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5976Y1 - Stench elimination apparatus for chamber pot - Google Patents
Stench elimination apparatus for chamber po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45976Y1 KR200445976Y1 KR2020070019877U KR20070019877U KR200445976Y1 KR 200445976 Y1 KR200445976 Y1 KR 200445976Y1 KR 2020070019877 U KR2020070019877 U KR 2020070019877U KR 20070019877 U KR20070019877 U KR 20070019877U KR 200445976 Y1 KR200445976 Y1 KR 200445976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odor
- discharge
- pipe
- cas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4—Special arrangement or operation of ventilating devices
- E03D9/05—Special arrangement or operation of ventilating devices ventilating the bowl
- E03D9/052—Special arrangement or operation of ventilating devices ventilating the bowl using incorporated fa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8—Odour seals
- E03C1/284—Odour seals having U-shaped trap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용변시의 악취를 수조 내에 설치되어 있는 냄새배출유닛으로 유입시킨 후 오수파이프를 통해 외부로 방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에 따라 배설물에 의한 악취 발생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동시에 냄새가 역류하는 것을 차단하여 화장실 내의 환경을 보다 쾌적하게 조성할 수 있는 좌변기의 냄새 방출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allow the odor at the time of stool to be introduced into the odor discharge unit installed in the tank and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sewage pipe to effectively remove the odor generated by the excreta and at the same time the odor flows back.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ilet seat odor release device that can block the toilet to create a more comfortable environment.
본 고안은 집수구를 가지는 본체 및 이 본체 상에 회동 가능하도록 탑재되는 좌판과 덮개를 포함하여 일정량의 물이 저장되는 수조를 각각 구비하고 있는 통상의 좌변기에 있어서, 본체 내측의 상단 테두리부에 수조로부터의 물을 분사하는 토출공 및 집수구 내의 공기를 흡인하기 위한 통기공들이 형성된 급수통로와 흡입통로가 각각 마련되어 있는 동시에 이 흡입통로에서 연이어지는 접속파이프의 일측에 좌변기의 사용여부를 감지하는 센서에 의해 온ㆍ오프 제어되는 팬모터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수조 내에는 접속파이프에 연결되어 토출관을 통해 이송되는 공기에 의해 부상함과 동시에 이 공기를 방출파이프로 유도하기 위하여 케이싱 내에 부력통을 가지는 냄새배출유닛이 구비되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ventional toilet seat comprising a main body having a water collecting port and a water tank in which a certain amount of water is stored, including a seat plate and a cover mounted on the main body so as to be rotatable. A water supply passage and a suction passage, each formed with a discharge hole for injecting water and air vents for sucking air in the water collecting port, are provided, respectively, and a sensor for detecting the use of the toilet seat on one side of the connection pipe connected to the suction passage is provided. Fan motor for on / off control is installed, and in the tank, it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ipe and floated by the air transferred through the discharge pipe, and at the same time, it has a buoyancy cylinder in the casing to guide this air to the discharge pipe. Discharge unit is provided.
좌변기, 흡입통로, 수조, 부력통, 케이싱 Toilet bowl, suction passage, water tank, buoyancy bucket, casing
Description
본 고안은 용변시의 악취를 수조 내에 설치되어 있는 냄새배출유닛으로 유입시킨 후 오수파이프를 통해 외부로 방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에 따라 배설물에 의한 악취 발생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동시에 냄새가 역류하는 것을 차단하여 화장실 내의 환경을 보다 쾌적하게 조성할 수 있는 좌변기의 냄새 방출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allow the odor at the time of stool to be introduced into the odor discharge unit installed in the tank and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sewage pipe to effectively remove the odor generated by the excreta and at the same time the odor flows back.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ilet seat odor release device that can block the toilet to create a more comfortable environment.
일반 가정이나 공동 건물의 화장실 내에 설치되어 있는 통상의 좌변기는 좌판이 장착된 본체를 포함하여 이 본체 내로 소정량의 물을 제공하기 위한 수조를 구비함에 따라 용변 후의 배설물이 오수파이프를 통해 하수구로 배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A common toilet seat installed in a restroom of a general home or a common building includes a main body with a seat plate, and has a water tank for supplying a predetermined amount of water into the main body, so that the excrement after the toilet is discharged to the sewer through the sewage pipe. It is configured to be.
이러한 좌변기의 특성상 이용자가 용변을 보는 동안에 배설물에서 발생되는 냄새가 화장실 내에 상당한 시간동안 잔류하기 때문에, 다음 이용자에게 불쾌감을 유발시키게 된다.Due to the nature of the toilet, the odor generated from the excrement while the user is looking at the toilet remains in the toilet for a considerable time, causing discomfort to the next user.
이에 따라, 화장실 내의 악취를 제거하기 위한 방법들이 여러 가지로 시도되 고 있는데, 탈취제나 방향제 등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실내의 냄새를 다소 중화시켜 줄 뿐 그 고유성분으로 인한 인체 위해성을 가지게 됨은 물론 수시로 약품을 교환해 주어야 하기 때문에 별도 비용을 부담해야 한다는 문제가 있다.Accordingly, various methods for removing odors in the bathroom have been attempted. In the case of using a deodorant or an air freshener, the smell of the room is slightly neutralized, and the human body is harmful due to its unique ingredients.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y have to pay extra costs because they must be exchanged.
또한, 화장실 내에 통상의 환풍기구를 설치하여 가동시킨다 하더라도 변기로부터 상당히 떨어져 있기 때문에 악취의 제거효과가 떨어지고 별도의 배기통로를 설치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으며, 아파트와 같은 공동 주택일 경우 다른 층의 배기통로에 함께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강제 환풍에 의해 배출되는 냄새가 다른 가구의 화장실 내로 유입된다는 등의 단점을 내포하고 있다.In addition, even if a normal ventilation device is installed and operated in the toilet, since it is far from the toilet, there is a difficulty in removing odor and installing a separate exhaust passage. In the case of a common house such as an apartment, the exhaust passage of another floor is provided. Since they are connected together, the odor emitted by the forced ventilation flows into the bathroom of another household.
이와 같은 문제들을 고려하여 용변시의 냄새를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기술로서는, 예를 들어 국내 공개특허 제2006-0088521호 공보에서와 같이, 배설물에 의한 냄새를 흡입할 수 있도록 좌판의 저면에 형성된 다수의 흡입구 및 이들 흡입구를 통해 제공되는 공기를 모아 배출시키기 위해 좌판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흡입통로를 가지며, 이 흡입통로에 설치된 송풍기의 가동에 의해 악취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한 기술이 알려져 있다.As a technique for effectively removing the odor at the time of the toilet in consideration of such problems, for example, as disclosed in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06-0088521, a plurality of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eat to inhale the odor due to the excrement A technique is known which has a suction port and a suction passage formed along the edge of the seat plate for collecting and discharging air provided through these suction ports, and capable of removing odor by operation of a blower installed in the suction passage.
또한, 공개특허 제2007-0103323호 공보에는 양변기 내부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양변기에 일체로 마련된 악취배출수단에 의해 하부의 오수관으로 배출하여 통기관을 거쳐 건축물 외부로 배출토록 구성함에 따라 별도의 배관설비 등을 하지 않고도 양변기 내부의 냄새를 보다 효율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In addition,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07-0103323 discloses that the odor generated inside the toilet is discharged to the sewage pipe at the bottom by the odor discharge unit integrated in the toilet an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building through the vent pipe. There is disclosed a technique that can more efficiently discharge the odor inside the toilet without having to.
또, 등록실용신안 제0391915호 공보에는 양변기의 좌변용 커버를 통하여 냄 새를 흡인한 후 양변기의 일측에 형성된 관통홀에 방출 구조를 결합하여 외부로 냄새를 방출하고, 좌변용 커버와 양변기 본체를 위주로 한 냄새 이동경로에서 불필요한 간극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악취가 양변기 근방에 잔존하는 문제를 극복할 수 있도록 한 기술에 대해 기재되어 있다.In additio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0391915 discloses a smell through the toilet seat cover, and combines a discharge structure with a through hole formed at one side of the toilet bowl to release the odor to the outside, and the toilet seat cover and the toilet bowl main body. A technique has been described to overcome the problem that the odor remains near the toilet bowl by preventing unnecessary gaps in the odor movement path.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들의 냄새 제거장치는 송풍기의 가동에 의해 강제로 배기시킬 수는 있으나 송풍기의 가동이 정지된 상태에서는 악취가 역류하여 화장실 내로 유출되기 때문에 효과가 떨어지게 되며, 각종 센서를 구비한 콘트롤러 등의 회로적인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고장률이 높아 수시로 정비를 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However, the odor removing device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can be forced out by the operation of the blower, but the effect is reduced because the odor flows back into the toilet when the operation of the blower is stopped, and various sensors It consists of a circuit configuration such as a controller equipped with a high failure rate, there is a hassle to maintain the maintenance from time to time.
더구나, 화장실 내의 벽면이나 바닥, 천정 등에 배관된 호스나 파이프 등을 좌변기 자체에 접속시켜야 하므로 미관상 좋지 않은 것임은 물론 별도의 공사를 행해야 하는 작업의 곤란성과 설치비용을 감수해야 하는 등의 여러 문제점들을 내재하고 있는 것이었다.In addition, since the hose or pipes connected to the wall, floor, ceiling, etc. in the bathroom must be connected to the toilet itself, it is not aesthetically pleasing, and it is difficult to carry out a separate construction work and bear the installation cost. It was inherent.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일정량의 물이 채워지는 수조 내에 냄새배출유닛을 설치하여 배설물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강제 흡인시킴과 동시에 부력통의 승,하강 작용에 의해 외부로 방출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간단한 구성으로 화장실 내의 악취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음은 물론 악취의 유입을 완전히 차단할 수 있는 좌변기의 냄새 방출장 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consideration of the above problems,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stall a odor discharge unit in the tank filled with a certain amount of water to force suction of the odor generated from the feces and at the same time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buoyancy cylinder By releasing to the outside by the outside,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remove the odor in the toilet with a simpler configuration, as well as to provide a odor release device of the toilet seat that can completely block the introduction of the odor.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집수구를 가지는 본체 및 이 본체 상에 회동 가능하도록 탑재되는 좌판과 덮개를 포함하여 일정량의 물이 저장되는 수조를 각각 구비하고 있는 통상의 좌변기에 있어서, 본체 내측의 상단 테두리부에 수조로부터의 물을 분사하는 토출공 및 집수구 내의 공기를 흡인하기 위한 통기공들이 형성된 급수통로와 흡입통로가 각각 마련되어 있는 동시에 이 흡입통로에서 연이어지는 접속파이프의 일측에 좌변기의 사용여부를 감지하는 센서에 의해 온ㆍ오프 제어되는 팬모터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수조 내에는 상기 수조 내에는 접속파이프에 연결된 토출관이 고정 설치되는 받침판과, 이 받침판에 안착됨과 동시에 통공을 가지는 플랜지가 일체로 형성된 지지대와, 이 지지대의 플랜지 주위에 덮혀 씌워지며 일측에 배기공이 형성된 부력통과, 상기 받침판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걸림턱 내에 결속되는 케이싱과, 이 케이싱의 상단부 일측에 장착된 방출파이프로 이루어진 냄새배출유닛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the conventional toilet seat having a water tank in which a certain amount of water is stored, including a main body having a water collecting port and a seat plate and a cover mounted to be rotatable on the main body, A water supply passage and a suction passage, each having a discharge hole for injecting water from the water tank and a vent hole for sucking air in the water collecting port, are respectively provided at the upper rim of the main body, and at the same time, the toilet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connecting pipe connected to the suction passage. The fan motor is controlled on and off by a sensor for detecting the use of the support plate, the support plate is fixed to the discharge pip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ipe in the tank, the seat is seated on the support plate and at the same time through The support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flange and is covered around the flange of the suppor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with an odor discharge unit consisting of a buoyancy tube formed with an exhaust hole on the side, a casing that is bound within a locking jaw formed at the edge of the support plate, and a discharge pipe mounted on one side of the upper end of the casing.
삭제delete
또, 상기 케이싱에 장착된 방출파이프는 본체 하단부의 오수파이프에 접속되어 부력통 내에서 분출되는 공기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discharge pipe is mounted to the casing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be discharged in the buoyant cylinder is connected to the sewage pipe of the lower end of the main body.
또한, 상기 케이싱의 중앙부 일측에는 수조 내의 물을 유입시키기 위한 U자 형상의 호스를 포함하여 상기 케이싱 내의 물을 순환하여 배출시키기 위한 순환관이 각각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entral portion of the casing is characterized in that each of the circulation pipe for circulating and discharging the water in the casing, including a U-shaped hose for introducing water in the tank.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좌변기의 냄새 방출장치에 의하면, 집수조 내의 배설물에서 발생하는 냄새를 강제로 흡인함과 동시에 일정량의 물이 채워지는 수조 내에 설치된 냄새배출유닛에 의해 외부로 방출시킬 수 있도록 하였기 때문에, 보다 간단한 구성으로 화장실 내의 냄새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음은 물론 역 유입되는 것을 완전히 차단할 수 있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odor release device of the toilet se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le forcibly sucking the odor generated from the excrement in the sump tank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by the odor discharge unit installed in the tank filled with a certain amount of water Since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remove the smell in the toilet in a simpler configuration as well as to completely prevent the inflow of the reverse.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우선,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이 적용되는 일반 좌변기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통상의 좌변기는 이용자에 의한 배설물을 집수하는 본체(10)와, 이 본체(10) 상에 회동 가능하도록 탑재되는 좌판(20A) 및 덮개(20B)를 포함하여 일정량의 물이 저장되는 수조(30)를 구비하고 있다.First and Figure 1 and Figure 2 is a view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general toilet sea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he conventional toilet seat and the
상기 본체(10)의 상측 테두리부에는 수조(30)로부터 물을 집수구(11)로 공급시키기 위한 급수통로(12)가 마련되어 있고, 이 급수통로(12)에 다수의 토출공(13)들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The upper edge portion of the
또한, 도 3 및 도 4a, 도 4b에서와 같이, 상기 수조(30)의 일측에는 급수유 닛(31) 및 배수밸브(32)가 각각 설치되어 통상의 방식에 따라 수도파이프(도시생략)에 결속된 공급관(33)에 의해 일정량의 물을 저장할 수 있게 되며, 누름버튼이나 혹은 레버(34)의 조작에 의해 물을 본체(10)의 집수구(11) 측으로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3, 4A, and 4B, a
즉, 상기 급수유닛(31)은 공급관(33)을 통해 유입되는 물을 일정량 유지하기 위해 공급관(33)의 유출구를 차단하거나 개방시키기 위한 부구(35)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수조(30)의 외측에 장착된 레버(34)에는 연결바(36a,36b)를 개재하여 결속된 배수밸브(32)에 의해 급수통로(12) 측으로 물을 제공하는 통상의 구성을 이루고 있다.That is, the
또, 상기 본체(10) 내측의 상단 테두리부에 형성된 급수통로(12)의 일측에는 배설물에 의한 냄새를 제거하기 위하여 다수의 통기공(37a)들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흡입통로(37)가 마련되어 있고, 이 흡입통로(37)에서 연이어지는 접속파이프 (38)의 일측에는 좌변기의 사용여부를 감지하는 센서(39)에 의해 온ㆍ오프 제어되는 팬모터(40)가 설치되어 있다.In addition, one side of the
한편, 상기 수조(30) 내에는 흡입통로(37)의 끝단부에 장착된 접속파이프 (38)에 연결되어 배설물에 의한 냄새를 본체(10) 하단의 오수파이프(42) 측으로 유도하여 제거하기 위한 냄새배출유닛(43)이 고정볼트(43a)에 의해 체결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이 냄새배출유닛(43)은, 패킹(44a,44b)을 개재하여 접속파이프(38)로부터 수조(30) 및 토출관(44)이 연결 설치되는 받침판(45)을 포함하여 이 받침판(45) 상에 안착되는 지지대(46)에 통공(47a)을 가지는 플랜지(47)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받침판(45)과 지지대(46) 사이에는 O-링(49)이 개재되어 기밀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The
상기 지지대(46)의 플랜지(47) 주위에는 일측에 배기공(49a)이 형성된 부력통(49)이 덮혀 씌워져 있는 동시에 상기 받침판(45)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걸림턱 (45a) 내에 결속되는 케이싱(50)이 장착되어 있다.A casing which is fastened to a
또한, 상기 케이싱(50)의 상단부 일측에 접속된 방출파이프(41)가 본체(10)의 하단부에 설치된 오수파이프(42)에 연결되어 부력통(49) 내에서 분출되는 공기를 외부로 제거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상기 케이싱(50)의 중앙부 일측에는 수조 (30) 내의 물을 유입시키기 위한 U자 형상의 호스(51) 및 ㄱ자 형상의 순환관(52)이 각각 장착되어 있다.In addition, the
상기 호스(51)의 선단부는 상기 지지대(46)와 부력통(49) 사이에 개재되어 수조(30)와 케이싱(50) 내의 수위를 유지시킬 수 있는 동시에 수조(30) 내의 물이 잔류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악취가 수조(30) 내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며, 상기 순환관(52)은 수조(30) 내의 물이 배수되는 경우 케이싱(50) 내의 소정량의 물이 수조(30) 측으로 유출되어 물순환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한 것이다.The tip end of the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우선 이용자가 좌변기를 사용하기 위해 본체(10) 상의 좌판(20A)에 앉으면 센서(39)가 이를 감지하여 팬모터(40)를 가동시키게 되고, 본체(10) 내측의 상단 테두리부에 형성된 다수의 통기공(37a) 들을 통해 배설물에 의한 냄새를 즉각 흡인할 수 있게 되며, 이 냄새는 흡입통로(37) 및 접속파이프(38)를 거쳐 수조(10) 내에 설치되어 있는 냄새배출유닛(43)으로 이송된 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first, when the user sits on the
이에 따라, 상기 냄새배출유닛(43)을 구성하는 토출관(44) 상단의 출구로 냄새를 포함한 공기가 분출되어 부력통(49)을 수면에서 부상시키게 되며, 점차로 부력통(49)이 상승하면서 배출공(49a)을 통해 수면과 케이싱(50) 사이의 공간부로 배출된다.Accordingly, the air containing the odor is ejected to the outlet of the upper end of the
그 후, 상기 공기는 케이싱(50)에 연결된 방출파이프(41)를 통해 본체(10)의 하단부에 매설된 통상의 오수파이프(42) 내로 유입되어 외부로 방출된다.Thereafter, the air is introduced into the
이 때, 상기 냄새배출유닛(43)을 구성하는 케이싱(50)의 중앙부 일측에 U자 형상의 호스(51)가 접속됨과 동시에 그 선단부가 지지대(46)와 부력통(49) 사이에 개재되어 있기 때문에 수조(30) 내의 물을 냄새배출유닛(43)으로 유입시킬 수 있는 것이며 호스(51) 내에 물이 잔류함에 따라 악취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U-shaped
한편, 이용자가 용변을 본 후에 레버(34)를 작동시켜 배수밸브(32)를 개방시키게 되면, 수조(30) 내의 물이 본체(10)의 급수통로(12)를 거쳐 집수조(11) 내로 분출됨에 따라 배설물을 오수파이프(42) 측으로 배출시킬 수 있게 되며, 상기 수조 (30) 내에는 수도파이프(도시생략)에 결속된 공급관(33)을 통해 다시 일정량의 물을 채워 넣을 수 있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operates the
이 때, 상기 케이싱(50) 내에 유지되어 있던 소정량의 물은 순환관(52)을 통해 순환되어 배출됨과 동시에 이 순환관(52)의 상단 높이에 맞춰 수조(30) 내의 수위를 유지하게 되므로 케이싱(50) 내의 물순환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predetermined amount of water retained in the
본 고안은 수조와 본체를 갖는 통상의 좌변기에 적용할 수 있는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수조가 본체에서 분리되어 별도로 설치되어 있는 구조에도 적용할 수 있는 것이며, 수조를 구비한 소변기 등에도 설치하여 냄새를 제거할 수도 있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for an example that can be applied to a conventional toilet seat having a water tank and a main body, but is applicable to a structure in which the water tank is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and installed separately. It can also be removed.
상술한 실시예는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으로서,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한 것임은 물론이다.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s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most preferred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은 본 고안에 따른 좌변기의 냄새 방출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The drawings are for explaining the odor emitting device of the toilet se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고안이 적용되는 통상의 좌변기를 나타낸 외관 사시도,1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toilet sea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2는 도 1의 좌변기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단면도,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main parts for explaining the toilet seat structure of FIG. 1; FIG.
도 3은 본 고안의 냄새배출유닛이 부설된 좌변기를 나타낸 평면 구성도,3 is a plan view showing the toilet seat on which the odor discharge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도 4a, 도 4b는 도 3의 A-A선 단면도 및 급수유닛의 개략 구성도,4A and 4B are schematic sectional views taken along line A-A of FIG. 3 and a water supply unit,
도 5a, 도 5b는 냄새배출유닛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요부 구성도이다.5A and 5B are diagrams showing the main parts of the structure of the odor discharge unit.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0: 본체 11: 집수구10: main body 11: catch
12: 급수통로 13: 토출공12: water supply passage 13: discharge hole
20A: 좌판 20B: 덮개20A:
30: 수조 31: 급수유닛30: water tank 31: water supply unit
32: 배수밸브 33: 공급관32: drain valve 33: supply pipe
34: 레버 35: 부구34: lever 35: ball
36a,36b: 연결바 37: 흡입통로36a, 36b: connecting bar 37: suction passage
37a: 통기공 38: 접속파이프37a: Aeration hole 38: Connection pipe
39: 센서 40: 팬모터39: sensor 40: fan motor
41: 방출파이프 42: 오수파이프41: discharge pipe 42: sewage pipe
43: 냄새배출유닛 43a: 고정볼트43:
44: 토출관 44a,44b: 패킹44:
45: 받침판 45a: 걸림턱45:
46: 지지대 47: 플랜지46: support 47: flange
47a: 통공 48: O-링47a: Through hole 48: O-ring
49: 부력통 49a: 배기공49:
50: 케이싱 51: 호스50: casing 51: hose
52: 순환관52: circulation tube
Claims (4)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70019877U KR200445976Y1 (en) | 2007-12-11 | 2007-12-11 | Stench elimination apparatus for chamber po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70019877U KR200445976Y1 (en) | 2007-12-11 | 2007-12-11 | Stench elimination apparatus for chamber pot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05861U KR20090005861U (en) | 2009-06-16 |
KR200445976Y1 true KR200445976Y1 (en) | 2009-09-14 |
Family
ID=412900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70019877U KR200445976Y1 (en) | 2007-12-11 | 2007-12-11 | Stench elimination apparatus for chamber po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45976Y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77071A (en) * | 2016-12-10 | 2019-07-02 | 샤먼 지지에 세니터리 웨어 컴퍼니 리미티드 | Odor removal cap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33240U (en) * | 1999-03-24 | 1999-08-05 | 이영배 | Toilet with odor dis charge equipment |
KR20020050661A (en) * | 2000-12-21 | 2002-06-27 | 곽관희 | Apparatus for ventilating bad smell in flushing chamber pot |
US6983491B2 (en) | 2002-05-02 | 2006-01-10 | Gary Ian Curtis | Odor removal apparatus and/or methods |
KR100694856B1 (en) | 2005-10-14 | 2007-03-13 | 구희관 | Odor removal system of a chamber pot |
-
2007
- 2007-12-11 KR KR2020070019877U patent/KR200445976Y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33240U (en) * | 1999-03-24 | 1999-08-05 | 이영배 | Toilet with odor dis charge equipment |
KR20020050661A (en) * | 2000-12-21 | 2002-06-27 | 곽관희 | Apparatus for ventilating bad smell in flushing chamber pot |
US6983491B2 (en) | 2002-05-02 | 2006-01-10 | Gary Ian Curtis | Odor removal apparatus and/or methods |
KR100694856B1 (en) | 2005-10-14 | 2007-03-13 | 구희관 | Odor removal system of a chamber pot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77071A (en) * | 2016-12-10 | 2019-07-02 | 샤먼 지지에 세니터리 웨어 컴퍼니 리미티드 | Odor removal cap |
KR102148622B1 (en) | 2016-12-10 | 2020-08-26 | 샤먼 지지에 세니터리 웨어 컴퍼니 리미티드 | Left toilet odor removal water sealing devi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05861U (en) | 2009-06-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505123B2 (en) | Ventilated toilet | |
US8789213B2 (en) | Self-ventilating toilet | |
JP2017141659A (en) | Toilet bowl venting system | |
US7856675B1 (en) | Flush passage ventilation fitting | |
US6928666B1 (en) | Toilet with self-contained ventilation system | |
KR101375078B1 (en) | Seat for toilets with air circulation | |
US7103925B2 (en) | Odor eliminating system for a toilet, toilet including the odor eliminating system, and toilet seat assembly | |
WO2006022893A1 (en) | System for venting noxious fumes from a toilet | |
CA2699613C (en) | Ventilated toilet | |
GB2319268A (en) | Ventilation and flushing unit for a toilet | |
KR200445976Y1 (en) | Stench elimination apparatus for chamber pot | |
US20120260414A1 (en) | Toilet stool with apparatus for eliminating offensive odor | |
KR20100005081U (en) | Bidet and chamber pot | |
US20220034076A1 (en) | Ventilated toilet | |
KR20090129864A (en) | Toilet bowl having an offensive oder exhaust function | |
KR200373279Y1 (en) | A toilet stool | |
KR200408971Y1 (en) | A toilet stool having equipment of nemoving a bad smell | |
AU2006347383A1 (en) | Extraction system | |
KR200220460Y1 (en) | Toilet Stool Ventilating Device | |
KR200354378Y1 (en) | A device to elimnate a nasty smell of a chamber pot | |
KR200220459Y1 (en) | Toilet Stool Ventilating Device | |
KR20180007797A (en) | Toilet odor control system | |
KR200229677Y1 (en) | Toinlet bowl for draw off a bad smell | |
KR20020037578A (en) | Toilet Stool Ventilating Device | |
KR20160115600A (en) | Exterior fan type deodorizing Toilet Seat Features a Flush using excrete trap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724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822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828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612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808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010 Year of fee payment: 9 |
|
EXPY | Expiration of ter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