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7983Y1 - Disposal tongs - Google Patents

Disposal tong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7983Y1
KR200447983Y1 KR2020080000108U KR20080000108U KR200447983Y1 KR 200447983 Y1 KR200447983 Y1 KR 200447983Y1 KR 2020080000108 U KR2020080000108 U KR 2020080000108U KR 20080000108 U KR20080000108 U KR 20080000108U KR 200447983 Y1 KR200447983 Y1 KR 2004479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osable
pair
tongs
finger
f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0108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90006918U (en
Inventor
지태제
Original Assignee
지태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태제 filed Critical 지태제
Priority to KR20200800001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7983Y1/en
Publication of KR2009000691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6918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79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7983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0Sugar tongs; Asparagus tongs; Other food ton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10Articles made from a particular material

Landscapes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일회용 집게에 관한 것으로서, 접힘선이 형성된 중앙부를 중심으로 양측으로 연장된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갖는 띠 형태를 가지며, 상기 제1 단부 및 제2 단부에 손가락으로 압력을 가하여 음식물 등을 집을 수 있도록 한 일회용 집게로서, 상기 제1 단부 및 제2 단부에는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복수의 돌출부 및 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보강 비드가 형성되고, 상기 접힘선은 서로 평행하지 않은 복수의 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집게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osable forceps, and has a strip shape having a first end and a second end extending to both sides about a central portion where a fold line is formed, and applying food by finger pressure to the first and second ends. A disposable tong for picking up a back, wherein the first end and the second end ar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protrusions for preventing slippage and reinforcing beads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prevent bending, and the fold lines are parallel to each other. It provides a disposable tong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lurality of wires that do not.

손가락, 장갑, 패스트 푸드, 음식. Fingers, gloves, fast food, food.

Description

일회용 집게{DISPOSAL TONGS}Disposable tongs {DISPOSAL TONGS}

본 고안은 일회용 집게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패스트 푸드와 같은 음식물 섭취시에 사용하여 음식물과 손가락이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일회용 집게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osable forceps, and more particularly, to a disposable forceps to be used in the intake of food, such as fast food to prevent direct contact between food and fingers.

음식물을 섭취하는 경우에, 대부분은 수저와 젓가락 등의 식기를 사용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음식물을 직접 손으로 집어서 섭취하기도 한다. 피자, 햄버거 또는 치킨 등의 패스트 푸드가 그 대표적인 예이다. 이 경우 음식물이 손, 특히 손가락과 직접 접촉하게 되므로 섭취 전에 손을 씻어야 하고, 섭취 중에도 음식물이 손가락에 묻게 되므로, 다른 용기, 예를 들어 음료수 컵 등이 오염될 수 있다. 때문에, 섭취 중에 자주 냅킨 등을 이용해서 손가락을 닦아야 하므로 불편할 뿐만 아니라, 냅킨 사용량이 증가하게 되므로 환경보호의 측면에서도 매우 불리하다.In the case of eating food, most people use tableware such as cutlery and chopsticks, but in some cases, the food is picked up by hand. Fast foods such as pizza, hamburgers or chicken are typical examples. In this case, the food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hands, especially the fingers, so wash your hands before ingestion, and food in contact with the fingers during ingestion, other containers, such as drinking cups may be contaminated. Therefore, it is inconvenient to clean the fingers using a napkin or the like frequently during ingestion, as well as an increase in the amount of napkin use is very disadvantageous in terms of environmental protection.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대안으로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07-0000719호(고안의 명칭 : 손가락용 장갑)에서는 패스트푸드 등을 섭취하는 경우에 손가락 끝에 삽입할 수 있도록 하여 손가락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손가 락용 장갑을 제안한 바 있다. 도 1은 상기 손가락용 장갑을 도시한 것으로서,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면서 좌우 양 손가락에 착용할 수 있도록 좌우 대칭의 한 쌍으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엄지, 검지, 중지의 손가락만 착용할 수 있도록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엄지, 검지, 중지끼움부(10, 11, 12)와; 상기 각 엄지, 검지, 중지끼움부가 연결될 수 있도록 엄지, 검지, 중지끼움부의 하단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와; 상기 좌우로 형성된 엄지끼움부 사이를 연결하면서 사용시 쉽게 떨어지는 절취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an alternative to solve this problem, the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Application No. 20-2007-0000719 (designation: finger gloves) can be inserted at the tip of the finger when ingesting fast food, etc. We have proposed a fingertip glove that can be prevented. Figure 1 shows the glove for the finger, which is made of a synthetic resin and formed as a pair of left and right symmetry to be worn on both left and right fingers, a certain interval to wear only the thumb, index finger, middle finger A thumb, the index finger, and the stop fitting portions 10, 11 and 12 formed to be placed; A connection part connecting the lower end of the thumb, the index finger, and the stop fitting part to connect the thumb, the index finger, and the stop fitting part;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cut portion that is easily dropped during use while connecting between the left and right thumb portions formed.

이러한 손가락용 장갑을 사용하면, 손가락에 음식물이 묻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어, 위생상의 문제뿐만 아니라 냅킨 사용량을 감소시킬 수 있어 환경오염 측면에서도 유리하다.By using such a finger glove, it is possible to fundamentally block food from getting on the finger, it is advantageous in terms of environmental pollution as it can reduce the use of napkins as well as hygiene problems.

그러나, 상기 손가락용 장갑을 이루는 합성수지재가 환경오염을 유발하는 물질이어서 문제가 있다. 즉, 사용된 장갑이 썩지 않는 재질이어서 이를 별도로 수거하여 관리해야 하므로 문제가 있는 것이다. 아울러, 사람마다 다른 손가락의 굵기에 적절하게 대응할 수 없어, 가령 어린이와 같이 손가락이 작은 사람의 경우 제대로 손가락에 고정되지 않아 사용이 불편하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사이즈를 달리하는 다수의 제품을 구비하여야 하므로 생산 및 관리가 어려워지는 문제가 있다.However, there is a problem because the synthetic resin material constituting the finger glove is a material causing environmental pollution. That is, the glove used is a material that does not rot, so it must be collected and managed separately, which is a problem. In addition, the thickness of the finger different for each person can not be appropriately responded, for example, a small finger such as a child is not properly fixed to the finger is inconvenient to use.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since a plurality of products having different sizes must be provided, production and management are difficult.

또한, 재질 자체가 강성이 없으므로 음식점에서 거치하여 사용하는 경우, 보관함에서 꺼낼 때 인접한 제품들이 같이 붙어서 나오게 되므로, 한 장씩 뽑아내어 사용하는 것이 불편한 문제점도 존재한다.In addition, since the material itself is not rigid, when used in a restaurant, when the product is taken out from the storage box, adjacent products are stuck together, so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inconvenient to pull out one by one.

이외에도, 합성수지재는 최근에 문제시되는 환경호르몬을 배출할 가능성이 높은데, 이를 비교적 고온인 음식, 예를 들어 치킨이나 피자를 섭취하는 경우에 사용하면 환경호르몬이 음식물로 전이될 우려도 있다.In addition, synthetic resin materials have a high possibility of releasing environmental hormones, which is a problem in recent years, and when used in the case of eating a relatively high temperature food, for example, chicken or pizza, there is a fear that the environmental hormones are transferred to food.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 자연적으로 분해될 수 있는 소재, 예를 들어 종이 등으로 제조한 형태의 손가락용 장갑도 제안된 바 있다. 이는 양단부에 손가락이 삽입될 수 있는 주머니를 배치하고, 상기 주머니 사이를 띠 형태의 부재로 연결한 형태로서, 기본적인 기능은 상술한 합성수지제 손가락용 장갑과 동일하나 자연적으로 분해될 수 있도록 하여 환경적인 측면에서 유리하도록 한 것이다.In order to improve this, a finger glove of a form made of a material which can be naturally decomposed, for example, paper, has also been proposed. This is a form in which a finger-insertable pocket is disposed at both ends, and the pocket is connected between the pockets by a member in the form of a band. It is intended to be advantageous from the side.

그러나, 상술한 합성수지제 또는 종이로 된 손가락용 장갑의 경우 주머니 형상을 갖는 부분이 필요하게 되는 점은 공통되는 것이며, 이러한 부분은 제조 공정을 복잡하게 하는 단점이 있다. 특히, 종이로 된 경우에 주머니 형태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접착 과정이 필요하게 되며, 이로 인해 제조 단가 및 생산 공정이 증가하게 될 뿐만 아니라 그 과정에서 접착제가 요구될 수도 있어 환경적인 측면에서 여전히 문제를 가지고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a finger glove made of synthetic resin or paper described above, a part having a bag shape is required in common, and this part has a disadvantage of complicat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Particularly, in the case of paper, a separate bonding process is required to form a bag shape, which not only increases manufacturing cost and production process but also requires an adhesive in the process. Have

특히, 접착 과정을 위해서는 별도의 금형을 제작해야 하며, 이는 생산 설비 설치 비용을 비약적으로 증가시키게 된다. 이러한 비용 증가는 결국 제품 단가를 높이는 원인이 되어, 경제적 측면에서 일회용으로 사용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In particular, a separate mold must be manufactured for the bonding process, which greatly increases the cost of installing the production equipment. Such an increase in cost eventually increases the cost of the product, which makes it economically impossible to use disposable.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고, 기능적으로 종래의 손가락용 장갑과 동일하면서도 별도의 접착 공정이 필요하지 않아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는 일회용 집게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삼고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devised to overcome the disadvantage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it is easy to use, functionally the same as the conventional finger glove, but does not require a separate bonding process can be manufactured at a low cost disposable tongs Providing is a technical challenge.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접힘선이 형성된 중앙부를 중심으로 양측으로 연장된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갖는 띠 형태를 가지며, 상기 제1 단부 및 제2 단부에 손가락으로 압력을 가하여 음식물 등을 집을 수 있도록 한 일회용 집게로서, 상기 제1 단부 및 제2 단부에는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복수의 돌출부 및 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보강 비드가 형성되고, 상기 접힘선은 서로 평행하지 않은 복수의 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집게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has a band shape having a first end and a second end extending to both sides about a central portion where the fold line is formed, with a finger on the first end and the second end; Disposable tongs for picking up food and the like by applying pressure, wherein the first end and the second end ar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protrusions for preventing slip and reinforcing beads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prevent bending, and the folding The line provides a disposable tong,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lurality of lines that are not parallel to each other.

여기서, 상기 접힘선의 상기 서로 평행하지 않은 복수의 선은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아치형 선일 수 있다.Here, the plurality of lines not parallel to each other of the fold line may be a pair of arcuate lines facing each other.

바람직하게는, 상기 접힘선은 상기 한 쌍의 아치형 선의 사이에 배치되는 한 쌍의 이등변 삼각형 형태의 선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fold line may further include a pair of isosceles triangular lines disposed between the pair of arcuate lines.

또한, 상기 접힘선은 상기 한 쌍의 아치형 선의 사이에 배치되는 한 쌍의 'Y'자 형태의 선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fold line may further include a pair of 'Y' shaped lines disposed between the pair of arched lines.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수의 돌출부는 상기 제1 및 제2 단부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Preferably,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may be disposed parallel to each other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and second ends.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강 비드는 상기 돌출부를 사이에 두고 한 쌍이 배치될 수 있다.Preferably, the reinforcing beads may be disposed in pairs with the protrusions interposed therebetween.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및 제2 단부의 외주부는 손가락이 닿는 부분을 향하여 휘어질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단부 및 제2 단부가 접시와 같이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Preferably, the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ends may be bent toward a portion where the fingers touch. In other words, the first end and the second end may be formed concave like a dish.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르면, 한 장의 종이로 이루어지는 띠 형태를 가지며, 손가락을 삽입하기 위한 주머니 형태를 가지지 않으므로 별도의 접착 공정이 필요없이, 한 번의 프레스 작업으로 완성될 수 있으므로 제조 공정이 현저하게 단순화될 수 있고 접착제 사용으로 인한 유해성의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접힘선을 서로 평행하지 않은 선으로 형성함으로써, 집게 형태를 이루는 경우에 외측으로 펴지려고 하는 외력이 보다 강하게 작용하므로 이러한 외력에 의해 집게가 손가락 사이에서 쉽게 이탈되지 않으므로, 주머니 형태와 거의 동일한 수준의 고정력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because it has a strip form made of a sheet of paper, and does not have a pocket shape for inserting the finger, without a separate bonding process, it can be completed in a single press operation manufacturing process This has the advantage that it can be significantly simplified and does not cause the problem of hazards due to the use of adhesives. In addition, by forming the fold line in a non-parallel line with each other, when the forceps are formed, the external force to be extended outward acts more strongly, so that the forceps are not easily separated between the fingers. It can provide a level of fixation.

아울러, 돌출부를 포함하므로 음식물이 쉽게 미끄러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보강 비드를 추가하여 제1 및 제2 단부가 쉽게 변형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비교적 장기간 사용하여도 초기의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rotrusions include foods that do not slip easily, the reinforcing beads are added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ends are not easily deformed, so that the initial performance may be maintained even when used for a relatively long time.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일회용 집게의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o be described in detail an embodiment of a disposable forcep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일회용 집게의 제1 실시예(100)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실시예는 기본적으로 통상적으로 알려진 집게 형태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중앙부(110)를 중심으로 하여 양측으로 연장되는 제1 및 제2 단부(120, 130)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제1 및 제2 단부(120, 130)를 손가락으로 눌러서 그 사이에서 음식물을 집도록 한다.2, there is shown a first embodiment 100 of a disposable forcep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is embodiment basically has the form of tongs commonly known. Specifically, the first and second end portions 120 and 130 extend to both sides of the central portion 110, respectively, and the first and second end portions 120 and 130 are pressed by a finger. Have your food picked up.

상기 중앙부(110)에는 다수의 접힘선(112, 113, 114, 11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접힘선(112, 113, 114, 115)들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스 등을 이용하여 중앙부(110)에 위치하는 재질(종이)에 압력을 가하여 형성된 것으로서, 도 4에 도시된 평면 형태의 제품을 도 2에 도시된 사용 상태로 변형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접힘선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우선 서로 마주하는 두 개의 아치형태의 제1 접힘선(112)이 양단으로 갈수록 서로 간의 간격이 멀어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제1 접힘선(112)은 사용자가 도 2에 도시된 사용상태로 변형할 때 양단부가 용이하게 꺾일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제1 접힘선(112)을 서로 평행한 직선형태로 하지 않은 것에 의해서, 제1 접힘선을 따라서 양단부가 접혀도 다시 펴지려고 하는 복원력이 강화될 수 있다.A plurality of fold lines 112, 113, 114, and 115 are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110. As shown in FIG. 4, the fold lines 112, 113, 114, and 115 are formed by applying pressure to a material (paper) located in the central portion 110 using a press or the like, and the plane illustrated in FIG. 4. It serves to facilitate the transformation of the shaped article into the use state shown in FIG. 2. In detail with respect to the fold line, first of the two arch-shaped first fold line 112 facing each other is arranged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ward both ends. The first fold line 112 serves to allow both ends to be easily bent when the user deforms to the use state shown in FIG. 2. Here, by not making the first fold line 112 in a straight line parallel to each other, even if both ends are folded along the first fold line, the restoring force to be unfolded can be enhanced.

제1 접힘선(112)에 더하여, 제2 내지 제4 접힘선(113, 114, 115)이 배치된다. 상기 제2 내지 제4 접힘선(113, 114, 115)들은 이등변 삼각형을 이루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그 꼭지점이 중앙부(110)의 양단부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이로 인해서, 상기 제2 내지 제4 접힘선(113, 114, 115)은 사용상태에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삼각뿔 형태로 돌출되며, 이로 인해서 상술한 복원력이 더욱 강화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first fold line 112, second to fourth fold lines 113, 114, 115 are disposed. The second to fourth fold lines 113, 114, and 115 are arranged to form an isosceles triangle, and the vertices thereof are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central portion 110. For this reason, the second to fourth fold lines 113, 114, and 115 protrude in a triangular pyramid shape as shown in FIG. 2 in use, whereby the above-mentioned restoring force can be further enhanced.

한편, 상기 실시예를 구성하는 재질이 어느 정도 소성을 갖는 종이이므로, 장시간 동안 사용하는 경우 소성 변형으로 인해서 상술한 복원력이 저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내지 제4 접힘선(113, 114, 115)이 이루는 삼각뿔 형태의 부분을 아래로 접어 내리면 복원력이 보다 강화된다. 이로 인해서, 복원력을 초기와 유사한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material constituting the embodiment is a paper having a certain degree of plasticity, when used for a long time, the above-mentioned restoring force may be lowered due to plastic deformation.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3, when the triangular pyramid shaped portions formed by the second to fourth fold lines 113, 114, and 115 are folded down, the restoring force is further enhanced. As a result, the resilience can be maintained at a level similar to that of the initial stage.

이러한 복원력은 사용시에 상기 실시예(100)가 손가락으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돕게 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실시예의 제1 및 제2 단부와 사용자의 손가락 사이에 별도의 고정기구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상기 복원력으로 인해서 제1 및 제2 단부가 사용자의 검지 및 엄지 측으로 각각 벌어지려고 하므로 손가락을 완전히 벌리지 않는 이상 사용자의 검지 및 엄지 사이에서 이탈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is restoring force helps to prevent the embodiment 100 from easily deviating from the finger in use. Referring to FIG. 5, even if there is no separate fixing mechanism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ends of the embodiment and the user's finger, the first and second ends are to be opened to the user's index finger and thumb, respectively, due to the restoring force. Therefore, the user's index finger and thumb can be kept undeviated unless the fingers are fully opened.

도 2 및 도 4를 다시 참조하면, 상기 제1 및 제2 단부(120, 130)의 양측 단부 부근에는 한 쌍의 보강 비드(122, 132)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상기 보강 비드(122, 132)는 제1 및 제2 단부(120, 130)에 프레스 등으로 압력을 가하여 형성한 것으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면에 형성된 직사각형 단면을 갖는 골의 형태를 갖는다. 이로 인해서, 음식물을 섭취할 때 가해지는 손가락의 압력으로 인해서, 제1 및 제2 단부(120, 130)가 도 2에서 선 a-a'를 중심으로 하여 꺾이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보강 비드의 형태 및 개수는 도 2에 도시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2에 도시된 두 개의 보강 비드(122)의 사이에 추가적으로 보강 비드가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아울러, 그 단면 형태도 반드시 직사각형일 필요는 없으며, 반원형 또는 삼각형 등의 단면을 갖는 실시예도 고려할 수 있다.Referring back to FIGS. 2 and 4, it can be seen that a pair of reinforcing beads 122 and 132 are formed near both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ends 120 and 130. The reinforcement beads 122 and 132 are formed by applying pressure to the first and second ends 120 and 130 by pressing, etc., and have a shape of a valley having a rectangular cross section formed on the surface as shown in FIG. 6. . This prevents the first and second end portions 120 and 130 from being bent around the line a-a 'in FIG. 2 due to the pressure of the finger applied when eating food. Here, the shape and number of the reinforcing beads are not limited to those shown in FIG. 2, and may further include reinforcing beads formed between the two reinforcing beads 122 shown in FIG. 2. In addition, the cross-sectional shape does not necessarily need to be rectangular, and the embodiment which has a cross section, such as a semicircle or a triangle, can also be considered.

또한, 상기 제1 및 제2 단부(120, 130)에는 각각의 단부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돌출부(124, 13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다수의 돌출부(124, 134)들은 서로 평행하게 직선형태로 연장되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의 단면을 갖는다. 이들 돌출부(124, 134)들은 상기 제1 및 제2 단부(120, 130) 사이에 존재하는 음식물이 상기 단부의 표면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돌출부들은 반드시 도시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접촉 저항을 증가시켜서 음식물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임의의 형태, 예를 들어 다수의 원뿔형 돌출부 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ends 120 and 130 have a plurality of protrusions 124 and 134 extending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each end.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124 and 134 extend in a straight line parallel to each other, and have a rectangular cross section as shown in FIG. These protrusions 124 and 134 serve to prevent food present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ends 120 and 130 from slipping on the surface of the ends. Here, the protrusions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illustrated form, and may be formed in any form, for example, a plurality of conical protrusions or the like, which can prevent food from slipping by increasing contact resistance.

도 8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일회용 집게의 제2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2 실시예는 기본적으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 것이지만, 접힘선의 형태, 구체적으로 제2 내지 제4 접힘선의 형태에서 제1 실시예와는 차이를 갖는다.Referring to Figure 8, a second embodiment of a disposable tong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The second embodiment basically has the same structure as the first embodiment, but differs from the first embodiment in the form of a fold line, specifically, in the form of the second to fourth fold lines.

즉, 제2 실시예에서는 상게 제2 내지 제4 접힘선(213, 214, 215)이 "Y"자 형태를 이루고 있는 점에서 차이가 있으며, 이러한 구조 역시 복원력을 강화하는데 유리한 것이다.That is, in the second embodiment, the second to fourth fold lines 213, 214, and 215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the form of a “Y” shape, and such a structure is also advantageous for enhancing the restoring force.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일회용 집게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도 6 상당도이고, 도 10은 상기 제3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기 제3 실시예는 기본적으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 것이지만, 제1 및 제2 단부의 양측 단부가 외측으로 구부러져 있는 점에서 차이를 갖는다. 이로 인해, 음식물 섭취시에 음식물로부터 나온 양념이나 소스 등이 사용자의 손가락 쪽으로 흘러들어오는 것을 어느 정도 방지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에는 보강 비드 측에 위치하는 두 개의 단부 만이 구부러져 있는 형태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외에도 길이 방향으로 위치하는 단부도 추가적으로 구부러진 형태를 갖는 실시예도 고려할 수 있다.9 is a view corresponding to FIG. 6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a disposable forcep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third embodiment. The third embodiment basically has the same structure as the first embodiment, but differs in that both end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ends are bent outwardly.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prevent to some extent the seasonings, sauces, and the like, from the foods when the food is ingested. 9 and 10 show only the two ends bent in the reinforcement bead side is shown, in addition to this may be considered an embodiment in which the end is further be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도 1은 종래의 손가락용 장갑을 도시한 정면도이다.1 is a front view showing a glove for a conventional finger.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일회용 집게를 도시한 사시도이다.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disposable tong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실시예 중 접힘부가 변형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folded portion is deformed in the embodiment illustrated in FIG. 2.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실시예를 사용하기 전의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4 is a plan view showing an expanded state before using the embodiment shown in FIG.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실시예가 손가락 사이에 파지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FIG. 5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embodiment shown in FIG. 2 is held between fingers.

도 6은 도 2에서 선 a-a'에 따른 단면도이다.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2.

도 7은 도 2에서 선 b-b'에 따른 단면도이다.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in FIG. 2.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일회용 집게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도 3 상당도이다.8 is a view corresponding to FIG. 3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a disposable forcep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일회용 집게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도 5 상당도이다.9 is a view corresponding to FIG. 5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a disposable forcep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제3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FIG.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hird embodiment shown in FIG. 8.

Claims (7)

접힘선이 형성된 중앙부를 중심으로 양측으로 연장된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갖는 띠 형태를 가지며, 상기 제1 단부 및 제2 단부에 손가락으로 압력을 가하여 음식물 등을 집을 수 있도록 한 일회용 집게로서,Disposable tongs having a band shape having a first end and a second end extending to both sides about a central portion where a fold line is formed, and allowing food and the like to be picked up by applying pressure to the first and second ends with a finger. , 상기 제1 단부 및 제2 단부에는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복수의 돌출부 및 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보강 비드가 형성되고,The first end and the second end are formed with a plurality of protrusions for preventing slip and reinforcing beads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prevent bending, 상기 접힘선은 서로 평행하지 않은 복수의 선을 포함하며, 상기 보강 비드는 상기 돌출부를 사이에 두고 한 쌍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집게.The fold line includes a plurality of lines that are not parallel to each other, the reinforcing beads are disposable pairs, characterized in that a pair is disposed between the protrusions.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서로 평행하지 않은 복수의 선은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아치형 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집게.The plurality of lines that are not parallel to each other is a disposable tongs, characterized in that a pair of arched lines facing each other.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접힘선은 상기 한 쌍의 아치형 선의 사이에 배치되는 한 쌍의 이등변 삼각형 형태의 선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집게.The fold line is a disposable tongs,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comprises a pair of isosceles triangular line disposed between the pair of arcuate lines.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접힘선은 상기 한 쌍의 아치형 선의 사이에 배치되는 한 쌍의 'Y'자 형 태의 선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집게.The folding line is a disposable tongs,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comprises a pair of 'Y' shaped line disposed between the pair of arcuate lin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복수의 돌출부는 상기 제1 및 제2 단부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집게.The plurality of protrusions are disposable tongs, characterized in that arranged in parallel to each other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and second end.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 및 제2 단부의 외주부는 손가락이 닿는 부분을 향하여 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집게.Disposable tongs,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of the first and second end is bent toward the touched portion.
KR2020080000108U 2008-01-03 2008-01-03 Disposal tongs KR200447983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0108U KR200447983Y1 (en) 2008-01-03 2008-01-03 Disposal tong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0108U KR200447983Y1 (en) 2008-01-03 2008-01-03 Disposal tong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6918U KR20090006918U (en) 2009-07-08
KR200447983Y1 true KR200447983Y1 (en) 2010-03-08

Family

ID=41334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0108U KR200447983Y1 (en) 2008-01-03 2008-01-03 Disposal tong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7983Y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1545B1 (en) 2015-05-07 2016-04-27 강세이 Disposable gloves equipped with a bib
KR20160144579A (en) 2015-06-08 2016-12-19 강세이 Bib envelop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2544Y1 (en) * 2008-07-01 2011-03-04 지태제 Packaging box with disposal tongs
JP2023033043A (en) * 2021-08-27 2023-03-09 しづ子 佐藤 paper tong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7375U (en) * 1984-06-21 1986-01-17 大日本印刷株式会社 clamping tool
KR200275293Y1 (en) * 2002-02-07 2002-05-11 안희석 Tweezers made of paper
KR200335727Y1 (en) * 2003-09-16 2003-12-11 주식회사 판교 Staple remove
KR200403679Y1 (en) * 2005-09-23 2005-12-13 주식회사 유진유니크 A safety tweezers with fork functio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7375U (en) * 1984-06-21 1986-01-17 大日本印刷株式会社 clamping tool
KR200275293Y1 (en) * 2002-02-07 2002-05-11 안희석 Tweezers made of paper
KR200335727Y1 (en) * 2003-09-16 2003-12-11 주식회사 판교 Staple remove
KR200403679Y1 (en) * 2005-09-23 2005-12-13 주식회사 유진유니크 A safety tweezers with fork functio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1545B1 (en) 2015-05-07 2016-04-27 강세이 Disposable gloves equipped with a bib
KR20160144579A (en) 2015-06-08 2016-12-19 강세이 Bib envelop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6918U (en) 2009-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5010B1 (en) Sanitary finger cap
CN207666404U (en) Disposable food tongs
KR200447983Y1 (en) Disposal tongs
JP2008520334A (en) Food and drink sandwiching tool
KR100704707B1 (en) A napkin for one time
KR100987532B1 (en) Sanitary finger cap
KR200452544Y1 (en) Packaging box with disposal tongs
KR200443810Y1 (en) Disposal finger cover
KR101096315B1 (en) A finger cap
KR100662232B1 (en) Disposable glove-type tissue having a pocket formed by fusion line cut line
KR20160008940A (en) Vinyl gloves for onetime
KR101583786B1 (en) Roll-up type hygiene finger glove for diameter variant pipes
KR101020202B1 (en) A Disposable Paper Clamp
KR100981065B1 (en) Packing case with disposable clamp
KR200421469Y1 (en) A napkin for one time
KR200386784Y1 (en) Tongs for picking up food
KR200366197Y1 (en) A sanitary hand tongs
JP2013040431A (en) Disposable fingerstall
KR101229827B1 (en) finger glove
JP3160106U (en) Finger cover
KR200174546Y1 (en) Tongs for kitchen
CN207444318U (en) Snacks, snack are sleeved on the Portable sanitary fingerstall on finger when edible
KR200404781Y1 (en) a paper clamp using a time
CN202354426U (en) Three-finger cot for dining
JP2010116166A (en) Bag for food produc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