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5761Y1 - Cooking vessel - Google Patents

Cooking vessel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5761Y1
KR200445761Y1 KR2020080010220U KR20080010220U KR200445761Y1 KR 200445761 Y1 KR200445761 Y1 KR 200445761Y1 KR 2020080010220 U KR2020080010220 U KR 2020080010220U KR 20080010220 U KR20080010220 U KR 20080010220U KR 200445761 Y1 KR200445761 Y1 KR 2004457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clined plate
cooking
plate
bet
bottom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0220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80003864U (en
Inventor
장용옥
Original Assignee
장용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용옥 filed Critical 장용옥
Priority to KR20200800102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5761Y1/en
Publication of KR2008000386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3864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57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5761Y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2Multiple-unit cooking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2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ith inserts for cooking different foods separately at the same time; Insert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56Preventing boiling over, e.g. of milk
    • A47J27/58Cooking utensils with channels or covers collecting overflowing liqui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16Inse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조리 용기가 개시된다.A cooking vessel is disclosed.

개시되는 조리 용기는 평면 형상의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둘레를 따라 외부를 향해 상기 바닥판으로부터 경사지게 연장된 외측 경사판으로 구성된 외기; 상기 외측 경사판의 내측에서 상기 외측 경사판과 이격되면서 외부를 향해 상기 외기의 상기 바닥판으로부터 경사지게 연장되고, 상기 외측 경사판의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높이로 이루어져, 내부에 조리 대상물의 수용 공간이 형성되는 내측 경사판과, 그 상측이 외부를 향해 개방되도록 상기 내측 경사판의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내측 경사판 내의 물질이 상기 내측 경사판 및 상기 외측 경사판 사이의 공간으로 유동되도록 안내하는 복수 개의 가이드 홈으로 구성된 내기; 및 상기 외기의 상기 바닥판으로부터 상기 내측 경사판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연장되고, 그 양 측단이 상기 내측 경사판과 접하여, 상기 내측 경사판 내의 상기 수용 공간을 구획하는 분리벽;을 포함한다.The cooking vessel disclosed is an outside air consisting of a bottom plate of a planar shape and an outer inclined plate extending obliquely from the bottom plate toward the outside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bottom plate; An inner side of the outer inclined plate which is spaced apart from the outer inclined plate and extends inclined from the bottom plate of the outside air toward the outside, and has a height relatively lower than that of the outer inclined plate, wherein an accommodation space of a cooking object is formed therein A bet formed of an inclined plate and a plurality of guide grooves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inner inclined plate such that an upper side thereof is open toward the outside, and guiding material in the inner inclined plate to flow into a space between the inner inclined plate and the outer inclined plate; And a dividing wall extending relatively higher than the inner inclined plate from the bottom plate of the outside air, and both side ends thereof contact the inner inclined plate to partition the accommodation space in the inner inclined plate.

개시되는 조리 용기에 의하면, 조리 대상물에 시각적, 위생적인 문제를 발생시키지 아니하고, 조리 대상물의 맛을 변화시키지 아니하는 등 조리 대상물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하면서도, 조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부유물이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disclosed cooking container, floating matters generated during the cooking process can be easily removed while minimizing the effects on the cooking objects such as not causing visual and hygienic problems to the cooking objects and changing the taste of the cooking objects. Can be.

Description

조리 용기{Cooking vessel}Cooking vessel

본 고안은 조리 용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oking vessel.

조리 용기는 내부에 조리 대상물인 음식물이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된다. 내부에 음식물이 수용된 조리 용기가 가열되면, 수용된 음식물에 대한 조리가 수행된다.The cooking container has a space in which food, which is a cooking object, is accommodated. When the cooking vessel in which food is accommodated is heated, cooking of the accommodated food is performed.

조리 용기를 이용하여 전골류, 국, 찌게, 탕 등의 국물, 육수가 이용되는 음식물을 조리하는 경우, 음식물 찌꺼기, 고기에서 유래되는 동물성 지방 등의 부유물이 조리 용기 내의 국물 표면에 부유하게 된다. 이러한 이물질, 동물성 지방 등의 부유물은 조리 용기 내의 음식물의 맛을 변화시키거나, 시각적으로 좋지 않고, 음용 시에 건강에 해를 끼치는 등의 문제가 있으므로, 제거되어야 한다.When cooking foods such as hot pot, soup, steamed rice, and soup, and broth using a cooking container, floating matters such as food waste and animal fat derived from meat float on the surface of the soup in the cooking container. Such foreign matters, suspended solids, such as animal fats, should be removed because there is a problem such as changing the taste of the food in the cooking container, visually not good, harming the health when drinking.

종래의 조리 용기를 이용하는 경우, 국자 등의 조리 기구를 이용하여 상기와 같은 찌꺼기, 동물성 지방 등의 부유물을 제거하거나, 조리 도중 국물, 육수 등을 교환하는 등의 방식으로 부유물에 의한 문제를 해소하려고 하였다.In the case of using a conventional cooking container, a problem of the floating material is solved by using a cooking utensil such as a ladle to remove the above-mentioned debris and animal fats, or to replace the broth or broth during cooking. It was.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방식들은 작업자에게 번거로움을 초래할 수 있고, 음식물의 맛을 변화시킬 수 있으며, 시각적, 위생적으로 좋지 않은 단점이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methods as described above may cause trouble to the worker, change the taste of the food, and have disadvantages that are not visually and hygienic.

본 고안은 용기 내부에 수용된 조리 대상물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하면서, 그 조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부유물이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조리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oking vessel having a structure in which floating matters generated in the cooking process can be easily removed while minimizing the influence on the cooking object accommodated inside the vessel.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른 조리 용기는 평면 형상의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둘레를 따라 외부를 향해 상기 바닥판으로부터 경사지게 연장된 외측 경사판으로 구성된 외기;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oking container including an outer air configured of a flat bottom plate and an outer inclined plate extending inclined from the bottom plate toward the outside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bottom plate;

상기 외측 경사판의 내측에서 상기 외측 경사판과 이격되면서 외부를 향해 상기 외기의 상기 바닥판으로부터 경사지게 연장되고, 상기 외측 경사판의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높이로 이루어져, 내부에 조리 대상물의 수용 공간이 형성되는 내측 경사판과, 그 상측이 외부를 향해 개방되도록 상기 내측 경사판의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내측 경사판 내의 물질이 상기 내측 경사판 및 상기 외측 경사판 사이의 공간으로 유동되도록 안내하는 복수 개의 가이드 홈으로 구성된 내기; 및An inner side of the outer inclined plate which is spaced apart from the outer inclined plate and extends inclined from the bottom plate of the outside air toward the outside, and has a height relatively lower than that of the outer inclined plate, wherein an accommodation space of a cooking object is formed therein A bet formed of an inclined plate and a plurality of guide grooves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inner inclined plate such that an upper side thereof is open toward the outside, and guiding material in the inner inclined plate to flow into a space between the inner inclined plate and the outer inclined plate; And

상기 외기의 상기 바닥판으로부터 상기 내측 경사판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연장되고, 그 양 측단이 상기 내측 경사판과 접하여, 상기 내측 경사판 내의 상기 수용 공간을 구획하는 분리벽;을 포함한다.And a dividing wall extending relatively higher than the inner inclined plate from the bottom plate of the outside air, and both side ends thereof contact the inner inclined plate to partition the accommodation space in the inner inclined plate.

상기 조리 용기가 그 설치 바닥면에 대하여 기울어지도록, 상기 바닥판에는 상기 바닥판에 대하여 소정 각도로 경사진 받침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base plate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base plate is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bottom plate so that the cooking vessel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installation bottom surface.

본 고안에 따른 조리 용기에 의하면, 내기를 감싸는 외기의 높이는 내기보다 소정의 높이차로 더 높게 형성되고, 부유물과, 내기 내의 조리 대상물의 비중차를 이용하여 조리 대상물에서 부유물을 제거함으로써, 조리 대상물에 시각적, 위생적인 문제를 발생시키지 아니하고, 조리 대상물의 맛을 변화시키지 아니하는 등 조리 대상물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하면서도, 조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부유물이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cooking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eight of the outside air surrounding the bet is formed higher by a predetermined height difference than the bet, and by removing the float from the cooking object by using the specific gravity difference of the float and the cooking object in the bet, The float generated in the cooking process can be easily removed while minimizing the effect on the cooking object such as not causing visual and sanitary problems and not changing the taste of the cooking object.

또한, 상기 조리 용기에 의하면, 내기 상단부에 가이드 홈이 형성됨으로써, 내기 내부에서 넘치는 조리 대상물 및 부유물이 내기와, 외기 사이의 공간으로 안내될 수 있다. 따라서, 조리 용기에서의 넘치는 조리 대상물 및 부유물의 유동이 요구되는 데로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cooking container, the guide groove is formed in the upper end of the bet, it is possible to guide the cooking object and the floating object overflowed inside the bet to the space between the bet and the outside air. Therefore, it can be made smoothly as required for the flow of overflowing the cooking object and the float in the cooking vessel.

또한, 상기 조리 용기에 의하면, 내기의 높이보다 소정 높이만큼 더 높게 형성되는 분리벽이 내기를 구획하므로, 내기의 구획된 공간들에서 넘치는 조리 대상물, 부유물 등의 물질이 분리벽에 의해 가로막히게 되어, 서로 혼합되지 아니할 수 있다. 따라서, 구획된 공간들 간에 조리 과정에서 미치는 영향이 최소화될 수 있으므로, 조리 용기에서 이종의 요리가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cooking container, since the dividing wall formed higher by a predetermined height than the height of the bet partitions the bet, substances such as cooking objects, floats, etc. overflowing in the partitioned spaces of the bet are blocked by the dividing wall. It may not be mixed with each other. Therefore, since the influence in the cooking process between the partitioned spaces can be minimized, heterogeneous cooking in the cooking container can be made more smoothly.

도 1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조리 용기를 보이는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oking vessel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도시된 Ⅰ-Ⅰ'선에 따른 단면도.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 ′ of FIG. 1.

도 3은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조리 용기를 보이는 사시도.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oking vesse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에 도시된 Ⅱ-Ⅱ'선에 따른 단면도.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 ′ shown in FIG. 3.

도 5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조리 용기의 가이드 홈의 다른 형상을 보이는 부분 단면도.5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shape of the guide groove of the cooking vessel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조리 용기의 가이드 홈의 또 다른 형상을 보이는 부분 단면도.6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shape of the guide groove of the cooking vessel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조리 용기를 보이는 사시도.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oking vessel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도 7에 도시된 Ⅲ-Ⅲ'선에 따른 단면도.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II ′ of FIG. 7.

도 9는 본 고안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조리 용기를 보이는 사시도.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oking vessel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Ⅳ-Ⅳ'선에 따른 단면도.10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V-IV 'shown in FIG. 9;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른 조리 용기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cooking container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조리 용기를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Ⅰ-Ⅰ'선에 따른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oking vessel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 'shown in FIG.

도 1 및 도 2를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리 용기(100)는 외기(110)와, 내기(12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외기(110)는 바닥판(114)과, 외측 경사판(115)으로 구성되고, 상기 내기(120)는 내측 경사판(125)으로 구성된다.1 and 2 together, the cooking vesse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n outdoor air 110 and a bet 120. In addition, the outside air 110 is composed of a bottom plate 114, the outer inclined plate 115, the bet 120 is composed of an inner inclined plate (125).

상기 바닥판(114)은 소정 면적의 평면 형상으로 이루어진다.The bottom plate 114 is formed in a planar shape of a predetermined area.

상기 외측 경사판(115)은 상기 바닥판(114)의 둘레를 따라 외부를 향해 상기 바닥판(114)으로부터 경사지게 연장된다.The outer inclined plate 115 extends inclined from the bottom plate 114 toward the outside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bottom plate 114.

상기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상기 외기(110)는 내부가 함몰된 형상을 이루어, 내부에 물질을 수용할 수 있게 된다.By being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outside air 110 has a shape in which the inside is recessed, and can accommodate the material therein.

상기 내측 경사판(125)은 상기 외측 경사판(115)의 내측에서 상기 외측 경사판(115)과 이격되면서 외부를 향해 상기 외기(110)의 상기 바닥판(114)으로부터 경사지게 연장되고, 상기 외측 경사판(115)의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높이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내측 경사판(125)은 소정 직경으로 형성되어, 그 내부에는 조리 대상물인 음식물 등이 수용되는 공간(121)이 형성된다. 상기 조리 대상물은 국물, 육수 등의 수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The inner inclined plate 125 is inclined from the bottom plate 114 of the outside air 110 toward the outside while being spaced apart from the outer inclined plate 115 inside the outer inclined plate 115, the outer inclined plate 115 ) Is made relatively lower than the height. The inner inclined plate 125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diameter, and a space 121 in which food or the like, which is a cooking object, is accommodated is formed therein. The object to be cooked may include an aqueous substance such as broth or broth.

상기 외기(110)는 상기 내기(120)를 내부에 수용한다. 상세히, 상기 내측 경사판(125)이 상기 외측 경사판(115)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외측 경사판(115)은 상기 내측 경사판(125)에 비해 그 크기가 더 크게, 예를 들어 더 큰 직경으로 형성되므로, 상기 외측 경사판(115)과 상기 내측 경사판(125) 사이에는 공간(111)이 형성된다. 상기 외측 경사판(115) 외부면에는 손잡이(113)가 형성될 수 있다.The outside air 110 accommodates the bet 120 therein. In detail, since the inner inclined plate 125 is formed inside the outer inclined plate 115, the outer inclined plate 115 is larger in size than the inner inclined plate 125, for example, having a larger diameter. The space 111 is formed between the outer inclined plate 115 and the inner inclined plate 125. A handle 113 may be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outer inclined plate 115.

상기 내측 경사판(125) 내의 공간(121)에 수용되는 조리 대상물이 조리 과정에서 상기 내측 경사판(125)을 넘어 넘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내측 경사판(125) 내에 조리 대상물보다 비중이 더 큰 물질을 더 부가하여, 그 비중차에 의해 조리 대상물 표면의 부유물을 상기 내측 경사판(125) 내부에서 넘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외측 경사판(115)와 상기 내측 경사판(125) 사이의 공간(111)에는 상기와 같이 조리 과정에서 상기 내기(120)에서 넘치는 조리 대상물이 수용된다.Cooking objects accommodated in the space 121 in the inner inclined plate 125 may overflow the inner inclined plate 125 in a cooking process. In addition, a material having a specific gravity greater than that of the object to be cooked may be further added to the inner inclined plate 125 so that floating matters on the surface of the object to be cooked may overflow within the inner inclined plate 125 due to the difference in specific gravity. The cooking object overflowing from the bet 120 during the cooking process is accommodated in the space 111 between the outer inclined plate 115 and the inner inclined plate 125.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외측 경사판(115)의 높이(H2)가 상기 내측 경사판(125)(H1)의 높이보다 소정 높이만큼 더 높게 형성된다. 즉, 상기 외측 경사판(115)과 상기 내측 경사판(125)의 상단부 사이에는 소정의 높이차(H3)가 형성된다.In this embodiment, the height H2 of the outer inclined plate 115 is formed by a predetermined height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inner inclined plate 125 (H1). That is, a predetermined height difference H3 is formed between the outer inclined plate 115 and the upper end of the inner inclined plate 125.

상기와 같이 형성되면, 조리 과정에서 상기 내기(120) 내에 수용된 조리 대상물 표면에 부유하는 음식물 찌꺼기, 동물성 지방 등의 부유물이 제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부유물의 제거는 상기 내기(120) 내에 물, 국물, 육수 등 상기 부유물보다 비중이 큰 물질을 추가적으로 더 부여함으로써, 상기 내기(120) 내의 내용물과, 상기 부유물의 비중차를 이용하여 이루어진다.When formed as described above, floating matters such as food waste and animal fat floating on the surface of the cooking object accommodated in the bet 120 during the cooking process may be removed. The removal of the suspended solids is made by using a specific gravity difference between the contents of the bet 120 and the suspended solids by additionally adding a substance having a specific gravity greater than that of the suspended solids such as water, broth, and broth in the bet 120. .

또한, 조리 과정에서 상기 내기(120)에서 임의적으로 넘치는 조리 대상물이 상기 외기(110)에 가로막혀, 상기 공간(111)에 수용된다. 그러면, 상기 내기(120)에서 넘치는 조리 대상물이 상기 조리 용기(100) 외부에 튀지 아니하고, 상기 공간(111)에 수집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내기(120)에서 임의로 넘친 조리 대상물의 처리가 용이하고, 상기 조리 용기(100) 외부에 조리 대상물의 튐으로 인한 영향이 최소화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ooking process, the cooking object overflowing randomly from the bet 120 is blocked by the outside air 110 and is accommodated in the space 111. Then, the cooking object overflowing from the bet 120 may be collected in the space 111 without splashing outside the cooking container 100. Therefore, it is easy to process the cooking object overflowed from the bet 120, and the influence of the cooking object on the outside of the cooking container 100 can be minimized.

상기 외측 경사판(115)의 상단부는 외측 방향으로 소정 곡률로 만곡된 만곡부(112)이다. 상기 만곡부(112)가 상기 외측 경사판(115)의 외측 방향으로 만곡됨으로써, 상기 만곡부(112)에 의해 상기 외기(110)는 그 상단부가 펼쳐진 형상을 이룬다. 따라서, 상기 내기(120)에서 넘치는 조리 대상물이 상기 만곡부(112)를 따라 상기 공간(111)으로 흘러내릴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조리 용기(100) 외부로 조리 대상물이 튀는 현상 등이 더욱 신뢰성있게 방지될 수 있다.The upper end of the outer inclined plate 115 is a curved portion 112 curved at a predetermined curvature in the outward direction. The curved portion 112 is bent in the outward direction of the outer inclined plate 115, the outer air 110 by the curved portion 112 forms a shape in which the upper end portion is unfolded. Therefore, the cooking object overflowing from the bet 120 may flow down the space 111 along the curved portion 112. Therefore, a phenomenon in which a cooking object is splashed to the outside of the cooking container 100 can be prevented more reliably.

상기 외기(110)와, 상기 내기(120) 중 적어도 하나는 금속, 석재 또는 유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상기 외기(110)와, 상기 내기(120) 중 적어도 하나는 질그릇, 오지그릇 등의 옹기(甕器)일 수 있다.At least one of the outside air 110 and the bet 120 may be made of metal, stone, or glass. Alternatively, at least one of the outside air 110 and the bet 120 may be an onggi bowl such as a earthenware bowl or an earthenware bowl.

그 제조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외기(110)와, 상기 내기(120)는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For the convenience of manufacturing, the outside air 110 and the bet 120 may be integrally molded.

한편, 본 실시예의 도면에서는 도시되지는 아니하였지만, 상기 조리 용기(100)를 덮는 덮개가 더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On the other hand,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of this embodiment, of course, the cover for covering the cooking vessel 100 may be further provided.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리 용기(100)에서 부유물을 제거하는 과정을 설명한다.Hereinafter, a process of removing floating matters from the cooking contain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먼저, 내기(120) 내부 공간(121)에 조리 대상물을 넣는다.First, a cooking object is placed in the internal space 121 of the bet 120.

그 후, 상기 조리 용기(100)의 외부에서 상기 조리 용기(100)에 열을 가하여, 조리를 수행한다. 이러한 조리 과정에서, 상기 내기(120) 내부의 조리 대상물의 표면에 음식물 찌꺼기, 동물성 지방 등의 부유물이 부유하게 된다.Thereafter, heat is applied to the cooking vessel 100 from the outside of the cooking vessel 100 to perform cooking. In this cooking process, floating matters such as food waste and animal fat are suspended on the surface of the cooking object in the bet 120.

상기와 같은 부유물 제거를 위하여, 상기 내기(120)의 조리 대상물에 국물, 육수 등 상기 조리 대상물보다 비중이 더 큰 물질을 추가적으로 더 넣는다. 상기 추가적인 물질은 상기 내기(120)에 수용된 조리 대상물의 일종이거나, 그러한 조리 대상물에 적합한 국물, 육수, 물 등의 액체일 수 있다. 그러면, 상기 내기(120) 내의 조리 대상물의 맛의 변화 등이 최소화될 수 있다.In order to remove such suspended matter, a substance having a specific gravity greater than that of the cooking object, such as broth or broth, is additionally added to the cooking object of the bet 120. The additional substance may be a kind of cooking object accommodated in the bet 120 or a liquid such as broth, broth, water, etc. suitable for the cooking object. Then, a change in the taste of the object to be cooked in the bet 120 may be minimized.

상기 내기(120)에 상기 추가적인 물질이 투입되면, 상기 내기(120) 내부의 조리 대상물의 수위가 상승하게 되고, 그에 따라 조리 대상물의 표면에 부유한 부유물의 수위도 상승하게 된다. 그러한 상승에 의해, 상기 부유물의 수위가 상기 내기(120)의 상기 내측 경사판(125)의 높이(H1)를 넘게 되면, 상기 부유물은 상기 내기(120)에서 넘치게 된다.When the additional substance is added to the bet 120, the level of the object to be cooked inside the bet 120 is increased, and thus, the level of the floating material floating on the surface of the object to be cooked is also increased. By such a rise, when the level of the float exceeds the height H1 of the inner inclined plate 125 of the bet 120, the float overflows at the bet 120.

이 때, 상기 내기(120) 외측에는 외기(110)가 존재하고, 상기 외기(110)의 상기 외측 경사판(115)의 높이(H2)는 상기 내측 경사판(125)보다 소정의 높이차(H3)로 더 높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내기(120)에서 넘친 부유물은 상기 조리 용기(100) 외부로 튀지 아니하고, 상기 공간(111)에 수용된다.At this time, the outside air 110 exists outside the bet 120, the height (H2) of the outer inclined plate 115 of the outside air 110 is a predetermined height difference (H3) than the inner inclined plate (125) Since it is formed higher, the float overflowed in the bet 120 is accommodated in the space 111, without splashing outside the cooking vessel 100.

여기서, 상기 외측 경사판(115)의 상단부에는 외향의 만곡부(112)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와 같은 내기(120)에서 넘친 부유물의 수용 효과가 더욱 증진될 수 있다.Here, since the outwardly curved portion 112 is formed at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outer inclined plate 115, the receiving effect of the overflowed water in the bet 120 as described above may be further enhanced.

상기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부유물과, 상기 내기(120) 내의 조리 대상물의 비중차를 이용하여 조리 대상물에서 부유물을 제거함으로써, 조리 대상물에 시각적, 위생적인 문제를 발생시키지 아니하고, 조리 대상물의 맛을 변화시키지 아니하면서도, 그러한 부유물의 제거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embodiment, by removing the floating material from the cooking object by using the difference in specific gravity of the floating object and the cooking object in the bet 120, the cooking object does not cause visual and hygienic problems, Without changing the taste, removal of such floats can be made easily.

한편, 상기와 같은 조리 과정에서, 상기 내기(120) 내부의 조리 대상물이 끓으면서, 임의적으로 상기 내기(120)에서 넘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넘치는 조리 대상물은 상기 조리 용기(100) 주변을 오염시킬 수 있고, 그 주변의 작업자 등에게 상해를 입힐 수 있으며, 시각적, 위생적으로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ooking process as described above, the cooking object inside the bet 120 boils, may optionally overflow from the bet 120. Such overflowing cooking objects may contaminate the surroundings of the cooking container 100, may injure workers and the like around them, and may cause problems visually and hygienically.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내측 경사판(125) 주변에 상기 내측 경사판(125)의 높이(H1)보다 더 높게 형성되는 상기 외측 경사판(115)이 배치됨으로써, 상기 내기(120)에서 임의적으로 넘치는 조리 대상물이 상기 공간(111)에 수용되도록 하여, 그러한 넘치는 조리 대상물에 의한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다.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the outer inclined plate 115 formed higher than the height H1 of the inner inclined plate 125 is disposed around the inner inclined plate 125, whereby a cooking object overflowing randomly from the bet 120. By being accommodated in the space 111, the problems caused by such overflowing cooking objects can be solved.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설명을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된 제 1 실시예에서 기술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그에 갈음하고,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o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carrying out this description, descriptions overlapping with those described in the above-described first embodiment will be replaced with the description thereof, and will be omitted herein.

도 3은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조리 용기를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Ⅱ-Ⅱ'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조리 용기의 가이드 홈의 다른 형상을 보이는 부분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조리 용기의 가이드 홈의 또 다른 형상을 보이는 부분 단면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oking contain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II 'shown in Figure 3, Figure 5 is a cooking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shape of the guide groove of the container, Figure 6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shape of the guide groove of the cooking vesse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내지 도 6을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리 용기(100)는 외기(110) 내부에 공간(111)을 형성하면서 내기(220)가 배치된다. 상기 내기(220)의 내측 경사판(225)의 상단부에는 가이드 홈(222)이 복수 개 형성된다.3 to 6 together, the cooking vesse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a bet 220 is disposed while forming a space 111 inside the outside air (110). A plurality of guide grooves 222 are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inner inclined plate 225 of the bet 220.

즉, 상기 내기(220)는 복수 개의 가이드 홈(222)으로 구성되고, 상기 가이드 홈(222)은 그 상측이 외부를 향해 개방되도록 상기 내측 경사판(225)의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내측 경사판(225) 내의 물질이 상기 내측 경사판(225) 및 외측 경사판(115) 사이의 공간(111)으로 유동되도록 안내한다.That is, the bet 220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guide grooves 222, the guide groove 222 is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inner inclined plate 225 so that the upper side is opened toward the outside, the inner inclined plate ( The material in 225 is guided to flow into the space 111 between the inner inclined plate 225 and the outer inclined plate 115.

상기 가이드 홈(222)은 상기 내측 경사판(225)의 내부 공간(221)에 수용된 조리 대상물 및 부유물을 상기 공간(111)으로 안내한다.The guide groove 222 guides the cooking object and the floating object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221 of the inner inclined plate 225 to the space 111.

상기와 같은 가이드 홈(222)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내기(220) 내부에서 넘치는 조리 대상물 및 부유물이 상기 공간(111)으로 유동되도록 안내되므로, 상기 조리 용기(100)에서의 넘치는 조리 대상물 및 부유물의 유동이 요구되는 데로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As the guide groove 222 is formed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cooking object and the floating object overflowing in the bet 220 are guided to flow into the space 111, the overflowing cooking object and the floating object in the cooking container 100. Flow can be made smoothly as required.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 홈(222)은 역삼각형의 단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홈(223)은 사각형의 단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홈(224)은 소정 반경의 반원형의 단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As shown in FIGS. 3 and 4, the guide groove 222 may be formed in a cross-sectional shape of an inverted triangle, and as shown in FIG. 5, the guide groove 223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cross-sectional shape. 6, the guide groove 224 may be formed in a semicircular cross-sectional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radius.

상기 가이드 홈(222)은 그 상측이 외부에 개방된 형상을 이룸으로써, 그 주변에 상기 내기(220)에서 넘치는 물질이 걸리거나, 묻지 아니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 홈(222)을 통한 상기 내기(220)에서 넘치는 물질의 유동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시각적, 위생적인 면이 개선될 수 있다.The guide groove 222 has a shape of the upper side is opened to the outside, so that the material overflowing from the bet 220 around or is not buried. Therefore, the flow of the overflowing material in the bet 220 through the guide groove 222 can be made more smoothly, and the visual and hygienic aspects can be improved.

도 7은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조리 용기를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Ⅲ-Ⅲ'선에 따른 단면도이다.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oking contain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II ′ of FIG. 7.

도 7 및 도 8을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리 용기(100)는 바닥판(114) 및 외측 경사판(115)으로 구성되는 외기(110)와, 상기 외측 경사판(115)으로부터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내측 경사판(325)으로 구성되는 내기(320)와, 상기 내측 경사판(325) 내에 설치되는 분리벽(330)를 포함한다.7 and 8 together, the cooking vesse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the outer air 110 consisting of a bottom plate 114 and the outer inclined plate 115 and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outer inclined plate 115 It includes a bet 320 consisting of an inner sloping plate 325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 separation wall 330 provided in the inner sloping plate 325.

상기 분리벽(330)은 상기 외기(110)의 상기 바닥판(114)으로부터 상기 내측 경사판(125)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연장되고, 그 양 측단이 상기 내측 경사판(125)과 접하여, 상기 내측 경사판(125) 내의 수용 공간을 구획한다.The dividing wall 330 extends relatively higher than the inner inclined plate 125 from the bottom plate 114 of the outside air 110, and both side ends thereof contact the inner inclined plate 125 so that the inner inclined plate ( The accommodation space in 125 is partitioned.

즉, 상기 분리벽(330)은 상기 내측 경사판(125) 내부를 가로질러, 상기 내기(320)를 소정의 공간들(321)(322)로 구획한다. 그러면, 상기 분리벽(330)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공간들(321)(322)에는 별도의 조리 대상물이 수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조리 용기(100)에서 다양한 조리 대상물에 대한 조리가 함께 이루어질 수 있어, 그 사용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That is, the partition wall 330 partitions the bet 320 into predetermined spaces 321 and 322 across the inside of the inner inclined plate 125. Then, separate cooking objects may be accommodated in the spaces 321 and 322 formed by the dividing wall 330. Therefore, cooking for various cooking objects may be performed together in the cooking container 100, thereby improving convenience of use.

또한, 상기 분리벽(330)의 높이는 상기 내측 경사판(125)의 높이(H1)보다 소정 높이만큼 더 높게 형성된다. 상기 분리벽(330)의 높이는 상기 외측 경사판(115)의 높이(H2)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height of the separation wall 330 is formed by a predetermined height higher than the height (H1) of the inner inclined plate (125). The height of the separation wall 330 may be formed to be the same as the height (H2) of the outer inclined plate (115).

상기와 같이 형성되면, 상기 내기(320)의 공간들(321)(322)에서 넘치는 조리 대상물, 부유물 등의 물질이 상기 분리벽(330)에 의해 가로막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공간들(321)(322) 상호간에 조리 과정에서 미치는 영향이 최소화될 수 있으므로, 상기 조리 용기(100)에서 이종의 요리가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When formed as described above, substances such as cooking objects, floating objects, etc. overflowing in the spaces 321 and 322 of the bet 320 are blocked by the dividing wall 330. Therefore, since the influences in the cooking process between the spaces 321 and 322 can be minimized, heterogeneous cooking can be made more smoothly in the cooking container 100.

상기 분리벽(330)은 직선형으로 도시되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고, 곡선형, 절곡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분리벽(330)은 상기 내기(320)와, 상기 외기(110) 중 적어도 하나와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The dividing wall 330 is illustrated as a straight line, but this is exemplary and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such as curved and bent. In addition, the dividing wall 330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at least one of the bet 320 and the outside air 110.

도 9는 본 고안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조리 용기를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Ⅳ-Ⅳ'선에 따른 단면도이다.9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oking container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V-IV ′ of FIG. 9.

도 9 및 도 10을 함께 참조하면, 이중 용기(10)의 외기(110)의 바닥판(114)에 받침턱(400)이 형성된다. 상기 받침턱(400)은 상기 외기(110)의 바닥판(114)을 따라 소정 길이로 형성된다.9 and 10, the support jaw 400 is formed on the bottom plate 114 of the outside air 110 of the double container 10. The support jaw 400 is formed to a predetermined length along the bottom plate 114 of the outside air 110.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받침턱(400)의 높이가 다르게 형성된다. 즉, 상기 외기(110)의 바닥판(114)에 대하여 소정 각도(θ)로 경사진 형상을 이룬다. 그러면, 상기 받침턱(400)에 의해, 상기 이중 용기(10)가 그 설치 바닥면에 대하여 상기 각도(θ)로 경사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내기(120) 내에 수용된 조리 대상물의 표면에 부상되는 부유물 등의 물질이 상기 경사진 내기(120)를 넘어 보다 원활하게 상기 공간(111)으로 유동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height of the base jaw 400 is formed differently. That is, it forms a shap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bottom plate 114 of the outside air 110 at a predetermined angle (θ). Then, by the support jaw 400, the double container 10 is inclined at the angle (θ) with respect to the installation bottom surface. Therefore, a substance such as a float floating on the surface of the cooking object accommodated in the bet 120 may flow smoothly beyond the inclined bet 120 to the space 111.

여기서, 상기 이중 용기(10)는 상기 받침턱(400)에 의해 기울어지는 것으로 제시되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다. 즉, 상기 이중 용기(100)의 외기(110)의 바닥판(114) 자체의 두께가 그 바닥면을 따라 다르게 형성되어, 상기 이중 용기(10)가 그 설치 바닥면에 대하여 기울어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Here, the double container 10 is presented as inclined by the pedestal 400, but this is exemplary. That is, the thickness of the bottom plate 114 itself of the outside air 110 of the double container 100 is formed differently along the bottom surface, so that the double container 10 may b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installation bottom surface. have.

본 고안에 따른 조리 용기에 의하면, 내기를 감싸는 외기의 높이는 내기보다 소정의 높이차로 더 높게 형성되고, 부유물과, 내기 내의 조리 대상물의 비중차를 이용하여 조리 대상물에서 부유물을 제거함으로써, 조리 대상물에 시각적, 위생적인 문제를 발생시키지 아니하고, 조리 대상물의 맛을 변화시키지 아니하는 등 조리 대상물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하면서도, 조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부유물이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cooking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eight of the outside air surrounding the bet is formed higher by a predetermined height difference than the bet, and by removing the float from the cooking object by using the specific gravity difference of the float and the cooking object in the bet, There is an effect that does not cause visual and hygiene problems, and does not change the taste of the cooking object, while minimizing the influence on the cooking object, and floating matters generated in the cooking process can be easily removed.

또한, 상기 조리 용기에 의하면, 내기 상단부에 가이드 홈이 형성됨으로써, 내기 내부에서 넘치는 조리 대상물 및 부유물이 내기와, 외기 사이의 공간으로 안내될 수 있다. 따라서, 조리 용기에서의 넘치는 조리 대상물 및 부유물의 유동이 요구되는 데로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cooking container, the guide groove is formed in the upper end of the bet, it is possible to guide the cooking object and the floating object overflowed inside the bet to the space between the bet and the outside air. Therefor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made smoothly as the flow of the overflow of the cooking object and the floating object in the cooking vessel is required.

또한, 상기 조리 용기에 의하면, 내기의 높이보다 소정 높이만큼 더 높게 형성되는 분리벽이 내기를 구획하므로, 내기의 구획된 공간들에서 넘치는 조리 대상물, 부유물 등의 물질이 분리벽에 의해 가로막히게 되어, 서로 혼합되지 아니할 수 있다. 따라서, 구획된 공간들 간에 조리 과정에서 미치는 영향이 최소화될 수 있으므로, 조리 용기에서 이종의 요리가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cooking container, since the dividing wall formed higher by a predetermined height than the height of the bet partitions the bet, substances such as cooking objects, floats, etc. overflowing in the partitioned spaces of the bet are blocked by the dividing wall. It may not be mixed with each other. Therefore, since the influence in the cooking process between the partitioned spaces can be minimized, there is an effect that heterogeneous cooking can be made more smoothly in the cooking container.

상기에서 본 고안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이러한 수정 및 변형 구조들은 모두 본 고안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임을 분명하게 밝혀두고자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spect to specific embodiments,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variously modify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And that it can be changed. Nevertheless, it is intended to be clear that all such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2)

평면 형상의 바닥판과,Planar bottom plate, 상기 바닥판의 둘레를 따라 외부를 향해 상기 바닥판으로부터 경사지게 연장된 외측 경사판으로 구성된 외기;Outside air consisting of an outer inclined plate extending obliquely from the bottom plate toward the outside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bottom plate; 상기 외측 경사판의 내측에서 상기 외측 경사판과 이격되면서 외부를 향해 상기 외기의 상기 바닥판으로부터 경사지게 연장되고, 상기 외측 경사판의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높이로 이루어져, 내부에 조리 대상물의 수용 공간이 형성되는 내측 경사판과,An inner side of the outer inclined plate which is spaced apart from the outer inclined plate and extends inclined from the bottom plate of the outside air toward the outside, and has a height relatively lower than that of the outer inclined plate, wherein an accommodation space of a cooking object is formed therein With a slant plate, 그 상측이 외부를 향해 개방되도록 상기 내측 경사판의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내측 경사판 내의 물질이 상기 내측 경사판 및 상기 외측 경사판 사이의 공간으로 유동되어 갇히도록 안내하는 복수 개의 가이드 홈으로 구성된 내기; 및A bet formed on an upper end of the inner inclined plate such that an upper side thereof is opened toward the outside, the bet including a plurality of guide grooves for guiding material in the inner inclined plate to flow and trap in the space between the inner inclined plate and the outer inclined plate; And 상기 외기의 상기 바닥판으로부터 상기 내측 경사판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연장되고, 그 양 측단이 상기 내측 경사판과 접하여, 상기 내측 경사판 내의 상기 수용 공간을 구획하는 분리벽;을 포함하는 조리 용기.And a separation wall extending relatively higher than the inner inclined plate from the bottom plate of the outside air, and both side ends thereof contact the inner inclined plate to partition the accommodation space in the inner inclined plat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조리 용기가 그 설치 바닥면에 대하여 기울어지도록, 상기 바닥판에는 상기 바닥판에 대하여 소정 각도로 경사진 받침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용기.And the base jaw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bottom plate such that the cooking vessel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installation bottom surface thereof.
KR2020080010220U 2008-07-30 2008-07-30 Cooking vessel KR200445761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0220U KR200445761Y1 (en) 2008-07-30 2008-07-30 Cooking vesse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0220U KR200445761Y1 (en) 2008-07-30 2008-07-30 Cooking vessel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3546A Division KR20080051822A (en) 2006-12-07 2006-12-07 Cooking vessel and floating matters removing method of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3864U KR20080003864U (en) 2008-09-11
KR200445761Y1 true KR200445761Y1 (en) 2009-09-01

Family

ID=413388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0220U KR200445761Y1 (en) 2008-07-30 2008-07-30 Cooking vesse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5761Y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1660A (en) * 2000-08-03 2002-02-09 김영선 Kettle Articles
KR200377262Y1 (en) * 2004-12-01 2005-03-10 신동수 Inclination a support for roast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1660A (en) * 2000-08-03 2002-02-09 김영선 Kettle Articles
KR200377262Y1 (en) * 2004-12-01 2005-03-10 신동수 Inclination a support for roas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3864U (en) 2008-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69120A (en) Serving tray with shrimp
EP3276092A1 (en) Sink
US10104991B2 (en) Assisted eating aid
US20130125765A1 (en) Stock pot with fitted strainer-basket
US9125514B1 (en) Cooking vessel with lid and handle device
US8071923B2 (en) Device for microwave heating of a food product
US1625999A (en) Domestic cooking vessel
ES2781350T3 (en) Cooking accessory and electric cooking appliance including a cooking accessory
GB2531275A (en) Straining vessel
KR200445761Y1 (en) Cooking vessel
KR20080051822A (en) Cooking vessel and floating matters removing method of the same
KR101559660B1 (en) Oil and residue screening multi-purpose ladle
KR100893320B1 (en) Inner visible frying fan for roast fish
KR102655884B1 (en) Frying pan
EP3771777A1 (en) Sink strainer
KR20220000662U (en) Frying pan
KR101533070B1 (en) a stone lid
KR20170053827A (en) A tumbler
KR101935856B1 (en) Cup holder for preventing dewing
IL289630B1 (en) Drinking vessel with a spillage receptacle
KR200445763Y1 (en) Cooking vessel comprising floating matters removing apparatus
JP6116517B2 (en) Cup-shaped container
JP2008104538A (en) Dish lid
JP3952507B2 (en) Dry noodle cooker
CN210168969U (en) Soup stewing oil baffle pla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2

Year of fee payment: 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