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4135Y1 - 항균력이 향상된 손 살균 소독기 - Google Patents

항균력이 향상된 손 살균 소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4135Y1
KR200444135Y1 KR2020070013906U KR20070013906U KR200444135Y1 KR 200444135 Y1 KR200444135 Y1 KR 200444135Y1 KR 2020070013906 U KR2020070013906 U KR 2020070013906U KR 20070013906 U KR20070013906 U KR 20070013906U KR 200444135 Y1 KR200444135 Y1 KR 2004441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lver
hand
water
ion water
silver 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39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1814U (ko
Inventor
김병철
Original Assignee
김병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병철 filed Critical 김병철
Priority to KR20200700139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4135Y1/ko
Publication of KR2009000181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181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41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413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005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for pharmaceuticals, biologicals or living parts
    • A61L2/0011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for pharmaceuticals, biologicals or living parts using physical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005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for pharmaceuticals, biologicals or living parts
    • A61L2/008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for pharmaceuticals, biologicals or living parts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0088Liquid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3Electric current
    • A61L2/035Electroly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4Means for controlling sterilisation processes, data processing, presentation and storage means, e.g. sensors, controllers, progr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5Biocide distribution means, e.g. nozzles, pumps, manifolds, fans, baffles, spray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항균력이 향상된 손 살균 소독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은을 전기 분해하여 얻어진 은이온수를 이용하여, 손을 살균 소독하도록 구성된 것으로, 특히 개량된 은의 전기분해 구조가 마련되어 항균 효과를 배가시킨 손 살균 소독기에 관한 것이다.
손 살균 소독기, 전기분해, 음이온수, 분무, 항균작용, 살균작용

Description

항균력이 향상된 손 살균 소독기{Hand sterilization equipment}
본 고안은 항균력이 향상된 손 살균 소독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은을 전기 분해하여 얻어진 은이온수를 이용하여, 손을 살균 소독하도록 구성된 것으로, 특히 개량된 은의 전기분해 구조가 마련되어 항균 효과를 배가시킨 손 살균 소독기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은(銀, silver)은, 금, 이리듐, 팔라듐, 백금 등과 같이 귀금속의 일종으로, 16세기 들어와 신대륙의 발견으로 방대한 양이 유입되어 가격 혁명이 이루어지고 정제법이 발달됨에 따라 공급량이 늘어 현대에 와서는 화폐, 장신구, 식기, 사진, 첨단과학분야 등에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있다.
은은, 현재까지의 실험결과 지상의 거의 모든 단세포 병균을 살균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은이 어떻게 단세포 병균을 죽이는지 아직까지 직접적인 상관관계는 밝혀져 있지 않지만 은이 단세포 병균의 신진대사(소화, 호흡) 작용을 하는 특수한 효소에 작용한 후 무력화시켜 결과적으로 병균을 살균하고, 또한 금속의 은이 방출하는 은이온(Ag+)의 전기적 부하가 병균의 생식기능을 제거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은과 접촉하여 6분 이상 살 수 있는 세균은 없다고 한다.
이에 따라 최근 들어 상술한 바와 같은 기능을 갖는 은을 어떻게 이용하는 것이 인체에 가장 효과적인지 수많은 과학자들이 연구를 지속적으로 수행하고 있으며, 연구 결과 은이온 상태로 이온화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것으로 밝혀졌다.
한편, 최근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위생에 대한 관심이 점차 증대됨에 따라, 피부에 유해한 세균들을 신속히 살균할 수 있는 손 살균 소독기의 보급이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 손 살균 소독기는, 기본적으로 소정의 소독액을 손 등의 피부에 분무하여, 피부에 잔류하는 세균들을 살균하는 것으로, 주로 대중들의 이용이 잦은 식당이나 사무실 등지에 설치되고 있다.
그런데, 종래 손 살균기를 통해 분무되는 소독액은 고가이고, 또 장기간 보관할 경우 자체에 세균들이 다량 번식하고 또 인체에 유해하게 변질될 소지를 가지고 있어, 당 분야에서는 저렴하고 보존이 용이하며 또 효능이 우수한 새로운 형태의 소독액 및 손 살균 소독기가 요구되고 있다.
상기한 필요에 의해 안출된 본 고안의 목적은, 은을 전기 분해하여 얻어진 은이온수를 이용하여 손을 살균 소독하도록 구성된 것으로, 특히 개량된 은의 전기분해 구조가 마련되어 살균 효과를 배가시킨 손 살균 소독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하기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본 고안에 따른 항균력이 향상된 손 살균 소독기는,
급수부와; 상기 급수부와 연통되게 설치되어 공급된 급수에 은을 전기분해시켜 급수를 은이온수로 변환하여 생성하는 은이온수 생성부와; 상기 은이온수 생성부를 통해 생성된 은이온수의 토출압을 제공하는 분무펌프 및; 상기 분무펌프를 통해 토출된 은이온수를 분무하는 분무노즐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은이온수 생성부는, 내벽이 은편으로 이루어진 반응조의 내부에, 복수의 은선이 복수 관통되고, 이들 반응조의 내벽을 이루는 은편과 이를 관통하는 은선에 각각 전류를 도통시켜, 반응조의 내벽을 이루는 은편과 이를 관통하는 은선이 각각 전기 분해되어, 공급된 급수가 은이온수로 변환하여 생성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은편으로 이루어진 반응조의 내벽은 주름진 형상으로 구성되며, 이에 관통되는 은선은 코일형으로 권취되어, 은편과 은선의 표면적의 증대를 통해 보다 원활한 은이온화 작용이 도모되도록 구성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은이온수 생성부와 분무펌프 사이에는 차광구조의 저장조가 마련되어, 은이온수 생성부를 통해 생성된 은이온수가 차광구조의 저장조에 안정되게 보관되도록 구성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케이스에 형성된 손소독부에는, 손의 진입여부를 감지하는 감지센서와 분무노즐과 원적외선 램프 및 송풍팬이 배설되며, 상기 감지센서는 손소독부의 맨 내측에 배설되고, 분무노즐과 원적외선 램프 및 송풍팬은 감지센서의 외측에 배설되어, 손소독부에 손이 완전히 진입하면 비로소, 분무노즐을 통해 은이온수의 분무와, 원적외선 램프의 발광을 통한 원적외선의 발산, 및 송풍팬을 통한 송풍이 순차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는 개량된 구조의 은이온수 생성부를 마련하여, 급수가 은이온수로 신속히 변환되도록 구성한 손 살균 소독기를 제공하고 있다.
특히, 본 고안에서 마련하고 있는 은이온수 생성부는, 주름형으로 이루어진 반응조의 내벽과 코일형으로 권취된 은선에 의해 표면적이 증대되어, 보다 신속하게 은이온수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은이온수의 임시 저장을 위한 저장조와, 살균기능의 도모를 위한 원적외선 살균램프, 및 페트병과의 용이한 체결을 위한 체결부가 마련되어서, 사용상의 편의가 도모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손 살균 소독기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손 살균 소독기의 외형을 보여주는 외형 구성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손 살균 소독기의 단면구조를 보여주는 단면 구성도이며, 도 3은 상기 도 2에 도시된 손 살균 소독기에서, 'A'부분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것이다.
본 고안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손 살균 소독기(1)는, 급수에 은을 전기분해시켜 은이온수를 생성하고, 이 은이온수를 미립화되게 분무하여 손의 항균 및 살균기능을 도모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를 상술하자면, 본 실시예에 따른 손 살균 소독기(1)는,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급수부(20)와; 상기 급수부(20)와 연통되게 설치되어 공급된 급수에 은을 전기분해시켜 급수를 은이온수로 변환하여 생성하는 은이온수 생성부(30)와; 상기 은이온수의 토출압을 제공하는 분무펌프(80)와; 상기 분무펌프(60)를 통해 토출된 은이온수를 분무하는 분무노즐(70) 및; 이들 급수부(20)와 은이온수 생성부(30) 및 분무펌프(6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을 보면 상기 급수부(20)와 은이온수 생성부(30)와 분무펌프(60) 및 분무노즐(70)은 케이스(10)에 고정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급수부(20)에 체결부(21)를 마련하여, 급수가 저장된 페트병(P)의 체결부(P')가 상기 체결부(21)를 통해 상호 안정된 연결상태를 이루도록 하고 있다. 그 리고 상기 급수부(20)를 통해 공급되는 급수는, 수돗물, 증류수, 소독액 등을 포함한다. *** 도면상의 미설명 부호 (12)는, 분무된 은이온수를 흡수하는 스폰지임.
그리고, 상기 분무노즐(70)은 케이스(10)에 형성된 손소독부(11)에 하향 배설되어, 사용자가 손을 소독부(11)에 위치시키면 분무펌프(60)가 구동되어 분무노즐(70)을 통해 은이온수의 분무가 이루어진다.
이때, 은이온수의 분무를 위한 분무펌프(60)의 구동은, 손소독부(11)에 마련된 감지센서(80)에 의해 제어되며, 즉, 손이 손소독부(11)에 위치하면 감지센서(70)는 이를 감지하고, 제어부(50)는 분무펌프(60)를 구동시켜 분무노즐(80)을 통해 은이온수를 미립화되게 분무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케이스(10)에 형성된 소독부(11)에 원적외선 램프(90)를 마련하여, 손 소독을 위한 은이온수의 분무과정에 원적외선이 조사되도록 함으로써, 보다 향상된 살균 및 소독기능이 도모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송풍팬(100)을 마련하여 피부에 분무된 은이온수가 신속이 건조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케이스의 손소독부(11)에, 감지센서(80)와 분무노즐(70)과 원적외선 램프(90)와 송풍팬(100)을 마련함에 있어, 상기 케이스(10)에 형성된 손소독부(11)의 맨 내측에 감지센서(80)를 배설하고, 이 외측에 분무노즐(70)과 원적외선 램프(90) 및 송풍팬(100)이 순차로 배설하고 있다.
이와 같이 감지센서(80)를 손소독부(11)의 맨내측에 배설하면, 사용자가 손소독부(11)의 맨 내측까지 손을 집어넣으면, 비로소 분무노즐(70)을 통해 은이온수의 분무와, 원적외선 램프(90)의 발광을 통한 원적외선의 발산, 및 송풍팬(100)을 통한 송풍이 순차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손소독부(11)에 손이 완전히 진입되지 아니한 상태에서 은이온수가 분무되어, 은이온수가 손실되는 문제점이 해소될 수 있고, 또 손에 골고루 은이온수의 분무가 이루어지므로 효율적인 살균 소독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손 살균 소독기(1)에, 은이온수 생성부(30)를 마련하여, 은의 전기분해 작용이 보다 원활히 구현되도록 함으로써, 단시간에 고농도의 은이온수를 획득하도록 하고 있다.
여기서, 은의 전기분해를 통한 은이온수의 생성과정은 공지의 것이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개량된 은이온수 생성부(30)를 마련하여, 단시간에 고농도의 은이온수를 획득하도록 하고 있다.
이를 상술하자면, 상기 은이온수 생성부(30)는, 내벽이 은편(31a)으로 이루어진 반응조(31)의 내부에 복수의 은선(32)을 복수 관통시킨 구조로, 이들 반응조(31)의 내벽을 이루는 은편(31a)과 이를 관통하는 은선(32)에는 각각 전류가 공급된다.
따라서, 상기 반응조(31)의 내벽을 이루는 은편(31a)과 이를 관통하는 은선(32)은 상호 전기 분해되어, 공급된 급수는 은입자가 함유된 은이온수로 변환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반응조에 한 쌍의 은편을 배설하지 아니하고, 반응조(31)의 내벽을 은편(31a)으로 구성하고, 이 반응조(31)에 복수의 은선(32)을 관통시켜서, 은의 전기분해 작용이 보다 신속히 도모되도록 하고 있다.
도면을 보면 상기 은편(31a)으로 이루어진 반응조(31)의 내벽은 주름(31b)진 형상으로 구성되며, 이에 관통되는 은선(32)은 코일형으로 권취되어, 은편(31a)과 은선(32)의 표면적의 증대를 통해 보다 원활한 은이온화 작용이 도모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은이온수 생성부(30)와 분무펌프(60) 사이에는 저장조(40)가 마련되어서, 상기 은이온수 생성부(30)를 통해 생성된 은이온수가 저장조(40)에 임시 저장되도록 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저장조(40)는 차광구조로 이루어져, 빛에 의해 은이온수에 함유된 은입자가 분해되는 현상이 억제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한편, 이렇게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본 실시예에 따른 손 살균 소독기(1)는, 최초 분무펌프(60)가 구동되어 은이온수 생성부(30)에 급수를 공급하면, 은이온수 생성부(30)는 급수부(20)를 통해 유입된 급수에 은을 전기 분해시켜 은이온수를 생성하게 된다.
상기 생성된 은이온수는 차광구조로 이루어진 저장조(40)에 임시로 저장되며, 이때, 상기 저장조에 저장된 은이온수는 빛이 침투하지 아니하므로, 은이온수에 함유된 은입자가 무단 분해되는 현상이 예방될 수 있다.
이후, 소독부(11)에 손이 삽입되면, 감지센서(80)는 이를 감지하고 제어부(50)의 제어로 분무펌프(60)는 구동되어서, 저장조(40)에 저장된 은이온수는 분무노즐(70)을 통해 분무되어서 손에 분무된다.
이때, 원적외선 램프(90)와 송풍팬(100)도 상기 분무펌프(60)와 마찬가지로 제어부(50)의 제어로 구동이 이루어져, 살균 및 건조기능을 도모하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손 살균 소독기의 외형을 보여주는 외형 구성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손 살균 소독기의 단면구조를 보여주는 단면 구성도이며,
도 3은 상기 도 2에 도시된 손 살균 소독기에서, 'A'부분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손 살균 소독기
10. 케이스 11. 소독부
12. 스폰지
20. 급 수부 21. 체결부
30. 은이온수 생성부 31. 반응조
31a. 은편 31b. 주름
32. 은선
40. 저장조 50. 제어부
60. 분무펌프 70. 분무노즐
80. 감지센서 90. 원적외선 램프
100. 송풍팬

Claims (4)

  1. 급수부와; 상기 급수부와 연통되게 설치되어 공급된 급수에 은을 전기분해시켜 급수를 은이온수로 변환하여 생성하는 은이온수 생성부와; 상기 은이온수 생성부를 통해 생성된 은이온수를 토출하는 분무펌프 및; 상기 분무펌프를 통해 토출된 은이온수를 분무하는 분무노즐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은이온수 생성부는, 내벽이 은편으로 이루어진 반응조의 내부에, 복수의 은선이 복수 관통되고, 이들 반응조의 내벽을 이루는 은편과 이를 관통하는 은선에 각각 전류를 도통시켜, 반응조의 내벽을 이루는 은편과 이를 관통하는 은선이 각각 전기 분해되어, 공급된 급수가 은이온수로 변환하여 생성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력이 향상된 손 살균 소독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은편으로 이루어진 반응조의 내벽은 주름진 형상으로 구성되며, 이에 관통되는 은선은 코일형으로 권취되어, 은편과 은선의 표면적의 증대를 통해 보다 원활한 은이온화 작용이 도모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력이 향상된 손 살균 소독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은이온수 생성부와 분무펌프 사이에는 차광구조의 저장조가 마련되어, 은이온수 생성부를 통해 생성된 은이온수가 차광구조의 저장조에 안정되게 보관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력이 향상된 손 살균 소독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 형성된 손소독부에는, 손의 진입여부를 감지하는 감지센서와 분무노즐과 원적외선 램프 및 송풍팬이 배설되며, 상기 감지센서는 손소독부의 맨 내측에 배설되고, 분무노즐과 원적외선 램프 및 송풍팬은 감지센서의 외측에 순차로 배설되어, 손소독부에 손이 완전히 진입하면 비로소, 분무노즐을 통해 은이온수의 분무와, 원적외선 램프의 발광을 통한 원적외선의 발산, 및 송풍팬을 통한 송풍이 순차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력이 향상된 손 살균 소독기.
KR2020070013906U 2007-08-22 2007-08-22 항균력이 향상된 손 살균 소독기 KR2004441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3906U KR200444135Y1 (ko) 2007-08-22 2007-08-22 항균력이 향상된 손 살균 소독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3906U KR200444135Y1 (ko) 2007-08-22 2007-08-22 항균력이 향상된 손 살균 소독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1814U KR20090001814U (ko) 2009-02-26
KR200444135Y1 true KR200444135Y1 (ko) 2009-04-10

Family

ID=412991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3906U KR200444135Y1 (ko) 2007-08-22 2007-08-22 항균력이 향상된 손 살균 소독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4135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0001927B4 (de) * 2020-03-25 2022-09-29 Alexander Roth Vorrichtung zur Desinfektion von Händ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1814U (ko) 2009-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70038B2 (ja) 手の消毒用デバイス
US2011008593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terilizing and deodorizing
WO2019123999A1 (ja) 携帯用電解水噴霧器
CN107406280A (zh) 等离子体活化水
KR20160036301A (ko) 수소수를 이용한 휴대용 미세먼지 제거 살균 스프레이건
WO2004084698A2 (en) Electrolytic cell for surface and point of use disinfection
JP2003334557A (ja) 携帯可能な殺菌洗浄水生成方法と其の装置
WO2001019729A2 (en) Ozone generator
KR101147148B1 (ko) 휴대용 살균기 및 그 운용방법
KR200444135Y1 (ko) 항균력이 향상된 손 살균 소독기
JP6936998B2 (ja) 電解水の生成方法、生成噴霧器及び生成噴霧装置
KR101229740B1 (ko) 실시간 살균 소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실시간 살균 소독 방법
CN204840352U (zh) 一种便携式电解消毒器
US20040071615A1 (en) Ozone generator
KR20180010390A (ko) 애완동물 위생관리기
JP2019111474A (ja) 携帯用電解水噴霧器
KR20120008720U (ko) 휴대용 살균기
CN104787856A (zh) 一种离子水除菌消毒去污去异味装置
KR20060102455A (ko) 이온수가 발생되는 초음파세척기
CN211749169U (zh) 浴缸盖及浴缸装置
KR101058562B1 (ko) 자외선 살균 소독기
JP7122512B2 (ja) 携帯用電解水噴霧器
KR200215706Y1 (ko) 오존 및 음이온 발생장치
KR20200137723A (ko) 고내구성 전극을 이용한 IoT연동 살균 및 세정 기능수 분사시스템
CN213698071U (zh) 一种消毒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0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