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6940Y1 - Device for controlling temperature of cup in a cupholder of a vehicle - Google Patents

Device for controlling temperature of cup in a cupholder of a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6940Y1
KR200446940Y1 KR20070020713U KR20070020713U KR200446940Y1 KR 200446940 Y1 KR200446940 Y1 KR 200446940Y1 KR 20070020713 U KR20070020713 U KR 20070020713U KR 20070020713 U KR20070020713 U KR 20070020713U KR 200446940 Y1 KR200446940 Y1 KR 20044694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unit
temperature
holder housing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70020713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90006497U (en
Inventor
홍은철
Original Assignee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700207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6940Y1/en
Publication of KR2009000649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6497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69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6940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60N3/10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with refrigerating or warming system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23/00Control of temperature
    • G05D23/19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2Temperature sensors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 내 배치되는 컵을 수용하기 위한 컵 수용부를 구비하는 컵 홀더 하우징부; 상기 컵 홀더 하우징부에 배치되어 사용자에 의한 신호 입력을 제공받는 신호 입력부; 상기 컵 홀더 하우징부에 장착되어 상기 컵 수용부에 장착되는 컵의 온도를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컵 홀더 하우징부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컵 수용부에 장착되는 컵과 열전달을 이루는 온도 조절부; 상기 신호 입력부 및 상기 감지부와 전기적 소통을 이루어 상기 열전달부에 제어 신호를 인가하는 제어부; 상기 컵 홀더 하우징부에 배치되어 상기 온도 조절부의 조절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광출력부;를 구비하는 컵 온도 제어 장치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 cup holder housing portion having a cup receiving portion for receiving a cup disposed in the vehicle; A signal input unit disposed in the cup holder housing to receive a signal input by a user; A sensing unit mounted to the cup holder housing to sense a temperature of a cup mounted to the cup receiving unit; A temperature adjusting part disposed inside the cup holder housing part and configured to achieve heat transfer with a cup mounted to the cup receiving part; A control unit which is in electrical communication with the signal input unit and the sensing unit to apply a control signal to the heat transfer unit; And a light output unit disposed at the cup holder housing and configured to display an adjustment state of the temperature control unit.

Description

차량용 컵 온도 제어 장치{DEVICE FOR CONTROLLING TEMPERATURE OF CUP IN A CUPHOLDER OF A VEHICLE}DEVICE FOR CONTROLLING TEMPERATURE OF CUP IN A CUPHOLDER OF A VEHICLE}

본 고안은 차량의 컵 홀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 내 컵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는 컵 온도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up holder of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up temperature control device that can control the temperature of the cup in the vehicle.

자동차 등의 차량에는 이동 수단으로서의 기능을 넘어서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안정적이면서도 편안한 주행 상태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각종 편의 수단으로서 기능이 요구되고 있다. Vehicles such as automobiles are required to function beyond various functions as a moving means as various convenient means for allowing a user to provide a more stable and comfortable driving state.

차량에는 다양한 편의 수단이 구비되는데, 차량 실내에서 음료 등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음료 등을 담은 컵의 안정적인 배치를 가능하게 하는 컵 홀더를 구비한다. 하지만, 종래의 컵 홀더는 단순한 컵의 홀딩, 즉 위치 유지를 이룰 뿐, 그외의 사용자 편의를 제공하기 어려웠다. 예를 들어, 겨울철에는 따스한 음료를 마시고자 하는 탑승자의 요구가 존재하나, 차량 내 컵을 배치시킨 후 일정 시간이 지난 후에는 온도 저하에 의하여 식은 음료를 취할 수 밖에 없었다. 또한, 여름철에 시원한 음료를 마시고자 하는 경우에도 일정 시간 후에는 온도 상승에 의하여 미지근한 음료를 마실 수 밖에 없었다. The vehicle is provided with various convenient means, and has a cup holder for enabling a stable arrangement of a cup containing a beverage in order to enable a beverage or the like in the vehicle interior. Conventional cup holders, however, make it simple to hold the cup, i.e., maintain its position, and provide other user convenience. For example, there is a demand for passengers to drink warm drinks in the winter, but after a certain time after the cup is placed in the vehicle, it was forced to take a cold drink due to the temperature drop. In addition, even if you want to drink a cool drink in the summer, after a certain time was forced to drink a lukewarm drink by the temperature rise.

또한, 이러한 컵 홀더 부위는 차량 내 상당한 공간을 차지하는데, 단순한 기구적 구성만을 구비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차량 실내 인테리어에 대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어려웠을 뿐만 아니라, 주행중인 운전자가 뜨거운 음료 혹은 차가운 음료의 인지 신속하게 인지하기 어려워 의도하지 않은 온도의 음료를 취하였을 때 순간적으로 발생하는 운전 주의력 상실에 의한 안전 사고 발생 등의 위험이 있었다.In addition, such a cup holder portion occupies a considerable amount of space in the vehicle, which is not only difficult to meet the demand for the interior of the vehicle by providing a simple mechanical configuration, but also allows the driver on the road to recognize a hot or cold beverage. It was difficult to recognize quickly, and there was a risk of a safety accident caused by a loss of attention when the drink was taken at an unexpected temperature.

따라서, 본 고안은 온도의 조절 가능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원하는 온도의 음료를 취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로 하여금 신속한 상태 인지를 가능하게 하는 구조의 컵 온도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up temperature control device having a structure in which a temperature can be adjusted so that a user can take a drink of a desired temperature and a user can recognize a state quickly.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차량 내 배치되는 컵을 수용하기 위한 컵 수용부를 구비하는 컵 홀더 하우징부; 상기 컵 홀더 하우징부에 배치되어 사용자에 의한 신호 입력을 제공받는 신호 입력부; 상기 컵 홀더 하우징부에 장착되어 상기 컵 수용부에 장착되는 컵의 온도를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컵 홀더 하우징부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컵 수용부에 장착되는 컵과 열전달을 이루는 온도 조절부; 상기 신호 입력부 및 상기 감지부와 전기적 소통을 이루어 상기 온도 조절부에 제어 신호를 인가하는 제어부; 상기 컵 홀더 하우징부에 배치되어 상기 온도 조절부의 조절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광출력부;를 구비하는 차량용 컵 온도 제어 장치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cup holder housing portion having a cup receiving portion for receiving a cup disposed in the vehicle; A signal input unit disposed in the cup holder housing to receive a signal input by a user; A sensing unit mounted to the cup holder housing to sense a temperature of a cup mounted to the cup receiving unit; A temperature adjusting part disposed inside the cup holder housing part and configured to achieve heat transfer with a cup mounted to the cup receiving part; A control unit which is in electrical communication with the signal input unit and the sensing unit to apply a control signal to the temperature control unit; It is disposed in the cup holder housing unit provides a cup temperature control apparatus for a vehicle comprising a light output unit for displaying the adjustment state of the temperature control unit.

상기 차량용 컵 온도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광출력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작동하는 광원부와, 상기 광원부로부터 생성되는 빛을 외부로 출사시키는 광 프리즘을 구비할 수도 있다. In the vehicle cup temperature control apparatus, the light output unit may include: a light source unit operating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and an optical prism for emitting light generated from the light source unit to the outside.

상기 차량용 컵 온도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는 서로 다른 복수 개의 색상의 빛을 생성하는 광원을 구비할 수도 있다. In the apparatus for controlling a cup temperature of a vehicle, the light source unit may include a light source for generating light of a plurality of different colors.

상기 차량용 컵 온도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온도 조절부는: 일면은 상기 컵 홀더 하우징부를 관통하여 상기 컵 수용부에 장착되는 컵과 접촉 가능한 열전 소자와, 상기 열전 소자와 접촉되되 상기 컵 수용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열 전달부를 구비할 수도 있다. In the vehicular cup temperature control apparatus, the temperature adjusting part may include: a thermoelectric element capable of contacting a cup mounted on the cup receiving part through the cup holder housing part, the thermoelectric element being in contact with the thermoelectric element and corresponding to the cup receiving part; It may be provided with a heat transfer part disposed in a position to be.

상기 차량용 컵 온도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열전 소자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복수의 온도 단을 형성할 수도 있다. In the vehicular cup temperature control apparatus, the thermoelectric element may form a plurality of temperature stages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컵 온도 제어 장치에 대한 효과를 갖는다. It has an effect on the cup temperatur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첫째, 본 고안에 따른 컵 온도 제어 장치는, 광 출력부를 구비함으로써 컵 및/또는 컵 내용물의 온도의 상태를 사용자로 하여금 시각적 인지의 신속한 감지를 가능하게 하여 뜨거운 액체 등으로 인한 상해를 방지하고 궁극적으로 주행 안전을 이룰 수도 있다. First, the cup temperatur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 light output portion to enable the user to quickly detect the visual perception of the state of the temperature of the cup and / or the contents of the cup contents to prevent injury due to hot liquids and ultimately You can also achieve driving safety.

둘째, 본 고안에 따른 컵 온도 제어 장치는, 서로 다른 복수 개의 광원을 통하여 온도 상태에 따른 인지를 가능하게 한다. Second, the cup temperatur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cognize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state through a plurality of different light sources.

셋째, 본 고안에 따른 컵 온도 제어 장치는, 복수의 온도 단의 설정을 가능하게 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컵의 다양한 보냉/보온 효과를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Third, the cup temperatur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enabling the setting of a plurality of temperature stages may enable a user to various cold / warm effect of the cup.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컵 온도 제어 장치 또는 컵 온도 제어 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는 본 고안에 따른 컵 온도 제어 장치가 차량에 배치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2에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컵 온도 제어 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도가 도시되고, 도 3에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컵 온도 제어 장치에 대한, 도 1의 선 Ⅰ-Ⅰ을 따라 취한 개략적인 단면도가 도시되며, 도 4에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컵 온도 제어 장치의 광출력부에 대한 개략적인 부분 평면도가 도시된다. Hereinafter, a cup temperature control apparatus or a cup temperature control apparatus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cup temperatur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in a vehicle, and FIG. 2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cup temperatur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 of FIG. 1 for a cup temperatur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cup temperature contr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chematic partial plan view of the light output of the device is shown.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컵 온도 제어 장치(10)는 차량의 중앙 부위(1)에 배치되는데, 차량의 중앙 부위(1)에 배치되는 콘솔/아암레스트(2)의 전방 측에 배치된다. 컵 온도 제어 장치(10)는 컵 홀더 하우징부(100)와, 신호 입력부(200)와, 감지부(300)와, 온도 조절부(600)와, 제어부(400) 및 광출력부(700)를 포함한다. 컵 홀더 하우징부(100)는 컵 홀더 하우징 커버(110)와 컵 홀더 하우징 베이스(120)를 포함한다. 컵 홀더 하우징 베이스(120)는 차량의 중앙 부위(1)에 장착되고 컵 홀더 하우징 커버(110)는 컵 홀더 하우징 베이스(120)의 상부에 배치되는데, 컵 홀더 하우징 커버(110)와 컵 홀더 하우징 베이스(120)는 서로 맞물리어 내부 공간을 형성한다. 컵 홀더 하우징 커버(110)는 다단으로 형성되되 일면 상에 컵을 수용하기 위한 컵 수용부(111)가 구비되는데, 음료와 같은 액체(30)를 담은 컵(20)이 컵 수용부(111)에 수용될 수 있다. 여기서, 명확하게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컵 홀더 하우징 커버(110)와 컵 홀더 하우징 베이스(120)에 의하여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는 제어부(400, 도 2 참조)가 장착되는 인쇄회로기판(미도시) 등이 배치될 수 있다. Cup temperature control devic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in the central portion (1) of the vehicle, it is disposed on the front side of the console / armrest (2) disposed in the central portion (1) of the vehicle . The cup temperature control device 10 includes a cup holder housing part 100, a signal input part 200, a sensing part 300, a temperature adjusting part 600, a control part 400, and an optical output part 700. It includes. The cup holder housing part 100 includes a cup holder housing cover 110 and a cup holder housing base 120. The cup holder housing base 120 is mounted to the central portion 1 of the vehicle and the cup holder housing cover 110 is disposed on the top of the cup holder housing base 120, which is a cup holder housing cover 110 and a cup holder housing. The bases 120 mesh with each other to form internal spaces. The cup holder housing cover 110 is formed in multiple stages and has a cup receiving portion 111 for accommodating a cup on one surface. The cup 20 containing a liquid 30 such as a beverage is contained in the cup receiving portion 111. Can be accommodated in Here, although not clearly shown, a printed circuit board (not shown) to which the control unit 400 (see FIG. 2) is mounted may be formed in the inner space formed by the cup holder housing cover 110 and the cup holder housing base 120. Can be deployed.

컵 수용부(111)의 하면은 개방된 구조를 취하는데, 컵 홀더 하우징 베이스(120)에는 컵 지지부(130)가 구비되고 컵 지지부(130)의 일면은 컵 수용부(111)의 하단과 맞닿아 컵 수용부(111)에 수용되는 컵을 지지하는 구조를 취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컵 지지부(130)의 일면으로 컵 홀더 하우징 커버(110)를 향한 일면에는 컵 지지부 홈(131)이 구비되고, 컵 수용부(111)의 단부는 컵 지지부 홈(131)에 맞물리어 수용됨으로써, 컵(20)을 수용하기 위한 컵 수용부(111)와 컵 지지부(130)에 의한 수용 지지 공간을 형성한다. The lower surface of the cup receiving portion 111 has an open structure, the cup holder housing base 120 is provided with a cup supporting portion 130 and one surface of the cup supporting portion 130 is aligned with the lower end of the cup receiving portion 111. It takes a structure to support the cup received in contact with the cup receiving portion 111. As shown in FIG. 2, a cup support groove 131 is provided at one surface of the cup support 130 toward the cup holder housing cover 110, and an end of the cup receiver 111 is formed at the cup support groove ( 131 to be accommodated to form a receiving support space by the cup receiving portion 111 and the cup supporting portion 130 for accommodating the cup 20.

컵 홀더 하우징 커버(110)의 컵 수용부(111) 외주에는 신호 입력부(200)가 배치된다. 신호 입력부(200)는 하나 이상의 버튼부(210)를 구비하는데, 버튼부(210)의 조작을 통하여 컵 온도 제어장치(10)의 열전달 온도에 따른 작동 모드가 조절된다. The signal input unit 200 is disposed on an outer circumference of the cup receiving unit 111 of the cup holder housing cover 110. The signal input unit 200 includes one or more button units 210, and an operation mode according to the heat transfer temperature of the cup temperature controller 10 is adjusted through manipulation of the button unit 210.

감지부(300)는 컵의 온도, 보다 구체적으로 컵 수용부(111)에 수용된 컵(20)의 외면의 온도를 감지하는데, 감지부(300)는 접촉식 온도 센서를 포함한다. 감지부(300)는 측면 감지부(310)와 하면 감지부(320)를 구비하는데, 하면 감지부(320)는 컵 지지부(130)의 일면 상에 배치되고, 측면 감지부(310)는 컵 수용부(111)의 내측면에 배치되어 접촉하는 컵(20)과의 열전달을 통하여 컵(20)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감지부(300)는 컵 홀더 하우징(100)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어부(400)와 전기적 소통을 이루어 컵(20)의 온도 정보를 전달한다. 감지부(300)는 복수 개의 감지 센서로 구성되고, 이들 측정된 온도는 제어부(400) 등에서 합산 내지 연산됨으로써 보다 정확한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The sensing unit 300 detects the temperature of the cup, more specifically, the temperatur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cup 20 accommodated in the cup receiving unit 111, and the sensing unit 300 includes a contact temperature sensor. The sensing unit 300 includes a side sensing unit 310 and a lower surface sensing unit 320. The lower sensing unit 320 is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cup support unit 130, and the side sensing unit 310 is formed of a cup. The temperature of the cup 20 may be sensed through heat transfer with the cup 20 disposed on the inner side of the receiving part 111. The sensing unit 300 communicates with the control unit 400 disposed inside the cup holder housing 100 to transmit temperature information of the cup 20. The sensing unit 300 may be configured of a plurality of sensing sensors, and the measured temperatures may be added or calculated by the controller 400 to measure more accurate temperatures.

온도 조절부(600)는 컵 홀더 하우징부(100)의 내부에 배치되고, 컵 수용부(111)에 장착되는 컵(20)과 열전달을 이룬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컵 수용부(111)와 연결되는 컵 지지대(130)로 컵 수용부(111)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을 향하여 배치된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다른 온도 조절부(600)는 열전 소자(610)와 열전달부(620)를 포함하는데, 열전 소자(610)는 일면이 컵 홀더 하우징부(100), 보다 구체적으로 컵 홀더 하우징 베이스(120)에 배치되는 컵 지지부(130)에 형성되는 열전 소자 장착부(131)에 배치되어 컵 수용부(111)에 의하여 형성되는 컵 수용 공간을 향하여 배치되어, 컵 수용부(111)에 장착되는 컵(20)과 접촉 가능한다. 열 전 수자(610)와 컵(20)은 면접촉을 통하여 이루어지는 열전도를 통하여 컵(20)의 표면과 열전달을 이루고, 궁극적으로 컵(20)에 수용된 액체(30)와의 간접 열전달을 이룬다. 열전 소자(610)는 배선(미도시)을 통하여 제어부(40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인가되는 전기 신호, 즉 전류에 의하여 펠티에 효과를 발생시켜 온열과 냉열을 생성한다. 즉, 열전 소자(610)에 인가되는 전류의 방향에 따라 열전 소자(610)의 컵 수용부(111)에 의한 내부 공간을 향한 일면에 온열을 전달하거나 또는 이와 반대 방향으로의 전류 소통을 통하여 컵 수용부(111)와 컵 지지부(130)에 의하여 형성되는 내부 공간을 향한 일면에 냉열을 전달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이러한 펠티에 효과에 의하여 열전 소자(610)의 반대측에는 컵 수용부(111)와 컵 지지 부(130)에 의하여 구획되는 컵(20)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에서 이루어지는 열이 냉열/온열과 반대되는 열, 즉 온열/냉열을 전달한다. The temperature adjusting part 600 is disposed inside the cup holder housing part 100 and forms heat transfer with the cup 20 mounted on the cup receiving part 111. As shown in FIG. 2, the cup support 130 connected to the cup receiving portion 111 is disposed toward a space formed by the cup receiving portion 111.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mperature controller 600 includes a thermoelectric element 610 and a heat transfer part 620. The thermoelectric element 610 has one surface of the cup holder housing part 100, more specifically, a cup. The cup accommodating part 111 is disposed in the thermoelectric element mounting part 131 formed in the cup support part 130 disposed on the holder housing base 120 and is disposed toward the cup accommodating space formed by the cup accommodating part 111. It is in contact with the cup 20 mounted on. The heat transfer member 610 and the cup 20 achieve heat transfer with the surface of the cup 20 through heat conduction through surface contact, and ultimately indirect heat transfer with the liquid 30 contained in the cup 20. The thermoelectric element 610 generates a Peltier effect by an electric signal, that is, an electric current, applied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400 through a wiring (not shown) to generate hot and cold heat. That is,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the current applied to the thermoelectric element 610, the cup is transferred to the inner surface toward the inner space by the cup receiving portion 111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610 or through the current communication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cup It is also possible to take a structure that transmits the cold heat to one surface toward the inner space formed by the receiving portion 111 and the cup support 130. Due to the Peltier effect, heat formed in a space for accommodating the cup 20 partitioned by the cup receiving portion 111 and the cup supporting portion 130 on the opposite sid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610 is opposed to cold / heating heat. That is, it transmits heat / cold heat.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르면, 펠티에 효과에 의한 열전달시 컵(20)이 수용되는 공간으로의 냉열/온열 전달 이외에 열전 소자(610)의 반대면에서 발생하는 온열/냉열을 효과적으로 배출하기 위한 구성요소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즉, 열전 소자(610)의 타면으로, 컵 수용부(111)를 향한 일면과 반대되는 면에는 열 전달부(630)가 더 구비되는데, 컵 지지대(130)의 일면으로 열전 소자 장착부(113)의 하부에는 열 전달부 장착부(115)가 구비된다. 열 전달부(630)는 열 전달부 장착부(115)에 장착되는데, 열 전달부(630)는 신속한 열전달을 이루는 재료로 형성된다. 열 전달부 장착부(115)는 컵 지지대(130)에 관통 형성되어 열 전달부(630)는 열 전달부 장착부(115)를 관통하여 컵 수용부(111)를 향하여 배치되는 열전 소자(610)와 접촉되는 구조를 취한다. 따라서, 열전 소자(610)의 컵(20)과 접촉하는 면과 반대되는 면에서 발생하는 온열/냉열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출함으로써 신속한 열전달을 이룸으로써, 컵 수용부(111)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으로의 원치 않는 열 전달을 방지한다. 여기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신속한 열전달을 위하여 열 전달부(630)가 배치되는 공간에 강제 대류를 위한 팬 등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omponent for effectively discharging the heat / cold heat generated from the opposite surfac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610 in addition to the cold heat / heat transfer to the space in which the cup 20 is accommodated during the heat transfer by the Peltier effect It may be further provided. That is, the other surfac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610, the heat transfer portion 630 is further provided on the surface opposite to the surface facing the cup receiving portion 111, the thermoelectric element mounting portion 113 to one surface of the cup support 130 The lower portion of the heat transfer unit mounting portion 115 is provided. The heat transfer unit 630 is mounted on the heat transfer unit mounting unit 115, and the heat transfer unit 630 is formed of a material for rapid heat transfer. The heat transfer part mounting part 115 is formed through the cup support 130, and the heat transfer part 630 passes through the heat transfer part mounting part 115 and is disposed toward the cup receiving part 111 and the thermoelectric element 610. Take the structure in contact. Therefore, the heat / cool heat generated on the surface opposite to th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cup 20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610 is more effectively released, thereby achieving rapid heat transfer, and thus, into the space formed by the cup receiving portion 111. Prevent unwanted heat transfer. Although not shown here, a fan for forced convection may be further provided in the space where the heat transfer part 630 is disposed for rapid heat transfer.

본 실시예에 따른 열전 소자(610)는 제어부(400)의 제어 신호에 따라 흐르는 전류에 의한 펠티에 효과로 인한 냉열/온열 열원으로서 작동하는데, 제어부(400)가 열전 소자(610)에 인가하는 전기 신호는 복수의 온도 단을 형성하도록 하는 전류 신호이다. 즉, 제어부(400)는 신호 입력부(200) 및 감지부(30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작동하고자하는 모드 및 설정 온도를 설정 판단하고, 이에 대응하는 작동 온도를 유지하기 위한 복수의 단을 이루는 전기 신호를 인가함으로써 컵(20)에는 복수의 온도 단을 이루며 열전달 과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택 입력부(200)의 버튼부(210)에 의하여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모드는 냉열 모드와 온열 모드를 구비하고, 각각의 냉열/온열 모드는 3단계 정도의 온도 선택 범위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가 온열 모드로 2단계 정도의 작동 모드를 선택하는 경우, 제어부(400)는 감지부(300)로부터 감지된 온도 신호를 입력받는다. 제어부(400)는 저장부(500)에 사전 설정되어 저장된 각각의 작동 모드를 수행하기 위하여 필요한 전류, 즉 제어 신호를 선택한다. 경우에 따라 인쇄회로기판(미도시)에는 제어부(400)와 전기적 소통을 이루는 저장부(500)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저장부(500)에는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되는 작동 모드에 따라 열전 소자로 인가되는 목표 온도에 대한 제어 신호와, 감지부(300)에서 감지된 온도에 대응하여 컵(20) 내의 액체(30)의 온도를 예상적으로 대비시킨 테이블 등이 더 저장될 수 있다. The thermoelectric element 6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operates as a cold / heating heat source due to the Peltier effect caused by the current flowing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unit 400, and the control unit 400 applies electric power to the thermoelectric element 610. The signal is a current signal for forming a plurality of temperature stages. That is, the controller 400 determines the mode and the set temperature to be operated based on the signals input from the signal input unit 200 and the sensor unit 300, and determines a plurality of stages for maintaining the corresponding operating temperature. By applying the electrical signal to form a cup 20 may be a heat transfer process to form a plurality of temperature stages. For example, the mode selected by the user by the button unit 210 of the selection input unit 200 includes a cold heat mode and a heat mode, and each of the cold heat / heat modes has a temperature selection range of about three levels, When the user selects an operation mode of about two levels as the warm mode, the controller 400 receives the sensed temperature signal from the sensor 300. The controller 400 selects a current, that is, a control signal, required to perform each operation mode preset and stored in the storage 500. In some cases, the printed circuit board (not shown) may further include a storage unit 500 in electrical communication with the control unit 400. The storage unit 500 includes a control signal for a target temperature applied to the thermoelectric element according to an operation mode selected by the user, and the liquid 30 in the cup 20 in response to the temperature detected by the sensing unit 300. Tables and the like that have been predicted for temperature can be further stored.

제어부(400)는 선택 입력부(200)를 통하여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작동 모드와, 감지부(300)에 의하여 감지된 현재의 온도로부터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온도로 변동 내지 유지하기 위하여 필요한 전류로서의 제어 신호를 연산하여 이를 열전 소자(610)로 전달함으로써 소정의 온도 조절을 이룰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400)가 연산과정도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되었는데, 경우에 따라서는 개별적인 연산부를 구비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The control unit 400 controls an operation mode selected by the user through the selection input unit 200 and a control signal as a current required to change or maintain the current temperature detected by the sensing unit 300 at a temperature selected by the user. By calculating and transferring it to the thermoelectric element 610, a predetermined temperature control may be achieved. Here, although the controller 400 has been described as performing the calculation process, in some cases, the controller 400 may have a structure including a separate calculation unit.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컵 온도 제어 장치(10)는 광출력부(700)를 포함하는 데, 광출력부(700)는 컵 홀더 하우징 커버(110)의 일면으로 신호 입력부(200)와 컵 수용부(111)의 사이 영역에 배치되어 제어부(40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온조 조절부(600)의 조절 상태를 표시한다. 광출력부(700)는 광원부(710)와 광 프리즘(720)을 구비하는데, 광원부(710)는 제어부(40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작동하고, 광원 프리즘(720)은 광원부(710)로부터 생성되는 빛을 집중시켜 외부로 출사시킨다. 컵 홀더 하우징 커버(110)와 컵 홀더 하우징 베이스(120)의 내부에는 광원 인쇄회로기판(730)이 배치되는데, 광원 인쇄회로기판(730)의 일면으로 컵 홀더 하우징 커버(110)를 향한 일면에 광원부(710)가 배치된다. 여기서 광원 인쇄회로기판(730)이 별도의 구성요소로 구성되었으나, 상기한 제어부(400)가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미도시)과 동일한 일체의 기판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광원부(710)는 LED로 구성되는 구성을 취하였으나, 제어부(400)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빛을 생성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On the other hand, the cup temperature control apparatus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ptical output unit 700, the optical output unit 700 is a surface of the cup holder housing cover 110, the signal input unit 200 and the cup receiving The control unit 400 is disposed in an area between the units 111 to display an adjustment state of the temperature adjusting unit 600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400. The light output unit 700 includes a light source unit 710 and an optical prism 720. The light source unit 710 operates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400, and the light source prism 720 is generated from the light source unit 710. Concentrates the light that is emitted to the outside. A light source printed circuit board 730 is disposed in the cup holder housing cover 110 and the cup holder housing base 120, and is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light source printed circuit board 730 toward the cup holder housing cover 110. The light source unit 710 is disposed. Although the light source printed circuit board 730 is configured as a separate component, the light source printed circuit board 730 may be configured as the same integrated substrate as the printed circuit board (not shown) in which the control unit 400 is disposed. In this embodiment, the light source unit 710 is configured as an LED, but various configurations are possible in a range of generating light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ler 400.

컵 홀더 하우징 커버(110)의 일면으로 신호 입력부(200)와 컵 수용부(111)의 사이 영역에는 프리즘 장착부(117)가 구비되는데, 광 프리즘(720)은 프리즘 장착부(117)에 배치된다. 광 프리즘(720)이 배치되는 프리즘 장착부(117)의 하부에는 광 투과부(119)가 구비되는데, 광 투과부(119)는 컵 홀더 하우징(100)의 내부에 배치되는 광원부(710)와 동일 선상에 배치되어 광원부(710)로부터 생성된 빛은 광 투과부(119)를 거쳐 상방으로 출사된다. 출사된 빛은 광 프리즘(720)을 거쳐 집광되어 외부로 출사됨으로써 사용자에 의하여 시각적 인지를 가능하게 한다. 본 실시에에서 광 프리즘(720)은 연속적인 루프 타입으로 구성되었으나, 이는 일예일뿐 본 고안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On one surface of the cup holder housing cover 110, a prism mounting part 117 is provided in an area between the signal input part 200 and the cup receiving part 111, and the optical prism 720 is disposed on the prism mounting part 117. A light transmitting portion 119 is provided below the prism mounting portion 117 on which the light prism 720 is disposed, and the light transmitting portion 119 is in the same line as the light source portion 710 disposed inside the cup holder housing 100. Light disposed from the light source unit 710 is emitted upward through the light transmitting unit 119. The emitted light is collected through the light prism 720 and emitted to the outside to allow visual recognition by the use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optical prism 720 is configured as a continuous loop type, but this is merely an example and is not limited thereto.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광 출력부(700)는 다른 변형예를 구비할 수도 있다. 광원부(710)는 서로 다른 복수 개의 색상의 빛을 생성하는 광원(720a,720b,720c)을 구비할 수 있다. 도 4에는 다양한 색상의 빛을 생성하는 광원을 구비하는 광원부(710)에 대한 평면 배치도가 도시되는데, 여기서 프리즘 장착부(117)는 파선으로 도시된다. 예를 들어, 도면 부호 710a의 광원은 적색 LED, 도면 부호 710b의 광원은 백색 LED, 도면 부호 710c는 청색 LED와 같은 구성을 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제어부(400)는 신호 입력부(200) 및 감지부(300)를 통하여 입력된 신호에 기초하여 적절한, 광 출력부(7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하나 혹은 둘 이상의 LED를 단독 또는 동시에 발광시켜 컵(20)의 표면 온도에 대응하는 색상의 빛을 출사시킴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컵(20)의 표면 온도의 시각적 인지를 가능하게 하여 신속한 감지를 가능하게 한다. 예를 들어, 온열 모드의 3단계의 작동 모드가 상당히 뜨거운 상태라고 설정되는 경우, 현재 컵(20)의 표면 온도가 이와 같은 상태를 형성할 때, 제어부(400)는 감지부(300)의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광 출력부(700)로 제어 신호를 인가함으로써 소정의 광원(710a,710b,710c)에 대응하는 빛을 출사키켜 사용자로 하여금 컵(20)의 온도를 시각적 인지하게 함으로써 뜨거운 액체에 의한 상해 등을 방지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light output unit 7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have another modification. The light source unit 710 may include light sources 720a, 720b, and 720c that generate light of a plurality of different colors. 4 is a plan view of a light source unit 710 having a light source for generating light of various colors, where the prism mounting unit 117 is shown by a broken line. For example, a light source 710a may have a red LED, a light source 710b may have a white LED, and 710c may have a blue LED. Through such a configuration, the control unit 400 outputs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light output unit 700 appropriately based on the signals input through the signal input unit 200 and the sensing unit 300, so that one or more By emitting two or more LEDs alone or simultaneously to emit light of a color corresponding to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cup 20, the user enables visual perception of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cup 20 to enable rapid sensing. For example, when the operation mode of the three-stage of the warm mode is set to be quite hot, when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current cup 20 forms such a state, the controller 400 inputs the input of the sensing unit 300. Applying a control signal to the light output unit 700 based on the signal to emit light corresponding to the predetermined light source (710a, 710b, 710c) to let the user visually recognize the temperature of the cup 20 to the hot liquid Injury due to the above can be prevented.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광 출력부(700)는 감지부(300)에서 감지된 신호에 기초하여 제어부(400)가 컵(20)의 온도에 대응하는 색상의 빛을 출력하도록 하는 구성을 취하는 것으로 기술되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다른 구성을 취할 수도 있다. 즉, 선택 입력부(200)에 의하여 입력되는 작동 모드에 대응하는 색상의 빛, 예를 들어 온열 모드인 경우 적색 LED의 광원을 발광시키는 제어 신호를 광원부로 출력하고 반대로 냉열 모드인 경우 청색 LED의 광원을 발광시키는 제어 신호를 광원부로 출력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는 등, 작동 목적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ight output unit 700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control unit 400 outputs light of a color corresponding to the temperature of the cup 20 based on the signal sensed by the sensing unit 300. Although described as being possible, other configurations may be taken in some cases. That is, a light of a color corresponding to an operation mode input by the selection input unit 200, for example, a control signal for emitting a light source of a red LED in the case of the thermal mode, is output to the light source unit, and conversely, in the case of the cold mode, the light source of the blue LED.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depending on the operation purpose and design specification, such as a structure that outputs a control signal for emitting light to the light source unit.

상기 실시예들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일예들로서 본 고안이 이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컵 온도 제어 장치는 상부를 페쇄할 수 있는 가동 가능한 커버를 구비하되, 커버에 별도의 온도 감지부를 구비하여, 컵 수용부에 배치된 컵에 수용된 액체로부터 전달되는 온도를 직접 감지할 수 있도록 하여, 컵 표면의 온도와 컵 내 액체의 온도 간의 차이를 보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신호 입력부의 적절한 구성을 통하여, 냉열/온열 모드 이외에, 컵 수용부에 수용된 컵의 온도와는 무관하게 선택 가능한 광 출력부의 단순한 광 출력하는 구성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운전자의 운전 분위기를 개선할 수 있는 조명등 기능을 형성할 수도 있다. The above embodiments are examples for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cup temperature control device may include a flexible cover capable of closing the upper part, but having a separate temperature sensing part in the cover to directly sense the temperature transmitted from the liquid contained in the cup disposed in the cup receiving part. Can be taken, a structure that makes it possible to correct the difference between the temperature of the cup surface and the temperature of the liquid in the cup. Through the proper configuration of the signal input unit, in addition to the cold / heat mode, it is possible to configure the simple light output unit of the light output unit that can be selected irrespective of the temperature of the cup accommodated in the cup accommodating unit. It can also form a function.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등록 청구 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on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utility model registration claims attached.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컵 홀더 온도 제어 장치의 장착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unting state of a cup holder temperatur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컵 홀더 온도 제어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2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cup holder temperatur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컵 홀더 온도 제어 장치의, 도 1의 선 Ⅰ-Ⅰ을 따라 취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3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 of FIG. 1 of the cup holder temperatur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 출력부의 변형에에 대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4 is a schematic plan view of a modification of the light outpu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0...컵 홀더 온도 제어 장치 100...컵 홀더 하우징10 ... cup holder temperature control 100 ... cup holder housing

200...신호 입력부 300...감지부200 ... signal input 300 ... detector

400...제어부 500...저장부400 control unit 500 storage unit

600...온도 조절부 700...광 출력부600 ... Temperature control 700 ... Light output

Claims (5)

차량 내 배치되는 컵을 수용하기 위한 컵 수용부를 구비하는 컵 홀더 하우징부;A cup holder housing portion having a cup receiving portion for receiving a cup disposed in the vehicle; 상기 컵 홀더 하우징부에 배치되어 사용자에 의한 신호 입력을 제공받는 신호 입력부;A signal input unit disposed in the cup holder housing to receive a signal input by a user; 상기 컵 홀더 하우징부에 장착되어 상기 컵 수용부에 장착되는 컵의 온도를 감지하는 감지부;A sensing unit mounted to the cup holder housing to sense a temperature of a cup mounted to the cup receiving unit; 상기 컵 홀더 하우징부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컵 수용부에 장착되는 컵과 열전달을 이루는 온도 조절부;A temperature adjusting part disposed inside the cup holder housing part and configured to achieve heat transfer with a cup mounted to the cup receiving part; 상기 신호 입력부 및 상기 감지부와 전기적 소통을 이루어 상기 온도 조절부에 제어 신호를 인가하는 제어부;A control unit which is in electrical communication with the signal input unit and the sensing unit to apply a control signal to the temperature control unit; 상기 컵 홀더 하우징부에 배치되어 상기 온도 조절부의 조절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광출력부;를 구비하고, An optical output unit disposed at the cup holder housing to display an adjustment state of the temperature adjusting unit; 상기 광출력부는:The optical output unit: 상기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작동하는 광원부와, 상기 광원부로부터 생성되는 빛을 외부로 출사시키는 광 프리즘을 구비하는 차량용 컵 온도 제어 장치.And a light source unit operating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and an optical prism for emitting light generated from the light source unit to the outsid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광원부는 서로 다른 복수 개의 색상의 빛을 생성하는 광원으로 구성되는 것을 The light source unit is composed of a light source for generating a plurality of different colors of light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컵 온도 제어 장치.Vehicle cup temperature contro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온도 조절부는:The temperature control unit: 일면은 상기 컵 홀더 하우징부를 관통하여 상기 컵 수용부에 장착되는 컵과 접촉 가능한 열전 소자와,One surface is a thermoelectric element that is in contact with the cup penetrates the cup holder housing and mounted to the cup receiving portion; 상기 열전 소자와 접촉되되 상기 컵 수용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열 전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컵 온도 제어 장치.And a heat transfer part in contact with the thermoelectric element and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up accommodating part. 제 4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열전 소자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복수의 온도 단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컵 온도 제어 장치.The thermoelectric element is a cup temperature control apparatus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o form a plurality of temperature stages in accordance with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KR20070020713U 2007-12-26 2007-12-26 Device for controlling temperature of cup in a cupholder of a vehicle KR200446940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20713U KR200446940Y1 (en) 2007-12-26 2007-12-26 Device for controlling temperature of cup in a cupholder of a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20713U KR200446940Y1 (en) 2007-12-26 2007-12-26 Device for controlling temperature of cup in a cupholder of a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6497U KR20090006497U (en) 2009-07-01
KR200446940Y1 true KR200446940Y1 (en) 2009-12-09

Family

ID=41323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70020713U KR200446940Y1 (en) 2007-12-26 2007-12-26 Device for controlling temperature of cup in a cupholder of a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6940Y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2012268A1 (en) * 2012-06-20 2013-12-24 Audi Ag Color adjustment of an RGB ambient lighting for a cupholder arrangement
JP6068306B2 (en) * 2013-09-19 2017-01-25 株式会社ニフコ Cup holder
KR101592644B1 (en) 2013-12-18 2016-02-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Cup holder for vehicle
WO2015099255A1 (en) * 2013-12-26 2015-07-02 주식회사 대창 Cup holder devic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5829B1 (en) * 1999-09-22 2002-05-08 제동국 Cup holder with thermo electric module
KR100376333B1 (en) * 2000-12-11 2003-03-15 기아자동차주식회사 Cup holder heating apparatus
KR200370501Y1 (en) * 2004-09-07 2005-01-05 이광윤 Cool and hot combined cup holder using a thermoelectricmodule for a ca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5829B1 (en) * 1999-09-22 2002-05-08 제동국 Cup holder with thermo electric module
KR100376333B1 (en) * 2000-12-11 2003-03-15 기아자동차주식회사 Cup holder heating apparatus
KR200370501Y1 (en) * 2004-09-07 2005-01-05 이광윤 Cool and hot combined cup holder using a thermoelectricmodule for a ca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6497U (en) 2009-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48007B1 (en) Cup holder
CN105291929B (en) Improved cup holder lighting
US6637709B1 (en) Self-adjustable cup holders
KR200446940Y1 (en) Device for controlling temperature of cup in a cupholder of a vehicle
US6864462B2 (en) Electronic drinking mug
US20140353300A1 (en) Automated local thermal management system
US9242598B2 (en) Color-adjustable RGB-ambient lighting for a cup-holder arrangement
US20160023585A1 (en) Cup holder with automatic heating/cooling mechanism
KR101421929B1 (en) Cup holder for vehicle
JP7294793B2 (en) heated hand grips for motorcycles
KR20060114593A (en) Cup holder having heating and cooling function and seat having same
US9163863B1 (en) Beverage temperature control apparatus
GB2414922A (en) Cup with heating means and temperature regulation
JP2009248869A (en) Container holder
US11292542B2 (en) Independently heated handgrips for a motorcycle
JP2829340B2 (en) Car storage device
US20170045289A1 (en) Temperature controlled receiving and/or holding device for articles such as beverage containers and method for its operation
US2022000349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a Fluid
JP6333163B2 (en) refrigerator
US10737573B2 (en) Input device for vehicle
JP3031236U (en) Beverage heating / cooling device in containers
JP4164898B2 (en) Container holder
JP2017114230A (en) Container holder and container heat insulation system
KR200370501Y1 (en) Cool and hot combined cup holder using a thermoelectricmodule for a car
KR20180038666A (en) Cooling and heating cup holder for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