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5363Y1 - 수술용 신경 자극장치 - Google Patents

수술용 신경 자극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5363Y1
KR200445363Y1 KR2020070021046U KR20070021046U KR200445363Y1 KR 200445363 Y1 KR200445363 Y1 KR 200445363Y1 KR 2020070021046 U KR2020070021046 U KR 2020070021046U KR 20070021046 U KR20070021046 U KR 20070021046U KR 200445363 Y1 KR200445363 Y1 KR 2004453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ignal
surgical
switching
ner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210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5449U (ko
Inventor
이종기
Original Assignee
(주)아이티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이티시 filed Critical (주)아이티시
Priority to KR20200700210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5363Y1/ko
Publication of KR2008000544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544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53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536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08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means of electrically-heated probes
    • A61B18/082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315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treatment of particular body parts
    • A61B2018/00434Neural syste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lasma & Fu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술용 신경 자극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인체의 신경을 감지하는 수술장비에 감지한 신경을 차단하기 위해 사용되는 또 다른 전기 수술장비의 출력신호를 연결하여 각각 기능 전환이 가능한 수술장비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인체에 접촉되는 신경감지봉에 신경을 감지하는 출력신호와 신경을 차단하기 위한 출력신호가 모두 전달되도록 하여 시술중 장비를 교체하는 불편함을 해소하였으며 수술의 정확성 및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제안된 수술용 신경 자극장치에 관한 것이다.
신경 감지장치, 전기 수술장비, 저주파, 고주파, 릴레이, MPU

Description

수술용 신경 자극장치 {Surgical apparatus}
본 고안은 수술용 신경 자극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술시 환자의 신경 위치를 찾아내는 신경 감지장치에 다른 전기 수술장비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제안된 수술용 신경 자극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외과 수술에 있어서 환자의 통증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 중 하나로, 환자의 신경을 찾아서 일부 신경을 차단하는 수술방법이 적용되었다.
상기에서 신경을 찾아내는 신경 감지장치의 원리에 의하면, 다수의 신경이 존재하는 인체 내부 특정부위에 소정의 저주파신호를 인가할 시 반응하는 근육의 상태를 확인하여 해당 신경 부위를 찾아내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신경 감지장치를 통해 찾아낸 신경의 위치에 고주파 발생장치 등의 각종 전기 수술장비를 이용하여 신경을 차단함으로써 환자는 특정 부위에 통증을 느끼지 못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에서 인체의 신경을 감지하는 수술장비와, 감지한 신경을 차단하는 전기 수술장비가 각각 구별되게 사용됨은 시술에 많은 불편함이 있었으며, 감 지한 신경을 차단하기 위해 수술장비를 교체하는 과정에서 감지한 신경 위치를 놓치는 등 정확한 시술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인체의 신경을 감지하는 수술장비에, 감지한 신경을 차단하기 위해 사용되는 또 다른 전기 수술장비의 출력신호를 연결하여 사용함으로써 수술의 정확성 및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수술용 신경 자극장치를 제공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다.
또한, 신경을 감지하기 위한 저주파 발진과, 외부측으로부터 연결된 전기 수술장비의 출력신호의 상호 전환 기능이 단일장치로부터 이루어지도록 함에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 본 고안은 외과 수술시 사용되는 수술용 신경 자극장치에 있어서, 회로의 각 구성부에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회로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것으로 주파수 발진기능을 포함하는 MPU(중앙처리장치)와, 수술용 신경 자극장치의 동작 상태값을 시각적으로 전달하는 표시부와, 수술용 신경 자극장치의 동작에 대한 환경을 설정할 수 있도록 입력수단을 제공하는 입력부와, 출력되는 주파수 및 전류값을 변화없이 일정하게 유지하는 정전류회로부와, 인체의 신경을 자극하기 위해 회로 내부에서 발생한 신경 자극신호와 및 외부의 전기수술기로부터 공급되는 전기신호를 상호 전환해주는 전환회로부와, 외부측에 존재하는 전기 수술기의 출력신호를 공급받기 위해 형성된 전기수 술기 연결단자와, 전환회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기신호를 환자에게 인가할 수 있도록 형성된 신경감지봉을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의 전환회로부는, 출력되는 전류에 특정주파수의 펄스값을 포함하여 송출하는 기능의 감지신호송출부와, 회로 내부에서 생성된 신경 자극신호와 및 회로 외부측과 연결된 전기수술장비의 출력신호를 상호 전환해주는 기능을 신호전환릴레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인체의 신경을 자극하기 위한 저주파 출력신호와, 외부로부터 연결된 전기수술기의 출력신호를 단일장치 내에서 상호 전환하며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수술용 신경 자극장치에 의하면, 본 고안의 자체 구성에 의한 주파수 발진 기능으로 인체에 접촉된 신경감지봉에 약한 주파수를 인가할시 반응하는 움직임으로 신경의 위치를 찾아낼 수 있으며, 인체에 접촉된 신경감지봉에 외부로부터 연결된 전기 수술장비의 출력신호를 인가함으로써 찾아낸 신경을 차단하는 등의 시술이 가능하여 수술의 정확성 및 편리성을 향상시킨 효과가 있다.
또한, 각각의 장비를 구분하여 사용하던 불편함을 해소한 효과도 있다.
본 고안은 수술용 신경 자극장치에 관한 것으로, 인체의 신경을 감지하기 위한 저주파신호 및 외부측으로부터 연결된 전기 수술장비의 출력신호를 단일장치 내에서 상호 전환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신경 자극장치의 전체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전원부(110)와, MPU(중앙처리장치)(120)와, 표시부(130)와, 입력부(140)와, 정전류회로부(150)와, 전환회로부(160)와, 전기수술기 연결단자(170)와, 신경감지봉(18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에서 전원부(110)는 회로의 각 구성부에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것으로, 교류전원을 인가받아 회로의 구동에 필요한 직류전원으로 변환하여 공급한다. 바람직하게 본 고안에서 적용되는 동작전원은 5V의 직류전원이 사용되며, 전원부(110)에서는 110V/220V의 교류전원을 5V의 직류전원으로 변환하여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MPU(중앙처리장치)(120)는 수술용 신경 자극장치를 구성하는 회로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것으로, 출력 주파수의 발진 기능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의 MPU(중앙처리장치)(120)에서는 1Hz, 2Hz, 50Hz의 주파수를 선택적으로 발진하여 출력할 수 있으며, 이는 입력부(14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설정값에 의해 선택적으로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MPU(중앙처리장치)(120)는 입력부(140)를 통해 전달된 사용자의 입력신호에 따라 전환회로부(160)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도 포함한다.
뿐만 아니라, MPU(중앙처리장치)(120)에서는 신경감지봉(180)을 통해 인체저항값을 감지하고 계산한 후 표시부(130)를 통해 출력 제어신호를 전달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표시부(130)는 기기의 상태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수단으로, 현재 설정된 장치의 주파수, 전류, 전압값 등을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수단과, 스피커를 이용한 청각적 표시수단으로 구분된다.
상기에서 시각적 표시수단은 MPU(중앙처리장치)(120)의 제어신호에 따라 출력되는 값을 표시하며, 바람직하게, LED, LCD, 7-segment LED 등이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청각적 표시수단은 스피커를 통해 다양한 신호음이 출력되는 것으로 신경감지봉(180)을 통해 측정한 인체저항값이 설정범위에 해당할 경우 신호음이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바람직한 설정범위에 해당하는 인체저항값은 400Ω ~ 600Ω이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인체저항값의 설정범위 비교 및 신호음의 출력여부에 대한 제어신호는 MPU(중앙처리장치)(120)의 판단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입력부(140)는 신경감지봉(180)을 통해 출력되는 주파수 및 전류값 등을 설정하며, 전환회로부(16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입력수단을 제공한다. 상기의 입력부(140)를 통해 설정된 값은 MPU(중앙처리장치)(120)로 전달되어 출력 주 파수 및 전류값을 결정하거나 전환회로부(160)측에 스위칭 신호를 전달하게 된다. 바람직하게, 상기의 입력부(140)에서 설정할 수 있는 주파수 값은 1Hz, 2Hz, 50Hz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으며, 전류값은 1mA, 2mA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에서 정전류회로부(150)는 출력되는 주파수 및 전류값을 변화없이 일정하게 유지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MPU(중앙처리장치)(120)로부터 발진된 주파수 및 전류값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전환회로부(160) 측으로 인가한다.
상기에서 전환회로부(160)는 인체의 신경을 자극하기 위해 회로 내부에서 발생한 신경 자극신호와, 외부에 존재하는 전기수술장비로부터 공급되는 전기신호를 상호 전환해 주는 기능을 하는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신경 자극장치에서 전환회로부에 대한 상세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전환회로부(160)는 감지신호송출부(161)와, 신호전환릴레이부(16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에서 감지신호송출부(161)는 전류에 특정주파수의 펄스값을 포함하여 송출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 설정에 의한 주파수의 펄스값은 MPU(중앙처리장치)(120)로부터 발진된 1Hz, 2Hz, 50Hz 중 어느 하나가 적용되며 전류값은 1mA 또는 2mA가 적용됨이 바람직하다.
신호전환릴레이부(162)는 상기의 감지신호송출부(161)를 통해 전달된 것으로 신경을 자극하기 위한 신호와, 외부측과 연결된 전기수술장비의 출력신호를 상호 전환해주는 기능을 한다. 즉, 내부측 신경 자극신호와 외부측 전기수술장비의 출력신호를 스위칭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최소 하나 이상의 릴레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에서 전기수술기 연결단자(170)는 외부측에 존재하는 전기수술장비의 출력신호를 공급받기 위해 형성된 전기신호 연결 단자로써, 외부측 전기수술장비의 출력신호를 공급받아 신경감지봉(180)측으로 전달하기 위해 형성된 것이다. 상기에서 단자측에 연결되는 전기수술장비는 대부분 고주파를 이용하는 전기 수술장비가 적용되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다양한 장비의 출력신호를 공급받아 인체에 적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신경감지봉(180)은 전환회로부(160)측과 연결되어 회로 내부에서 발생하는 신경 자극신호 또는 외부측 전기수술기 출력신호를 환자측에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 전환회로부(160)와 전기 케이블에 의해 연결하되 각각 전극에 따라 +전극봉(181)과 -전극봉(182)으로 구분된다. 상기의 신경감지봉(180) 내측은 전기신호의 전달이 수월한 금속재질의 봉으로 형성되고, 금속봉의 외주연 일부는 절연소재로 이루어져 환자가 아닌 장비 사용자에게 전기신호가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였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신경 자극장치의 외형을 도시한 사 시도이며, 도 4는 수술용 신경 자극장치의 정면도이며, 도 5는 수술용 신경 자극장치의 배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수술용 신경 자극장치는 단일장치 내에서 인체의 신경을 자극하기 위한 저주파 출력신호와, 외부 전기수술기의 출력신호를 상호 전환하며 출력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수술용 신경 자극장치는 정면에 표시부(130)와, 입력부(140)와, 신경감지봉(180)이 접속되는 단자를 구비하였으며, 배면에는 전원부(110) 및 전기수술기 연결단자(170)를 구비하여 외부에 존재하는 전기수술기의 출력신호가 인입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신경 자극장치의 전체 블록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신경 자극장치에서 전환회로부에 대한 상세 블록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신경 자극장치의 외형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신경 자극장치의 외부 정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신경 자극장치의 외부 배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전원부 120 : MPU(중앙처리장치)
130 : 표시부 140 : 입력부
150 : 정전류회로부 160 : 전환회로부
170 : 전기수술기 연결단자 180 : 신경감지봉
181 : +전극봉 182 : -전극봉

Claims (1)

  1. 회로의 각 구성부에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10)와; 회로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것으로 주파수 발진기능을 포함하는 MPU(중앙처리장치)(120)와; 수술용 신경 자극장치의 동작 상태값을 시각적으로 전달하는 표시부(130)와; 수술용 신경 자극장치의 동작에 대한 환경을 설정할 수 있도록 입력수단을 제공하는 입력부(140)와; 출력되는 주파수 및 전류값을 변화없이 일정하게 유지하는 정전류회로부(150)와; 인체내의 신경을 자극하기 위해 회로 내부에서 발생한 신경 자극신호와, 외부의 전기수술기로부터 공급되는 전기신호를 상호 전환해주는 전환회로부(160)와; 외부측에 존재하는 전기 수술기의 출력신호를 공급받기 위해 형성된 전기수술기 연결단자(170)와; 전환회로부(1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기신호를 환자에게 인가할 수 있도록 형성된 신경감지봉(180)을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의 전환회로부(160)는, 출력되는 전류에 특정주파수의 펄스값을 포함하여 송출하는 기능의 감지신호송출부(161)와; 회로 내부에서 생성된 신경 자극신호와, 회로 외부측과 연결된 전기수술장비의 출력신호를 상호 전환해주는 기능의 신호전환릴레이부(16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인체의 신경을 자극하기 위한 저주파 출력신호와, 외부로부터 연결된 전기수술기의 출력신호를 단일장치 내에서 상호 전환하며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신경 자극장치.
KR2020070021046U 2007-12-31 2007-12-31 수술용 신경 자극장치 KR20044536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21046U KR200445363Y1 (ko) 2007-12-31 2007-12-31 수술용 신경 자극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21046U KR200445363Y1 (ko) 2007-12-31 2007-12-31 수술용 신경 자극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6587 Division 2007-05-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5449U KR20080005449U (ko) 2008-11-19
KR200445363Y1 true KR200445363Y1 (ko) 2009-07-23

Family

ID=415029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21046U KR200445363Y1 (ko) 2007-12-31 2007-12-31 수술용 신경 자극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536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2979A (ko) 2016-12-22 2018-07-02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수술도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52391A (en) 1990-10-22 1991-10-01 R.F.P., Inc. High frequency high intensity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or and method of treatment
US5776170A (en) 1993-02-05 1998-07-07 Macdonald; Alexander John Ranald Electrotherapeutic apparatus
US20040138518A1 (en) * 2002-10-15 2004-07-15 Medtronic, Inc. Medical device system with relaying module for treatment of nervous system disorders
US6978787B1 (en) 2002-04-03 2005-12-27 Michael Broniatowski Method and system for dynamic vocal fold closure with neuro-electrical stimulatio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52391A (en) 1990-10-22 1991-10-01 R.F.P., Inc. High frequency high intensity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or and method of treatment
US5776170A (en) 1993-02-05 1998-07-07 Macdonald; Alexander John Ranald Electrotherapeutic apparatus
US6978787B1 (en) 2002-04-03 2005-12-27 Michael Broniatowski Method and system for dynamic vocal fold closure with neuro-electrical stimulation
US20040138518A1 (en) * 2002-10-15 2004-07-15 Medtronic, Inc. Medical device system with relaying module for treatment of nervous system disorder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2979A (ko) 2016-12-22 2018-07-02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수술도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5449U (ko) 2008-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5243083B2 (en) Non-invasive neuro stimulation system
US650775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timulating human tissue
JP4295425B2 (ja) 電気刺激パルスに対する筋反応を測定するための電気筋神経刺激装置
Ranasinghe et al. Tongue mounted interface for digitally actuating the sense of taste
US20020068961A1 (en) Electrical stimulator and method of use
WO2007111542A8 (en) Medical system for monitoring and localisation of electrode leads in the heart
KR102063143B1 (ko) 이갈이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이갈이 판별방법
CN109498993A (zh) 一种带有刺激电流调节开关的手持式无线神经刺激器
US20220370020A1 (en) Intraoperative neural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JP6001174B2 (ja) Mri前と後の電極条件及び電極周囲組織導電性の変化を電子的に評価する技術
CN111182831B (zh) 用于冥想增强的系统和方法
KR200445363Y1 (ko) 수술용 신경 자극장치
EP3863709A1 (en) Electro-stimulation apparatus
US816071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eating sleep apnea
CN209154888U (zh) 差频电刺激设备及系统
CN105797271A (zh) 一种便携式胫前肌电刺激器
KR20120099941A (ko) 복합기능과 바이오 피드백 기능을 가지는 전기치료장치
JP3127329U (ja) 低周波治療器
JP2002143326A (ja) 筋肉トレーニング装置
KR101638238B1 (ko) 단말기와 접속된 자극 및 진단을 위한 장치 및 방법
CN209154887U (zh) 用于动物试验的差频电刺激设备及系统
CN109976199B (zh) 一种信号发生装置以及具有信号发生装置的设备
WO2010034080A1 (en) Medical implant with integrity testing
RU2531695C2 (ru) Электрокардиостимулятор
KR100328483B1 (ko) 근전도신호의포락선을이용한전기치료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