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8277Y1 - 휴대단말기용 보호케이스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용 보호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8277Y1
KR200448277Y1 KR2020090014436U KR20090014436U KR200448277Y1 KR 200448277 Y1 KR200448277 Y1 KR 200448277Y1 KR 2020090014436 U KR2020090014436 U KR 2020090014436U KR 20090014436 U KR20090014436 U KR 20090014436U KR 200448277 Y1 KR200448277 Y1 KR 2004482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case
portable terminal
protective case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44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욱
정주원
Original Assignee
이재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욱 filed Critical 이재욱
Priority to KR20200900144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827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82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8277Y1/ko
Priority to PCT/KR2010/007852 priority patent/WO2011056036A2/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5/00Purses, bags, luggage or other receptacles covered by groups A45C1/00 - A45C11/00, combined with other objects or artic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3Arrangements for mounting batteries or battery charg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8Arrangements for carrying or protecting transcei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태양광을 이용하여 자체적으로 상시 휴대단말기를 충전할 수 있도록 하고, 휴대단말기에 구비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돋보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용 보호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제1케이스부와, 상기 제1케이스부와 대향되어 배치되고, 상기 휴대단말기의 배면부 형상과 대응되어 형성되되, 상기 휴대단말기의 외부카메라를 외부로 노출할 수 있도록 대응되는 형상의 관통홈이 형성되며, 상기 휴대단말기의 배면부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케이스부와, 상기 제2케이스부의 배면에 배치되고, 외부의 빛을 받아 전기로 변환하여 전압을 출력하도록 집광면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솔라셀이 구비되고, 상기 솔라셀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솔라셀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충전할 수 있도록 배터리팩이 구비되는 태양광 충전모듈; 및 상기 태양광 충전모듈을 내측에 내설할 수 있도록 내설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제2케이스부의 배면에 결합되며, 상기 내설공간의 측면에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데이터 전송포트에 연결할 수 있도록 대응되는 형상의 충전용 접속플러그가 구비되되, 상기 충전용 접속플러그는 상기 배터리팩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이루어진 결합부재를 포함한다.
보호케이스, 태양광 충전모듈, 광학렌즈부재

Description

휴대단말기용 보호케이스 {Protect case for portable device}
본 고안은 휴대단말기용 보호케이스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태양광을 이용하여 자체적으로 상시 휴대단말기를 충전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휴대단말기에 구비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돋보기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면서, 사진 촬영시 보다 선명한 사진 촬영이 가능하도록 하는 휴대단말기용 보호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단말기용 보호케이스는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하여 휴대단말기의 파손 및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휴대단말기의 본체 외부에 감싸듯이 결합되어 사용된다.
여기서, 휴대단말기는 핸드폰(휴대전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UMPC(Ultra Mobile PC), 네비게이션 및 MP3 플레이어 등을 말하는 것으로 위와 같은 디지털기기 들은 이하, 휴대단말기로 통칭하여 설명한다.
상기 휴대단말기는 정보통신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다양한 제품이 개발되어 판매되면서, 사용 연령 또한 어린이부터 노인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연령층에서 휴대단말기를 사용하고 있다.
예를 들어 휴대단말기 즉, 휴대전화기를 휴대하여 사용하다 보면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하여 휴대전화기를 손상 또는 파손되기도 하고, 외부의 물리적인 힘에 의해 손상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여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보호케이스를 휴대전화기에 결합하여 사용하고 있다.
또한, 일반적인 휴대단말기는 별도로 내장되는 배터리의 전력에 의해 사용되는데 장시간 사용하다 보면 배터리가 방전되어 사용하던 휴대단말기의 전원이 꺼져 사용하는데 불편함이 있었다.
이러한 불편함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사용 전 미리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충전 상태를 확인하고, 배터리의 잔량 부족시 충전장치를 이용하여 충전을 수행하거나, 개별적으로 배터리를 휴대하고 다니면서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방전시, 교체하여 사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수반되었다.
이와 같은 배터리 교체 방식의 단말기는 배터리를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지만 배터리가 내장되어 교체가 불가능한 휴대단말기의 경우는 배터리가 방전되면 전원이 인가되지 않기 때문에 사용에 어려움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 휴대할 수 있는 다양한 배터리 충전장치가 시판되고는 있으나, 상기 배터리 충전장치의 휴대성에 불편함이 발생되고 있다.
또한, 최근 개발된 다양한 악세사리용 충전장치들은 별도의 젠더와 케이블을 이용하여 휴대단말기의 배터리를 충전하게 되는데 이는 젠더와 케이블 및 본체를 개별적으로 휴대하여야 하기 때문에 이중 하나만 분실 또는 휴대를 못하면 사용하 는데 어려움이 발생된다.
또한, 다양한 연령층의 사용으로 눈이 좋지 않거나, 나이가 드신 노인들은 노안으로 인하여 근거리의 글씨가 잘 안보이게 되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돋보기 안경을 착용하거나, 휴대용 돋보기를 가지고 다니면서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번거로움이 수반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서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고,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휴대단말기를 외부의 충격 및 손상으로부터 보호하는 목적의 보호케이스에 태양광 충전모듈을 부가적으로 내설한 후, 자연에너지인 태양광에 의해 생산된 전압을 휴대단말기에 공급하여 충전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또한, 휴대단말기에 구비된 데이터 전송포트에 태양광 충전모듈과 연결된 충전용 접속플러그를 용이하게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또한, 노안 또는 시력 저하로 인하여 근거리 및 작은 글씨를 보는데 어려움이 있는 사용자에게 별도의 돋보기를 휴대하지 않고도 휴대단말기의 외장카메라로 편리하게 글을 볼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더불어, 휴대단말기의 외장카메라로 사진 촬영시 광학(망원)효과 및 보다 선명한 화질로 촬영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고안은 휴대단말기용 보호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휴대단말기의 전면부 형상과 대응되어 형성되되, 상기 휴대단말기의 전면부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케이스부와; 상기 제1케이스부와 대향되어 배치되고, 상기 휴대단말기의 배면부 형상과 대응되어 형성되되, 상기 휴대단말기의 외부카메라를 외부로 노출할 수 있도록 대응되는 형상의 관통홈이 형성되며, 상기 휴대단말기의 배면부에 탈착 가능 하게 구비되는 제2케이스부와; 상기 제2케이스부의 배면에 배치되고, 외부의 빛을 받아 전기로 변환하여 전압을 출력하도록 집광면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솔라셀이 구비되고, 상기 솔라셀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솔라셀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충전할 수 있도록 배터리팩이 구비되는 태양광 충전모듈; 및 상기 태양광 충전모듈을 내측에 내설할 수 있도록 내설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제2케이스부의 배면에 결합되며, 상기 내설공간의 측면에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데이터 전송포트에 연결할 수 있도록 대응되는 형상의 충전용 접속플러그가 구비되되, 상기 충전용 접속플러그는 상기 배터리팩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이루어진 결합부재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태양광 충전모듈은 상기 솔라셀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상기 배터리팩으로 충전시 과충전을 방지하는 과충전 방지회로가 실장되는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인쇄회로기판에는 데이터 저장용 메모리가 실장되고, 상기 데이터 저장용 메모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USB포트가 상기 내설공간 측면에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배터리팩과 상기 충전용 접속플러그는 길이를 신장할 수 있는 전도성 실리콘 케이블로 상호 연결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배터리팩은 400mA의 고중합체 폭발방지 리튬 배터리를 사용한다.
바람직하게 결합부재에는 상기 관통홈과 대응되는 위치에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외부카메라의 위치와 대응되어 볼록렌즈 형상의 투과편이 형성된 광학렌즈부 재가 탈착 가능하게 구비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통공은 상기 광학렌즈부재를 상기 통공에서 슬라이딩 이동 할 수 있도록, 상기 통공의 양측면에 슬라이딩홈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광학렌즈부재는 상기 통공에서 회전 가능하게 회전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설치되되, 상기 회전판의 회전 방향을 따라 중심에서 이격된 위치의 둘레에 적어도 두가지 이상의 색을 가지는 투과편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투과편은 볼록렌즈 형상과 오목렌즈 형상 및 다양한 패턴으로 형성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 따르면, 본 고안의 휴대단말기용 보호케이스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본 고안의 휴대단말기용 보호케이스에 빛의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화할 수 있는 태양광 충전모듈을 보호케이스에 내설 함으로써,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방전시 상기 태양광 충전모듈에 의해 변환되는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상기 휴대단말기의 배터리를 상시 충전할 수 있어 사용상 편리할 뿐만 아니라, 녹색산업의 일환인 환경을 보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휴대단말기의 데이터 전송포트에 접속하여 휴대단말기의 배터리를 충 전하도록 접속되는 충전용 접속플러그와 태양광 충전모듈을 전도성 실리콘 케이블을 이용하여 연결함으로써, 데이터 전송포트와 충전용 접속플러그가 대향되어 위치되어도 길이가 신장되는 전도성 실리콘 케이블에 의해 편리하게 길이를 신장하여 데이터 전송포트에 충전용 접속플러그를 연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불어, 전도성 실리콘 케이블은 길이 신장뿐만 아니라, 장력 및 전도성이 우수하고, 신축성(탄성력)에 의해 길이가 연장되기 때문에 길이를 신장하여 사용한 후, 길이 신장에 따른 별도의 내부 수용공간을 확보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
셋째, 노안 또는 시력 저하로 인하여 작은 글씨를 보기 어려운 사용자들을 위하여 휴대단말기의 외장카메라가 위치되는 보호케이스에 광학렌즈부재를 탈 부착 할 수 있도록 구현함으로써, 휴대단말기 사용자는 별도의 돋보기를 휴대하지 않아도 휴대단말기의 외장카메라를 이용하여 글이나 그림 등을 쉽고 편리하게 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불어, 광학렌즈부재를 보호케이스에 부가함으로써, 서술한 돋보기 기능 뿐만 아니라, 사진 촬영시 광학(망원)효과를 이용할 수 있고, 보다 선명한 화질로 사진 촬영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본 고안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면 분리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면 분리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충전모듈의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렌즈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보호케이스(100)는 제1케이스부(110), 제2케이스부(120), 태양광 충전모듈(130) 및 결합부재(140) 등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제1케이스부(110)는 기 공지된 기술로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되, 본 고안의 제1케이스부(110)는 휴대단말기(1)의 본체(10) 전면(11)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본 고안의 휴대단말기(1)는 일 실시예로 최근 판매되고 있는 바(bar) 형태의 휴대단말기(1)의 본체(10)에 제1케이스부(110)를 결합시, 제1케이스부(110)에는 디스플레이부(11a) 및 키패드부(미도시)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케이스부(110)는 합성수지, 실리콘 및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제2케이스부(120)는 제1케이스부(110)와 대향되어 배치되고, 휴대단말기(1)의 본체(10) 배면(12)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배면(12)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아울러, 제2케이스부(120)에는 휴대단말기(1)의 배면에 설치된 외부카메라(13)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외부카메라(13)와 대응되는 위치와 형상으로 관통홈(122)이 형성될 수 있다.
태양광 충전모듈(130)은 솔라셀(131), 인쇄회로기판(132) 및 배터리팩(133)을 포함하되, 태양광 충전모듈(130)은 제2케이스부(120)의 배면에 배치된다.
솔라셀(131)은 일반적으로 태양전지 또는 광전지의 용어로도 사용되며, 태양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할 수 있는 장치를 말한다. 즉, PN 접합면을 가지는 반도체 접합 영역에 금지대폭보다 큰 에너지의 빛이 조사되면 전자와 정공이 발생하여 접합영역에 형성된 내부전장이 전자는 N형 반도체로, 정공은 P형 반도체로 이동시켜 기전력이 발생한다.
이때, N형 반도체, P형 반도체 각각 부착된 전극이 부극과 정극이 되어 직류전류를 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솔라셀(131)의 태양 전지 반도체 재료로서는 실리콘뿐만이 아니라 갈륨비소, 카드뮴텔루르, 황화카드뮴, 인듐인 또는 이 재료들 사이의 복합체를 사용하고 있으나, 일반적으로 실리콘을 사용한다.
솔라셀(131)에는 빛을 한곳에 모으는 집광면(131a)이 형성되는데, 집광면(131a)을 빛이 잘 투과되는 위치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쇄회로기판(132)은 다양한 전자소자(132a)가 실장되어 구성되되, 솔라셀(13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솔라셀(131)으로 투과된 빛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전환하는 회로를 포함한다.
또한, 인쇄회로기판(132)은 솔라셀(131)에서 출력된 전압을 인가 받아 후술할 배터리팩(133)에 제공하여 충전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아울러, 솔라셀(131)에서 출력된 전압을 후술할 배터리팩(133)으로 제공하여 충전시, 배터리팩(133)에 전압이 과 충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과충전 방지회로(132b)를 실장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더불어, 인쇄회로기판(132)에는 선택적으로 데이터 저장용 메모리(132b)를 실장하여 구현하되, 데이터 저장용 메모리(132b)는 후술할 결합부재(140)에 구비되는 USB포트(145)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배터리팩(133)은 기 공지된 기술로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되,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400mA의 고중합체 폭발방지 리튬 배터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 이다.
아울러, 배터리팩(133)은 인쇄회로기판(13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되, 인쇄회로기판(132)과 이격된 위치에 구비된다.
또한, 배터리팩(133)은 휴대단말기(1)의 보조배터리로 필요에 따라 사용할 수도 있고, 휴대단말기(1)에 장착된 배터리(미도시)에 충전을 수행하는 역할을 한다.
결합부재(140)는 내측에 내설공간(141), 통공(142), 충전용 접속플러그(144) 및 USB포트(145)를 포함한다.
여기서, 결합부재(140)는 내설공간(141)에 태양광 충전모듈(130)을 내설한 후, 제2케이스부(120)의 배면과 결합하되, 바람직하게 결합부재(140)를 제2케이스부(120)의 배면에 맞닿는 부분을 융착 작업으로 제2케이스부(120)와 일체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내설공간(141) 측면에는 휴대단말기(1)의 데이터 전송포트(14)에 접속할 수 있도록 데이터 전송포트(14)와 대응되는 형상의 충전용 접속플러그(144)가 구비된다.
여기서, 일반적인 휴대단말기(1)의 데이터 전송포트(14)는 데이터 전송 및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충전을 겸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통공(142)은 제2케이스부(120)의 관통홈(122)과 대응되는 위치와 형상으로 형성되고, 통공(142)에는 후술할 광학렌즈부재(150)가 탈착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통공(142)에는 광학렌즈부재(150)를 통공(142)에서 결합부재(140)의 외부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탈거 가능하도록 통공(142)의 양측면에 슬라이딩홈(142a)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때, 슬라이딩되는 광학렌즈부재(150)를 외부로 이탈시킬 수 있도록 통공(142)을 결합부재(140)의 외부로 관통하여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충전용 접속플러그(144)는 휴대단말기(1)마다 데이터 전송포트(14)의 잭이 상이하게 적용되어 있지만 최근에는 20pin잭을 기준으로 휴대단말기(1)가 제조되어 시판되고는 있다.
그러나, 24pin, 18pin, 14pin 등의 잭이 적용되어 제조되는 휴대단말기(1)도 있기 때문에 생산자는 휴대단말기(1)의 데이터 전송포트(14)의 종류와 대응되는 충전용 접속플러그(144)를 적용하여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충전용 접속플러그(144)는 배터리팩(133)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되, 이때, 충전용 접속플러그(144)와 배터리팩(133)을 케이블을 이용하여 연결되는데 충전용 접속플러그(144)를 휴대단말기(1)의 데이터 전송포트(14)까지 이동시켜 접속할 수 있도록 길이를 신장할 수 있으면서 신축성을 갖는 전도성 실리콘 케이블(134)이 사용될 수 있다.
전도성 실리콘 케이블(134)은 실리콘 재질로 신축성과 장력이 강하여 잘 늘어나면서 쉽게 절단되지 않으며, 전도성을 갖기 때문에 본 고안에 사용하게 되면 길이를 신장하여 충전용 접속플러그(144)를 쉽게 데이터 전송포트(14)에 접속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여기서, 전도성 실리콘 케이블(134)은 본 고안의 발명자가 개발하여 특허를 취득한 기술로서, 국내등록 특허 10-0850007호에 상세한 기술 내용이 기재되어 있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은 전도성 실리콘 케이블(134)을 사용하면, 신축성력에 의해 길이를 신장하여 데이터 전송포트(14)에 충전용 접속플러그(144)를 쉽게 접속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신축성에 의해 전도성 실리콘 케이블(134)이 신장되기 때문에 길이 연장 따른 문제점이 개선될 수 있고, 내설공간(141)에 별도의 케이블 보관 공간을 확보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
USB포트(145)는 인쇄회로기판(132)에 실장되는 데이터 저장용 메모리(132c)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아울러, USB포트(145)는 결합부재(140)의 측면에 구비되되, 외부기기를 USB포트(145)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상호 전송할 수 있도록 USB포트(145)를 결합부재(14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된다.
USB포트(145)는 데이터 저장용 메모리(132c)와 동일하게 생산자의 선택에 의해 제조시 포함될 수 있다.
광학렌즈부재(150)는 투과편(151)을 포함하되, 투과편(151)은 광학렌즈부재(150) 즉, 서술한 통공(142)에 삽입되어 휴대단말기(1)의 외부카메라(13)와 대응되는 위치에 볼록렌즈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는, 볼록렌즈(돋보기)를 이용하여 근거리의 글이 잘 보이지 않는 사용자 즉, 눈의 시력이 좋지 않거나, 노안으로 인하여 근거리의 글씨가 보이지 않는 노인들이 별도의 돋보기를 휴대하지 않고도, 휴대단말기(1)에 포함된 외부카메라(13)를 이용 하여 근거리의 글자, 그림 등을 보다 선명하게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광학렌즈부재(150)를 외부카메라(13)와 대응되게 위치시킨 후, 사진 촬영 또는 동영상 촬영을 하게 되면 광학렌즈부재(150)의 투과편(151)에 의해 광학효과 즉, 망원 효과와 더불어, 보다 선명한 촬영을 할 수 있다.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광학렌즈부재의 정면도로서, 도 8을 참조하면 광학렌즈부재(150b)는 회전판 형상으로 구비되고, 광학렌즈부재(150b)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중심부와 이격되어 적어도 하나의 투과편(151b)이 형성된다.
아울러, 광학렌즈부재(150b)는 결합부재(140)의 외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되, 광학렌즈부재(150b)의 회전시 투과편(151b)이 휴대단말기(미도시)의 외부카메라(13)의 위치와 대응될 수 있는 위치에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투과편(151b)에 적어도 하나의 색을 갖도록 형성하여 외부카메라(13)로 사진 또는 동영상 촬영시 촬영효과 또는 색맹인 사용자가 대응되는 색으로 외부카메라(13)를 사용하여 글을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투과편(151b)은 볼록렌즈, 오목렌즈 형상 및 다양한 패턴이 적용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면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면 분리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충전모듈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렌즈부재의 사시도.
도 8은 도 7의 다른 실시예의 광학렌즈부재의 정면도.
*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휴대단말기 10 : 본체
11 : 전면 11a : 디스플레이부
12 : 배면 13 : 외부카메라
14 : 데이터 전송포트 100 : 보호케이스
110 : 제1케이스부 120 : 제2케이스부
122 : 관통홈 130 : 태양광 충전모듈
131 : 솔라셀 131a : 집광면
132 : 인쇄회로기판 132a : 전자소자
132b : 과충전 방지회로 132c : 데이터 저장용 메모리
133 : 배터리팩 134 : 전도성 실리콘 케이블
140 : 결합부재 141 : 내설공간
142 : 통공 142a : 슬라이딩홈
144 : 충전용 접속플러그 145 : USB포트
150a ,150b : 광학렌즈부재 151a, 151b : 투과편

Claims (9)

  1. 휴대단말기의 전면부 형상과 대응되어 형성되되, 상기 휴대단말기의 전면부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케이스부;
    상기 제1케이스부와 대향되어 배치되고, 상기 휴대단말기의 배면부 형상과 대응되어 형성되되, 상기 휴대단말기의 외부카메라를 외부로 노출할 수 있도록 대응되는 형상의 관통홈이 형성되며, 상기 휴대단말기의 배면부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케이스부;
    상기 제2케이스부의 배면에 배치되고, 외부의 빛을 받아 전기로 변환하여 전압을 출력하도록 집광면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솔라셀이 구비되고, 상기 솔라셀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솔라셀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충전할 수 있도록 배터리팩이 구비되며, 상기 솔라셀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상기 배터리팩으로 충전시 과충전을 방지하는 과충전 방지회로가 실장되는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는 태양광 충전모듈; 및
    상기 태양광 충전모듈을 내측에 내설할 수 있도록 내설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제2케이스부의 배면에 결합되며, 상기 내설공간의 측면에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데이터 전송포트에 연결할 수 있도록 대응되는 형상의 충전용 접속플러그가 구비되되, 상기 충전용 접속플러그는 상기 배터리팩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이루어진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보호케이스.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에는 데이터 저장용 메모리가 실장되고, 상기 데이터 저장용 메모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USB포트가 상기 내설공간 측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보호케이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팩과 상기 충전용 접속플러그는 길이를 신장할 수 있는 전도성 실리콘 케이블로 상호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보호케이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팩은
    400mA의 고중합체 폭발방지 리튬 배터리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보호케이스.
  6. 제1항에 있어서, 결합부재에는
    상기 관통홈과 대응되는 위치에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외부카메라의 위치와 대응되어 볼록렌즈 형상의 투과편이 형성된 광학렌즈부재가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휴대단말기용 보호케이스.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통공은
    상기 광학렌즈부재를 상기 통공에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통공의 양측면에 슬라이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보호케이스.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렌즈부재는
    상기 통공에서 회전 가능하게 회전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설치되되, 상기 회전판의 회전 방향을 따라 중심에서 이격된 위치의 둘레에 적어도 두가지 이상의 색을 가지는 투과편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보호케이스.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투과편은
    볼록렌즈 형상과 오목렌즈 형상 및 다양한 패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보호케이스.
KR2020090014436U 2009-11-06 2009-11-06 휴대단말기용 보호케이스 KR2004482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4436U KR200448277Y1 (ko) 2009-11-06 2009-11-06 휴대단말기용 보호케이스
PCT/KR2010/007852 WO2011056036A2 (ko) 2009-11-06 2010-11-08 휴대단말기용 보호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4436U KR200448277Y1 (ko) 2009-11-06 2009-11-06 휴대단말기용 보호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8277Y1 true KR200448277Y1 (ko) 2010-03-29

Family

ID=439705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4436U KR200448277Y1 (ko) 2009-11-06 2009-11-06 휴대단말기용 보호케이스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448277Y1 (ko)
WO (1) WO2011056036A2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9925B1 (ko) 2011-11-28 2012-05-31 권무형 스마트 폰용 카메라 렌즈 모듈
WO2012149206A2 (en) * 2011-04-29 2012-11-01 xDEV, INC. Protective cover for an electronic device
KR101250407B1 (ko) * 2012-07-26 2013-04-05 주식회사 베이스디 촬영수단을 가진 휴대폰을 이용한 완구
WO2013129816A1 (ko) * 2012-02-27 2013-09-06 Choi Sang Hyo 휴대단말용 케이스
KR101333283B1 (ko) 2012-03-14 2013-11-27 (주)이오시스템 광학장치 연결용 스마트폰 어댑터
KR101375650B1 (ko) 2012-06-04 2014-03-25 이혜원 폴더형 스마트폰 케이스
KR101500341B1 (ko) * 2013-04-05 2015-03-11 이응순 휴대폰 보호커버 구조체
WO2015060489A1 (ko) * 2013-10-25 2015-04-30 주식회사 베이스디 촬영수단을 가진 휴대폰을 활용하는 완구
KR101620745B1 (ko) * 2014-12-08 2016-05-12 이철우 태양전지판이 내장된 스마트폰 케이스
CN110557472A (zh) * 2018-05-31 2019-12-10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移动终端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313377A1 (en) * 2011-11-09 2014-10-23 Mark Ross Hampton In relation to a lens system for a camera
CN203133664U (zh) * 2012-12-12 2013-08-14 韦海贵 一种高效太阳能平板电脑蓄电充电护套
KR101932723B1 (ko) * 2012-12-28 2018-12-27 삼성전자주식회사 촬영 장치
KR102192148B1 (ko) * 2013-12-27 2020-12-16 삼성전자주식회사 보호 커버 및 그것을 갖는 전자 장치
CN113141432A (zh) * 2020-01-19 2021-07-20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一种保护壳体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6003Y1 (ko) 1999-10-20 2000-03-15 이재경 태양전지가 부착된 휴대폰 케이스
KR200307358Y1 (ko) * 2002-12-10 2003-03-15 방동수 충전기능을 갖춘 휴대용 핸드폰 케이스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31465A (ko) * 1995-11-01 1997-06-26 고성욱 태양전지판을 장착한 휴대폰
JPH10146213A (ja) * 1996-11-19 1998-06-02 Tdk Corp 携帯電話用太陽電池付キャリングケース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6003Y1 (ko) 1999-10-20 2000-03-15 이재경 태양전지가 부착된 휴대폰 케이스
KR200307358Y1 (ko) * 2002-12-10 2003-03-15 방동수 충전기능을 갖춘 휴대용 핸드폰 케이스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49206A2 (en) * 2011-04-29 2012-11-01 xDEV, INC. Protective cover for an electronic device
WO2012149206A3 (en) * 2011-04-29 2013-01-17 xDEV, INC. Protective cover for an electronic device
KR101149925B1 (ko) 2011-11-28 2012-05-31 권무형 스마트 폰용 카메라 렌즈 모듈
WO2013081264A1 (ko) * 2011-11-28 2013-06-06 Kwon Moo-Hyoung 스마트 폰용 카메라 렌즈 모듈
WO2013129816A1 (ko) * 2012-02-27 2013-09-06 Choi Sang Hyo 휴대단말용 케이스
KR101333283B1 (ko) 2012-03-14 2013-11-27 (주)이오시스템 광학장치 연결용 스마트폰 어댑터
KR101375650B1 (ko) 2012-06-04 2014-03-25 이혜원 폴더형 스마트폰 케이스
KR101250407B1 (ko) * 2012-07-26 2013-04-05 주식회사 베이스디 촬영수단을 가진 휴대폰을 이용한 완구
KR101500341B1 (ko) * 2013-04-05 2015-03-11 이응순 휴대폰 보호커버 구조체
WO2015060489A1 (ko) * 2013-10-25 2015-04-30 주식회사 베이스디 촬영수단을 가진 휴대폰을 활용하는 완구
KR101620745B1 (ko) * 2014-12-08 2016-05-12 이철우 태양전지판이 내장된 스마트폰 케이스
CN110557472A (zh) * 2018-05-31 2019-12-10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移动终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56036A2 (ko) 2011-05-12
WO2011056036A3 (ko) 2011-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8277Y1 (ko) 휴대단말기용 보호케이스
US2005024277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harging eyeglasses
CA2370733A1 (en) Mobile terminal with a solar cell
US20140168866A1 (en) System for housing and powering a battery-operated device and associated methods
CN203369502U (zh) 一种可以充电的多媒体眼镜镜盒
CN104337170A (zh) 一种可以充电的多媒体眼镜镜盒
CN101587973A (zh) 便携式usb读卡万能充电器
CN209086562U (zh) 一种智能眼镜
US8050723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solar cell module
CN201226514Y (zh) 手机便携式移动电源
CN207474738U (zh) 具有数显功能的充电数据线
CN203760555U (zh) 便充式手机电池
CN212625705U (zh) 一种正负同极正极带保护装置的充电电池
CN205304276U (zh) 手机直充电池
CN209804831U (zh) 一种方便充电的电池
CN208351262U (zh) 一种多功能太阳能充电手表
KR101955772B1 (ko) 휴대폰과 연결 가능한 결합부재를 갖는 보조배터리
KR20010095677A (ko) 솔라셀이 부착된 이동전화기
US9012764B1 (en) Solar cell charger with lens for portable applications
KR20130104651A (ko) 휴대폰 배터리를 이용한 보조충전장치
CN204425423U (zh) 太阳能集电式手机保护充电套
CN211265639U (zh) 可输入输出聚合物电池
CN220457147U (zh) 一种新型移动电源
KR102232933B1 (ko) 보조 배터리
CN214625657U (zh) 一种智能手机音频转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