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6954Y1 - Wardrobe - Google Patents

Wardrob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6954Y1
KR200446954Y1 KR20070015086U KR20070015086U KR200446954Y1 KR 200446954 Y1 KR200446954 Y1 KR 200446954Y1 KR 20070015086 U KR20070015086 U KR 20070015086U KR 20070015086 U KR20070015086 U KR 20070015086U KR 200446954 Y1 KR200446954 Y1 KR 20044695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ont post
post
rail member
cabinet
wid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70015086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90002562U (en
Inventor
한병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베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베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베크
Priority to KR200700150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6954Y1/en
Publication of KR2009000256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2562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695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6954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1/00Wardrob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5/00Fittings for furniture

Landscapes

  • Cabinets, Racks, Or The Like Of Rigid Construction (AREA)
  • Drawers Of Furni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미닫이 문을 가진 장롱의 전면 좌·우측단부에 각각 직립하는 각 전방포스트의 내면에 단턱부를 형성시킨 장롱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esser in which a stepped portion is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each front post that stands up to the front left and right ends of a dresser having a sliding door, respectively.

본 고안의 장롱은, 전방포스트를, 외부로 노출되는 외측전방포스트(31)와; 상기 외측전방포스트(31)의 내면(SI)에 밀착 결합되며, 전방 측으로 폭이 넓혀진 하부(32A)와 폭이 좁은 상부(32B)로 이루어진 내측전방포스트(32)로 구성되고, 폭이 넓은 내측전방포스트 하부(32A)의 상면에 레일부재(36)를 적층 결합시킴에 특징이 있다.Cabine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ront post, the outer front post 31 which is exposed to the outside; The inner front post 32 is tightly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S I of the outer front post 31 and includes a lower portion 32A extended to the front side and a narrow upper portion 32B, and has a wide width. The rail member 36 is lamin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front post lower portion 32A.

본 고안의 장롱은, 레일부재가 내측전방포스트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되어 내구성이 향상되며, 서랍장의 유무와 관계 없이 모든 미닫이장에 적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The cabine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ail member is stably supported by the inner front post to improve the durability,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applied to all sliding doors with or without a drawer.

장롱, 미닫이장, 서랍장, 미닫이 문 Cabinets, sliding doors, chests of drawers, sliding doors

Description

장롱{Wardrobe}Closet {Wardrobe}

본 고안은 장롱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미닫이 문을 가진 장롱의 전면 좌·우측단부에 각각 직립한 전방포스트를, 서로 밀착 결합되는 한 쌍의 내·외측전방포스트로 각각 구성하고, 내측전방포스트의 하부를 상부보다 전방으로 돌출시켜 그 폭을 증가시킴으로써, 서로 대향하는 좌·우 내측전방포스트 하부의 상면에 미닫이 문 작동용 레일부재를 간단히 적층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한, 장롱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est of drawers. More specifically, the front posts, which are erected at the front left and right ends of the cabinet with sliding doors, respectively, are constituted by a pair of inner and outer front posts which are closely coupled to each other. By lowering the lower portion of the protruded forward than the upper portion to increase the width, it is related to the cabinet, so that it is possible to simply laminate the sliding door operation rail member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left and right inner front post facing each other.

장롱은 의류, 이불과 요 등을 보관하기 위하여 목재로 만들어진 상자형 가구로서, 속옷이나 양말 등을 접은 상태로 중첩 보관하는 용도로 사용하기 위하여 다수의 서랍이 상·하 및 좌·우로 배치된 서랍장과, 겉옷 등을 펼쳐진 상태로 주름이 가지 않도록 걸어 보관하기 위한 옷장, 이불 등과 같이 부피가 큰 침구를 적층 보관하기 위한 이불장, 옷장과 이불장 및 서랍장 등이 적절히 결합된 복합장 등 용도에 따라 다양한 형태가 있다.Cabinets are wooden box-shaped furniture for storing clothes, duvets and urine, and drawers with multiple drawers arranged up, down, left and right for use in folding oversized storage of underwear or socks. Various types according to the use such as wardrobe for storing hangers to prevent wrinkles in the unfolded state, and wardrobes for spreading bulky bedding such as duvets, and composite cabinets in which wardrobes, duvets and drawers are properly combined There is.

상기와 같은 다양한 종류의 장롱 중 서랍장을 제외한 장롱에는 장롱의 내부공간을 외부로 개폐하기 위한 문이 구비되는데, 장롱의 문은 크게 여닫이 문과 미 닫이 문으로 구분될 수 있다.Of the various types of cabinets as described above, the chest of drawers other than the drawer is provided with a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inner space of the dresser, the door of the dresser can be largely divided into a sliding door and a sliding door.

그리고, 여닫이문은, 문틀에 하나 또는 좌·우 두개의 문이 구비되며, 각 문은 문틀에 회전 가능토록 결합되는 일측을 중심으로 하여 타측이 회전에 의해 문틀에서 완전히 벗어나게 되는 문으로서, 문의 일측을 중심으로 그 타측이 회전에 의해 문틀 외측으로 완전히 벗어나게 되기 때문에, 문틀 외측에 문의 회전반경보다 작지 않은 별도의 여유 공간이 있는 경우에 설치가 가능하다.And, the door is provided with one or two left and right doors on the door frame, each door is a door that is completely off the door frame by the rotation of the other side around the one side that is rotatably coupled to the door frame, one side of the door Since the other side is completely off to the outside of the door frame by the rotation, it is possible to install when there is a separate free space not smaller than the rotation radius of the door.

즉, 여닫이 문은 공간 활용성 측면에서 불리하기 때문에, 좁은 공간에 설치되는 장롱의 문으로는 부적합하다.That is, the swing door is disadvantageous in terms of space utilization, it is not suitable for the door of the cabinet installed in a narrow space.

상기와 같이 문을 개방하기 위한 별도의 공간이 필요로 되는 여닫이 문과 달리, 미닫이 문은 문틀 내에서 좌·우 슬라이딩에 의해 개폐되는 문으로서, 문을 개방하기 위하여 문틀 외측에 별도의 공간이 필요로 되지 않기 때문에, 장소가 좁은 곳 또는, 공간 활용도를 최대화하기 위한 곳 등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바, 미닫이 문이 구비된 종래의 장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Unlike sliding doors that require a separate space to open the door as described above, sliding doors are doors that are opened and closed by sliding left and right within the door frame, and a separate space is required outside the door frame to open the door. Since it is not, a bar suitable for use in a narrow place or a place for maximizing space utilization, etc. Looking at a conventional cabinet with a sliding door is as follows.

상기와 같은 장롱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 모서리부에 각각 바형 전·후방포스트(11)(11')가 직립 설치되며, 전·후방포스트(11)(11') 및 두 후방포스트(11') 사이에 각각 측판(12)이 결합되고, 두 전방포스트(11)에는 미닫이문(13)을 슬라이딩 시키기 위한 바형 레일부재(14)가 결합된다.As shown in FIG. 1, as shown in FIG. 1, bar-shaped front and rear posts 11 and 11 'are installed upright at four corners, respectively, and front and rear posts 11 and 11' and two rear. Side plates 12 are respectively coupled between the posts 11 ', and bar front rail members 14 are coupled to the two front posts 11 for sliding the sliding door 13.

그리고, 일반적으로 레일부재(14) 아래에는 하나 이상의 서랍장(20)이 전·후방으로 슬라이딩 가능토록 결합되고, 두 서랍장(20) 사이의 칸막이(15)가 레일부재(14)의 길이 방향 중앙부를 지지하며, 레일부재(14)를 중심으로 그 상·하에 위 치하는 미닫이장과 서랍장은, 전·후방포스트(11)(11')와 측판(12) 및 레일부재(14)에 테두리부가 결합된 바닥판(16)에 의해 서로 분리되는 구조이다.In general, one or more drawer cabinets 20 are coupled under the rail member 14 so as to be slidable forward and backward, and a partition 15 between the two drawer cabinets 20 has a central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ail member 14. Sliding cabinets and drawers close to the rail member 14, and positioned above and below the rail member 14, have edges coupled to the front and rear posts 11, 11 ', the side plates 12, and the rail member 14, respectively. The structure is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the bottom plate 16.

상기와 같은 구조의 장롱은, 사용 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전방포스트(11)와 레일부재(14) 사이의 결합력이 약화되면서 전방포스트(11)와 레일부재(14)의 양 단부 사이에 틈새가 발생하게 되는 바, 적절한 보수를 하지 않으면 전방포스트(11)와 레일부재(14)가 분리될 수 있게 된다.In the case of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as the service period becomes longer, a gap occurs between both ends of the front post 11 and the rail member 14 while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front post 11 and the rail member 14 is weakened. If the bar is not properly maintained, the front post 11 and the rail member 14 can be separated.

상기와 같은 이유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부재(14)의 각 단부가 전방포스트(11)의 내면에 단순 밀착된 상태에서 볼트 등의 결합부재에 의해 고정결합되거나, 전방포스트(11)의 내면에 요홈(G)을 형성시킨 후 이 요홈(G)에 레일부재(14)의 각 단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결합부재에 의해 고정결합되는 구조이기 때문이다.As described above, as illustrated in FIG. 2, each end of the rail member 14 is fixedly coupled by a coupling member such as a bolt in a state in which the rail member 14 is simply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front post 11, or the front post ( This is because the grooves G ar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11), and the grooves G are fixedly coupled by the coupling members in the state in which each end of the rail member 14 is inserted.

즉, 밀착 결합된 전자의 경우, 장기간 사용 시 미닫이 문의 중량에 의해 전방포스트 내면을 따라 레일부재가 하강하려는 힘을 받기 때문에, 결합부재에 의해 고정되어 있기는 하나, 전방포스트와 레일부재 사이에 틈새가 벌어질 수 밖에 없을 뿐 아니라, 레일부재의 양 단부를 좌·우 양 측 전방포스트의 동일한 높이에 고정시키는 작업이 수평 정밀도를 요하기 때문에 전방포스트에 대한 레일부재의 조립작업이 쉽지만은 않다.That is, in the case of closely coupled electrons, since the rail member is forced to descend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front post by the weight of the sliding door during long-term use, the gap between the front post and the rail member is fixed by the coupling member. In addition, the assembly of the rail member with respect to the front post is not easy because the operation of fixing both ends of the rail member to the same height of the left and right front posts requires horizontal precision.

그리고, 요홈(G)으로의 삽입구조를 적용한 후자의 경우 요홈의 깊이가 전방포스트의 두께보다 클 수 없기 때문에 삽입 결합력에 한계가 있을 수 밖에 없으며, 요홈에 삽입된 레일부재의 요홈 내 유동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레일부재의 외면과 요홈의 내면이 가능한 밀착될 수 있도록 요홈의 가공 정밀도가 높아야 하는 바, 요홈 가공이 쉽지 않은 단점이 있다.In the latter case, the depth of the groove cannot be greater than the thickness of the front post, so the insertion coupling force is limited, and the flow in the groove of the rail member inserted into the groove is minimized. In order to ensure that the processing precision of the groove is high so that the outer surface of the rail member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groove can be as close as possible,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groove processing is not easy.

또한, 레일부재의 요홈 내 유동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요홈과 레일부재 삽입부의 단면적을 거의 같도록 하는 경우 요홈에 대한 레일부재의 삽입작업도 쉽지 않으며, 삽입작업을 쉽게 하기 위하여 레일부재 삽입부의 단면적을 요홈보다 작게 하는 경우 레일부재의 요홈 내 유동 가능량이 커지면서 레일부재의 조립 정밀도가 떨어지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groove and the rail member inserting portion are set to be substantially the same in order to minimize the flow in the groove of the rail member, the rail member is not easy to insert into the groove. When it is made smaller, as the flowable amount in the groove of the rail member becomes larger, the assembly accuracy of the rail member is lowered.

즉, 종래의 미닫이장에 구비된 레일부재의 결합구조는, 레일부재의 각 단부와 전방포스트 사이의 결합력이 부족할 뿐 아니라, 레일부재가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전방포스트의 외면에 레일부재의 각 단부를 정확하게 결합하는 작업이나, 전방포스트의 내면에 대한 정밀한 요홈가공 등이 쉽지 않은 단점이 있다.That is, the conventional coupling structure of the rail member provided in the sliding door is not only lacking the coupling force between each end of the rail member and the front post, the angle of the rail member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ront post so that the rail member can maintain a horizontal state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not easy to precisely join the end, or precise groove processing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ront post.

따라서, 레일부재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다른 구조가 개발되었는 바, 국내실용신안등록 제319380호(이하에서는 '인용고안'이라 함.)에는 "미닫이장의 하부레일 지지구조"가 게시되어 있다.Therefore, another structure for stably supporting the rail member has been developed, the domestic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319380 (hereinafter referred to as 'quoting proposal') is posted "the lower rail support structure of sliding doors".

상기 인용고안은, 레일부재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하여 서랍장(인용고안의 "하부통")의 상판을 미닫이장(인용고안의 "상부통")의 바닥판보다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연장 형성시키고, 미닫이장보다 전방으로 돌출된 서랍장의 상판 상면에 레일부재를 적층 결합한 구조로서, 미닫이장보다 전·후길이가 긴 서랍장과 미닫이장이 단순 적층된 형태인 바, 미닫이장만의 전용 구조가 될 수는 없으며, 반드시 서랍장과 함께 사용할 때만이 적용 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The cited proposal extends the top plate of the drawer cabinet ("lower barrel" in the citation) to protrude forward than the bottom plate of the sliding door ("upper barrel" in the citation) in order to stably support the rail member. It is a structure in which a rail member is laminated on the upper surface of a drawer cabinet protruding forward from a cabinet, and a drawer cabinet and a sliding cabinet with a longer front and rear length than a sliding cabinet are simply stacked, and cannot be a dedicated structure only for a sliding cabinet. The disadvantage is that it is only applicable when used with a drawer.

물론, 미닫이장만이 사용되는 경우 레일부재가 바닥에 놓여지고, 포스트의 하단면과 레일부재의 저면이 동일 수평면을 이룬다고 하면(레일부재가 전방포스트의 내면에 단순 밀착 결합된 경우), 바닥에 의해 레일부재가 미닫이 문의 하중을 충분히 견딜 수도 있으며, 그러한 경우 레일부재와 포스트 사이의 결합구조에도 문제가 발생되지 않을 수 있다.Of course, if only the sliding door is used, the rail member is placed on the floor, and if the bottom surface of the post and the bottom of the rail member form the same horizontal plane (when the rail member is simply tightly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front post), By this, the rail member may withstand the load of the sliding door sufficiently, and in such a case, a problem may not arise in the coupling structure between the rail member and the post.

그러나, 미닫이장이 설치되는 바닥이 반드시 평탄하지만은 않기 때문에 미닫이장 설치 시 수평 상태를 맞추기 위하여 미닫이장의 바닥에는 받침편들이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인 바, 전방포스트의 하단면과 레일부재의 저면이 바닥과 떨어질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장기간 사용에 의해 전방포스트와 레일부재 사이의 접촉면에 틈새가 발생할 수 있게 된다.However, since the floor on which the sliding door is installed is not necessarily flat, the support pieces are generally used at the bottom of the sliding door in order to maintain the horizontal state when installing the sliding door. The bottom surface of the front post and the bottom of the rail member may fall off the floor. In this case, as described above, a gap may occur in the contact surface between the front post and the rail member by long-term use.

본 고안은, 미닫이 문을 가진 종래 장롱의 레일부재가 가지고 있는 결합구조 측면의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레일부재와 전방포스트 사이의 결합이 간단하면서도 정밀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전방포스트의 구조가 가공이 쉽도록 구조가 단순하면서도 레일부재의 양 단부가 완벽히 지지될 수 있는 장롱을 제공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devised to solve all the problems of the side of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conventional cabinet member having a sliding door, the coupling between the rail member and the front post can be made simple and precise, and the front post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abinet in which both ends of the rail member can be completely supported while the structure is simple so that the structure is easy to process.

본 고안의 상기 목적은 전방포스트의 내면에 형성되는 단턱구조에 의하여 달성된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chieved by a stepped structur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ront post.

본 고안의 장롱은, 전방포스트에 단턱부가 구비됨으로써, 레일부재의 양 단부가 안정적으로 지지되면서 전방포스트와 레일부재의 결합부 내구성이 향상되는 동시에, 서랍장의 유무와 관계 없이 모든 미닫이장에 적용이 가능하여 활용성이 높아지고, 전방포스트가 요홈가공 없이 절단에 의해서만 제조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전방포스트와 레일부재 사이의 결합공정이 간단하면서도 정밀도가 확보되기 때문에, 장롱의 제조 생산성이 제고되는 이점이 있다.The cabin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stepped portion in the front post, so that both ends of the rail member are stably supported, thereby improving durability of the coupling portion between the front post and the rail member, and at the same time, it is applicable to all sliding doors with or without a drawer.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utilization efficiency, the front post can be manufactured only by cutting without groove processing, and the joining process between the front post and the rail member is simple and the precision is secured. have.

본 고안의 장롱은, 전방포스트의 내면에 단턱부를 형성시키고, 이 단턱부에 레일부재를 적층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한 구조에 그 특징이 있다.The cabine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a structure in which a stepped portion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ront post, and the rail member can be laminated to the stepped portion.

즉, 일반적으로 장롱의 전면 좌·우측 양 단부에는 바닥에 직립하는 전방포스트가 각각 구비되는 바, 본 고안의 장롱은, 두 전방포스트의 상호 대향면이 되는 각 전방포스트의 내면 하부에 단턱부를 형성하고, 좌·우 양측 두 전방포스트의 각 단턱부에 레일부재의 양 단부가 1:1 대응하여 적층 결합되는 구조이다.That is, generally, the front left and right ends of the cabinet are respectively provided with front posts standing upright on the floor. The cabin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epped portion at the bottom of the inner surface of each front post, which is a mutually opposing surface of the two front posts. In addition, both ends of the rail member are laminated in a one-to-one correspondence between the left and right both front posts.

상기와 같이 본 고인의 장롱은, 레일부재를 적층하기 위한 단턱부가 구비된 전방포스트에 그 특징이 있는 바, 이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As described above, the decay of the deceased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ront post is provided with a stepped portion for stacking the rail members, looking at this as follows.

설명에 앞서 방향을 지칭하는 용어의 혼동을 피하기 위하여, 장롱의 정면을 바라보는 사람의 기준으로 '상'·'하'·'좌'·'우'로 방향을 구분하고, '내'·'외'는 장롱의 실내·외를 기준으로 하되 '면'의 경우 장롱의 실내에 위치하여도 실내를 향한 면을 '내면' 실외를 향한 면을 '외면'로 하며, 장롱의 배면에서 전면을 향하여서는 '전방측', 장롱의 전면에서 배면을 향하여서는 '후방측'이라 정의하기로 한다.In order to avoid confusion of terms that refer to the direction prior to the description, the direction is divided into 'up', 'down', 'left' and 'right' based on the person who looks at the front of the cabinet, and 'my' · ' 'Outside' is based on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cabinet, but in the case of 'side', the side facing the interior is 'inside' and the side facing the outside is 'outside'. The document is defined as 'front side' and 'rear side' from the front of the cabinet.

그리고, 전방포스트의 '폭'은 전방포스트의 높이 방향에 수직한 전·후 방향의 칫수를 의미하는 것으로 정의한다.In addition, the "width" of the front post is defined as meaning the dimensions of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height direction of the front post.

전방포스트는, 장롱의 전면 좌·우측 모서리에 각각 직립한 상태에서 장롱의 측판이 후방 측으로 결합되는 동시에, 레일부재가 좌·우 방향으로 결합되는 부재로서, 서로 좌·우로 중첩된 상태에서 밀착 결합되는 한 쌍의 내·외측전방포스트로 구성된다.The front post is a member in which the side plates of the cabinet are coupled to the rear side in the state of standing upright at the front left and right edges of the cabinet, and the rail members are coupl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are closely coupled in a state where they are overlapped left and right. It consists of a pair of inner and outer front posts.

그리고, 외측전방포스트는 상단부에서 하단부까지 동일한 폭을 가지나, 내측전방포스트는 폭이 작은 상부와 상부보다 큰 폭을 가진 하부로 구분되며, 내측전방 포스트 상부보다 큰 내측전방포스트 하부의 폭 초과부분은, 전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구조이다.The outer front post has the same width from the upper end to the lower end, but the inner front post is divided into a lower part having a smaller width and a lower part having a larger width than the upper part. It extends toward the front.

즉, 상단부에서 하단부까지 폭이 일정하도록 내측전방포스트가 연장된 상태에서 내측전방포스트의 하부 전면이 전방을 향하여 연장 형성됨으로써, 상부에 비하여 하부의 폭이 확장된 구조인 바, 측면도 상에서, 내측전방포스트는, 수평부가 전방을 향한 "ㄴ"자의 형상을 하게 된다.That is, the lower front surface of the inner front post is extended toward the front in the state in which the inner front post is extended so that the width is constant from the upper end to the lower end, so that the width of the lower part is expanded compared to the upper bar. The post is shaped like a "b" with the horizontal part facing forward.

이때, 내·외측전방포스트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폭이 일정한 부분은, 필요에 따라, 그 폭이 길이 방향을 따라 변화할 수도 있는 바, 예를 들어, 특히, 외부로 노출되는 외측전방포스트의 외면에 장식성이나 미관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굴곡부를 형성시키거나 다양한 문양이 상감될 수도 있으며, 그에 따라 폭 또한 변화하게 되나, 설명의 편의상 이러한 점은 무시하기로 한다.In this case, the portion of the inner and outer front posts whose width is constan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may be changed in the length direction as necessary, for example, in particular,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 front posts exposed to the outside. In order to improve the decorativeness or aesthetic quality of the bent to form a bent or various patterns may be inlaid, the width will also be changed accordingly, but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it will be ignored.

그리고, 상기 내측전방포스트 상부의 폭은 외측전방포스트의 폭보다 당연히 작으며, 내측전방포스트 하부의 폭은 내측전방포스트 상부보다 크나 외측전방포스트보다는 크지 않다.And, the width of the upper inner front post is naturally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outer front post, and the width of the lower inner front post is larger than the inner front post but not larger than the outer front post.

따라서, 내·외측전방포스트를 서로 밀착하여 좌·우로 중첩시키면, 전방으로 연장된 내측전방포스트 하부의 수평한 상면 및 폭이 작은 내측전방포스트 상부의 전면에 의해, 서로 평행한 내·외측전방포스트의 두 내면 사이에는 "ㄴ"자형 단턱부가 형성되고, 레일부재는 내측전방포스트 하부의 수평한 상면에 적층될 수 있게 된다.Therefore, when the inner and outer front posts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nd overlapped left and right, the inner and outer front posts parallel to each other by the horizontal upper surface of the lower inner front post and the front surface of the small inner front post that extend forward. Between the two inner surfaces of the "b" shaped stepped portion is formed, the rail member can be laminated on the horizontal upper surface of the lower inner front post.

그리고, 내측전방포스트 상부의 전면은, 미닫이 문이 닫힌 경우, 미닫이 문 의 배면 테두리부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되는 바, 미닫이 문이 닫힌 상태에서,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향하는 힘이 미닫이 문에 부여될 때, 미닫이 문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때문에 문이 변형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억제해 주게 된다.And, when the front door of the inner front post is closed, the sliding door serves to support the rear edge of the sliding door, when the sliding door is closed, when the force from the front to the rear is applied to the sliding door. As a result, the sliding door can be stably supported to prevent the door from being deformed or damaged.

또한, 내·외측전방포스트의 높이는, 장롱의 구조 즉, 내·외측전방포스트의 상·하단부에 대한 다른 장롱부재의 결합구조에 따라 일측이 다소 변화될 수는 있는데, 기본적으로 두 포스트의 높이는 서로 동일하다.In addition, the height of the inner and outer front posts may be somewhat changed by one side depending on the structure of the cabinet, that is, the structure of the other cabinets connected to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inner and outer front posts. same.

상기 본 고안의 목적과 기술적 구성을 비롯한 그에 따른 작용 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을 참조한 아래의 설명에 의해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The details of the purpose and technical constitu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ing the effect thereof,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showing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본 고안 제1실시예 장롱의 부분 절개 사시도를, 도 4에 전방포스트와 레일부재의 분리 사시도를 도시하였다.3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front post and the rail member.

본 고안의 장롱은, 장롱의 전면 좌·우측단부 즉, 전방 좌·우측 모서리부에 각각 직립하는 전방포스트의 구조를 특징으로 하는 바,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장롱을 구성하는 각 전방포스트는,The cabin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a structure of a front post that stands upright at the front left and right ends of the cabinet, that is, the front left and right edges thereof. Is,

상단부에서 하단부까지 폭이 일정하며, 외부로 노출되는 바형 외측전방포스트(31)와;A width from the upper end to the lower end is constant, and the bar-shaped outer front post 31 is exposed to the outside;

상기 외측전방포스트(31)의 폭보다 크지 않은 사각판상의 하부(32A)와, 하부(32A)의 전방상면(S1)을 제외한 가상의 후방상면에서 상향 연장되는 사각판상의 상부(32B)로 이루어지며, 외면(SO)이 상기 외측전방포스트(31)의 내면(SI)에 밀착 결합되는 내측전방포스트(32)로 구성된다.A rectangular plate-shaped lower portion 32A not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outer front post 31 and a rectangular plate-shaped upper portion 32B extending upward from the virtual rear upper surface except the front upper surface S1 of the lower portion 32A. It becomes, consists of the outer surface (S O) a front inner post 32 is coupled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S I) of the outer front post (31).

이때, 상기 '가상의 후방상면'은, 전방상면(S1)과 전·후 수평 방향으로 일치하는 가상의 면을 의미한다.In this case, the 'virtual rear upper surface' means a virtual surface coinciding with the front upper surface S1 in the front and rear horizontal directions.

그리고, 상기 내측전방포스트(32)의 배면 폭 중앙부에는 길이 방향(또는 높이 방향)을 따라 요입홈(G')이 형성되기도 하고, 이 요입홈(G')에는 장롱의 측벽 역할을 하게 되는 측판(33)이 삽입 결합되는데, 필요에 따라, 상기 요입홈(G')은 외측전방포스트(31)의 배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a concave groove G 'may be formed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or a height direction) at the rear width center portion of the inner front post 32, and the side plate serving as a sidewall of the cabinet in the concave groove G'. (33) is inserted and coupled, if necessary, the recess groove (G ') may be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outer front post (31).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외측전방포스트(31)와 내측전방포스트(32)의 상·하부(32B)(32A) 각각은, 길이 방향을 따라 폭이 일정하지 않고 변화될 수도 있으며, 그러한 측면에서 내측전방포스트(32)를 구성하는 상·하부(32B)(32A)의 형상 역시 반드시 사각형상을 하지 않을 수도 있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each of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32B and 32A of the outer front post 31 and the inner front post 32 may vary in width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may vary.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32B and 32A constituting the inner front post 32 may also not necessarily have a rectangular shape.

그리고, 상기 내측전방포스트 하부(32A)의 높이는, 서랍장(34)의 유무에 따라 달라지게 되는 바, 서랍장(34)이 없는 경우 하부(32A)의 높이는 낮게 되고, 서랍장(34)이 결합되는 경우에는 서랍장(34)의 전·후방향 슬라이딩에 방해되지 않을 정도의 높이가 된다.And, the height of the inner front post lower portion 32A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drawer cabinet 34, when there is no drawer cabinet 34, the height of the lower portion 32A is low, the drawer cabinet 34 is coupled The height is such that i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front and rear sliding of the drawer 34.

또한, 내측전방포스트 하부(32A)의 폭이 외측전방포스트(31)의 폭보다 클 경우에는 외측전방포스트(31)의 외측으로 내측전방포스트(32)가 노출되어 외관품질을 떨어뜨릴 수도 있는 바, 내측전방포스트 하부(32A)의 폭을 외측전방포스트(31)의 폭보다 크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when the width of the inner front post lower portion 32A is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outer front post 31, the inner front post 32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outer front post 31 to reduce appearance quality. It is preferable not to make the width of the inner front post lower portion 32A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outer front post 31.

본 고안의 장롱을 구성하는 전방포스트(31)(32)가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짐 에 따라 장롱의 미닫이 문(35)을 슬라이딩 시키기 위한 레일부재(36)의 각 단부를, 상기 내측전방포스트 하부(32A)의 전방상면(S1)에 적층 결합할 수 있게 된다.As the front posts 31 and 32 constituting the cabin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the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each end of the rail member 36 for sliding the sliding door 35 of the cabinet is lower than the inner front post. It is possible to laminate-bond to the front upper surface S1 of 32A.

상기와 같이 내·외측전방포스트(32)(31)로 구성되는 전방포스트는, 다른 형태의 구조를 가질 수도 있는 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외측전방포스트(32)(31)가 한 몸체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front post composed of the inner and outer front posts 32 and 31 may have a structure of another type, as shown in FIG. 5, the inner and outer front posts 32 and 31. It may be made of a body.

그리고, 목재 가공에 따른 목재 손실을 줄이기 위하여, 내·외측전방포스트(32)(31)를 분리 구성하는 동시에, 내측전방포스트(32)도 상·하부(32B)(32A)로 분리 구성할 수도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reduce wood loss due to wood processing, the inner and outer front posts 32 and 31 are separated and configured, and the inner front post 32 is also divided into upper and lower parts 32B and 32A. have.

그러나, 이러한 경우, 내측전방포스트(32)를 전방상면(S1)과 가상의 후방상면에 의해 분리되는 상·하부(32B)(32A)로 분리 구성하는 것보다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32B)를 하부(32A) 측으로 연장하여 하부(32A)의 상면에 단턱부(J)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하부(32A)의 상면이 전방상면(S1)과 후방상면(S2)으로 구분되는 동시에, 후반상면(S2)이 전방상면(S1)보다 낮은 위치에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후술하기로 한다.However,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6, rather than separating the inner front post 32 into upper and lower portions 32B and 32A separated by the front upper surface S1 and the virtual rear upper surface. By extending the upper portion 32B toward the lower portion 32A so that the stepped portion J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ortion 32A,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ortion 32A is divided into the front upper surface S1 and the rear upper surface S2. At the same time, it is preferable to make the rear half face S2 at a position lower than the front top face S1,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이때, 전방상면(S1)과 후방상면(S2)은 수평한 상태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front upper surface (S1) and the rear upper surface (S2) is preferably in a horizontal state.

그리고, 내측전방포스트(32)의 상·하부(32B)(32A)가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 상·하부(32B)(32A)의 경계부가 되는 하부(32A)의 가상 후방상면은 상기의 후방상면(S2)보다 높은 위치이다.Whe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32B and 32A of the inner front post 32 are integrally formed, the virtual rear upper surface of the lower portion 32A serving as the boundary betwee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32B and 32A is the rear of the above. It is a position higher than upper surface S2.

상기와 같은 구조의 전방포스트에 의해 레일부재(36)의 양 단부는 전방상면( S1)에 안정적으로 지지되나, 장롱의 바닥판(37)을 적층 설치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레일부재(36)를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부재(36)의 저면과 내측전방포스트(32)의 내면(SI) 모두에 밀착되는 바형 지지대(38)를 결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Both ends of the rail member 36 are stably supported by the front upper surface S1 by the front post of the above structure, but the rails 36 can be used for the purpose of stacking the bottom plate 37 of the cabinet, and at the same time, the rail In order to support the member 36 more stably, as shown in FIG. 7, the bar-shaped support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both the bottom surface of the rail member 36 and the inner surface S I of the inner front post 32. It is also preferable to combine (38).

이때, 지지대(38)는 후방의 측판까지 연장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upport 38 may extend to the rear side plate.

그리고, 내측전방포스트(32)의 상·하부(32B)(32A)가 분리 구성되는 구조인 경우, 내측전방포스트 상부(32B)의 내면과 지지대(38) 사이의 접촉면적을 최대화하는 것이, 내측전방포스트 상·하부(32B)(32A)의 안정적인 결합에 더욱 바람직하다.In the case where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32B and 32A of the inner front post 32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it is inside to maximize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front post 32B and the support 38. It is further preferable for stable coupling of the front post upper and lower portions 32B and 32A.

즉, 내측전방포스트(32)를 상·하부(32B)(32A)로 분리 제작하는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부(32B)를 하부(32A) 측으로 연장하여 상부(32B)의 하단면이 지지대(38)의 상면 아래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하부(32A)의 상면에 단턱부(J)가 형성되도록 하면서 하부(32A) 측으로 하향 연장된 상부(32B)의 내면이 지지대(38) 측면과 접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That is, in the case where the inner front post 32 is manufactured by separating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32B and 32A, the lower end surface of the upper portion 32B is extended by extending the upper portion 32B to the lower portion 32A side as described above. By being positioned below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38,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portion 32B extending downward toward the lower portion 32A is in contact with the side of the support 38 while the step portion J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ortion 32A. It is good to be able to.

이때, 하부(32A) 측으로 연장되는 상부(32B)의 하단면 또는 상부(32B)가 적층되는 하부(32A)의 후방상면(S2)이, 지지대(38)의 상면보다 더욱 낮아질수록 지지대(38)와 상부(32A) 사이의 접촉면적이 확장되면서 지지대(38)가 상부(32A)를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lower end surface of the upper portion 32B extending toward the lower portion 32A or the rear upper surface S2 of the lower portion 32A on which the upper portion 32B is stacked is lower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38 so that the support 38 is 38. As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upper portion and the upper portion 32A is extended, the support 38 can support the upper portion 32A more stably.

그러나, 후방상면(S2)이 지지대(38)의 저면(SL)보다 더 낮아지는 경우, 상부(32B)와 지지대(38) 사이의 접촉면적이 더 이상 확장되지는 않는다.However, when the rear top surface S2 is lower than the bottom surface S L of the support 38,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upper portion 32B and the support 38 is no longer expanded.

도 1은 종래 장롱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dresser.

도 2는 종래 장롱을 구성하는 전방포스트와 레일부재의 결합 방법을 보인 것으로,Figure 2 shows a coupling method of the front post and the rail member constituting the conventional cabinet,

(가)는 밀착식 결합구조를 보인 분리 사시도이고,  (A)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lose coupling structure,

(나)는 삽입식 결합구조를 모인 분리 사시도이다.  (B)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insert coupling structure.

도 3은 본 고안 제1실시예 장롱의 부분 절개 사시도.Figure 3 is a partial cutaway perspective view of the cabine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 제1실시예 장롱을 구성하는 전방포스트와 레일부재의 분리 사시도.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front post and the rail member constituting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고안 장롱을 구성하는 다른 실시예 전방포스트의 사시도.5 is a perspective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front post constituting the present invention cabinet.

도 6은 본 고안 장롱을 구성하는 다른 실시예 내측전방포스트의 분리 측면도.Figure 6 is an exploded side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inner front post constituting the present invention cabinet.

도 7은 본 고안 제2실시예 장롱을 구성하는 전방포스트와 레일부재 및 지지대의 결합구조를 보인 것으로,Figure 7 shows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front post and the rail member and the support constituting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가)는 정면 결합도이고,  (A) is the front coupling,

(나)는 측면 결합도이다.  (B) is lateral coupling.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 of drawing))

31. 외측전방포스트 32. 내측전방포스트      31. Outer front post 32. Inner front post

32A. 내측전방포스트 하부 32B. 내측전방포스트상부      32A. Inner front lower post 32B. Inner front post

33. 측판 34. 서랍장      33. Shroud 34. Chest of drawers

35. 미닫이 문 36. 레일부재      35. Sliding door 36. Rail member

37. 바닥판 38. 지지대      37. Bottom plate 38. Support plate

G'. 요입홈 S1. 전방상면      G '. Concave groove S1. Front

S2. 후방상면 SI. 내면S2. Rear upper surface S I. Inside

SL. 저면 SO. 외면S L. Bottom S O. outside

Claims (6)

전면 좌·우측단부에 각각 직립하며 배면 폭 방향 중앙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측판 결합용 요입홈이 형성된 전방포스트와; 대향하는 두 전방포스트에 양 단부가 결합되는 수평한 레일부재와; 레일부재의 상면을 따라 좌·우로 개폐 가능한 하나 이상의 미닫이 문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장롱에 있어서,A front post upright in each of the front left and right ends and having a concave groove for side plate join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entral portion in the rear width direction; A horizontal rail member having both ends coupled to two opposing front posts; In the cabinet comprising one or more sliding doors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left and right along the upper surface of the rail member, 상기 전방포스트는,The front post, 바형 외측전방포스트(31)와;A bar-shaped outer front post 31; 상기 외측전방포스트(31)의 내면(SI)에 외면(SO)이 밀착 결합되며, 폭이 좁은 상부(32B)와 상기 외측전방포스트(31)의 폭보다 크지 않도록 전방을 향하여 폭이 확장되어 전방상면(S1)이 형성된 하부(32A)로 이루어진 내측전방포스트(32)와;The outer front post 31, the inner surface (S I) on the outer surface (S O), a contact bond is, the narrow upper portion (32B) and the outer front post 31, the width is extended toward the front are not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An inner front post 32 formed of a lower portion 32A having a front upper surface S1; 상기 내측전방포스트 하부(32A)의 전방상면(S1)에 일단부가 적층 결합되는 레일부재(36)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롱.The cabine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rail member 36, one end is laminated to the front upper surface (S1) of the inner front post lower portion (32A).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외측전방포스트(32)(31)는, 한 몸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롱.The cabine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ner and outer front posts (32) are made of one body.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전방포스트(32)는, 상·하부(32B)(32A)로 분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롱.The cabine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ner front post (32) is divided into upper and lower portions (32B) and (32A).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32A)의 상면은, 단턱부(J)를 중심으로 단턱부(J) 전방의 전방상면(S1)과, 전방상면(S1)보다 높이가 낮은 단턱부(J) 후방의 후방상면(S2)으로 구분되고,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ortion 32A has a front upper surface S1 in front of the stepped portion J, and a stepped portion J having a lower height than the front upper surface S1. ) Is divided into rear rear surface (S2), 상기 상부(32B)는, 상기 후방상면(S2)에 직립하도록 적층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롱.The upper part (32B),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tacking coupled to the upright to the rear upper surface (S2). 삭제delete
KR20070015086U 2007-09-10 2007-09-10 Wardrobe KR200446954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15086U KR200446954Y1 (en) 2007-09-10 2007-09-10 Wardrob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15086U KR200446954Y1 (en) 2007-09-10 2007-09-10 Wardrob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2562U KR20090002562U (en) 2009-03-13
KR200446954Y1 true KR200446954Y1 (en) 2009-12-11

Family

ID=41288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70015086U KR200446954Y1 (en) 2007-09-10 2007-09-10 Wardrob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6954Y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70554A (en) * 2019-03-29 2019-05-21 广东法迪奥厨卫科技有限公司 A kind of outside board mounting structure of wardrob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9058Y1 (en) * 1999-08-17 2000-02-15 김은주 Drawer structure on a wardrobe ceiling portion
KR200291321Y1 (en) * 2002-07-03 2002-10-09 한병권 Rein for cement strvctvre of cabinet
KR200416881Y1 (en) * 2006-01-12 2006-05-23 주식회사 송림 Rail support structure of chest furnitur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9058Y1 (en) * 1999-08-17 2000-02-15 김은주 Drawer structure on a wardrobe ceiling portion
KR200291321Y1 (en) * 2002-07-03 2002-10-09 한병권 Rein for cement strvctvre of cabinet
KR200416881Y1 (en) * 2006-01-12 2006-05-23 주식회사 송림 Rail support structure of chest furni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2562U (en) 2009-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94387Y1 (en) Multifunctional breathable storage cabinet
WO2019136793A1 (en) Wardrobe shelf with wood veneer
JP5071116B2 (en) Drawer structure and storage furniture
KR200446954Y1 (en) Wardrobe
US3472572A (en) Cabinet structure employing grooved and folded laminated panels
US3269791A (en) Construction of wardrobes and other furniture
CN208972939U (en) A kind of nightstand
KR20160088140A (en) Wardrobe using fabricated angles
KR102598229B1 (en) A prefabricated bookshelf
CN205658619U (en) Range upon range of formula combination drawer cabinet
JPH04131485A (en) Door device
KR101418828B1 (en) Wardrobe using fabricated angle
KR200463104Y1 (en) Desk with combined bookshelf
CN215303939U (en) Seamless jointed plate-type furniture
CN212546177U (en) Sectional material combined frame wardrobe
CN211673231U (en) Enclosed multifunctional office combined table cabinet
CN203576049U (en) Conference chair with supporting plate at rear part thereof
KR100601414B1 (en) A fittings of multipurpose
CN207803810U (en) A kind of self-priming sliding door wardrobe
CN207168186U (en) A kind of full aluminium furniture cabinet
US2970875A (en) Knockdown wardrobes
KR100479127B1 (en) Width-extansible wardrobe
TWM456750U (en) Space system combination racks
BRMU8801507U2 (en) layout introduced in kitchen cabinets
KR200442110Y1 (en) Furniture of a drawer union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