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6875Y1 - 불꽃 감지를 위한 자외선 감지 센서 - Google Patents

불꽃 감지를 위한 자외선 감지 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6875Y1
KR200446875Y1 KR20080001069U KR20080001069U KR200446875Y1 KR 200446875 Y1 KR200446875 Y1 KR 200446875Y1 KR 20080001069 U KR20080001069 U KR 20080001069U KR 20080001069 U KR20080001069 U KR 20080001069U KR 200446875 Y1 KR200446875 Y1 KR 20044687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me
sensor
negative electrode
lead wire
ultravio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800010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7631U (ko
Inventor
박동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플러스티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플러스티,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플러스티
Priority to KR200800010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6875Y1/ko
Publication of KR2009000763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763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68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687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48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using chemical effects
    • G01J1/5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using chemical effects using change in colour of an indicator, e.g. actinomet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01J5/0014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for sensing the radiation from gases, flames
    • G01J5/0018Flames, plasma or weld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01J5/1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using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 G01J5/28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using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using photoemissive or photovoltaic cell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2Actuation by presence of radiation or particles, e.g. of infrared radiation or of ions
    • G08B17/125Actuation by presence of radiation or particles, e.g. of infrared radiation or of ions by using a video camera to detect fire or smok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otometry And Measurement Of Optical Pulse Characteristics (AREA)
  • Fire-Detection Mechanisms (AREA)

Abstract

화재가 발생했을 때의 불꽃을 감지하는 불꽃감지기는, 자외선 또는 중적외선(MID INFRARED RAY)을 검출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본 고안은 불꽃감지기에 사용되는 자외선 감지 센서의 형상과 구조에 관한 것이다. 기존에 상업화된 자외선 감지 센서는 광전효과(PHOTO ELECTRIC EFFECT)를 이용하는 광전관(PHOTOELECTRIC TUBE)으로서, 그 크기와 형상이 크고 특정한 모양만 생산되기 때문에 이를 이용한 불꽃감지기를 작게 만들 수 없도록 제약하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단점을 극복하고 불꽃감지기를 더욱 작게 만들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불꽃감지기용 자외선 감지 센서의 형상과 구조를 새로이 개발하였다.
본 고안의 불꽃감지용 자외선 감지 센서는,
외부의 불꽃에 의해 발생하는 자외선을 센서 내부로 투과시키기 위한 자외선 투과용 불꽃감지 창(19)과,
센서 내부를 보호하기 위한 원통형 측면 하우징(20)과,
센서 내부를 보호하기 위한 원판형 하부 하우징(22)과,
양(+) 전압을 부가하여 음극판(24)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전자를 끌어당기는 양극 리드선(23)과,
자외선이 도달하면 광전자를 방출하는 음극판(24)과,
음극판(24)과 연결되며, 음(-) 전압을 부가하여 음극판(24)에서 광전자가 방출되도록 하는 음극 리드선(2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소방방재, 화재감지기, 불꽃감지기, 자외선 센서, 광전효과

Description

불꽃 감지를 위한 자외선 감지 센서{ULTRA-VIOLET SENSOR FOR DETECTION OF FLAME}
소방방재 분야에서 활용되는, 화재 발생 유무를 감지하는 화재감지기는 크게 분류하면 열감지기, 연기감지기, 및 불꽃감지기 등으로 나누어진다. 열감지기는 화재감지기 주변의 열이나 온도를 감지하여 화재의 발생 유무를 판정한다. 연기감지기는 화재감지기에 유입되는 공기 중의 연기 입자를 감지하며, 불꽃감지기는 불꽃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선을 감지한다.
불꽃감지기는 화재에 의한 불꽃에서 방출되는 중적외선(MID-INFRARED) 또는 자외선(ULTRA-VIOLET)을 감지하는 불꽃감지 센서를 이용하는 화재감지기이다.
본 고안은 불꽃감지기에 사용되는 불꽃감지 센서 중에서 자외선 감지 센서에 관한 것이다.
화재감지기의 일종인 불꽃감지기의 원리는 불꽃으로부터 방출되는 빛을 감지하는 것이다.
도 1에는 온도에 따른 흑체복사(BLACKBODY RADIATION) 파장(WAVELENGTH)을 도시하고 있다. 가로축은 방출되는 에너지의 파장별 분포이고, 세로축은 에너지의 강도(INTENSITY)를 의미한다. 흑체복사란, 이론적인 것으로서 물질의 온도에 의해서만 결정되는 에너지 방출 특성을 의미한다. 도 1에서 310K(K는 절대온도)의 온도를 갖는 흑체가 방출하는 에너지를 구성하는 파장과, 3000K로 온도가 증가하였을 경우의 파장은 매우 큰 차이가 있다. 우선 온도가 증가하면 각 파장별 방출되는 에너지의 절대적인 양이 증가한다. 그리고 최고 강도를 보여주는 파장이 짧은 쪽으로 이동한다. 310K의 흑체가 방출하는 에너지의 파장별 분포에서는, 1 마이크로미터보다 짧은 파장에서는 거의 강도를 측정할 수 없지만, 3000K와 같은 고온 흑체의 방출 특성에서는 1 마이크로미터 이하의 가시광선 뿐만 아니라, 400 나노미터 미만의 자외선 영역의 파장도 방출하고 있음을 알 수가 있다.
물질이 연소할 때 발생하는 불꽃에서 방출되는 에너지에 포함된 파장도 도 1의 특징과 유사하다. 불꽃의 화염온도가 높거나 화염 강도가 크면 방출되는 파장의 절대적인 강도는 증가하고, 최고 강도의 파장이 가시광선이나 자외선과 같은 짧은 파장 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소방 방재 분야에서 상업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불꽃감지기는, 물질이 연소할 때 방출하는 빛의 특정 파장의 강도 변화를 측정하여 불꽃의 발생 유무를 판정한다. 불꽃감지기에 사용되는 불꽃감지 센서로는 중적외선 센서와 자외선 센서가 있다. 상기에서 설명하였듯이 불꽃에서 방출되는 파장에는 적외선, 가시광선, 자외선 등이 모두 포함되어 있지만 일반적으로 가시광선은 불꽃의 유무를 판정하는 데 사용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산업 현장에 설치된 불꽃감지기 주변에는 태양으로부터 방출되어 지표에 도달한 가시광선이 존재하며 또한 이 가시광선의 변화가 심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불꽃의 유무를 판정하기 위해서, 중적외선 영역의 광량 변화와, 자외선 영역의 광량 변화를 검출하여 불꽃의 발생 유무를 판정한다.
본 고안은 불꽃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 중에서 자외선 센서에 관한 것이므로 자외선 센서의 작동 원리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2에는 광전효과(PHOTO ELECTRIC EFFECT)를 이용한 자외선 센서의 기본적인 원리가 도시되어 있다. 금속 표면(금속판)에 파장이 짧은 자외선, 엑스선, 감마선 등을 쬐면 금속 표면에서 전자가 튀어나오는데 이러한 현상을 광전효과라 하며, 이 때 나온 전자를 광전자라 한다. 이러한 광전효과는 특정 진동수(한계 진동수) 이상의 빛에서만 광전자가 방출되며, 빛의 진동수가 특정 진동수보다 크면 빛의 세기가 아무리 약해도 빛을 쬐는 즉시 광전자가 방출한다. 또한 같은 진동수의 빛을 쬐여 줄 때 광전자에 의한 광전류의 세기는 입사된 빛의 세기에 비례한다. 도 2에서 특정 파장의 빛(광자)이 금속판(음극판)에 도달하면 금속판에서는 광전자가 방출된다. 방출된 광전자는 (+) 전기가 걸려 있는 양극으로 이동하게 된다. 광전자가 방출되기 전에는 양극과 음극 사이에는 전류의 흐름이 없었으나, 광전자가 음극에서 양극으로 이동함에 따라 전류가 흐르는 폐쇄회로가 구성된다. 이 때 두 극 사이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여 음극에 도달한 특정 파장(특정 진동수)의 빛의 유무와 강도를 알 수 있다.
상기에서와 같이, 불꽃감지용 자외선 센서는 자외선과 같은 매우 짧은 파장의 빛에 대해서만 선택적으로 광전자를 방출하는 광전효과를 이용한다.
도 3에는 상업적으로 개발된, 일본국 하마마츄(HAMAMATSU)사의 유브이 트론(UV TRON)이라는 제품명을 갖는 불꽃감지용 자외선 센서에 대한 특성이 도시되어 있다. 불꽃에서 방출되는 파장 중에서 태양광과 간섭을 일으키지 않는 180~260 나노미터 사이의 파장에 대해서 광전자를 발생시키는 불꽃감지용 자외선 센서이다. 상기에서 이미 언급하였듯이 광전효과는 아무리 미약한 광량이라 할지라도 특정 진동수(파장)의 빛에 대해서는 즉시 광전효과를 발생시킨다. 따라서 이 센서는 태양광과 일반 상업적인 램프의 빛에 대해서는 광전효과를 발생시키지 않고 오직 물질의 연소에 의한 불꽃에서 발생하는 미약한 자외선 영역에서만 선택적으로 광전효과를 발생시킨다.
도 4는, 도 3의 특성을 갖는 제품의 실물 사진이다. 전면의 클립과 같이 생긴 구부러진 전극이 양극이고 뒷면의 금속판이 음극판이며, 두 개의 전극은 일정한 간격을 두고 분리되어 있다. 또한 두 개의 전극은 유리관 내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유리관이 밀봉되어 있으므로 외부의 대기와는 단절되어 있다.
도 5는, 도 4의 실물 사진에 대한 도면이다. 직경 9 밀리미터, 길이 56 밀리미터의 크기이다. 점선으로 표시된 부분이 음극판(2, 7)과 양극(3, 6)이다. 음극판 인 금속판은 아연, 세슘, 안티몬 등과 같은 금속으로 제작된다. 음극판의 크기는 가로가 12 밀리미터, 세로가 5 밀리미터이며 면적은 60 제곱밀리미터이다. 양극과 음극판은 자외선을 투과시키는 관(TUBE, 1) 내부에 밀봉되어 있어서 외부의 대기와 접촉하지 않는다. 양극(3, 6)은 양극 리드선(4)과 연결되어 있으며, 음극판(2, 7)은 음극 리드선(5)과 연결되어 있다.
도 6은, 도 5의 자외선 센서(9)를 이용하여 개발된 자외선 감지용 불꽃감지기(FLAME DETECTOR) 내부의 마이크로컨트롤러(MICRO CONTROLLER, 8)의 외관 사진이다. 이 사진의 보이지 않는 뒷 부분에는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 PROCESSOR)와 전자 부품이 장착되어 있다. 이 사진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원형인 마이크로컨트롤러(8)의 크기보다 자외선 센서(9)의 길이가 약간 작다. 즉, 자외선 센서(9)의 길이가, 마이크로컨트롤러(8)의 크기를 작게 만들 수 없도록 제약 조건으로 작용하고 있다. 마이크로컨트롤러(8)를 더욱 작게 만들고자 하여도 자외선 센서가 길이 방향으로 긴 형상을 하고 있어서, 둥근 원형인 마이크로컨트롤러(8)를 더 이상 작게 만들 수 없다.
도 7은, 도 6의 자외선 센서(9, 13)와 마이크로컨트롤러(8, 14)가 장착된 자외선 불꽃감지기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에서 알 수 있듯이 빛을 받아들이는 자외선 센서(13)의 음극판을, 센서 하단에 있는 빛이 입사하는 불꽃감지 창(WINDOW, 11)의 중앙에 위치시킬 경우, 더 이상 불꽃감지기의 직경을 작게 만들 수 없다.
본 고안에서는 불꽃감지기의 크기를 더욱 작게 만들기 위해서, 불꽃감지기 내부에 사용되고 있는 자외선 감지 센서의 형상을 개선하였다.
도 8은, 기존의 일본국 하마마츄사의 불꽃 감지를 위한 자외선 센서(18)와, 본 고안의 자외선 감지 센서(17)의 형상을 비교 도시한 그림이다. 좌측의 본 고안의 자외선 감지 센서(17)는 음극판(금속판)이 가로 8 밀리미터, 세로 8 밀리미터인 정사각형 모양을 하고 있으며, 음극판의 면적은 64 제곱밀리미터이다. 하마마츄사의 자외선 센서(18)의 음극판은, 가로 12 밀리미터, 세로 5 밀리미터이며 음극판의 면적은 60 제곱밀리미터이다. 음극판은 외부로부터 빛을 받아들이는 부분으로서 면적이 커지면 빛을 많이 받아 들일 수 있으므로 감도도 증가한다. 본 고안에서 안출한, 불꽃 감지를 위한 자외선 센서(17)의 음극판 면적이 하마마츄사의 자외선 센서(18)의 음극판 면적보다 다소 큼을 알 수가 있다.
도 9에는 본 고안에서 안출한, 불꽃감지용 자외선 센서의 상세 형상이 제시되어 있다. 도 5에 제시된, 일본국 하마마츄사의 자외선 센서의 크기는 직경 9 밀리미터, 길이 56 밀리미터, 음극판의 면적 60 제곱밀리미터이다. 도 9에 제시된 본 고안의 자외선 센서의 크기는, 직경 23 밀리미터, 길이(높이) 8 밀리미터, 음극판의 면적은 64 제곱밀리미터이다. 즉, 직경은 다소 커지고 길이는 1/5 이하로 작아졌으나, 감도를 결정하는 음극판의 면적은 다소 커졌음을 알 수가 있다.
도 9 및, 도 10과 같은, 본 고안의 불꽃감지용 자외선 감지 센서를 이용하면, 도 11 및 도 12와 같이 불꽃감지기의 마이크로컨트롤러(32)를 작게 개발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소형의 불꽃감지기(37)의 개발과 제작이 가능해진다. 또한 불꽃감지용 자외선 감지 센서의 외형 크기는 작아지나, 음극판(24)을 크게 함으로써 빛을 받아들이는 수광 면적을 크게 하여 감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한다.
본 고안의, 불꽃 감지를 위한 자외선 감지 센서는, 도 10에서와 같이 불꽃감지 창(19), 원통형 측면 하우징(21), 원판형 하부 하우징(22), 양극 리드선(23), 음극판(24), 음극 리드선(25) 등으로 구성된다.
도 10에 제시된, 본 고안의 불꽃감지용 자외선 감지 센서는, 최상단에 불꽃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선이 투과하는 불꽃감지 창(19)이 위치하고, 불꽃감지 창(19)의 하부에 4~5 밀리미터 이격되어 양극 리드선(23)이 위치하고, 양극 리드선(23)의 하부에 0.5~1.5 밀리미터 이격되어 음극판(24)이 위치한다. 음극판(24)의 하부에는 평행한 방향으로 음극 리드선(25)이 용접되어 있다. 음극 리드선(25)의 하부에는 2~3 밀리미터 이격되어 원판형 하부 하우징(22)이 위치한다. 불꽃감지 창(19)과 원판형 하부 하우징(22)의 측면에는 원통형 측면 하우징(21)이 감싸고 있으며 내부를 밀봉하고 있다. 센서의 외부로부터 불꽃감지 창(19)을 통해서, 센서 내부를 수직으로 투영했을 때, 불꽃감지 창(19), 음극판(24), 원통형 측면 하우징(21), 원판형 하부 하우징(22)의 중심이 일치하도록 배치하였다.
불꽃감지 창(19)은 단결정 사파이어 또는 자외선 투과율이 높은 특수 재질로 제작되며, 직경 20 밀리미터, 두께 1 밀리미터의 투명한 원판 형상이다.
원통형 측면 하우징(21)과 원판형 하부 하우징(22)은 스테인레스 재질의 금속을 사용하거나, 황동 또는 일반 강판과 같은 값 싼 재질의 금속에 녹이 슬지 않도록 니켈 도금과 같은 후처리한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금속 뿐만 아니라 다양한 재질의, 플라스틱과 같은 전기가 절연되는 고분자 재료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원통형 측면 하우징(21)은 직경 23 밀리미터, 높이 7.5 밀리미터 정도의 원통이며, 원통의 상단과 하단의 평면은 열려 있는 형태이다. 열려 있는 상단에는 불꽃으로부터 발생하는 광선이 투과할 수 있는 불꽃감지 창(19)을 설치하고 접착제(20)로 접합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열려 있는 하단은 원판형 하부 하우징(22)이 접착제(27)로 접합된다. 이 때 사용되는 접착제(20, 27)는 섭씨 50도 이상에 견디는 재질을 사용하였다. 원통형 측면 하우징(21)의 상단과 하단에 불꽃감지 창(19)과 원판형 하부 하우징(22)을 접합함으로써 센서는 밀폐형 구조가 된다.
도 10에서, 본 고안의 불꽃 감지를 위한 자외선 감지 센서의 내부에는, 양극 리드선(23), 음극판(24), 음극 리드선(25) 등이 설치되어 있다.
양극 리드선(23)의 재질은 금속성 전기 전도체며, 두께 0.5~1.0 밀리미터의 한 가닥 선으로 되어 있다. 양극 리드선(23)은 도 9의 평면도에서와 같이 나선형 클립 모양으로 구부러져 있으며, 안 쪽에서 바깥 쪽으로 나선형으로 감겨져 나오며 한 바퀴 반을 회전한 후 3~4 밀리미터 정도 직진한다. 이 때 나선형 클립 모양으로 구부러진 부분은 정방형의 음극판(24)의 가장자리를 벗어나지 않는 모양이어야 한다. 클립 모양으로 구부러진 후 직진한 양극 리드선(23)은, 나선형 클립 모양의 리드 선이 형성하는 가상의 평면과 수직하는 방향으로 재차 구부러진다. 재차 구부러진 양극 리드선(23)은 원판형 하부 하우징(22)을 통과하여 센서 외부로 노출된다. 외부로 노출되는 양극 리드선(23)은 원판형 하부 하우징과(22)과 접착제(26)로 접합됨으로써 센서 내부는 밀봉되어 외부와 단절된다.
음극판(24)은 아연, 세슘, 또는 안티몬과 같은 자외선에 의한 광전효과가 좋은 재질을 사용하여 제작한다. 정방형의 음극판 크기는 한 변이 8 밀리미터이며, 두께는 약 1 밀리미터이다. 음극판의 한 면은 빛을 받아들이는 기능을 하며, 반대편 면의 가운데에는 음극 리드선(25)이 평행한 방향으로 용접되어 있다.
음극 리드선(25)의 재질도 금속성 전기 전도체며, 두께 0.5~1.0 밀리미터의 한 가닥 선으로 되어 있다. 음극 리드선(25)은 음극판(24)에 평행한 방향으로 용접되어 있으며 용접된 부위로부터 4~5 밀리미터 정도 직진 후 수직으로 구부러진다. 구부러진 음극 리드선(25)은 원판형 하부 하우징(22)을 통과하여 센서 외부로 노출된다. 음극 리드선(25)과 원판형 하부 하우징(22)은 접착제(26)로 접합됨으로써 센서 내부는 밀봉되어 외부와 단절된다.
센서 내부의 양극 리드선(23)과 음극 리드선(25)은 원판형 하부 하우징(22)을 통해서 외부로 빠져 나와 노출된다. 외부에 노출된 두 개의 리드선(23, 25)은 원판형 하부 하우징(22)의 중심점으로부터 대칭으로 6~7 밀리미터 정도 이격되어 있다.
양극 리드선(23)과 음극판(24) 사이의 간극은 사용 용도에 따라 0.5~1.5 밀리미터 사이의 적당한 간극을 선택하면 된다. 음극판(24)에서 발생하는 광전자를 양극으로 끌어당기기 위해서는 양극(23)과 음극판(24) 사이에 고전압을 걸어주는 데, 이 때 사용하는 전압의 크기에 따라 양극(23)과 음극판(24) 사이의 간극을 조정하여야 한다. 전압이 높아질수록 간극은 크게 할 수 있으며 전압이 낮아지면 간극을 작게 하여야 한다. 간극이 작아지면 낮은 전압으로도 광전자를 끌어 당길 수 있으나, 간극이 너무 작아지면 외부 빛이 입사하지 않아도 양극(23)과 음극판(24) 사이에서 방전하는 현상이 발생하여 불꽃에 의한 광전자를 측정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양극 리드선(23)의 재질과 음극판(24)의 재질에 따라서 간극을 적절히 설정하여야 한다.
센서의 내부는 진공으로 밀봉하거나, 특정한 가스를 충진하고 밀봉할 수 있다. 진공으로 제작하면 광전효과의 특성이 양호하고, 입사광의 세기와 선형적으로 비례하는 광전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에 비해 아르곤, 네온 등과 같은 특수 가스를 센서 내부에 충진하면, 진공으로 밀봉했을 때보다 더 높은 광전효과를 얻을 수 있으나, 입사광의 세기와 선형적으로 비례하지 않는 광전효과를 발생시킨다. 특수 가스를 충진하면, 음극판에서 발생하는 광전자가 특수 가스를 이온화시켜 더 많은 전자의 흐름(광전류)을 만들 수 있다. 불꽃 감지용 자외선 센서의 적용 목적에 따라서, 센서 내부를 진공으로 밀봉하거나 또는 특수 가스를 충진하고 밀봉할 수 있다.
도 1은, 흑체의 온도에 따른 흑체 복사 파장의 변화를 설명하는 그래프.
도 2는, 광전효과의 원리와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
도 3은, 기존의 상업화된 불꽃감지용 자외선 센서의, 파장에 따른 감지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
도 4는, 기존의 상업화된 불꽃감지용 자외선 센서의 사진.
도 5는, 도 4에 제시한 상업화된 불꽃감지용 자외선 센서의 상세 도면.
도 6은, 도 4 및 도 5에 제시한 불꽃감지용 자외선 센서를 이용하여 상업화한 불꽃감지기의 마이크로컨트롤러 사진.
도 7은, 도 6의 마이크로컨트롤러를 장착한 불꽃감지기의 내부 구조도.
도 8은, 본 고안의 불꽃감지를 위한 자외선 감지 센서(17)와, 기존 상업화된 불꽃감지용 자외선 센서(18)의 비교도.
도 9는, 본 고안의 불꽃감지를 위한 자외선 감지 센서의 상세 도면.
도 10은 , 본 고안의 불꽃감지를 위한 자외선 감지 센서의 상세 정면도.
도 11은, 본 고안의 불꽃감지를 위한 자외선 감지 센서를 사용한 불꽃감지기의 내부 구조도.
도 12는, 기존의 상업화된 자외선 센서(18)를 적용한 불꽃감지기(35)와, 본 고안의 자외선 감지 센서(17)를 적용한 불꽃감지기(36, 37)의 비교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자외선 투과용 관(TUBE) 2 : 음극판(CATHODE)
3 : 양극(ANODE) 4 : 양극 리드선(LEAD)
5 : 음극 리드선 6 : 양극
7 : 음극판 8 : 불꽃감지기 마이크로컨트롤러
9 : 불꽃감지용 자외선 센서 10 : 불꽃감지기 외장 케이스
11 : 불꽃감지 창(WINDOW) 12 : 외부 불꽃으로부터의 입사광
13 : 불꽃감지용 자외선 센서 14 : 불꽃감지기 마이크로컨트롤러
15 : 외부 신호 연결 단자 16 : 천장 또는 설치 벽
17 : 본 고안의 불꽃감지를 위한 자외선 감지 센서
18 : 기존 상업화된 불꽃감지용 자외선 감지 센서
19 : 불꽃감지 창(WINDOW) 20 : 접착제
21 : 원통형 측면 하우징(HOUSING) 22 : 원판형 하부 하우징
23 : 양극 리드선(LEAD) 24 : 음극판(CATHODE PLATE)
25 : 음극 리드선 26 : 접착제
27 : 접착제 28 : 불꽃감지기 외장 케이스
29 : 불꽃감지 창 30 : 외부 불꽃으로부터의 입사광
31 : 불꽃감지용 자외선 감지 센서 32 : 불꽃감지기 마이크로컨트롤러
33 : 외부 신호 연결 단자 34 : 천장 또는 설치 벽
35 : 기존의 자외선 감지 센서를 적용한 불꽃감지기의 내부 구조
36 : 본 고안의 자외선 감지 센서를 적용한 불꽃감지기의 내부 구조
37 : 본 고안의 자외선 감지 센서를 적용한 불꽃감지기의 내부 구조

Claims (1)

  1. 외부의 불꽃에 의해 발생하는 자외선을 센서 내부로 투과시키기 위한, 자외선 투과율이 높은 재질의, 투명한 원판형의 자외선 투과용 불꽃감지 창(19)과,
    상기 자외선 투과용 불꽃감지 창(19) 하단에 이격되어 위치하며,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나선형으로 감겨진 후 곧게 펴지고, 나선형이 형성하는 가상의 평면과 수직인 방향으로 재차 구부러진 후, 원판형 하부 하우징(22)을 수직으로 교차하며 통과하여 센서의 외부로 연장되어 노출되며, 양(+)의 전압을 가하는 전기 전도체 재질로 된, 한 가닥의 양극 리드선(23)과,
    상기 양극 리드선(23)의 하단에 이격되어 평행하게 위치하며, 자외선이 도달하면 광전자를 방출하는, 정사각형 형상의 금속성 음극판(24)과,
    상기 음극판(24)의 하단에 평행한 방향으로 용접되며, 용접되지 않은 부분은 음극판의 하단 수직 방향으로 재차 구부러지며 원판형 하부 하우징(22)을 수직으로 교차하며 통과하여 센서의 외부로 연장되어 노출되며, 음(-)의 전압을 가하는 전기 전도체 재질로 된 한 가닥의 음극 리드선(25)과,
    상기 양극 리드선(23)과 음극 리드선(25)의 하단에 이격되어 위치하며, 음극판(24)과 평행하고, 양극 리드선(23)의 일부와 음극 리드선(25)의 일부가 수직으로 교차하며 통과하고, 양극 리드선(23)과 음극 리드선(25)은 접착제로 접합되어 밀봉되는 원판형 하부 하우징(22)과,
    불꽃감지 창(19)과 원판형 하부 하우징(22)의 사이의 측면을 감싸는 (원통 형상이며, 원통의 상단은 열려 있어서 불꽃감지 창(19)과 접착제로 접합되어 밀봉되며, 원통의 하단도 열려 있어서 원판형 하부 하우징(22)과 접착제로 접합되어 밀봉되는) 원통형 측면 하우징(21)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꽃 감지를 위한 자외선 감지 센서.
KR20080001069U 2008-01-24 2008-01-24 불꽃 감지를 위한 자외선 감지 센서 KR20044687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01069U KR200446875Y1 (ko) 2008-01-24 2008-01-24 불꽃 감지를 위한 자외선 감지 센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01069U KR200446875Y1 (ko) 2008-01-24 2008-01-24 불꽃 감지를 위한 자외선 감지 센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7631U KR20090007631U (ko) 2009-07-29
KR200446875Y1 true KR200446875Y1 (ko) 2009-12-07

Family

ID=412934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80001069U KR200446875Y1 (ko) 2008-01-24 2008-01-24 불꽃 감지를 위한 자외선 감지 센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6875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3712B1 (ko) * 2017-02-23 2018-05-02 (주)현태엔지니어링 화염감지기용 방폭함
CN112548334B (zh) * 2020-12-04 2021-06-15 中国科学院力学研究所 一种同轴热电偶瞬态热流传感器节点激光焊接导通装置
KR102550377B1 (ko) * 2022-10-17 2023-07-03 주식회사 에이비스 화재 감지가 가능한 영상 감시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74269A (ja) * 1991-12-24 1993-07-13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紫外線式炎感知器
JPH06290375A (ja) * 1993-03-31 1994-10-18 Nohmi Bosai Ltd 紫外線式火災感知器
KR200270120Y1 (ko) 2001-12-18 2002-03-29 (주)한맥테크놀로지 불꽃감지장치의 하우징 구조
KR100638120B1 (ko) 2006-02-10 2006-10-24 주식회사 영국전자 화재감시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74269A (ja) * 1991-12-24 1993-07-13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紫外線式炎感知器
JPH06290375A (ja) * 1993-03-31 1994-10-18 Nohmi Bosai Ltd 紫外線式火災感知器
KR200270120Y1 (ko) 2001-12-18 2002-03-29 (주)한맥테크놀로지 불꽃감지장치의 하우징 구조
KR100638120B1 (ko) 2006-02-10 2006-10-24 주식회사 영국전자 화재감시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7631U (ko) 2009-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68515B2 (en) Ultra violet light sensor
US9576776B2 (en) Apparatus for sensing ionic current
KR200446875Y1 (ko) 불꽃 감지를 위한 자외선 감지 센서
NL8900382A (nl) Fluorescerende elektrische ontladingslamp.
US7456412B2 (en) Insulator for tube having conductive case
CH649639A5 (fr) Detecteur de fumees.
WO2015014378A1 (en) A detector and method for detecting ultraviolet radiation
KR101665828B1 (ko) 복합형 단일 화재감지 센서
US20060284101A1 (en) Detector assembly
EP3988910B1 (en) An ultraviolet flame detector
KR101153390B1 (ko) 이온 및 기체 섬광을 이용한 광대역 방사선 계측 장치
US9530300B1 (en) Hand-held radiation detector
US3983437A (en) Electromagnetic radiation detector
Abbrescia et al. Evaluation of high sensitivity flat-panel gaseous detectors of flames, sparks and smoke
KR102195375B1 (ko) 자외선 및 적외선의 동시측정이 가능한 화재감지센서
WO2003091748A1 (en) Radiation detector inclunding means for indicating satisfactory operation
JP2018063955A (ja) アーク発生検知装置および開閉器
CN103604497B (zh) 紫外线探测传感器
Periale et al. Development of new sealed UV sensitive gaseous detectors and their applications
JP6495755B2 (ja) 紫外線検出器
US3209190A (en) Ultra-violet detector
CN212302698U (zh) 光管式烟雾探测器
FI129348B (en) Ultraviolet flame detector
KR101104735B1 (ko) 일체형 멀티 타입 어레이 자외선 센서
CN212808414U (zh) 一种无源型高压带电显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