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7844Y1 - 화환용 인조 장식 - Google Patents

화환용 인조 장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7844Y1
KR200447844Y1 KR2020080000560U KR20080000560U KR200447844Y1 KR 200447844 Y1 KR200447844 Y1 KR 200447844Y1 KR 2020080000560 U KR2020080000560 U KR 2020080000560U KR 20080000560 U KR20080000560 U KR 20080000560U KR 200447844 Y1 KR200447844 Y1 KR 2004478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leaf
flat plate
artificial
leav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05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7258U (ko
Inventor
조규호
Original Assignee
조규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규호 filed Critical 조규호
Priority to KR20200800005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7844Y1/ko
Publication of KR2009000725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725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78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784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1/00Artificial flowers, fruit, leaves, or trees; Garlands
    • A41G1/04Garlands; Assembly of garlan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5/00Floral handling
    • A01G5/04Mountings for wreaths, or the like; Racks or holders for flow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6Natural ornaments; Imitation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inball Game Machi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부채꼴 형태로 펼쳐져 있는 단위잎사귀들의 휘어짐 및 처짐 현상을 방지하고, 다른 장식물인 리본과의 체결작업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화환용 인조장식을 제공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평판부와, 상기 평판부의 외곽면을 따라 부채꼴 형태로 펼쳐진 상태로 연장 형성되는 다수개의 단위잎사귀들 및 상기 평판부 및 단위잎사귀의 후면에 수직선상으로 함몰 형성된 체결홈부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지는 지지대를 포함하는 화환용 인조 장식에 있어서, 상기 각 단위잎사귀의 전면에는 나뭇가지 형태로 단위잎사귀의 중앙을 길이방향으로 가로지른 상태로 함몰 형성되는 제 1홈 및 상기 제 1홈의 양측으로 가지 형태로 뻣어나가며 함몰 형성되는 제 2홈들로 이루어져 상기 단위잎사귀의 형상 변형을 방지하게 되는 보강홈부가 함몰 형성되며, 상기 단위잎사귀들중 중앙에 위치하는 두개의 단위잎사귀에는 다른 장식물인 리본에 연결되어 있는 밴드를 통과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구멍들이 관통 형성되도록 구성한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화환용 인조 장식, 단위잎사귀, 보강홈부, 구멍, 보강돌기부

Description

화환용 인조 장식{A artificial decoration for garland}
본 발명은 화환용 인조 장식에 관련되는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부채꼴 형태로 펼쳐져 있는 단위잎사귀들의 휘어짐 및 처짐 현상을 방지하고, 다른 장식물인 리본과의 체결작업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화환용 인조 장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경조사시에 사용되는 화환은 목재재질 등으로 프레임을 다단으로 형성시킨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의 전면을 다양한 꽃으로 장식하고, 그 배경으로는 장식된 꽃이 돋보일 수 있도록 초록색 계통의 천연 침엽수 잎사귀들을 배치시켜 구성하게 된다.
상기 천연 침엽수 잎사귀는 일명 대추야자라고 불리는 종려나무의 잎사귀를 주로 사용하게 되는 데, 이러한 잎사귀는 단가가 비싸다는 단점과 함께 천연잎이기 때문에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색이 변질되어 재사용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었다.
한편,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선행기술로는 본 고안자가 2003. 06. 20. 자로 국내에 출원하여 2003. 0. 29. 자로 등록받은 등록번호 제 20-0329389 호(명칭: 화환용 장식)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합성수지재를 이용하여 다수개의 단위잎사귀들을 방사상으로 펼쳐가며 부채살부재를 사출 성형하고, 상기 부채살부재에는 지지부재를 결합시켜 인공적으로 제작된 화환용 장식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에서 제공되는 단위잎사귀들은 비교적 그 두께가 얇게 제작됨에 따라 사용과정에서 각 단위잎사귀들이 세워져 있는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휘어지거나 혹은 아래로 처지는 등의 변형이 많이 일어나 장식물로서의 가치를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화환의 전면에는 그 화환을 선물한 사람의 이름이나 혹은 회사명이 기재되어 있는 리본을 장식하게 되는 데, 종래 화환에는 상기 리본을 고정시킬 수 있는 수단이 구비되지 못함에 따라 리본을 화환용 장식인 단위잎사귀에 묶어 고정시키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따라서 미관상 좋지 못할 뿐만 아니라 자칫 리본이 떨어질 경우 화환을 선물한 사람이 누구인지를 확인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각 단위잎사귀의 전면에 보강홈부를 형성하여 사용과정에서 단위잎사귀들이 휘어지거나 아래로 처지는 등의 변형됨을 방지토록 한 화환용 인조 장식을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화환용 인조 장식의 중앙으로 리본에 연결되어 있는 밴드 통과시킬 수 있는 구멍을 형성하여 리본을 화환용 인조 장식에 간편히 고정할 수 있도록 한 화환용 인조 장식을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평판부의 외곽면과, 상기 단위잎사귀들의 하단부에 단위잎사귀들의 반원형태의 보강돌기부를 더 구비토록 한 화환용 인조 장식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평판부와, 상기 평판부의 외곽면을 따라 부채꼴 형태로 펼쳐진 상태로 연장 형성되는 다수개의 단위잎사귀들 및 상기 평판부 및 단위잎사귀의 후면에 수직선상으로 함몰 형성된 체결홈부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지는 지지대를 포함하는 화환용 인조 장식에 있어서, 상기 각 단위잎사귀의 전면에는 나뭇가지 형태로 단위잎사귀의 중앙을 길이방향으로 가로지른 상태로 함몰 형성되는 제 1홈 및 상기 제 1홈의 양측으로 가지 형태로 뻣어나가며 함몰 형성되는 제 2홈들로 이루어져 상기 단위잎사귀의 형상 변형을 방지하게 되는 보강홈부가 함몰 형성되며, 상기 단위잎사귀들중 중앙에 위치하는 두개의 단위잎사귀에는 다른 장식물인 리본에 연결되어 있는 밴드를 통과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구멍들이 관통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평판부의 외곽면과, 상기 단위잎사귀들의 하단부에는 단위잎사귀들의 형상 변형을 방지하는 반원형태의 보강돌기부들을 더 돌출시켜 구성함이 바람직하 다.
본 고안에 따른 화환용 인조 장식은 다음과 같은 많은 작용효과를 달성한다.
먼저, 본 고안은 각 단위잎사귀의 전면에 보강홈부를 형성함으로서 사용과정에서 외부 충격이나 혹은 자체 중량을 견디지 못하고 단위잎사귀가 휘어지거나 처지는 등의 형상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고안은 화환용 인조 장식의 중앙으로 리본에 연결되어 있는 밴드를 통과시킬 수 있는 구멍을 형성함으로서 리본을 화환용 인조 장식에 간편히 고정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고안은 평판부의 외각면과 단위잎사귀 사이 둘레를 따라 보강돌기부를 돌출 형성함으로서 단위잎사귀의 형상변형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상승적인 효과를 가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기술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에서 구현하고자 하는 화환용 인공 장식을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환용 인공 장식(10)은 평판부(20)와, 상기 평판부(20)의 외곽면을 따라 부채꼴 형태로 방사상으로 펼쳐진 상태로 연장 형성되는 다수개의 단위잎사귀(30)들로 구성하며, 상기 평판부(20) 및 단위잎사귀(30)들은 합성수지재를 이용하여 사출방식으로 일체 성형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나, 이외에 프레스를 이용한 성형방식이나 진공성형방식등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성형방식으로 제작할 수 있음은 자명한 사항일 것이다.
상기 평판부(20)의 전면에는 제작업체의 상호명이나 로고가 인쇄되거나 혹은 광고문구나 재질, 그리고 원산지표시등이 인쇄되어 진다.
상기 각 단위잎사귀(30)들은 그 끝단을 평판부(20)의 외곽면에 일체로 연결되도록 구성하게 되는 데, 이때 각 단위잎사귀(30)들의 선단에서 중단까지는 갈라진 상태로 각각 분리되도록 구성하고, 그 중단에서 끝단까지는 서로 연결시켜 전체적으로 종려나무의 잎사귀 형상과 유사하도록 구성한다. 또한 각 단위잎사귀(30)들의 선단에서 중단까지의 분리공간의 넓이는 외측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넓어지게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각 단위잎사귀(30)들의 전면에는 첨부된 도 2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잎에 형성된 관다발인 잎맥(vein)형상을 가지는 보강홈부(40)가 함몰 형성된다. 상기 보강홈부(40)는 길이방향으로 단위잎사귀(30)의 중앙을 가로지른 상태로 함몰 형성되는 제 1홈부(40a)와, 상기 제 1홈부(40a)의 양쪽으로 가지형태로 뻣어나가는 다수개의 제 2홈부(40b)들로 구성한다. 상기 제 1, 2홈부(40a, 40b)로 이루어진 보강홈부(40)는 비교적 얇은 두께를 가지도록 성형된 단위잎사귀(30)를 지지하며, 사용과정에서 외부 충격이나 혹은 자체 중량을 견디지 못하고 단위잎사귀(30)가 휘어 지거나 혹은 아래로 처지는 등의 변형됨을 방지시키게 된다.
상기 각 단위잎사귀(30)들중 중앙에 위치하는 두개의 단위잎사귀(30)에는 중앙으로 구멍(50)이 각각 펀칭 처리되어 형성된다. 상기 구멍(50)은 화환용 인조 장식(10)에 화환을 선물한 사람 이름이나 회사명등이 기재되어 있는 다른 장식물인 리본(110)을 간편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 수단이다. 즉, 화환용 인조 장식(100)의 전면에 리본(110)을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리본(110)에 연결되어 있는 밴드(120)(혹은 클램핑기구)를 상기 구멍(50)으로 통과시킨 상태로 묶어주도록 함으로서 리본(110)을 화환용 인조 장식(100)에 간편하게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고안에서는 상기한 구멍(50)들의 형상을 원형으로 형성한 것을 대표하여 기술하였으나, 그 외에 사각등의 다양한 도형의 형상으로 대체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평판부(20)의 외곽면과, 다수개의 단위잎사귀(30)들의 하단부에는 반원형태의 보강돌기부(60a, 60b, 60c)들이 각각 돌출 형성된다.
상기 보강돌기부(60a, 60b, 60c)들은 전술한 단위잎사귀(30)의 전면에 함몰 형성되어 있는 보강홈부(40)들과 동일한 기능, 즉 비교적 얇은 두께를 가지도록 성형된 단위잎사귀(30)들을 지지하며, 사용과정에서 외부 충격이나 혹은 자체 중량을 견디지 못하고 단위잎사귀(30)가 휘어지거나 아래로 처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첨부된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화환용 인조 장식의 후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화환용 인조 장식(10)을 구성하는 평판부(20)와 단위잎사귀(30)들중 중앙에 위치하는 하나의 단위잎사귀(30) 후면에는 수직선상으로 체결홈부(70)가 함몰 형성되고, 상기 체결홈부(70)로는 막대형상의 지지대(80)가 착탈 가 능하게 끼워진다. 상기 지지대(80)는 본 고안의 화환용 인조 장식(10)에서 단위잎사귀(30)들이 천연 종려나무의 잎사귀에 비유될 때, 상기 지지대(80)는 잎사귀를 지지하는 나무가지에 비유되는 것으로서, 상기 지지대(80)의 상단은 상기 체결홈부(70)에 끼워지도록 하고, 그 하단은 화환의 프레임(미 도시 함)에 설치되어 있는 스펀지(미 도시 함)에 삽입시켜 화환용 인조 장식(10)을 화환의 프레임에 고정시키게 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화환용 인조 장식의 작용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기술하기로 한다.
먼저, 화환의 제작시에는 다단으로 형성된 프레임 전면에 스펀지를 설치하고, 상기 스펀지로 다양한 종류의 꽃을 꽂아 프레임 전면 전체를 꾸며주도록 한다.
이어서, 화환의 배경을 위해 본 고안의 화환용 인조 장식(10)을 사용할 때에는 프레임 및 단위잎사귀 후면에 형성된 체결홈부(70)로 지지대(80)의 상단을 끼워넣은 후, 상기 지지대(80)의 하단을 화환의 프레임에 구비되어 있는 오아시스망(혹은 스펀지)에 삽입시키는 방식으로 여러개의 화환용 인조 장식(10)들을 프레임에 고정시켜 화환의 배경을 이루도록 한다.
다음, 화환을 선물하는 사람 이름이나 회사명등이 기재되어 있는 리본(110)을 상기 화환용 인조 장식(10)들중 어느 하나의 화환용 인조 장식(10) 전면에 위치시킨 다음, 리본(110)에 연결되어 있는 밴드(120)를 상기 화환용 인조 장식(10)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50)으로 통과시킨 상태에서 묶어주도록 함으로서 리본을 고정시키도록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제작 완료된 화환을 전시하는 과정에서 화환용 인조 장식(10)을 구성하는 각 단위잎사귀(30)들은 그 전면에 개별적으로 함몰 형성되어 있는 보강홈부(40)들을 통해 외부와의 충격이나 혹은 자체 중량에 의해 휘어지거나 아래로 처지지 않고 오랜시간동안 그 형상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평판부(20)의 외곽면과 단위잎사귀(30)들의 하단부를 가로 지른 상태로 돌출 형성된 보강돌기부(60a, 60b, 60c)들이 단위잎사귀(30)들의 처짐 현상을 재차 보강하게 됨으로서 화환용 인조 장식(10)의 형상 변형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화환의 전시가 끝나고 나면, 화환을 구성하는 프레임은 물론 화환용 인조 장식(10) 모두를 수거한 후, 재사용토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화환용 인조 장식을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하나의 단위잎사귀 구조를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의 A-A선을 따라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화환용 인조 장식의 후면을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화환용 인조 장식 20: 평판부
30: 단위잎사귀 40: 보강홈부
40a: 제 1홈 40b: 제 2홈
50: 구멍 60a, 60b, 60c: 보강돌기부
70: 체결홈부 80: 지지대
110: 리본 120: 밴드

Claims (2)

  1. 평판부(20)와, 상기 평판부(20)의 외곽면을 따라 부채꼴 형태로 펼쳐진 상태로 연장 형성되는 다수개의 단위잎사귀(30)들과, 상기 단위잎사귀(30)들중 중앙에 위치하는 두개의 단위잎사귀(30)에 관통 형성되며 다른 장식물인 리본(110)에 연결되어 있는 밴드(120)를 통과시켜 리본을 단위잎사귀에 묶어줄 수 있도록 하는 복수개의 구멍(50)들과, 상기 평판부(20)의 외곽면 및 상기 단위잎사귀(30)들의 하단부에 각각 돌출 형성되며 상기 단위잎사귀(30)들의 형상 변형을 방지하는 반원형태의 보강돌기부(60a, 60b, 60c)들 및 상기 평판부(20)와 단위잎사귀(30)의 후면에 수직선상으로 함몰 형성된 체결홈부(70)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지는 지지대(80)를 포함하여 구성한 구성한 화환용 인조 장식에 있어서,
    상기 각 단위잎사귀(30)의 전면에는 잎에 형성된 관다발인 잎맥 형상을 가지는 보강홈부(40)가 함몰 형성되며;
    상기 보강홈부(40)는 상기 단위잎사귀(30)의 중앙을 길이방향으로 가로지른 상태로 함몰 형성되는 제 1홈(40a) 및 상기 제 1홈(40a)의 양측으로 가지 형태로 뻣어나가며 함몰 형성되는 다수개의 제 2홈(40b)들로 이루어져 상기 단위잎사귀(30)의 형상 변형을 방지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환용 인조 장식.
  2. 삭제
KR2020080000560U 2008-01-15 2008-01-15 화환용 인조 장식 KR20044784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0560U KR200447844Y1 (ko) 2008-01-15 2008-01-15 화환용 인조 장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0560U KR200447844Y1 (ko) 2008-01-15 2008-01-15 화환용 인조 장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7258U KR20090007258U (ko) 2009-07-20
KR200447844Y1 true KR200447844Y1 (ko) 2010-02-24

Family

ID=43658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0560U KR200447844Y1 (ko) 2008-01-15 2008-01-15 화환용 인조 장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7844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3176B1 (ko) * 2019-10-14 2020-05-26 윤관영 가시나무 형태의 철조망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6087Y1 (ko) * 2002-08-08 2003-03-04 고광섭 케익용 나이프
KR200389595Y1 (ko) * 2005-04-19 2005-07-14 김채현 화환
KR100783177B1 (ko) * 2007-01-27 2007-12-07 김진갑 화환 장식용 잎
KR20080000896U (ko) * 2006-11-01 2008-05-07 박희광 화환용 장식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6087Y1 (ko) * 2002-08-08 2003-03-04 고광섭 케익용 나이프
KR200389595Y1 (ko) * 2005-04-19 2005-07-14 김채현 화환
KR20080000896U (ko) * 2006-11-01 2008-05-07 박희광 화환용 장식
KR100783177B1 (ko) * 2007-01-27 2007-12-07 김진갑 화환 장식용 잎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7258U (ko) 2009-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7844Y1 (ko) 화환용 인조 장식
KR101530969B1 (ko) 화환용 인조 장식
USD549613S1 (en) Artificial palm tree assembly for a patio table
KR100628931B1 (ko) 화환용 인조 장식물
CN108738830A (zh) 一种标牌形状造型树方法
KR200387350Y1 (ko) 화환용 장식
KR100752747B1 (ko) 화환용 인조 장식물
JPH0523536Y2 (ko)
JP4950328B2 (ja) 収納部付リース
KR101727021B1 (ko) 화환용 장식잎 지지대
CN105644255A (zh) 一种组合式多功能婚庆拱门
US20140154430A1 (en) Cross Shaped Christmas Decoration
US20120052218A1 (en) Convertible wreath
KR200433488Y1 (ko) 화환용 모조장식
CN205180933U (zh) 一种多功能屏风
KR200329389Y1 (ko) 화환용 장식
KR200436414Y1 (ko) 화환용 인조 장식물
CN218104366U (zh) 一种方便操作的园林树木种植扶持架
US20060147653A1 (en) Decorative metal wreath
JP3114575U (ja) 装飾品
CN2432850Y (zh) 圣诞树的结构
KR200345975Y1 (ko) 화환배면장식대체용판
KR20160060920A (ko) 장식모듈 및 이의 장식방법
KR20100010723U (ko) 화환용 인조 장식물 지지부재
KR100783176B1 (ko) 화환 장식용 잎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