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2350Y1 - One-body Type Connector for Double Locking - Google Patents
One-body Type Connector for Double Locking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42350Y1 KR200442350Y1 KR2020070004136U KR20070004136U KR200442350Y1 KR 200442350 Y1 KR200442350 Y1 KR 200442350Y1 KR 2020070004136 U KR2020070004136 U KR 2020070004136U KR 20070004136 U KR20070004136 U KR 20070004136U KR 200442350 Y1 KR200442350 Y1 KR 200442350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erminal
- electrical terminal
- upper portion
- connector
- hous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22—Securing in resilient one-piece base or case, e.g. by friction; One-piece base or case formed with resilient locking means
- H01R13/4223—Securing in resilient one-piece base or case, e.g. by friction; One-piece base or case formed with resilient locking means comprising integral flexible contact retaining finge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9/00—Electrical connectors
- Y10S439/93—Coupling part wherein contact is comprised of a wire or brush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단자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전기 단자 커넥터(10)에 있어서, 상기 전기 단자(100)가 수용되는 공간을 가진 하우징(20)과, 상기 하우징(20)은 기저부(22)와, 제1 상측부(24)와, 제1 상측부(24)와 이격된 제2 상측부(40)를 포함하고, 상기 기저부(22)는 상기 전기 단자(100)가 하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상면에는 상기 전기 단자(100)의 하측에 압입되어 후측으로의 이동을 고정시키는 걸림턱(30)을 가지고, 상기 제1 상측부(24)는 상기 전기 단자(100) 상측에서 후방으로의 이동을 고정시키고, 상기 제2 상측부(40)는 상기 제1 상측부(24)의 후방으로 형성되고, 상기 전기 단자(100)의 상측에서 후방으로의 이동을 고정시키고, 상하방향으로 탄성변형이 가능한 탄성부(44)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44)는 상기 제1 상측부(24) 방향의 선단부에 계지부(46)를 포함하는, 일체형 이중 결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rminal connector, specifically, in the electrical terminal connector 10, a housing 20 having a space for accommodating the electrical terminal 100, and the housing 20 and the base portion 22 and And a first upper portion 24 and a second upper portion 40 spaced apart from the first upper portion 24, wherein the base portion 22 prevents the electrical terminal 100 from moving downward. The upper surface has a locking jaw 30 that is press-fitted to the lower side of the electrical terminal 100 to fix the movement to the rear side, and the first upper portion 24 moves from the upper side to the rear side of the electrical terminal 100. The movement is fixed, and the second upper portion 40 is formed to the rear of the first upper portion 24, to fix the movement from the upper side to the rear of the electrical terminal 100, the elastic deforma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resilient portion 44 capable of being provided, wherein the resilient portion 44 has a locking portion 46 at a tip end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upper portion 24. It relates to a unitary double-coupled connector, including).
단자, 일체형 Terminal, integrated
Description
도 1은 종래의 이중 결합 커넥터의 단면도.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double mating connector.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의한 일체형 이중 결합 커넥터의 단면도.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integrated double coupling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은 단자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우징에 잠금 슬라이더부를 더욱 포함하여 단자를 이중으로 체결하여 체결력을 높이는 구조에 관한 일체형 이중 결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rminal connec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unitary double-coupled connector for a structure that further includes a locking slider portion in the housing to double the terminal to increase the fastening force.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전기, 전자부품들은 전원부와 와이어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부품들과 와이어들은 연결시 배선작업의 편리성 등을 기하기 위하여 커넥터를 사용하는데, 이러한 커넥터는 부품에 각각 연결되어 있는 와이어와 접속되는 제1 커넥터와 상기 제1 커넥터에 결합되며 전원부의 전원에 연결되어 있는 와이어와 접속되는 제2 커넥터로 나뉘어진다. As is well known, electrical and electronic components are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a power supply and a wire to receive power. The parts and wires use a connector for convenience of wiring work when connected, such a connector is coupled to the first connector and the first connector connected to the wires connected to the parts, respectively, It is divided into a second connector which is connected to the wire connected to the.
일반적으로 상기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에는 각기 다른 종류의 단자들을 사 용하고 있는데, 상기 제1 커넥터에에 결합되어 사용되는 탭단자와, 상기 제2 커넥터에 결합되어 사용되는 리셉터클 단자로 나뉘어진다. 즉,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의 결합시에 상기 제1 커넥터에 내장된 탭단자가 상기 제2 커넥터에 내장된 리셉터클단자에 삽입됨으로써 전기적으로 결합된 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Generally, different types of terminals are used for the first connector and the second connector, and are divided into tab terminals used to be coupled to the first connector, and receptacle terminals used to be coupled to the second connector. . That is, when the first connector and the second connector are coupled, the tab terminal embedded in the first connector is inserted into the receptacle terminal embedded in the second connector to form an electrically coupled structure.
종래부터 사용되어지는 리셉터클 단자는 전방에는 탭단자를 수용할 수 있도록 탭단자 수용부를, 후방에는 와이어 등과 전기적 접속을 유지시키는 접속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탭단자 수용부는 일반적으로는 일체로된 평판을 말거나 접는 가공을 하여 탭단자 수용구멍을 형성시킨다. 이러한 리셉터클 단자의 형상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도 그대로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형상은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다.The receptacle terminal conventionally used includes a tab terminal accommodating portion at a front side for accommodating a tab terminal, and a connecting portion for maintaining electrical connection with a wire at the rear side thereof. In addition, the tab terminal accommodating portion is generally rolled or folded to form a tab terminal accommodating hole. The shape of such a receptacle terminal is generally used and can be used as i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hape is as shown in FIGS. 1 to 2.
또한, 상기의 도면에는 리셉터클 단자의 삽입을 도시하였으나, 탭단자가 수용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In addition, although the above figure shows the insertion of the receptacle terminal, it is obvious that the tab terminal can be accommodated.
종래에는 이러한 단자의 수용부의 아래부분에 홈을 만들고 이를 래치에 걸어 고정시키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또한, 이중결합을 위해서 별도의 스페이서(50)를 제작하여 이를 하우징(20)에 결합함으로써, 스페이서의 결합부(52)가 단자(100)와의 이중 결합을 형성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이경우 제작 원가 및 공정의 증가로 시간과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조잡한 조작에 의하여 다루기에 도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따라서, 결합력을 더욱 크게 증대하고, 제작원가의 절감 및 조작의 편의성을 고려한 설계가 요구되었다. Conventionally, it was common to make a groove in the lower part of the receiving portion of the terminal and fasten it by latching it. In addition, by manufacturing a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 종래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전기 단자 커넥터(10)의 하우징에 일체로 탄성부(44) 및 계지부(46)을 형성하여 전기 단자(100)의 고정력을 향상시켰으며, 제작 원가를 절감하고, 단순한 삽입에 의해 이중 결합을 체결하므로 그 조작이 매우 간편하다는 편리성이 증진되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improve the fixing force of the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technical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tail.
본 고안의 일체형 이중 결합 커넥터는 전기 단자 커넥터(10)에 있어서, 상기 전기 단자(100)가 수용되는 공간을 가진 하우징(20)과, 상기 하우징(20)은 기저부(22)와, 제1 상측부(24)와, 제1 상측부(24)와 이격된 제2 상측부(40)를 포함하고, 상기 기저부(22)는 상기 전기 단자(100)가 하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상면에는 상기 전기 단자(100)의 하측에 압입되어 후측으로의 이동을 고정시키는 걸림턱(30)을 가지고, 상기 제1 상측부(24)는 상기 전기 단자(100)의 상측으로의 이동을 고정시키고, 상기 제2 상측부(40)는 상기 제1 상측부(24)의 후방으로 형성되고, 상기 전기 단자(100)의 상측에서 후방으로의 이동을 고정시키고, 상하방향으 로 탄성변형이 가능한 탄성부(44)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44)는 상기 제1 상측부(24) 방향의 선단부에 계지부(4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ntegrated double-coupled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의한 일체형 이중 결합 커넥터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integrated double coupling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자(100)는 리셉터클 단자 또는 탭단자가 될 수 있다. 리셉터클 단자의 경우에는 전방에는 탭단자를 수용할 수 있도록 탭단자 수용부를, 후방에는 와이어 등과 전기적 접속을 유지시키는 접속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탭단자 수용부는 일반적으로는 일체로 된 평판을 말거나 접는 가공을 하여 탭단자 수용구멍을 형성시킨다. 따라서, 탭단자 수용부의 끝단이 걸림부(110)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커넥터 하우징(20)과 1차 체결을 위해서 상기 걸림턱(30)이 압입될 수 있도록 저면에 홈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또한, 탭단자의 경우에는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리셉터클 단자와 비슷한 구조를 가지나 수용부 쪽에 긴 결합부를 가지는 것이 일반적이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tab terminal, although not shown in the figure, it has a structure similar to the receptacle terminal, but generally has a long coupling portion on the receiving side.
상기 하우징(20)은 기저부(22)와, 제1 상측부(24)와, 제1 상측부(24)와 이격된 제2 상측부(40)로 구성된다. 전면부는 탭단자의 삽입을 위해 개구로 형성되어 있으며, 후면부는 전선 등의 결합을 위해 개구로 형성되어 있다. 기저부(22)와, 제1 상측부(24)와, 제2 상측부(40)는 단면은 이격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나, 하우징 전체적으로 볼 때에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상기 기저부(22)는 상기 전기 (100)가 하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상면에는 상기 전기 단자(100)의 하측에 압입되어 후측으로의 이동을 고정시키는 걸림턱(30)을 가지고 있다. 상기 기저부(22)는 걸림턱(30)이 있는 전(前)방향으로 갈수록 그 단면적이 줄어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기 단자(100)를 커넥터 하우징(20) 내로 삽입시, 상기 기저부(22)는 소정의 탄성변형을 통해 아래로 이동한 후, 상기 걸림턱(30)이 전기 단자(100)의 홈과 만나는 순간 압입되면서 전기 단자(100)를 고정시킨다. The
상기 제1 상측부(24)는 상기 전기 단자의 수용부와 접촉하는 부분으로서, 상기 전기 단자(100)의 상측으로의 이동을 고정시킨다. The first
상기 제2 상측부(40)는 상기 전기 단자의 접속부와 접촉하는 부분으로서, 상기 제1 상측부(24)의 후방으로 상기 제1 상측부(24)와 이격되어 형성되어, 상기 전기 단자(100)의 상측에서 후방으로의 이동을 고정시킨다. 또한, 제2 상측부(40)은 상기 계지부(46)이 상하 운동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도록 상기 제1 상측부(24)로부터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econd
상기 제2 상측부에는 상하방향으로 탄성변형이 가능한 탄성부(44)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44)는 상기 제1 상측부(24) 방향의 선단부에 계지부(46)를 포함한 다. 상기 계지부(46)는 상기 제1 상측부(24)의 내면보다도 안쪽으로 더욱 들임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단자(100)가 하우징 내로 완전히 삽입되었을 때에 단자의 상기 걸림부(110)와 계지될 수 있는 위치까지 형성되어야 한다. 결국 상기 계지부(46)가 단자(100)의 후방으로의 이동을 방지하는 이중 결합을 체결하게 된다. The second upper portion includes an
이때, 상기 탄성부(44)는 탄성변형이 용이하게 외면이 홈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탄성부(44)에서 상기 계지부(46)로의 단면적이 점점 증가하게 형성되는 경사면(42)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is case, the
상기 전기 단자(100)이 하우징 내로 삽입될 때, 상기 전기 단자(100)가 상기 경사면(42)과 만나게 되고, 계속적인 힘을 가하게 되면, 탄성부(44)의 탄성변형에 의해 상기 경사면(42)이 상측으로 이동하게 되어 단자(100)가 완전히 삽입된다. 이후 단자(42)는 상기 경사면(42)과의 접촉이 해지되면서 원상태로 회복된다. When the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일반적으로 다른 단자를 수용하는 다른 커넥터 하우징이 상기 단자 커넥터 하우징(20)에 결합하게 된다. 하우징 간의 결합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상기 단자 커넥터 하우징(20)의 상기 기저부(22)는 하측에 상기 다른 단자를 수용하는 하우징의 단부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공간(32)을 더욱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른 단자를 수용하는 하우징의 단부는 상기 수용공간(32)의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하우징 간 체결시 상기 단부가 상기 수용공간에 채워지게 되므로, 상기 걸림턱(30)은 하향으로 운동하지 못하게 되어 전 기 단자(100)가 더욱 견고하게 고정되는 효과가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generally another connector housing for accommodating other terminals is coupled to the
상기 전기 단자(100)의 걸림부(110)가 상기 제2 상측부(40)의 계지부(46)에 완전히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접촉하지 않고 일정 공간을 갖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에는 기저부(22) 상면의 걸림턱(30)의 파손 등에 의해 전기 단자의 결합이 문제가 되는 경우에 보충적인 결합력을 유지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이상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양호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그러한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후술하는 실용신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 결정된다. 그리고 실용신안청구범위에 기재되어 있는 고안의 당업자에게 자명한 개량, 변경, 수정 등도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는 점이 명백하게 이해되어야 한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to be construed as limited to such embodiments and / or drawings, and is determined by the matters described in the utility model claims described below. do. And it should be clearly understood that improvements, changes, modifications, etc. which ar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described in the utility model claims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 종래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전기 단자 커넥터(10)의 하우징에 일체로 탄성부(44) 및 계지부(46)을 형성하여 전기 단자(100)의 고정력을 향상시켰으며, 제작 원가를 절감하고, 단순한 삽입에 의해 이중 결합을 체결하므로 그 조작이 매우 간편하다는 편리성이 증진되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improve the fixing force of the
Claims (2)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70004136U KR200442350Y1 (en) | 2007-03-13 | 2007-03-13 | One-body Type Connector for Double Locking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70004136U KR200442350Y1 (en) | 2007-03-13 | 2007-03-13 | One-body Type Connector for Double Locking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03944U KR20080003944U (en) | 2008-09-19 |
KR200442350Y1 true KR200442350Y1 (en) | 2008-10-31 |
Family
ID=41491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70004136U KR200442350Y1 (en) | 2007-03-13 | 2007-03-13 | One-body Type Connector for Double Locking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42350Y1 (en)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89669B1 (en) | 2008-10-01 | 2010-10-26 | 강갑수 | Multi connector |
KR200455203Y1 (en) | 2009-09-16 | 2011-08-23 | 금성제어기 주식회사 | Safety cover for magnetic contactor |
KR101078395B1 (en) | 2009-09-11 | 2011-10-31 | 성경정밀(주) | A Plug for Battery Connector |
KR101087591B1 (en) | 2009-08-14 | 2011-11-29 | (주)블루젬디앤씨 | Improved structure of plug assembly |
KR200458088Y1 (en) | 2009-07-23 | 2012-01-18 | 주식회사 하엠 | Plug connector and S-type wafer housing being comprised therei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97168B1 (en) * | 2010-11-23 | 2012-11-02 | (주)마이크로컨텍솔루션 | Bga socket with improved structure |
-
2007
- 2007-03-13 KR KR2020070004136U patent/KR200442350Y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89669B1 (en) | 2008-10-01 | 2010-10-26 | 강갑수 | Multi connector |
KR200458088Y1 (en) | 2009-07-23 | 2012-01-18 | 주식회사 하엠 | Plug connector and S-type wafer housing being comprised therein |
KR101087591B1 (en) | 2009-08-14 | 2011-11-29 | (주)블루젬디앤씨 | Improved structure of plug assembly |
KR101078395B1 (en) | 2009-09-11 | 2011-10-31 | 성경정밀(주) | A Plug for Battery Connector |
KR200455203Y1 (en) | 2009-09-16 | 2011-08-23 | 금성제어기 주식회사 | Safety cover for magnetic contacto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03944U (en) | 2008-09-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761397B2 (en) | Combination connector | |
KR200442350Y1 (en) | One-body Type Connector for Double Locking | |
JP4427564B2 (en) | Connector plug | |
JP2008041664A (en) | Connector | |
JP2005158630A (en) | Electrical connector | |
KR101166230B1 (en) | Connector | |
WO2010019941A1 (en) | Transition connector | |
US20090170354A1 (en) | First connector, second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ing device | |
KR102086832B1 (en) | Electric outlet | |
JPH06260238A (en) | Connecting terminal | |
KR101651653B1 (en) | Wire to wire connector assembly | |
KR100842725B1 (en) | Connector for anti-vibration | |
KR20090048947A (en) | Cable connector and flat plate terminal, housing for use therein | |
EP1804344A2 (en) | Electrical connector having flexible mating portion | |
KR100808931B1 (en) | One-piece type 4-node receptacle | |
KR100866081B1 (en) | Receptacle Terminal Connector for Double Locking | |
KR101164178B1 (en) | Portable USB storage | |
KR100955052B1 (en) | Connector | |
KR101493987B1 (en) | connector | |
KR200476338Y1 (en) | Connector | |
KR100858729B1 (en) | Connector housing | |
KR20090062808A (en) | Receptacle terminal | |
KR20100112715A (en) | Lock structure of connector for vehicle | |
JPH09180798A (en) | Electric terminal | |
KR20220019482A (en) |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10919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