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6365Y1 - 소총용 레일 어댑터 - Google Patents

소총용 레일 어댑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6365Y1
KR200446365Y1 KR2020070018370U KR20070018370U KR200446365Y1 KR 200446365 Y1 KR200446365 Y1 KR 200446365Y1 KR 2020070018370 U KR2020070018370 U KR 2020070018370U KR 20070018370 U KR20070018370 U KR 20070018370U KR 200446365 Y1 KR200446365 Y1 KR 20044636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fle
barrel
rail
coupling
rail adap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83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4741U (ko
Inventor
김남준
Original Assignee
김남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1299856&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446365(Y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김남준 filed Critical 김남준
Priority to KR20200700183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6365Y1/ko
Publication of KR2009000474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474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636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636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GWEAPON SIGHTS; AIMING
    • F41G11/00Details of sighting or aiming apparatus; Accessories
    • F41G11/001Means for mounting tubular or beam shaped sighting or aiming devices on firearms
    • F41G11/003Mountings with a dove tail element, e.g. "Picatinny rail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CSMALLARMS, e.g. PISTOLS, RIFLES; ACCESSORIES THEREFOR
    • F41C27/00Accessories; Details or attach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35/00Accessories or 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GWEAPON SIGHTS; AIMING
    • F41G11/00Details of sighting or aiming apparatus; 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ming, Guidance, Guns With A Light Source, Armor, Camouflage, And Targets (AREA)
  • Telescop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소총의 총신에 결합되면서 조준경의 설치를 위한 소총용 레일 어댑터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기 소총용 레일 어댑터의 더욱 안정적인 결합이 가능하고, 조준경의 미 장착시 소총으로부터 상기 소총용 레일 어댑터를 분리하지 않더라도 사용이 가능한 새로운 형태의 소총용 레일 어댑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조준경의 설치를 위한 레일부와, 상기 레일부의 저면에 일체로 형성되면서 소총의 각 부위 중 장전 손잡이 및 가늠쇠가 구비된 총신에 결합되는 총신 결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총신 결합부는 상기 총신의 상면에 밀착되며, 상기 총신의 선단측 상면에 돌출 형성된 결합턱이 요입되도록 저면에는 요입홈이 형성된 상부 결합단과, 상기 상부 결합단의 양측면 전방측 및 후방측으로부터 각각 하향 돌출 형성되면서, 상기 총신의 상부측 모서리 부위 및 양 측면의 일부를 감싸는 두 쌍의 측부 결합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총용 레일 어댑터가 제공된다.
소총, 총신, 레일 어댑터, 요입홈, 회피단, 측부 결합단

Description

소총용 레일 어댑터{rail adaptor for a rifle}
본 고안은 소총의 총신에 결합되면서 조준경의 설치를 위한 소총용 레일 어댑터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기 소총용 레일 어댑터의 더욱 안정적인 결합이 가능하고, 조준경의 미 장착시 소총으로부터 상기 소총용 레일 어댑터를 분리하지 않더라도 사용이 가능한 새로운 형태의 소총용 레일 어댑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총용 레일 어댑터는 통상의 소총에 장착되면서 주야간용 조준경이나 조준망원경 등의 특수 장비에 대한 장착이 가능토록 하는 보조 장비이다.
상기한 소총용 레일 어댑터는 상기 소총의 총신 및 가늠자 사이에 결합되며, 상기 소총의 총신(개머리판과, 총열 덮개 사이의 부위) 및 상기 가늠자의 형성 부위에는 상기 소총용 레일 어댑터의 결합을 위한 체결공이 각각 형성된다.
이와 함께, 상기 총신의 각 부위 중 체결공이 형성된 부위에는 돌출턱이 돌출 형성됨으로써 상기 소총용 레일 어댑터의 전방측과 후방측은 서로 수평을 이룰 수 있게 된다.
상기 소총용 레일 어댑터에 대한 통상의 형상 및 결합 구조는 국내 등록실용 신안공보 제20-0238989호에 기재된 바와 같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의 소총용 레일 어댑터는 소총의 총신에 형성된 각 체결공과의 결합 부위를 제외하고는 전체적으로 이격된 상태이기 때문에 사격시 발생되는 충격 등에 의해 상기 결합 부위의 어긋남이 쉽게 발생되었고, 이로 인한 조준 사격의 정확도가 현저히 떨어졌던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종래의 소총용 레일 어댑터는 그 장착 구조가 소총의 가늠쇠와 가늠자 사이를 가리게 됨으로써 조준경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소총용 레일 어댑터를 소총으로부터 분리하여야만 하였던 불편함이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종래 기술이 갖는 각종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고안의 목적은 소총의 총신 부위에 안정적인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격에 따른 충격 발생시에도 어긋남이 발생되지 않고, 조준경의 미 사용시에는 가늠쇠를 통한 조준 사격이 가능하도록 하며, 장전 손잡이의 동작에는 간섭을 주지 않도록 한 새로운 형태의 소총용 레일 어댑터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소총용 레일 어댑터에 따르면 조준경의 설치를 위한 레일부와, 상기 레일부의 저면에 일체로 형성되면서 소총의 각 부위 중 장전 손잡이 및 가늠쇠가 구비된 총신에 결합되는 총신 결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총신 결합부는 상기 총신의 상면에 밀착되며, 상기 총신의 선단측 상면에 돌출 형성된 결합턱이 요입되도록 저면에는 요입홈이 형성된 상부 결합단과, 상기 상부 결합단의 양측면 전방측 및 후방측으로부터 각각 하향 돌출 형성되면서, 상기 총신의 상부측 모서리 부위 및 양 측면의 일부를 감싸는 두 쌍의 측부 결합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총신 결합부를 이루는 두 쌍의 측부 결합단에는 관통공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각 관통공에는 가압 볼트가 관통 체결되면서 상기 총신에 상기 총신 결합부를 선택적으로 고정시키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두 쌍의 측부 결합단 중 상기 소총의 양측면 중 어느 한 측면에 설치된 장전 손잡이가 위치된 부위를 감싸는 어느 한 측부 결합단은 그 외면이 상기 장전 손잡이와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회피 구조로 경사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레일부의 상면 내측 부위는 상기 가늠쇠에 의한 조준 높이에 비해 낮게 위치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고안의 소총용 레일 어댑터는 후술하는 바와 같은 각종 효과를 가진다.
첫째, 본 고안의 소총용 레일 어댑터는 소총을 구성하는 총신의 상면 및 양측면 일부에 이르기까지 밀착된 상태임에 따라 사격시 발생되는 충격 등에 의한 결합 부위 간의 어긋남은 방지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이로 인해, 조준 사격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둘째, 본 고안의 소총용 레일 어댑터는 조준경을 탈거하게 될 경우 소총의 가늠쇠와 가늠자 사이를 가리지 않게 됨으로써 조준경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도 상기 소총용 레일 어댑터를 소총으로부터 분리하지 않아도 가늠쇠와 가늠자를 이용한 조준 사격이 가능하다는 효과를 가진다.
셋째, 본 고안의 소총용 레일 어댑터는 총신의 양측면을 최대한 많이 감쌀 수 있도록 하되, 장전 손잡이의 동작에 따른 간섭은 방지될 수 있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더욱 안정적인 고정 장착이 가능하다는 효과를 가진다.
이하, 소총용 레일 어댑터에 대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에 앞서, 소총은 K2 소총임을 그 예로 한다.
우선,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소총용 레일 어댑터는 크게 레일부(100) 및 총신 결합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총신 결합부(200)는 소총의 총신(10) 부위를 감싸도록 형성됨을 그 특징으로 제시한다.
이를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레일부(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레일부(100)는 조준경이 설치되는 부위로써, 레일 어댑터의 상단을 이룬다.
상기한 레일부(100)의 전방측 및 후방측에는 한 쌍의 체결공(110,120)이 각각 상하로 관통 형성된다.
이때, 상기 레일부(100)의 두 체결공(110,120) 중 후방측 부위에 형성된 체결공(110)은 소총을 이루는 총신(10)의 상면 중 가늠쇠(20)가 구비된 부위에 형성된 체결공(21)과 일치되면서 서로 간이 나사 체결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레일부(100)의 전방측 부위에 형성된 체결공(120)은 소총을 이루는 총신(10)의 상면 중 상대적으로 총열 덮개(20)와 인접한 부위에 돌출 형성된 결합턱(11) 및 이 결합턱(11)의 상면에 형성된 체결공(12)과 일치되면서 서로 간이 나사 체결되도록 구성된다.
특히, 상기 레일부(100)에 형성되는 한 쌍의 체결공(110,120)은 그 입구측의 저부로 갈수록 점차 축소되는 경사면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이는, 상기 레일부(100)의 체결공(110,120)과 소총의 체결공(12,21) 간을 접시머리 나사(70)로 체결할 수 있도록 하여 서로 간의 체결시 상기 나사(70)의 어긋남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상기 총신 결합부(2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총신 결합부(200)는 소총에 결합 고정되는 일련의 구성으로써, 상기 레일부(100)의 저면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소총의 각 부위 중 개머리판(30)과 총열 덮개(40) 사이의 총신에 결합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총신 결합부(200)가 상부 결합단(210) 및 두 쌍의 측부 결합단(220)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제시한다.
이때, 상기 상부 결합단(210)은 상면이 상기 레일부(100)의 저면에 일체형을 이루도록 형성됨과 더불어 저면은 상기 총신(10)의 상면이 밀착될 수 있도록 상기 총신(10)의 상면이 이루는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이루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이와 함께, 상기 상부 결합단(210)의 저면에는 상기 총신(10)의 전방측 상면에 돌출 형성된 결합턱(11)이 요입되도록 요입홈(211)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요입홈(211)은 상기 결합턱(11)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결합턱(11)이 상기 요입홈(211) 내에 완전히 밀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결합턱(11)이 형성된 부위를 기준으로 발생되는 충격 진동(예컨대, 사격으로 인해 발생되는 진동)에 의한 상기 상부 결합단(210)의 전방측 유동은 방지된다.
그리고, 상기 두 쌍의 측부 결합단(220)은 상기 상부 결합단(210)의 양측면 전방측 및 후방측으로부터 각각 하향 돌출 형성되면서, 상기 총신(10)의 상면 양측 모서리 부위 및 양 측면의 일부를 감싸는 일련의 구성이다.
이때, 상기 두 상의 측부 결합단(220)에는 관통공(221)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각 관통공(221)에는 가압 볼트(222)가 각각 관통 체결되면서 상기 총신(10)에 상기 총신 결합부(200)를 선택적으로 고정시키도록 구성된다.
이와 함께, 상기 두 쌍의 측부 결합단(220) 중 소총의 장전 손잡이(50)가 설치된 부위와 대응되는 부위에 위치되는 측부 결합단(220)의 외벽면에는 상기 소총에 구비된 장전 손잡이(50)와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회피단(223)이 단턱지게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피단(223)이 상기 장전 손잡이(50)와 인접된 저부측 끝단부위로부터 상부측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함으로써, 상기 측부 결합단(220)과 장전 손잡이(50) 간의 간섭은 회피될 수 있도록 하되 해당 측부 결합단(220)이 총신(10)의 외벽면과 밀착되는 부위를 최대화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각 구성 중 레일부(100)의 상면 내측 부위는 상기 소총의 가늠쇠(20)에 의한 조준 높이에 비해 낮게 위치되도록 형성된다. 이는, 본 고안의 소총용 레일 어댑터를 소총에 설치한 상태에서도 가늠쇠(20) 및 가늠자(60)를 이용한 조준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하기에서는, 전술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소총용 레일 어댑터의 장착 과정 및 이 레일 어댑터에 대한 작용을 설명한다.
우선, 본 고안의 소총용 레일 어댑터를 총신(10)에 결합하기 위해서는 총신 결합부(200)에 형성된 요입홈(211)의 위치를 상기 총신(10)에 형성된 결합턱(11)의 위치와 일치시킨 후 상기 총신 결합부(200)가 상기 총신(10)의 상면을 감싸도록 밀착시킨다.
이의 경우, 상기 소총의 총신(10)에 형성된 결합턱(11)은 상기 총신 결합부(200)의 저면에 형성된 요입홈(211) 내에 요입됨과 더불어 상기 결합턱(11)에 형성된 체결공(12)는 레일부(100)의 전방측에 형성된 체결공(110)과 일치되고, 소총의 가늠쇠(20)가 구비된 부위에 형성된 체결공(21)은 상기 레일부(100)의 후방측에 형성된 체결공(120)과 일치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후, 접시머리 나사(70)를 이용하여 상기 각 체결공(110,120,12,21) 간을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소총용 레일 어댑터와 소총 간의 결합 고정이 이루어진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소총용 레일 어댑터를 상기 소총의 총신(10)에 결합시키게 되면 레일 어댑터의 총신 결합부(200)를 구성하는 두 쌍의 측부 결합단(220)이 상기 총신(10)의 선단 및 후단 양측면에 각각 밀착된다.
이와 함께, 상기 두 쌍의 측부 결합단(220)에 형성된 관통공(221)에 가압 볼트(222)를 체결함으로써 상기 두 쌍의 측부 결합단(220)과 총신(10) 간의 고정이 더욱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소총의 사격이 이루어져 상기 사격에 의한 충격 진동이 발생된다 하더라도 상기 충격 진동은 상기 총신(10)에 밀착되는 레일 어댑터의 전 부위로 고르게 제공된다.
즉,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레일 어댑터는 상기 총신(10)의 특정 부위에만 결합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총신(10)의 상면 및 양측면 일부를 모두 감싸도록 설치됨에 따라 사격에 의해 제공되는 상하 방향의 충격 진동에 의한 소총 및 레일 어댑터 간의 탈거는 각 체결공(110,120,12,21) 간의 결합 구조에 의해 방지되고, 상기 사격을 통해 제공되는 좌우 방향의 충격 진동에 의한 소총 및 레일 어댑터 간의 탈거는 결합턱(11)과 요입홈(211)의 구조 및 두 쌍의 측부 결합단(220)에 대한 구조에 의해 방지된다.
결국, 전술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소총용 레일 어댑터의 구조로 인해 소총의 사격이나 여타 원인에 의한 충격 진동이 발생된다 하더라도 상기 레일 어댑터의 탈거 혹은, 비틀림에 따른 문제점은 원천적으로 방지된다.
한편,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조준경을 분리하여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레일 어댑터로부터 조준경만을 분리하면 되며, 상기 레일 어댑터를 소총의 총신(10)으로부터 분리할 필요는 없다.
이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레일 어댑터가 총신(10)의 외면에 완전히 밀착될 수 있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상기 레일 어댑터를 이루는 레일부(100)의 내측 상면이 소총의 가늠쇠(20)와 가늠자(60) 사이를 가로막지 않을 정도로 낮게 위치되며, 이로 인해 조준경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해당 소총의 사용자는 가늠쇠(20)와 가늠자(60)를 이용한 조준 사격이 가능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소총용 레일 어댑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소총용 레일 어댑터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소총용 레일 어댑터를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소총용 레일 어댑터를 나타낸 저면도
도 5는 도 1의 Ⅰ-Ⅰ선 단면도
도 6은 도 1의 Ⅱ-Ⅱ선 단면도
도 7 및 도 8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소총용 레일 어댑터를 소총에 장착하는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Claims (5)

  1. 조준경의 설치를 위한 레일부와, 상기 레일부의 저면에 일체로 형성되면서 소총의 각 부위 중 장전 손잡이 및 가늠쇠가 구비된 총신에 결합되는 총신 결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총신 결합부는
    상기 총신의 상면에 밀착되며, 저면에는 상기 총신의 선단측 상면에 돌출 형성된 결합턱이 요입되도록 요입홈이 형성된 상부 결합단과,
    상기 상부 결합단의 양측면 전방측 및 후방측으로부터 각각 하향 돌출 형성되면서, 상기 총신의 상부측 모서리 부위 및 양 측면의 일부를 감싸는 두 쌍의 측부 결합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두 쌍의 측부 결합단 중 상기 소총의 장전 손잡이가 설치된 부위와 대응되는 부위에 위치되는 측부 결합단의 외벽면에는 상기 장전 손잡이와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단턱진 회피단이 형성되고, 상기 회피단은 상기 장전 손잡이와 인접된 저부측 끝단부위로부터 상부측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총용 레일 어댑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총신 결합부를 이루는 두 쌍의 측부 결합단에는 관통공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각 관통공에는 가압 볼트가 관통 체결되면서 상기 총신에 상기 총신 결합부를 선택적으로 고정시키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총용 레일 어댑터.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부의 상면 내측 부위는 상기 가늠쇠에 의한 조준 높이에 비해 낮게 위치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총용 레일 어댑터.
KR2020070018370U 2007-11-14 2007-11-14 소총용 레일 어댑터 KR20044636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8370U KR200446365Y1 (ko) 2007-11-14 2007-11-14 소총용 레일 어댑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8370U KR200446365Y1 (ko) 2007-11-14 2007-11-14 소총용 레일 어댑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4741U KR20090004741U (ko) 2009-05-19
KR200446365Y1 true KR200446365Y1 (ko) 2009-10-22

Family

ID=412998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8370U KR200446365Y1 (ko) 2007-11-14 2007-11-14 소총용 레일 어댑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636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1620B1 (ko) 2021-05-13 2021-11-04 (주) 택티컬리스트 파츠의 선택적 장착을 위한 총기 레일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1336B1 (ko) * 2013-05-29 2013-08-29 김영준 K1,k2자동소총용 레일 겸용 탄피수집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8989Y1 (ko) 2001-04-25 2001-10-12 (주)이오시스템 케이-2소총의 조준경 홀더
US7062876B2 (en) * 2003-08-06 2006-06-20 Brett Wilson Rifle scope mounting mean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8989Y1 (ko) 2001-04-25 2001-10-12 (주)이오시스템 케이-2소총의 조준경 홀더
US7062876B2 (en) * 2003-08-06 2006-06-20 Brett Wilson Rifle scope mounting mean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1620B1 (ko) 2021-05-13 2021-11-04 (주) 택티컬리스트 파츠의 선택적 장착을 위한 총기 레일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4741U (ko) 2009-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10770B2 (en) Mount assembly for interchanging optical sights
US9869531B1 (en) Integrated optical sight mount
US20170059277A1 (en) Removable handgun slide mount
US20160349011A1 (en) Dual Interface Rail Mount
US8720103B2 (en) Firearm scope mount
US7334365B2 (en) Accessory mount for a firearm
US8196332B2 (en) Forward scout scope mount for firearm
US20150101230A1 (en) Lower receiver for firearms
US20090077855A1 (en) Rifle mount
US20130219767A1 (en) Universal firearm mount
US20140331538A1 (en) Firearm Modification Accessory
US10871350B1 (en) Sight mounting system for a firearm
CA2413357A1 (en) Accessory rail mount adapter for rifles and carbines
PT1716383E (pt) Dispositivo de montagem para armas de fogo
US10473432B2 (en) Dual interface rail mount
KR200446365Y1 (ko) 소총용 레일 어댑터
US5595011A (en) Telescopic-sight system for AK47-type rifles
US9151575B2 (en) Firearm accessory rail and method of attachment
US20160091278A1 (en) Slot Cover for a Modular Firearm Hand Guard
US11313646B1 (en) Slide having rear sight fastener assembly for pistols
KR20130001261U (ko) 기관총용 레일 부착기
RU194154U1 (ru) Кронштейн для крепления к колодке прицела
CN210833247U (zh) 一种95步枪皮卡汀尼导轨及快拆锁紧结构
US4567683A (en) Handgun scope mount
RU2568093C2 (ru) Кронштейн для крепления дополнительных приспособлений к колодке прицела стрелкового оружи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0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