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6508Y1 - Discharge basket for recycled product separate collection - Google Patents

Discharge basket for recycled product separate colle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6508Y1
KR200446508Y1 KR2020070011503U KR20070011503U KR200446508Y1 KR 200446508 Y1 KR200446508 Y1 KR 200446508Y1 KR 2020070011503 U KR2020070011503 U KR 2020070011503U KR 20070011503 U KR20070011503 U KR 20070011503U KR 200446508 Y1 KR200446508 Y1 KR 2004465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frame
spring
support plate
hook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1503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90000463U (en
Inventor
김봉연
장인식
Original Assignee
김봉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봉연 filed Critical 김봉연
Priority to KR20200700115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6508Y1/en
Publication of KR2009000046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0463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65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6508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0033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segregated refuse collecting, e.g. receptacles with several compartments; Combination of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8Suspend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20/00Properties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20/106Collapsi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use Recepta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폐기용 쓰레기가 아닌 재활용 가능한 유리병류, 캔류, 플라스틱류 등을 분리수거하기 위해 종류별 분리 배출하기 위한 배출통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charge bin for separating and discharging by type to separate and collect recyclable glass bottles, cans, plastics, etc., not waste.

구성의 특징으로는 전체적으로 배출통의 외형을 구성하는 대부분의 재질을 망사 재질을 선택함으로써 내부에 담은 재활용품의 종류를 잘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최하단부와 상부 일정 높이에 유연성을 가지면서 4각의 형체를 유지할 수 있을 정도로 다른 재질로 된 받침판 및 상부테를 구성하여 주며, 내부에는 철사를 이용하여 4각형으로 권회된 스프링을 내장하여 상하단을 상기 받침판 및 상부테에 각각 고정하였는데, 이로써 스프링을 압축시키면 배출통의 높이가 줄어들고 스프링을 자유상태로 두면 높이가 최대한 높아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a characteristic of the composition, most of the materials that make up the shape of the discharge bin are selected by the mesh material so that the type of recycled materials contained in the inside can be checked well. The base plate and the upper frame are made of different materials so that they can be maintained, and the upper and lower ends are fixed to the support plate and the upper frame, respectively. The height of the barrel is reduced and the spring is left free, so that the height is as high as possible.

이에 따라 내용물을 한눈에 잘 볼 수 있도록 구성하면서 평상시에는 배출통의 부피를 줄여 보관하였다가 재활용품을 투입하는 정도에 따라 내부 공간의 부피를 늘일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Accordingly, the contents can be easily seen at a glance, and the volume of the discharge container is usually reduced and stored, and the volume of the internal space can be increas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recycled materials.

재활용품, 쓰레기 배출, 분리수거, 4각 스프링, 높이조절, 망체 Recyclables, Garbage Disposal, Separate Collection, Quad Spring, Height Adjustment, Mesh

Description

재활용품 분리수거용 배출통{Discharge basket for recycled product separate collection}Discharge basket for recycled product separate collection}

본 고안은 일반 폐기용 쓰레기가 아니고 재활용 가능한 유리병류, 캔류, 플라스틱류, 등을 분리수거를 위해 종류별로 분리하여 배출하기 위한 배출통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내부에 들어있는 내용물을 한눈에 잘 볼 수 있도록 구성하면서 평상시에는 배출통의 부피를 줄여 보관하였다가 재활용품을 투입하는 정도에 따라 내부 공간의 부피를 늘일 수 있는 등 여러 가지로 개선된 배출통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charge container for discharging and disposing of recyclable glass bottles, cans, plastics, etc. by type for separate collection, rather than general waste, and more specifically, the contents contained therein at a glanc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various improved discharge bins, such that the volume of the discharge bins can be reduced and stored in ordinary times, and the volume of the internal space can be increas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recycled materials.

주지된 바와 같이 근래에는 쓰레기를 배출시에 재활용 가능한 금속류, 플라스틱류, 병류 등은 배출시에 별도로 구분하여 배출함으로써 재활용을 위한 분리수거가 가능하게 하고, 이러한 분리수거를 통하여 폐기되는 일반 쓰레기의 양을 줄임으로써 환경을 보호하는 효과와 아울러 자원을 재활용하는 일거양득의 효과를 얻고자 노력하고 있다. As is well known, metals, plastics, bottles and the like which can be recycled at the time of discharging can be separated and discharged separately for discharging. We are trying to achieve the effect of protecting the environment and reducing the profits of recycling resources by reducing energy consumption.

그런데 이러한 분리수거를 위하여 가정에서 재활용품을 배출시에 여러 종류의 재활용품을 구분없이 배출할 경우에는 이를 다시 종류별로 분리하여야 하므로 인력의 낭비는 물론 수거율과 재활용률의 저하를 가져오는 것이기 때문에 배출시에 정확하게 분리하여 배출하는 것이 중요한 것이다. However, when discharging recycled products at home for such separate collection, it is necessary to separate them again by type. Therefore, it is not only waste of manpower but also lowers the collection rate and recycling rate. It is important to discharge separately.

종래에는 같은 종류의 재활용품을 분리하여 배출하더라도 내부가 잘 보이지 않는 비닐봉지나 마대자루 등에 넣어서 배출하였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수거하는 사람이나 처리하는 사람이 재활용품을 쏟아서 같은 종류끼리 재분리하여야 하였고, 간혹 재활용이 불가능한 쓰레기가 포함된 경우에도 쉽게 찾지 못하므로 이를 찾아내 다시 분리를 하여야 하는 등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Conventionally, even if the same type of recycled product is separated and discharged, it is put in a plastic bag or a sack which is hard to see inside. Even if this impossible garbage was included, it was difficult to find it, so it had to be found again and separated.

이러한 문제점에 의해 전체가 내부가 잘 보이는 비닐재질의 봉투 또는 망사 형태로 된 자루에 재활용품을 담아 배출하기도 하였으나, 이러한 경우는 내부의 재활용품을 잘 확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그 재질의 특성상 통이나 케이스와 같은 형체를 유지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시각적으로 단정하지 못한 단점이 있었고, 아울러 작은 충격이나 외력에 의해 비닐재질의 봉투 또는 망사 형태의 자루가 찢어져 버리는 단점이 발견되었다.Due to these problems, some recycled products were put in plastic bags or mesh bags with a good view of the inside, but in this cas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recycled materials can be checked well. It is difficult to maintain the shape, such as there was a disadvantage that was not visually neat, and also a disadvantage that a small impact or external force torn the bag of the plastic bag or mesh-shaped bag was found.

또 그 후에는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근래에는 플라스틱으로 된 상자형의 배출통이 제공되기도 하였으나, 이러한 경우는 내부를 잘 볼 수 없는 단점이 다시 드러났었고 내부에 재활용품을 담지 않은 상태에서도 부피를 너무 많이 차지한다는 것과 충격에 의해 파손이 잘 되어 수시로 배출통 전체를 폐기 및 교체하여야 하는 등의 문제가 있었던 것이다. In addition,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 recently, a box-type discharge container made of plastic has been provided, but in this case, the disadvantage of not being able to see the inside is revealed again. It occupied a lot and was damaged by shock, so the entire discharge bin had to be discarded and replaced.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본 고안은 재활용품을 담아 배출하는데 있어서 사용이 매우 편리한 것은 물론이고, 외부에서 배출통의 내부를 잘 확인할 수 있고 파손도 효과적으로 방지되며, 외관상으로도 단정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배출통의 부피를 재활용품의 담는 정도에 따라 조절이 가능토록 하는 등 재활용품 배출용으로 필요한 여러 가지 요건을 모두 만족할 수 있는 배출통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devised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is not only very convenient to use in discharging the recycled goods, but also can check the inside of the discharge vessel well from the outside and effectively prevent damage, while maintaining a neat appearance in appearance. The purpose is to provide a discharge container that can satisfy all the requirements for discharging the recycled goods, such that the volume of the discharge container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recycled material.

본 고안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배출통의 구성을 제공하는바, 먼저 전체적으로 배출통의 외형을 구성하는 대부분의 재질을 망사 재질을 선택함으로써 내부에 담은 재활용품의 종류를 잘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figuration of the discharge bin that can achieve the above object, first, by selecting the mesh material of most of the material constituting the overall appearance of the discharge bin in order to be able to check the kind of recycled materials contained inside. .

하지만 이와 같은 망사 재질로 배출통 전체를 구성할 수는 없는 바, 그 이유는 배출통으로서의 일정한 형체를 유지할 수가 없고 잘 찢어진다는 단점 때문이다. 이를 위하여 최하단부와 상부 일정 높이에 유연성을 가지면서 4각의 형체를 유지할 수 있을 정도로 다른 재질로 된 받침판 및 상부테를 구성하여 준다.However, it is not possible to configure the entire discharge container with such a mesh material, because of the disadvantage that can not maintain a constant shape as the discharge container and tears well. To this end, the base plate and the upper frame are made of different materials so that the shape of the square can be maintained while having flexibility at the lower end and the upper predetermined height.

그리고 내부에는 탄성이 양호한 재질을 이용하여 4각형으로 권회한 스프링을 내장하고 상하단을 상기 받침판 및 상부테에 각각 고정하였는데, 이로써 스프링을 압축시키면 배출통의 높이가 줄어들고 스프링을 자유상태로 두면 높이가 최대한 높아지도록 한 것이다. And the inside is built with a spring wound in a square using a good elastic material and the upper and lower ends are fixed to the support plate and the upper rim, respectively, by compressing the spring, the height of the discharge vessel is reduced, if the spring is left in a free state It was made as high as possible.

이와 같이 스프링에 의해 조절되는 높이를 원하는 높이 상태에서 유지될 수 있는 걸이 수단을 구비하였는데, 상부의 상부테 측면과 그 아래에 망사로 된 본체부터 하부의 받침판 사이에 다수개의 걸고리와 고리로 된 걸이수단을 구성함으로써 걸이수단을 걸어주는 위치에 따라 배출통의 높이가 조절된 상태로 유지되는 것이다. In this way, the height adjusted by the spring was provided with a hook means that can be maintained at a desired height state, the hook between the hook and the hook between a plurality of hooks and hooks between the upper side of the upper frame and the mesh body below the base plate By configuring the means, the height of the discharge container is maintained in a controlled state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hook means.

이러한 본 고안의 배출통에 의하면, 종래 배출통의 단점을 모두 해결할 수 있으면서, 사용이 매우 편리하게 개선된 것이다. According to the discharge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while all the disadvantages of the conventional discharge container can be solved, the use is very convenient.

살펴보면, 우선, 배출통의 전체 구성에서 대부분이 망사 형태의 재질을 이용하여 구성됨으로써 내부에 어떠한 재활용품이 담겨 있는지를 한눈에 알게 되고 이에 따라 추후 불필요하게 내용물을 분리하거나 선별하여야 하는 공정이 생략되어 재활용의 능률이 향상될 수 있는 것이다.Looking at it, first of all, the entire configuration of the discharge bin is made of a mesh-type material, so it is possible to know at a glance what kinds of recycled products are contained therein. The efficiency of can be improved.

또 상기와 같이 망사형의 재질을 이용하여 배출통을 구성하면서도 전체적으로 사각형의 배출통 형상을 유지할 수 있게 되며, 또한 내용물을 담지 않거나 소량을 담을 때 부피를 축소할 수 있게 되는데, 이는 내부에 4각형의 스프링을 삽입하였기 때문에 이러한 스프링이 자유상태가 되면서 높이와 4각형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고, 스프링을 압착한다면 그 높이가 줄어들게 되므로 외형상의 부피를 줄이게 되는 것이며, 측면에 걸이 수단을 결합하면 부피가 축소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다단조절이 가능한 것이다. 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overall shape of the discharge container while forming the discharge container using a mesh material, and also to reduce the volume when not containing the contents or a small amount, which is a quadrilateral inside Since the spring is inserted, the spring can be free and maintain the shape of the height and the quadrilateral. If the spring is compressed, the height is reduced so that the volume of the external shape is reduced. Multi-stage adjustment is possible while maintaining the reduced state.

또한 상기 본 고안의 배출통은 배출통으로서의 그 형체를 유지하면서도 유연 성을 갖는 재질로 구성되었으므로 던지거나 부딪히더라도 파손되는 경우가 없고, 충격을 받더라도 다시 원래의 형상으로 복귀하는 성질을 가지므로 장시간 사용하기에도 유용한 것이다. In addition, since the discharge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flexibility while maintaining its shape as a discharge container, it is not damaged even when thrown or hit, and has a property of returning to its original shape even when subjected to an impact. It is also useful to use.

본 고안을 구현하기 위한 바람직하고 상세한 구성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Preferred and detailed configuration embodiments for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고안에 의한 배출통(1)은 유연하면서도 형상을 유지할 수 있는 피혁, 인조피혁, 레자, 두꺼운 섬유 등의 재질로 하단에 약간의 측면부(11)와 바닥면(12)을 갖는 받침판(10)을 구성하였고, 그 위로부터 망사재질로 된 본체부(20)를 구성하는 것이다.Discharge contain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support plate 10 having a small side portion 11 and the bottom surface 12 at the bottom of a material such as leather, artificial leather, leather, thick fibers that can maintain a flexible shape It was configured to constitute the body portion 20 made of a mesh material from above.

바닥면에는 다수개의 배수구멍(13)을 구성할 수도 있다.A plurality of drainage holes 13 may be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받침판(10)의 내부로부터 본체부(20)의 내부에는 4각형의 권회된 스프링(30)을 삽입하는데, 스프링(30)의 하단은 받침판(10)의 내부에 고정하였고 상부는 본체부(20)의 상부 중앙에 받침판(10)와 같은 재질로 상부테(40)를 구성한 후 그 내부에 스프링(30)의 상단을 고정한 것이다.A quadrangular wound spring 30 is inserted into the body portion 20 from the inside of the support plate 10, and a lower end of the spring 30 is fixed to the inside of the support plate 10 and an upp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20. After the upper frame 40 is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support plate 10 at the center of the upper part, the upper end of the spring 30 is fixed therein.

상기에서 배출통(1)의 전체 형태와 스프링(30)의 권회 형태를 4각형으로 제한하였지만, 4각형에 한정될 필요없이 6각, 8각, 10각...내지 16각 정도의 다각형으로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In the above, the overall shape of the discharge container 1 and the winding form of the spring 30 are limited to a quadrilateral, but need not be limited to a quadrilateral, but a polygon of six, eight, ten, ... It may be formed.

본체부(20)의 상단은 상부테(40)보다 더욱 돌출시킨 다음에 조임끈(21)을 구성하였다.The upper end of the main body portion 20 protrudes further than the upper frame 40, and then constitutes the tension string 21.

상부테(40)의 측면에는 걸고리(41)를 구성한 후, 그 아래 본체부(20)의 측면과 받침판(10)의 측면에는 상기 걸고리(41)를 걸수 있는 고리(42)를 구성하여 걸고리(41)를 아래로 당기면서 고리(42)에 걸어주면 스프링(30)이 압축된 상태로 부피가 줄어든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After the hook 41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upper frame 40, the hook 42 is configured to hook the hook 41 on the side of the main body 20 and the side of the support plate 10 below. 41) by pulling down on the hook 42 while the spring 30 is to maintain the compressed state in the reduced volume.

그리고 상부테(40)의 일측과 받침판(10)의 일측에는 투명비닐로 된 표시부(50)를 구성하였는데, 내부에 재활용품의 종류나 배출한 사람, 배출일자, 소속 자치단체명 등의 정보를 표시한 판재나 종이를 삽입하여 정보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아울러 상부테(40)의 측면에 손잡이(43)를 구성하여 운반이 편리하도록 하였다.On one side of the upper frame 40 and one side of the support plate 10, a display unit 50 made of transparent vinyl was formed, and information on the type of recycled product, the discharged person, the discharge date, and the name of the local government belonged to It is to be able to display information by inserting a plate or paper, and also to configure the handle 43 on the side of the upper frame (40) to facilitate transportation.

이러한 구성으로 된 본 고안의 작용을 사용방법에 따라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Looking at the operation of the subject innovation in this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method of use in detail as follows.

본 고안의 배출통(1)은 사용하지 않은 시에는 부피를 축소시켜 두는데, 걸고리(41)를 맨 하단의 받침판(10)에 구성된 고리(42)에 걸어줌으로써 스프링(30)이 압축되면서 부피가 줄어들게 되어 보관도 편리하고 취급도 편리하게 된다.The discharge container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duce the volume when not in use, by hooking the hook 41 to the hook 42 formed in the base plate 10 at the bottom of the spring 30 is compressed and the volume Is reduced, so storage and handling are convenient.

사용시에는 망체로 된 본체부(20)의 상단부를 열고 내부에 동일한 종류의 재활용품을 넣어 보관토록 하고, 보관된 재활용품의 수가 많아져 부피가 점 더 늘어나면 걸고리(41)를 본체부(20) 측면의 고리(42)에 옮겨 걸거나 걸림을 해제하여 보관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확장시켜 가면서 보관을 하며, 원하는 정도의 보관이 이루어지면 상단의 조임끈(21)을 조이고 표시부(50)에 필요한 내용을 기재 한 후 배 출장소에 배출하는 것이다.In use, open the upper end of the main body 20 made of mesh, and put the same kind of recycled products therein, and store the hooks 41 on the side of the main body 20 when the number of recycled products increases. It is stored while expanding the internal space that can be moved to the hook 42 or released by releasing the jam, and when the desired degree of storage is made, tighten the lanyard 21 at the top and write the necessary contents on the display unit 50. It is then discharged to the branch office.

이러한 상태의 배출통(1)을 지방자치단체의 수거요원이 수거하여 재활용 수집공장으로 운송하면 되는 것이고 내부에 어떤 종류의 재활용품이 들어 있는지, 다른 종류가 포함되어 있지는 않은지, 또는 이물질이 들어 있지는 않은지를 내용물을 꺼내보지 않더라도 쉽게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The discharge bin (1) in this state can be collected by the local collection agent and transported to the recycling collection plant, and what kind of recycled material is contained inside, other types are not included, or are there any foreign substances? You can easily check even if you do not take out the contents.

따라서 재활용 가능한 물품들을 효과적으로 분리수거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 가정에서 일반쓰레기를 배출하는 비닐봉투의 사용을 최소화할 수 있어 비닐봉투를 구매하는 비용을 줄일 수 있고 비닐사용의 절감과 함께 재활용율을 크게 향상시키게 되므로 결국 환경의 보호와 자원의 절약으로 이어진다 할 것이다. Therefore,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separate and recycle the recyclable items, thereby minimizing the use of plastic bags to discharge general garbage at home, thereby reducing the cost of purchasing plastic bags and greatly reducing the use of vinyl and recycling rate. This will lead to the protection of the environment and the saving of resources.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배출통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discharge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배출통의 측단면도Figure 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discharge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배출통의 접는 과정을 나타낸 정면도Figure 3 is a front view showing the folding process of the discharge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배출통의 4각 스프링 사시도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quare spring of the discharge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 배출통1: outlet

10: 받침판 11: 측면부10: base plate 11: side part

12: 바닥면 13: 배수구멍12: bottom surface 13: drainage hole

20: 본체부 21: 조임끈20: main body 21: string

30: 스프링 30: spring

40: 상부테 41: 걸고리40: upper frame 41: hook

42: 고리 43: 손잡이42: ring 43: handle

50: 표시부50: display unit

Claims (2)

하단에 측면부(11)와 바닥면(12)을 갖는 받침판(10)을 구성하고,Comprising a base plate 10 having a side portion 11 and a bottom surface 12 at the bottom, 상기 받침판(10)의 측면부(11) 위로부터 망사로 된 본체부(20)를 구성하며,From the side portion 11 of the support plate 10 constitutes the main body portion 20 of the mesh, 받침판(10)의 내부로부터 본체부(20)의 내부에는 4각형의 권회된 스프링(30)을 삽입하되, 스프링(30)의 하단은 받침판(10)의 내부에 고정하고 상부는 본체부(20)의 상부 중앙에 받침판(10)와 같은 재질로 상부테(40)를 구성한 후 상부테(40)의 내부에 스프링(30)의 상단을 고정하며,From the inside of the support plate 10 to the inside of the body portion 20 is inserted into a spiral spring 30, the bottom of the spring 30 is fixed to the inside of the support plate 10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20 After the upper frame 40 is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support plate 10 in the upper center of the upper and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spring 30 in the upper frame 40, 본체부(20)의 상단은 상부테(40)보다 더욱 돌출시킨 다음에 조임끈(21)을 구성하고,The upper end of the body portion 20 further protrudes than the upper frame 40, and then constitutes a tension strap 21, 상부테(40)의 측면에는 걸고리(41)를 구성한 후, 그 아래 본체부(20)의 측면과 받침판(10)의 측면에는 상기 걸고리(41)를 걸수 있는 고리(42)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품 분리수거용 배출통.After the hook 41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upper frame 40, the hook 42 is provided on the side of the main body 20 and the side of the support plate 10 below the hook 41. Waste container for separate recycling of wast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부테(40)의 일측과 받침판(10)의 일측에 투명비닐로 된 표시부(50)를 구성하여, 내부에 재활용품의 종류나 배출한 사람, 배출일자, 소속 자치단체명 정보를 표시한 판재나 종이를 삽입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품 분리수거용 배출통.On one side of the upper frame 40 and on one side of the backing plate 10, a transparent vinyl display unit 50 is formed, and a plate or paper displaying information on the type of recycled product, the discharged person, the discharge date, and the name of the municipality belonging to the inside. Recyclable waste collection bin, characterized in that to insert the.
KR2020070011503U 2007-07-12 2007-07-12 Discharge basket for recycled product separate collection KR200446508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1503U KR200446508Y1 (en) 2007-07-12 2007-07-12 Discharge basket for recycled product separate colle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1503U KR200446508Y1 (en) 2007-07-12 2007-07-12 Discharge basket for recycled product separate collec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0463U KR20090000463U (en) 2009-01-15
KR200446508Y1 true KR200446508Y1 (en) 2009-11-05

Family

ID=412979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1503U KR200446508Y1 (en) 2007-07-12 2007-07-12 Discharge basket for recycled product separate colle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6508Y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0886Y1 (en) * 1994-04-21 1997-02-12 권화무 Sanitation box for hospital wastes
JP2002308401A (en) 2001-04-14 2002-10-23 Hisashi Aoyanagi Garbage container
KR200386521Y1 (en) 2005-03-22 2005-06-13 김대현 The mounting holder for bag containing refuse
KR200439630Y1 (en) 2006-11-10 2008-04-24 안청호 Garbage ca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0886Y1 (en) * 1994-04-21 1997-02-12 권화무 Sanitation box for hospital wastes
JP2002308401A (en) 2001-04-14 2002-10-23 Hisashi Aoyanagi Garbage container
KR200386521Y1 (en) 2005-03-22 2005-06-13 김대현 The mounting holder for bag containing refuse
KR200439630Y1 (en) 2006-11-10 2008-04-24 안청호 Garbage ca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0463U (en) 2009-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94619B1 (en) Disposable lawn bag
US6530495B1 (en) Storage container with multiple divided compartments
US5820143A (en) Recycler trolley
GB2419804A (en) Recycling bin
US5690248A (en) Bag assembly for recycling
KR200446508Y1 (en) Discharge basket for recycled product separate collection
KR200441189Y1 (en) Discharge basket for recycled product separate collection
KR20090072054A (en) The custody box for a recycled product
JP3197123U (en) Waste collection device
US20020053369A1 (en) Yard waste storage and disposal system
GB2444024A (en) A refuse bin
KR200409824Y1 (en) receipt part of waste container
KR200409823Y1 (en) Waste contaioner
KR200443611Y1 (en) Discharge basket for recycled product separate collection
GB2393381A (en) Multi-compartment waste container with bag dispenser
KR200299048Y1 (en) A exhaust device of nets for recyclables collection
KR200308287Y1 (en) Recyclable goods seperate collection stand
KR200232723Y1 (en) Recyclables Collection Basin
CN213443992U (en) Soft containing box for clothes
KR200393185Y1 (en) Moving basket for recycle waste
CN211365803U (en) Novel garbage bin that opens door inclines
NL2023700B1 (en) Hybrid package bag
CN208233855U (en) A kind of garbage reclamation cloth bag
US838781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quential bagging of materials
CN215045781U (en) Tensile plastic ba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