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4021Y1 - Gift automatic discharge apparatus used for game machine - Google Patents

Gift automatic discharge apparatus used for game mach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4021Y1
KR200444021Y1 KR2020080014053U KR20080014053U KR200444021Y1 KR 200444021 Y1 KR200444021 Y1 KR 200444021Y1 KR 2020080014053 U KR2020080014053 U KR 2020080014053U KR 20080014053 U KR20080014053 U KR 20080014053U KR 200444021 Y1 KR200444021 Y1 KR 20044402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goods
fixed frame
container
drive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4053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종하
Original Assignee
최종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종하 filed Critical 최종하
Priority to KR20200800140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4021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40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4021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3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games, toys, sports, or amusements
    • G07F17/3202Hardware aspects of a gaming system, e.g. components, construction, architecture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30Capturing games for grabbing or trapping objects, e.g. fishing gam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3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games, toys, sports, or amusements
    • G07F17/3244Payment aspects of a gaming system, e.g. payment schemes, setting payout ratio, bonus or consolation prizes
    • G07F17/3253Payment aspects of a gaming system, e.g. payment schemes, setting payout ratio, bonus or consolation prizes involving articles, e.g. paying in bottles, paying out toy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Vending Machines For Individual Produc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오락기용 상품 자동 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오락기에 대해 장착되는 부분으로 서로 평행되는 전후로 긴 양측 측벽을 구비하는 고정 프레임과, 고정 프레임의 후단부 위치에 수직 방향으로 결합 구비되며 회전 작동되는 구동 모터와, 고정 프레임의 전단부 위치의 상부에 상면이 개구되는 통체로 구비되는 삽입 장착부와, 각기 상품이 수납된 다수개의 상품 케이스가 내부에 상하로 적재되는 함체로서 하단부가 삽입 장착부 내로 삽입되어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상품 적재통과, 양측 측벽 사이에서 전후로 가이드되면서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구비되며 구동 모터의 일 회전에 따라 전진 후 후진 복귀되고 그 전진에 따라 장착된 상품 적재통 내의 가장 하부측의 상품 케이스를 밀어서 배출시키는 슬라이딩 판과, 고정 프레임에 결합 구비되며 장착된 상품 적재통 내부가 비워지는 것을 검출하는 엠프티 검출 센서와, 구동 모터를 작동 제어하고 엠프티 검출 센서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따라 알람 정보를 발생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automatically discharging merchandise for entertainment, and is provided with a fixed frame having both side walls long before and after parallel to each other as a portion mounted to the amusement machine, and is coupled and rotated in a vertical direction at the rear end position of the fixed frame. An insert mounting portion provided with a drive motor, a cylindrical body having an upper surface opened at an upper end of a position of the fixed frame, and a plurality of product cases in which goods are stored, are inserted into the insert mounting portion at the lower end thereof. It is provided to be detachably mounted between the product loading container and both side walls, and is slidably moved back and forth, and the product case at the bottom of the product loading container mounted in accordance with the advance is returned to the back after moving forward by one rotation of the drive motor. It is provided with a sliding plate for sliding out and a fixed frame An empty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that the inside of the mounted goods storage container is emptied, and control means for operating the driving motor and generating alarm information in accordance with a detection signal from the empty detection sensor.

따라서, 상품 적재통을 간단히 교체하는 것에 의해 상품 보충을 완료할 수 있으므로, 상품 보충이 매우 편리하면서 신속하게 실시될 수 있고, 상품이 모두 배출되어 상품 적재통이 비워지면 바로 알람이 발생되므로, 관리자의 관리 작업이 용이하면서 유희자의 불만을 야기하지 않을 수 있고, 또한 유희자가 획득한 점수나 당첨 크기에 상응되는 다수개의 상품을 매우 신속하면서 정확하게 배출하므로, 유희자의 흥미를 강하게 유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refore, since the product replenishment can be completed by simply replacing the product container, the product replenishment can be carried out very conveniently and quickly, and an alarm is generated as soon as all the products are discharged and the product container is empty. It is easy to manage and does not cause the dissatisfaction of the play, and also discharges a large number of products corresponding to the score or the winning size of the play very quickly and accurately, there is an effect that can strongly induce the interest of the play.

오락기, 상품, 경품, 배출 Entertainment, prizes, prizes, discharge

Description

오락기용 상품 자동 배출장치{GIFT AUTOMATIC DISCHARGE APPARATUS USED FOR GAME MACHINE}Product automatic discharge device for entertainment machine {GIFT AUTOMATIC DISCHARGE APPARATUS USED FOR GAME MACHINE}

본 고안은 오락기 내부에 장착되어 상품을 자동으로 배출하는 오락기용 상품 자동 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제공될 상품의 보충 작업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고, 상품이 모두 배출되어 빈 것이 바로 확인되어 조치될 수 있으며, 유희자가 획득한 점수나 당첨 크기에 따라 다수개의 상품을 매우 신속하면서 정확하게 배출할 수 있는 오락기용 상품 자동 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merchandise dispenser for the amusement machine is installed inside the game machine to automatically discharge the goods, more specifically, the replenishment work of the goods to be provided can be easily carried out, all the goods are discharged empt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merchandise ejector for an amusement machine capable of discharging a large number of merchandise very quickly and accurately according to a score or a winning size obtained by a player.

근래 들어 다양한 형태의 오락기가 널리 보급되어 일반 대중의 여가 활동에 활용되고 있으며, 특히 유희자의 흥미를 유발하기 위해 유희자가 게임을 통해 일정 점수를 획득하거나 당첨되면 추가로 상품이나 경품을 배출하여 제공하는 오락기가 개발되어 큰 호응을 얻고 있다. In recent years, various types of entertainment have been widely used for leisure activities of the general public.In particular, in order to induce the interest of the gamers, when a game player obtains a certain score or wins a game, additional prizes or prizes are produced and provided. Amusement machines have been developed and are getting a great response.

상품을 배출할 수 있는 오락기는 내부에 상품 자동 배출장치를 구비하며, 해당 상품 자동 배출장치는 다수개의 상품을 내부 저장하는 상품 저장부와, 상품 저장부에 저장된 상품을 하나씩 밖으로 토출시키는 토출 장치부로 구성되어 있다. A game machine capable of discharging goods includes an automatic product discharging device therein, and the automatic product discharging device includes a product storage part for storing a plurality of items internally and a discharge device part for discharging goods stored in the product storage part one by one. Consists of.

그리고, 이용되는 상품으로는 책갈피, 카드형 물품, 주화, 악세서리류 등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In addition, bookmarks, card-shaped articles, coins, accessories, etc. are mainstream as commodities used.

그러나, 종래의 오락기용 상품 자동 배출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는 실정이다. However, the conventional automatic merchandise ejector device for the present situation has the following problems.

첫째, 그 상품 저장부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관리자가 해당 상품 저장부로 상품을 추가로 저장시키기 위해서는 저장될 상품을 들고서 오락기의 문을 열고 오락기의 협소한 내부 공간으로 들어가 저장시켜야만 하므로, 그 저장 및 보충 작업이 매우 불편하고 난이한 문제점이 있다. First, since the merchandise storage unit is fixed, the manager must open the door of the amusement machine with the merchandise to be stored in order to store additional merchandise with the merchandise storage unit, and enter the narrow internal space of the merchandise. This is a very uncomfortable and difficult problem.

둘째, 이러한 상품 보충 작업은 다소 오랜 시간이 소요되므로, 그 시간만큼 오락기의 가동을 중지해야 함에 따라, 유희자의 불만을 야기하고, 그 시간에는 수입을 창출할 수 없는 문제점도 있다. Second, since this product replenishment work takes a long time, it is necessary to stop the operation of the game machine by that time, causing problems of the gamers, there is also a problem that can not generate income at that time.

셋째, 상품 저장부에 저장된 모든 상품이 배출되어 상품 저장부가 비게 되어도 관리자가 이를 확인할 방법이 없어 조치가 늦어지므로, 이 점에서도 유희자의 불만을 야기하는 문제점도 있다. Third, even if all goods stored in the product storage unit is discharged and the product storage unit becomes empty, there is no problem for the manager to complain because there is no way to check this.

넷째, 단순히 상품을 한개만 배출하여 제공하므로, 유희자의 흥미를 저감시키는 문제점도 있으며, 이에 유희자가 획득한 점수나 당첨 크기에 상응되는 다수개의 상품을 한번에 지급할 수 있을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Fourth, there is a problem in reducing the interest of the player simply by discharging and providing only one product, and the necessity to pay a plurality of products at a time corresponding to the score or the winning size of the playman is emerging.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상품 보충 작업이 매우 간편하면서 신속하게 실시될 수 있고, 상품이 비워진 것이 바로 확인되어 조치될 수 있으며, 유희자가 획득한 점수나 당첨 크기에 상응되도록 한번에 다수개의 상품을 신속하면서 정확하게 배출할 수 있는 오락기용 상품 자동 배출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oduct replenishment work can be carried out very easily and quickly, the product can be immediately confirmed that the empty empties, the score or winning size obtained by the gamer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utomatic merchandise ejector for an amusement machine capable of quickly and accurately discharging a plurality of merchandise at a time.

본 고안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The above object and various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ose skilled in the art.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오락기용 상품 자동 배출장치는, 오락기에 대해 장착되는 부분으로 서로 평행되는 전후로 긴 양측 측벽을 구비하는 고정 프레임; 상기 고정 프레임의 후단부 위치에 수직 방향으로 결합 구비되며 회전 작동되는 구동 모터; 상기 고정 프레임의 전단부 위치의 상부에 상면이 개구되는 통체로 구비되는 삽입 장착부; 각기 상품이 수납된 다수개의 상품 케이스가 내부에 상하로 적재되는 함체로서 하단부가 상기 삽입 장착부 내로 삽입되어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상품 적재통; 상기 양측 측벽 사이에서 전후로 가이드되면서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구동 모터의 일 회전에 따라 전진 후 후진 복귀되고 그 전진에 따라 장착된 상기 상품 적재통 내의 가장 하부측의 상기 상품 케이스를 밀어서 배출시키는 슬라이딩 판; 상기 고정 프레임에 결합 구비되며 장착된 상기 상 품 적재통 내부가 비워지는 것을 검출하는 엠프티 검출 센서; 및 상기 구동 모터를 작동 제어하고 상기 엠프티 검출 센서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따라 알람 정보를 발생하는 제어 수단; 을 포함한다. Automatic merchandise dispenser for the amusement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fixed frame having both sides of the front and rear long side parallel to each other as a portion mounted to the entertainment machine; A drive motor coupled to the rear end of the fixed frame in a vertical direction and rotationally operated; An insert mounting portion provided with a cylinder having an upper surface opened at an upper end of a position of a front end portion of the fixed frame; A product loading container in which a plurality of product cases in which respective products are stored are loaded up and down inside the lower part is inserted into the insert mounting part to be detachably mounted; The sliding plate is provided so as to be slidably moved back and forth between the side walls and is moved back and forth in accordance with one rotation of the drive motor, and a sliding plate for pushing and discharging the goods case of the lowermost side in the goods storage container mounted according to the advance. ; An empty detection sensor coupled to the fixed frame and detecting emptying of the inside of the product loading container; And control means for operatively controlling the drive motor and generating alarm information in accordance with a detection signal from the empty detection sensor. It includes.

바람직하게, 상기 구동 모터의 회전축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에는 상기 슬라이딩 판의 후단부 상에 그 슬라이딩 이동 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이동 홈에 삽입되는 아이들 롤러가 결합되는 링크 연장 바;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Preferably, a link extension bar having one end fixed to a rotation shaft of the drive motor and an idle roller inserted into a moving groove formed on a rear end of the sliding plate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sliding movement direction of the sliding plate; It may further include.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상품 적재통은, 내부 적재되는 상기 상품 케이스를 위에서 무거운 중량으로 누르도록 구비되는 중량판; 하단부측 후면 상에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 판의 선단부가 삽입되는 후면 삽입공; 및 상기 후면 삽입공에 대향되는 전면 상에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 판에 의해 밀어지는 상기 상품 케이스가 배출되는 상품 배출공; 을 구비하며, 상기 상품 케이스를 투입하여 적재하기 위해 일 측면이 개방되거나 개폐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Also preferably, the goods loading container, the weight plate is provided to press the heavy weight from above the goods case to be loaded inside; A rear surface insertion hole formed on a rear surface of a lower end side and into which a front end portion of the sliding plate is inserted; And a product discharge hole formed on a front surface opposite to the rear insertion hole to discharge the product case pushed by the sliding plate. Is provided, and may be configured to be open or open one side for loading the product case into the load.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상품 적재통은, 사용자가 손가락을 삽입하여 파지하도록 상면 상에 형성되는 파지공; 측면 상에 상하로 길게 형성되어 내부 적재된 상기 상품 케이스의 적재량을 육안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투시 관통공; 상기 삽입 장착부에 삽입되어 장착될 때 상기 삽입 장착부의 특정 부분에 걸림되어 삽입 정도가 결정되도록 하는 장착 걸림 돌기; 및 상기 엠프티 검출 센서의 일부가 통과되도록 삽입되어 내부 적재된 가장 하부측의 상기 상품 케이스의 하면과 접촉되도록 하는 센서 삽입공; 을 더 구비하며, 상기 중량판의 일 부분이 상기 투시 관통공에 삽입되도록 구비되어 그 하강 이동이 가이드될 수 있다. Also preferably, the merchandise stacking container, a gripping hol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so that the user inserts a finger; Perforated through-holes that are formed vertically long on the side to visually check the loading amount of the product case loaded inside; A mounting catching protrusion which is caught by a specific portion of the insert mounting portion to determine the insertion degree when the inserting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insert mounting portion; And a sensor insertion hole inserted into a portion of the empty detection sensor so as to be in contact with a bottom surface of the product case on the lowermost side loaded inside. Further provided, a portion of the weight plate is provided to be inserted into the see-through hole can be guided by the downward movement.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엠프티 검출 센서는, 상기 상품 적재통 내에 적재된 가장 하부측의 상기 상품 케이스와 접촉되어 있다가 상기 상품 케이스의 배출에 따라 접촉 해제되는 것을 검출할 수 있다. Also preferably, the empty detection sensor may be in contact with the product case on the lowermost side loaded in the product loading container and then released from contact with the discharge of the product case.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고정 프레임의 상면측을 덮어 내부 부분을 외부에 대해 차폐시키는 덮개 프레임; 을 더 포함할 수 있다. Also preferably, a cover frame for covering the upper surface side of the fixing frame to shield the inner portion against the outside; It may further include.

본 고안에 따르면, 상품 적재통을 간단히 교체하는 것에 의해 상품 보충을 완료할 수 있으므로, 상품 보충이 매우 편리하면서 신속하게 실시될 수 있고, 상품이 모두 배출되어 상품 적재통이 비워지면 바로 알람이 발생되므로, 관리자의 관리 작업이 용이하면서 유희자의 불만을 야기하지 않을 수 있고, 또한 유희자가 획득한 점수나 당첨 크기에 상응되는 다수개의 상품을 매우 신속하면서 정확하게 배출하므로, 유희자의 흥미를 강하게 유발할 수 있는 효과가 달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duct replenishment can be completed by simply replacing the product container, so that the product replenishment can be performed very conveniently and quickly, and an alarm is generated as soon as the product is discharged and the product container is empty. Therefore, it is easy to manage the managers and can not cause the complaints of the gamers, and also discharges a large number of products corresponding to the scores or the winning size of the gamers very quickly and accurately, which can induce the interests of the players. Can be achiev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오락기용 상품 자동 배출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그에 대한 분리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utomatic merchandise ejector device for entertainmen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thereof.

본 고안에 따른 오락기용 상품 자동 배출장치(100)는 오락기 내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것으로, 오락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The automatic merchandise dispenser 100 for the amus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and used in the amusement, and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amusement.

그 구성은, 오락기에 대해 장착되는 부분으로 서로 평행되는 전후로 긴 양측 측벽(112)을 구비하는 고정 프레임(110)과, 고정 프레임(110)의 후단부 위치에 수직 방향으로 결합 구비되며 회전 작동되는 구동 모터(140)와, 고정 프레임(110)의 전단부 위치의 상부에 상면이 개구되는 통체로 결합 구비되는 삽입 장착부(130)와, 다수개의 상품(g) 또는 각기 상품(g)이 수납된 다수개의 상품 케이스(gc)가 내부에 상하로 적재되는 함체로서 하단부가 삽입 장착부(130) 내로 삽입되어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상품 적재통(160)과, 고정 프레임(110)의 양측 측벽(112) 사이에서 전후로 가이드되면서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구비되며 구동 모터(140)의 일 회전에 따라 전진 후 후진 복귀되고 그 전진에 따라 장착된 상품 적재통(160) 내의 가장 하부측의 상품(g) 또는 상품 케이스(gc)를 직간접적으로 밀어서 배출시키는 슬라이딩 판(120)과, 고정 프레임(110)에 결합 구비되며 장착된 상품 적재통(160) 내부가 비워지는 것을 검출하는 엠프티 검출 센서(170)와, 구동 모터(140)를 작동 제어하고 엠프티 검출 센서(170)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따라 알람 정보를 발생하는 제어 수단(190)을 포함한다. The configuration is provided with a fixed frame 110 having both sides of the side wall 112 long before and after parallel to each other as a portion mounted to the entertainment machine, and a vertically coupled to the rear end position of the fixed frame 110 and rotated The drive motor 140, the insert mounting portion 130 which is provided with a coupling body having an upper surface open at the upper end of the position of the front end of the fixed frame 110, and a plurality of products (g) or each of the products (g) A plurality of product cases (gc) are stacked up and down therein, the lower end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insert mounting portion 130, the product loading container 160 and the side wall 112 of both sides of the fixing frame 110 is detachably mounted It is provided to be slidably moved back and forth between the forward and backward in accordance with one rotation of the drive motor 140 is returned to the back and the goods (g) or the goods case of the lowest side in the goods loading container 160 mounted in accordance with the advance ( gc) Sliding plate 120 to be indirectly pushed out, the empty detection sensor 170 coupled to the fixed frame 110 and installed to detect the emptying of the mounted product loading container 160 and the drive motor 140 Control means 190 to control the operation and to generate alarm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detection signal from the empty detection sensor 170.

고정 프레임(110)은 각기 전후로 긴 판체로서 서로 평행되게 양측에 위치되는 한쌍의 양측 측벽(112)을 구비하며, 해당 양측 측벽(112)은 그 하단부를 통해 오락기의 내벽 등에 결합되어 장착될 수 있다. The fixed frame 110 has a pair of both side walls 112 positioned on both sides in parallel to each other as a long plate body before and after, and both side walls 112 may be coupled to the inner wall of the game machine through the lower end thereof. .

구동 모터(140)는 고정 프레임(110)의 후단부 위치의 내부에 결합되어 수직된 상태로 구비되며, 제어 수단(190)의 작동 제어에 따라 해당하는 회수만큼 회전 작동된다. The driving motor 140 is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rear end position of the fixed frame 110 and provided in a vertical state, and is rotated by a corresponding number of times according to the operation control of the control means 190.

삽입 장착부(130)는 고정 프레임(110)의 전단부 위치의 상부에 상면이 개구 되는 통체로서 결합되어 구비되며, 그에 대해 상품 적재통(160)의 하단부가 삽입되어 장착된다. Insertion mounting portion 130 is provided is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fixed frame 110 as a cylinder that is opened, the lower end of the product loading container 160 is inserted and mounted thereto.

이때, 해당 삽입 장착부(130)에 대해 상품 적재통(160)은 형합되도록 긴밀하게 삽입되어 삽입된 상품 적재통(160)은 유동되거나 이탈되지 않을 수 있다. At this time, the product loading container 160 is inserted into the product loading container 160 is closely inserted so as to be combined with respect to the insert mounting portion 130 may not be moved or separated.

물론, 삽입 장착부(130)는 고정 프레임(110)에 대해 상품 적재통(160)이 삽입되어 장착되도록 하는 역할만을 제공하는 것이므로, 도시된 바와 다르게 아예 고정 프레임(110)에 일체화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Of course, since the insertion mounting unit 130 only provides a role of allowing the product loading container 160 to be inserted and mounted with respect to the fixed frame 110, unlike the illustrated figure, the insertion mounting unit 130 may be formed to be integrated with the fixed frame 110. .

상품 적재통(160)은 그 내부에 다수개의 상품(g) 또는 각기 상품(g)이 수납된 다수개의 상품 케이스(gc)가 상하로 적재되어 저장되도록 하는 함체로서, 그 하단부가 상술한 삽입 장착부(130)에 긴밀히 삽입되어 수직 방향으로 세워지게 장착된다. The goods loading container 160 is a housing for storing a plurality of goods (g) or a plurality of goods cases (gc) in which the goods (g) are stored therein. Closely inserted into the 130 is mounted to stand in the vertical direction.

이때, 바람직하게 상품(g)은 상품 케이스(gc) 내에 수납된 상태로 제공되는 것이 좋으며, 그래야만 상품(g) 가치를 향상시킬 수 있으면서, 본 고안에 따른 상품 자동 배출장치(100)의 작동도 원활하면서 정확하게 실시되도록 할 수 있다. At this time, preferably the product (g) is preferably provided in a state stored in the product case (gc), so that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value of the product (g), while also operating the automatic product discharge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done smoothly and accurately.

상품 적재통(160)의 하단부측 후면 상에는 전진되는 슬라이딩 판(120)의 선단부가 삽입되기 위한 후면 삽입공(160a)이 형성되며, 해당 후면 삽입공(160a)에 대향되는 전면 상에는 슬라이딩 판(120)에 의해 밀어지는 상품 케이스(gc)가 배출되는 상품 배출공(160b)이 형성된다. The rear insertion hole 160a for inserting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sliding plate 120 to be advanced is formed on the rear side of the lower end side of the product loading container 160, and the sliding plate 120 on the front surface opposite to the rear insertion hole 160a. The product discharge hole 160b through which the product case gc pushed by the product is discharged is formed.

관련하여, 당연하게 해당 상품 적재통(160)의 하단부가 삽입되어 장착되는 삽입 장착부(130)의 전면과 후면의 대응 부분도 적절히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In this regard, it is obvious that the corresponding portions of the front and rear of the insert mounting portion 130 into which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product loading container 160 is inserted and mounted are also formed to be appropriately opened.

또한, 상품 적재통(160)의 상면 상에는 사용자가 파지하여 편하게 이송시킬 수 있도록 사용자의 두 손가락이 삽입될 수 있는 파지공(160c)이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a gripping hole 160c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roduct loading container 160 in which two fingers of the user can be inserted so that the user can grip and transport the product comfortably.

그리고, 상품 적재통(160)의 측면 상에는 사용자가 그 내부에 적재되어 있는 상품 케이스(gc)의 적재량을 육안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상하로 길게 관통되게 투시 관통공(160d)이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through-hole 160d may be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product loading container 160 so that the user can easily check the loading amount of the product case gc loaded therein with the naked eye. .

나아가, 상품 적재통(160)의 측면 상에는 그것이 삽입 장착부(130)에 삽입되어 장착될 때에 그 삽입 정도가 결정되도록 하기 위해 삽입 장착부(130)의 특정 부분에 걸림될 수 있는 장착 걸림 돌기(160e)가 형성될 수 있다. Furthermore, on the side of the product loading container 160, a mounting catching protrusion 160e that can be caught by a specific portion of the insert mounting portion 130 so that its insertion degree is determined when it is inserted into the insert mounting portion 130 and mounted. Can be formed.

또한 나아가, 상품 적재통(160)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내부에 다수개의 상품 케이스(gc)를 용이하게 투입하여 적재할 수 있도록 그 하나의 측면이 개폐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Furthermore, as shown in FIG. 3, the product loading container 160 may be configured to open and close one side thereof so that a plurality of product cases gc may be easily loaded and loaded therein.

아울러, 상품 적재통(160)의 내부에는 적재된 상품 케이스(gc)를 위에서 그 중량으로 눌러 가장 하부측의 상품 케이스(gc)가 배출된 후에 그 위에 적재되어 있는 상품 케이스들(gc)이 신속하면서 정확하게 낙하 이동되도록 하기 위한 중량판(162)이 구비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inside of the goods loading container 160, by pressing the loaded goods case (gc) by its weight from the top, the goods cases (gc) stacked on it after the product case (gc) of the lowermost side is discharged quickly Weight plate 162 may be provided to accurately move while falling.

이러한 중량판(162)은 그 하강 이동이 가이드될 수 있도록 상술한 투시 관통공(160d)에 대해 그 일 부분이 삽입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The weight plate 162 may be provided with its portion inserted into the above-described perspective through hole 160d so that the downward movement thereof can be guided.

본 고안에 따르면, 상품 적재통(160)이 고정 프레임(110) 상의 삽입 장착부(130)에 대해 탈착 가능하도록 장착되므로, 관리자는 내부에 상품 케이스들(gc)이 미리 적재된 다수개의 상품 적재통(160)을 준비해 놓고 있다가 사용 중인 상품 적재통(160)이 비워지면, 바로 해당 상품 적재통(160)을 들어내고 새로운 상품 적재통(160)을 장착함으로써, 신속하게 상품(g) 보충을 실시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goods loading container 160 is mounted detachably with respect to the insert mounting portion 130 on the fixed frame 110, the manager has a plurality of goods loading containers with goods cases gc preloaded therein. If the product loading container 160 in use is empty and the product loading container 160 is empty, the product loading container 160 is immediately lifted and a new product loading container 160 is mounted, thereby quickly replenishing the product g. It can be carried out.

슬라이딩 판(120)은 고정 프레임(110)의 양측 측벽(112) 사이의 내부에서 전후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것으로, 그 전후 이동은 양측 측벽(112)에 의해 가이드될 수 있다. The sliding plate 120 is slidably moved back and forth in the interior between the side walls 112 of the fixing frame 110, and the front and rear movements thereof may be guided by the side walls 112.

해당 슬라이딩 판(120)은 구동 모터(140)의 회전 작동에 따라 그 이동이 실시되는 것으로, 구동 모터(140)의 회전축(140a)과 간접적으로 간섭되도록 구비된다. The sliding plate 120 is to be moved according to the rotation operation of the drive motor 140, it is provided so as to indirectly interfere with the rotation shaft 140a of the drive motor 140.

상세하게, 일정 길이의 수평 방향으로 구비되는 링크 연장 바(150)를 통해 슬라이딩 판(120)은 구동 모터(140)의 회전축(140a)과 간섭되도록 연결되며, 해당 링크 연장 바(150)는 수직 방향으로 구비되는 구동 모터(140)의 회전축(140a)에 그 일단이 고정되게 결합되고, 그 타단에는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는 아이들 롤러(152)가 결합 구비되며, 해당 아이들 롤러(152)가 슬라이딩 판(120)의 후단부 측에 그 슬라이딩 이동 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는 이동 홈(120a)에 긴밀하게 삽입되어 구비된다. In detail, the sliding plate 120 is connected to interfere with the rotation shaft 140a of the drive motor 140 through the link extension bar 150 provid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a predetermined length, and the link extension bar 150 is vertical. One end is fixedly coupled to the rotation shaft 140a of the drive motor 140 provided in the direction, and the other end is provided with an idle roller 152 that can be freely rotated, and the idle roller 152 is a sliding plate. It is provided in close contact with the moving groove 120a formed long in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sliding movement direction at the rear end side of the 120.

따라서, 도 4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동 모터(140)의 회전에 따라 링크 연장 바(150)도 함께 회전되며, 링크 연장 바(150)의 회전에 따라 그 타단에 결합되어 있는 아이들 롤러(152)의 위치가 변경되고, 그 위치 변경에 대응되도록 슬라이딩 판(120)이 전후로 이동되는 것으로, 구동 모터(140)의 일 회전에 따라 슬라이딩 판(120)은 전진했다가 후진되어 복귀된다. Therefore, as shown in FIGS. 4 and 5, the link extension bar 150 also rotates with the rotation of the drive motor 140, and the idle roller is coupled to the other end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link extension bar 150. The position of the 152 is changed, and the sliding plate 120 is moved back and forth so as to correspond to the position change, and the sliding plate 120 moves forward and then moves backward in accordance with one rotation of the driving motor 140.

즉, 링크 연장 바(150)와 슬라이딩 판(120)의 이동 홈(120a)의 조합 구성을 이용하여 구동 모터(140)의 회전 운동을 슬라이딩 판(120)의 직선 왕복 운동으로 전환시킨다. That is,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drive motor 140 is converted into the linear reciprocating motion of the sliding plate 120 using a combination configuration of the link extension bar 150 and the moving groove 120a of the sliding plate 120.

나아가, 슬라이딩 판(120)은 그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선단부를 통해 직간접적으로 상품 적재통(160) 내의 가장 하부측에 위치된 상품 케이스(gc)를 밀어서 배출시킨다. Furthermore, the sliding plate 120 pushes and discharges the product case gc located at the lowermost side in the product loading container 160 directly or indirectly through the tip portion according to the sliding movement thereof.

도면에는 슬라이딩 판(120)이 간접적으로 상품 케이스(gc)를 밀어서 배출시키는 경우를 나타내었으며, 해당 경우를 살펴 보면, 슬라이딩 판(120)의 상부에 별도의 높이 보강판(122)이 결합되고, 해당 높이 보강판(122)의 상부에 별도의 밀판 부재(124)가 전방으로 보다 돌출되게 결합 구비되어, 슬라이딩 판(120)의 전진에 따라 직접적으로는 밀판 부재(124)가 상품 케이스(gc)를 밀어서 배출시킨다. The figure shows a case in which the sliding plate 120 indirectly pushes the product case gc and discharged. Looking at the case, a separate height reinforcement plate 122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liding plate 120. A separate plate member 124 is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height reinforcing plate 122 to protrude further forward, so that the plate member 124 is directly attached to the product case gc as the sliding plate 120 moves forward. To eject.

엠프티 검출 센서(170)는 고정 프레임(110)에 결합되어 구비되며, 구체적으로 양측 측벽(112) 사이 내부의 하부측에 구비될 수 있다. The empty detection sensor 170 is coupled to the fixed frame 110, and specifically, may be provided at a lower side between the side walls 112.

해당 엠프티 검출 센서(170)는 장착된 상품 적재통(160)이 모두 비워지는 것을 검출하여 검출 신호를 제어 수단(190)으로 송출한다. The empty detection sensor 170 detects that all of the mounted product loading bins 160 are empty and sends a detection signal to the control means 190.

바람직하게, 엠프티 검출 센서(170)는 그 접촉 검출선(172)의 선단부가 상품 적재통(160) 내의 가장 하부측에 위치된 상품 케이스(gc)의 하면에 의해 눌려져 있다가 마지막 상품 케이스(gc)까지 모두 배출되어 그 눌려져 있던 접촉 검출선(172)의 선단부가 상향 이동되면, 반대로 그 후단부가 하향 이동되어 내부의 스위치(미도시)와 접촉이 이루어지고, 그 상태로 일정 시간 유지되면 상품 적재통(160)이 모 두 비워졌음을 검출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empty detection sensor 170 is pressed by the bottom surface of the product case gc located at the lowermost side in the product storage container 160 while the end of the contact detection line 172 is pressed. gc) is discharged all the way up, when the leading end of the pressed contact detection line 172 is moved upward, the rear end is moved downwards to make contact with the internal switch (not shown), if the product is maintained for a certain time in that state It can be detected that the loading container 160 is all empty.

물론, 엠프티 검출 센서(170)가 검출 신호를 일정 시간 동안 계속 발생하면, 제어 수단(190)이 상품 적재통(160)이 모두 비워졌음을 확인하고 시각적 또는 청각적인 알람 정보를 발생시킴으로써, 관리자가 해당 알람 정보를 확인하고 바로 조치할 수 있도록 한다. Of course, if the empty detection sensor 170 continues to generate a detection signal for a certain time, the control means 190 confirms that the goods loading container 160 is all empty and generates visual or audio alarm information, administrator Check the alarm information and take immediate action.

관련하여, 상품 적재통(160)의 하면 상에는 엠프티 검출 센서(170)의 접촉 검출선(172)이 통과되도록 삽입되어 가장 하부측에 위치된 상품 케이스(gc)의 하면에 접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센서 삽입공(160f)이 형성될 수 있다. In relation to this, the contact detection line 172 of the empty detection sensor 170 is inserted through the lower surface of the product loading container 160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product case gc located at the lowermost side. Sensor insertion hole 160f may be formed.

제어 수단(190)은 구동 모터(140) 및 엠프티 검출 센서(1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또한 오락기의 제어부와도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오락기의 제어부가 요청하는 회수만큼 구동 모터(140)를 회전 작동시키고, 엠프티 검출 센서(170)로부터의 검출 신호를 수신받아 알람 정보를 발생시킨다. The control means 19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rive motor 140 and the empty detection sensor 170, and is also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ler of the amusement machine, and the drive motor 140 is provided as many times as requested by the controller of the amusement machine. Rotates and receives alarm signals from the empty detection sensor 170 to generate alarm information.

추가로, 본 고안에 따른 오락기용 상품 자동 배출장치(100)는 고정 프레임(110)의 상면측을 덮어 구동 모터(140)에 의한 회전 작동 부분을 외부로부터 차폐시키기 위한 덮개 프레임(180)을 또한 구비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automatic merchandise dispenser 100 for the entertainm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so covers the upper surface side of the fixed frame 110 and also has a cover frame 180 for shielding the rotary operation portion by the drive motor 140 from the outside. It can be provided.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오락기용 상품 자동 배출장치(100)의 작용에 대해 이하 설명한다. The operation of the automatic merchandise dispenser 100 for amusement machin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below.

오락기는 유희자가 게임을 통해 일정 점수를 획득하거나 당첨이 되면, 그 제어부나 유희자가 조작하는 버튼부의 신호를 통해 내부 장착된 상품 자동 배출장치(100)의 제어 수단(190)으로 상품 배출을 요청한다. When the game machine obtains or wins a certain score through the game, the game machine requests the product discharge to the control means 190 of the automatic product discharge device 100 mounted therein through the signal of the controller or the button operated by the game player. .

그러면, 상품 자동 배출장치(100)의 제어 수단(190)은 요청된 회수만큼 구동 모터(140)를 회전 작동시켜 해당 구동 모터(140)의 일 회전에 따라 하나씩의 상품 케이스(gc)가 신속히 배출되는 식으로 다수개의 상품 케이스(gc)가 배출되도록 한다. Then, the control means 190 of the automatic product discharging device 100 rotates the drive motor 140 by the required number of times to quickly discharge one product case (gc) according to one rotation of the drive motor 140. In this manner, a plurality of product cases gc are discharged.

이때, 구동 모터(140)의 회전 작동에 따라 슬라이딩 판(120)이 전진되어 해당 슬라이딩 판(120)의 전단부에 결합되어 있는 밀판 부재(124)가 장착된 상품 적재통(160)의 하단부측 내부로 삽입되어 상품 케이스(gc)를 밀어내어 배출시킨 후 후진되면, 상품 적재통(160) 내에서는 중량판(162)의 중량에 의해 적재되어 있는 상품 케이스들(gc)이 모두 낙하되어 대기되며, 이후 다시 밀판 부재(124)가 삽입되어 다음의 상품 케이스(gc)를 밀어내는 과정이 반복된다. At this time, the sliding plate 120 is advanced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peration of the drive motor 140, the lower end side of the product loading container 160 equipped with the plate member 124 is coupled to the front end of the sliding plate 120 When the product case gc is inserted into the product case gc to be discharged and retracted, the product case gc loaded by the weight of the weight plate 162 in the product loading container 160 is dropped and is waiting. Then, the plate member 124 is inserted again to push the next product case gc is repeated.

이러한 작용에 따라 장착된 상품 적재통(160) 내의 모든 상품 케이스들(gc)이 배출되어 해당 상품 적재통(160)이 비워지면, 그 상태를 엠프티 검출 센서(170)가 검출하여 제어 수단(190)으로 검출 신호를 송출하고, 그에 대해 제어 수단(190)은 외부로 알람 정보를 발생시킨다. When all the goods cases gc in the goods loading container 160 mounted according to this action are discharged and the corresponding goods loading container 160 is empty, the empty detection sensor 170 detects the state and the control means ( The detection signal is sent to 190, and the control means 190 generates alarm information to the outside.

그러면, 외부의 관리자가 해당 알람 정보를 확인하고 비워진 상품 적재통(160)과 새로운 상품 적재통(160)을 교환시킨다. Then, the external manager checks the corresponding alarm information and exchanges the empty product loading container 160 and the new product loading container 160.

이상, 상기 내용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단지 예시한 것으로 본 고안의 당업자는 본 고안의 요지를 변경시킴이 없이 본 고안에 대한 수정과 변경을 가할 수 있음을 인지해야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above description merely illustrate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should recognize that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changing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오락기용 상품 자동 배출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utomatic merchandise discharge device for entertainmen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오락기용 상품 자동 배출장치에 대한 분리 사시도,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automatic merchandise ejector device for entertainmen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오락기용 상품 자동 배출장치에 구비되는 상품 적재통에 대한 분리 사시도,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goods loading container provided in the automatic goods discharge device for entertainmen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오락기용 상품 자동 배출장치의 작용을 나타내는 도면, Figure 4 is a view showing the action of the automatic merchandise ejector device for entertainmen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오락기용 상품 자동 배출장치에 구비되는 구동 모터의 작용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5 is an explanatory view showing the action of the drive motor provided in the automatic merchandise dispenser for amusement machin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상품 자동 배출장치 110 : 고정 프레임100: automatic product discharge device 110: fixed frame

112 : 양측 측벽 120 : 슬라이딩 판112: side walls 120: sliding plate

120a : 이동 홈 122 : 높이 보강판120a: moving groove 122: height reinforcement plate

124 : 밀판 부재 130 : 삽입 장착부124: sealing member 130: insert mounting portion

140 : 구동 모터 140a : 회전축140: drive motor 140a: rotating shaft

150 : 링크 연장 바 152 : 아이들 롤러150: link extension bar 152: idle roller

160 : 상품 적재통 160a : 후면 삽입공160: product loading container 160a: rear insertion hole

160b : 상품 배출공 160c : 파지공160b: product discharge hole 160c: gripping hole

160d : 투시 관통공 160e : 장착 걸림 돌기160d: see-through hole 160e: mounting projection

160f : 센서 삽입공 162 : 중량판160f: sensor insertion hole 162: weight plate

170 : 엠프티 검출 센서 172 : 접촉 검출선170: empty detection sensor 172: contact detection line

180 : 덮개 프레임 190 : 제어 수단180: cover frame 190: control means

g : 상품 gc : 상품 케이스g: product gc: product case

Claims (6)

오락기에 대해 장착되는 부분으로 서로 평행되는 전후로 긴 양측 측벽을 구비하는 고정 프레임; A fixed frame having both sidewalls long before and after parallel to each other as a portion mounted relative to the game machine; 상기 고정 프레임의 후단부 위치에 수직 방향으로 결합 구비되며 회전 작동되는 구동 모터; A drive motor coupled to the rear end of the fixed frame in a vertical direction and rotationally operated; 상기 고정 프레임의 전단부 위치의 상부에 상면이 개구되는 통체로 구비되는 삽입 장착부; An insert mounting portion provided with a cylinder having an upper surface opened at an upper end of a position of a front end portion of the fixed frame; 각기 상품이 수납된 다수개의 상품 케이스가 내부에 상하로 적재되는 함체로서 하단부가 상기 삽입 장착부 내로 삽입되어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상품 적재통; A goods stacking container in which a plurality of goods cases in which goods are stored, are loaded up and down inside the lower part of the product loading container into which the lower part is inserted into the insert mounting part and detachably mounted; 상기 양측 측벽 사이에서 전후로 가이드되면서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구동 모터의 일 회전에 따라 전진 후 후진 복귀되고 그 전진에 따라 장착된 상기 상품 적재통 내의 가장 하부측의 상기 상품 케이스를 밀어서 배출시키는 슬라이딩 판; The sliding plate is provided to be slidably moved back and forth between the two side walls and is moved back and forth according to one rotation of the drive motor, and a sliding plate for pushing and discharging the goods case of the lowermost side in the goods storage container mounted according to the advance. ; 상기 고정 프레임에 결합 구비되며 장착된 상기 상품 적재통 내부가 비워지는 것을 검출하는 엠프티 검출 센서; 및 An empty detection sensor coupled to the fixed frame and detecting emptying of the inside of the product loading container; And 상기 구동 모터를 작동 제어하고 상기 엠프티 검출 센서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따라 알람 정보를 발생하는 제어 수단; 을 포함하는 오락기용 상품 자동 배출장치.Control means for operationally controlling the drive motor and generating alarm information in accordance with a detection signal from the empty detection sensor; Automatic merchandise discharge device for entertainment comprising a.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구동 모터의 회전축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에는 상기 슬라이딩 판의 후단부 상에 그 슬라이딩 이동 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이동 홈에 삽입되는 아이들 롤러가 결합되는 링크 연장 바; 를 더 포함하는 오락기용 상품 자동 배출장치.A link extension bar having one end fixed to a rotating shaft of the drive motor and an idle roller inserted into a moving groove formed on a rear end of the sliding plate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sliding movement direction; Automatic merchandise discharge device for entertainment comprising a more.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상품 적재통은, The goods loading container, 내부 적재되는 상기 상품 케이스를 위에서 무거운 중량으로 누르도록 구비되는 중량판; A weight plate provided to press the product case loaded inside with a heavy weight from above; 하단부측 후면 상에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 판의 선단부가 삽입되는 후면 삽입공; 및 A rear surface insertion hole formed on a rear surface of a lower end side and into which a front end portion of the sliding plate is inserted; And 상기 후면 삽입공에 대향되는 전면 상에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 판에 의해 밀어지는 상기 상품 케이스가 배출되는 상품 배출공; 을 구비하며, A product discharge hole formed on a front surface opposite to the rear insertion hole to discharge the product case pushed by the sliding plate; Equipped with 상기 상품 케이스를 투입하여 적재하기 위해 일 측면이 개방되거나 개폐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락기용 상품 자동 배출장치.Automatic merchandise ejector device for entertainment, characterized in that the one side is configured to open or open to load the goods case. 제 3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상품 적재통은, The goods loading container, 사용자가 손가락을 삽입하여 파지하도록 상면 상에 형성되는 파지공; A gripping hole formed on an upper surface so that a user inserts and holds a finger; 측면 상에 상하로 길게 형성되어 내부 적재된 상기 상품 케이스의 적재량을 육안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투시 관통공; Perforated through-holes that are formed vertically long on the side to visually check the loading amount of the product case loaded inside; 상기 삽입 장착부에 삽입되어 장착될 때 상기 삽입 장착부의 특정 부분에 걸림되어 삽입 정도가 결정되도록 하는 장착 걸림 돌기; 및 A mounting catching protrusion which is caught by a specific portion of the insert mounting portion to determine the insertion degree when the inserting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insert mounting portion; And 상기 엠프티 검출 센서의 일부가 통과되도록 삽입되어 내부 적재된 가장 하부측의 상기 상품 케이스의 하면과 접촉되도록 하는 센서 삽입공; 을 더 구비하며, A sensor insertion hole inserted into a portion of the empty detection sensor so as to be in contact with a bottom surface of the product case on the lowermost side loaded inside; Further provided, 상기 중량판의 일 부분이 상기 투시 관통공에 삽입되도록 구비되어 그 하강 이동이 가이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락기용 상품 자동 배출장치.Part of the weight plate is provided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through-hole through the product automatic discharge device for entertainment, characterized in that the downward movement is guided.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엠프티 검출 센서는, The empty detection sensor, 상기 상품 적재통 내에 적재된 가장 하부측의 상기 상품 케이스와 접촉되어 있다가 상기 상품 케이스의 배출에 따라 접촉 해제되는 것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락기용 상품 자동 배출장치.And being in contact with the goods case of the lowest side loaded in the goods storage container and detecting contact release according to the discharge of the goods case.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고정 프레임의 상면측을 덮어 내부 부분을 외부에 대해 차폐시키는 덮개 프레임; 을 더 포함하는 오락기용 상품 자동 배출장치.A cover frame covering an upper surface side of the fixing frame to shield an inner portion from the outside; Automatic merchandise ejector device for containing more.
KR2020080014053U 2008-10-22 2008-10-22 Gift automatic discharge apparatus used for game machine KR200444021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4053U KR200444021Y1 (en) 2008-10-22 2008-10-22 Gift automatic discharge apparatus used for game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4053U KR200444021Y1 (en) 2008-10-22 2008-10-22 Gift automatic discharge apparatus used for game machi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4021Y1 true KR200444021Y1 (en) 2009-04-02

Family

ID=413476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4053U KR200444021Y1 (en) 2008-10-22 2008-10-22 Gift automatic discharge apparatus used for game machi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4021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9105B1 (en) * 2016-10-31 2017-07-31 오현상 Cure game assembly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9105B1 (en) * 2016-10-31 2017-07-31 오현상 Cure game assembl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6968B1 (en) Apparatus for selling goods manually
KR200444021Y1 (en) Gift automatic discharge apparatus used for game machine
JP4919022B2 (en) Game machine
JP4693000B2 (en) Amusement media receiving box and gaming machine
KR101278607B1 (en) A picking commodity type game machine
JP2003325750A (en) Sub tank and slot machine with the same
JP2007319429A (en) Token dispenser
JPH06285238A (en) Prize medal dispenser for medal game machine
JP5646293B2 (en) Bar metal coin processing equipment
JP3028060B2 (en) Goods dispensing device
JP4497286B2 (en) Game machine
JP3072038B2 (en) Prize acquisition game machine
JPH05166043A (en) Coin box structure for automatic vending machine
KR20110080273A (en) A picking commodity type game machine
JPH0143099Y2 (en)
JP5083549B2 (en) Operation table and game machine
JP2004298453A (en) Sandwiched token dispenser
KR101501424B1 (en) Game apparatus for discharging free gifts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JP3662537B2 (en) Medal game machine
JPH06165873A (en) Premium handful grasping game machine
JP4567014B2 (en) Bullet ball machine
JP2020130956A (en) Game machine
JP2020130955A (en) Game machine
JP4172809B2 (en) Revolving machine
JP2020130953A (en) Game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