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3958Y1 - Structure of handles in vessel made of paper for safe grasp - Google Patents

Structure of handles in vessel made of paper for safe grasp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3958Y1
KR200443958Y1 KR2020070006207U KR20070006207U KR200443958Y1 KR 200443958 Y1 KR200443958 Y1 KR 200443958Y1 KR 2020070006207 U KR2020070006207 U KR 2020070006207U KR 20070006207 U KR20070006207 U KR 20070006207U KR 200443958 Y1 KR200443958 Y1 KR 2004439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line
paper container
cut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6207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80004750U (en
Inventor
최정회
Original Assignee
최정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정회 filed Critical 최정회
Priority to KR20200700062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3958Y1/en
Publication of KR2008000475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4750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39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3958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A47G19/2266Means for facilitating drinking, e.g. for infants or inval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8Handles
    • B65D25/2802Handles fixed, i.e. non-swingable, handles
    • B65D25/2805Handles fixed, i.e. non-swingable, handles provided on a local area of the side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208Means facilitating suspending, lifting, handling, or the like of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12Safety asp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안전한 파지를 위해 종이용기에 내장된 손잡이의 구조는, 내피(11) 및 외피(12)로 이루어진 이중 재질의 종이 용기(10)에서 외피(12)에 일정 면적을 가지도록 점선 형태로 절개된 절취선(20)을, 종 방향으로 일정 폭을 가진 중앙부(35)를 중심으로 대칭적으로 형성하여, 상기 절취선(20)을 절개함으로 상기 절취선(20) 내부 면적에 의하여 손잡이(30)가 도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tructure of the handle embedded in the paper container for safe gripp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rm of a dotted line to have a certain area on the outer shell 12 in the paper container 10 of the double material consisting of the inner shell 11 and the outer shell 12. The cut line 20 cut into the symmetrical shape is formed symmetrically about a central portion 35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handle 30 is formed by cutting the cut line 20 by the inner area of the cut line 20. Characterized in that is derived.

본 고안에 따른 안전한 파지를 위해 종이용기에 형성된 손잡이의 구조에 따르면, 종이 용기의 자체 재질을 통해 손잡이를 편리하게 형성함으로 별도로 손잡이 구조를 용기에 부착하는 방식보다 실용적이고, 간편한 장점을 가지고, 손잡이가 용기에서 잘 떨어짐과 동시에 양 단부를 편리하게 부착하도록 함으로 사용상의 편의성을 증강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질 뿐 아니라, 손잡이의 면이 평면이 아니라, 입체적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여 보다 안전하게 종이 용기를 지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the handle formed in the paper container for safe gripp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conveniently forming the handle through its own material of the paper container has a practical, convenient advantage than the method of attaching the handle structure to the container separately, Not only has the advantage of enhancing the ease of use by easily detaching from the container but also attaching both ends conveniently, and the surface of the handle can be formed in a three-dimensional structure instead of a flat surface, thereby making the paper container safer. It has a supportable effect.

Description

안전한 파지를 위해 종이용기에 형성된 손잡이의 구조{STRUCTURE OF HANDLES IN VESSEL MADE OF PAPER FOR SAFE GRASP}STRUCTURE OF HANDLES IN VESSEL MADE OF PAPER FOR SAFE GRASP}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종이용기에 형성된 손잡이의 특정 형상을 예시한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pecific shape of the handle formed in the paper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따른 손잡이를 돌출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andle according to Figure 1 protrudes.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종이용기에 추가로 장착되는 안내부와 보강부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및 부분 확대도.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and a partially enlarged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guide portion and the reinforcement portion additionally mounted in the paper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종이용기에 형성되는 접철선과 절취띠의 구성을 고시한 사시도.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fold line and the cutting strip formed in the paper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도 4에 따른 구성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5 is a use state diagram showing a use state of the configuration according to FIG. 4;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종이 용기 41: 접착층10: paper container 41: adhesive layer

11: 내피 42: 커버11: inner 42: cover

12: 외피 50: 보강부12: outer 50: reinforcement

20: 절취선 60: 접철선20: tear line 60: tangential line

30: 손잡이 70: 필렛부30: handle 70: fillet

40: 안내부 80: 절취띠40: guide 80: cut band

본 고안은 안전한 파지를 위해 종이용기에 형성된 손잡이의 구조로서, 보다 상세히는 이중 재질 층으로 이루어진 컵라면, 물 컵과 같은 종이 재질의 용기에서 외측의 종이 층이 절개선에 의하여 외부로 노출되어 손잡이 형상을 가짐과 동시에 절개의 용이성을 보장하고 파지의 안전성을 보장하는 종이 용기에 형성된 손잡이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structure of a handle formed in a paper container for safe gripping, more specifically, if the cup is made of a double material layer, the outer paper layer is exposed to the outside by a cut line in a paper container such as a water cup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ructure of a handle formed in a paper container which has a shape and at the same time ensures ease of cutting and a safety of gripping.

용기는 물건을 담은 그릇을 의미하는 것으로, 일상 생활분야에서 상당히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그 사용 역사도 오래된 만큼 다양한 재질과 용도를 가진 제품이 출시되고 있다.A container means a container of things, and products with various materials and uses have been released since they are widely used in everyday life and have a long history of use.

특히 종이 용기는 제작의 용이성과 비용의 절감, 더불어 1회성으로 사용하기편리하고 재활용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간편한 용도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바, 특히 국내에서는 1980년에서부터 유행하기 시작한 간편 조리식 라면, 일명 컵라면의 용기로 널리 활용되고 있으며 얼마 전 합성수지재로 제작된 용기의 유해성분에 의하여 환경호르몬이 검출되었다는 보고에 의하여 종이 용기를 사용하는 것이 더욱 보편화되고 있는 추세이다.In particular, paper containers are widely used for ease of production and cost reduction, as well as being convenient for one-time use and recyclable. In particular, in Korea, simple cooking ramen, which has been popular since 1980, is known as cups. It has been widely used as a container for ramen, and it is becoming more common to use paper containers due to reports that environmental hormones have been detected by harmful components of containers made of synthetic resin materials.

종이 용기는 이러한 컵라면의 용기로서 사용되는 것 이외에 통상의 물 컵의 재질로서도 널리 사용되고 있고 라면 내지 액체와 맞닿게 되는 내측에 특수 코팅 처리를 하여 쉽사리 젖어 뜯어지는 문제를 해결하고 있다.In addition to being used as a container for such cup noodles, a paper container is widely used as a material for a normal water cup, and solves the problem of being easily wetted by a special coating treatment on the inner side in contact with the ramen or liquid.

그런데, 쉽사리 젖는 문제는 어느 정도 해결이 되고 있으나 열 전도성이 높은 얇은 두께의 종이 용기 내에 라면 조리를 위하여 뜨거운 물이 담겨지거나 커피와 같이 일정 온도 이상의 액체가 수용될 경우에는 순간적으로 사용자가 뜨거움을 느껴 용기를 놓치게 되어 화상 위험이 있거나 파지 자체의 어려움을 갖게 된다는 문제점이 발생하곤 하였다.By the way, the problem of easy wet is solved to some extent, but if the liquid is contained in a thin paper container with high thermal conductivity, hot water is contained for cooking or liquid is contained at a certain temperature such as coffee. The problem of missing containers is that there is a risk of burns or the difficulty of gripping itself.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국내 실용신안 공보를 참조하면 컵라면과 같은 종이 용기에 손잡이를 장착하는 용기의 구조가 실용신안등록출원 제 20-1987-0022746호를 비롯하여 다수 개 게시되어 있다.In order to prevent such a problem, referring to the domestic utility model publication, the structure of a container for attaching a handle to a paper container such as a cup noodles has been published a number of applications, including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1987-0022746.

이러한 여러 손잡이를 장착한 종이 용기 구조에서, 국내 실용신안공고번호 제 20-0196992호인 '종이용기에 끼워 용기를 안전하게 들 수 있게 구성된 손잡이'를 참조하면 '손잡이를 손잡이 받침판에서 분리시켜 중앙선이 그어진 부분에서 구부려 손잡이가 마주보게 형성하여 손잡이 당김판과 손잡이 고정핀을 종이용기의 상하부에 천공된 통공홈에 삽입 결합 구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손잡이를 파지함으로 화상의 우려 없이 안전하게 뜨거운 액체가 담긴 종이 용기를 들 수 있는 효과가 있다고 게시되어 있다.In the paper container structure equipped with such handles, refer to 'Knob configured to safely hold the container by inserting it into a paper container', which is the 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196992. The handle pull plate and the handle fixing pin are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drilled in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paper container by bending at the upper part of the paper container. It is said to have an effect.

그런데 상기 기술에 따른 손잡이는 별도의 구성으로 종이용기에 결합 장착을 해야 함으로써 제작비용의 상승과 컵라면과 손잡이를 동시에 구비해야 사용이 가능하다는 번거로움을 가지고 있을 뿐 아니라, 통공홈에 손잡이가 결합될 때 종이 재 질의 통공홈이 용기 내의 수용체의 무게에 의하여 쉽사리 찢어질 수 있어 안전성이 보장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다.By the way, the handle according to the above technology has to be combined and mounted in a paper container as a separate configuration as well as having a hassle that it can be used only when the increase in manufacturing cost and the cup noodle and the handle at the same time, the handle is coupled to the through groove When the through hole of the paper material can be easily torn by the weight of the container in the contain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afety is not guaranteed.

또한, 국내 등록특허 제 534527호 "손잡이가 형성된 종이용기"에 의하면, 용기의 상단에 끝말기부를 형성하고 하단에 열용착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용기 상, 중, 하부에 공기 절연층을 두기 위한 융기부를 형성하고 재생코팅 마닐라지를 이용하여 양단에 손잡이가 구성된 외피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어 상기 국내 실용신안공고번호 제 20-0196992호보다 안정성을 보강한 구조를 가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Korean Patent No. 534527 "Paper container with a handle", a bump for forming an end portion at the top of the container and a heat weld at the bottom, and at the same time to put an air insulation layer on the top, middle, and bottom of the container Forming the part and using the regenerated coating manilaji to configure the outer shell consisting of a handle on both ends' it can be seen that it has a structure reinforced with stability than the domestic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196992.

그러나 국내 등록특허 제 534527호 역시 손잡이가 별도 구성에 의하여 용기에 결합이 되어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고 또한 용기 자체의 복잡한 구성 처리에 의하여 제작비용이 상승한다는 문제점이 있어 상업성이 없다는 지적이 따를 수가 있다. However, Korean Patent No. 534527 also has the inconvenience that the handle should be coupled to the container by a separate configuration,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roduction cost is increased by the complex configuration process of the container itself can be pointed out that there is no commercial.

이 외의 여러 선행기술을 참조한 결과, 종이 용기에서 분리된 별도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손잡이가 용기에 결합되어야 손잡이 본연의 용도로 사용 가능하다는 점에서 상기 언급한 기술상의 문제점을 그대로 포함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물론, 국내 실용신안공고번호 제 163989호 '손잡이를 갖는 보온, 단열용 종이컵'의 경에는 2중의 종이 재질 중 외층에서 손잡이가 파생되도록 한 점은 주목할만하나, 종이컵에 별도의 컵을 덧씌워서 사용한다는 점에서는 상기 기술의 특성과 별반 차이점이 없다고 할 수 있다.As a result of referring to other prior arts, it can be seen that the handle having a separate configuration separated from the paper container includes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in that it can be used for the purpose of the handle only when combined with the container. . Of course, the 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163989 'Holding and insulating paper cup with a handle' is notable that the handle is derived from the outer layer of the double paper material, but it is used by attaching a separate cup to the paper cup In that respect, it can be said that there is no difference from the characteristics of the above technology.

따라서 별도의 결합 구성의 도움 없이 종이 용기 자체의 구성을 그대로 사 용하면서 종이 용기에 일체적으로 장착되어 있는 손잡이 구조를 제시하여 사용상의 간편함을 추구하되, 안정성까지 보장된 손잡이 구조의 필요성이 대두되는 현실이다. Therefore, the use of the configuration of the paper container itself without the help of a separate coupling configuration, while presenting a handle structure that is integrally mounted on the paper container to pursue the ease of use, but the need for a handle structure that ensures stability has emerged It is a reality.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외피와 내피의 이중 재질로 이루어진 종이 용기에서 외피로부터 손잡이가 도출될 수 있도록 하되, 손잡이가 평면 구조를 갖지 않고 입체 구조를 갖도록 하여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는 종이 용기의 손잡이 형성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overcome the above problems, but in the paper container made of a double material of the outer shell and the inner shell so that the handle can be derived from the outer shell, the handle does not have a flat structure to ensure a three-dimensional structure to ensure stability To provide a handle forming structure of a paper container.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손잡이 단부에 안내부를 형성하여 외피에서 쉽사리 절개하기 쉽도록 하고, 안내부에 접착부를 형성함으로 양 손잡이의 결속력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orm a guide portion in the handle end to facilitate the easy incision in the outer shell, to form an adhesive portion in the guide to ensure the binding force of both handles.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손잡이가 도출되는 양 부위 사이에 찢김 방지를 위한 보강부를 추가로 장착하는 것이다. Yet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dditionally mount a reinforcement part for preventing tearing between the two parts from which the handle is draw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안전한 파지를 위해 종이용기에 내장된 손잡이의 구조는, 내피(11) 및 외피(12)로 이루어진 이중 재질의 종이 용기(10)에서 외피(12)에 일정 면적을 가지도록 점선 형태로 절개된 절취선(20)을, 종 방향으로 일정 폭을 가진 중앙부(35)를 중심으로 대칭적으로 형성하여, 상기 절 취선(20)을 절개함으로 상기 절취선(20) 내부 면적에 의하여 손잡이(30)가 도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structure of the handle embedded in the paper container for safe gripp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ner shell 11 and the outer shell 12 made of a double material of the paper container 10 made of the outer shell 12 The cut line 20 cut in a dotted line shape to have a predetermined area is formed symmetrically about a central portion 35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cut line 20 is cut by cutting the cut line 20.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handle 30 is derived by the inner area.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not drawn to scale, and like reference numerals in each of the drawings refer to like elements.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종이 용기에 형성된 손잡이의 각기 다른 형상의 3개의 구조를 예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종이 용기에서 손잡이가 절개된 다음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ree structures of different shapes of a handle formed in a paper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andle is cut and then coupled to the paper container.

본 고안자는 종이 용기 중 특히 컵라면과 같은 용기는 내피(11)와 외피(12)라는 두 겹의 종이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인식하여, 별도의 구성을 용기에 추가 부착하지 않고서도 종이 용기 자체에서 손잡이 구조가 발현될 수 있는 구조를 고안하게 되었다.The inventors recognize that paper containers, especially cup noodles, are made of two layers of paper material, namely the inner shell 11 and the outer shell 12, so that the handle on the paper container itself is not attached to the container. We have devised a structure in which the structure can be expressed.

구체적으로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종이 용기의 손잡이 구조는 내피(11) 및 외피(12)로 이루어진 이중 재질의 종이 용기 중 외피(12)에 일정 면적, 즉 손잡이(30)의 형상을 가지도록 점선 형태로 절개된 절취선(20)을 일정 폭을 가진 중앙부(35)를 중심으로 대칭적으로 형성하여, 사용자가 절취선(20)을 따라 손잡이(30)를 뜯어내는 방식으로 외피(12) 자체에서 손잡이(30)가 도출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음을 알 수 있다.Specifically, referring to Figure 1, the handle structure of the paper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certain area, that is, the shape of the handle 30 of the outer shell 12 of the paper container of the double material consisting of the inner shell 11 and the outer shell 12 The perforated line 20 cut in a dotted line shape is formed symmetrically about a central portion 35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so that the user can tear off the handle 30 along the perforated line 20. It can be seen that the handle 30 is derived from itself).

또한, 도 2를 보아 알 수 있듯이,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절취선(20)에 의 하여 외피(12)에 형성된 손잡이(30)를 절개하여 양 손잡이(30)가 중앙부(35)를 중심으로 내측 방향으로 모아지도록 하여 최종적으로 종이 용기(10)를 들을 수 있는 손잡이(30)로서 사용 가능하도록 이루어져 있다.In addition, as can be seen from Figure 2, the handle 30 formed in the outer shell 12 by the cutting line 20 as shown in Figure 1 by cutting both handles 30 to the center portion 35 as the center. It is made to be used as a handle 30 which can finally collect the paper container 10 so that it may collect in an inward direction.

이러한 절취선(20)에 의한 손잡이(30)의 절개 구조는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일자형(도 1(a)) 및 90도 회전된 U 자 형(도 1(b))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고, 이 외에도 일자형의 손잡이 구조를 변형한 것으로 하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양 손잡이(30)가 V 자 형상(도 1(c) 참조)을 가지도록 하여 중력방향으로 쏠리는 용기의 무게에 적절히 지지할 수 있는 상태를 부여함과 동시에 사용자에게 안정적인 파지감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였다.  The cutting structure of the handle 30 by the cutting line 20 can be made of a straight (Fig. 1 (a)) and a U-shaped (Fig. 1 (b)) rotated 90 degrees, as shown in FIG. In addition, it is a modification of the straight handle structure to be inclined downward so that both handles 30 have a V-shape (see Fig. 1 (c)) can be properly supported to the weight of the container is pulled in the direction of gravity At the same time to provide a stable grip to the user.

중앙부(35)는 절취선(20)에 의해 양 측의 형성된 손잡이(30)의 중심 부위에 형성된 종 방향 라인 내지 중심 면적 부위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이는 일정 수준의 폭을 가지도록 이루어져 손잡이(30)가 외피(12) 주변 부위에서 쉽사리 찢겨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entral portion 35 refers to a longitudinal line or a central area portion formed at the center portion of the handle 30 formed at both sides by the perforation line 20, and the handle 30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level of width. It is desirable to prevent easy tearing at the site around the shell 12.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손잡이의 단부에 형성된 안내부(40) 및 중앙부(35) 및 그 주변 부위에 형성된 보강부(50)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guide portion 40 and the central portion 35 formed in the end of the han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reinforcement portion 50 formed in the peripheral portion thereof.

도 3을 참조하면, 손잡이(30)의 단부, 즉 절취선(20)의 바깥 단에는 절취선(20) 없이 바깥 측으로 일정 노출 연장이 되어 있는 안내부(4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it can be seen that an end portion of the handle 30, that is, an outer end of the perforated line 20, has a guide portion 40 extending to a predetermined exposure to the outside without the perforated line 20.

이러한 안내부(40)는 손잡이(30)를 사용하기 위해 사용자가 절취선(20)을 뜯 어내기 편리하도록 절취선(20) 전개 절차의 초기 안내 역할을 담당하는 것으로,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추가적으로 안내부(40)의 중앙에는 통공이 형성되어 양 측의 손잡이(30)를 만나게 한 다음 사용자가 이에 손가락을 걸어 손잡이(30)의 안전하고 편리한 사용을 보조하는 기능을 담당할 수도 있다.The guide portion 40 serves as an initial guide of the tear line 20 deployment procedure to facilitate the user to tear off the tear line 20 to use the handle 30, but is not shown in the figure, but additionally guided A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part 40 to meet the handle 30 on both sides, and the user may play a function of assisting the safe and convenient use of the handle 30 by putting a finger thereon.

더불어, 안내부(40)의 중앙 부위에 접착제가 도포된 접착층(41)을 형성하고 이 접착층(41) 상에는 보호부재, 즉 비닐과 같은 커버(42)를 적층하여 사용자가 커버(42)를 떼어낸 다음 양측의 손잡이(30)를 서로 만나게 하여 양 안내부(40)의 접착층(41)끼리 서로 접착하게 함으로써 손잡이(30)의 편리하고 견고한 체결 상태를 보장할 수가 있다. 커버(42)에는 바깥 측으로 약간 돌출이 된 돌출부를 추가로 구비하여 접착층(41)에서 분리하기 용이하게 이루어져 있다.In addition, the adhesive layer 41 is formed on the central portion of the guide portion 40, and a protective member, that is, a cover 42 such as vinyl, is laminated on the adhesive layer 41 so that the user removes the cover 42. After making the handles 30 on both sides to meet each other, the adhesive layers 41 of both guide parts 40 adhere to each other, thereby ensuring a convenient and secure fastening state of the handle 30. The cover 42 further includes a protrusion that slightly protrudes outward to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adhesive layer 41.

본 고안에 따른 보강부(50)는 중앙부(35)를 따라 종 방향으로 일자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손잡이 사이 공간의 상단 내지 절취선(20) 형성 부위의 상단에 적절한 폭을 이루도록 별도의 종이재 내지 합성수지재가 추가적으로 외피(12)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3에서는 마치 십자형상으로 보강부가 이루어져 있는 것을 알 수 있으나, 보강부(50)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손잡이가 찢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기타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reinforcement part 5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a longitudinal shape along the center part 35 or has a separate paper material or synthetic resin material so as to have an appropriate width at the upper end of the space between the handles or the perforated line 20. In addition, it means attached to the outer shell (12). In FIG. 3, it can be seen that the reinforcement part is formed in a cross shape, but the shape of the reinforcement part 50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formed to have other shapes to prevent the handle from being torn.

이러한 보강부(50)는 손잡이(30)에서 종이 용기(10)와의 접합 부위가 불필요하게 찢어져 손잡이(30)가 외피(12)에서 아예 이탈되거나 중력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여 손잡이(30)의 상단 부위가 찢겨지거나 덜렁거리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This reinforcement 50 is unnecessarily torn the joint portion of the handle 30 with the paper container 10, the handle 30 is completely detached from the outer shell 12 or the force in the direction of gravity acts on the top of the handle 30 It serves to prevent tearing or flapping of the area.

도 4는 손잡이(30)를 형성하는 절취선(20)의 내측에 형성된 접철선(60) 및 중앙부(35)에 추가로 부착이 되는 절취띠(80)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따른 구성에 의하여 입체적인 손잡이(30)가 형성되는 것을 예시한 사시도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fold line 60 formed in the inner side of the cut line 20 forming the handle 30 and the cut band 80 that is additionally attached to the central portion 35, and FIG.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at the three-dimensional handle 30 is formed by the configuration according to FIG. 4.

도 1 내지 도 3에 따른 손잡이(30)는 좌우 측 외피(12)의 만남으로 인하여 두 겹의 재질로 구성이 되어 찢김이 방지되는 등의 일정 수준의 안정성을 보장하기에 충분한 상태를 이루나, 손잡이(30)의 면이 평면 구성을 이루고 있어 날이 선 상태를 이루기 때문에 사용자의 손에 자극을 줄 수가 있고 파지감이 좋지 않을뿐더러 불안정한 상태로 용기 자체가 뒤뚱거리거나 흔들릴 수 있는 우려가 발생할 수도 있다. The handle 30 according to FIGS. 1 to 3 is formed of two layers of materials due to the meeting of the left and right outer shells 12 to achieve a state sufficient to ensure a certain level of stability such as preventing tearing. Since the surface of the (30) has a flat configuration, the blade is in a linear state, which may irritate the user's hand, may not be a good grip, and may cause the container itself to stumble or shake in an unstable state.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취선(20)에서 일정 폭만큼 내측 방향으로 절취선(20)의 연장 라인을 따라 접철선(60)을 형성하고 중앙부(35)와의 접촉 부위 및 절취선(20)의 모서리 부위에는 내측으로 곡률지게 함입된 필렛부(70)를 형성함과 동시에, 중앙부(35)가 종 방향으로 일자 형 라인으로 형성되었다고 가정할 경우 이러한 중앙부(35)의 라인을 따라 내측에 접착제가 함유된 절취띠(80)를 추가적으로 부착한다.In order to prevent such a problem, as shown in FIG. 4, the fold line 60 is formed along the extension line of the cut line 20 in the inward direction by a predetermined width in the cut line 20, and the contact portion with the central portion 35 and Assuming that the center portion 35 is formed as a straight lin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ile forming the fillet portion 70 curved inwardly at the corner portion of the perforated line 20, the line of the center portion 35 is formed. Accordingly, the cutting band 80 containing the adhesive is additionally attached.

접철선(60)은 가는 실선 형태로 내측으로 살짝 함입된 연장선을 의미하는 바, 이는 사용자가 접철선(60)을 중심으로 손잡이(30)를 일 방향으로 접기 쉽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담당한다.The fold line 60 refers to an extension line that is slightly recessed inward in the form of a thin solid line, which serves to guide the user to easily fold the handle 30 in one direction about the fold line 60.

도 5를 참조하면, 절취선(20)에 의하여 도출된 손잡이(30)에서 접철선(60)을을 통해 손잡이(30)의 둘레를 안쪽 방향으로 접되, 내측으로 절개된 필렛부(70)에 의하여 별도로 중앙부(35) 내지 주변 외피(12)와의 경계 부위를 억지로 뜯어낼 필요 없이 편리하게 접을 수가 있고 필렛부(70)는 각이 지지 않도록 곡률 처리가 되어 행여 이 부위에 의하여 손잡이(30)가 중앙부(35) 내지 주변 외피(12) 부위를 따라 종이 용기(10)에서 불필요하게 찢겨 나가는 현상을 방지할 수가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periphery of the handle 30 is folded inwardly through the fold line 60 in the handle 30 derived by the cutting line 20, and the fillet part 70 cut inwardly. Separately, it can be conveniently folded without the need to forcibly remove the boundary portion from the center portion 35 to the outer shell 12, and the fillet portion 70 is curvature so as not to be angled so that the handle 30 is moved by the portion. Unnecessary tearing can be prevented from the paper container 10 along the portion 35 to the peripheral shell 12.

이 때, 접철선(60) 내측 부위에 형성된 면적(향후 손잡이가 되는 부분)의 폭은 중앙부(35)(여기서의 중앙부는 절취선 사이 부위에서 종 방향 일자형 폭을 의미)의 폭과 일치하여야 하고, 결국 절취선(20)으로 둘러싸인 부위의 폭은 중앙부(35)보다 두껍게 이루어진다.At this time, the width of the area formed in the inner part of the fold line 60 (the part which will be a future handle) should coincide with the width of the center part 35 (where the center part means the longitudinal straight width at the part between the perforations), As a result, the width of the portion surrounded by the perforated line 20 is made thicker than the central portion (35).

또한, 접착제가 내측에 적층된 절취띠(80)는 중앙부(35)로부터 떼어낼 수가 있되, 내측에 일정 접착제를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일정 수준의 접착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손잡이(30)를 절취선(20)에서 분리하여 중앙부(35) 방향으로 모은 다음 접철선(60)을 통해 손잡이(30)의 둘레를 안쪽 방향으로 접음으로 별도의 면이 형성되고, 이러한 별도로 형성된 면 부위에 절취띠(80)를 붙임으로 결국 손잡이(30)는 육면체와 같은 입체 형상을 가질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cutting band 80 in which the adhesive is laminated on the inside can be removed from the center portion 35, but because it contains a certain adhesive on the inside, it has a certain level of adhesive force, and the handle 30 to the cutting line 20 Separate from the) and gathered in the direction of the center portion 35, and then folding the circumference of the handle 30 inward through the fold line 60 to form a separate surface, the cut strip 80 is formed on this separately formed surface portion As a result, the handle 30 may have a three-dimensional shape such as a cube.

이렇게 입체 형상을 구비한 손잡이(30)는 내부에 자연스럽게 포함되는 공기층에 의하여 열전도율이 상대적으로 줄어들게 됨과 동시에 이물감이나 용기 자체의 흔들림 없이 보다 안전하게 종이용기(10)를 파지할 수 있는 편의성을 제공할 수가 있다.The handle 30 having a three-dimensional shape is relatively reduced in the thermal conductivity by the air layer naturally contained therein and at the same time can provide the convenience of holding the paper container 10 more securely without foreign body or shaking of the container itself. have.

절취띠(80)는 중앙부(35)에 부착되어 있다가 종이 용기(10)의 상부에서 하부 방향 내지 그 반대 방향으로 일정 길이 떼어낸 다음, 접철선(60)에 의하여 형성이 된 손잡이(30)의 면 부위에 부착이 가능하고, 특히 도 1(c)과 같이 손잡이(30) 둘레의 길이가 길게 형성될 경우에는 종이 용기(10)의 상하 길이보다 길게 연장되어 중앙부(35)를 지나 종이 용기(10)의 상하 면까지 연장 부착되어 있는 것도 가능하다. The cutting strip 80 is attached to the center portion 35, and then separated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paper container 10 by a predetermined length in a downward direction to the opposite direction, and then a handle 30 formed by a fold line 60. It is possible to attach to the surface portion of, in particular, when the length of the periphery of the handle 30 is formed as shown in Figure 1 (c) is extended longer than the upper and lower length of the paper container 10 past the center portion 35 through the paper container It is also possible to extend to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10).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도 4,5와 같이 입체적인 손잡이가 형성될 경우에는 손잡이의 내부 부위에 절취선에 의하여 통공을 형성하여 통공 형성을 용이하게 하면서 이에 엄지손가락을 삽입함으로 지지의 편의성을 증가할 수도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when a three-dimensional handle is formed as shown in Figures 4 and 5,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convenience of support by inserting a thumb into it while forming a through hole by forming a perforation line in the inner portion of the handle. It may be.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안전한 파지를 위해 종이용기에 형성된 손잡이의 구조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고안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As described so fa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structure of the handle formed in the paper container for safe gripp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expressed in the above description and drawings, but this is merely an example, and the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nd described. Without being limited to,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안전한 파지를 위해 종이용기에 형성된 손잡이의 구조에 따르면,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the handle formed in the paper container for safe gripp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 종이 용기의 자체 재질을 통해 손잡이를 편리하게 형성함으로 별도로 손 잡이 구조를 용기에 부착하는 방식보다 실용적이고, 간편한 장점을 가지고,1) By conveniently forming the handle through the material of the paper container,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more practical and convenient than attaching the handle structure to the container separately.

2) 손잡이가 용기에서 잘 떨어짐과 동시에 양 단부를 편리하게 부착하도록 함으로 사용상의 편의성을 증강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질 뿐 아니라,2) As the handle is detached well from the container and at the same time, it is convenient to attach both ends, as well as to increase the convenience of use,

3) 손잡이의 면이 평면이 아니라, 입체적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여 보다 안전하게 종이 용기를 지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3) It is possible to form a three-dimensional structure of the handle is not a plane, it has an effect that can support the paper container more securely.

Claims (7)

안전한 파지를 위해 종이용기에 형성된 손잡이의 구조로서,As the structure of the handle formed in the paper container for safe gripping, 내피 및 외피로 이루어진 이중 재질의 종이 용기에서 외피에 일정 면적을 가지도록 점선 형태로 절개된 절취선을, 종 방향으로 일정 폭을 가진 중앙부를 중심으로 대칭적으로 형성하여, 상기 절취선을 절개함으로 상기 절취선 내부 면적에 의하여 손잡이가 도출되되,In a paper container made of an inner skin and an outer shell, a cut line cut in a dotted line shape to have a predetermined area on the outer shell is formed symmetrically about a central portion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cut line is cut by cutting the cut line. The handle is derived by the inner area, 상기 절취선의 내측 부위에는 상기 절취선과 일정 폭을 두고 상기 절취선을 따라 실선 형태로 내측 함입 구성된 접철선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중앙부의 연장 라인을 따라 내측에 접착제를 함유한 절취띠가 부착되어, 상기 접철선을 내측 방향으로 접어 상기 손잡이에 별도의 면 부위를 형성하고 이 면 부위에 절취띠를 둘러 붙임으로 입체적인 손잡이 구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용기에 형성된 손잡이의 구조. The inner part of the perforated line has a tangential line formed in the inner line in the form of a solid line along the perforated line with a predetermined width with the perforated line, a cut band containing an adhesive is attached to the inside along the extension line of the center, Forming a separate surface portion on the handle by folding the fold line in the inner direction and by forming a three-dimensional handle structure by enclosing the cut band on the surface portion, the structure of the handle formed in the paper container.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양측의 손잡이 형상은 하방을 향한 V 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용기에 형성된 손잡이의 구조.The handle shape on both sides of the handle is formed in a paper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V-shaped toward the bottom.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절취선의 바깥 단에는 외측으로 일정 길이 돌출된 안내부가 추가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중앙부 및 상기 절취선 주변 부위에는 종이재 내지 합성수지재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진 보강부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용기에 형성된 손잡이의 구조. The outer end of the perforated line is formed with a guide portion protruding to a certain length to the outside, and the reinforcement made of any one material of the paper material or synthetic resin material is attached to the central portion and the periphery of the perforated line, paper The structure of the handle formed on the container. 제 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안내부의 표면에는 접착제가 도포된 접착층이 형성되고, 상기 접착층의 상면에 비닐 재질의 커버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용기에 형성된 손잡이의 구조. An adhesive layer coated with an adhesive is formed on a surface of the guide part, and a vinyl cover is attach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adhesive layer.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손잡이의 모서리 부위에는 상기 접철선을 향해 곡률지게 함입된 필렛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용기에 형성된 손잡이의 구조. The corner portion of the handl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llet portion is formed to be curvaturely curved toward the fold line, the structure of the handle formed in the paper container.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절취띠는 상기 중앙부를 지나 상기 손잡이의 둘레 길이와 상응한 길이로 연장 형성되어, 연장 부위가 종이 용기의 상하 면 중 어느 하나의 면에 부착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용기에 형성된 손잡이의 구조. The cut band is formed to extend beyond the central portion in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circumferential length of the handle, the extension portion is attached to any one of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paper container, the handle formed in the paper container Structure. 삭제delete
KR2020070006207U 2007-04-16 2007-04-16 Structure of handles in vessel made of paper for safe grasp KR200443958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6207U KR200443958Y1 (en) 2007-04-16 2007-04-16 Structure of handles in vessel made of paper for safe grasp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6207U KR200443958Y1 (en) 2007-04-16 2007-04-16 Structure of handles in vessel made of paper for safe grasp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4750U KR20080004750U (en) 2008-10-21
KR200443958Y1 true KR200443958Y1 (en) 2009-03-30

Family

ID=413475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6207U KR200443958Y1 (en) 2007-04-16 2007-04-16 Structure of handles in vessel made of paper for safe grasp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3958Y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1850B1 (en) * 2021-01-26 2022-12-01 주식회사 피봇 a car garba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4750U (en) 2008-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55513B2 (en) Paper container
KR200443958Y1 (en) Structure of handles in vessel made of paper for safe grasp
US7147879B2 (en) Tea bag package
KR20070041693A (en) The pouch with straw
KR101304826B1 (en) disposable coffee pack with mixing spoon
KR101017056B1 (en) disposable paper cup with tea stick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JP2004195198A (en) Dripper
DK172116B1 (en) Disposable filter bag for use in the production of extraction drinks, in particular tea
KR20110097105A (en) The disposable cup the holder installed
KR20130006864U (en) A cup holder
JP2009113864A (en) Holder
KR20160001036U (en) Stick type teabag and tea goods comprising the same
KR101439341B1 (en) Disposable Vessel for Food
JP4226565B2 (en) Insulated container
JP4120042B2 (en) Paper cup with hand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paper cup with handle
JP7367510B2 (en) dripper
CN210761723U (en) Scald-preventing paper cup
CN211033749U (en) Noodle cup not prone to toppling
JPH0331239Y2 (en)
KR200250134Y1 (en) Kitchen knife
TWI825850B (en) Coffee drip bag
KR200489599Y1 (en) Disposal shower towel
JP6031887B2 (en) Insulated container
JP2015217988A (en) Paper-made cup with finger hook
KR200312526Y1 (en) Combination structure of double layered contai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