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8298Y1 - 전기 장판용 온도조절기 - Google Patents

전기 장판용 온도조절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8298Y1
KR200448298Y1 KR2020090014570U KR20090014570U KR200448298Y1 KR 200448298 Y1 KR200448298 Y1 KR 200448298Y1 KR 2020090014570 U KR2020090014570 U KR 2020090014570U KR 20090014570 U KR20090014570 U KR 20090014570U KR 200448298 Y1 KR200448298 Y1 KR 2004482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current
resistor
rectifier
m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45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준모
Original Assignee
박준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준모 filed Critical 박준모
Priority to KR20200900145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829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82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829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1/00Details of electric heating devices
    • H05B1/02Automatic switch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 Control of heating devices
    • H05B1/0202Switch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4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 A47C21/048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for heating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23/00Control of temperature
    • G05D23/19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35Electrical circuits used in resistive heating apparatu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ntrol Of Resistance Heating (AREA)
  •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고정 저항값을 갖는 저항 소자를 이용하는 취침 모드를 제공하는 전기 장판용 온도 조절기를 개시하며, 온도 조절기는 고정된 저항 값을 갖는 취침 저항과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저항 값이 가변될 수 있는 가변 저항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제 1 스위치의 절환 상태에 따라 제 1 정류부의 턴온을 제어하고, 상기 제 1 정류부에서 출력되는 교류 전류가 제 2 정류부를 통하여 매트로 공급되며, 상기 제 2 정류부는 상기 제 2 스위치의 절환에 연동되는 제 2 스위치의 절환에 의하여 전류 제어 소자와 퓨즈 저항 중 어느 하나를 통하여 상기 매트에 교류 전류를 공급하는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전기 장판용 온도 조절기에 취침 모드가 제공될 수 있고 취침 중에 사용자의 원치않는 오작동에 의하여 과전류가 공급되어서 과열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취침 중 고장에 의하여 과전류가 매트에 공급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전기 장판에 의하여 발생할 수 있는 안전 사고가 예방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전기 장판용 온도조절기{Temperature control apparatus for an electrical mat}
본 고안은 전기 장판용 온도 조절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고정 저항값을 갖는 저항 소자를 이용하는 취침 모드를 제공하여서 안정성을 확보한 전기 장판용 온도 조절기에 관한 것이다.
전기 장판은 전기 저항에 의하여 발생하는 열을 이용하여 바닥을 덥히도록 만든 장판이며, 거실이나 침실 등에 보온용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다.
전기 장판은 가정용 상용 교류 전원을 이용하며, 교류 전원에 연결된 상태에서 온도 조절용 볼륨을 조절하면 설정된 온도에 대응하는 가변 저항 값에 따라서 발열 정도가 조절되며, 사용자가 원하는 온도로 가열되는 기능을 갖는다.
대체로 전기 장판은 열선이 배치된 매트와 교류 전류를 안정적으로 매트에 공급하기 위한 온도조절기가 하나의 세트로 시판되고 있다.
전기 장판의 매트에는 최근에 인체에 해를 끼치는 전자파 성분을 상쇄시킨 무자계 방식이 채택된 열선이 많이 채용되고 있으며, 전기 장판의 온도조절기에는 과열 방지나 비정상 동작에 대응한 안전 장치가 많이 채용되고 있다.
상술한 전기 장판은 사용자의 취침에 대응한 안전 장치가 채용될 필요성이 있다. 즉, 사용자는 취침 중에 원하지 않게 온도 조절기를 건드릴 수 있으며 온도 조절기가 원하지 않게 과도하게 발열하는 상태로 변경되는 경우 그에 따른 일련의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취침 중인 사용자가 온도를 조절하는 볼륨을 건드려서 고온으로 매트가 가열되면 화상 또는 화재와 같은 안전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전기 장판에 취침에 대응한 안전 장치가 채용되어야 하며, 취침 상태에 매트 즉 부하인 히터에 공급되는 전류를 제한할 수 있는 장치의 제시가 소망되고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전기 장판용 온도 조절기는 취침 모드를 채용하여 취침 중에 원하지 않는 온도로 매트가 가열되는 것을 방지하여 장판을 안전하게 사용하는 것을 보장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전기 장판용 온도 조절기는 취침 모드를 채용하고 취침 모드로 설정된 상태에서 고장에 의한 과전류 공급이 발생하는 경우 매트에 전류를 공급하는 것을 차단함에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전기 장판용 온도 조절기는, 열선이 채용된 부하인 매트에 전원의 공급을 절환하는 메인 스위치; 턴온된 상기 메인 스위치를 통하여 전달되는 교류 전류의 양에 비례하여 발열하고 상기 발열에 따라 변화되는 커패시턴스의 값이 상응하여 상기 전원의 교류 파형을 지연하는 열감지센서를 포함하는 열감지 센서부; 제 1 스위치, 고정된 저항 값을 갖는 취침 저항 및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저항 값이 가변될 수 있는 가변 저항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스위치의 절환에 의하여 상기 취침 저항과 상기 가변 저항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열감지 센서부에서 전달되는 교류 전류를 증폭하여 제 1 감지신호로 제공하는 전류 제어부; 상기 메인 스위치와 병렬로 연결되며 상기 전류 제어부의 제 1 감지신호에 의하여 턴온 시간이 제어되는 제 1 전류 제어 소자를 포함하는 제 1 정류부; 및 병렬연결된 퓨즈 저항과 제 2 전류 제어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열감지 센서부에서 출력되는 교류 전류를 상기 제 2 전류 제어 소자에 제 2 감지신호로 제공하는 제 2 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스위치의 절환 상태에 따라 상기 제 2 전류 제어 소자가 턴온되며 상기 제 1 정류부에서 제공되는 교류 전류를 상기 2 스위치의 턴온 상태에 따라 상기 전류 제어 소자와 상기 퓨즈 저항 중 어느 하나를 통하여 상기 매트에 공급하는 제 2 정류부;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 스위치가 턴온 상태에서, 상기 제 1 스위치가 가변 저항을 선택하고 상기 제 2 전류 제어 소자가 턴온되면 상기 가변 저항의 저항값에 대응되는 교류 전류가 상기 제 1 정류부와 상기 제 2 정류부의 상기 제 2 전류 제어 소자를 통하여 상기 매트로 제공되며, 상기 제 1 스위치가 상기 취침 저항을 선택하고 상기 제 2 전류 제어 소자가 턴오프되면 상기 취침 저항의 저항값에 대응되는 교류 전류가 상기 제 1 정류부와 상기 제 2 정류부의 상기 퓨즈 저항을 통하여 상기 매트로 제공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제 1 스위치와 상기 제 2 스위치는 절환이 상호 연동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정류부와 상기 제 2 정류부의 상기 제 1 및 제 2 전류 제어 소자는 사이리스터(SCR)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의하면, 전기 장판용 온도 조절기에 취침 모드가 제공됨으로써 취침 중에 사용자의 원치않는 오작동에 의하여 과전류가 공급되어서 과열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취침 중 고장에 의하여 과전류가 매트에 공급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전기 장판에 의하여 발생할 수 있는 안전 사고가 예방되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전기 장판용 온도 조절기는 스위치를 조작함에 따라 선택될 수 있는 취침 모드와 일반 모드를 제공한다.
일반 모드는 가변 저항을 조절하여 열선이 채용된 부하인 매트에 공급되는 전류를 제어하여 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 상태를 정의하고, 취침 모드는 고정 저항을 이용하여 열선이 채용된 부하인 매트에 공급되는 전류를 제한하여 일정한 온도 이내로 매트가 발열하는 상태를 정의한다.
본 고안에 따른 전기 장판용 온도 조절기는 상용 교류 전류를 정류하고 정류된 전류를 열선이 채용된 부하인 매트에 제공하며 상술한 취침 모드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전기 장판용 온도 조절기는 취침 모드 상태에서 내부 부품의 고장으로 인하여 과전류가 공급되는 경우 퓨즈저항에 의하여 과전류의 공급을 차단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단자 AC1 및 AC2 사이에 상용 전원 즉 상용 교류 전류가 공급된다.
단자 AC1에는 직렬로 퓨즈(F1)가 구성되며, 퓨즈(F1)는 과도전류의 유입시 단락되어서 회로를 보호한다. 그리고, 단자 AC1 및 AC2와 병렬로 커패시터(C1)가 구성되며, 커패시터(C1)는 전력선을 통하여 유입될 수 있는 노이즈 성분이나 초기 과도 전류의 유입을 필터링하고 버퍼링한다.
그리고, 퓨즈(F1)에는 커패시터(C1)의 일단과 메인 스위치(SW1)의 일단 및 사이리스터(TA1)의 양극(+)이 병렬로 연결되며, 메인 스위치(SW1)에는 발광다이오드들(LD1, LD2)이 병렬로 연결된다.
발광다이오드(LD1)는 정상적으로 전원이 공급되는지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것이고, 발광다이오드(LD2)는 사용자가 온도를 설정하도록 지시하기 위하여 발광되는 것이며, 발광다이오드들(LD1, LD2)은 메인 스위치(SW1)가 턴온되면 발광된다.
발광다이오드들(LD1, LD2)에 병렬로 열감지 센서부(10)가 구성되며, 열감지 센서부(10)는 다이오드(D2), 커패시터(C2), 열감지센서(12), 및 저항들(R1, R6, R8, R9)을 포함한다. 다이오드(D2)와 커패시터(C2) 및 저항(R1)이 발광다이오드들(LD1, LD2)에 병렬로 연결되고, 다이오드(D2)에 저항(R6)이 직렬로 연결된다. 저항(R6)과 커패시터(C2)가 연결된 노드에는 저항(R8)이 연결되며, 저항(R8)과 저항(R9) 사이에 열감지센서(12)가 구성된다.
여기에서 열감지센서(12)는 통상 PVC 센서라고도 하며 온도가 올라가면서 센서의 커패시턴스 값이 변화되어 입력되는 교류 전류의 파형을 변화된 커패시턴스에 비례하여 지연시킨다. 즉, 부하인 매트(20)의 온도가 올라갈수록 열감지센서(12)에서 출력되는 교류 전류의 파형 즉 위상의 지연 시간이 길어진다. 여기에서 열감지센서(12)의 교류 전류의 위상 지연은 후술되는 사이리스터(TA1)의 턴온 시간을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서 교류 전류의 지연 시간만큼 사이리스터(TA1)의 턴온 시간이 줄어든다.
한편, 열감지 센서부(10)와 직렬로 전류 제어부(14)가 구성되며, 전류 제어부(14)는 트랜지스터들(Q1, Q2), 다이오드들(D1, D3), 저항들(R3, R7, R10, R11), 가변저항(VR1) 및 스위치(SW2)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저항(R10)은 열감지센서부(10)의 저항(R9)에 직렬 연결되고, 저항(R10)에 병렬로 저항(R7)과 가변저항(VR1)이 연결된다.
스위치(SW2)는 두 개의 선택단과 하나의 출력단을 갖는다. 스위치(SW2)의 두 개의 선택단에는 가변저항(VR1)과 저항(R7)이 각각 연결된다. 여기에서 가변저 항(VR1)은 일반모드를 위한 것이며, 저항(R7)은 취침 모드를 위한 고정 저항 즉 취침 저항이다. 스위치(SW2)는 일반모드인 경우 가변저항(VR1)을 선택하도록 스위칭 상태가 제어되고 취침모드인 경우 취침저항인 저항(R7)을 선택하도록 스위칭 상태가 제어된다. 스위치(SW2)는 스위칭 상태가 후술되는 제 2 정류부(18)의 스위치(SW3)와 연동되는 구성을 가짐이 바람직하며, 푸쉬 버턴이나 마그네틱 스위치 등과 같은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스위치(SW2)가 푸쉬 버턴으로 구성되는 경우 취침 모드를 위하여 스위치가 푸쉬된 경우 취침 중인 사용자가 원하지 않게 조작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스위치(SW2)의 출력단에는 다이오드(D3)의 음극(-)단에 연결된다. 다이오드(D3)의 양극(+)단은 저항(R3)과 트랜지스터(Q2)의 게이트에 연결된다. 다이오드(D3)는 저항(R3)를 경유하여 다이오드(D1) 및 저항(R11)을 경유하는 순방향 연결을 이룬다. 트랜지스터(Q1)와 트랜지스터(Q2)는 전류 증폭을 위한 다알링턴 결합을 이루며 트랜지스터(Q2)의 게이트에 인가되는 전류를 증폭하여 출력한다. 트랜지스터들(Q1, Q2)에 의하여 증폭되는 전류가 후술되는 제 1 감지신호이다.
전류 제어부(14)는 제 1 정류부(16)에 제 1 감지신호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며, 제 1 감지신호를 제공받는 제 1 정류부(16)는 상술한 사이리스터(TA1), 커패시터(C3) 및 저항(R2)를 포함하고, 사이리스터(TA1)의 게이트와 음극단 사이에 저항(R2)이 구성되며, 저항(R2)과 트랜지스터(Q1) 사이에 커패시터(C3)가 구성된다. 상술한 사이리스터(TA1)는 게이트에 인가되는 전압에 의하여 턴온이 제어된다.
그리고, 제 1 정류부(16)에서 출력되는 전류는 제 2 정류부(18)에 제공되며, 제 2 정류부(18)는 스위치(SW3)와 퓨즈저항(F2)과 사이리스터(TA2) 및 저항들(R12, R13)을 포함한다.
스위치(SW3)는 전류 제어부(14)의 스위치(SW2)의 스위칭 동작에 연동되어 스위칭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스위치(SW2)와 기계적으로 스위칭 기능이 결합된 스위치 또는 자력이나 전기력에 의하여 스위칭 상태가 스위치(SW2)에 연동되는 스위치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스위치(SW3)는 두 개의 선택단과 하나의 입력단을 가지며 입력단은 저항(R12)을 통하여 저항(R9) 및 저항(R10) 사이의 노드에 연결되며, 두 개의 선택단 중 하나는 오픈(또는 접지)되고 다른 하나는 저항(R13)을 통하여 사이리스터(TA2)의 게이트에 연결된다.
그리고, 퓨즈저항(F2)과 사이리스트(TA2)는 병렬로 연결된다. 여기에서, 퓨즈저항(F2)은 사이리스터(TA2)가 턴오프된 취침 모드에서 일정 수준 이하의 전류가 흐르도록 제어하며 정해진 용량 이상의 과전류가 흐르는 경우 전류의 흐름을 차단하는 기능을 갖는다. 취침 모드에서는 스위치(SW2)가 저항(R7)을 선택하고 스위치(SW2)의 스위칭 상태에 연동되는 스위치(SW3)는 오픈(또는 접지)된 선택단으로 스위칭되며, 그에 따라서 저항(R13)으로 전류가 공급되지 않아서 사이리스터(TA2)가 턴오프된다.
사이리스터(TA2)는 퓨즈저항(F2)과 병렬로 연결되며, 이들이 병렬로 연결된 노드는 저항(R12)와 스위치(SW3)의 입력단이 병렬로 연결된 노드와 공동으로 연결된다.
일반모드에서 스위치(SW2)가 가변저항(VR1)을 선택하고 스위치(SW2)의 스위칭 상태에 연동되는 스위치(SW3)가 저항(R13)을 선택하여 제 2 감지신호가 사이리스터(TA2)의 게이트에 인가되고, 그에 따라 사이리스터(TA2)는 턴온된다. 일반모드 상태에서 사이리스터(TA2)와 퓨즈저항(P1)의 전기적 경로가 모두 형성되지만 퓨즈저항(P1)의 저항값이 크기 때문에 실질적인 전류의 흐름은 사이리스터(TA2)를 통하게 된다.
그리고, 부하인 매트(20)에는 역기전력을 방지하기 위한 다이오드(D4)와 전류가 인가됨을 표시하기 위한 발광다이오드(LD3)가 병렬로 연결되고, 발광다이오드(LD3)에 저항(R14)이 직렬로 연결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취침모드와 일반모드로 구분되어 매트를 발열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즉, 일반모드인 경우 스위치(SW2)가 가변저항(VR1)을 선택함으로써 사용자가 가변저항(VR1)을 조작함에 따라 설정되는 저항값에 대응하여 사이리스터(TA1)를 통하여 흐르는 교류전류의 양이 제어되고, 제 1 정류부(16)에 포함된 사이리스터(TA1)을 통하여 공급되는 교류전류는 사이리스터(TA2)가 턴온된 상태인 제 2 정류부(18)를 통하여 매트로 공급된다. 이때 스위치(SW2)의 스위칭에 연동되는 스위치(SW3)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저항(R13)을 선택하는 상태로 스위칭되며, 그에 따라 사이리스터(TA2)의 게이트에는 제 2 감지신호가 인가되고 사이리스터(TA2)는 턴온된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취침모드인 경우, 스위치(SW2)이 고정 저항값을 갖는 저항(R7)을 선 택함으로써 사이리스터(TA1)를 통하여 흐르는 교류전류의 양이 고정되고, 제 1 정류부(16)에 포함된 사이리스터(TA1)을 통하여 공급되는 교류전류는 사이리스터(TA2)가 턴오프된 상태인 제 2 정류부(18)의 퓨즈저항(F2)을 통하여 매트(20)로 공급된다. 이때 스위치(SW2)의 스위칭에 연동되는 스위치(SW3)는 상술한 바와 같이 오픈(또는 접지)된 선택단으로 스위칭된 상태이며, 그에 따라 사이리스터(TA2)의 게이트에는 제 2 감지신호가 인가되지 않아서 사이리스터(TA2)는 턴오프된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취침 모드 상태에서 퓨즈저항(F2)을 통하여 매트(20)로 교류전류가 공급될 때 내부 부품의 고장 등의 이유로 과전류가 발생될 수 있다 .이때 퓨즈저항(F2)은 정해진 용량 이상의 과전류의 흐름이 발생하면 오프됨으로써 과전류로 인한 사고가 방지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가 동작됨에 따라 취침 모드 상태에서 사용자가 안정된 상태로 매트를 이용할 수 있고, 부품의 고장으로 과전류가 발생되는 경우 과전류가 차단됨으로써 취침 상태의 안전사고가 방지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전기장판용 온도조절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회로도.

Claims (3)

  1. 열선이 채용된 부하인 매트에 전원의 공급을 절환하는 메인 스위치;
    턴온된 상기 메인 스위치를 통하여 전달되는 교류 전류의 양에 비례하여 발열하고 상기 발열에 따라 변화되는 커패시턴스의 값이 상응하여 상기 전원의 교류 파형을 지연하는 열감지센서를 포함하는 열감지 센서부;
    제 1 스위치, 고정된 저항 값을 갖는 취침 저항 및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저항 값이 가변될 수 있는 가변 저항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스위치의 절환에 의하여 상기 취침 저항과 상기 가변 저항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열감지 센서부에서 전달되는 교류 전류를 증폭하여 제 1 감지신호로 제공하는 전류 제어부;
    상기 메인 스위치와 병렬로 연결되며 상기 전류 제어부의 제 1 감지신호에 의하여 턴온 시간이 제어되는 제 1 전류 제어 소자를 포함하는 제 1 정류부; 및
    병렬연결된 퓨즈 저항과 제 2 전류 제어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열감지 센서부에서 출력되는 교류 전류를 상기 제 2 전류 제어 소자에 제 2 감지신호로 제공하는 제 2 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스위치의 절환 상태에 따라 상기 제 2 전류 제어 소자가 턴온되며 상기 제 1 정류부에서 제공되는 교류 전류를 상기 2 스위치의 턴온 상태에 따라 상기 전류 제어 소자와 상기 퓨즈 저항 중 어느 하나를 통하여 상기 매트에 공급하는 제 2 정류부;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 스위치가 턴온 상태에서, 상기 제 1 스위치가 가변 저항을 선택하고 상기 제 2 전류 제어 소자가 턴온되면 상기 가변 저항의 저항값에 대응되는 교류 전류가 상기 제 1 정류부와 상기 제 2 정류부의 상기 제 2 전류 제어 소자를 통하여 상기 매트로 제공되며, 상기 제 1 스위치가 상기 취침 저항을 선택하고 상기 제 2 전류 제어 소자가 턴오프되면 상기 취침 저항의 저항값에 대응되는 교류 전류가 상기 제 1 정류부와 상기 제 2 정류부의 상기 퓨즈 저항을 통하여 상기 매트로 제공되는 전기 장판용 온도 조절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위치와 상기 제 2 스위치는 절환이 상호 연동되는 것으로 구성되는 전기 장판용 온도 조절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정류부와 상기 제 2 정류부의 상기 제 1 및 제 2 전류 제어 소자는 사이리스터(SCR)를 포함하는 전기 장판용 온도 조절기.
KR2020090014570U 2009-11-10 2009-11-10 전기 장판용 온도조절기 KR20044829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4570U KR200448298Y1 (ko) 2009-11-10 2009-11-10 전기 장판용 온도조절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4570U KR200448298Y1 (ko) 2009-11-10 2009-11-10 전기 장판용 온도조절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8298Y1 true KR200448298Y1 (ko) 2010-03-30

Family

ID=442257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4570U KR200448298Y1 (ko) 2009-11-10 2009-11-10 전기 장판용 온도조절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829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5193A (ko) * 2021-07-22 2023-01-31 (주)상온의료기 직류전원을 사용하는 전기온열매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13918A (ko) * 1991-12-11 1993-07-22 김경희 전기침구의 온도제어방법 및 장치
KR20000013647A (ko) * 1998-08-11 2000-03-06 이창열 전기장판의 다기능 온도 제어방법 및 그 회로
KR200288700Y1 (ko) 2002-06-18 2002-09-11 오영섭 열감지선을 이용한 정온전선의 발열 제어장치
KR200339766Y1 (ko) 2003-10-21 2004-01-24 송상석 전기 온열장치의 무전자파 온도 제어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13918A (ko) * 1991-12-11 1993-07-22 김경희 전기침구의 온도제어방법 및 장치
KR20000013647A (ko) * 1998-08-11 2000-03-06 이창열 전기장판의 다기능 온도 제어방법 및 그 회로
KR200288700Y1 (ko) 2002-06-18 2002-09-11 오영섭 열감지선을 이용한 정온전선의 발열 제어장치
KR200339766Y1 (ko) 2003-10-21 2004-01-24 송상석 전기 온열장치의 무전자파 온도 제어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5193A (ko) * 2021-07-22 2023-01-31 (주)상온의료기 직류전원을 사용하는 전기온열매트
KR102542536B1 (ko) * 2021-07-22 2023-06-14 (주)상온의료기 직류전원을 사용하는 전기온열매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8165769A (ja) 電気ヒータ用の温度調節装置
US10247426B2 (en) Boiler control comprising analog up/down timer circuit for generating variable threshold signal
KR101065482B1 (ko) 안전장치가 부가된 전열기구의 온도제어장치
KR200448298Y1 (ko) 전기 장판용 온도조절기
US5323062A (en) System for triac trigger control in combination with a sensing element
KR101070250B1 (ko) 전기매트용 자동온도조절기
EP0341959A2 (en) Heating system control
KR200445400Y1 (ko) 침구류용 무자계 발열선의 구동 장치
KR200468961Y1 (ko) 전열 기기의 과열 차단 장치
KR100744574B1 (ko) 전기온열매트용 과열방지장치
KR100950512B1 (ko) 전기 장판의 온도 제어 장치 및 그의 고장 체크 방법
KR102268684B1 (ko) 전열기기 제어장치
JP4473173B2 (ja) 水槽等の加熱装置
KR100920647B1 (ko) 과열방지 온도조절 회로 및 그 방법
KR101782796B1 (ko) 전열매트 또는 전열침구용 국부과열 방지 온도조절기
JP2006234200A (ja) 電気式床暖房システム
KR101833542B1 (ko) 자가진단과 과열방지 기능을 가진 온열 매트용 온도 조절기
KR101910614B1 (ko) 온도조절장치 및 온도제어방법
KR102064808B1 (ko) 온도 제어기를 가진 온열 매트 장치
JP5340652B2 (ja) 電気こたつ
KR200455514Y1 (ko) 다이오드를 이용한 온도조절장치
KR200426798Y1 (ko) 자동 온도 조절 장치
KR200425159Y1 (ko) 무자계열선에서의 시간제어식 무센서 온열조절기와과열보호회로
KR20100039677A (ko) 전원 공급 장치
KR20180099262A (ko) 전열매트 또는 전열침구용 국부과열 방지 온도조절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0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