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3431Y1 - 치솔 세척장치 - Google Patents

치솔 세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3431Y1
KR200443431Y1 KR2020070014472U KR20070014472U KR200443431Y1 KR 200443431 Y1 KR200443431 Y1 KR 200443431Y1 KR 2020070014472 U KR2020070014472 U KR 2020070014472U KR 20070014472 U KR20070014472 U KR 20070014472U KR 200443431 Y1 KR200443431 Y1 KR 20044343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brush
cleaning
barrel
space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44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연
Original Assignee
김지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지연 filed Critical 김지연
Priority to KR20200700144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343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343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343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1Apparatus for generating biocidal substances, e.g. vaporisers, UV la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2Apparatus for isolating biocidal substances from the environment
    • A61L2202/122Chambers for sterilis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5Biocide distribution means, e.g. nozzles, pumps, manifolds, fans, baffles, spray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rus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세정액과 세척수를 사용하여 치솔을 세척하도록 하고, 열풍을 사용하여 건조시킴과 아울러 자외선을 사용하여 살균하도록 하는 치솔 세척장치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치솔 세척장치는 치솔대가 꽂아지는 재치홀을 구비하는 배럴을 모터로 회전시키도록 하여 세정액과 세척수가 분사되는 세정 플레이트에 회전되는 치솔의 치솔모가 부딪치도록 하므로써, 치솔모를 세정함과 아울러 세정이 완료된 후 배럴의 회전으로 치솔모의 세척수가 탈리되도록 하면서 열풍 및 자외선을 통해 건조 및 살균되도록 하여 세척 및 살균이 종래 기술에 비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Description

치솔 세척장치{WASHING APPARATUS FOR TOOTHBRUSH}
본 고안은 치솔 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세정액과 세척수를 사용하여 치솔을 세척하도록 하고, 열풍을 사용하여 건조시킴과 아울러 자외선을 사용하여 살균하도록 하는 치솔 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치아의 관리를 위해 가장 기본적으로 사용되는 생활용품 중의 하나가 치솔이다. 이와 같은 치솔은 소비자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다양한 디자인 및 기능성이 부여되어 판매되고 있지만, 통상 치솔은 가는 직경을 갖는 치솔모가 치솔대의 앞단에 자유단의 형태로 결합되도록 하여 구성된다.
최근, 생활건강에 대한 요구가 증가되면서 치솔의 위생상태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이와 같은 이유로 치솔의 위생상태를 효과적으로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기술이 제안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309971호 "위생치솔함"은 내부에 PTC히터를 포함하는 가열장치를 구비한 가열장치부와; 가열장치부위에 설치되며 통기구를 갖는 보호덮개와; 상기한 가열장치부의 상부에 연결 설치되며, 상단표면에는 몇 개의 통기구와 내부 전면 상단벽면에는 치솔지지대와, 저수관수납실쪽의 측벽에는 물공급구가 형성되어 있고 전면에는 덮개가 설치된 치솔수납실과; 치솔수납실의 바닥에 설치되며, 통기구와 치솔수납홈과 면도기수납홈이 형성되어 있는 치솔받침대와; 상기한 치솔수납실 측면에 연결 설치되며, 뚜껑을 가지고 있고 저수관을 수납하는 저수관수납실로 구성되어 있으며, 장치의 뒷면 벽에는 장치부착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치솔함을 통해 치솔을 물을 끓여 수증기와 가열된 열로 살균하고, 가열건조 상태로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제안하고 있다.
그리고,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05-0033934호 "치솔 세척장치"는 치솔의 건조와 살균, 치솔모에 끼어진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세척기능을 가지는 치솔 세척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박스타입으로 개,폐자유로운 도어를 가지고 구비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 상측부위에 세척 및 건조하고자 하는 치솔을 걸어서 보관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걸이구와; 상기 걸이구의 하방에는 치솔모를 건조하면서 살균하기 위한 적외선램프를 가지고 구비되는 건조실을 포함하고; 상기 적외선램프의 하방에는 치솔모에 끼어진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세척실을 더 구비하고; 상기 세척실은 케이스내부에 급수수단과 연결되어 세척수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구비되는 인렛부와; 세척완료된 세척수를 배출하기 위한 아웃렛부를 가지고 구비되는 수조와; 상기 수조의 내부에는 공급되는 세척수는 세척하고자 하는 치솔모가 충분히 잠길 수 있을 정도의 수위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수위감지센서와; 상기 수조에 세척수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도록 설치하는 히터를 포함하고; 상기 치솔모에 끼어진 이물질이나 유해균을 초음파로 제거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초음파세척기를 더 구비하여, 자외선 살균기능과 건조기능은 물론, 초음파에 의하여 치솔모에 끼어있는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세척기능을 갖는 기술을 제안하고 있다.
또한,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393002호 "칫솔살균건조기"는 칫솔 10개를 기준으로 거치할 수 있는 외함과 외함을 배면에서 한 쌍의 연결핀에 의하여 최대한 4개까지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고, 치약을 보관하는 치약통 역시 외함과 외함 사이나, 외함의 한 부분에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외함의 내부에서 칫솔을 거치하는 거치대는 슬라이드 방식에 의한 착탈구조로 구성되고, 외함의 고정을 벽면(유리, 타일)에 흡착구를 이용한 부착대에 걸어서 설치할 수 있는 칫솔살균건조기를 통해 어느 장소에서나 간편하게 연결하고 그 부착이 간편하여 대규모 인원이 생활하는 장소에서 활용성이 매우 높은 효과, 칫솔거치대의 세척이 간편하게 탈착 구조에 의해 제공됨으로써 사용의 편리성과 신뢰성이 보장되는 효과, 흡착구를 이용한 부착대를 이용하여 벽면에 간 설치 사용할 수 있어 공간활용성 및 관리의 용이성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이와 같이 종래 기술을 통해 제안된 치솔 세척 또는 살균장치는 기본적으로 치솔을 놓은 상태에서 세척수를 공급하여 세척하는 구성을 적용하고 있고, 이에 추가적으로 증기, 끓인 물, 초음파 등을 사용하여 세척 효과를 높이고 있다. 또한, 열풍, 적외선 등을 사용하여 건조 및 살균효과를 갖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르면, 치솔모 사이의 세척과 살균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치솔의 세척은 치솔모가 세척수에 담긴 상태에서 세척이 수행되도록 하는데, 이와 같은 경우 치솔모 사이에 위치된 이물질이 외부로 나오도록 하는데 한계가 있는 것이다. 또한, 세척 후 치솔모의 건조가 열풍 또는 적외선에 의해 이루어지기는 하지만, 치솔모에 잔여되는 세척수가 있는 상태에서 이루어지므로 효과적인 건조가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치솔모 사이의 세척과 살균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치솔 세척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본 고안은 치솔대가 꽂아지는 재치홀을 구비하는 배럴을 모터로 회전시키도록 하여 세정액과 세척수가 분사되는 세정 플레이트에 회전되는 치솔의 치솔모가 부딪치도록 하므로써 치솔모를 세정함과 아울러 세정이 완료된 후 배럴의 회전으로 치솔모의 세척수가 탈리되도록 하면서 열풍 및 자외선을 통해 건조 및 살균되도록 하여 세척 및 살균이 종래 기술에 비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치솔 세척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치솔대(2)의 앞단에 치솔모(3)가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치솔(1)을 세척한 후, 건조 및 살균하기 위한 치솔 세척장치에 있어서, 열고 닫는 도어(21)가 구비되고, 상기 치솔(1)이 위치되어 세정공정이 진행되는 세정공간(22)을 가지며, 상기 세정공간(22)과 밀폐되도록 분리되는 서비스공간(24)을 갖는 프레임(20)과; 상기 치솔(1)의 치솔대(2)가 꽂아지는 재치홀(32)이 형성되고, 상기 세정공간(22)에 위치되어 상기 서비스공간(24)에 설치되 는 모터(38)에 의해 회전되는 배럴(30)과; 상기 세정공간(22)내에서 상기 배럴(30)의 주위에 설치되고, 상기 서비스공간(24)에 설치되는 펌프(60)에 의해 공급되는 세정액 및 세척수가 분사되는 분사구(52)가 형성되며, 상기 분사구(52)가 상기 치솔모(3)의 방향으로 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치솔(1)이 상기 배럴(30)에 의해 회전될 때 상기 치솔모(3)가 부딪치도록 설치되는 세정 플레이트(50)와; 상기 세정공간(22)내에 설치되어 열풍을 발생하는 열풍 발생부(70) 및; 상기 세정공간(22)내에 설치되어 자외선을 발생하는 자외선 발생부(80)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치솔 세척장치에서 상기 세정 플레이트(50)는 상기 분사구(52) 사이에서 외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충격 돌기(54)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치솔 세척장치에서 상기 열풍 발생부(70)는 상기 배럴(30) 주위에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20)에 결합되는 케이스(72)와, 공기유통로(78)가 형성되어 상기 배럴(30) 방향으로 상기 케이스(72)에 결합되는 커버판(76)과, 보호관내에 전열선이 내장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케이스(72)의 내측에서 상기 커버판(76) 측에 설치되는 전열체(74) 및, 상기 케이스(72)의 내측에서 상기 전열체(74)의 후방에 위치되도록 설치되는 팬(75)을 구비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치솔 세척장치에서 상기 자외선 발생부(80)는 상 기 배럴(30)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20)에 결합되는 케이스(82)와, 상기 케이스(82)의 내부가 밀폐되도록 상기 배럴(30) 방향으로 상기 케이스(82)에 결합되는 유리판(86) 및, 상기 케이스(82)의 내측에 설치되는 유브이 램프(84)를 구비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치솔 세척장치에서 상기 프레임(20)의 서비스공간(24)내에 설치되어 세정액을 수용하고, 상기 펌프(60)와 연결관(63)에 의해 접속되는 세정액통(6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한 치솔 세척장치에 의하면, 치솔모 사이의 세척과 살균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특히, 본 고안은 치솔대가 꽂아지는 재치홀을 구비하는 배럴을 모터로 회전시키도록 하여 세정액과 세척수가 분사되는 세정 플레이트에 회전되는 치솔의 치솔모가 부딪치도록 하므로써, 치솔모를 세정함과 아울러 세정이 완료된 후 배럴의 회전으로 치솔모의 세척수가 탈리되도록 하면서 열풍 및 자외선을 통해 건조 및 살균되도록 하여 세척 및 살균이 종래 기술에 비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6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각 도면에서 치솔의 세척, 건조 및 살균을 위해 적용되는 일반적인 기술과 관련된 내용 등 통상 이 분야의 관련 기술로부터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과 그에 대한 작용 및 효과에 대한 도시 및 상세한 설명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고 본 고안과 관련된 부분들을 중심으로 도시하였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치솔 세척장치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치솔 세척장치(10)는 치솔대(2)의 앞단에 치솔모(3)가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치솔(1)을 세척한 후, 건조 및 살균하기 위해 제공된다.
이와 같은 치솔 세척장치(10)는 프레임(20), 배럴(30), 세정 플레이트(50), 열풍 발생부(70) 및 자외선 발생부(80)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본 고안에 따른 치솔 세척장치(10)는 치솔(1)을 배럴(30)에 결합시켜 회전시키면서 세정 플레이트(50)를 통해 세정액 및 세척수를 분사하여 세정하고, 배럴(30)을 회전시키면서 세척수를 탈리시키면서 열풍 발생부(70)에 의한 열풍으로 건조시킨 후, 자외선 발생부(80)에서 발생되는 자외선을 통해 살균되도록 하는 기술적 특징으로 갖는다.
그리고,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본 고안에 따른 치솔 세척장치(10)에는 세정, 건조 및 살균 공정을 자동 또는 수동으로 진행하도록 하기 위한 컨트롤러(제어부)가 설치될 것이고, 컨트롤러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위 공정 중 특정공정을 선택하여 조작하거나 컨트롤러에 기 설정된 공정에 따라 진행되도록 조작하는 키패드 등이 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프레임(20)에는 치솔 세척장치(10)를 벽면(특히 화장실)에 걸거나 고정시키도록 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결합구가 설치될 것이다. 이와 같은 컨트롤러, 키패드, 결합구 등은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종래 기술 등을 참조하여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는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고안의 치솔 세척장치(10)에서 프레임(20)은 열고 닫는 도어(21)가 구비되고, 치솔(1)이 위치되어 세정공정이 진행되는 세정공간(22)을 가지며, 세정공간(22)과 밀폐되도록 분리되는 서비스공간(24)을 갖는다. 이와 같은 프레임(20)은 통상 내부 구성을 지지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세정공간(22)에서 사용되는 세정액 및 세척수의 배수를 위한 배출로가 구성될 것이고, 이에 따른 방수 및 밀폐구조가 구성될 것인데, 이와 같은 기술은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배럴(30)은 치솔(1)의 치솔대(2)가 꽂아지는 재치홀(32)이 형성되고, 세정공간(22)에 위치되어 서비스공간(24)에 설치되는 모터(38)에 의해 회전된 다. 이와 같은 배럴(30)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같이 치솔대(2)를 수직 또는 수평으로 꽂을 수 있도록 재치홀(32)을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재치홀(32)에는 판스프링이나 고무탄성체를 설치하여 다양한 형태 및 크기의 치솔(1)을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본 고안에서는 홀의 형태로 표현하였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절개홈의 형태로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세정 플레이트(50)는 세정공간(22)내에서 배럴(30)의 주위에 설치되고, 서비스공간(24)에 설치되는 펌프(60)에 의해 공급되는 세정액 및 세척수가 분사되는 분사구(52)가 형성되며, 분사구(52)가 치솔모(3)의 방향으로 향하도록 설치되고, 치솔(1)이 배럴(30)에 의해 회전될 때 상기 치솔모(3)가 부딪치도록 설치된다. 이와 같은 세정 플레이트(50)는 플라스틱 재질로 성형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그 재질 및 형성방법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세정 플레이트(50)는 분사구(52) 사이에서 외부로 돌출되도록 충격 돌기(54)를 형성하여, 치솔모(3)의 운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므로써 치솔모(3) 사이에 끼어 있는 이물질이 효과적으로 이탈되도록 한다. 이때, 펌프(50)에 의해 세정 플레이트(50)로 공급되는 세척수 및 세정액은 외부에서 직접 공급되도록 구성할 수 있을 것이고, 세정액의 경우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같이 별도의 세정액통(62, 도 2 참조)을 설치하여 공급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세정액과 세척수는 동시공급되도록 할 수 있고, 세정액이 분사된 후 세척수가 분사되는 방식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열풍 발생부(70)는 세정공간(22)내에 설치되어 열풍을 발생하고, 자외선 발생부(80)는 세정공간(22)내에 설치되어 자외선을 발생한다. 이와 같은 열풍 발생부(70) 및 자외선 발생부(80)는 후술하는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에 따라 구성할 수 있을 것이며, 이에 필요한 전원의 공급, 방수처리 등은 종래기술로부터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치솔 세척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에서 보인 치솔 세척장치의 평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치솔 세척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4에서 보인 치솔 세척장치에서 배럴의 구성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치솔 세척장치에서 세정 플레이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치솔 세척장치(10)는 프레임(20), 배럴(30), 세정 플레이트(50), 열풍 발생부(70) 및 자외선 발생부(80)를 구비하여 치솔대(2)의 앞단에 치솔모(3)가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치솔(1)을 세척한 후, 건조 및 살균하도록 한다.
이때, 프레임(20)은 열고 닫는 도어(21, 도 3 참조)가 구비(도 4에서 보인 예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이와 같은 실시예에도 동일하게 설치된다)되고, 치솔(1)이 위치되어 세정공정이 진행되는 세정공간(22)을 가지며, 격판(23)에 의해 세정공간(22)과 밀폐되도록 분리되는 서비스공간(24)을 갖는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프레임(20)은 서비스공간(24)이 세정공간(22)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하였지만, 이와 같은 구성은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서 펌프(60)로부터 세정액 및 세척수가 세정 플레이트(50)로 공급되도록 하는 연결관(57)은 세정공간(22)으로 노출되는 형태로 보였지만, 이와 같은 연결관(57)은 다양한 방법을 통해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세정공간(22)에는 치솔(1)의 세척시 사용된 세정액과 세척수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수구가 형성된다.
한편,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치솔 세척장치(10)의 배럴(30)은 기본적으로 치솔(1)의 치솔대(2)가 꽂아지는 재치홀(32)이 형성되고, 세정공간(22)에 위치되어 서비스공간(24)에 설치되는 모터(38)에 의해 회전되도록 구성되지만, 그 설치구성에 있어서, 도 2의 제 1 실시예와 같이 치솔(1)이 수직으로 위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도 4의 제 2 실시예와 같이 치솔(1)이 수평으로 위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배럴(30)은 장치의 필요에 따라 선택되어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세척액은 서비스공간(24)에 설치되는 세척액통(62)에 수용되도록 하여 연결관(63)을 통해 펌프(60)에 공급되도록 하고, 세척수는 외부의 수도관에서 펌프(60)로 직접연결되도록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세정액 및 세척수는 세정 플레이트(50)가 결합되는 보조 공간(56)을 형성하여 공급되는 방식을 적용하였으나, 이와 같은 세정액 및 세척수의 공급경로는 이 분야의 다양한 방식을 적용하여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배럴(30)에서 재치홀(32)의 위치는 다양한 길이(예컨대, 어른용, 어린이용)의 치솔(1)을 결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도 4와 같이 수평방향으로 치솔(1)을 결합시키도록 구성되는 치솔 세척장치(10)의 배럴(30)인 경우,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재치홀(32)은 상하로 여러 단을 갖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도 2와 같이 수직 방향으로 치솔(1)을 결합시키도록 구성되는 치솔 세척장치(10)의 배럴(30)인 경우, 재치홀(32)의 깊이를 달리하므로써 이와 같은 작용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통상 4인 가족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재치홀(32)은 5개 정도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세정 플레이트(50)는 세정공간(22)내에서 배럴(30)의 주위에 설치되고, 서비스공간(24)에 설치되는 펌프(60)에 의해 공급되는 세정액 및 세척수가 분사되는 분사구(52)가 형성되며, 분사구(52)가 치솔모(3)의 방향으로 향하도록 설치되고, 치솔(1)이 배럴(30)에 의해 회전될 때 치솔모(3)가 부딪치도록 설치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세정 플레이트(50)는 분사구(52) 사이에서 외부로 돌출되도록 충격 돌기(54)를 형성하여 치솔모(3)가 효과적으로 유동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세정 플레이트(50)의 전면에 대해 치솔모(3)가 부딪치도록 하는 경우 치솔모(3)가 쓰러지는 손상을 가져올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이와 같이 충격 돌기(54)를 적용하므로써, 치솔모(3)에 강한 부딪침을 부여하면서도 세척시 지속적인 구부러짐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 치솔모(3)의 변형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 3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충격 돌기(54)의 상면(55)이 회전방향으로 기울기를 갖도록 하므로써, 치솔모(3)가 충격 돌기(54)에 부딪칠 때 점진적으로 충격을 받도록 하여, 위와 같은 작용을 높이도록 한다.
한편, 열풍 발생부(70)는 케이스(72), 커버판(76), 전열체(74) 및 팬(75)으로 이루어져, 세정공간(22)내에 설치되어 열풍을 발생하므로써, 세척이 완료된 치솔(1)를 건조시키게 된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열풍 발생부(70)가 배럴(30) 주위에 설치되도록 하여 치솔모(3)에 더욱 강한 열풍이 작용되도록 한다. 여기서, 케이스(72)는 배럴(30) 주위에 설치되고, 프레임(20)에 결합된다. 커버판(76)은 공기유통로(78)가 형성되어 배럴(30) 방향으로 케이스(72)에 결합된다. 전열체(74)는 방수를 위해 보호관내에 전열선이 내장되어 이루어지고, 케이스(72)의 내측에서 커버판(76) 측에 설치된다. 그리고, 팬(75)은 케이스(72)의 내측에서 전열체(74)의 후방에 위치되도록 설치되어 공기가 전열체(74)를 거쳐 가열된 후 세척된 치솔(1)이 위치된 내측공간으로 유입되도록 한다.
한편, 자외선 발생부(80)는 케이스(82), 유리판(86), 유브이 램프(84)를 구비하여, 세정공간(22)내에 설치되어 자외선이 건조된 치솔(1)에 조사되도록 하므로 써 세척 후 건조된 치솔(1)을 살균하게 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자외선 발생부(80)가 배럴(30)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설치하므로써, 배럴(30)에 결합된 모든 치솔(1)에 자외선이 조사되도록 한다. 이때, 케이스(82)는 프레임(20)에 결합되고, 유리판(86)은 밀폐기능과 아울러 자외선이 내부공간으로 조사되도록 유리재질로 이루어져 케이스(82)의 내부가 밀폐되도록 배럴(30) 방향으로 케이스(82)에 결합된다. 그리고, 유브이 램프(84)는 케이스(82)의 내측에 설치되어 자외선을 방사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치솔 세척장치(10)는, 치솔(1)을 배럴(30)에 결합시킨 후, 작동 스위치(도시 않음)을 온시키면, 모터(38)가 작동되어 배럴(30)이 회전된다. 이때, 미리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펌프(60)가 작동되어 세정 플레이트(50)를 통해 세정액 및 세척수가 분사된다. 그리고, 정해진 시간이 되면, 펌프(60)의 작동이 멈추므로써 세정액 및 세척수의 분사가 완료되고, 모터(38)는 계속 작동을 하여 배럴(30)을 회전시키면서 세척수를 탈리시키면서 열풍 발생부(70)가 작동되어 열풍에 의해 치솔(1)이 건조된다. 그리고, 자외선 발생부(80)가 작동되어 자외선을 통해 살균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치솔 세척장치를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치솔 세척장치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치솔 세척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도 2에서 보인 치솔 세척장치의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치솔 세척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도 4에서 보인 치솔 세척장치에서 배럴의 구성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치솔 세척장치에서 세정 플레이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치솔 2 : 치솔대
3 : 치솔모 10 : 치솔 세척장치
20 : 프레임 21 : 도어
22 : 세정공간 24 : 서비스공간
30 : 배럴 32 : 재치홀
38 : 모터 50 : 세정 플레이트
52 : 분사구 54 : 충격 돌기
60 : 펌프 70 : 열풍 발생부
72, 82 : 케이스 74 : 전열체
75 : 팬 76 : 커버판
78 : 공기 유통로 80 : 자외선 발생부
84 : 유브이 램프(UV lamp) 86 : 유리판

Claims (5)

  1. 치솔대(2)의 앞단에 치솔모(3)가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치솔(1)을 세척한 후, 건조 및 살균하기 위한 치솔 세척장치에 있어서,
    열고 닫는 도어(21)가 구비되고, 상기 치솔(1)이 위치되어 세정공정이 진행되는 세정공간(22)을 가지며, 상기 세정공간(22)의 하측에 위치하고 격판(23)에 의해 상기 세정공간(22)과 밀폐되도록 분리되는 서비스공간(24)을 갖는 프레임(20)과;
    상기 치솔(1)의 치솔대(2)가 꽂아지는 재치홀(32)이 형성되고, 상기 세정공간(22)에 위치되어 상기 서비스공간(24)에 설치되는 모터(38)에 의해 회전되는 배럴(30)과;
    상기 세정공간(22)내에서 상기 배럴(30)의 주위에 설치되고, 상기 서비스공간(24)에 설치되는 펌프(60)에 의해 공급되는 세정액 및 세척수가 분사되는 분사구(52)가 형성되며, 상기 분사구(52)가 상기 치솔모(3)의 방향으로 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치솔(1)이 상기 배럴(30)에 의해 회전될 때 상기 치솔모(3)가 부딪치도록 설치되는 세정 플레이트(50)와;
    상기 세정공간(22)내에 설치되어 열풍을 발생하는 열풍 발생부(70) 및;
    상기 세정공간(22)내에 설치되어 자외선을 발생하는 자외선 발생부(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솔 세척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 플레이트(50)는 상기 분사구(52) 사이에서 외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충격 돌기(54)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솔 세척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열풍 발생부(70)는 상기 배럴(30) 주위에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20)에 결합되는 케이스(72)와,
    공기유통로(78)가 형성되어 상기 배럴(30) 방향으로 상기 케이스(72)에 결합되는 커버판(76)과,
    보호관내에 전열선이 내장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케이스(72)의 내측에서 상기 커버판(76) 측에 설치되는 전열체(74) 및,
    상기 케이스(72)의 내측에서 상기 전열체(74)의 후방에 위치되도록 설치되는 팬(75)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솔 세척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발생부(80)는 상기 배럴(30)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20)에 결합되는 케이스(82)와,
    상기 케이스(82)의 내부가 밀폐되도록 상기 배럴(30) 방향으로 상기 케이 스(82)에 결합되는 유리판(86) 및,
    상기 케이스(82)의 내측에 설치되는 유브이 램프(84)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솔 세척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20)의 서비스공간(24)내에 설치되어 세정액을 수용하고, 상기 펌프(60)와 연결관(63)에 의해 접속되는 세정액통(62)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솔 세척장치.
KR2020070014472U 2007-08-30 2007-08-30 치솔 세척장치 KR20044343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4472U KR200443431Y1 (ko) 2007-08-30 2007-08-30 치솔 세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4472U KR200443431Y1 (ko) 2007-08-30 2007-08-30 치솔 세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3431Y1 true KR200443431Y1 (ko) 2009-02-13

Family

ID=41648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4472U KR200443431Y1 (ko) 2007-08-30 2007-08-30 치솔 세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343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4988Y1 (ko) * 2016-06-16 2017-11-15 전수봉 계란 세척 브러시 관리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4988Y1 (ko) * 2016-06-16 2017-11-15 전수봉 계란 세척 브러시 관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6641B1 (ko) 장난감 세척장치
US20170273534A1 (en) Washing or washing/sterilizing and drying or drying/sterilizing with optional independent sterilization apparatus with robotic arms
CN105557542B (zh) 一种宠物洗脚装置和宠物脚部清洗方法
CN105463763B (zh) 对洗衣料盒进行杀菌的装置及方法
CN214049872U (zh) 一种食品检测用消毒系统
KR200408342Y1 (ko) 젖병 세척기
KR20170119375A (ko) 다기능 자동 보틀 세척장치
WO2021082101A1 (zh) 超声波清洗装置
KR200443431Y1 (ko) 치솔 세척장치
KR100624841B1 (ko) 젖병세척기
ES2753233A1 (es) Lavazapatillas
CN209935344U (zh) 一种用于义齿保养的消毒清洁装置
KR20180104265A (ko) 스마트형 자동 보틀세정장치
KR101916585B1 (ko) 화장용 브러쉬 자동세척기
KR100906512B1 (ko) 간이화장실의 좌변기 세척장치
CN210010226U (zh) 内镜室用工具清洗消毒装置
KR102060142B1 (ko) 세척, 건조, 살균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젖병 세척기
KR200363483Y1 (ko) 컵 세척장치
JP2001252234A (ja) 食器洗浄機
KR101721569B1 (ko) 구강 세정기
KR102514376B1 (ko) 젖병 세척기
CN216460521U (zh) 一种具有除菌装置的眼镜存放盒
KR200431808Y1 (ko) 의료용 초음파 살균 세척기
KR101689975B1 (ko) 싱크대 거름망 소독장치
KR102029580B1 (ko) 세척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젖병 세척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