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exposed portion. 제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손잡이 몸체의 측면에는 보조식별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팡이.Cane, characterized in that the auxiliary identification member is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handle body. 제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보조식별부재는 상기 손잡이 몸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팡이.The auxiliary identification member is a cane, characterized in that detachably installed on the handle body.
KR2020090006605U 2009-03-14 2009-05-29 Stick KR200448525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6605U KR200448525Y1 (en) 2009-03-14 2009-05-29 Stic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1930 2009-03-14
KR2020090006605U KR200448525Y1 (en) 2009-03-14 2009-05-29 Stick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8525Y1 true KR200448525Y1 (en) 2010-04-21

Family

ID=442379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6605U KR200448525Y1 (en) 2009-03-14 2009-05-29 Stic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8525Y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70521U (en) 1982-11-05 1984-05-14 株式会社ダイト− Umbrella name tag holder
JPH0354830A (en) * 1989-07-24 1991-03-08 Seiko Epson Corp Semiconductor device and manufacture thereof
KR200227874Y1 (en) 2000-08-24 2001-06-15 윤병준 stick for mounting with compas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70521U (en) 1982-11-05 1984-05-14 株式会社ダイト− Umbrella name tag holder
JPH0354830A (en) * 1989-07-24 1991-03-08 Seiko Epson Corp Semiconductor device and manufacture thereof
KR200227874Y1 (en) 2000-08-24 2001-06-15 윤병준 stick for mounting with compas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18857Y1 (en) Sports for glove
WO2016061364A1 (en) Walking stick
US8714173B2 (en) Walking aid with support
US10105278B2 (en) Apparatus for aiding mobility of a user
KR200448525Y1 (en) Stick
US20160255926A1 (en) Walking stick
US10016032B1 (en) Handy cane walking cane with integrated grasper tool
US20100154850A1 (en) Covertible trek pole
KR200452258Y1 (en) Climbing stick
US20070187441A1 (en) Telescoping and folding shoe horn
KR101472658B1 (en) trekking Pole
KR102499786B1 (en) The structure of a climbing stick
US10507371B2 (en) Handle for a cognitive training device and cognitive training device comprising same
KR100953887B1 (en) Stick
US20040163693A1 (en) Innovative handle grip for walking stick
CN105942684A (en) Telescopic anti-skid walking stick
EP2802391B1 (en) A hand strap for a skiing pole or similar
JP2014161404A (en) Cane with built-in shoehorn
CN206197250U (en) A kind of outdoor mountain-climbing aids in walking stick
CN205371211U (en) Drawing pin
US20140360544A1 (en) Cane, crutch and walking stick retrieving tip
US9833049B1 (en) Multi-purpose perambulation aid with concealed locking means
CN106031542A (en) Luggage case structure
JP6257227B2 (en) Nordic walking walking pole
KR20140017360A (en) Alpine stick integrated with tong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