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2508Y1 - 남성용 기능성 팬티 - Google Patents

남성용 기능성 팬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2508Y1
KR200442508Y1 KR2020070011190U KR20070011190U KR200442508Y1 KR 200442508 Y1 KR200442508 Y1 KR 200442508Y1 KR 2020070011190 U KR2020070011190 U KR 2020070011190U KR 20070011190 U KR20070011190 U KR 20070011190U KR 200442508 Y1 KR200442508 Y1 KR 2004425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otum
hole
panties
functional
m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11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재흡
Original Assignee
하재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재흡 filed Critical 하재흡
Priority to KR20200700111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250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25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250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9/00Undergarments
    • A41B9/02Drawers or underpants for men, with or without inserted crotch or seat parts
    • A41B9/023Drawers or underpants for men, with or without inserted crotch or seat parts with separate spaces for genital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9/00Undergarments
    • A41B9/02Drawers or underpants for men, with or without inserted crotch or seat parts
    • A41B9/026Drawers or underpants for men, with or without inserted crotch or seat parts characterized by the opening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1B2400/20Air permeability; Ventilation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1B2400/36Deodorising or perfum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Undergarments, Swaddling Clothes, Handkerchiefs Or Underwea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기능성 팬티에 관한 것으로서, 일반팬티는 무더운 하절기에 착용한 것만으로도 땀이 차기 쉬워 이로 인한 피부 습진이나 피부 짓물림이 생기기 쉬우나, 본 기능성 팬티는 착용자의 음경과 음낭을 분리시키면서 팬티 밖으로 돌출시킴과 동시에 음낭이 허벅지 또는 사타구니와 서로 닿지 않도록 완전하게 분리시켜 항상 건조한 상태로 유지시키며, 아울러 통풍성을 좋게 하여 습기에 의한 세균발생을 억제시켜 쾌적하고 위생적인 환경을 조성시키고 외부로 노출된 성기를 가려주는 장치까지 갖춘 기능성 팬티에 관한 것이다.
기능성 팬티, 통공, 음낭분리대, 차면부

Description

남성용 기능성 팬티{MAN'S FUNCTIONALLY-DESIGNED UNDERWEAR PANTS}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기능성 팬티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기능성 팬티를 구성하고 있는 구성요소 중 하나인 통공, 통공지지대, 음낭분리대의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낸 상세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기능성 팬티를 남성이 직접 착용한 상태를 나타낸 착용도인데, 도 3a는 정면에서 본 착용도이며, 도 3b는 측면에서 본 착용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10 : 상체 20 : 하체
30 : 음경 40 : 음낭
100 : 몸체 110 : 밴드부
120 : 통공 130 : 통공지지부
140 : 음낭분리대 200 : 차면부
본 고안은 기능성 팬티에 관한 것으로서, 일반팬티는 무더운 하절기에 착용한 것만으로도 땀이 차기 쉬워 이로 인한 피부 습진이나 피부 짓물림이 생기기 쉬우나, 본 기능성 팬티는 착용자의 음경과 음낭을 분리시키면서 팬티 밖으로 돌출시킴과 동시에 음낭이 허벅지 또는 사타구니와 서로 닿지 않도록 완전하게 분리시켜 항상 건조한 상태로 유지시키며, 아울러 통풍성을 좋게 하여 습기에 의한 세균발생을 억제시켜 쾌적하고 위생적인 환경을 조성시키고 외부로 노출된 성기를 가려주는 장치까지 갖춘 기능성 팬티에 관한 것이다.
고환은 체온보다 1~3도는 낮게 유지하여야 정충생산이 활발하므로 몸 밖의 음낭속에 있으며, 온도조절을 위하여 열을 발산하고 팽창과 수축이 가능한 유동성 성기관이다. 따라서, 음낭은 자체에 온도 조절을 위한 땀 분비선이 많아서 쉽게 땀을 배출하므로 이른바 낭습이라고 하는 그 상태가 매우 습한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가 많다. 특히 여름철에는 습한 상태로 유지되는 경우가 많으며, 이것은 위생상 문제가 될 수 있다. 즉, 음낭 부위가 신체구조상 가장 깊숙한 곳에 위치하여 통풍이 잘 되지 않으며, 자체로도 땀이 많이 나게 되므로 악취 발생의 원인이 되고 있으며, 이러한 상태로 계속 유지될 경우에는 음낭이나 음낭과 접하는 신체부위에 습진 등의 피부질환이 발생될 가능성이 커진다.
팬티는 인체에서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는 생식기 및 고환을 보호하기 위한 내의로서, 삼각형 또는 트렁크형 팬티 등이 있다. 삼각형 팬티는 생식기를 타이트하게 조여주어 가뿐한 기분을 느끼게 할 수는 있으나 팬티가 음경과 음낭을 조여줌에 따라 통풍성이 떨어지고 답답함을 느끼는 경우가 많아서 최근에는 음경과 음 낭을 보다 편안하게 해 주는 트렁크 팬티가 등장하였다. 그런데, 트렁크 팬티는 음경과 음낭을 조여주지 않아 편안함을 줄 수는 있으나 하절기와 같이 땀이 많이 나는 계절에는 음경과 음낭, 음낭과 허벅지살이 땀에 의하여 서로 접촉하여 여전히 불쾌함을 느끼는 문제가 있었다.
아울러 상기와 같은 종래의 팬티는 남의 이목으로부터 성기를 감추는데만 급급하여 정작 공기통풍이 잘 되고 자연건조된 상태로 유지하여 남성건강을 유지시켜야할 음경과 음낭을 더 깊은 곳에 위치하도록 하였을 뿐만 아니라 음경과 음낭을 함께 팬티 속에 밀착하여 고정을 시키도록 함으로써 남성 성기의 생리적 문제는 외면하고 있는 실정이었으며, 여름철에 바깥온도의 상승과 장마 등으로 인하여 장기간 고온다습한 환경 속에서 생활을 하거나 장시간 운전을 하는 등 고온 다습한 환경에서 일을 하게 되는 경우 남성의 생식기가 밀폐되어 땀이 잘 차이는 조건에 있는 경우에는 남성들은 음낭 주변에 공기유통이 잘 되지 않아 음낭의 열이 제대로 발산되지 않아 음낭에 들어있는 고환의 기능이 제대로 발휘하지 못해 남성 건강을 해치게 됨은 물론 음낭 밑에 땀으로 인하여 습기가 차는 바람에 심한 악취가 날뿐만 아니라 곰팡이나 세균이 번식하여 습진 등과 같은 피부염이 발생하여 불쾌감은 물론이고 통증까지도 유발하는 경우가 생기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남성의 생식기를 다른 신체기관과 접촉하지 않도록 분리하고 음낭을 건조한 상태로 유지하도록 하기 위해 많은 기능성 팬티가 제시되었으나, 이러한 종래의 기능성 팬티는 복잡한 구조와 음낭의 생리적 문제를 전혀 고려하지 않고 무분별하게 통공을 형성시킴으로써 착용시 음낭에 통증이나 불 쾌감을 줄 뿐만 아니라 또한 소변을 보고자 할 때 불편이 따르게 된다. 또한 대부분 제품들이 고가인 경우가 많아 일반적으로 구매하여 사용하는 데에 제약이 따르는 등 많은 문제가 있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능성 팬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415994호에서는 생식기가 위치하는 곳에 타원형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팬티에 보호외피를 부착하여 성기능까지 함께 증진시킬 수 있는 기능성 팬티를 제시한 바 있으나, 상기 기능성 팬티는 구조적으로 타원형의 구멍을 형성하고 있어 감각이 예민한 음낭의 생리적 문제를 전혀 고려하지 않았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남성의 성기를 보호외피에 형성되어 있는 밴드부에 고정하여야 하고 있어 착용시 불쾌감이 느껴질 뿐만 아니라 소변을 볼 때 등 생리현상을 해결할 때 불편하다는 점 등의 문제점은 여전히 남아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음낭과 음경을 팬티의 전면부에 형성되어 있는 통공을 통하여 팬티 외부로 완전히 돌출시켜 자유자재로 움직일 수 있게 하며, 생리현상을 자유롭게 해결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음경과 음낭, 음낭 밑부분에 차는 땀으로 인한 습기를 흡수하여 습기로 인한 악취 발생을 방지하면서 세균이나 곰팡이의 발생 및 번식을 억제하여 습진 등 피부질환이 발생하지 않도록 함은 물론 팬티 외부로 돌출된 성기를 가려 보이지 않게 하는 장치까지 갖춘 기능성 팬티를 제공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다.
또한, 음낭이 몸이나 음경과 접촉되지 않도록 분리하여 시원한 상태로 유지하도록 해 줌으로써 쾌적한 기분으로 일을 하거나 장시간 운전을 할 수 있도록 하여 일의 능률을 향상시키고 불쾌감에 따른 주의력 산만으로 인한 교통사고의 발생을 미리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음낭에서 발생하는 열을 충분히 발산하도록 하여 고환이 제 기능을 발휘하도록 함으로써 남성 성기능 증진을 도모할 수 있으며 팬티 외부로 노출된 성기를 가려주는 장치까지 갖춘 기능성 팬티를 제공함에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이 있다.
아울러 팬티의 몸체 부분 중 남성의 성기가 위치하고 있는 부분 및 습기가 잘 차는 부분에는 그 재료에 천연허브성분을 도포하여 침투시켜 악취를 제거함과 동시에 피부미용에도 좋은 기능성 팬티를 제공함에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남성용 기능성 팬티는 밴드부와 몸체와 몸체의 전면부에 형성되어 팬티 착용시 남성의 생식기가 빠져나올 수 있도록 하는 통공으로 구성된 남성용 기능성 팬티에 있어서, 상부는 남성의 음경의 크기에 대응하여 폭이 좁게 형성되어 있어서 상부로부터 중심부로 내려올수록 그 폭이 넓어지는 사다리꼴의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하부는 음낭의 크기에 대응하여 폭이 넓게 형성되어 있으며 밑변의 길이가 세로변의 길이보다 더 긴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통공; 상기 통공의 중심부에 가로질러 설치되며, 상기 통공의 주위에 양 측단이 각각 결합되어 있는 띠 형태의 음낭분리대; 상기 통공의 둘레를 따라 부드럽고 탄력성 있는 바이어스 면직물을 박음질하여 일체적으로 결합시켜 형성된 통공지지부; 및 상기 팬티의 전면부 상단에 형성되어 있는 밴드부에 일측면이 상기 밴드부의 길이를 따라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통공을 통해 빠져나온 남성의 생식기를 가릴 수 있는 정도의 크기를 가지는 직물지로 형성된 차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구체적으로는 상기 통공의 상부 공간은 통공의 상부로부터 상기 음낭분리대로 내려올수록 그 폭이 넓어지는 사다리꼴의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통공의 하부 밑변 부분은 직선의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통공의 하부 공간은 가로변의 길이가 세로변의 길이보다 더 긴 직사각형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통공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모서리 부분은 완만한 곡선의 형태로 되어 있는 것이 좋다.
이렇게 통공의 형태를 형성시키는 이유는 구조역학상 윗 부분이 좁고 아랫부분이 넓도록 형성시키는 것이 통공의 형태를 가장 잘 유지시킬 수 있는 구조이기 때문이며, 전체적으로 통공의 하부 형태가 직사각형 형태를 이루게 하여 통공의 하부를 이루는 밑변 부분을 직선으로 한 것은 음낭만큼 감각이 예민하고 신경이 많이 집중된 곳이 없기 때문에 가급적이면 상기 통공의 둘레에 결합되는 통공지지대 부분에 음낭이 닿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며, 하부 밑변과 세로변으로 형성되는 모서리 부분을 완만한 곡선으로 처리한 것도 역시 통공의 둘레에 일체적으로 결합되는 통공지지대가 음낭의 양 측면과 음낭 및 음낭목에 주는 자극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음낭분리대의 재질은 신축성이 좋고 부드러운 천연 면직물로 하 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러한 신축성 좋고 부드러워 촉감이 좋은 천연 면직물을 재질로 하여 음낭분리대를 형성시켜야 음경과 음낭에 별다른 자극을 주지 않고 음경과 음낭 사이를 분리시켜 음경과 음낭 사이에 땀이 차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음경이나 음낭이 자유로이 운동을 하게 하면서도 그 위치를 일정하게 고정시켜 주는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차면부는 장방형 또는 반원형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러한 차면부의 재질은 역시 피부에 닿을 수 있는 부분이므로 촉감이 좋고 부드러운 천연 면직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몸체 중 통공이 형성된 부분, 음낭의 뒷면이 닿는 부분, 사타구니가 위치하는 부분 및 차면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부분에는 허브 성분을 도포하여 침투시킨 것을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이렇게 허브 성분을 도포하여 침투시키는 이유는 음경과 음낭 및 사타구니 부분에 발생할 수 있는 체취 및 악취를 제거하고 땀띠나 피부염 등 각종 피부질환을 미리 예방할 수 있으며 아울러 허브의 성분 중 하나로 포함되어 있는 비타민 C, E 등도 직접적으로 피부에 전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허브 성분을 상기 팬티의 몸체 부분에 도포시키는 방법으로는 액상으로 되어 있는 허브 추출물을 상기 팬티의 통공 둘레나 사타구니가 위치하는 부분에 직접적으로 분무하거나 생산된 기능성 팬티를 아예 일정 시간 액상으로 된 허브 추출물에 담굼으로써 허브성분을 고르게 침투시켜 도포시킬 수 있다.
이러한 액상 허브 추출물의 재료로는 강력한 방부성 및 살균성을 가지고 있는 레몬타임, 냄새를 없애주는 라벤다, 건조하거나 민감한 피부에 탄력을 주는 자스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는 것이 좋다.
이하, 도면을 이용하여 본 고안에 의한 기능성 팬티에 관한 일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기능성 팬티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일단 몸체(100)와 밴드부(110)로 형성되어 있는 남성용 팬티에 있어서, 통공(120)은 팬티의 몸체의 정면부를 향하여 팬티를 착용하였을 때 남성의 성기가 위치하는 부분에 형성된다. 몸체(100)는 공기유통이나 땀 흡수 작용이 탁월하고 인체에 닿을 때 감촉이 좋고 부드러운 100% 천연면직물을 재료로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형태는 사각형 또는 삼각형 중 어느 형태를 선택하더라도 무방하다. 본 도면에서는 삼각팬티를 일실시예로 도시하였다. 아울러 상기 통공(120)의 주위에는 부드럽고 감촉이 좋으며 신축성 좋은 100% 면직 바이어스(bias)재질의 천을 박음질하여 일체적으로 결합되는 통공지지부(130)가 형성된다. 이러한 통공지지부(130)는 일정한 형태를 유지하는 기능을 담당하므로 바이어스 면직물로 만들어진 직물지를 상기 통공(120)의 둘레를 따라 박음질하여 결합시키게 된다. 아울러 이 부분은 상기 통공(120)을 통해 팬티 외부로 돌출되어 위치하는 음경과 음낭을 제자리에 지지해주는 역할도 함께 담당하게 되어 직접 음경과 음낭에 닿게 되는 부분이므로 접촉시 감촉이 좋고 피부에 좋은 천연 면직물을 재료로 하여야 한다.
이러한 통공(120)의 중심부에는 통공을 횡으로 가로질러 형성되는 음낭분리대(140)가 설치되는데, 이러한 음낭분리대(140)는 상기 통공(120)의 주위를 형성하고 있는 몸체에 상기 음낭분리대(140)의 양 측단에 각각 형성된 음낭분리대결합부(141)를 박음질을 통해 일체적으로 결합시켜 설치한다. 이러한 음낭분리대(140)를 통해 음경은 상기 통공의 상부를 통하여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음낭분리대(140) 위에 걸쳐지게 되고, 음낭은 상기 음낭지지대(140)의 아래에 형성되어 있는 통공(120)의 하부를 통하여 팬티 외부로 돌출되게 된다.
한편, 차면부(200)는 음경과 음낭의 노출을 막고 외부로부터 음경과 음낭을 보호하기 위해 설치되는 것인데, 이러한 차면부도 역시 피부감촉이 좋은 100% 면직물을 재질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차면부(200)는 팬티의 정면부 몸체(100)의 위에 형성되어 있는 밴드부(110)의 길이를 따라 일측면이 결합되어 있게 되며 상기 통공(120)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는 음경과 음낭이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정도의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형태는 반원형 또는 장방형의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도면에서는 장방형 형태로 구성되어 있는 차면부의 일 실시예가 결합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외부에서 보이는 대로 도시하였으므로 차면부는 실선으로, 차면부에 의해 가려지는 팬티의 몸체 부분 등에 대해서는 점선으로 표시를 하였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기능성 팬티를 구성하고 있는 구성요소 중 하나인 통공, 통공지지대, 음낭분리대의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낸 상세도이다.
통공(120)은 음경이 위치하는 부분에 설치되는데 상부는 좁게 형성되어 있으며, 음낭이 위치하는 부분인 하부는 상부보다 넓게 형성되어 있어 상협하광의 구조를 가지며 형성되게 된다. 실제로 남자의 성기 구조를 살펴보면 음경 부분이 차지하는 부분의 면적이 음낭이 차지하는 부분의 면적보다 더 작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통공(120)의 상부 공간은 통공(120)의 상부로부터 상기 음낭분리대(140)로 내려올수록 그 폭이 넓어지는 사다리꼴의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통공의 하부 밑변 부분은 직선의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통공(120)의 하부 공간은 가로변의 길이가 세로변의 길이보다 더 긴 직사각형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통공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모서리 부분은 완만한 곡선의 형태로 되어 있는 것이 좋다.
한편, 상기 통공(120)의 중심부에는 상기 통공을 횡으로 가로질러 띠 모양의 형태를 가지고 있는 음낭분리대(140)가 설치되어 음경과 음낭을 분리시켜 성기능 활성에 도움을 주게 된다. 아울러 상기 통공(120)의 둘레에는 바이어스 면직물을 박음질하여 결합시켜 형성된 통공지지부(130)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바이어스 면직물을 이용하는 것은 테두리에 일정한 형체를 유지하도록 조직 구성이 튼튼하면서도 직접 음경이나 음낭과 맞닿는 부분이어서 부드러운 감촉을 가질 것을 요구하기 때문이다.
이렇게 통공의 형태를 형성시키는 이유는 구조역학상 윗 부분이 좁고 아랫부분이 넓도록 형성시키는 것이 상기 통공(120)에 전해지는 응력과 장력에 대해 그 형태를 가장 잘 유지시킬 수 있기 때문이며, 전체적으로 통공(120)의 하부 형태가 직사각형 형태를 이루게 하여 상기 통공(120)의 하부를 이루는 밑변 부분을 직선으로 한 것은 음낭만큼 감각이 예민한 곳하고 신경이 집중된 곳이 없기 때문에 가급적이면 상기 통공의 둘레에 결합되는 통공지지대(130) 부분에 음낭이 닿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며, 하부 밑변과 세로변으로 형성되는 모서리 부분을 완만한 곡선으로 처리한 것도 역시 통공의 둘레에 일체적으로 결합되는 통공지지대(130)가 음낭의 양 측면과 음낭의 목에 주는 자극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아울러 이러한 구조로 형성시키게 되면 실제로 음경이나 음낭 부분이 상기 통공(120)의 중심부에 가로질러 설치된 음낭분리대(140)를 통하여 분리되어 위치하게 됨으로써 땀에 의한 접촉을 막고 공기유통을 잘 시켜 피부위생, 성기능 활성에도 도움을 줄 뿐만 아니라 음경과 음낭이 수축되고 팽창됨에 따라 상기 음낭분리대(140)가 통공(120)으로부터 성기를 임의로 빠지지 않게 잡아 주어 남성의 음경 및 음낭과 상기 통공(120)을 고정 유지시키는 기능을 하게 된다.
이러한 통공의 형태는 다년간의 실험을 통해 얻어진 형태이며, 통공(120) 및 상기 통공(120)의 둘레에 일체적으로 결합되는 통공지지대(130)에 가급적이면 음낭이 닿지 않도록 하여 자극을 최소한으로 주기 위한 형태로 되어 있다.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기능성 팬티를 남성이 직접 착용한 상태를 나타낸 착용도인데, 도 3a는 정면에서 본 착용도이며, 도 3b는 측면에서 본 착용도이다.
음경(30)은 상기 통공(120)의 상부를 통해 외부로 돌출되며 음낭지지대(140) 위에 걸쳐지게 되며 음낭(40)은 상기 통공(120)의 하부를 통해 외부로 돌출되게 된 다. 이때 차면부(200)는 팬티의 외부로 돌출된 음경(30)이나 음낭(40) 부분이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팬티의 몸체(100) 아래에까지 길게 늘어뜨려 결합하게 되나, 그 길이가 너무 길면 바지를 입고 벗을 때 불편하게 되므로 상기 팬티의 몸체(100) 부분의 정면부의 길이 및 폭에 맞추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도면에서의 일실시예는 차면부(200)의 형태가 장방형인 것으로 나타나 있으나, 그 형태는 장방형 또는 반원형이 될 수 있다. 반원형으로 차면부(200)를 형성시키는 경우에는 직선으로 된 지름 부분이 상기 팬티의 밴드부(110)에 길이를 따라 일체적으로 결합하게 되며, 반원의 원호 부분은 아래로 향하여 통공(120)을 덮어 설치되므로 외부로 노출된 음경과 음낭을 보이지 않도록 한다.
이러한 차면부를 설치한다 하더라도 소변 등 생리적 현상을 해결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 차면부(200)를 손으로 간편하게 걷어 해결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바람직한 구체적인 예들에 대해서만 기술하였으나, 상기의 구체적인 예들을 바탕으로 한 본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의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또한,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남성용 기능성 팬티는 음낭과 음경이 팬티 내부에 밀폐되어 고정됨이 없이 팬티 외부로 돌출시켜 자유자재로 움직일 수 있으며 생리현상을 자유롭게 해결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음낭 밑에 차는 땀으로 인한 습기를 흡수하여 음낭 밑에 습기로 인한 세균이나 곰팡이의 발생 및 번식을 억제하여 습진 등 피부질환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음경과 음낭을 외부로 돌출시켜도 차면부가 형성되어 있어 성기의 노출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음경과 음낭이 음낭분리대를 통해 분리되어 위치하고 있어 음낭이 몸에 접촉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음낭 속에 위치하는 고환을 쾌적하고 시원한 상태로 유지하도록 해 줌으로써 쾌적한 기분으로 일을 하거나 장시간 운전을 할 수 있도록 하여 일의 능률을 향상시키고 주의력 분산을 방지하여 교통사고의 발생을 미리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음낭에서 발생하는 열을 충분히 발산하도록 하여 고환이 제 기능을 발휘하도록 함으로써 남성 성기능 증진을 도모할 수 있는 다른 장점이 있다.
아울러 팬티의 몸체 부분 중 남성의 성기가 위치하고 있는 부분 및 습기가 잘 차는 부분에는 그 재료에 천연허브성분을 도포하여 침투시켜 악취를 제거함과 동시에 피부미용에 좋은 효과를 줄 수 있는 또 다른 장점이 있다.

Claims (9)

  1. 밴드부와 몸체와 몸체의 전면부에 형성되어 팬티 착용시 남성의 생식기가 빠져나올 수 있도록 하는 통공으로 구성된 남성용 기능성 팬티에 있어서,
    상부는 남성의 음경의 크기에 대응하여 폭이 좁게 형성되어 있어서 상부로부터 중심부로 내려올수록 그 폭이 넓어지는 사다리꼴의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하부는 음낭의 크기에 대응하여 폭이 넓게 형성되어 있으며 밑변의 길이가 세로변의 길이보다 더 긴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통공;
    상기 통공의 중심부에 가로질러 설치되며, 상기 통공의 주위에 양 측단이 각각 결합되어 있는 띠 형태의 음낭분리대;
    상기 통공의 둘레를 따라 부드럽고 탄력성 있는 바이어스 면직물을 박음질하여 일체적으로 결합시켜 형성된 통공지지부; 및
    상기 팬티의 전면부 상단에 형성되어 있는 밴드부에 일측면이 상기 밴드부의 길이를 따라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통공을 통해 빠져나온 남성의 생식기를 가릴 수 있는 정도의 크기를 가지는 직물지로 형성된 차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남성용 기능성 팬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공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모서리 부분은 부드러운 곡선의 형태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남성용 기능성 팬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음낭분리대의 재질은 신축성이 좋고 부드러운 천연 면직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남성용 기능성 팬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면부는 장방형 또는 반원형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남성 용 기능성 팬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차면부의 재질은 천연 면직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남성용 기능성 팬티.
  9. 제1항, 제5항, 제6항, 제7항 또는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 중 통공이 형성된 부분, 음낭의 뒷면이 닿는 부분, 사타구니가 위치하는 부분 및 차면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부분에는 허브 성분을 도포하여 침투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남성용 기능성 팬티.
KR2020070011190U 2007-07-06 2007-07-06 남성용 기능성 팬티 KR20044250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1190U KR200442508Y1 (ko) 2007-07-06 2007-07-06 남성용 기능성 팬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1190U KR200442508Y1 (ko) 2007-07-06 2007-07-06 남성용 기능성 팬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2508Y1 true KR200442508Y1 (ko) 2008-11-14

Family

ID=416479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1190U KR200442508Y1 (ko) 2007-07-06 2007-07-06 남성용 기능성 팬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250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2752B1 (ko) * 2012-08-17 2013-01-15 (주)에브리데이해피인터내셔널 남성용 기능성 팬티
KR20220005233A (ko) * 2020-07-06 2022-01-13 조명숙 기능성 팬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2752B1 (ko) * 2012-08-17 2013-01-15 (주)에브리데이해피인터내셔널 남성용 기능성 팬티
CN104582515A (zh) * 2012-08-17 2015-04-29 天天乐国际株式会社 男性用功能性内裤
KR20220005233A (ko) * 2020-07-06 2022-01-13 조명숙 기능성 팬티
KR102486325B1 (ko) * 2020-07-06 2023-01-09 조명숙 기능성 팬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14185C1 (ru) Фукциональные трусы для мужчин
KR101335194B1 (ko) 남성용 기능성 팬티
US6132412A (en) Genitourinary elimination covering system
KR20120094611A (ko) 남성용 건강팬티
KR200226297Y1 (ko) 낭습방지용 남성 착용대
KR200442508Y1 (ko) 남성용 기능성 팬티
KR101253926B1 (ko) 남성의 국부건강 및 기능강화를 위한 팬티형 보조대
KR101888116B1 (ko) 위생패드를 구비한 기능성 팬티
KR200463306Y1 (ko) 남성용 기능성 팬티
US8240311B2 (en) 3D ventilation device for separating body skin from clothes
KR200477497Y1 (ko) 남성용 기능성 속옷
KR100776990B1 (ko) 통풍기능 속옷
KR200287366Y1 (ko) 남성건강팬티
KR200479572Y1 (ko) 남성용 기능성 드로즈
KR200368726Y1 (ko) 팬티용 땀 제습패드
KR101115262B1 (ko) 남성용 팬티
KR200415994Y1 (ko) 남성용 기능성 팬티
KR19990017472U (ko) 음랑보호대
KR200399344Y1 (ko) 체온을 유지하는 기능을 갖는 팬티
KR200280570Y1 (ko) 수납실이 구비된 남성용 사각팬티
KR200321925Y1 (ko) 통풍성 및 습도조절이 우수한 여성용팬티
KR100489346B1 (ko) 남성용 거들
KR20230083094A (ko) 남성용 위생 패드
KR200258906Y1 (ko) 복대가 구비된 남성용 거들
KR100987199B1 (ko) 남성용 건강팬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