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4145Y1 - 다용도 휴대폰 꽂이 - Google Patents

다용도 휴대폰 꽂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4145Y1
KR200444145Y1 KR2020080004269U KR20080004269U KR200444145Y1 KR 200444145 Y1 KR200444145 Y1 KR 200444145Y1 KR 2020080004269 U KR2020080004269 U KR 2020080004269U KR 20080004269 U KR20080004269 U KR 20080004269U KR 200444145 Y1 KR200444145 Y1 KR 20044414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o
holder
shape
mobile phone
coupl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42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영길
Original Assignee
장영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영길 filed Critical 장영길
Priority to KR20200800042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414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41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414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34Pencil boxes; Pencil etui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용도 휴대폰 꽂이에 관한 것으로, 상면이 열린 육면상자형상에서, 하면(11)에는 복수개의 구멍으로 된 메모꽂이부(13)가 형성되고, 세로방향의 복수개의 슬릿으로 나누어진 메모꽂이부(13)가 형성되며, 상기 메모꽂이부(13)가 형성되지 않은 측면은 그 측면의 상말단부에서 두께가 얇아져 끝부분이 날카롭게 경사진 모양의 성에제거부가 형성되는 몸체(10)와, 상기 몸체의 열린 상면 또는 하면(11) 중 어느 한 면과 결합가능한 평면판 형상에서, 상기 연필꽂이부(12)와 대응되는 위치에 대응되는 모양으로 돌출되어 상기 연필꽂이부(12)와 결합이 가능하도록 돌출부(22)가 형성되고, 상기 메모꽂이부(13)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메모꽂이부(13)의 가운데 부분과 결합이 가능하도록 결합홈(23)이 형성된 바닥부(20) 및 바닥부의 하면(11)에는 흡착판(25)을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용도, 휴대폰, 연필꽂이, 메모꽂이, 성에제거

Description

다용도 휴대폰 꽂이{Cell phone case having multipurpose}
본 고안은 다용도 휴대폰 꽂이에 관한 것으로서, 그 사용방법에 따라 휴대폰을 거치할 수 있는 휴대폰 꽂이, 연필 등의 필기구 또는 칫솔 등의 생활용품을 보관할 수 있으며, 메모를 보관할 수 있는 메모꽂이, 자동차등에 형성된 성에를 제거하는 용도로도 사용될 수 있으며, 그 측면에는 광고를 부착할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다.
휴대폰을 거치하거나, 휴대폰을 보관하는 케이스 또는 문구류를 보관할 수 있는 상자 등에 관하여는 많은 선행 고안들이 등록되어 있으며, 여러 형태의 제품이 판매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이런 기능을 동시에 가지도록 휴대폰 거치와 함께 문구류 보관할 수 있는 다용도 보관함도 등록되어있다.
실용신안등록 제0263694호가 대표적이 예이다. 또한 이런 보관함에 광고수단을 결합한 실용신안등록 제0193680호도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선행고안들은 차량 등에 거치하는 경우에는 차량의 진동에 의하여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없으며, 기능에 있어서도 선행의 공지기술에 비하여 크게 향상된 바가 없다고 할 것이다. 또한 기능에 비하여 제작경비가 많이 들어 특히 싼 가격에 제작되어 배포되는 물품으로 는 부적당하다 할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의 선행고안들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들을 해결하여, 본 고안에 의하여 제작된 제품은 보다 싼 가격에 제작할 수 있음과 더불어, 선행고안들에 비하여 훨씬 다양한 기능을 결합시켜, 사무용, 가정용, 또는 차량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많은 유용한 수단을 제공하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본 고안은 차량에 부착할 수 있도록 부착수단을 구비하여 흔들리는 차량에서도 휴대폰 및 각종 휴대용 물품을 손쉽게 보관하는 것이다. 또한 메모를 꽂을 수 있는 수단, 성에를 제거할 수 있는 수단을 가미하여 하나의 제품으로 여러 필요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할 것이다.
본 고안은 다용도 휴대폰 꽂이에 관한 것으로, 상면이 열린 육면상자형상에서, 하면(11)에는 복수개의 구멍으로 된 연필꽂이부(12)가 형성되고, 세로방향의 복수개의 슬릿으로 나누어진 메모꽂이부(13)가 형성되며, 상기 메모꽂이부(13)가 형성되지 않은 측면은 그 측면의 상말단부에서 두께가 얇아지도록 성에제거부가 형성되는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열린 상면 또는 하면(11) 중 어느 한 면과 결합가능한 평면판 형상에서, 상기 연필꽂이부(12)와 대응되는 위치에 대응되는 모양으로 돌출되어 상기 연필꽂이부(12)와 결합이 가능하도록 돌출부(22)가 형성되고, 상기 메모꽂이부(13)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메모꽂이부(13)의 가운데 부분과 결 합이 가능하도록 결합홈(23)이 형성된 바닥부(20) 및 바닥부의 하면(11)에는 흡착판(25)을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한 다용도 휴대폰 꽂이는 몸체(10)와 바닥부(20)의 결합으로 이루어지고 몸체(10)와 바닥부(20)의 결합 형태에 따라 휴대폰 꽂이 연필꽂이 등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몸체(10)는 메모를 꽂아둘 수 있는 부분과 성에를 제거할 수 있는 부분을 포함하고 있어 용도에 따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바닥부(20)에는 흡착판(25)을 결합하거나, 접착수단을 구비하여 진동이 있는 공간에서도 안정적으로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어 사무실, 가정, 차량내에서 다양한 용도로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고안은 기존의 제품에 비하여 저렴한 비용을 들이면서도 더 많은 기능을 효율적으로 결합하여 사용자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다.또한 광고수단(15)을 측면에 구비하고 있어 제품을 배포시, 사용자가 사용하는 동안 계속하여 광고의 효과를 낼 수 있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 및 도2는 본 고안에 의한 다용도 휴대폰 꽂이의 분해사시도이다. 도1은 몸체(10)의 열린 상면이 위쪽방향을 향하는 경우이고, 도2는 몸체(10)의 하면(11)이 위쪽방향을 향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도1과 도2에 관한 결합도는 각각 도3 및 도4에 명시되어 있다.
도1 또는 도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몸체(10)는 일정한 두께를 가지며, 약 1~2mm 내외인 것이 바람직하다. 몸체(10)는 금속 또는 종이 등 다양한 재질로 만들 수 있으나 가볍고 견고한 플라스틱재질이 바람직하다. 견고한 제품을 만들려면 두께를 두껍게 하고, 가벼운 제품을 만들 때에는 두께를 얇게 한다. 다만 두께를 너무 두껍게 하는 것은 메모꽂이부(13)가 제대로 기능하지 못할 수 있고, 제작경비가 많이 지출되므로 피하는 것이 좋다.
몸체(10)의 하면(11)에는 다수개의 원형의 구멍으로 이루어진 연필꽂이부(12)가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11) 3개의 원형의 구멍으로 이루어 졌으나, 필요에 도시된 구멍의 수는 일실시예에 불과하므로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필요에 따라 구멍의 수를 늘리거나 줄일 수 있으며, 구멍의 모양도 원형 뿐만 아니라 사각형, 삼각형 등의 다각형과 그 외 다양한 모양으로 만들어 질 수 있다. 또한 그 위치도 자유롭게 설정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간격, 일직 선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도 있으나 지그재그 등의 다양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다만 몸체(10)의 하면(11)이 바닥부(20)와 결합할 수 있도록 연필꽂이부(12)의 구멍과 바닥부의 돌출부(22)는 대응되는 위치와 크기를 가지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도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의 상부에는 메모꽂이부(13)와 성에제거부(14)가 구성되어 있다.
상기 메모꽂이부(13)는 마주보는 한 쌍의 측면의 상부에 세로 방향의 목수개의 슬릿으로 구성된다. 두개의 슬릿에 의해 세부분으로 나누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 중 가운데 부분은 다른 부분에 비하여 일정길이 만큼이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연장된 부분은 몸체(10)의 상면이 아랫방향으로 하여 바닥부(20)와 결합시에 바닥부(20)에 형성된 결합홈(23)과 대응되어 결합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연장된 길이의 제한은 없으나 바닥부(20)의 두께와 동일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메모를 보관시에는 메모꽂이부(13)의 가운데 부분을 앞 또는 뒤로 밀어 양측면의 슬릿과 틈새가 생기도록 하고, 그 틈새방향으로 메모를 밀어 넣은 뒤 메모꽂이부(13)의 가운데 부분을 놓으면 탄성에 의해 제자리로 돌아가려는 힘에 의하여 메모가 고정되게 된다. 이때 메모를 꽂기 편리하도록 하기 위하여 가운데 부분의 끝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도록 설계할 수 있다.
상기 성에제거부(14)는 마주보는 측면 상말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메모꽂이부(13)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측면의 상부에 구성된다. 성에제거부(14)는 몸체(10)의 측면 중에서 비교적 길이가 긴 쪽에 성에제거부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성에제거기능을 가지기 위해서는 끝부분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져 끝부분이 날카 롭게 경사지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두께가 얇아지는 부분은 측면의 끝에서 약 5mm 내외인 것이 바람직하며 성에제거부(14)를 사용시에는 몸체(10)와 바닥부(20)를 분리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의 측면에는 광고수단(15)이 부착된다. 광고수단(15)은 측면중에서 넓은 쪽의 측면을 활용하는 것, 즉 성에제거부가 있는 쪽의 측면에 광고수단(15)을 부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광고를 인쇄시에는 서로 마주보는 광고부의 광고는 아래위가 반대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몸체(10)의 상면이 바닥부(20)와 결합할 때와 하면(11)이 바닥부(20)와 결합할 때 광고수단(15)이 뒤집히기 때문이다.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부(20)는 돌출부(22), 결합홈(23), 흡착판 결합홈(2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돌출부(22)는 몸체(10)의 하면(11)과 바닥부(20)가 결합하는 경우에 몸체(10)의 연필꽂이부(12)와 결합하게 된다. 따라서 돌출부(22)의 모양, 크기및 위치는 연필꽂이부(12)의 모양, 크기 및 위치와 대응되도록 하여 결합시 일정한 결합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설계한다. 돌출부(22)의 돌출된 길이는 제약은 없으나 몸체(10)의 두께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합홈(23)은 도시한 바와 같이 메모꽂이부(13)의 가운데 부분과 대응되는 위치에 대응되는 크기가 되도록 형성하며 결합시 일정한 결합력이 나오도록 하여야 한다.
흡착판 결합홈(24)은 크기가 다른 두개의 원형이 일부가 서로 중첩된 형상의 구멍으로 구성된다. 흡착판(25)을 결합시에는 흡착판의 결합부위를 크기가 큰 구멍으로 넣은 다음 크기가 작은 구멍으로 옮기게 되면 더욱 쉽고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단순한 원형으로 된 결합홈이 일반적이나, 도시한 바와 같이 두개의 원형이 중첩된 모양으로 설계하는 경우에는 단순한 원형 결합홈에 비하여 결합시에는 보다 쉽게 결합하고, 결합부위를 더욱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상기 흡착판 결합홈(24)에는 흡착판(25)이 결합된다. 흡착판(25)은 기존의 공지된 형태를 사용하며, 흡착판(25)의 결합부위는 흡착판 결합홈(24)과 대응되도록 하되 끝부분은 적어도 흡착판 결합홈(24)의 원형구멍 중 작은 원형구멍보다는 크게 제작되도록 하여 결합 후에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한다.
흡착판(25)을 사용하지 아니하고 바닥부의 하면(11)에 착탈이 반복적으로 가능한 접착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접착수단은 접착 테잎, 접착제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반복하여 착탈이 가능한 수단이면 가능하다. 이러한 접착수단을 구비하면 차량 등의 흔들림이 있는 공간에서도 휴대폰 꽂이를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3 및 도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다용도 휴대폰 꽂이는 연필꽂이부(12)가 바닥부(20)와 결합한 경우에는 휴대폰꽂이, 메모꽂이 등으로 사용되며, 메모꽂이부(13)와 결합홈이 결합되는 경우에는 연필꽂이 등으로 사용되며, 몸체(10)를 분리하여 성에를 제거하는 데에도 사용할 수 있다.
도1은 본 고안에 의한 다용도 휴대폰 꽂이에 있어서 몸체의 하면이 바닥부와 결합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분해사시도.
도2는 본 고안에 의한 다용도 휴대폰 꽂이에 있어서 상면이 바닥부와 결합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분해사시도.
도3은 본 고안에 의한 다용도 휴대폰 꽂이에 있어서 몸체의 하면이 바닥부와 결합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결합도.
도4는 본 고안에 의한 다용도 휴대폰 꽂이에 있어서 상면이 바닥부와 결합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결합도.
도5는 본 고안에 의한 다용도 휴대폰 꽂이에 있어서 몸체의 A-A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 : 몸체 20 : 바닥부
12 : 연필꽂이부 13 : 메모꽂이부
14 : 성에제거부 15 : 광고수단
22 : 돌출부 23 : 결합홈
24 : 흡착판 결합홈 25 : 흡착판

Claims (5)

  1. 상면이 열린 육면상자형상에서, 하면에는 복수개의 구멍으로 된 연필꽂이부가 형성되고, 마주보는 한쌍의 측면 상부는 일정 길이만큼 세로방향으로 복수개의 슬릿으로 나누어지고, 나누어진 부분 중 어느 한 부분이 일정한 길이만큼 연장된 메모꽂이부가 형성되며, 상기 메모꽂이부가 형성되지 않은 측면은 그 측면의 상말단부에서 두께가 얇아져 끝부분이 날카롭게 경사진 모양의 성에제거부가 형성되는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열린 상면 또는 하면 중 어느 한 면과 결합가능한 평면판 형상에서, 상기 연필꽂이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대응되는 모양으로 돌출되어 상기 연필꽂이부와 결합이 가능하도록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메모꽂이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메모꽂이부의 연장된 부분과 결합이 가능하도록 결합홈이 형성된 바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휴대폰 꽂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필꽂이부의 구멍은 원형 또는 다각형 중의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휴대폰 꽂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의 하면에는 착탈이 반복적으로 가능한 접착수단이 형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휴대폰 꽂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에는 크기가 다른 두개의 원형이 일부가 서로 중첩된 형상의 구멍으로 된 흡착판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흡착판 결합홈에 흡착판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휴대폰 꽂이.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측면에 광고수단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휴대폰 꽂이.
KR2020080004269U 2008-04-01 2008-04-01 다용도 휴대폰 꽂이 KR20044414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4269U KR200444145Y1 (ko) 2008-04-01 2008-04-01 다용도 휴대폰 꽂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4269U KR200444145Y1 (ko) 2008-04-01 2008-04-01 다용도 휴대폰 꽂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4145Y1 true KR200444145Y1 (ko) 2009-04-17

Family

ID=41348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4269U KR200444145Y1 (ko) 2008-04-01 2008-04-01 다용도 휴대폰 꽂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414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261365A1 (en) Consumer products
USD590444S1 (en) Pencil sharpener case with eraser
USD566189S1 (en) Self-righting paper clip holder
USD552686S1 (en) Pen clip
USD576789S1 (en) Badge holder
USD603182S1 (en) Portable automobile desk
USD565656S1 (en) Clip for a writing instrument
USD516241S1 (en) Retractable lighter holder with belt clip
USD599854S1 (en) Writing instrument
USD587312S1 (en) Stylus pen clip
KR200444145Y1 (ko) 다용도 휴대폰 꽂이
USD533903S1 (en) Pen clip
USD581982S1 (en) Desk pen holder and tape dispenser
USD552177S1 (en) Pen clip
KR20110013618A (ko) 다용도 휴대폰 꽂이
KR200465875Y1 (ko) 사무용품 수납함
USD557742S1 (en) Writing instrument
USD551713S1 (en) Pen clip eraser and holder
USD587755S1 (en) Pen clip
USD587754S1 (en) Pen clip
USD580983S1 (en) Magnetic clip with calculator holder
USD553690S1 (en) Autograph board
USD552684S1 (en) Pen clip
KR200454339Y1 (ko) 다기능 휴대폰 거치대
CN215397937U (zh) 一种笔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