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4860Y1 - Connecting device for duct and ventilating apparatus having this - Google Patents

Connecting device for duct and ventilating apparatus having thi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4860Y1
KR200444860Y1 KR2020080003886U KR20080003886U KR200444860Y1 KR 200444860 Y1 KR200444860 Y1 KR 200444860Y1 KR 2020080003886 U KR2020080003886 U KR 2020080003886U KR 20080003886 U KR20080003886 U KR 20080003886U KR 200444860 Y1 KR200444860 Y1 KR 2004448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flange
plate
base plate
duct
fl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3886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80000504U (en
Inventor
신기만
신기빈
Original Assignee
신기만
신기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기만, 신기빈 filed Critical 신기만
Priority to KR20200800038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4860Y1/en
Publication of KR2008000050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0504U/en
Priority to PCT/KR2009/000179 priority patent/WO2009091172A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48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4860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09Duct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connecting means, e.g. fl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36Ducting arrangements with ducts including air distributors, e.g. air collecting boxes with at least three open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uct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덕트 연결구 및 이를 구비한 환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은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와의 사이에 유동공간을 형성하는 커버와; 소정의 간격을 가지면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측면을 둘러 구비되고 양측으로 개구되게 형성되어 그 일단에는 덕트의 선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유동공간과 연결되는 연결플랜지; 그리고 상기 연결 플랜지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연결 플랜지 내부 공간의 개도를 조절하는 풍량조절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덕트의 설치공간이 적게 소요되고, 덕트 사이의 간섭이 방지될 수 있어, 건물의 전체 체고가 낮아질 수 있으며, 전기시설과 같은 기타 시설물의 설치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uct connector and a ventilation device having the same,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base plate; A cover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base plate to form a flow space between the base plate and the base plate; A connection flange provided around the side of the base plate with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formed to be open to both sides thereof,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front end of the duct,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flow space; And it is provided in the connection flange,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volume control unit for adjusting the opening degree of the space inside the connection flan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quires less installation space of the duct, the interference between the duct can be prevented, the overall height of the building can be lower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installation of other facilities, such as electrical installations.

환기시설, 덕트, 연결구, 가이드팬 Ventilation, Ducts, End Connections, Guide Fans

Description

덕트 연결구 및 이를 구비한 환기장치{Connecting device for duct and ventilating apparatus having this}Connecting device for duct and ventilating apparatus having this}

본 고안은 덕트 연결구 및 이를 구비한 환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의 실내공기를 환기하기 위한 환기덕트 사이를 서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uct connector and a ventilator hav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nector for connecting between the ventilation duct for ventilating the indoor air of the building.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이나 빌딩, 도서관 등 대형 건물에는 환기설비가 설치된다. 특히 최근에 공표된 건축물설비기준에 의하면 100가구 이상의 공동주택을 신축하는 경우에는 이러한 환기설비의 설치가 의무화되었다. Ventilation facilities are installed in large buildings such as apartments, buildings, and libraries. In particular, according to the recently announced building equipment standard, the installation of such ventilation equipment is mandatory when new apartments with more than 100 households are constructed.

일반적으로, 상기 환기설비는 그 양단이 각각 건물의 내부 및 외부와 연결되는 덕트(duct)와 같은 구조물로 된다. 그리고 이러한 덕트는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급기덕트와 내부의 공기를 토출하기 위한 배기덕트로 나누어져, 각각 건물 안팎의 공기를 유동시키게 된다. In general, the ventilation system has a structure such as a duct whose ends are connected to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building, respectively. The duct is divided into an air supply duct for introducing outside air and an exhaust duct for discharging the air inside, respectively, to flow air inside and outside the building.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환기설비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건물의 슬래브와 천장 사이에 해당하는 설치공간에는 덕트(13,14,15)가 설치된다. 상기 덕트(13,14,15)는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가 일정한 경로를 따라 설치된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figuration of a ventil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ior art. According to this, the ducts 13, 14 and 15 are installed in the installation space corresponding to the slab and the ceiling of the building. As shown, a plurality of ducts 13, 14, and 15 are installed along a predetermined path.

상기 덕트(13,14,15)는 제1덕트(13,14)와 제2덕트(15)로 구성되고, 상기 제1덕트(13,14)는 다시 급기덕트(13)와 배기덕트(14)로 구별된다. 상기 급기덕트(13)는 외부의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배기덕트(14)는 이와 반대로, 실내의 공기를 외부로 토출하는 역할을 한다.The ducts 13, 14, and 15 are composed of first and second ducts 13 and 14, and the first and second ducts 13 and 14 are in addition to the air supply duct 13 and the exhaust duct 14. ). The air supply duct 13 serves to supply the outside air to the room, and the exhaust duct 14 serves to discharge the air of the room to the outside.

이때, 상기 덕트(13,14,15)는 구획된 별개의 공간, 예를 들어 공동주택의 각 방의 환기를 위해 다수개가 설치될 수도 있다. 즉, 도 1에서 보듯이, 상기 제1덕트(13,14)와는 별도로 제2덕트(15)가 설치될 수도 있는 것이다. 믈론, 이러한 제1 및 제2덕트(13,14,15) 이외에 구획된 공간의 개수에 대응되도록 더 많은 개수의 덕트들이 설치될 수도 있다.In this case, a plurality of ducts (13, 14, 15) may be installed for the ventilation of each room of a separate space, for example, a multi-unit house. That is, as shown in FIG. 1, the second duct 15 may be installed separately from the first ducts 13 and 14. In addition, in addition to the first and second ducts 13, 14 and 15, a larger number of ducts may be installed to correspond to the number of partitioned spaces.

하지만,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problems.

상기 제1 및 제2덕트(13,14,15)는 소정의 위치에서 서로 교차하게 된다. 이는 각각의 덕트(13,14,15)가 환기하기 위한 환기공간의 위치에 따라 상기 두 덕트(13,14,15)의 이동경로가 정해지기 때문에, 상기 제1 및 제2덕트(13,14,15)가 불가피하게 교차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덕트(13,14,15) 사이의 교차는 상기 환기공간의 개수가 늘어날수록 더욱 빈번하게 일어나게 된다. The first and second ducts 13, 14, and 15 cross each other at predetermined positions. This is because the first and second ducts 13, 14 are moved paths of the two ducts 13, 14, and 15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ventilation space for the respective ducts 13, 14, and 15 to vent. (15) will inevitably intersect. In addition, the intersection between the ducts 13, 14, and 15 occurs more frequently as the number of the ventilation spaces increases.

그러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덕트(13,14,15)의 교차과정에서 두 덕트(13,14,15) 간의 간섭이 방지되도록 제2덕트(15)는 제1덕트(13,14)보다 상대적으로 돌출되게 설치되어야 하므로, 환기설비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의 높이가 높아지게 된다. 이는 결국 건물 전체 높이가 증가하거나 또는 건물의 활용공간이 줄어드는 문제점을 가져오게 된다.However, as shown in the drawing, the second duct 15 may include the first duct 13 to prevent interference between the two ducts 13, 14, and 15 during the intersection of the first and second ducts 13, 14, and 15. Since it is to be installed to protrude relatively than 14, the height of the space for installing the ventilation equipment is increased. This results in a problem that the overall height of the building increases or the space used for the building decreases.

또한, 이러한 환기공간의 개수가 증가하여 덕트(13,14,15) 사이의 교차 회수가 증가하게 되면, 전기시설과 같은 기타 시설물의 설치 역시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는 상기 전기시설 역시 상기 설치공간에 함께 설치되기 때문이다. In addition, when the number of such ventilation space is increased to increase the number of crossovers between the ducts 13, 14 and 15, there is a problem that the installation of other facilities such as electric facilities is also complicated. This is because the electrical facility is also installed in the installation space.

물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덕트(13,14,15) 사이의 교차지점에 덕트연결구(도시되지 않음)를 설치하고, 상기 덕트(13,14,15)가 상기 덕트연결구에 의해 서로 연결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덕트연결구는 그 내부에서 상기 각각의 덕트(13,14,15)로부터 공급되는 공기 사이의 충돌로 인한 난류가 발생하기 쉬워 환기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Of course, in order to solve this, install a duct connector (not shown) at the intersection between the ducts (13, 14, 15), so that the ducts (13, 14, 15)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duct connector It may be. However, such a duct connector is a problem that the turbulence due to the collision between the air supplied from the respective ducts (13, 14, 15) is easy to occur inside the ventilation is not made smoothly.

그리고, 각 방에 연결된 덕트를 따라 각 방에서 발생된 소음이 다른 방으로 전달되므로, 방음이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And, since the noise generated in each room along the duct connected to each room is transmitted to the other room, there was a problem that sound insulation is less effective.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건물 내부의 환기를 위한 덕트 사이의 간섭이 방지됨과 동시에 덕트를 설치하기 위한 설치공간의 높이가 줄어들도록 하는 것이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o prevent the interference between the ducts for ventilation inside the building and to reduce the height of the installation space for installing the ducts.

그리고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덕트 연결구 내부로 주입되는 공기 간의 충돌이 방지되고, 공기가 원하는 방향으로 원활하게 안내되도록 하는 것이다.And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the collision between the air injected into the duct connector, so that the air is smoothly guided in the desired direction.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은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와의 사이에 유동공간을 형성하는 커버와; 소정의 간격을 가지면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측면을 둘러 구비되고 양측으로 개구되게 형성되어 그 일단에는 덕트의 선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유동공간과 연결되는 연결플랜지; 그리고 상기 연결 플랜지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연결 플랜지 내부 공간의 개도를 조절하는 풍량조절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다.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base plate; A cover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base plate to form a flow space between the base plate and the base plate; A connection flange provided around the side of the base plate with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formed to be open to both sides thereof,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front end of the duct,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flow space; And it is provided in the connection flange,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volume control unit for adjusting the opening degree of the space inside the connection flange.

이때, 상기 풍량조절 유닛은, 양 단이 상기 연결 플랜지의 측면 내측에 회동가능하게 구비되어, 회동에 따라 상기 연결 플랜지 내부 공간의 개도를 조절하는 조절판과; 상기 연결 플랜지 일 측 외면에 상기 조절판과 연결되어 상기 연결 플랜지 외부에서 상기 조절판의 회동각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조절다이얼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air volume control unit, the both ends are provided rotatably inside the side of the connection flange, the control plate for adjusting the opening degree of the inner space of the connection flange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n adjustment dial connected to the control plate on one side of the connection flange to adjust the rotation angle of the control plate from the outside of the connection flange.

또는 상기 풍량조절 유닛은, 상기 연결플랜지 내측에 구비되는 차단 플레이트 상판과; 상기 차단 플레이트 상판의 일면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차단 플레이트 하판; 그리고 상기 차단 플레이트 상판 상단 및 상기 차단 플레이트 하판의 하단과 나사결합되어 상기 차단 플레이트 상판과 하판 사이의 개폐각을 조절하는 조절볼트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Or the air volume control unit, and the blocking plate upper plate provided inside the connection flange; A blocking plate lower plate rotatably connected to one surface of the blocking plate upper plate; And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n adjustment bolt for adjusting the opening and closing angle between the blocking plat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is screwed with the upper end of the blocking plat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of the blocking plate.

여기서, 상기 조절볼트는, 상부와 하부의 나사산이 반대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조절볼트의 회전에 대하여 상기 차단플레이트 상판과 하판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할 수도 있다.Here, the adjusting bolt, the upper and lower threads are form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he blocking plat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may be moved in the opposit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of the adjusting bolt.

그리고 상기 조절볼트의 일 단은 상기 연결플랜지 상면 또는 하면을 관통하여 상기 연결 플랜지 외부로 드러나도록 할 수도 있다.One end of the adjustment bolt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onnection flange through the upper or lower surface of the connection flange.

또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는 육각형으로 되고; 상기 연결플랜지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각 모서리 사이에 각각 구비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base plate is hexagonal; The connection flange may be provided between each corner of the base plate.

그리고, 상기 덕트를 향해 개구된 상기 연결플랜지의 입구에는 개도조절편이 분리가능하게 설치되어 연결플랜지의 개구되는 정도가 조절되도록 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n opening adjustment piece may be detachably installed at an inlet of the connection flange opened toward the duct so that the opening degree of the connection flange may be adjusted.

또한, 상기 개도조절편은 상기 연결플랜지의 입구의 중심을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쌍을 이루어 순차적으로 다수개가 구비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opening adjustment piece may be provided in sequential number in pairs on both sides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inlet of the connection flange.

한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는 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 플랜지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외주면을 따라 다수개가 구비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base plate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A plurality of connection flanges may be provid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se plate.

또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는 4각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플랜지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각 변에 각각 구비될 수도 있다.Alternatively, the base plate is formed in a quadrangular shape; The connection flange may be provided on each side of the base plate.

한편, 본 고안은 전술한 덕트연결구와 환기공간 또는 외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향해 일단이 개구되는 덕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환기장치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ventilation device configured to include a duct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above-described duct connector and the ventilation space or the outside.

본 고안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expected.

본 고안에서는 덕트연결구의 외면을 둘러 구비되는 연결플랜지에 다수개의 덕트가 각각 연결될 수 있으므로, 설치공간의 높이가 높아지지 않으면서 덕트 사이의 간섭이 방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건물의 전체 체고가 낮아질 수 있고, 전기시설과 같은 기타 시설물의 설치가 용이해지며, 환기시설의 설계가 단순해지는 효과가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a plurality of ducts may b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flanges provided a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duct connector, interference between the ducts may be prevented without increasing the height of the installation space. Accordingly, the overall height of the building can be lowered, the installation of other facilities such as electric facilities is facilitated, and the design of the ventilation facility is simplified.

그리고, 본 고안에서는 덕트연결구 내부에 가이드팬이 구비되어 덕트연결구 내부로 주입되는 공기가 이에 의해 안내되므로, 덕트연결구 내에서 공기 사이의 충돌이 방지된다. 이에 따라, 덕트연결구 내부에서 공기가 원하는 방향으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어, 덕트 및 덕트연결구에 의해 이루어지는 환기효율이 상승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a guide fan is provided inside the duct connector so that air injected into the duct connector is guided thereby, thereby preventing collision between the air in the duct connector. Accordingly, the air can move smoothly in the desired direction inside the duct connector, there is an effect that the ventilation efficiency made by the duct and the duct connector is increased.

또한, 본 고안에서 덕트연결구의 연결플랜지에는 개도조절편이 분리가능하게 구비되어, 다양한 규격의 덕트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서로 다른 크기의 덕트에 대응되는 별개의 덕트연결구를 구비할 필요 없이, 개도조절편을 적당히 분리하여 덕트를 연결할 수 있으므로, 덕트연결구의 호환성 및 활용도가 좋아지는 효과도 있다.In addition, the connection flange of the duct connector in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detachable opening adjustment piece, ducts of various specifications can be connected. Therefore, without having to provide a separate duct connector corresponding to the ducts of different sizes, it is possible to connect the ducts by properly opening the opening adjustment piece, there is also the effect of improving the compatibility and utilization of the duct connector.

이하 본 고안에 의한 덕트연결구 및 이를 구비한 환기장치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specific embodiment of a duct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ventilation device having the sam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덕트연결구의 구체적인 실시예의 구성 및 이에 연결된 덕트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커버가 제거된 상태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연결플랜지의 구성을 보인 요부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연결플랜지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이며, 도 6a는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풍량조절 유닛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6b는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풍량조절 유닛을 구성하는 조절판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며, 도 7a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풍량조절 유닛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7b 및 7c 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풍량조절 유닛이 차단 및 개방된 모습을 도시한 동작상태도이다.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duct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figuration of the duct connected thereto,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over is removed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5 is a front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onnection flange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front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onnection flange constituting the present invention embodiment, Figure 6a Figure 6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Figure 6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adjustment plate constituting the airflow control unit 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a shows the configuration of the airflow control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B and 7C are operation state diagrams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airflow control unit is blocked and opene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설명의 편의를 위해 덕트(50)에 대해 먼저 설명하면, 덕트(50)는 공기의 유동을 안내하는 일종의 관으로, 양단이 개구되어 형성된다. 상기 덕트(50)는 후술할 덕트연결구(20)에 그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환기공간, 예를 들어 가옥의 각 방에 연결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2를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제1 내지 제6덕트(50a~50f)로 지칭하기로 한다.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duct 50 will be described first. The duct 50 is a kind of pipe for guiding the flow of air, and both ends thereof are opened. The duct 50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duct connector 20 to be described later,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ventilation space, for example, each room of the house.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first to sixth ducts 50a to 50f will be referred to in a clockwise direction with reference to FIG. 2.

이때, 상기 덕트(50)는 다양한 크기로 구성된다. 즉, 상기 제1덕트(50a)는 나머지 제2덕트 내지 제6덕트(50b~50f)에 비해 그 폭이 크게 형성되는 것이다. 이는 상기 제1덕트(50a)를 통해 외부의 공기 또는 별도의 정화장치(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정화된 공기가 유입되고, 이러한 공기가 상기 제2~제6덕트(50b~50f)로 충분히 분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덕트(50)의 크기는 규격화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duct 50 is configured in various sizes. That is, the width of the first duct 50a is larger than that of the remaining second to sixth ducts 50b to 50f. This is the external air or the air purified by a separate purification device (not shown) is introduced through the first duct 50a, and such air is sufficiently distributed to the second to sixth ducts 50b to 50f. To make it possible. The size of this duct 50 can be standardized.

다음으로, 덕트연결구(2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덕트연결구(20)의 골격은 베이스플레이트(21)가 형성한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1)는 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PVC)나 유리 섬유 보강 플라스틱(fiberglass reinforced plastics;FPC)를 비롯하여 기타 다양한 재질로 만들어 질 수 있다.Next, the duct connector 20 will be described. The skeleton of the duct connector 20 is formed by the base plate 21. The base plate 21 may be made of various materials such as polyvinyl chloride (PVC) or fiberglass reinforced plastics (FPC).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1)는 다각형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가장자리를 따라 직립되는 측면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물론, 상기 바닥판과 측면판은 별개물로 될 수도 있다.The base plate 21 includes a polygonal bottom plate and a side plate upright along the edge of the bottom plate. Of course, the bottom plate and the side plate may be separate.

상기 다각형의 형태는 분기되는 덕트의 개수 및 각 덕트의 크기에 따라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도시된 바와 같이 6각형 형태로 구성된 것을 설명하기로 한다.The polygonal shape may be formed in a different shape according to the number of branching ducts and the size of each duct, but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polygonal shape will be described.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1)의 상면에는 커버(22)가 결합된다. 상기 커버(22)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1)의 상방에 결합되어, 베이스플레이트(21)와의 사이에 유동공간(S)을 형성한다. 상기 유동공간(S)은 상기 제1덕트(50)로부터 유입되는 공기가 합류하여 다른 덕트(50)로 이동하게 되는 일종의 공간에 해당한다. 상기 커버(22)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1)에 볼트와 같은 체결구 또는 접착제로 고정되거나 혹은 압입될 수도 있다.The cover 22 is coupl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21. The cover 22 is coupled above the base plate 21 to form a flow space S between the base plate 21. The flow space S corresponds to a kind of space in which air flowing from the first duct 50 joins and moves to another duct 50. The cover 22 may be fixed or press-fitted to the base plate 21 with a fastener such as a bolt or an adhesive.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1)의 측면에는 연결플랜지(30)가 구비된다. 상기 연결플랜지(30)는 덕트(50)와 상기 유동공간(S) 사이를 연결하는 일종의 매개체역할을 하는 부분이다.The connection flange 30 is provided on the side of the base plate 21. The connection flange 30 is a part that serves as a kind of medium for connecting between the duct 50 and the flow space (S).

상기 연결플랜지(30)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1)의 측면으로부터 어느 정도 돌출되어 평면을 이루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연결플랜지(30)의 입구(30')를 통해 덕트(50)가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연결 플랜지(30) 내부에 송풍량을 조절하기 위한 풍량조절 유닛(80)을 설치하기 위함이다.The connection flange 30 is preferably formed to protrude to some extent from the side of the base plate 21 to form a plane. This allows the duct 50 to be easily coupled through the inlet 30 'of the connection flange 30, and to install the air flow control unit 80 for adjusting the air flow rate in the connection flange (30) For sake.

이때, 도 4에서 보듯이, 상기 연결플랜지(30)에는 개도조절편(31)이 구비된다. 상기 개도조절편(31)은 상기 연결플랜지(30)의 입구(30')의 폭을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연결플랜지(30)에 분리가능하도록 구비된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ure 4, the connection flange 30 is provided with an opening control piece (31). The opening adjustment piece 31 is for adjusting the width of the inlet (30 ') of the connection flange 30, it is provided to be detachable to the connection flange (30).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개도조절편(31)은 상기 연결플랜지(30)의 입구(30')의 중심을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쌍을 이루어 순차적으로 다수개가 구비된다. 이는 상기 개도조절편(31)은 순차적으로 분리하여 상기 연결플랜지(30)의 입구(30')의 폭이 다양한 크기의 덕트(50)의 폭에 대응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는 상기 연결플랜지(30)의 입구(30')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제1 내지 제3조절편(31a~31c)으로 지칭하기로 한다.More precisely, the opening adjustment piece 31 is provided in sequential numbers in pairs on both sides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inlet 30 'of the connection flange 30, respectively. This is to allow the opening adjustment piece 31 to be sequentially separated so that the width of the inlet 30 ′ of the connection flange 30 can correspond to the width of the duct 50 of various sizes.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hereinafter, the first to third control pieces 31a to 31c will be referred to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center of the inlet 30 'of the connection flange 30.

즉, 도 5에서 보듯이, 상기 개도조절편(31)을 분리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연결플랜지(30)의 입구(30')의 폭(H1)보다, 제1조절편(31a)을 분리한 상태의 연결플랜지(30)의 입구(30')의 폭(H2)이 더 커지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조절편(31a)을 분리한 상태에서는 더 큰 규격의 덕트(50)가 연결플랜지(30)에 연결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조절편(31b), 제3조절편(31c)을 각각 분리하면, 상기 연결플랜지(30)의 입구(30')의 폭(H3,H4) 역시 점차 커지게 된다.That is, as shown in FIG. 5, in the state in which the opening degree adjusting piece 31 is not separated, the first adjusting piece 31a is separated from the width H1 of the inlet 30 ′ of the connecting flange 30. The width (H2) of the inlet (30 ') of the connection flange 30 will be larger. Accordingly, the larger size of the duct 50 can b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flange 30 in the state in which the first adjusting piece 31a is separated. Similarly, when the second adjusting piece 31b and the third adjusting piece 31c are respectively separated, the widths H3 and H4 of the inlet 30 'of the connecting flange 30 are also gradually increased.

이때, 상기 각각의 개도조절편(31) 사이에는 절개홈(도면부호 부여 않음)이 요입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작업자가 상기 개도조절편(31)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an incision groove (not shown) is inserted between each of the opening adjustment pieces 31. This is to allow the operator to easily remove the opening adjustment piece 31.

한편, 도 6a에서 보듯이, 연결플랜지(30) 내부에는 풍량조절 유닛(80)이 구비된다. 상기 풍량조절 유닛(80)은 각각의 덕트(50)에 유입되는 공기의 송풍량을 조절하여 각 방에 유입(유출)되는 송풍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부분이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6a, the airflow control unit 80 is provided inside the connection flange (30). The air flow rate control unit 80 is a portion to adjust the air flow rate of the air flowing into each room (outflow) by adjusting the air flow rate of the air flowing into each duct (50).

상기 풍량조절 유닛(80)은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는데, 이하 도 6a 내지 도 7c를 참조하여 상기 풍량조절 유닛(80)의 각 실시예를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The air volume control unit 80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forms, with reference to Figures 6a to 7c will be described in detail each embodiment of the air volume control unit 80.

상기 풍량조절 유닛(80)의 제1실시예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플랜지(30)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된 조절판(11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조절판(110)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중심을 갖는 날개판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조절판(110)이 상기 연결플랜지(30) 내부 양측에 대하여 회동하여 개도 각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As shown in FIG. 6A, the first embodiment of the air volume control unit 80 may include a control plate 110 rotatably provided in the connection flange 30. At this time, the control plate 110 is formed in the form of a wing plate having a rotation center, as shown in Figure 6b, the control plate 110 can be rotated with respect to both sides inside the connection flange 30 to adjust the opening angle. It is configured to be.

이때, 상기 연결플랜지(30) 외측에는 조절 다이얼(112)이 구비되어 상기 조절다이얼(112)을 회전시켜 상기 조절판(110)의 개도각을 조절할 수 있다.In this case, an adjustment dial 112 is provided outside the connection flange 30 to rotate the adjustment dial 112 to adjust the opening angle of the adjustment plate 110.

또한, 상기 풍량조절 유닛(80)의 제2실시예는,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플레이트 상판(122a)과 상기 차단플레이트 상판(122a)의 일 면과 회동가능하게 힌지축(122c)에 의해 연결된 차단플레이트 하판(122b)을 포함하여 구성된다.따라서 상기 차단플레이트 상하판은 경첩과 같은 형태로 구성된다.In additio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air flow control unit 80, as shown in Figure 7a, the hinge shaft 122c rotatably rotated with one surface of the blocking plate top plate 122a and the blocking plate top plate 122a.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blocking plate lower plate 122b connected by. Thus, the blocking plate upper and lower plates are configured in the form of a hinge.

이때, 상기 차단플레이트 상판(122a) 상측에는 내부에 나사산이 있는 관통공이 형성된 상부돌기(124a)가 구비되고, 상기 차단플레이트 하판(122b) 하측에는 내부에 나사산이 있는 관통공이 형성된 하부돌기(124b)가 구비된다.In this case, an upper protrusion 124a having a through hole having a thread therein is provided at an upper side of the blocking plate upper plate 122a, and a lower protrusion 124b having a through hole having a thread therein at a lower side of the blocking plate lower plate 122b. Is provided.

상기 상하부 돌기(124a,124b)는 후술할 조절볼트(126)가 삽입되어 상기 차단플레이트 상하판(122a,122b)을 회동시키는 부분으로, 상기 상하부 돌기(124a,124b)는 상기 차단플레이트 상하판(122a,122b)에 대하여 소정의 각으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upper and lower protrusions 124a and 124b are portions to rotate the blocking plate upper and lower plates 122a and 122b by inserting adjustment bolts 126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 upper and lower protrusions 124a and 124b are upper and lower blocking plates ( It is preferable to be rotatably connect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122a and 122b.

한편, 상기 상하부 돌기(124a,124b)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조절볼트(126)가 삽입된다. On the other hand, the upper and lower projections (124a, 124b) is inserted into the adjustment bolt 126 is a thread formed.

상기 조절 볼트(126)는 일단에 개폐다이얼(126c)이 구비되고, 상기 개폐다이얼(126c)은 연결플랜지(30) 외부로 드러나, 사용자가 상기 개폐다이얼(126c)을 회전시켜 상기 차단플레이트의 개폐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부분이다.The adjustment bolt 126 is provided with an opening and closing dial 126c at one end, the opening and closing dial 126c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onnecting flange 30, the user rotates the opening and closing dial 126c to open and close the blocking plate. This is where you can adjust the degree.

한편, 상기 조절볼트(126)는 상부볼트(126a)와 하부볼트(126b)로 구분되고, 이는 중앙에 형성된 구분환(126d)에 의해 구분된다. 이때, 상기 상부볼트(126a)와 하부볼트(126c)는 각각 다른 방향의 나사산이 형성되는데, 이는 상기 개폐다이얼(126c)의 화전에 대하여 상기 상부돌기(124a)와 하부돌기(124b)가 서로 모이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기 위함이다.On the other hand, the adjustment bolt 126 is divided into an upper bolt 126a and a lower bolt 126b, which is divided by a division ring 126d formed in the center. At this time, the upper bolt 126a and the lower bolt 126c are each formed with a thread in a different direction, which means that the upper protrusion 124a and the lower protrusion 124b are formed with respect to the fire of the opening / closing dial 126c. To move in or away from the direction.

즉,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폐다이얼(126c)을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상부돌기(124a)와 하부돌기(124b)가 서로 멀어져 상기 차단플레이트 상판(122a)과 차단플레이트 하판(122b)가 벌어져 상기 연결플랜지(30) 내부공간을 차폐시킨다.That is, as shown in FIG. 7B, when the opening / closing dial 126c is rotated in one direction, the upper protrusion 124a and the lower protrusion 124b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so that the blocking plate upper plate 122a and the blocking plate lower plate ( 122b) is opened to shield the inner space of the connection flange 30.

그리고 상기 개폐다이얼(126c)을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돌기(124a)와 하부돌기(124b)가 구분환 쪽으로 수렴하여 상기 차단플레이트 상판(122a)과 차단플레이트 하판(122b)을 모아주고 상기 연결플랜지(30) 내부공간을 개방시킨다.When the opening / closing dial 126c is rot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as shown in FIG. 7C, the upper protrusion 124a and the lower protrusion 124b converge toward the division ring, and thus the blocking plate upper plate 122a and the lower plate lower plate. Gather the 122b and open the inner space of the connection flange 30.

한편, 상기 덕트연결구(20)는 도 8 및 도 9에서 보듯이, 육각형이 아닌 원형 또는 사각형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duct connector 20, as shown in Figure 8 and 9, may be configured in a circular or rectangular shape rather than a hexagon.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덕트 연결구(20)가 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덕트 연결구(20)의 외주연을 따라 덕트(50)가 연결될 위치에 연결플랜지(30)가 소정의 개수로 구비될 수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ure 8, the duct connector 20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the connection flange 30 is a predetermined number at a position to be connected to the duct 50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duct connector 20 It may be provided as.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덕트 연결구(20)가 사각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덕트 연결구(20)의 외주면에 각각 연결플랜지(30)가 구비되어 상기 연결플랜지(30)에 덕트(50)가 연결된다. 이때, 상기 덕트(50)는 3개 이하의 개수가 연결된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9, the duct connector 20 is formed in a square, the connection flange 30 is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uct connector 20, respectively, the duct 50 in the connection flange 30 ) Is connected. At this time, the number of the duct 50 is connected to three or less.

그리고, 분기팬의 형태 및 개수 그리고 설치위치 등은 각각 덕트 연결구(20)의 형태 및 이에 연결된 덕트의 개수 및 위치에 따라 각각 다르게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hape and number of the branch fan and the installation position may be provid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duct connector 20 and the number and position of the duct connected thereto.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덕트연결구 및 이를 구비한 환기장치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duct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nd the ventilation device having the sam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먼저, 상기 덕트연결구(20)에 덕트(50)를 연결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작업자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1)의 연결플랜지(30)에 각각의 덕트(50)를 삽입시킨다. 즉, 상기 덕트(50)의 개구된 일단이 상기 연결플랜지(30)의 입구(30')와 마주보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덕트(50)를 삽입하는 것이다. First, looking at the process of connecting the duct 50 to the duct connector 20, the operator inserts each duct 50 into the connection flange 30 of the base plate 21. That is, the duct 50 is inserted in a state in which the open end of the duct 50 faces the inlet 30 'of the connection flange 30.

이때, 상기 덕트(50)는 그 규격에 따라 다양한 크기를 갖게 되는데, 작업자는 상기 덕트(50)의 크기에 따라 상기 개도조절편(31)을 분리하여 덕트(50)를 연결하면 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덕트(50)의 크기가 클수록 상기 개도조절편(31)의 개수를 많이 분리하여 상기 연결플랜지(30)의 입구(30')의 폭을 조절하는 것이다. 상기 개도조절편(31) 사이에는 절개홈이 형성되어 작업자는 상기 개도조절편(31)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duct 50 is to have a variety of sizes according to the standard, the operator may be connected to the duct 50 by separating the opening adjustment piece 31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duct (50). More precisely, the larger the size of the duct 50, the greater the number of the opening control pieces 31 to adjust the width of the inlet (30 ') of the connection flange (30). An incision groove is formed between the opening adjustment piece 31 so that an operator can easily separate the opening adjustment piece 31.

이때,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1)에는 커버(22)가 결합된 상태이다. 즉, 상기 커버(22)가 베이스플레이트(21)에 결합되어, 그 사이에 유동공간(S)이 형성된 상태로 상기 덕트(50)가 연결되는 것이다. At this time, the cover 22 is coupled to the base plate 21. That is, the cover 22 is coupled to the base plate 21, the duct 50 is connected in a state in which the flow space (S) is formed therebetween.

이와 같이, 상기 하나의 덕트연결구(20)에 다수개의 덕트(50)가 연결될 수 있으므로, 설치공간의 높이변경 없이도 덕트(50) 사이의 간섭을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원형의 덕트연결구(20)의 외주면을 따라 다수개의 덕트(50)가 연결될 수 있어, 설치공간의 더 효율적으로 정리될 수 있다.As such, since a plurality of ducts 50 may be connected to the one duct connector 20, interference between the ducts 50 may be prevented without changing the height of the installation space. In the present embodiment, a plurality of ducts 50 may be connect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ircular duct connector 20, so that the installation space may be more efficiently arranged.

다음으로, 상기 덕트연결구(20)를 따라 이동하는 공기의 유동을 살펴보면, 도 3에서 보듯이, 상기 제1덕트(50a)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유입된다. 이러한 공기는 유동공간(S)을 통과하여 제2 내지 제6덕트(50b~50f)를 따라 각 환기공간으로 토출된다. Next, looking at the flow of air moving along the duct connector 20, as shown in Figure 3, the outside air is introduced through the first duct (50a). This air is passed through the flow space (S) is discharged to each ventilation space along the second to sixth duct (50b ~ 50f).

이때, 작업자는 상기 조절다이얼(112) 또는 개폐다이얼(126c)을 회전시켜 각 환기공간으로 분배되는 공기의 양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operator can easily adjust the amount of air distributed to each ventilation space by rotating the control dial 112 or the opening and closing dial 126c.

또한, 이러한 덕트연결구(20)는 공기가 유출되는 배기덕트 연결구 및 공기가 유입되는 급기덕트 연결구가 나란히 적층되어 함께 사용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duct connector 20 may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exhaust duct connector for the air outflow and the air supply duct connector for the air is introduced side by side.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is defined by the claims,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It is self evident.

본 고안은 덕트 연결구 및 이를 구비한 환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에 의하면 덕트의 설치공간이 적게 소요되고, 덕트 사이의 간섭이 방지될 수 있어, 건물의 전체 체고가 낮아질 수 있으며, 전기시설과 같은 기타 시설물의 설치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uct connector and a ventilation device hav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quires less installation space of the duct, interference between ducts can be prevented, the overall height of the building can be lower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is easy to install other facilities.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환기설비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ventil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덕트연결구의 구체적인 실시예의 구성 및 이에 연결된 덕트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duct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figuration of the duct connected thereto.

도 3은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커버가 제거된 상태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over removed state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연결플랜지의 구성을 보인 요부사시도.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onnection flange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연결플랜지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5 is a front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nection flange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a는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풍량조절 유닛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Figure 6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airflow control unit 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b는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풍량조절 유닛을 구성하는 조절판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Figure 6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adjustment plate constituting the air volume control unit 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a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풍량조절 유닛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Figure 7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airflow control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b 및 7c 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풍량조절 유닛이 차단 및 개방된 모습을 도시한 동작상태도.7b and 7c is an operating state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airflow control unit is blocked and opene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고안을 구성하는 덕트 연결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Figure 8 is a plan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duct connector constituting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고안을 구성하는 덕트 연결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Figure 9 is a plan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duct connector constituting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20: 덕트연결구 21: 베이스플레이트20: duct connector 21: base plate

22: 커버 30: 연결플랜지22: cover 30: connection flange

30: 입구 31: 개도조절편30: entrance 31: opening degree adjustment

50a~50f: 덕트 80: 풍량조절 유닛 50a to 50f: Duct 80: Airflow control unit

Claims (20)

베이스플레이트와;A base plate;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와의 사이에 유동공간을 형성하는 커버와;A cover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base plate to form a flow space between the base plate and the base plate; 소정의 간격을 가지면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측면을 둘러 구비되고 양측으로 개구되게 형성되어 그 일단에는 덕트의 선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유동공간과 연결되는 연결플랜지; 그리고A connection flange provided around the side of the base plate with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formed to be open to both sides thereof,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front end of the duct,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flow space; And 상기 연결 플랜지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연결 플랜지 내부 공간의 개도를 조절하는 풍량조절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고:Is provided inside the connection flange, comprising a air volume control unit for adjusting the opening degree of the space inside the connection flange: 상기 풍량조절 유닛은,The air volume control unit, 양 단이 상기 연결 플랜지의 측면 내측에 회동가능하게 구비되어, 회동에 따라 상기 연결 플랜지 내부 공간의 개도를 조절하는 조절판과;A control plat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connection flange so as to be rotatable inside the side of the connection flange to adjust an opening degree of the space inside the connection flange according to the rotation; 상기 연결 플랜지 일 측 외면에 상기 조절판과 연결되어 상기 연결 플랜지 외부에서 상기 조절판의 회동각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조절다이얼을 포함하여 구성되며:It is configured to include an adjustment dial connected to the control plate on one side of the connection flange to adjust the rotation angle of the control plate outside the connection flange: 상기 덕트를 향해 개구된 상기 연결플랜지의 입구에는 개도조절편이 분리가능하게 설치되어 연결플랜지의 개구되는 정도가 조절됨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연결구.A duct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ning of the connection flange is detachably installed at the inlet of the connection flange opened toward the duct to control the opening degree of the connection flang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개도조절편은 상기 연결플랜지의 입구의 중심을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쌍을 이루어 순차적으로 다수개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연결구.The opening adjustment piece is a duct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sequentially provided in pairs on each side relative to the center of the inlet of the connecting flange. 베이스플레이트와;A base plate;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와의 사이에 유동공간을 형성하는 커버와;A cover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base plate to form a flow space between the base plate and the base plate; 소정의 간격을 가지면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측면을 둘러 구비되고 양측으로 개구되게 형성되어 그 일단에는 덕트의 선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유동공간과 연결되는 연결플랜지; 그리고A connection flange provided around the side of the base plate with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formed to be open to both sides thereof,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front end of the duct,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flow space; And 상기 연결 플랜지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연결 플랜지 내부 공간의 개도를 조절하는 풍량조절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고:Is provided inside the connection flange, comprising a air volume control unit for adjusting the opening degree of the space inside the connection flange: 상기 풍량조절 유닛은,The air volume control unit, 상기 연결플랜지 내측에 구비되는 차단 플레이트 상판과;A blocking plate upper plate provided inside the connection flange; 상기 차단 플레이트 상판의 일면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차단 플레이트 하판; 그리고A blocking plate lower plate rotatably connected to one surface of the blocking plate upper plate; And 상기 차단 플레이트 상판 상단 및 상기 차단 플레이트 하판의 하단과 나사결합되어 상기 차단 플레이트 상판과 하판 사이의 개폐각을 조절하는 조절볼트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연결구.Duct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trol bolt for adjusting the opening and closing angle between the blocking plat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is screwed with the top of the blocking plat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of the blocking plate.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조절볼트는,The adjustment bolt, 상부와 하부의 나사산이 반대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조절볼트의 회전에 대하여 상기 차단플레이트 상판과 하판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연결구.The upper and lower threads are form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duct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to move in the opposit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of the adjustment bolt.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조절볼트의 일 단은 상기 연결플랜지 상면 또는 하면을 관통하여 상기 연결 플랜지 외부로 드러남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연결구.One end of the adjusting bolt penetrates through the upper or lower surface of the connecting flange and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onnecting flange. 제 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상기 덕트를 향해 개구된 상기 연결플랜지의 입구에는 개도조절편이 분리가능하게 설치되어 연결플랜지의 개구되는 정도가 조절됨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연결구.A duct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ning of the connection flange is detachably installed at the inlet of the connection flange opened toward the duct to control the opening degree of the connection flange. 제 6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6, 상기 개도조절편은 상기 연결플랜지의 입구의 중심을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쌍을 이루어 순차적으로 다수개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연결구.The opening adjustment piece is a duct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sequentially provided in pairs on each side relative to the center of the inlet of the connecting flange.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는 육각형으로 되고;The base plate is hexagonal; 상기 연결플랜지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각 모서리 사이에 각각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연결구.The connecting flange is a duct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between each corner of the base plate.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는 원형으로 형성되고;The base plate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상기 연결 플랜지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외주면을 따라 다수개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연결구.The connecting flange is a duct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with a plurality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ase plate.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는 4각형으로 형성되고;The base plate is formed in a quadrangular shape; 상기 연결플랜지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각 변에 각각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연결구.The connecting flange is a duct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each provided on each side of the base plate. 환기공간 또는 외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향해 일단이 개구되는 덕트와:A duct with one end opening towards at least one of the ventilation space or the exterior: 베이스플레이트와;A base plate;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와의 사이에 유동공간을 형성하는 커버와;A cover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base plate to form a flow space between the base plate and the base plate; 소정의 간격을 가지면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측면을 둘러 구비되고 양측으로 개구되게 형성되어 그 일단에는 덕트의 선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유동공간과 연결되는 연결플랜지; 그리고A connection flange provided around the side of the base plate with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formed to be open to both sides thereof,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front end of the duct,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flow space; And 상기 연결 플랜지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연결 플랜지 내부 공간의 개도를 조절하는 풍량조절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고:Is provided inside the connection flange, comprising a air volume control unit for adjusting the opening degree of the space inside the connection flange: 상기 풍량조절 유닛은,The air volume control unit, 양 단이 상기 연결 플랜지의 측면 내측에 회동가능하게 구비되어, 회동에 따라 상기 연결 플랜지 내부 공간의 개도를 조절하는 조절판과;A control plat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connection flange so as to be rotatable inside the side of the connection flange to adjust an opening degree of the space inside the connection flange according to the rotation; 상기 연결 플랜지 일 측 외면에 상기 조절판과 연결되어 상기 연결 플랜지 외부에서 상기 조절판의 회동각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조절다이얼을 포함하여 구성되며:It is configured to include an adjustment dial connected to the control plate on one side of the connection flange to adjust the rotation angle of the control plate outside the connection flange: 상기 덕트를 향해 개구된 상기 연결플랜지의 입구에는 개도조절편이 분리가능하게 설치되어 연결플랜지의 개구되는 정도가 조절됨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Ventil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ning of the connection flange is detachably installed at the inlet of the connection flange opened toward the duct is controlled to open the connection flange. 제 1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개도조절편은 상기 연결플랜지의 입구의 중심을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쌍을 이루어 순차적으로 다수개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The opening adjustment piece is a ventil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plurality of sequentially provided in pairs on each side on the basis of the center of the inlet of the connecting flange. 환기공간 또는 외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향해 일단이 개구되는 덕트와:A duct with one end opening towards at least one of the ventilation space or the exterior: 베이스플레이트와;A base plate;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와의 사이에 유동공간을 형성하는 커버와;A cover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base plate to form a flow space between the base plate and the base plate; 소정의 간격을 가지면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측면을 둘러 구비되고 양측으로 개구되게 형성되어 그 일단에는 덕트의 선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유동공간과 연결되는 연결플랜지; 그리고A connection flange provided around the side of the base plate with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formed to be open to both sides thereof,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front end of the duct,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flow space; And 상기 연결 플랜지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연결 플랜지 내부 공간의 개도를 조절하는 풍량조절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고:Is provided inside the connection flange, comprising a air volume control unit for adjusting the opening degree of the space inside the connection flange: 상기 풍량조절 유닛은,The air volume control unit, 상기 연결플랜지 내측에 구비되는 차단 플레이트 상판과;A blocking plate upper plate provided inside the connection flange; 상기 차단 플레이트 상판의 일면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차단 플레이트 하판; 그리고A blocking plate lower plate rotatably connected to one surface of the blocking plate upper plate; And 상기 차단 플레이트 상판 상단 및 상기 차단 플레이트 하판의 하단과 나사결합되어 상기 차단 플레이트 상판과 하판 사이의 개폐각을 조절하는 조절볼트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Ventilation device comprising a control bolt for adjusting the opening and closing angle between the blocking plat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is screwed with the upper end of the blocking plat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of the blocking plate. 제 1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조절볼트는,The adjustment bolt, 상부와 하부의 나사산이 반대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조절볼트의 회전에 대하여 상기 차단플레이트 상판과 하판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The upper and lower threads are formed in opposite directions, so that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of the blocking plate move in opposite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of the adjusting bolt. 제 1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4, 상기 조절볼트의 일 단은 상기 연결플랜지 상면 또는 하면을 관통하여 상기 연결 플랜지 외부로 드러남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One end of the adjusting bolt penetrates the upper or lower surface of the connecting flange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onnecting flange. 제 1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5, 상기 덕트를 향해 개구된 상기 연결플랜지의 입구에는 개도조절편이 분리가능하게 설치되어 연결플랜지의 개구되는 정도가 조절됨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Ventil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ning of the connection flange is detachably installed at the inlet of the connection flange opened toward the duct is controlled to open the connection flange. 제 16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6, 상기 개도조절편은 상기 연결플랜지의 입구의 중심을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쌍을 이루어 순차적으로 다수개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The opening adjustment piece is a ventil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plurality of sequentially provided in pairs on each side on the basis of the center of the inlet of the connecting flange. 제 11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1 to 17,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는 육각형으로 되고;The base plate is hexagonal; 상기 연결플랜지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각 모서리 사이에 각각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The connection flang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ventilation device is provided between each corner of the base plate. 제 11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1 to 17,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는 원형으로 형성되고;The base plate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상기 연결 플랜지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외주면을 따라 다수개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Ventil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necting flange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ase plate. 제 11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1 to 17,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는 4각형으로 형성되고;The base plate is formed in a quadrangular shape; 상기 연결플랜지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각 변에 각각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The connection flang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ventilation device is provided on each side of the base plate.
KR2020080003886U 2008-01-16 2008-03-25 Connecting device for duct and ventilating apparatus having this KR200444860Y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3886U KR200444860Y1 (en) 2008-03-25 2008-03-25 Connecting device for duct and ventilating apparatus having this
PCT/KR2009/000179 WO2009091172A2 (en) 2008-01-16 2009-01-13 Duct connector and ventilation system, and volume control device and mechanism compri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3886U KR200444860Y1 (en) 2008-03-25 2008-03-25 Connecting device for duct and ventilating apparatus having thi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0504U KR20080000504U (en) 2008-04-16
KR200444860Y1 true KR200444860Y1 (en) 2009-06-11

Family

ID=41320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3886U KR200444860Y1 (en) 2008-01-16 2008-03-25 Connecting device for duct and ventilating apparatus having thi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4860Y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8396Y1 (en) * 2013-03-29 2013-08-09 주식회사 바이롬 Air Distributor For Air Duc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0504U (en) 2008-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1052B1 (en) Connecting device for duct and ventilating apparatus having this
KR100940184B1 (en) Motorized diffuser
CN101668996B (en) Air conditioner
WO2016180249A1 (en) Air conditioner
KR101261322B1 (en) Ventilation control system for decentralized ventilation of separated space and ventilation method using this
KR101236280B1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supply amount and direction of air
KR200444860Y1 (en) Connecting device for duct and ventilating apparatus having this
CN110121621B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JP5061928B2 (en) Ventilation equipment
KR200459987Y1 (en) Air conditioning apparatus
KR200477600Y1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supply amount and direction of air
KR200458580Y1 (en) district-unit ventilation equipment using motorized diffusers each of which integrates a damper and a diffuser
KR101843856B1 (en) By-pass apparatus for a ventilation system
KR100669028B1 (en) Ventilating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damp thereof
KR20100010441U (en) motorized diffuser
JP2017009259A (en) Ventilation device and ventilation system
KR20190107784A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101093764B1 (en) Multi direction outlet type air conditioner
KR200458718Y1 (en) Variable discharge type swirl diffuser for high place installation
KR20100014001A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supply amount of air and method thereof
JP2018021739A (en) Ventilation fan
KR100953269B1 (en) Ventilating device
JP2004183968A (en) Floor blow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system
KR101737305B1 (en) By-pass apparatus for a ventilation system
JP2001027428A (en) Air conditio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7

Year of fee payment: 7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