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8048Y1 - 실, 내외 겸용 족구네트 고정 폴대 - Google Patents

실, 내외 겸용 족구네트 고정 폴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8048Y1
KR200448048Y1 KR2020070018699U KR20070018699U KR200448048Y1 KR 200448048 Y1 KR200448048 Y1 KR 200448048Y1 KR 2020070018699 U KR2020070018699 U KR 2020070018699U KR 20070018699 U KR20070018699 U KR 20070018699U KR 200448048 Y1 KR200448048 Y1 KR 2004480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net
pole
stepper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86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4983U (ko
Inventor
원봉찬
Original Assignee
원봉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봉찬 filed Critical 원봉찬
Priority to KR20200700186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8048Y1/ko
Publication of KR2009000498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498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80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804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1/00Tennis nets or accessories for tennis or like games, e.g. volley-ball
    • A63B61/02Posts; Revolvably-mounted posts ; Straining or adjusting devices on the posts, e.g. coin- or time operate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1/00Tennis nets or accessories for tennis or like games, e.g. volley-ball
    • A63B61/04Straining or adjusting devices for nets, e.g. centre strainers, single-double adjusters, net height met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2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for large-room or outdoor sporting games
    • A63B71/023Supports, e.g. po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 A63B2225/093Heigh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실내 체육관이나 야외 운동장 등에서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족구네트 고정 폴대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네트 고정끈을 걸어 지지하기 위한 지주에 승강 가능하게 네트 인장용 스텝퍼를 끼우고 네트 고정끈의 단부가 걸려 고정되도록 한 상태에서 지주에 천공된 다단의 걸림공에 선택적으로 끼워지는 스톱퍼를 통해 임의의 위치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네트를 팽팽히 인장시키는 작업을 보다 신속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지주의 상단에 "∨"자형으로 설치되는 절첩식 지지각을 두어 지주의 지지 작업을 혼자서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고 지주의 설치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어 코트의 라인설치를 동시 또는 미리 하는 것이 가능하여 작업의 대기로 인한 준비 지연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지지각의 사이에서 다리는 지지각 하단에 결합되고 발판은 지주에 연결 지지되는 조립식의 발판을 두어 고정팩을 사용할 수 없는 실내에서 지주의 안정된 위치홀딩과 정확한 판단을 위해 주, 부심의 시선을 적정 높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네트, 폴대, 스텝퍼, 스톱퍼, 지지각, 발판.

Description

실, 내외 겸용 족구네트 고정 폴대{Net pole used in football game}
본 고안은 실내 체육관이나 야외 운동장 등에서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족구네트 고정 폴대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네트 고정끈을 걸어 지지하기 위한 지주에 승강 가능하게 네트 인장용 스텝퍼를 끼우고 네트 고정끈의 단부가 걸려 고정되도록 한 상태에서 지주에 천공된 다단의 걸림공에 선택적으로 끼워지는 스톱퍼를 통해 임의의 위치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네트를 팽팽히 인장시키는 작업을 보다 신속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지주의 상단에 "∨"자형으로 설치되는 절첩식 지지각을 두어 지주의 지지 작업을 혼자서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고 지주의 설치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어 코트의 라인설치를 동시 또는 미리 하는 것이 가능하여 작업의 대기로 인한 준비 지연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지지각의 사이에서 다리는 지지각 하단에 결합되고 발판은 지주에 연결 지지되는 조립식의 발판을 두어 고정 팩을 사용할 수 없는 실내에서 지주의 안정된 위치홀딩과 정확한 판단을 위해 주, 부심의 시선을 적정 높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족구는 네트를 경계로 하여 진영을 나누고 양팀이 손을 제외한 발이나 머리 등 신체를 사용하여 같은 팀원끼리 족구공을 2회의 범위 내에서 주고 받은 다음 3회를 넘기지 않고 상대 진영으로 족구공을 넘겨주는 방식으로 경기를 진행하는 것으로서, 이와 같은 족구는 우리나라에서 개발하여 널리 보급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족구는 다른 구기 종목 예를 들면, 배구와 같이 네트를 높게 설치하지 않고 성인을 평균 신장보다 낮은 높이로 네트를 설치하고 경기를 진행할 수 있으므로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경기를 진행할 수 있으므로 주택가의 공터나 주차장 및 산업현장의 공장 내 또는 야외에서도 쉽게 경기를 진행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상기와 같이 여러 사람이 쉽게 즐길 수 있는 족구는 야외 경기장일 경우 도 10에서와 같이 상단에 도르레(53)가 설치되는 상측 기둥(51)과, 상측기둥(51)이 유동 가능하게 끼워지며 하단에는 고정 팩(P)을 통해 지면에 지지되기 위한 플랜지(54)를 구비하는 하측 기둥(52)으로 구성되는 지주(50)를 둔다.
상기 지주(50)의 중간에는 라쳇 기어를 통해 네트 고정끈(B)을 감아 고정할 수 있는 레버(55)를 두고, 또한 지주(50)의 상단은 턴버클(56)을 통해 지면에 박혀진 지지 로프(57)와 걸려지도록 함으로써 지주(50)를 안정되게 홀딩 지지할 수 있는 폴대를 적용하고 있다.
한편 야외가 아닌 실내의 경기장 바닥에는 네트가 연결된 양 지주의 하단에 일체로 캐스터가 구비된 중량체를 구성한 폴대를 적용하였다.
하지만 전자의 야외용 폴대는 상하로 양분된 두개의 기둥을 조립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또한 한 사람은 지주를 잡고 다른 한 사람은 지주를 지지할 지지 로프(57)를 지면에 박아 고정시켜야 하므로 두 사람 이상의 작업 인원이 요구되고 시간과 인력의 소모가 많아지게 되며,
네트(N)의 설치 시 네트를 인장되게 당긴 상태에서 네트 고정끈(B)을 레버(55)에 결속해야하는 것이어서 많은 힘이 소요됨은 물론 결속작업이 더뎌지는 폐단이 있으며,
또한 레버(55)를 돌려 네트 고정끈(B)을 팽팽히 감아 당길 때 양 지주(50)의 수직과 수평의 각도가 기울어지는 경우가 허다하여 필히 폴대와 네트를 먼저 설치 완료한 후에 코트의 라인을 설치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어 작업의 대기로 인한 준비작업이 지연되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후자의 실내용 폴대의 경우는 지주가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있는 관계로 일일이 조립할 필요는 없으나 일체형이므로 무거워 보관과 취급이 불편하며, 캐스터를 통해 실내에서의 가까운 거리는 이동이 가능하나 장외 이동은 매우 불편하고, 지주의 중량이 크게 되어 무게중심이 지주 쪽으로 치우치게 되므로 바닥과의 마찰력이 저하로 네트의 인장력을 크게 할 수 없으며, 네트에 가해지는 작은 충격에도 지주가 안쪽으로 미끌어져 네트의 높이가 처지게 되어 수시로 이를 교정해야 하는 사용상의 번거로움이 있으며, 분해가 불가능하게 되므로 보관 시 점유공간이 크고 공간 활용에 지장을 초래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네트를 팽팽히 인장시키는 작업을 보다 신속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지주의 지지 작업을 혼자서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고 지주의 설치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어 코트의 라인설치를 동시 또는 미리 하는 것이 가능하여 작업의 대기로 인한 준비 지연을 방지할 수 있으며, 고정 팩을 사용할 수 없는 실내에서 지주의 안정된 위치홀딩과 정확한 판단을 위해 주, 부심의 시선을 적정 높이를 제공할 수 있는 실, 내외 겸용 족구네트 고정 폴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네트 고정끈을 걸어 지지하기 위한 지주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고 외부에서 조작이 가능한 스톱퍼를 구비하는 네트 인장용 스텝퍼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스톱퍼가 선택적으로 걸려 지지될 수 있도록 지주에 길이 방향으로 천공되는 다단의 걸림공을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지주의 상단에 끼워지는 브라켓과 일방향으로 절첩되는 관절부를 통해 절첩 가능하게 "∨"자형으로 설치되는 절첩식 지지각을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지지각의 사이에 위치되며 다리는 지지각 하단에 결합되고 상판은 지주에 연결 지지되는 조립 발판을 제공한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스텝퍼를 통해 네트를 팽팽히 인장시키는 작업을 보다 신속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또한 지지각을 통해 지주의 지지 작업을 혼자서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고 지주의 설치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어 코트의 라인설치를 동시 또는 미리 하는 것이 가능하여 작업의 대기로 인한 준비 지연을 방지할 수 있으며, 조립발판을 통해 중량체를 재치시킬 수 있도록 하여 고정 팩을 사용할 수 없는 실내에서 지주의 안정된 위치홀딩을 기함과 아울러 심판이 올라설 수 있도록 하여 판정에 필요한 적정 높이로 시선을 유지할 수 있어 심판에 정확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에 의거 본 고안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보이는 조립 상태의 정면 예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지주에 지지각이 결합된 상태의 평면 예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 요부인 조립 발판의 구성을 보이는 평면 예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지주와 지지각, 조립 발판을 조립시킨 상태를 보이는 평면 예시도로서,
본 고안의 고정 폴대(1)는 크게 사각 파이프상의 지주(10)와, 이에 승강 가능하게 끼워지는 네트 인장용 스텝퍼(20) 및 지주(10)의 상단에 브라켓(31)을 통해 결합 지지되는 지지각(30), 그리고 지지각(30)과 지주(10)에 연결 지지되는 조립 발판(40)으로 구분 된다.
상기 지주(10)의 상단에는 도르레(11)가 축설되어 있으며, 하단에는 원판형의 지지 플랜지(12)를 두되 야외에서는 고정팩을 통해 지면에 고정될 수 있도록 구멍을 천공하게 되며 실내에서 적용할 경우 바닥과의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마찰 보강용의 고무패드(13)를 씌워주게 된다.
또한 상기 지주(10)에는 상하방향으로 다단의 걸림공(14)을 천공한다.
한편 지주(10)에 승강 가능하게 끼워지는 네트 인장용 스텝퍼(20)는 도 5내지 도 7에서와 같이 종 방향으로 지주 삽지공(21)이 관통 구성되고 상판부(22)의 일측단에는 네트 고정끈(B)의 단부가 걸려 지지될 수 있도록 하향으로 절곡된 걸고리(23)가 구성된다.
또한 지주(10)의 걸림공(14)의 양측에는 직선의 삽지공(24)을 두고 이에 수직 외력 부여 시 수평이동이 가능하도록 선단에 경사부(26D)를 둔 스톱퍼(26)의 가동체(26A)가 스프링(26B)을 통해 탄성적으로 설치되도록 하고 이 삽지공(24)과 상부로 연통되도록 "L"자형의 작동홈(25)을 두어 이에 가동체(26A)에 연결 구성되는 스톱퍼 손잡이(26C)가 상판부(22)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결합시킨다.
한편 지지각(30)은 도 2에서와 같이 지주(10)의 상단에 끼워지는 브라켓(31)에 일정각도로 벌려지게 힌지 결합되어 조립 시 전체적으로"∨"자형을 이루게 된다.
상기 지지각(30)의 중간에는 관절부(32)를 두어 운반이나 보관 시 길이를 축소할 수 있도록 하여 취급에 편의성을 기할 수 있도록 하되, 관절부(32)는 힌지 부(32A)와 상단에 걸림턱(32B)을 가진 삽지홈(32C)을 가진 암부재(32D)와, 힌지부(32E)와 삽지부(32F)를 가진 수부재(32G)로 구성되며 절첩 시 걸림턱(32B)에 의해 내측방향으로만 절첩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지지각(30)의 하단부에는 원판형의 플랜지(33)를 두고 상기 지지 플랜지(12)와 마찬 가지로 실외에서는 공지의 고정 팩을 통해 지면에 고정될 수 있도록 구멍을 천공하게 되며 실내에서 적용할 경우 후술하는 조립발판(40)의 다리(42)를 체결할 체결공(33A)을 구성하며 실내 바닥과의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마찰 보강용의 고무패드(34)를 씌워주게 된다.
또한 브라켓(31)의 일측면에는 끼움공(35)과 회동방지요홈(36)을 구비하여 스코어 보드(S)의 지지봉(S')과 걸림돌기(S")가 끼워지도록 하여 회동없이 안정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크게 상판(41)과 다리(42), 연결바아(43)로 대별되는 조립발판(40)을 도 1 및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지지각(30)의 사이에 설치하되 조립 발판(40)의 다리(42)의 하단에는 체결공(42A)을 마련하여 체결 노브 등을 통해 지지각(30)의 플랜지(33)의 체결공(33A)에 결합되도록 하며, 조립 발판(40)의 다리(42)는 도 8에서와 같이 힌지(H)에 의해 안으로 절첩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힌지(H)를 이용하여 일측으로 절첩되도록 구성되는 연결바아(43)의 선단을 지주(10)의 고정편(44)에 착탈 가능하게 결속시킴으로써 상판(41)을 지주(10)에 고정시킨다.
또한 연결바아(43)의 중간에는 지지각(30)에 구성된 관절부(32)와 동일한 구 조의 관절부(45)를 두어 운반이나 보관 시 길이를 축소할 수 있도록 하여 취급에 편의성을 기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고정 폴대(1)는 도 1에서와 같이 네트(N)에 적용 설치되는 것으로, 고정 팩을 이용하여 지면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실외의 경우에는 지주(10)를 안정성 있게 홀딩하기 위한 조립발판(40)의 적용은 배제할 수 있으며, 설명의 편의상 실외 적용의 경우를 먼저 설명하기로 한다.
두개의 지주(10)를 적정 위치에 위치시킨 뒤 지지 플랜지(12)의 구멍을 통해 지면에 견고하게 박아 고정시킨 상태에서 네트(N)의 상측의 네트 고정끈(B)은 도르레(11)거쳐 지주(10)에 결합되어 있는 네트 인장용 스텝퍼(20)의 걸고리(23)에 걸어 지지시키며,
하측의 네트 고정끈(B)은 지지 플랜지(12)에 결속시켜 양 지주(10)에 네트(N)를 설치한 다음 네트 인장용 스텝퍼(20)의 상판부(22)를 발로 밟아 누르면 누르는 힘에 의해 네트 인장용 스텝퍼(20)가 하강되면서 상측의 네트 고정끈(B)을 밑으로 당겨주게 됨으로써 네트(N)는 팽팽히 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에서 네트 인장용 스텝퍼(20)의 상판부(22)를 밟아 누르는 경우 지주(10)의 걸림공(14)에 끼워진 가동체(26A)는 걸림공(14)의 연부에 접촉하면서 뒤로 밀려 나는 경사부(26D)를 통해 걸림공(14)에서 빠져나오게 되어 네트 인장용 스텝퍼(20)의 하강이 가능하게 되고, 밟아 누르는 힘을 해제하면 스프링(26B)의 탄발력을 통해 가동체(26A)가 임의의 걸림공(14)에 끼워져 네트 인장용 스텝퍼(20)의 위치가 고정되며 이 상태에서 스톱퍼 손잡이(26C)의 조작을 통해 인위적으로 가동 체(26A)를 조작하지 않는 한 네트 인장용 스텝퍼(20)가 무단으로 상승되는 경우는 발생되지 않는다.
또한 네트(N)를 분리하기 위하여 네트 고정끈(B)을 네트 인장용 스텝퍼(20)에서 풀러내기 위해서는 도 7에서와 같이 스톱퍼 손잡이(26C)를 외측으로 이동시켜 젖혀 위치를 고정시키면 가동체(26A)가 지주(10)의 걸림공(14)에서 이탈되어 구속이 해제되므로 상승할 수 있게 되며 이때 네트 고정끈(B)의 단부를 걸고리(23)에서 벗겨내면 되는 것이다.
한편 지지각(30)은 상단을 지주(10)에 끼워진 브라켓(31)에 힌지 결합하고 하단의 플랜지(33)는 지면에 밀착시켜 고정팩을 이용하여 견고하게 고정 지지시킨다.
한편 본 고안의 고정 폴대(1)를 고정팩을 사용할 수 없고 실내에 적용 설치하는 경우는 입설시킨 지주(10)의 지지 플랜지(12)와 지지각(30)의 하단의 플랜지(33)에는 슬립방지용의 고무패드(13)(34)를 씌우고 고정 폴대(1)에 중량 추가를 통해 안정된 홀딩력을 부여하기 위하여 조립 발판(40)을 적용 설치하며 조립 발판(40)의 양측에는 모래주머니 등의 중량체를 올려놓고 그 사이에 심판원이 올라서서 판정을 하게 되는 것으로, 고정 폴대(1)는 중량체의 무게와 심판원의 체중이 더하여 매우 안정된 위치고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경 및 변형한 것도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당연하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보이는 조립 상태의 정면 예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지주에 지지각이 결합된 상태의 평면 예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요부인 조립 발판의 구성을 보이는 평면 예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지주와 지지각, 조립 발판을 조립시킨 상태를 보이는 평면 예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스텝퍼의 평면 예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스텝퍼의 저면 예시도.
도 7은 지주에 결합된 스텝퍼의 스톱퍼 작동을 보이는 요부 단면 예시도.
도 8은 본 고안의 일 요부인 조립 발판의 다리 접철 상태를 보이는 도면.
도 9는 본 고안의 지지각과 조립 발판에 적용되는 관절부의 요부 단면도.
도 10은 기존의 고정 폴대를 보이는 정면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고정 폴대 10:지주 11:도르레
12:지지플랜지 13:고무패드 14:걸림공
20:네트 인장용 스텝퍼 21:지주 삽지공 22:상판부
23:걸고리 24:삽지공 25:작동홈
26:스톱퍼 30:지지각 31:브라켓
32:관절부 33:플랜지 34:고무패드
35:끼움공 36:회동방지요홈 40:조립 발판
41:상판 42:다리 43:연결바아
44:고정편 45:관절부

Claims (6)

  1. 상단에 도르레(11)가 축설되고 길이 방향으로 천공되는 다단의 걸림공(14)을 구비하며 하단에 지지 플랜지(12)가 구비되는 일정 길이의 한 조의 지주(10)와;
    삽지공(24)을 통해 상기 지주(10)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고 외부에서 조작이 가능한 스톱퍼(26)를 구비하는 네트 인장용 스텝퍼(20)와;
    상기 지주(10)의 상단에 끼워지는 브라켓(31)을 통해 "∨"자형으로 설치되며 관절부(32)를 통해 내측 방향으로 절첩 가능하게 설치되어 구성되는 한 조의 지지각(30)과;
    상기 지지각(30)의 사이에 위치되며 힌지(H)를 통해 일방향으로 절첩 가능하게 되는 다리(42)는 지지각(30)의 플랜지(33)와 결합되고 상판(41)은 고정편(44)에 힌지 결합되는 연결바아(43)를 통해 지주(10)에 연결 지지되는 조립 발판(40)을 각각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실, 내외 겸용 족구네트 고정 폴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텝퍼(20)는,
    상판부(22)의 일측단에 네트 고정끈(B)의 단부가 걸려 지지될 수 있도록 하향으로 절곡되는 걸고리(23)와,
    상기 지주(10)의 걸림공(14)의 양측에 위치되는 직선의 삽지공(24)과,
    상기 삽지공(24)과 상부로 연통되도록 구성되는 "L"자형의 작동홈(25)과,
    상기 삽지공(24)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수직 외력 부여 시 수평이동이 가능하도록 선단에 경사부(26D)를 둔 가동체(26A)를 스프링(26B)을 통해 탄성적으로 설치시켜 구성되는 스톱퍼(26)와,
    상기 가동체(26A)에 연결 구성되고 작동홈(25)의 외부로 노출되는 스톱퍼 손잡이(26C)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실, 내외 겸용 족구네트 고정 폴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바아(43)에는 일방향으로 절첩이 가능하게 관절부(45)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실, 내외 겸용 족구네트 고정 폴대.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각(30)에 구성되는 관절부(32)는 힌지부(32A)와 상단에 걸림턱(32B)을 가진 삽지홈(32C)을 가진 암부재(32D) 및 힌지부(32E)와 삽지부(32F)를 가진 수부재(32G)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실, 내외 겸용 족구네트 고정 폴대.
  5. 제 1항에 있어서, 브라켓(31)의 일측에는 스코어 보드(S)의 지지봉(S')이 회동없이 끼워질 수 있도록 끼움공(35)과 회동방지요홈(36)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실, 내외 겸용 족구네트 고정 폴대.
  6. 삭제
KR2020070018699U 2007-11-21 2007-11-21 실, 내외 겸용 족구네트 고정 폴대 KR2004480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8699U KR200448048Y1 (ko) 2007-11-21 2007-11-21 실, 내외 겸용 족구네트 고정 폴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8699U KR200448048Y1 (ko) 2007-11-21 2007-11-21 실, 내외 겸용 족구네트 고정 폴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4983U KR20090004983U (ko) 2009-05-26
KR200448048Y1 true KR200448048Y1 (ko) 2010-03-10

Family

ID=41300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8699U KR200448048Y1 (ko) 2007-11-21 2007-11-21 실, 내외 겸용 족구네트 고정 폴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8048Y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9640Y1 (ko) 2006-07-19 2006-10-25 허일량 네트 지지용 절첩식 폴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9640Y1 (ko) 2006-07-19 2006-10-25 허일량 네트 지지용 절첩식 폴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4983U (ko) 2009-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41531B2 (en) Portable anchoring device for a sports goal
US8851095B2 (en) Pole mounted cooler
US20200114194A1 (en) Portable exercise apparatus
US8876616B2 (en) Boxing ring simulator
US4913428A (en) Portable net tightening post assembly
US6375600B1 (en) Portable punching balloon support
KR100741952B1 (ko) 이동식 다기능 운동기구용 조립식 지주대
US5533733A (en) Sports goal
WO2005049153A1 (en) Retractable telescoping court standard
KR200448048Y1 (ko) 실, 내외 겸용 족구네트 고정 폴대
US4732395A (en) Free standing sport net stand
KR20100048812A (ko) 운동경기용 네트의 고정장치
US20150322690A1 (en) Canopy Leg Hold Down Plate
US8172707B2 (en) Net holding standard using basketball rim
KR100890352B1 (ko) 휴대용 조립식 배드민턴 네트.
US5178384A (en) Collapsible sports practice device
US20150057114A1 (en) Kit for adapting a tennis court of one size to a court of smaller size
US3658325A (en) Tight rope apparatus
US20110275459A1 (en) Tennis Ball Toss and Serve Training Device
KR200279116Y1 (ko) 이동설치가 용이한 조립식 족구 네트지주
RU107700U1 (ru) Дачный спортивно-игровой комплекс
JP3139357U (ja) バレーボール練習装置
AU616007B2 (en) Portable net support assembly
KR200429640Y1 (ko) 네트 지지용 절첩식 폴대
KR200346982Y1 (ko) 배드민턴 네트 설치용 조립식 지주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7

Year of fee payment: 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