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5790Y1 - 테이블 - Google Patents

테이블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5790Y1
KR200445790Y1 KR2020080016609U KR20080016609U KR200445790Y1 KR 200445790 Y1 KR200445790 Y1 KR 200445790Y1 KR 2020080016609 U KR2020080016609 U KR 2020080016609U KR 20080016609 U KR20080016609 U KR 20080016609U KR 200445790 Y1 KR200445790 Y1 KR 2004457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g
pair
coupled
members
connec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66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용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리바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리바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리바트
Priority to KR20200800166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579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57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579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00Folding or stowable tables
    • A47B3/06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separabl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2Under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00Folding or stowable tables
    • A47B3/10Travelling or trunk tables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서, 상판; 금속으로 이루어지며, 상호 이격되어 상기 상판의 하면에 나사에 의해 결합되며, 수용홈부가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지지부재; 양단부가 상기 한 쌍의 지지부재에 마련된 수용홈부에 각각 끼워져서 나사에 의해 결합된 보강부재; 및 상기 각 지지부재의 하측에 하나씩 배치된 한 쌍의 다리체;를 구비하며: 상기 각 다리체는,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며 상단부가 나사에 의해 상기 지지부재에 결합된 한 쌍의 파이프형상의 다리부재와, 상기 다리부재들의 하단부 사이에 배치된 파이프형상의 연결부재와, 상기 각 다리부재의 하단부 내부로 끼워진 상방돌출부와 상기 연결부재의 단부의 내부로 끼워진 수평돌출부를 가지며, 나사에 의해 상기 다리부재와 연결부재에 고정되는 앵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용접없이 나사결합에 의하여 조립되므로 분해가 간편하고 분해된 상태로 운송되는 경우 포장부피도 줄어들며, 제작중 또는 사용중에 손상된 부품의 교체가 용이하며, 상판과 보강부재의 교체만으로 길이가 다른 여러가지 제품이 쉽게 생산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테이블{Table}
본 고안은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분해가 간편하고 운송중의 포장부피도 줄어들며, 제작중 또는 사용중에 손상된 부품의 교체가 용이하며, 길이가 다른 여러가지 제품이 쉽게 생산될 수 있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테이블은, 물건을 올려 놓을 수 있는 상판과, 상기 상판을 지지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는 다리를 구비하는데, 상기 프레임과 다리는 금속제로 제작되고 상기 상판은 목재나 합성수지로 제작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테이블의 일례로, 직선형 파이프 부재를 절단하여 사각형 틀 형상으로 용접하여 제작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꼭지점에 배치되어 용접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에 끼워져 결합되는 다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테이블이 있다.
상기한 종래의 테이블은 용접에 의하여 상기 프레임을 제작하기 때문에, 고가의 용접용 지그를 사용하지 않는다면 정밀한 치수공차를 유지하기 힘들어 상기 프레임이 설계된 형상으로 제작되지 못하고 뒤틀려서 테이블이 흔들리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용접으로 상기 프레임을 제작하기 때문에, 상기 프레임의 용접후에 제작상의 결함이 발견되는 경우에는 상기 프레임 전체를 폐기해야하는 문제점도 있다.
아울러 용접에 의하여 사각형 틀 형상으로 테이블의 프레임을 제작하므로, 테이블의 사용 중에 그 테이블의 길이를 변경해야하는 경우에는 길어진 테이블에 맞게 프레임 전체를 다시 제작해야 하는 어려움도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분해가 간편하고 운송중의 포장부피도 줄어들며, 제작중 또는 사용중에 손상된 부품의 교체가 용이하며, 길이가 다른 여러가지 제품이 쉽게 생산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테이블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테이블은, 상판; 금속으로 이루어지며, 상호 이격되어 상기 상판의 하면에 나사에 의해 결합되며, 수용홈부가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지지부재; 양단부가 상기 한 쌍의 지지부재에 마련된 수용홈부에 각각 끼워져서 나사에 의해 결합된 보강부재; 및 상기 각 지지부재의 하측에 하나씩 배치된 한 쌍의 다리체;를 구비하며: 상기 각 다리체는,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며 상단부가 나사에 의해 상기 지지부재에 결합된 한 쌍의 파이프형상의 다리부재와, 상기 다리부재들의 하단부 사이에 배치된 파이프형상의 연결부재와, 상기 각 다리부재의 하단부 내부로 끼워진 상방돌출부와 상기 연결부재의 단부의 내부로 끼워진 수평돌출부를 가지며, 나사에 의해 상기 다리부재와 연결부재에 고정되는 앵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특징을 갖는다.
본 고안에 따르면, 용접없이 나사결합에 의하여 조립되므로 분해가 간편하고 분해된 상태로 운송되는 경우 포장부피도 줄어들며, 제작중 또는 사용중에 손상된 부품의 교체가 용이하며, 상판과 보강부재의 교체만으로 길이가 다른 여러가지 제품이 쉽게 생산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테이블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테이블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테이블의 III-III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테이블의 IV-IV선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테이블 10 : 상판
20 : 지지부재 21 : 수용홈부
22 : 하방돌출부 30 : 보강부재
40 : 다리체 41 : 다리부재
42 : 연결부재 43 : 앵글부재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테이블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테이블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테이블의 III-III선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테이블의 IV-IV선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100)은, 상판(10)과, 한 쌍의 지지부재(20)와, 한 쌍의 보강부재(30)와, 한 쌍의 다리체(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상판(10)은, 물건을 올려 놓을 수 있는 판으로서, 예컨대, 목재나 합성수지로 제작된다.
상기 한 쌍의 지지부재(20)는, 금속으로 이루어지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금속의 주조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각 지지부재(20)에는, 한 쌍의 수용홈부(21)가 서로 나란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양단부에서 하방으로 각각 돌출된 한 쌍의 하방돌출부(2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한 쌍의 지지부재(20)는, 각 지지부재(20)의 수용홈부(21)가 마주하는 상태가 되도록, 상호 이격되어 상기 상판(10)의 하면에 나사(23)에 의해 결합되어 상기 상판(10)을 지지하게 된다.
상기 보강부재(30)는, 금속 재료를 이용하여 압출성형된 파이프형상의 부재이다. 상기 보강부재(30)의 양단부는 상기 한 쌍의 지지부재(20)들에 마련되어 서로 마주하는 수용홈부(21)에 각각 끼워져서 나사(31)에 의해 결합된다.
상기 상판(10)의 하면에는, 상기 상판(10)과 상기 보강부재(30) 사이의 공간을 메워주는 스페이서(32)가 나사(33)에 의해서 결합되고, 상기 상판(10)과 결합된 스페이서(32)는 상기 보강부재(30)위에 올려져 끼워진다. 이렇게 함으로써, 상기 보강부재(30)는 상기 상판(10)의 강성을 보강하게 되며, 높은 하중의 물건이 상기 상판(10) 위에 올려지는 경우에도 상기 상판(10)의 굽힘 변형이 작아지게 된다.
상기 다리체(40)는, 상기 지지부재(20)를 받치는 것으로서, 상기 각 지지부재(20)의 하측에 하나씩 배치된다. 상기 각 다리체(40)는, 한 쌍의 다리부재(41)와, 연결부재(42)와, 한 쌍의 앵글부재(43)와, 한 쌍의 조절나사(44)를 구비한다.
상기 한 쌍의 다리부재(41)는, 금속 재료를 이용하여 압출성형된 파이프형상의 부재로서,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다. 상기 지지부재(20)의 하방돌출부(22)는 상기 다리부재(41)의 상단부 내부로 끼워져서 상기 다리부재(41)를 위치고정하게 되며, 이 상태에서 상기 다리부재(41)의 상단부는 나사(411)에 의해 상기 지지부재(20)에 결합된다.
상기 하방돌출부(22)가 상기 다리부재(41)의 상단부 내부로 끼워짐으로써, 상기 다리부재(41)가 상기 지지부재(20)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위치고정되기 때문에, 상기 나사(411)의 결합이 용이해지며, 상기 다리부재(41)와 상기 지지부재(20)의 결합이 더욱 견고해진다.
상기 연결부재(42)는, 금속 재료를 이용하여 압출성형된 파이프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다리부재(41)들의 하단부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앵글부재(43)는, 나사(433, 434)에 의해 상기 다리부재(41)와 연결부재(42)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상방돌출부(431)와, 수평돌출부(432)를 구비한다.
상기 상방돌출부(431)는 상기 각 다리부재(41)의 하단부 내부로 끼워져 상기 나사(433)에 의하여 상기 다리부재(41)에 결합되며, 상기 수평돌출부(432)는 상기 연결부재(42)의 단부의 내부로 끼워져 상기 나사(434)에 의하여 상기 연결부재(42)에 결합된다.
상기 조절나사(44)는, 상기 연결부재(42)의 하면에 대해 돌출되게 설치되며, 상기 연결부재(42)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앵글부재(43)에 나사결합된다. 참조번호 441은 나사(434)와 상기 연결부재(42) 사이에 설치된 금속제 와셔부재이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테이블(100)의 조립방법에 대한 일례를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앵글부재(43)의 수평돌출부(432)를 상기 연결부재(42)의 양단부의 내부로 각각 끼우고, 상기 와셔부재(441)를 상기 연결부재(42)의 하면에 배치한다. 상기 나사(434)를 상기 와셔부재(441)와 상기 연결부재(42)를 차례로 관통시켜서 상기 앵글부재(43)의 수평돌출부(432)에 결합한다.
상기 수평돌출부(432)로 인하여, 상기 앵글부재(43)가 상기 연결부재(42)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위치고정되기 때문에, 상기 나사(434)의 결합이 용이해지며, 상기 연결부재(42)와 상기 앵글부재(43)의 결합이 더욱 견고해지는 효과가 있다.
그 후, 상기 조절나사(44)를 상기 와셔부재(441)와 상기 연결부재(42)를 차례로 관통시켜서 상기 앵글부재(43)의 수평돌출부(432)에 나사결합시킨다.
이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재(42)의 양단부에 결합된 상기 앵글부재(43)의 상방돌출부(431)를 상기 다리부재(41)의 하단부 내부로 끼우고, 상기 나사(433)에 의하여 상기 상방돌출부(431)와 상기 다리부재(41)를 결합한다.
상기 상방돌출부(431)로 인하여, 상기 앵글부재(43)가 상기 다리부재(41)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위치고정되기 때문에, 상기 나사(433)의 결합이 용이해지며, 상기 다리부재(41)와 상기 앵글부재(43)의 결합이 더욱 견고해지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함으로써, 다리체(40) 하나가 완성되며, 같은 방법으로 또 다른 다리체(40)를 하나 더 만들면 한 쌍의 다리체(40)가 완성된다.
이어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다리체(40)의 다리부재(41)의 상단부 내부로 상기 지지부재(20)의 하방돌출부(22)를 끼워서 상기 다리부재(41)를 위치고정하고, 이 상태에서 상기 나사(411)에 의해 상기 지지부재(20)와 상기 다리부재(41)를 결합하면, 상기 지지부재(20)와 상기 다리체(40)가 결합된다.
그 후, 상기 다리체(40)와 결합된 상기 지지부재(20)를 상기 수용홈부(21)가 마주하는 상태로 배치하고, 상기 보강부재(30)의 양단부를 상기 마주하는 수용홈부(21)에 각각 끼우고 상기 나사(31)에 의하여 상기 보강부재(30)과 상기 지지부재(20)를 결합한다. 이렇게 한 쌍의 보강부재(30)를 이용하여 상기 한 쌍의 지지부재(20)를 연결하면 상기 상판(10)을 제외한 프레임이 완성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스페이서(32)를 상기 보강부재(30) 위에 끼워서 배치한 후, 상기 상판(10)을 상기 지지부재(20)의 상부에 올리고 상기 나사(23)에 의하여 상기 상판(10)과 상기 지지부재(20)를 결합한다. 이어서, 상기 스페이서(32)와 상기 상판(10)을 나사(33)에 의하여 결합하면 상기 테이블(100)이 완성된다.
상기 조절나사(44)는 상기 연결부재(42)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므로, 상기 조절나사(44)를 조이면 상기 조절나사(44)가 결합된 위치의 상기 연결부재(42)와 상기 테이블(100)이 놓인 지면과의 거리가 가까워지고, 상기 조절나사(44)를 풀게되면 상기 조절나사(44)가 결합된 위치의 상기 연결부재(42)와 상기 테이블(100)이 놓인 지면과의 거리가 멀어지게 된다. 상기 4개의 조절나사(44)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테이블(100)의 수평조절이 가능해진다.
상기 테이블(100)은 용접없이 나사(23, 31, 33, 411, 433, 434)에 의하여 조립되므로 분해가 간편하고 제작중 또는 사용중에 손상된 부품의 교체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보강부재(30)의 길이에 의하여 상기 테이블(100)의 프레임 길이가 결정되므로, 상기 테이블(100)의 사용 중에 그 테이블(100)의 길이를 변경해야하는 경우에는, 종래의 테이블과는 달리, 상기 보강부재(30)와 상기 상판(10)의 교체만으로 충분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테이블(100)의 프레임이 상기 지지부재(20)와, 보강부재(30)와, 다리부재(41)와, 연결부재(42) 등 여러개의 작은 부품으로 분해되므로 분해된 상태로 운송되는 경우 포장부피도 줄어든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으로 본 고안을 설명하였는데, 본 고안의 기술적 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의 구성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임은 명백하다.

Claims (3)

  1. 상판;
    금속으로 이루어지며, 상호 이격되어 상기 상판의 하면에 나사에 의해 결합되며, 수용홈부가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지지부재;
    양단부가 상기 한 쌍의 지지부재에 마련된 수용홈부에 각각 끼워져서 나사에 의해 결합된 보강부재; 및
    상기 각 지지부재의 하측에 하나씩 배치된 한 쌍의 다리체;를 구비하며:
    상기 각 다리체는,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며 상단부가 나사에 의해 상기 지지부재에 결합된 한 쌍의 파이프형상의 다리부재와,
    상기 다리부재들의 하단부 사이에 배치된 파이프형상의 연결부재와,
    상기 각 다리부재의 하단부 내부로 끼워진 상방돌출부와 상기 연결부재의 단부의 내부로 끼워진 수평돌출부를 가지며, 나사에 의해 상기 다리부재와 연결부재에 고정되는 앵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재는 금속의 주조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각 지지부재에는 그 지지부재에 결합된 각 다리부재의 상단부 내부로 끼워져서 그 다리부재를 위치고정하는 한 쌍의 하방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보강부재와 상기 다리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는 금속 재료를 이용하여 압출성형되며,
    상기 각 다리체는, 상기 연결부재의 하면에 대해 돌출되게 설치되며 상기 연결부재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앵글부재에 나사결합되는 조절나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
  2. 삭제
  3. 삭제
KR2020080016609U 2008-12-15 2008-12-15 테이블 KR2004457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6609U KR200445790Y1 (ko) 2008-12-15 2008-12-15 테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6609U KR200445790Y1 (ko) 2008-12-15 2008-12-15 테이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5790Y1 true KR200445790Y1 (ko) 2009-09-01

Family

ID=436581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6609U KR200445790Y1 (ko) 2008-12-15 2008-12-15 테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5790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2106B1 (ko) * 2012-07-20 2013-02-15 주식회사 오피스안건사 무용접 3축방향 접합시스템의 프레임 조립구조체를 이용한 탁자
KR101512271B1 (ko) * 2014-07-18 2015-04-16 디씨피코리아 주식회사 확장성을 구비한 조립식 테이블 프레임
KR20160010847A (ko) * 2015-01-19 2016-01-28 디씨피코리아 주식회사 확장성을 구비한 조립식 테이블 프레임
KR20210004692A (ko) * 2019-07-05 2021-01-13 김은선 테이블 다리 조립구조
KR200496478Y1 (ko) 2021-04-02 2023-02-07 이도환 무용접 구조를 포함하는 테이블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3880Y1 (ko) * 2005-09-14 2005-12-14 이상선 조립식 테이블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3880Y1 (ko) * 2005-09-14 2005-12-14 이상선 조립식 테이블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2106B1 (ko) * 2012-07-20 2013-02-15 주식회사 오피스안건사 무용접 3축방향 접합시스템의 프레임 조립구조체를 이용한 탁자
KR101512271B1 (ko) * 2014-07-18 2015-04-16 디씨피코리아 주식회사 확장성을 구비한 조립식 테이블 프레임
KR20160010847A (ko) * 2015-01-19 2016-01-28 디씨피코리아 주식회사 확장성을 구비한 조립식 테이블 프레임
KR101597932B1 (ko) 2015-01-19 2016-02-26 김태호 확장성을 구비한 조립식 테이블 프레임
KR20210004692A (ko) * 2019-07-05 2021-01-13 김은선 테이블 다리 조립구조
KR102280483B1 (ko) * 2019-07-05 2021-07-21 김은선 테이블 다리 조립구조
KR200496478Y1 (ko) 2021-04-02 2023-02-07 이도환 무용접 구조를 포함하는 테이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5790Y1 (ko) 테이블
US20140294500A1 (en) Corner connector for hollow profiles
US9256251B1 (en) Back frame and liquid display device with the same
KR101240343B1 (ko) 사각 다리 프레임을 구비한 책상
KR101031902B1 (ko) 다양한 곡률반경의 곡선형 빔 제조를 위한 거푸집.
JP6024934B2 (ja) サイズ調整可能な組立式パレット
KR200460702Y1 (ko) 테이블 다리의 결합구조
CN202076681U (zh) 用于中低压开关柜架的连接件
CA3237900A1 (en) Lifting desk support having rapid mounting structures, and lifting desk
TW201714794A (zh) 滑軋式組合棧板
CN202120005U (zh) 胶框、液晶模组及液晶显示器
CN102578804A (zh) 可拆卸桌子
KR20160133080A (ko) 조립식 테이블 프레임
CN206880369U (zh) 全榫卯可拆装桌子
KR102115748B1 (ko) 볼트체결조립식 평탄 도로표지판
KR101400684B1 (ko) 가구용 금속프레임 조립구조
KR200473695Y1 (ko) 일체형 하부체결구조를 가지는 테이블
KR200482085Y1 (ko) 콘크리트 기둥 타설용 거푸집 고정밴드
KR101208341B1 (ko) 다리 연결구를 갖는 테이블
CN208701986U (zh) 一种用于墙体的l形空腔eps模块
KR200450696Y1 (ko) 조립식 선반
CN205040129U (zh) 一种c型材机柜框架
KR102270444B1 (ko) 측면 및 하부강판을 고정철물과 연결강봉을 이용하여 일체화시키는 강판 거푸집 보
CN212521119U (zh) 一种桌体安装用通用内架
CN209595081U (zh) 一种新型浇注方腿餐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