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2379Y1 - 골프티 홀더 - Google Patents

골프티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2379Y1
KR200442379Y1 KR2020070009231U KR20070009231U KR200442379Y1 KR 200442379 Y1 KR200442379 Y1 KR 200442379Y1 KR 2020070009231 U KR2020070009231 U KR 2020070009231U KR 20070009231 U KR20070009231 U KR 20070009231U KR 200442379 Y1 KR200442379 Y1 KR 2004423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
golf
golf tee
holder
mag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92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형춘
이성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비스 스포츠
이형춘
이성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비스 스포츠, 이형춘, 이성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비스 스포츠
Priority to KR20200700092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237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23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237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7/00Golfing accessories
    • A63B57/20Holders, e.g. of tees or of balls
    • A63B57/203Tee 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47/00Devices for handling or treating balls, e.g. for holding or carrying balls
    • A63B47/001Ball holders attached to the player's bod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32Golf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9/00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판형으로 된 제1패드와 제2패드가 마주하여 한 쌍을 이루고, 각 패드의 일측 단부가 절곡이 가능하도록 연결된 연결부를 구비하며, 마주하는 내측면 일단에는 각각 자석이 내장되어 서로 부착력을 유지하도록 되고, 상기 제1패드의 외측면에는 골프티를 꽂을 수 있도록 꽂이대가 구비되어 있는 특징을 가진다.
이에 따라 여러 개의 골프티를 동시에 꽂아 보관 한 상태에서 의복의 호주머니나 벨트 등에 간편하게 착용하여 골프 경기중에 휴대하고 다닐 수 있음은 물론, 볼마커 그리고 스코어 기록지와 필기구 등을 골프티와 함께 휴대하고 다닐 수 있도록 함으로서 특히, 골퍼의 몸에 일체감 있게 착용되는 골프티 홀더에 의해 골프 경기를 하는 과정에서 골프 용품을 보다 더 편리하고 분실되지 않게 휴대하고 다닐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골프티 나 볼 마커 사용시 사용자가 손쉽게 홀더에서 꺼내어 사용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제공하게 되므로서 골프 경기에 더욱 집중할 수 있게 되어 더욱 즐거운 골프 레져를 즐길 수 있게 하는 효과를 도모하게 되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제1 및 제2패드, 연결부, 보강판, 탄성체, 꽂이대, 골프티, 볼마커, 자석,

Description

골프티 홀더{Golf tee holder}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골프티 홀더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상기 도 1의 정면도.
도 3은 상기 도 1의 배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골프티 홀더의 내부 구조와 작용을 나타낸 도 2의 가-가선 단면도.
도 6 내지 도 8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골프티 장착 상태 및 홀더 착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들.
도 9은 본 고안에 따른 골프티 홀더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상기 도 9의 정면도.
도 11은 상기 도 9의 배면도.
도 1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골프티 홀더의 내부 구조와 작용을 나타낸 도 9의 나-나선 단면도..
도 13 내지 도 1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골프티 장착 상태 및 홀더 착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들.
도 16 및 도 1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골프티 홀더의 내부 구조와 작용을 나타낸 단면도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110 ; 제1패드 11,111 ; 꽂이대
12,121 ; 꽂이구멍 20,120 ; 제2패드
30,130 ; 연결부 31,131 ; 오목부
40,140 ; 자석 50 ; 골프티
51 ; 볼마커 52 ; 기록지
53 ; 필기구 60 ; 보강판
61,161 ; 안착홈 70 ; 탄성체
본 고안은 골프티 홀더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폴더 형태로 이루어져서 외측 일면에는 골프티를 꽂아 보관 및 휴대하고 다닐 수 있도록 하고, 내측에는 자석이 각각 내장되어 있어서 클립 기능을 부여하도록 함으로써 골프티와 함께 골프 휴대용품 등을 호주머니 또는 벨트 등에 끼워 착용하고 다닐 있도록 된 골프티 홀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골프 티는 우드 클럽에서 사용하는 긴 티와 아이 언 클럽에서 사용하는 짧은 티의 두 종류가 있다.
이러한 골프용 티는 경기 중에 골퍼들이 두 종류의 티를 번갈아 가며 사용하게 되는데, 이때 골퍼들은 티를 별도의 주머니에 담아 보관하거나 골퍼의 바지 주머니에 넣었다가 골프 경기를 진행할 때마다 골프티를 꺼내 쓰고 있는 실정이다.
그런데, 이렇게 골퍼의 바지 주머니에 보관하여 사용하는 골프티는 사용 용도에 따라 티의 길이가 길고, 짧기 때문에 휴대하기에 불편할 뿐 아니라 골프티를 자주 분실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별도의 골프용 티를 보관하는 휴대용 포켓 등의 경우 골퍼가 경기를 할 때마다 골프티를 찾아 꺼내서 사용해야 되는 번거러움이 있다.
한편, 골프티와 함께 사용되는 볼 마커(ball marker)는 골프 경기중에 그린에 올려진 자신의 골프공의 위치를 표시하여 다른 경기자의 플레이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하기 위해 사용하고 있으며, 이는 골프를 함에 있어서 상기 골프티와 함께 필수 휴대품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볼 마커는 골퍼들이 티 샷(tee shot)을 한 후 세컨 샷과 볼을 홀에 붙이기 위한 어프로치 샷 등 볼이 그린에 안착하기 전까지는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필드를 이동하는 중에 골퍼들은 볼 마커를 주머니에 넣은 채 플레이를 진행하게 된다.
따라서, 볼마커를 골프티와 함께 휴대하고 다녀야 함으로써 플레이에 부담을 주게 되고, 나아가 플레이에 지장을 주게 되며, 또한 그린 위에서 볼 마커를 사용하기 위하여 주머니를 뒤지게 되며, 이렇게 볼 마커를 찾는 과정에서 집중력이 산 만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위해 종래에는 자석이 구비된 별도의 홀더에 볼 마커를 부착하여 사용하도록 하고 이러한 볼 마커 홀더를 모자나 버클, 장갑 등에 장착하여 다니며 볼 마커를 홀더에 부착 또는 탈착시켜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볼 마커 홀더는 사용함에 있어서 골프티와 함께 보관 및 휴대하고 다닐 수 없는 형태로 이루어져 있어서 골프티와 볼마커를 함께 보관 및 휴대하고 다닐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골프티 홀더 제품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 밖에도 골프 경기 중에는 스코어를 기록하는 기록지와 필기구 등을 휴대하고 다녀야 하는데, 이 또한 종래에는 골프티와 볼마커와 함께 휴대하고 다닐 만한 용품이 구비되어 있지 못하여 작은 크기로 접어서 필기구와 함께 주머니 등에 넣어 다녀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도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소하고자 창안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전체적인 외형이 폴더 형태로 이루어져 외측 일면에 여러 개의 골프티를 꽂아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내측에 각각 내장되는 자석에 의해 서로 부착력을 유지하는 클립 기능을 갖도록 구성함으로써 홀더를 벨트나 호주머니에 끼워 착용하고 다니면서 골프티를 간편하게 꺼내어 사용하고, 사용한 후에는 다시 꽂아 휴대할 수 있도록 된 골프티 홀더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골프 경기를 할 때 골프티와 함께 사용되는 볼 마커를 함께 휴대하고 다니다가 홀더로부터 탈,부착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된 골프티 홀더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골프티 및 볼마커와 함께 골프 경기 기록지 및 필기류 등을 함께 휴대하고 다니며 사용할 수 있도록 된 골프티 홀더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판형으로 된 제1패드와 제2패드가 마주하여 한 쌍을 이루고, 각 패드의 일측 단부가 절곡이 가능하도록 연결된 연결부를 구비하며, 마주하는 내측면 일단에는 각각 자석이 내장되어 서로 부착력을 유지하도록 되고, 상기 제1패드의 외측면에는 골프티를 꽂을 수 있도록 꽂이대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패드와 제2패드 및 연결부는 피혁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연결부의 내측면이 오목한 형상으로 이루어져서 굴곡이 자유롭도록 되어 있으며, 각 패드의 내부에는 보강판과 탄성체가 적층되어 패드 전체와 함께 봉제 고정되어 있고, 상기 꽂이대 또한 피혁으로 되어 제1패드의 외면에 봉제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보강판의 일단에 상기 자석이 인입되어 이루어진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패드 및 제2패드는 합성수지로 이 루어져 있으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패드 및 제2패드와 일체로 되는 연질로 이루어져 있고, 각 패드의 마주하는 내측면 일단에는 안착홈이 형성되어 이 안착홈에 자석이 인입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꽂이대는 상기 제1패드의 외면에 구비되어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일실시예로서의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골프티 홀더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도 1의 정면도이며, 도 3은 상기 도 1의 배면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골프티 홀더의 내부 구조와 작용을 나타낸 도 2의 가-가선 단면도, 도 6 내지 도 8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골프티 장착 상태 및 홀더 착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들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고안에 따른 골프티 홀더(100)는 판형으로 이루어진 제1패드(10)와 제2패드(20)로 이루어져 서로 마주하여 한 쌍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패드(10)와 제2패드(20)는 각 패드의 일측 단부가 절곡 가능하도록 연결부(30)에 의해 연결되어 전체적인 외관 형상이 폴더(folder)형태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패드(10) 및 제2패드(20)의 서로 마주하는 내측면 일단에는 자석(40)이 각각 내장되어 제1패드(10) 및 제2패드(20)가 자석(40)의 인력에 의해 서로 부착됨으로써 의복의 호주머니 또는 벨트 등에 제1패드(10)와 제2패드(20)를 벌려서 착용할 수 있도록 하는 클립 기능을 갖도록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상기 제1패드(10)의 외측면에는 두 개 이상의 골프티(50)를 꽂을 수 있도록 꽂이대(11)가 구비되어 구성된다.
상기 꽂이대(11)는 가는 막대 핀 형태로 이루어진 골프티(50)를 꽂아 휴대하고 다닐 수 있도록 두 개 이상의 꽂이구멍(12)이 연속적으로 배열 형성되는 형태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기본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골프티 홀더(100)는 디자인의 구성 형태에 따라 여러 가지로 구성될 수 있다.
먼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골프티 홀더(100)는 전체적으로 피혁 소재로 이루어져 골프티 홀더(100)의 제품 특성상 고급스런 악세서리 효과를 발휘하도록 구성된다.
골프티 홀더(100)의 외형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프티(50)의 전체 길이에 비례하여 골프티(50)를 꽂이대(11)에 꽂았을 제1패드(10) 및 제2패드(20)의 외곽으로 돌출되지 않을 정도의 적정 크기를 갖는 폴더 형상의 디자인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1패드(10)와 제2패드(20) 및 연결부(30)는 피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부(30)는 제1패드(10)와 제2패드(20)를 접고, 펼칠 때 굴곡이 자유롭도록 내측면이 오목부(31)를 이루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골프티 홀더(100)의 전체 디자인의 형태에 따라서 제1패드(10)와 제2패드(20) 및 연결부(30)는 하나의 피혁 소재로서 일체형으로 재단 처리하여 구성 할 수 있으며, 연결부(30)를 제1패드(10) 및 제2패드(20)와 분리하여 각각 재단 한 다음 별도로 제작한 연결부(30)를 상기 제1패드(10) 및 제2패드(20)와 봉제 처리하여 서로 연결시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패드(10)와 제2패드(20)의 각 내부에는 보강판(60)과 탄성체(70)를 적층시켜 피혁 사이에 넣은 상태에서 봉제 처리하여 고정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는 제1패드(10) 및 제2패드(20)를 피혁 소재로 구성함에 있어서 보강판(60)은 각 패드의 판 형태을 유지하여 폴더 형태의 디자인을 구성하기 위한 것이며, 이러한 보강판(60)은 종이재질의 판지 또는 얇은 두께의 합성수지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체(70)는 상기 보강판(60)의 외측에 적층되어 각 패드의 외면에 쿠션 느낌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골프티 홀더(100)의 사용에 있어서 고급스러움과 부드러운 촉감을 느낄 수 있어 악세서리 효과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며, 이에 따라 상기 탄성체(70)는 스폰지나 우레탄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보강판(60)의 일단에는 자석(40)의 외형에 대응되는 안착홈(61)이 형성되어 있고, 보강판(60)의 두께는 자석(40)과 동일한 두께를 유지하도록 구성하여 자석(40)이 안착홈(61)에 인입되었을 때 각 패드의 외면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제2패드(20)의 외면에도 내부에 인입된 자석(40)의 자력이 작용하게 되므로 금속으로 이루어진 볼마커(51)의 경우 제2패드(20)의 외면에 부착하면 자력에 의해 쉽게 떨어지지 않게 되므로 골프티(50)와 함께 휴대하고 다닐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꽂이대(11)는 상기 제1패드(10) 및 제2패드(20)와 동일한 피혁으로 이루어지는데,상기 꽂이구멍(12)을 두 개 이상 형성하기 위하여 일정 크기의 띠형으로 재단한 피혁의 양단부와 중간부를 제1패드(10)의 외면에 봉제 처리하여 두 개의 꽂이구멍(12)을 형성함으로써 두 개의 골프티(50)를 꽂을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골프티 홀더(1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프티(50)를 상기 꽂이대(11)의 꽂이구멍(12)에 끼워 보관할 수 있다.
그리고,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패드(10)와 제2패드(20)는 자석(40)의 인력에 의해 평상시 부착력을 유지하여 클립 기능을 발휘하게 되므로 사용자는 이러한 클립 기능을 이용하여 의복 호주머니나 벨트에 제1패드(10)와 제2패드(20)를 벌려서 끼우면 자력에 의해 제1패드(10)와 제2패드(20)가 서로 부착되는 상태가 되므로 골프 경기중 스윙 동작에 의한 몸동작에도 호주머니나 벨트에서 이탈되지 않게 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골프티 홀더(100)의 제2패드(20)의 외면에 볼마커(51)를 부착하면 자석(40)의 자력에 의해 별도의 안착부나 부착 구조 없이 자력의 강한 부착력으로 제2패드(20)에 부착되어 있게 되므로 골프 티(50)와 함께 홀더(100)에 보관 및 휴대하고 다닐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는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피혁 소재로 구성하면서도 세 개의 골프티(50)를 꽂아 보관하고, 하나의 볼마커(51)를 부착하여 보관할 수 있는 골프티 홀더의 다른 디자인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즉, 도 9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골프티 홀더(100)는 상기 실시예와 거의 동일한 구성이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구성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동일 명칭 및 부호는 그대로 사용하기로 한다.
상기 골프티 홀더(100)와 다른 구성으로서, 상기 꽂이대(11)의 꽂이구멍(12)은 세 개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제1패드(10) 및 제2패드(20)의 하단부 형상이 세 개의 골프티(50)를 꽂을 수 있도록 더 넓은 폭을 갖는 원형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서로 다른 종류의 골프티(50) 세 개를 동시에 꽂이구멍(11)에 꽂아 보관하고 다닐 수 있으며, 제2패드(20)의 외면에는 볼마커(51)를 자석(40)에 의해 부착하고 다닐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골프티 홀더(100)는 제1패드(10)와 제2패드(20)는 자석(40)에 의해 클립 기능을 발휘하게 되므로 의복 호주머니나 벨트에 끼워 간편하게 착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프 경기중에 사용되는 스코어 기록지(52)나 메모지는 제1패드(10)와 제2패드(20) 사이에 함께 끼워 분실하지 않게 휴 대할 수 있으며,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주머니나 벨트에 착용한 상태에서도 제1패드(10)와 제2패드(20) 사이에 끼우고 다닐 수 있게 된다.
또한, 스코어 기록지(52)와 사용되는 필기구(53)는 필요에 따라 꽂이대(11)의 꽂이구멍(12)에 끼우고 다닐 수 있는 편리함을 발휘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패드(110) 및 제2패드(120)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져 구성된다.
상기 연결부(130)는 내측에 오목부(131)가 형성되며, 제1패드(110)와 제2패드(120)의 폴더 기능을 위한 것이므로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각 패드의 마주하는 내측면 일단부에는 자석(140)의 두께와 동일한 깊이로 안착홈(161)이 형성되어 이 안착홈(161)에 자석(140)이 인입되어 부착되어 있다.
상기 꽂이대(111)는 골프티(50)의 종류에 따른 굵기에 대응하도록 합성수지로 이루어지지 않고 피혁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제1패드(110)의 외면에 일체로 부착되어 구성된다.
이와 같이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골프티 홀더(100)는 금형에 의한 생산이 가능하므로 사출 소재에 따라 제1패드(110) 및 제2패드(120)와 연결부(130)의 재질을 서로 다르게 제작할 수 있는 것이며, 필요에 따라 하나의 소재로 일체형으로 제작을 하되 연결부(130)의 두께를 조절하여 내측으로 오목부(131)를 형성하게 하여 굴곡될 수 있게 함으로써 제1패드(110)와 제2패드(120)가 폴더형태로 접힐 수 있도 록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피혁으로 이루이진 꽂이대(111)는 꽂이구멍(121)을 형성하기 위하여 제1패드(110)의 외면에 부착함에 있어서 소재의 특성을 고려하여 접착제를 사용하여 부착할 수 있으며, 꽂이대(111)를 제1패드(110)와 동일 소재로 제작하는 경우 일체형으로 사출 성형의 방법으로 제작하여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실시예와 같이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골프티 홀더는 제1패드 및 제2패드를 피혁으로 구성된 골프티 홀더에 비해 두께가 더욱 슬림한 카드 형태의 홀더의 디자인을 할 수 있어서 다양한 디자인의 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하게 됨은 물론 사출에 의한 대량 생산이 가능하므로 사용자에게 더욱더 저렴한 단가로 제공할 수 있게 되는 효과도 아울러 발휘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골프티 홀더는 상술한 바와 같이 호주머니나 벨트 등에 골프티 홀더에 휴대하고 다닐 수 있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폴더형태의 홀더를 장착할 수 있는 어떠한 부위에 착용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볼마커가 장착되는 골프티 홀더의 제2패드는 자석의 자력이 허여되는 한도 내에서 반드시 평면부를 이루지 않는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상기 제1패드 및 제2패드와 연결부는 자력에 의한 클립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형태의 여러 형태의 디자인의 변화는 본 고안의 범주에 포함되는 것이며, 골프티 홀더의 소재 또는 전제적인 디자인 형태에 따라 실시 형태가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고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하는 취지는 아니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의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여러 개의 골프티를 동시에 꽂아 보관 한 상태에서 의복의 호주머니나 벨트 등에 간편하게 착용하여 골프 경기중에 휴대하고 다닐 수 있음은 물론, 볼마커 그리고 스코어 기록지와 필기구 등을 골프티와 함께 휴대하고 다닐 수 있도록 함으로서 특히, 골퍼의 몸에 일체감 있게 착용되는 골프티 홀더에 의해 골프 경기를 하는 과정에서 골프 용품을 보다 더 편리하고 분실되지 않게 휴대하고 다닐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골프티 나 볼 마커 사용시 사용자가 손쉽게 홀더에서 꺼내어 사용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제공하게 되므로서 골프 경기에 더욱 집중할 수 있게 되어 더욱 즐거운 골프 레져를 즐길 수 있게 하는 효과를 도모하게 되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3)

  1. 판형으로 된 제1패드(10)와 제2패드(20)가 마주하여 한 쌍을 이루고, 각 패드의 일측 단부가 절곡이 가능하도록 연결된 연결부(30)를 구비하며, 마주하는 내측면 일단에는 각각 자석(40)이 내장되어 서로 부착력을 유지하도록 되고, 상기 제1패드(10)의 외측면에는 골프티를 꽂을 수 있도록 꽂이대(11)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티 홀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패드(10)와 제2패드(20) 및 연결부(30)는 피혁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연결부(30)의 내측면이 오목한 형상으로 이루어져서 굴곡이 자유롭도록 되어 있으며, 각 패드의 내부에는 보강판(60)과 탄성체(70)가 적층되어 패드 전체와 함께 봉제 고정되어 있고, 상기 꽂이대(11) 또한 피혁으로 되어 제1패드(10)의 외면에 봉제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보강판(60)의 일단에 상기 자석(40)이 인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티 홀더.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패드(110) 및 제2패드(120)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연 결부(130)는 상기 제1패드(110) 및 제2패드(120)와 일체로 되는 연질로 이루어져 있고, 각 패드의 마주하는 내측면 일단에는 안착홈(161)이 형성되어 이 안착홈(161)에 자석(140)이 인입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꽂이대(111)는 상기 제1패드(110)의 외면에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티 홀더.
KR2020070009231U 2007-06-05 2007-06-05 골프티 홀더 KR2004423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9231U KR200442379Y1 (ko) 2007-06-05 2007-06-05 골프티 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9231U KR200442379Y1 (ko) 2007-06-05 2007-06-05 골프티 홀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2379Y1 true KR200442379Y1 (ko) 2008-11-05

Family

ID=416475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9231U KR200442379Y1 (ko) 2007-06-05 2007-06-05 골프티 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2379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9576Y1 (ko) * 2011-11-01 2013-10-23 김영문 볼마커 및 골프티 보관용 클립
KR102026710B1 (ko) * 2019-01-29 2019-11-04 신화영 골프용품 휴대용 홀더
KR102046626B1 (ko) * 2019-07-22 2019-11-20 (주)미래산업 골프티 꽂이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9576Y1 (ko) * 2011-11-01 2013-10-23 김영문 볼마커 및 골프티 보관용 클립
KR102026710B1 (ko) * 2019-01-29 2019-11-04 신화영 골프용품 휴대용 홀더
KR102046626B1 (ko) * 2019-07-22 2019-11-20 (주)미래산업 골프티 꽂이
WO2021015373A1 (ko) * 2019-07-22 2021-01-28 (주)미래산업 골프티 꽂이
US11850485B2 (en) 2019-07-22 2023-12-26 Mirae Industry Co., Ltd. Golf tee hold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66851B1 (en) Hat with ball marker
US8882605B1 (en) Golf tool kit
US20090070919A1 (en) All-in-one golf belt
US20080276348A1 (en) Golf Glove with a Compartment
US6421836B1 (en) Golf glove with tee pocket
US5353439A (en) Golf scoring device
US20060169731A1 (en) Golf organizer
US20090302083A1 (en) Golfing equipment carrying device
US3556364A (en) Golf accessory
US20120012624A1 (en) Apparatus for Carrying Golf Equipment
US20040144819A1 (en) Bags for organizing golf accessories
KR200442379Y1 (ko) 골프티 홀더
CN200998572Y (zh) 可携带配件的高尔夫球杆头套
KR102026710B1 (ko) 골프용품 휴대용 홀더
US6269487B1 (en) Tennis glove
US6543063B2 (en) Golf sock with tee holder
US20060049223A1 (en) Scorecard holder for golf
KR20190001024U (ko) 골프운동용 휴대주머니
US20030006154A1 (en) Bag for holding golf outfit
JP3220487U (ja) ティーホルダ
US20040016787A1 (en) Golfing accessory
KR200230899Y1 (ko) 골프용 소도구 홀더
US20070017950A1 (en) Golf caddie belt
KR200264479Y1 (ko) 골프용품 휴대용구
JP3097083U (ja) ゴルフ用手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0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