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7994Y1 - 하우스형 패널을 구비한 수배전반 - Google Patents

하우스형 패널을 구비한 수배전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7994Y1
KR200447994Y1 KR2020090001678U KR20090001678U KR200447994Y1 KR 200447994 Y1 KR200447994 Y1 KR 200447994Y1 KR 2020090001678 U KR2020090001678 U KR 2020090001678U KR 20090001678 U KR20090001678 U KR 20090001678U KR 200447994 Y1 KR200447994 Y1 KR 20044799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gear
house
main body
switchboard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16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정애
전민숙
Original Assignee
홍정애
전민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정애, 전민숙 filed Critical 홍정애
Priority to KR20200900016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799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799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799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Cabinet-type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6Accessories, e.g. window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56Cooling; Ventilat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00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using a gaseous coolant in electronic enclosures
    • H05K7/20136Forced ventilation, e.g. by f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전면 및 후면 도어가 각각 단일 도어 형태인 수배전반 본체; 및 상기 수배전반 본체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외측으로 설치된 하우스형 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스형 패널의 양 측면 중 적어도 일면에는 출입구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스형 패널을 구비한 수배전반이 개시된다.
수배전반, 패널, 출입구

Description

하우스형 패널을 구비한 수배전반{A POWER SUPPLYING APPARATUS WITH HOUSE TYPE PANEL}
본 고안은, 하우스형 패널을 구비한 수배전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비나 눈 등 악천후에도 수배전반의 유지보수 및 점검이 용이하고 사고 발생의 위험이 방지되며, 통풍수단의 마련으로 수배전반 내부의 열 발생에 따른 온도 상승이 억제되고, 수배전반 본체의 전면 및 후면 도어 각각을 2중의 방수 타입이 아닌 옥내형 수배전반처럼 단일의 일반 타입으로 제작할 수 있도록 한 하우스형 패널을 구비한 수배전반에 관한 것이다.
학교, 빌딩, 아파트단지, 공장 등과 같은 집단 전력 수요처에서는 각각이 필요로 하는 전력을 얻기 위해, 변전소로부터 22,900V의 특고압 전력을 수전하여 220V와 같은 저전압으로 변전한 후 각 수용가로 공급하는 수배전반을 갖추고 있다.
이러한 수배전반에는 옥내형과 옥외형의 두 가지 타입이 존재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옥외형 수배전반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옥외형의 수배전반(10)은 비나 눈 등 악천후에 수배전반(10)을 보호하 기 위하여 전면 도어(16)를 외측 방수 도어(12)와 내측 일반 도어(14)의 2중 도어로 제작하고, 후면 도어(미도시) 역시 외측 방수 도어와 내측 일반 도어의 2중 도어로 제작하며, 수배전반의 상면(미도시)을 방수 타입으로 제작하였다.
그러나, 유지보수 및 점검을 수행하는 작업자는 비나 눈 등 악천후시 악천후에 그대로 노출된 상태에서 작업을 해야 하므로 안전 사고의 위험이 있고 작업자의 작업능률 역시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전면 도어(16) 및 후면 도어(미도시) 각각이 방수 타입의 2중 도어인 관계로 수배전반(10)의 제조원가가 상승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종래의 옥외형 수배전반(10)의 경우 수배전반(10) 내부 기기에서 발생하는 열로 인해 수배전반 내부의 온도가 상승하게 되는 데 여름철에는 이러한 온도 상승이 더욱 심하여 안전성에 취약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하우스형 패널이 수배전반 본체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설치됨으로써, 비나 눈 등 악천후에도 작업자가 수배전반 본체의 유지보수 및 점검을 용이하고 안전하게 할 수 있고, 수배전반 본체의 전후면 도어를 옥내형 수배전반처럼 단일의 일반 타입으로 제작할 수 있어 원가절감의 효과가 있으며, 통풍수단이 마련되어 있어 수배전반 내부의 온도 상승을 억제할 수 있는 하우스형 패널을 구비한 수배전반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하우스형 패널을 구비한 수배전반은, 전면 및 후면 도어가 각각 단일 도어 형태인 수배전반 본체; 및 상기 수배전반 본체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외측으로 설치된 하우스형 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스형 패널의 양 측면 중 적어도 일면에는 출입구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수배전반 본체의 좌우 양측면에는 통풍관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출입구에는 팬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우스형 패널의 전면 하단에는 통풍메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배전반 본체의 전면에 설치된 하우스형 패널의 전면에는 투명창이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하우스형 패널을 구비한 수배전반은, 수배전반 본체의 전후면에 하우스형 패널이 설치되어 있어, 작업자는 하우스형 패널 안으로 들어가 수배전반 내부 기기의 결손이나 오작동 등에 대한 점검 작업 등을 하면 되므로 비나 눈 등 악천후로 인한 안전사고의 위험이 전혀 없고, 작업자의 작업능률도 향상되는 효과를 도모한다.
또한, 상기 하우스형 패널로 인해 수배전반 본체의 전후면 도어는 외부와 직접적으로 접촉하지 않으므로, 수배전반 본체의 전후면 도어를 종래 옥외형 수배전반에서처럼 외측 방수 도어와 내측 일반 도어의 2중 타입으로 제작할 필요 없이, 옥내형 수배전반에서처럼 단일의 일반 타입으로 제작하면 된다. 따라서, 수배전반의 제조원가 절감의 효과가 도모된다.
또한, 수배전반 본체의 좌우 양측면에 설치된 통풍관을 통해 외부 공기가 수배전반 본체 내부로 들어오고 수배전반 본체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나갈 수 있게 되므로, 여름철 수배전반 내부의 온도 상승을 억제하여 안전성을 제고할 수 있다.
또한, 하우스형 패널의 출입구에 설치된 팬은 여름철 하우스형 패널 내부의 과열된 공기를 외부로 강제 배기하고, 하우스형 패널의 전면 하단에 형성된 통풍메시는 하우스형 패널 내부로 외부 공기가 들어오게 하고 또 내부의 과열된 공기를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하여, 여름철 수배전반 본체 내부의 온도 상승을 간접 적으로 저하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고안을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지만, 하기 예에 본 고안의 범주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스형 패널을 구비한 수배전반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수배전반 본체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하우스형 패널을 구비한 수배전반(100)은 수배전반 본체(20) 및 하우스형 패널(30, 40)을 포함한다.
상기 수배전반 본체(20)는 특고압을 저압으로 변환하는 장치이다. 상기 수배전반 본체(20)의 전면과 후면에는 각각 하우스형 패널(30, 40)이 외측으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하우스형 패널(30, 40) 각각은 상면(32, 42), 하면(미도시, 미도시), 좌우 양측면(34, 미도시, 44, 미도시) 및 전면(36, 46)으로 이루어진 구조이다.
상기 하우스형 패널(30, 40)의 양측면 중 적어도 일면에는 출입구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하우스형 패널(30, 40)의 양측면(34, 미도시, 44, 미도시)에 출입구(35, 45)가 마련되어 있으나, 대안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하우스형 패널(30, 40)의 양측면 중 일면에만 출입구가 마련될 수 있다.
수배전반 본체(20)의 내부 기기에 결손이 발생하거나 오작동되는 경우 작업자는 상기 하우스형 패널(30, 40)의 양측면(34, 44)에 형성된 출입구(35, 45)를 통 해 하우스형 패널(30, 40) 내부로 들어가서 수배전반 본체 내부 기기의 유지보수 및 점검 작업을 수행한다. 따라서, 비나 눈이 내리는 악천후에도 작업자는 안전한 환경 하에서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날씨로 인한 안전 사고의 위험이 완전히 제거되고 작업자의 작업능률 역시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배전반(100)은 상기 수배전반 본체(20)의 전면과 후면에 설치된 상기 하우스형 패널(30, 40)로 인해,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수배전반 본체(20)의 전면 도어(22) 및 후면 도어(24) 각각을 종래처럼 외측 방수 도어와 내측 일반 도어의 2중 타입으로 제조할 필요 없이 옥내형 수배전반처럼 단일의 일반 도어 타입으로만 제조하면 된다. 따라서, 수배전반의 제조 원가가 절감되는 효과가 도모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수배전반 본체(20)의 후면 도어(24)에는 팬(26)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하우스형 패널(30, 40) 중 수배전반 본체(20)의 후면에 설치된 하우스형 패널(40)의 전면(46)에는 팬(47)이 설치되어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우스형 패널을 구비한 수배전반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4의 수배전반은 도 2의 수배전반과 비교했을 때, 수배전반 본체의 좌우 양측면에 통풍관이 더욱 설치되어 있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 2의 수배전반과 동일하다. 따라서, 도 2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수배전반 본체(20)의 좌우 양측면에는 통풍관(21, 22, 23, 24)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통풍관(21, 22, 23, 24)은 "L"형상의 관으로써, 통풍 관(21, 22, 23, 24)의 상단은 오픈 상태이고, 통풍관(21, 22, 23, 24)의 하단은 메시처리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수배전반은 옥외에 설치되는 관계로, 여름철에는 수배전반 본체(20) 내부의 기기들이 더욱 과열되기가 쉬워 안전사고의 위험이 높다. 그런데, 이와 같은 통풍관(21, 22, 23, 24)을 설치하면, 상기 통풍관(21, 22, 23, 24)을 통해 수배전반 본체(20) 내부의 과열된 공기는 실외로 빠져나가고 실외 공기는 수배전반 본체(20) 내부로 들어올 수 있게 되므로, 수배전반 내부의 온도 상승을 방지하여 안전사고의 위험을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우스형 패널을 구비한 수배전반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5의 수배전반은 도 4의 수배전반과 비교했을 때, 하우스형 패널에 마련된 출입구에 팬이 더욱 설치되어 있고, 하우스형 패널의 전면 하단에 통풍메시가 더욱 형성되어 있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 4의 수배전반과 동일하다. 따라서, 도 4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하우스형 패널(30, 40)의 출입구(35, 45)에는 팬(38, 48)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하우스형 패널(30, 40)의 전면(36, 46) 하단에는 통풍메시(39, 49)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팬(38, 48)은 여름철 하우스형 패널(30, 40) 내부의 과열된 공기를 외부로 강제 배기시켜 수배전반 본체(20) 내부의 온도 상승을 간접적으로 저하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통풍메시(39, 49)는 하우스형 패널(30, 40) 내부로 외부 공기가 들어오게 하고 또 내부의 과열된 공기를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여름철 수배전반 본체(20) 내부의 온도 상승을 간접적으로 저하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우스형 패널을 구비한 수배전반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6의 수배전반은 도 5의 수배전반과 비교했을 때, 수배전반 본체의 전면에 설치된 하우스형 패널이 그 전면에 투명창을 더욱 구비하고 있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5의 수배전반과 동일하다. 따라서, 도 5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수배전반 본체(20)의 전면에 설치된 상기 하우스형 패널(30)의 전면(36)에는 투명창(37)이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작업자나 관리자는 상기 투명창(37)을 통해 수배전반 본체(20)의 내부 기기 상태 표시를 확인할 수 있다.
도 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우스형 패널을 구비한 수배전반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7의 수배전반과 도 6의 수배전반을 비교했을 때, 수배전반 본체가 복수 개의 패널 유닛으로 구성되어 있어 하우스형 패널 역시 복수 개의 패널 유닛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 6의 수배전반과 동일하다. 따라서, 도 6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수배전반 본체(200)는 4개의 패널 유닛으로 구성되어 있 다. 따라서, 상기 수배전반 본체(200)의 전면과 후면에 외측으로 설치되는 하우스형 패널(300, 400) 역시 4개의 패널 유닛(310~340, 410~440)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하우스형 패널(300, 400) 각각은 4개의 상면(312~342, 412~442), 4개의 하면(미도시, 미도시), 2개의 양측면(314, 미도시, 414, 미도시), 4개 전면(316~346, 미도시)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스형 패널(300)의 전면(316~346)에는 4개의 투명창(317~347)이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 6의 실시예에서의 효과와 마찬가지로 상기 투명창(317~347)을 통해 작업자나 관리자는 수배전반 본체(200)의 내부 기기 상태 표시를 확인할 수 있고, 비나 눈 등 악천후에도 작업자는 안전한 환경 하에서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날씨로 인한 안전 사고의 위험이 완전히 제거되고 작업자의 작업능률 역시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수배전반 본체(200)의 전면 도어와 후면 도어의 각각을 종래처럼 외측 방수 도어와 내측 일반 도어의 2중 타입으로 제조할 필요 없이 단일의 일반 도어 타입으로만 제조하면 된다. 따라서, 수배전반 본체의 제조 원가가 절감되는 효과가 도모된다.
또한, 수배전반 본체(200)의 좌우 양측면에는 통풍관(210, 220, 230, 240)이 설치되어 있어, 상기 통풍관(210, 220, 230, 240)을 통해 수배전반 본체(200) 내부의 과열된 공기는 실외로 빠져나가고 실외 공기는 수배전반 본체(200) 내부로 들어올 수 있게 되므로, 여름철 수배전반 내부의 온도 상승이 저지되어 안전사고 위험 을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하우스형 패널(300, 400)의 출입구에는 팬(318, 418)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하우스형 패널(300, 400)의 전면(316~346, 미도시) 하단에는 통풍메시(319~349, 미도시)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팬(318, 418)은 여름철 하우스형 패널(300, 400) 내부의 과열된 공기를 외부로 강제 배기시켜 수배전반 본체(200) 내부의 온도 상승을 간접적으로 저하시킨다. 또한, 상기 통풍메시(319~349, 미도시)는 하우스형 패널(300, 400) 내부로 외부 공기가 들어오게 하고 또 내부의 과열된 공기를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여름철 수배전반 본체(200) 내부의 온도 상승을 간접적으로 저하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형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옥외형 수배전반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스형 패널을 구비한 수배전반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수배전반 본체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우스형 패널을 구비한 수배전반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우스형 패널을 구비한 수배전반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우스형 패널을 구비한 수배전반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우스형 패널을 구비한 수배전반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Claims (5)

  1. 전면 및 후면 도어가 각각 단일 도어 형태인 수배전반 본체; 및
    상기 수배전반 본체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외측으로 설치된 하우스형 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스형 패널의 양 측면 중 적어도 일면에는 출입구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스형 패널을 구비한 수배전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배전반 본체의 좌우 양측면에는 통풍관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스형 패널을 구비한 수배전반.
  3.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구에는 팬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스형 패널을 구비한 수배전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스형 패널의 전면 하단에는 통풍메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스형 패널을 구비한 수배전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수배전반 본체의 전면에 설치된 하우스형 패널의 전면에는 투명창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스형 패널을 구비한 수배전반.
KR2020090001678U 2009-02-16 2009-02-16 하우스형 패널을 구비한 수배전반 KR20044799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1678U KR200447994Y1 (ko) 2009-02-16 2009-02-16 하우스형 패널을 구비한 수배전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1678U KR200447994Y1 (ko) 2009-02-16 2009-02-16 하우스형 패널을 구비한 수배전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7994Y1 true KR200447994Y1 (ko) 2010-03-08

Family

ID=442114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1678U KR200447994Y1 (ko) 2009-02-16 2009-02-16 하우스형 패널을 구비한 수배전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7994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4226B1 (ko) * 2005-11-28 2007-04-06 주식회사 아이파워 접철형 점검도어가 마련된 복합형 수배전반
KR100781560B1 (ko) * 2007-08-20 2007-12-03 주식회사 신화에프이원 회전식 격납부를 구비한 분배전반용 캐비넷
KR100858060B1 (ko) 2008-07-16 2008-09-12 (주)광명토탈엔지니어링 배전반의 감전사고 방지를 위한 슬라이딩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4226B1 (ko) * 2005-11-28 2007-04-06 주식회사 아이파워 접철형 점검도어가 마련된 복합형 수배전반
KR100781560B1 (ko) * 2007-08-20 2007-12-03 주식회사 신화에프이원 회전식 격납부를 구비한 분배전반용 캐비넷
KR100858060B1 (ko) 2008-07-16 2008-09-12 (주)광명토탈엔지니어링 배전반의 감전사고 방지를 위한 슬라이딩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6163962U (zh) 一种配电箱
CN210224757U (zh) 一种除湿防尘箱式变电站
CN204145936U (zh) 一种密封式电源机箱
CN106481108A (zh) 一种可拆装的无尘检修车间
CN206332340U (zh) 一种节能杀菌户外配电柜
CN107086482A (zh) 一种抽拉式电气控制柜
CN204920325U (zh) 一种可拆装的无尘检修车间
CN107086475A (zh) 一种具有降噪和冷却功能的箱式变电站外壳
KR200447994Y1 (ko) 하우스형 패널을 구비한 수배전반
CN204103284U (zh) 新型检修电源箱
CN203521937U (zh) 一种遮蔽通风式防尘高压电缆分支箱体
CN204030322U (zh) 配电柜
CN206259632U (zh) 一种防雨散热配电箱
CN106532471B (zh) 一种适于雨雪天气抢修的野外用配电柜
CN206116929U (zh) 一种箱式牵引变电所
CN204968264U (zh) 一种新型通信设备箱
CN205077915U (zh) 一种发电机层盘柜玻璃罩
CN203481725U (zh) 一种全天候电缆安装作业舱
CN218783407U (zh) 一种用电供配电线路的安全配电装置
CN204899317U (zh) 一种散热性好的紧凑型光伏逆变房
CN206302081U (zh) 一种箱式变电站
CN207543067U (zh) 一种无走廊设计的户外光伏集装箱
CN205509322U (zh) 单相六表位计量箱
CN206313313U (zh) 一种防潮除湿的室外低压配电柜
CN206272093U (zh) 一种安装在墙体上的小型配电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