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4687Y1 - Domestic Electric Heat Cooker - Google Patents

Domestic Electric Heat Cook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4687Y1
KR200444687Y1 KR2020070011575U KR20070011575U KR200444687Y1 KR 200444687 Y1 KR200444687 Y1 KR 200444687Y1 KR 2020070011575 U KR2020070011575 U KR 2020070011575U KR 20070011575 U KR20070011575 U KR 20070011575U KR 200444687 Y1 KR200444687 Y1 KR 20044468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assembled
container
main body
inner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1575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90000509U (en
Inventor
김우주
Original Assignee
김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우주 filed Critical 김우주
Priority to KR20200700115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4687Y1/en
Publication of KR2009000050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0509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46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4687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6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ith built-in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4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with tools driven from the top si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가정용 전열 조리기를 제공한다.Provide a home electric cooker.

본 고안은 일정량의 음식물이 채워지는 내부용기; 상기 내부용기가 삽입배치되고, 전원인가시 상기 내부용기에 열을 제공하는 전열부를 구비하는 본체용기; 상기 본체용기의 상부를 덮는 덮개부와, 상기 본체용기의 걸림부에 선단이 걸리고 상기 본체용기의 회동지지부에 후단이 회동가능하게 조립되는 손잡이부를 갖추어 상기 덮개부를 개폐작동시키는 개폐부; 및 상기 손잡이부의 내부공간에 구비된 모터로부터 제공되는 동력에 의해서 상기 내부용기내의 음식물을 교반시키는 교반부;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부는 상기 본체용기의 외부면에 조립되고,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조절노브가 구비되는 전방케이싱과, 상기 전방케이싱의 상부를 덮어 밀폐하고, 상기 손잡이부의 선단이 걸리는 걸림공을 구비하는 전방덮개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n inner container filled with a certain amount of food; A main body container in which the inner container is inserted and disposed, and having a heat transfer part for providing heat to the inner container when power is applied; An opening part for opening and closing the cover part by having a cover part covering an upper part of the main body container and a handle part having a front end caught by a locking part of the main body container, and a rear end of the main body container being pivotally assembled; And an agitator configured to stir the food in the inner container by the power provided from the motor provided in the inner space of the handle part, wherein the locking part is assemb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container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ubstrate. And a front cover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adjustment knobs and a front cover covering and sealing an upper portion of the front casing, and having a catching hole to which the front end of the handle part is caught.

본 고안에 의하면, 동력을 이용하여 용기내에 담겨진 음식물을 일정하고 지속적으로 저어주어 음식물이 열에 의해서 고르게 가열되면서 용기 바닥면에 눌러 붙거나 타는 것을 방지하고, 조리하는 사람의 작업부하를 경감시킬 수 있는 한편, 음식물을 조리하는 동안 다른 업무도 수행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the power to stir the food contained in the container constantly and continuously, the food is heated evenly by heat to prevent pressing or burning on the bottom of the container, it can reduce the workload of the cook Meanwhile, other tasks may be performed while cooking food.

전열, 조리기, 내부용기, 본체용기, 덮개, 교반, 회전날개 Electric Heat, Cooker, Inner Container, Main Container, Cover, Stirring, Rotary Wing

Description

가정용 전열 조리기{Domestic Electric Heat Cooker} Domestic Electric Heat Cooker

본 고안은 가정에서 사용되는 전열 조리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전열을 이용하여 음식물을 조리할 때 음식물이 고르게 가열되거나 음식물이 타지 않도록 음식물을 가열하여 조리하는 동안 동력으로서 음식물을 인위적으로 교반시킬 수 있는 가정용 전열 조리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 cooker used at home, and more particularly, when cooking food using electric heat, the food can be artificially stirred as a power while cooking by heating the food so that the food is not heated evenly or the food is burned. Relates to a household electric cooker.

일반적으로 전열 조리기는 전원인가시 열을 발생시키는 전열원을 이용하여 음식물에 열을 인위적으로 가하여 익히거나 볶음으로서 음식물을 조리하는 것이다. In general, a heat cooker is to cook food by cooking or roasting by artificially applying heat to food by using a heat source that generates heat when power is applied.

이러한 전열 조리기는 조리하고자 하는 음식물을 담을 수 있는 내부용기와, 상기 내부용기가 수용되고 전원인가시 열을 발생시키는 전열부를 포함하는 본체용기 및 상기 내부용기의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구비되는 덮개를 포함한다. The electrothermal cooker includes an inner container that can contain food to be cooked, a main body container including a heat transfer part that receives the inner container and generates heat when the power is applied, and a cover provided to prevent foreign substances from entering the interior of the inner container. It includes.

상기 전열 조리기를 이용하여 스프, 카레 및 죽을 조리하거나 곡물이나 고기류등과 같은 볶음류 등을 조리하고자 하는 경우, 내부용기에 음식물을 일정량 담아 본체용기내에 삽입한 다음, 상기 본체용기에 구비된 전열부에 외부전원을 인가 하여 이를 발열시킴으로서 상기 내부용기에 제공되는 열에 의해서 음식물을 가열하여 조리하는 것이다. If you want to cook soup, curry and porridge using the heat cooker or to cook fried foods such as grains or meats, put a certain amount of food in the inner container and insert it into the main body container, and then the heat transfer portion provided in the main body container By heating the food by applying an external power source, the food is heated and cooked by the heat provided to the inner container.

한편, 이러한 조리과정에서 가열되는 음식물이 내부용기의 바닥면에 눌어 붙거나 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조리하는 사람이 수저나 국자와 같은 보조도구를 이용하여 내부용기내의 음식물을 지속적으로 저어주어야만 했다.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prevent the food being heated during the cooking process is pressed or burn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inner container, the cooker had to stir the food in the inner container continuously using an auxiliary tool such as a cutlery or ladle.

이에 따라, 음식물을 조리하는 과정에서 조리하는 사람은 조리하는 동안 전열 조리기로부터 벗어나지 못하고, 음식물을 사람이 일일이 보조도구를 이용하여 저어 주어야만 하기 때문에 그 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효율적이지 못할 뿐만 아니라 부주위로 인하여 저어주지 못할 경우 음식물에 열이 고르게 전달되지 않거나 용기 바닥면에 눌러 붙어 타게 되면서 음식물이 버려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Accordingly, the person who cooks in the process of cooking food does not escape from the electric cooker during cooking, and because the person has to stir the food by using the auxiliary tool, the work is not very cumbersome and efficient, but also stirs due to the sub surroundings. If you do not give the food even heat is not evenly transferred or burned by pressing the bottom of the container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food is discarded.

그리고, 조리하는 사람이 항상 전열 조리기에 인접하여 조리하는 과정에서, 가열된 용기를 분리하거나 취급하는 과정에서 신체부위가 접촉되어 화상등과 같은 안전사고의 발생 위험성이 매우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cooker always contacts adjacent to the electric cooker, and the body parts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in the process of separating or handling the heated container, thereby causing a high risk of a safety accident such as a burn.

또한, 조리하는 사람이 조리 대상물인 음식물의 종류에 따라 음식물을 일정하게 저어주면서 저어주는 교반시간을 다르게 해야만 하는데, 조리하는 사람의 숙련도에 따라 음식물의 맛이 달라지게 된다. In addition, the cooker must stir the food while stirring the food regularly according to the type of food that is the object of cooking, the taste of the food will vary depending on the skill of the person cooking.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 으로써, 그 목적은 동력을 이용하여 용기내에 담겨진 음식물을 일정하고 지속적으로 저어주어 음식물이 열에 의해서 고르게 가열되면서 용기 바닥면에 눌러 붙거나 타는 것을 방지하고, 조리하는 사람의 작업부하를 경감시킬 수 있는 한편, 음식물을 조리하는 동안 다른 업무도 수행할 수 있는 가정용 전열 조리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he purpose is to stir the food contained in the container constantly and continuously by using power to press the food on the bottom of the container evenly heated by heat It is intended to provide a home electric cooker that can prevent sticking or burning, to reduce the workload of the cooker, while performing other tasks while cooking food.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다양한 음식물의 종류에 따라 조리조건을 탄력적으로 변화시켜 다양한 조리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숙련도의 차이없이 음식물을 일정하게 조리할 수 있는 가정용 전열 조리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erform a variety of cooking operations by elastically changing the cooking conditions according to various types of food, to provide a home electric cooker capable of constantly cooking food without a difference in skill.

또한,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은 음식물을 조리하는 과정 및 정리하는 과정에서 가열된 용기에 의해서 화상등과 같은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가정용 전열 조리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ome electric cooker that can prevent safety accidents such as burns by the heated container in the process of cooking and cleaning the food.

상기한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서, 본 고안은 일정량의 음식물이 채워지는 내부용기; 상기 내부용기가 삽입배치되고, 전원인가시 상기 내부용기에 열을 제공하는 전열부를 구비하는 본체용기; 상기 본체용기의 상부를 덮는 덮개부와, 상기 본체용기의 걸림부에 선단이 걸리고 상기 본체용기의 회동지지부에 후단이 회동가능하게 조립되는 손잡이부를 갖추어 상기 덮개부를 개폐작동시키는 개폐부; 및 상기 손잡이부의 내부공간에 구비된 모터로부터 제공되는 동력에 의해서 상기 내부용기내의 음식물을 교반시키는 교반부;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부는 상기 본체용기의 외부면에 조립되고,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조절노브가 구비되는 전방케이싱과, 상기 전방케이싱의 상부를 덮어 밀폐하고, 상기 손잡이부의 선단이 걸리는 걸림공을 구비하는 전방덮개를 포함하는 가정용 전열 조리기를 제공한다. As a specific means for solving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an inner container is filled with a certain amount of food; A main body container in which the inner container is inserted and disposed, and having a heat transfer part for providing heat to the inner container when power is applied; An opening part for opening and closing the cover part by having a cover part covering an upper part of the main body container and a handle part having a front end caught by a locking part of the main body container, and a rear end of the main body container being pivotally assembled; And an agitator configured to stir the food in the inner container by the power provided from the motor provided in the inner space of the handle part, wherein the locking part is assemb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container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ubstrate. Provided is a home electric cooker comprising a front casing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ontrol knobs, and a front cover covering the upper portion of the front casing, the front cover having a catching hole for the front end of the handle portion.

바람직하게, 상기 본체용기는 상기 걸림부와 회동지지부를 외부면에 각각 구비하는 본체케이싱과, 상기 본체케이싱의 상단에 조립되고 좌우한쌍의 측면손잡이를 구비하는 케이싱 고정링과, 상기 본체케이싱의 하단에 조립되고 상기 전열부가 배치되는 받침부를 포함한다.Preferably, the main body container has a main body casing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engaging portion and the rotation support portion, a casing fixing ring having a pair of left and right side handles assembled on the upper end of the main body casing, and the lower end of the main body casing And a support portion assembled to the heat transfer portion.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받침부는 상기 전열부의 하부면과 선접촉되면서 상기 전열부를 수평상태로 지지하는 지지리브를 구비한다. More preferably, the support portion includes a support rib supporting the heat transfer portion in a horizontal state while being in linear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heat transfer portion.

바람직하게, 상기 회동지지부는 상기 본체용기의 외부면에 조립되고, 외부전원이 입력되는 전원입력부을 구비하는 후방케이싱과, 상기 후방케이싱의 상부를 덮어 밀폐하고, 상기 손잡이부의 후단이 회동가능하게 조립되는 힌지축지지부와 상기 전원입력부로부터 연장되는 전원케이블이 인출되는 인출공을 구비하는 후방덮개를 포함한다.Preferably, the pivot support is assemb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container, the rear casing having a power input unit for inputting an external power source, the upper casing of the rear casing is sealed and the rear end of the handle is rotatably assembled. And a rear cover having a hinge shaft support portion and a lead hole through which a power cable extending from the power input portion is drawn out.

삭제delete

바람직하게, 상기 덮개부는 상기 내부용기의 내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소재로 이루어진다. Preferably, the cover portion is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so that the inside of the inner container can be confirmed.

바람직하게, 상기 덮개부는 상부면에 일정크기로 관통형성된 양념투입구를 개폐하도록 조립되고, 복수개의 수증기배출공을 형성한 보조덮개를 포함한다. Preferably, the cover part is assembled to open and close the spice inlet formed in a predetermined size on the upper surface, and includes an auxiliary cover formed with a plurality of steam discharge holes.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보조덮개의 일측에는 돌출부를 구비한다. More preferably, one side of the auxiliary cover is provided with a protrusion.

바람직하게, 상기 손잡이부는 메인손잡이, 서브손잡이 및 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손잡이는 상기 덮개부가 하부에 조립되는 하부 메인손잡이와, 상기 하부 메인손잡이의 상부에 조립되어 상기 모터가 배치되는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상부 메인손잡이를 포함하며, 상기 서브손잡이는 상기 상부 메인손잡이에 고정되는 하부 서브손잡이와, 상기 하부 서브 손잡이의 상부에 조립되어 상기 레버가 배치되는 일정크기의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상부 서브손잡이를 포함하고, 상기 레버는 상기 하부 서브손잡이에 형성된 힌지공에 조립되는 힌지축과, 상기 걸림부에 걸리도록 상기 레버의 선단으로부터 직하부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걸림부재 및 상기 레버의 후단을 상방으로 탄력지지하는 스프링부재를 포함한다. Preferably, the handle portion includes a main handle, a sub handle and a lever, wherein the main handle is the lower main handle is assembled to the lower cover, and the inner space is assemb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main handle is disposed the motor An upper sub handle is formed, wherein the sub handle includes a lower sub handle fixed to the upper main handle, and an upper sub handle which is assemb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lower sub handle to form a predetermined inner space in which the lever is disposed. It includes, the lever is a hinge shaft which is assembled to the hinge hole formed in the lower sub-handle, the engaging member extending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front end of the lever to the lower portion so as to be caught in the engaging portion and the rear end of the lever upwardly resiliently It includes a spring member for supporting.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하부 메인손잡이는 상기 회동지지부에 형성된 힌지축지지부에 회동가능하게 조립되는 힌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모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케이블이 인입되는 일정크기의 인입공을 관통형성하며, 상기 걸림부의 걸림공을 외부노출시키는 일정크기의 개구부를 관통형성하고, 상기 상부 메인손잡이는 상기 서브손잡이의 선단이 고정되는 고정홈을 구비하고, 상기 걸림공을 노출시키는 메인 개구부를 관통형성한다. More preferably, the lower main handle has a hinge portion rotatably assembled to the hinge shaft support portion formed in the pivot support portion, and penetrates through a predetermined sized inlet hole through which a power cabl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otor is inserted. The through hole has a predetermined size through which the engaging hole is exposed to the outside, and the upper main handle has a fixing groove to which the tip of the sub handle is fixed, and forms a through-open main opening exposing the engaging hole.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하부 서브손잡이는 상기 걸림부재를 통과시키는 서브 개구부를 구비하고, 상기 스프링부재를 지지하는 스프링고정용 리브를 구비하며, 상기 상부 서브손잡이는 상기 레버를 상부로 노출시키는 노출공을 구비한다. More preferably, the lower sub handle has a sub opening through which the locking member passes, and has a spring fixing rib supporting the spring member, and the upper sub handle has an exposed hole for exposing the lever to the upper portion. Equipped.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힌지부는 상기 회동지지부에 구비되는 힌지축지지부에 회동가능하게 조립되는 힌지축과, 상기 내부용기의 상단에 형성된 걸림턱에 간 섭되어 상기 내부용기를 상부로 들어올리는 돌출턱을 구비한다. More preferably, the hinge portion has a hinge shaft which is rotatably assembled to the hinge shaft support portion provided in the pivot support portion, and a projection jaw interfering with a locking jaw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inner container to lift the inner container upward. Equipped.

바람직하게, 상기 교반부는 상기 모터와 동력전달수단을 매개로 조립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하부단에 조립되어 상기 내부용기내에 배치되는 회전날개를 포함한다. Preferably, the stirring unit includes a rotary shaft assembled via the motor and the power transmission means, and a rotary blade assembled in the lower end of the rotary shaft and disposed in the inner container.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상기 모터의 구동축에 조립되는 구동풀리와, 상기 회전축의 상단에 조립되는 피동풀리 및 상기 구동풀리와 피동풀리사이에 감겨지는 벨트부재를 포함한다. More preferably, the power transmission means includes a drive pulley assembled on a drive shaft of the motor, a driven pulley assembled on an upper end of the rotating shaft, and a belt member wound between the drive pulley and the driven pulley.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회전날개는 상기 내부용기의 바닥면에 대하여 상방으로 휘어진 만곡날개와, 상기 내부용기의 바닥면에 대하여 나란한 수평날개로 이루어진다. More preferably, the rotary blade is composed of a curved wing bent upward with respect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inner container, and horizontal wings parallel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inner container.

본 고안에 의하면, 전원인가시 열을 발생시키는 본체용기내에 내부용기를 배치하고, 음식물이 담겨지는 내부용기의 개방된 상부를 개폐하는 개폐부를 구비하고, 내부용기내의 음식물을 모터의 동력에 의해서 일정하고 지속적으로 교반시키는 교반부를 구비함으로서, 용기내에 담겨진 음식물에 열을 일정하고 고르게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음식물이 용기 바닥면에 눌러 붙거나 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ner container is disposed in the main body container which generates heat when the power is applied, and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is opened and closed to open and close the opened upper part of the inner container in which the food is contained. By providing a stirring portion to continuously and continuously stirring, since food can be uniformly and evenly provided with heat in the food contained in the container, food can be prevented from sticking or burning on the bottom of the container.

또한, 조리하는 사람이 보조도구를 이용하여 조리종료시까지 용기내의 음식물을 저어 교반시키는 작업을 수행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작업부하를 경감시킬 수 있고, 조리작업을 보다 안전하게 수행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하거나 낮출 수 있고, 조리작업이 이루어지는 동안 다른 업무도 병행하여 수행할 수 있어 조리 효율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oker does not need to stir and stir the food in the container until the end of cooking using the auxiliary tool, thereby reducing the workload, and can perform a safer cooking operation to prevent safety accidents or It can be lowered and other tasks can be performed in parallel while the cooking operation is performed, thereby significantly improving the cooking efficiency.

그리고, 전열부에서 제공되는 발열온도를 낮거나 높게 조절하면서 교반부가 작동되는 시간을 길게하거나 짧게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음식물의 종류에 따라 조리조건을 탄력적으로 간편하게 변화시켜 다양한 조리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숙련도의 차이없이 음식물의 조리정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operation time of the stirring unit can be lengthened or shortened while the heating temperature provided from the heat transfer unit is adjusted to be low or high, various cooking operations can be performed by changing the cooking conditions easily and flexibly according to various food types. In addition, the cooking degree of food can be kept constant without any difference in skill level.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가정용 전열 조리기를 도시한 외관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가정용 전열 조리기를 도시한 것으로서, (a)는 정면도이고, (b)는 좌측면도이며, (c)는 우측면도이고, (d)는 평면도이며, (e)는 배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가정용 전열 조리기에 채용되는 본체용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가정용 전열 조리기에 채용되는 개폐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home electric coo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home electric coo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is a front view, (b) is a left side view, (c) Is a right side view, (d) is a plan view, (e) is a rear view,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main body of the container adopted in the home electric coo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household It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which shows the opening-and-closing part employ | adopted for an electric heat cooker.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10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용기(110), 본체용기(120), 개폐부(130) 및 교반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cooker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ner container 110, a main container 120, an opening and closing unit 130, and a stirring unit 140 as shown in FIGS. 1 to 4. .

<내부용기><Inner container>

상기 내부용기(110)는 상부는 개방되고 하부는 밀폐되어 조리하고자 하는 음식물이 일정량 채워지는 원통 구조물이며, 이러한 내부용기는 상단 테두리에 외측으로 돌출된 걸림턱을 구비한다. The inner container 110 is a cylindrical structure in which the upper portion is open and the lower portion is closed and a certain amount of food to be cooked is filled, and the inner container has a locking projection protruding outwardly on an upper edge thereof.

여기서, 상기 내부용기(110)는 전열에 의하여 제공되는 열에 의해서 음식물을 고르게 가열할 수 있도록 전도성 및 내마모성이 우수한 금속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the inner container 110 is preferably made of a metal material having excellent conductivity and wear resistance so as to evenly heat the food by the heat provided by the heat transfer.

<본체용기><Body container>

상기 본체용기(120)는 상기 내부용기(110)가 상부로 부터 하부로 삽입배치되도록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는 밀폐된 중공 구조물이며, 밀폐된 하부에는 전원인가시 상기 내부용기(110)에 열을 제공하는 전열부(125)를 구비한다. The main container 120 has an upper opening so that the inner container 110 is inserted from the top to the bottom, the lower part is a closed hollow structure, and when the power is applied to the closed lower part, the inner container 110 is opened. It is provided with a heat transfer section 125 to provide.

이러한 본체용기(120)는 상기 걸림부(128)와 회동지지부(129)를 외부면에 각각 구비하는 중공원통형의 본체케이싱(121)과, 상기 본체케이싱(121)의 상단에 조립되고 좌우한쌍의 측면손잡이(122a)를 구비하는 케이싱 고정링(122)과, 상기 본체케이싱(121)의 하단과 조립되고 상기 전열부(125)가 배치되는 받침부(123)를 포함한다. The main body container 120 is assembled to the upper end of the hollow casing-shaped main body casing 121 and the main body casing 121 having the locking portion 128 and the rotation support portion 129 on the outer surface of the pair of left and right A casing fixing ring 122 having a side handle 122a, and a supporting part 123 assembled with the lower end of the main body casing 121 and the heat transfer part 125 are disposed.

상기 케이싱고정링(122)은 상기 측면손잡이(122a)를 복수개의 체결부재(122b)로서 교체가능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체결공을 관통형성한 손잡이결합부(122c)를 일체로 구비하며, 상기 손잡이결합부(122c)의 체결공에 체결되는 체결부재(122b)에 의해서 상기 본체케이싱(121)과 케이싱 고정링(122)은 서로 일체로 조립된다.The casing fixing ring 122 is integrally provided with a handle engaging portion 122c formed through a fastening hole so as to replace the side handle 122a as a plurality of fastening members 122b. The main body casing 121 and the casing fixing ring 122 are integrally assembled with each other by the fastening member 122b fastened to the fastening hole of the part 122c.

상기 받침부(123)는 상기 전열부(125)의 하부면과 대응하는 바닥면에 상기 전열부(125)의 하부면과 접촉되는 면적을 최소화하면서 전열부(125)를 수평상태로 지지하도록 지지리브(123a)를 구비하며, 이러한 받침부(123)와 지지리브(123a)는 내열성이 우수하면서 열전도성이 낮은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upport part 123 is supported on the bottom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heat transfer part 125 to support the heat transfer part 125 in a horizontal state while minimizing an area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heat transfer part 125. A rib 123a is provided, and the support part 123 and the support rib 123a are preferably made of a material having excellent heat resistance and low thermal conductivity.

그리고, 상기 받침부(123)의 하부면에는 본체용기(120)의 하부면을 통한 열전달을 최소화하면서 상기 본체용기(120)의 미끄럼을 방지하도록 고무소재로 이루어진 받침대(124)를 복수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upport portion 123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pedestals 124 made of a rubber material to prevent the slip of the main body container 120 while minimizing heat transfer through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container 120. desirable.

여기서, 상기 지지리브(123a)는 원형링 형상의 지지리브의 내측에 열십자형상의 지지리브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받침부(123)의 바닥면과 상기 전열부(125)사이를 이격하는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Here, the support ribs 123a are illustrated and described as being made of ten cross-shaped support ribs inside the circular ring-shaped support ribs. However, the support ribs 123a are not limited thereto,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support part 123 and the heat transfer part 125 are not limited thereto. It may be provided in various forms spaced apart.

그리고, 상기 본체케이싱(121)은 전열부(125)에서 발생된 열이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상기 내부용기(110)의 외경보다 큰 크기를 갖는 금속제로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케이싱(121)의 내부면과 상기 내부용기(110)사이에 단열재(미도시)를 구비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main body casing 121 is made of a metal having a size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inner container 110 so as to block heat generated from the heat transfer part 125 from being transferred to the outside, and the main body casing 121. Between the inner surface and the inner container 110 may be provided with a heat insulating material (not shown).

한편, 상기 걸림부(128)는 상기 본체케이싱(121)의 외부면에 일체로 조립되고, 조리온도 및 시간을 제어하도록 프로그램이 입력된 능동소자와 수동소자가 탑재된 기판(126)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조절노브(126a,126b)가 구비되는 전방케이싱(128a)과, 상기 전방케이싱(128a)의 상부를 덮어 밀폐하고, 상기 손잡이부(130b)의 선단이 걸리는 걸림공(128c)을 구비하는 전방덮개(128b)를 포함하여 구 성된다. On the other hand, the engaging portion 128 is integrally assemb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casing 121,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ubstrate 126 on which the active element and the passive element on which the program is input to control the cooking temperature and time are mounted. The front casing 128a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ontrol knobs 126a and 126b connected thereto is closed, and an upper portion of the front casing 128a is covered and sealed, and a locking hole 128c at which the front end of the handle 130b is caught.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front cover (128b) having.

여기서, 상기 전방케이싱(128a)은 상기 본체케이싱(121)에 형성된 체결공을 통하여 복수개의 체결부재로서 착탈이가능하도록 조립되거나 접착제를 매개로 하여 일체로 조립될 수도 있으며, 상기 전방케이싱(128a)의 내부면에는 상기 전방덮개(128b)를 복수개의 체결부재로서 조립하기 위한 체결보스(128d)를 복수개 구비한다. Here, the front casing 128a may be assembled to be detachable as a plurality of fastening members through fastening holes formed in the body casing 121 or may be integrally assembled through an adhesive, and the front casing 128a may be used. The inner surface of the plurality of fastening bosses (128d) for assembling the front cover (128b) as a plurality of fastening members are provided.

그리고, 상기 전방케이싱(128a)의 노출공(128e)을 통해 외부노출되는 조절노브(126a,126b)는 상기 기판(126)의 축부재(126c,126d)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조립되어 회전시 발생되는 저항변화값에 맞추어 시간 또는 온도를 자유롭게 조절하는 가변저항식 조절부재로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조리시간 및 조리온도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는 다양한 수단이 채용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adjustment knobs 126a and 126b which are externally exposed through the exposed holes 128e of the front casing 128a are rotatably assembled to the shaft members 126c and 126d of the substrate 126, respectively, and are generated when the knobs are rotated. Although illustrated and described as being provided with a variable resistance control member that freely adjusts time or temperature in accordance with the resistance change valu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Various means for appropriately controlling cooking time and cooking temperature may be employed.

또한, 상기 회동지지부(129)는 상기 본체케이싱(121)의 외부면에 일체로 조립되고, 외부전원이 입력되는 전원입력부(127)을 구비하는 후방케이싱(129a)과, 상기 후방케이싱(129a)의 상부를 덮어 밀폐하고, 상기 손잡이부(130b)의 후단이 회동가능하게 조립되는 힌지축지지부(129c)와 상기 전원입력부(127)로부터 연장되는 전원케이블(127a)이 인출되는 인출공(129d)을 구비하는 후방덮개(129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In addition, the pivot support part 129 is integrally assemb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casing 121, and includes a rear casing 129a having a power input unit 127 to which external power is input, and the rear casing 129a. Covering the upper portion of the sealing portion, the rear end of the handle 130b, the hinge shaft support 129c and the power cable 127a extending from the power input unit 127 is assembled to be rotatably drawn out (129d)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rear cover (129b) having a.

여기서, 상기 후방케이싱(129a)도 상기 전방케이싱과 마찬가지로 본체케이싱(121)에 형성된 체결공을 통하여 복수개의 체결부재로서 착탈이가능하도록 조립 되거나 접착제를 매개로 하여 일체로 조립될 수도 있으며, 상기 후방방케이싱(129a)의 내부면에는 상기 후방덮개(129b)를 복수개의 체결부재로서 조립하기 위한 체결보스(129e)를 복수개 구비한다.Here, the rear casing 129a may be assembled to be detachable as a plurality of fastening members through a fastening hole formed in the main casing 121 similarly to the front casing 121, or may be integrally assembled through an adhesive agent. The inner surface of the anti-casing 129a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fastening bosses 129e for assembling the rear cover 129b as a plurality of fastening members.

한편, 상기 걸림부(128)와 회동지지부(129)는 상기 본체케이싱(121)의 외부면에 서로 마주하도록 서로 반대편에 구비되고, 상기 본체케이싱(121)에 구비되는 좌우 한쌍의 측면 손잡이(122a)도 상기 본체케이싱(121)의 외부면에 서로 마주하여 서로 반대편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On the other hand, the engaging portion 128 and the rotation support portion 129 are provided on opposite sides to face each other on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casing 121, a pair of left and right side handles 122a provided in the main body casing 121 ) Is also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casing 121 opposite to each other,

상기 케이싱고정링(122)에는 상기 측면손잡이(122a)가 조립되는 손잡이결합부(122c)와 마찬가지로 상기 전,후방케이싱(128a,129a)을 복수개의 체결부재(122b)로서 각각 교체가능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체결공을 관통형성한 케이싱결합부(122d)를 일체로 구비한다. The front and rear casings 128a and 129a may be interchangeably assembled to the casing fixing ring 122 as a plurality of fastening members 122b, similarly to the handle coupling part 122c to which the side handles 122a are assembled. The casing coupling portion 122d formed through the fastening hole is integrally provided.

<개폐부><Opening and shutting part>

상기 개폐부(130)는 상기 본체용기(120)의 상부를 덮거나 개방하는 덮개부(130a)와, 상기 덮개부(130a)를 개폐작동시키는 손잡이부(130b)를 포함한다.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130 includes a cover portion 130a for covering or opening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container 120, and a handle portion 130b for opening and closing the cover portion 130a.

상기 덮개부(130a)는 상기 손잡이부(130b)에 일체로 구비되거나 착탈가능하게 조립되어 상기 본체용기(120)의 상부를 덮음으로서 상기 본체용기(120)내부에 삽입된 내부용기(120)의 개방된 상부를 덮어 조리공간을 외부환경과 차단하는 밀폐수단이다. The cover portion 130a is integrally provided with the handle portion 130b or detachably assembled to cover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container 120 so as to cover the upper portion of the inner container 120. It is an airtight means to cover the open top to block the cooking space from the external environment.

이러한 덮개부(130a)는 상기 내부용기(110)의 내부를 외부에서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강화유리와 같은 투명한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덮개부(130a)의 상부면에는 상기 덮개부(130a)에 일정크기로 관통형성된 양념투입구(131a)를 개폐하도록 조립되고, 복수개의 수증기배출공(131b)을 형성한 보조덮개(131)를 포함한다. The cover portion 130a is preferably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such as tempered glass so that the inside of the inner container 110 can be easily checked from the outside, and the cover portion 130a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portion 130a. The auxiliary cover 131 is assembled to open and close the seasoning inlet 131a formed to a predetermined size, and formed a plurality of steam discharge holes 131b.

여기서, 상기 보조덮개(131)의 일측에는 상기 덮개부(130a)의 양념투입구(131a)로부터의 탈착이 용이하고 취급이 용이하도록 외측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돌출부(131c)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one side of the auxiliary cover 131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protrusion 131c extending a predetermined length to the outside to facilitate the detachment from the seasoning inlet 131a of the cover portion 130a and easy handling.

이에 따라, 상기 내부용기(110)에 채워진 음식물의 조리시 내부에서 발생된 수증기는 상기 보조덮개(131)의 수증기 배출공(131b)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함으로서 수증기에 의해서 음식물의 맛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보조덮개(131)를 상기 양념투입공(131a)으로부터 분리함으로서 상기 덮개부(130a)를 본체용기(120)로부터 분리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내부용기(110)내로 소금,간장과 같은 양념을 간편하게 투입할 수 있는 것이다. Accordingly, the steam generated in the cooking of the food filled in the inner container 11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steam discharge hole (131b) of the auxiliary cover 131 to reduce the taste of the food by the water vapor And by separating the auxiliary cover 131 from the spice injection hole (131a) seasoning, such as salt, soy sauce into the inner container 110 even without removing the cover portion 130a from the main container 120 You can easily put.

또한, 상기 손잡이부(130b)는 메인손잡이(132), 서브손잡이(133) 및 레버(134)를 포함하는바, 상기 메인손잡이(132)는 상기 덮개부(130a)가 하부에 일체로 조립되는 하부 메인손잡이(132a)를 구비하고, 상기 하부 메인손잡이(132a)의 상부에 조립되어 이들 사이에 상기 모터(141)가 배치되는 일정크기의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상부 메인손잡이(132b)로 이루어진다. In addition, the handle 130b includes a main handle 132, a sub handle 133, and a lever 134, and the main handle 132 is integrally assembled with the cover 130a at the bottom thereof. It is provided with a lower main handle 132a, it is composed of an upper main handle 132b that is assemb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main handle 132a to form an internal space of a predetermined size in which the motor 141 is disposed therebetween.

상기 하부 메인 손잡이(132a)의 후단에는 상기 회동지지부(129)에 형성된 힌지축지지부(129c)에 대하여 회동가능하게 조립되는 힌지부(135)를 구비하며, 선단에는 상기 걸림부(128)의 걸림공을 외부노출시키는 일정크기의 개구부(132g)를 관 통형성하며, 상기 상부 메인손잡이(132b)의 선단 상부면에는 상기 서브손잡이(133)의 일단이 삽입고정되도록 함몰형성되는 고정홈(132c)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홈(132c)에는 상기 걸림부(128)의 걸림공(128c)을 노출시키는 메인 개구부(132d)를 구비한다. The rear end of the lower main handle 132a is provided with a hinge portion 135 rotatably assembled with respect to the hinge shaft support portion 129c formed on the pivot support portion 129, and the locking portion 128 is caught at the front end thereof. A through hole 132g having a predetermined size through which the ball is exposed to the outside, and a fixing groove 132c which is formed to be recessed so that one end of the sub handle 133 is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front end surface of the upper main handle 132b. And a main opening 132d exposing the locking hole 128c of the locking portion 128 in the fixing groove 132c.

여기서, 상기 하부 메인손잡이(132a)의 후단 하부면에는 상기 전원입력부(127)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모터(14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케이블(127a)이 인입되는 일정크기의 인입공(132e)을 관통형성하고, 상기 인입공(132e)에 인접하는 곳에는 상기 힌지부(135)가 복수개의 체결부재로서 착탈가능하게 조립되는 체결공(135c)을 복수개 구비한다.Here, the rear end surface of the lower main handle 132a has a predetermined sized inlet hole 132e extending from the power input unit 127 to receive a power cable 127a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otor 141.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135c are formed in the through-holes and adjacent to the inlet hole 132e to which the hinge part 135 is detachably assembled as a plurality of fastening members.

그리고, 상기 하부 메인손잡이(132a)의 상부면에는 상기 상부 메인손잡이(132b)의 하부면에 형성된 결합용 보스(미도시)와 결합되는 결합용 보스공(132f)을 복수개 구비하며, 길이중앙영역에는 후술하는 회전축(143)의 상단이 관통하여 삽입되는 축공(136a)을 구비한다. In additi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main handle (132a)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oupling boss holes (132f) coupled with the coupling boss (not shown)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main handle (132b), the central length region It has a shaft hole 136a through which the upper end of the rotating shaft 143 to be described later penetrated.

또한, 상기 메인손잡이(132a)의 상부면에는 상기 축공(136a)을 관통하여 삽입되는 회전축(143)의 상단이 고정되는 고정돌기(136b)를 구비한다. In additi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handle 132a is provided with a fixing protrusion 136b to which the upper end of the rotating shaft 143 inserted through the shaft hole 136a is fixed.

여기서, 상기 고정돌기(136b)는 외부면에 회전지지용 노브(136)와 나사결합되도록 수나사부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축(143)의 삽입시 방사방향으로 벌어질 수 있도록 복수개의 슬릿(136c)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the fixing protrusion (136b) has a male screw portion to be screwed to the rotary support knob 136 on the outer surface, and a plurality of slits (136c) to be opened in the radial direction when the rotation shaft 143 is inserted. It is preferable to provide.

한편, 상기 메인 손잡이(132)의 후단에 구비되는 힌지부(135)는 상기 회동지지부(129)의 힌지축지지부(129c)에 회동가능하게 조립되는 힌지축(135c)를 구비하 고, 상기 내부용기(110)의 상단에 형성된 걸림턱(115)에 간섭되어 상기 내부용기를 상부로 들어올리는 돌출턱(135b)을 구비한다. On the other hand, the hinge portion 135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main handle 132 is provided with a hinge shaft 135c rotatably assembled to the hinge shaft support portion (129c) of the rotation support portion 129, the inside It is provided with a protruding jaw 135b for interfering with the locking jaw 115 formed at the top of the container 110 to lift the inner container to the top.

이에 따라, 상기 레버(134)의 걸림부재(134a)와 상기 걸림부(128)의 걸림공(128c)간의 걸림이 해제된 상태에서 상기 힌지부(135)의 힌지축(135c)을 회동중심으로 하여 상기 손잡이부(130b)를 들어올려 상기 덮개부(130a)를 개방할 때, 상기 돌출턱(135b)의 선단은 상기 내부용기(110)에 형성된 걸림턱(115)에 간섭되어 상기 내부용기(110)를 상부로 일정높이 들어올림으로서 상기 내부용기를 본체용기로부터 분리하는 작업을 보다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Accordingly, the hinge shaft 135c of the hinge 135 is rotated in a state in which the locking between the locking member 134a of the lever 134 and the locking hole 128c of the locking portion 128 is released. When the handle 130b is lifted to open the cover part 130a, the tip of the protruding jaw 135b interferes with the catching jaw 115 formed in the inner container 110 and the inner container ( By lifting 110 to a certain height, the operation of separating the inner container from the main body container can be performed more simply.

그리고, 상기 서브 손잡이(133)는 상기 상부 메인손잡이(132b)에 형성된 고정홈(132c)으로 삽입되어 고정되는 하부 서브손잡이(133a)와, 상기 하부 서브 손잡이(133a)의 상부에 조립되어 이들 사이에 상기 레버(134)를 배치하는 일정크기의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상부 서브손잡이(133b)로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sub handle 133 is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132c formed in the upper main handle 132b and fixed to the lower sub handle 133a,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sub handle 133a is assembled therebetween. It consists of an upper sub-handle (133b) to form a predetermined size of the inner space for placing the lever 134 in the.

상기 하부 서브손잡이(133a)에는 상기 레버(134)의 선단으로부터 직하부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걸림부재(134a)가 인출되는 서브 개구부(133c)를 관통형성하고, 상기 레버(134)에 형성된 힌지축(134c)이 회동가능하게 조립되는 힌지공(133d)을 구비하는 한편, 상기 레버(134)의 후단을 상방으로 탄력지지하는 스프링부재(134b)를 고정하는 스프링고정용 리브(133e)를 구비한다. The lower sub handle 133a penetrates through the sub opening 133c through which the catching member 134a extending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front end of the lever 134 to a lower portion, and the hinge shaft formed in the lever 134. 134c is provided with a hinge hole 133d rotatably assembled, and a spring fixing rib 133e for fixing a spring member 134b that elastically supports the rear end of the lever 134 upwardly.

상기 상부 서브손잡이(133b)에는 상기 레버(134)의 상부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노출공(133f)을 관통형성한다. The upper sub handle 133b penetrates the exposure hole 133f for exposing the upper portion of the lever 134 to the outside.

이에 따라, 상기 하부 서브손잡이(133a)의 힌지공(133d)에 회동가능하게 조 립되는 레버(134)의 걸림부재(134a)는 상기 서브개구부(133c), 상기 상부 메인손잡이(132b)의 메인 개구부(132d)를 통하여 상기 걸림부(128)까지 연장된 다음, 상기 걸림부재(134a)의 하부단이 상기 걸림공(128c)에 걸려 걸림력을 발생시키게 되고, 상기 스프링부재(134b)의 탄성력에 의해서 걸림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Accordingly, the locking member 134a of the lever 134 rotatably assembled to the hinge hole 133d of the lower sub handle 133a is the main opening of the sub opening 133c and the upper main handle 132b. After extending to the locking portion 128 through the opening 132d, the lower end of the locking member 134a is caught by the locking hole 128c to generate a locking force, and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member 134b. It will maintain the jammed state.

한편, 상기 노출공(133f)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레버(134)의 선단을 하부로 누르게 되면, 상기 걸림부재(134a)의 하부단과 상기 걸림공(128b)간의 걸림이 해제됨으로서 상기 힌지부(135)를 회전축으로 하여 개폐부(130)를 개폐작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front end of the lever 134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exposure hole (133f) is pressed downward, the latch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locking member 134a and the locking hole 128b is released. The opening and closing unit 130 may be opened and closed by using 135 as the rotating shaft.

<교반부><Stirring part>

상기 교반부(140)는 상기 개폐부(130)를 구성하는 메인 손잡이(132)의 내부공간에 구비되는 모터(141)의 구동시 이로부터 제공되는 동력에 의해서 상기 내부용기(110)의 내부에 배치되는 회전날개(144)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서 조리하고자 하는 음식물을 교반시키는 것이다. The stirring unit 140 is disposed inside the inner container 110 by the power provided therefrom when driving the motor 141 provided in the inner space of the main handle 132 constituting the opening and closing unit 130. By rotating the rotary blade 144 in one direction is to stir the food to be cooked.

상기 모터(141)는 상기 회전날개(144)에 조립되는 회전축(143)과 동력전달수단(142)을 매개로 하여 연결되어 상기 회전날개(144)를 회전시키는바, 상기 동력전달수단(142)은 상기 모터(141)의 구동축(141a)에 조립되는 구동풀리(142a)와, 상기 회전축(143)에 조립되는 피동풀리(142b) 및 상기 구동풀리(142a)와 피동풀리(142b)사이에 감겨지는 벨트부재(142c)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The motor 141 is connected to the rotary shaft 143 assembled to the rotary blade 144 and the power transmission means 142 to rotate the rotary blade 144, the power transmission means 142 Is wound between the drive pulley 142a assembled to the drive shaft 141a of the motor 141, the driven pulley 142b assembled to the rotating shaft 143, and the drive pulley 142a and the driven pulley 142b. It comprises a belt member 142c.

상기 회전날개(144)는 상기 회전축(143)의 하부단에 체결되는 체결부재(145)에 의해서 분리가능하게 구비되며, 이러한 회전날개(144)는 상기 내부용기(110)의 바닥면에 대하여 상방으로 휘어진 만곡날개(144a)와, 상기 내부용기(110)의 바닥면에 대하여 나란한 수평날개(144b)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내부용기(110)내의 음식물을 상기 만곡날개(144a)와, 수평날개(144b)에 의해서 고르게 저어지면서 교반될 수 있는 것이다. The rotary blade 144 is detachably provided by a fastening member 145 fastened to the lower end of the rotary shaft 143, the rotary blade 144 is upward relative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inner container (110). It is preferable that the curved wing 144a and the horizontal wing 144b parallel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inner container 110. Accordingly. The food in the inner container 110 can be stirred while stirring evenly by the curved wing (144a), the horizontal wing (144b).

여기서, 상기 회전축(143)은 상기 모터(141)와 동력전달수단(142)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전달되는 회전동력에 의해서 회전구동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회전축(43)의 상단을 구동축(141)에 직접 연결하여 직접적으로 전달되는 회전동력에 의해서 회전구동될 수도 있다. Here, the rotary shaft 143 is shown and described as being driven by the rotational power indirectly transmitted through the motor 141 and the power transmission means 142, but is not limited to this, but the upper end of the rotary shaft 43 It may be rotated by the rotational power transmitted directly by connecting directly to the drive shaft 141.

이에 따라, 상기 모터(141)의 구동시 발생되는 회전동력은 상기 구동풀리(142a), 벨트부재(142c) 및 피동풀리(142b)를 통하여 상기 회전축(143)에 전달됨으로서 상기 회전축(143)의 하부단에 조립되어 상기 내부용기(110)내에 배치되는 회전날개(144)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상기 내부용기(110)내에 채워진 음식물을 강제로 일정하고 고르게 교반할 수 있는 것이다. Accordingly, the rotational power generated when the motor 141 is driven is transmitted to the rotation shaft 143 through the driving pulley 142a, the belt member 142c, and the driven pulley 142b, so that the rotation shaft 143 Assembled in the lower end can be rotated in one direction the rotary blades 144 disposed in the inner container 110, thereby forcing a constant and even stirring of the food is filled in the inner container (110).

또한, 상기 조절노브(126a,126b)에 의해서 전원인가시 열을 발생시키는 전열부의 발열온도를 높이거나 낮출 수 있고, 상기 회전날개(144)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에 전원을 인가하는 시간을 길게 하거나 줄임으로서, 상기 내부용기내(110)에 채워진 음식물의 종류 및 조리방법에 따라 상기 음식물을 가열하거나 교반시키는 정도를 가변시켜 보다 다양한 종류의 음식물을 간편하게 조리할 수 있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time to apply the power to the motor for providing power to rotate the rotary blades 144, it is possible to increase or decrease the heating temperature of the heat transfer portion that generates heat when the power is applied by the control knobs (126a, 126b). By lengthening or decreasing, the degree of heating or stirring the food according to the type of food and the cooking method filled in the inner container 110 may be varied to easily cook various types of food.

여기서, 상기 조절노브(126a,126b)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전열 부를 설정된 일정시간동안 작동시키거나 상기 회전날개를 설정된 일정시간동안 작동시키는 타이머 기능을 추가하거나 조리종료시간을 알려주는 알람기능을 추가할 수 있으며, 상기 모터의 회전속도를 가변시켜 상기 회전날개의 회전속도를 가감시키는 기능을 추가할 수 있다. Here, the control knobs (126a, 126b) is not limited to this, and adds a timer function for operating the heating portion for a predetermined time or for operating the rotary blade for a predetermined time or an alarm function for notifying the end of cooking time. It can be added, by varying the rotational speed of the motor can be added to the function of increasing or decreasing the rotational speed of the rotary blade.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가정용 전열 조리기를 도시한 외관 사시도이다.1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a home electric coo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가정용 전열 조리기를 도시한 것으로서, Figure 2 shows a home electric coo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는 정면도이고, (a) is a front view,

(b)는 좌측면도이며, (b) is a left side view,

(c)는 우측면도이고, (c) is the right side view,

(d)는 평면도이며, (d) is a plan view,

(e)는 배면도이다.(e) is a rear view.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가정용 전열 조리기에 채용되는 본체용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main body container employed in a home electric coo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가정용 전열 조리기에 채용되는 개폐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employed in the home electric coo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10 : 내부용기 120 : 본체용기110: inner container 120: main container

121 : 본체케이싱 122 : 케이싱 고정링121: body casing 122: casing fixing ring

123 : 받침부 124 : 받침대123: base 124: base

125 : 전열부 126 : 기판125: heat transfer portion 126: substrate

127 : 전원입력부 128 : 걸림부127: power input unit 128: hook

129 : 회동지지부 130 : 개폐부129: rotation support 130: opening and closing

130a : 덮개부 130b : 손잡이부130a: cover 130b: handle

131 : 보조덮개 132 : 메인 손잡이131: auxiliary cover 132: main handle

133 : 서브 손잡이 134 : 레버133: sub handle 134: lever

135 : 힌지부 140 : 교반부135 hinge portion 140 stirring portion

141 : 모터 142 : 동력전달수단141: motor 142: power transmission means

143 : 회전축 144 : 회전날개 143: rotation axis 144: rotary wing

Claims (15)

일정량의 음식물이 채워지는 내부용기;An internal container filled with a certain amount of food; 상기 내부용기가 삽입배치되고, 전원인가시 상기 내부용기에 열을 제공하는 전열부를 구비하는 본체용기;A main body container in which the inner container is inserted and disposed, and having a heat transfer part for providing heat to the inner container when power is applied; 상기 본체용기의 상부를 덮는 덮개부와, 상기 본체용기의 걸림부에 선단이 걸리고 상기 본체용기의 회동지지부에 후단이 회동가능하게 조립되는 손잡이부를 갖추어 상기 덮개부를 개폐작동시키는 개폐부; 및An opening part for opening and closing the cover part by having a cover part covering an upper part of the main body container and a handle part having a front end caught by a locking part of the main body container, and a rear end of the main body container being pivotally assembled; And 상기 손잡이부의 내부공간에 구비된 모터로부터 제공되는 동력에 의해서 상기 내부용기내의 음식물을 교반시키는 교반부;를 포함하고,And a stirring part to stir the food in the inner container by the power provided from the motor provided in the inner space of the handle part. 상기 걸림부는 상기 본체용기의 외부면에 조립되고,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조절노브가 구비되는 전방케이싱과, 상기 전방케이싱의 상부를 덮어 밀폐하고, 상기 손잡이부의 선단이 걸리는 걸림공을 구비하는 전방덮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 전열 조리기.The engaging portion is assembled to an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container, the front casing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ontrol knob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ubstrate, and the sealing covering the upper portion of the front casing, the locking hole is caught by the front end of the handle portion Electric heating cook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ront cov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용기는 상기 걸림부와 회동지지부를 외부면에 각각 구비하는 본체케이싱과, 상기 본체케이싱의 상단에 조립되고 좌우한쌍의 측면손잡이를 구비하는 케이싱 고정링과, 상기 본체케이싱의 하단에 조립되고 상기 전열부가 배치되는 받침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 전열 조리기. The casing fixing ring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ain body container comprises a main body casing each having the engaging portion and the rotational support portion on an outer surface thereof, a casing fixing ring having a pair of left and right side handles assembled at an upper end of the main body casing; And a support portion assembled at the bottom of the casing and arranged with the heat transfer por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는 상기 전열부의 하부면과 선접촉되면서 상기 전열부를 수평상태로 지지하는 지지리브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 전열 조리기. The electric heat cooker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support portion has a support rib supporting the heat transfer portion in a horizontal state while being in linear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heat transfer portion.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지지부는 상기 본체용기의 외부면에 조립되고, 외부전원이 입력되는 전원입력부을 구비하는 후방케이싱과, 상기 후방케이싱의 상부를 덮어 밀폐하고, 상기 손잡이부의 후단이 회동가능하게 조립되는 힌지축지지부와 상기 전원입력부로부터 연장되는 전원케이블이 인출되는 인출공을 구비하는 후방덮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 전열 조리기. The rear casing of claim 1, wherein the pivot support unit is assembled to an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container, and includes a rear casing including a power input unit to which external power is input, and covers an upper portion of the rear casing, and a rear end of the handle part is rotatable. And a rear cover having a hinge shaft support part assembled to be assembled and a drawing hole through which a power cable extending from the power input part is drawn ou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상기 내부용기의 내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소재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 전열 조리기. The electric heat cooker of claim 1, wherein the cover part is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so as to check the inside of the inner container.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상부면에 일정크기로 관통형성된 양념투입구를 개폐하도록 조립되고, 복수개의 수증기배출공을 형성한 보조덮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 전열 조리기.The electric heat cooker according to claim 1 or 6, wherein the cover part is assembled to open and close the spice inlet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size on the upper surface, and includes an auxiliary cover having a plurality of vapor discharge holes.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덮개의 일측에는 돌출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 전열 조리기.The electric heat cooker of claim 7, wherein one side of the auxiliary cover is provided with a protrus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메인손잡이, 서브손잡이 및 레버를 포함하고,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handle portion comprises a main handle, a sub handle and a lever, 상기 메인손잡이는 상기 덮개부가 하부에 조립되는 하부 메인손잡이와, 상기 하부 메인손잡이의 상부에 조립되어 상기 모터가 배치되는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상부 메인손잡이를 포함하며, The main handle includes a lower main handle that is assembled to the lower cover portion, and an upper main handle that is assemb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lower main handle to form an inner space in which the motor is disposed, 상기 서브손잡이는 상기 상부 메인손잡이에 고정되는 하부 서브손잡이와, 상기 하부 서브 손잡이의 상부에 조립되어 상기 레버가 배치되는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상부 서브손잡이를 포함하고, The sub handle includes a lower sub handle fixed to the upper main handle, and an upper sub handle which is assemb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lower sub handle to form an inner space in which the lever is disposed. 상기 레버는 상기 하부 서브손잡이에 형성된 힌지공에 조립되는 힌지축과, 상기 걸림부에 걸리도록 상기 레버의 선단으로부터 직하부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걸림부재 및 상기 레버의 후단을 상방으로 탄력지지하는 스프링부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 전열 조리기. The lever is a hinge shaft assembled to the hinge hole formed in the lower sub-handle, a locking member extending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front end of the lever to the lower portion so as to be caught in the engaging portion and a spring member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rear end of the lever upwards. Electric heating cooker comprising a.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메인손잡이는 상기 회동지지부에 형성된 힌지축지지부에 회동가능하게 조립되는 힌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모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케이블이 인입되는 일정크기의 인입공을 관통형성하며, 상기 걸림부의 걸림공을 외부노출시키는 일정크기의 개구부를 관통형성하고, 상기 상부 메인손잡이는 상기 서브손잡이의 선단이 고정되는 고정홈을 구비하고, 상기 걸림공을 노출시키는 메인 개구부를 관통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 전열 조리기.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lower main handle is provided with a hinge portion rotatably assembled to the hinge shaft support portion formed in the pivot support portion, and penetrates a predetermined sized inlet hole through which a power cabl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otor is introduced. And a through hole having a predetermined size through which the catch hole of the catch portion is exposed to the outside, and the upper main handle includes a fixing groove to which the tip of the sub handle is fixed, and through the main opening to expose the catch hole. Electric heating cooker characterized in that.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서브손잡이는 상기 걸림부재를 통과시키는 서브 개구부를 구비하고, 상기 스프링부재를 지지하는 스프링고정용 리브를 구비하며, 상기 상부 서브손잡이는 상기 레버를 상부로 노출시키는 노출공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 전열 조리기. 10. The apparatus of claim 9, wherein the lower sub handle has a sub opening through which the locking member passes, and a spring fixing rib supporting the spring member, wherein the upper sub handle exposes the lever upwardly. Electric cooking cooker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ball.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는 상기 회동지지부에 구비되는 힌지축지지부에 회동가능하게 조립되는 힌지축과, 상기 내부용기의 상단에 형성된 걸림턱에 간섭되어 상기 내부용기를 상부로 들어올리는 돌출턱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 전열 조리기. The projection jaw according to claim 10, wherein the hinge portion is interposed with a hinge shaft rotatably assembled to a hinge shaft support portion provided in the pivot support portion, and a locking jaw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inner container to lift the inner container upward. Electric heating cook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부는 상기 모터와 동력전달수단을 매개로 조립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하부단에 조립되어 상기 내부용기내에 배치되는 회전날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 전열 조리기. The electric heat cook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irring unit comprises a rotating shaft assembled through the motor and the power transmission means, and a rotary wing assembled in the lower end of the rotating shaft and disposed in the inner container.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상기 모터의 구동축에 조립되는 구동풀리와, 상기 회전축의 상단에 조립되는 피동풀리 및 상기 구동풀리와 피동풀리사이에 감겨지는 벨트부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 전열 조리기.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power transmission means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drive pulley assembled on the drive shaft of the motor, a driven pulley assembled on the upper end of the rotary shaft and a belt member wound between the drive pulley and the driven pulley Household electric cooker.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날개는 상기 내부용기의 바닥면에 대하여 상방 으로 휘어진 만곡날개와, 상기 내부용기의 바닥면에 대하여 나란한 수평날개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 전열 조리기.  The electric heat cooker according to claim 13, wherein the rotary blade is formed of a curved wing bent upward with respect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inner container and a horizontal wing parallel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inner container.
KR2020070011575U 2007-07-13 2007-07-13 Domestic Electric Heat Cooker KR200444687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1575U KR200444687Y1 (en) 2007-07-13 2007-07-13 Domestic Electric Heat Cook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1575U KR200444687Y1 (en) 2007-07-13 2007-07-13 Domestic Electric Heat Cook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0509U KR20090000509U (en) 2009-01-16
KR200444687Y1 true KR200444687Y1 (en) 2009-05-28

Family

ID=41298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1575U KR200444687Y1 (en) 2007-07-13 2007-07-13 Domestic Electric Heat Cook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4687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3235B1 (en) 2010-10-12 2010-12-21 박진수 Cook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02572A (en) * 2018-01-29 2018-07-20 宁波欧琳厨具有限公司 A kind of intelligent stirring kitchen range
KR102110348B1 (en) * 2018-12-07 2020-05-20 주식회사 올넷전자 Rotary pot
KR102590029B1 (en) * 2022-07-08 2023-10-17 한현구 A lid for a cooking vessel having a stirring func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3235B1 (en) 2010-10-12 2010-12-21 박진수 Cook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0509U (en) 2009-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24825B2 (en) Cooking appliance
US5588352A (en) Appliance for making yeast doughs and cooking bagels
US5590583A (en) Appliance for making bread and for cooking bagels
ITMI982473A1 (en) ELECTRIC DEVICE FOR DOMESTIC USE FOR COOKING FOOD PRODUCTS
CN112716274A (en) Cooking system
US6026735A (en) Self stirring cooking assembly
US20140245897A1 (en) Rotisserie convection oven with rotatable cooking drum and method of use
KR200444687Y1 (en) Domestic Electric Heat Cooker
US6523457B1 (en) Pasta machine
CN108463019B (en) Semiconductor microwave cooking utensil
KR20200022895A (en) A lid for a cooking vessel having a stirring function
US7026591B2 (en) Device and procedure for cooking a food product with microwaves
GB2388304A (en) Dual-purpose pot for roasting and frying
KR102020609B1 (en) Cookware having agitator
KR200385035Y1 (en) Sauce cooking apparatus
JP4750536B2 (en) Electromagnetic induction heating cooking apparatus and electromagnetic induction heating cooking method using the same
JP5651574B2 (en) Cooker
KR20060095245A (en) A pan to roast a grain
TWI682723B (en) Method For Cooking Tapioca Balls
KR100847668B1 (en) Machine for dough of a red-bean powder
JP2004261254A (en) Cooker
KR100230992B1 (en) The electric gruel kettle
KR200240903Y1 (en) Electric cooker
KR101523557B1 (en) Roasting Grill Machine
CN211582718U (en) Multifunctional appliance based on rotary heat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1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