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2269Y1 - Waste collection container - Google Patents

Waste collection contai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2269Y1
KR200442269Y1 KR2020070014566U KR20070014566U KR200442269Y1 KR 200442269 Y1 KR200442269 Y1 KR 200442269Y1 KR 2020070014566 U KR2020070014566 U KR 2020070014566U KR 20070014566 U KR20070014566 U KR 20070014566U KR 200442269 Y1 KR200442269 Y1 KR 20044226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rbage
collection
trash
disposed
was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4566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현욱
Original Assignee
정현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현욱 filed Critical 정현욱
Priority to KR20200700145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2269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22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2269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0033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segregated refuse collecting, e.g. receptacles with several compartments; Combination of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452Lifting, hoisting, elevating mechanisms or the like for refuse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468Means for facilitating the transport of the receptacle, e.g. wheels, rolls

Abstract

두레박 기능이 내장된 쓰레기 수거장치가 개시된다. 쓰레기 수거장치는 본체부, 쓰레기통 및 두레박부를 포함한다. 본체부는 보관공간과 수거공간으로 구획되고, 수거공간에 대응하는 측면들중 일부에 형성된 개구부를 갖는다. 쓰레기통은 보관공간에 배치된다. 두레박부는 수거공간에 배치되고, 개구부에 대응하여 절첩이 가능한 제1 측벽부를 갖고서, 사용자의 끌어올리는 힘에 의해 끌어올려져 수집된 쓰레기류를 쓰레기통에 낙하시킨다. 여기서, 제1 측벽부는 쓰레기류 수집시 지표면에 평행하게 배치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지표면에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절첩되어 쓰레기류를 수용한다. 이에 따라, 쓰레기류를 수거하는 쓰레받기가 쓰레기류를 수거한 후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두레박 형태로 이끌려져 쓰레기통에 낙하시키므로써, 쓰레받기 기능과 손수레 기능을 병행하면서 쓰레기류 수거 작업을 용이하게 달성할 수 있다.Disclosed is a waste collection apparatus with a built-in recycling function. The waste collection apparatus includes a main body portion, a trash can and a trash thin portion. The body portion is divided into a storage space and a collection space, and has an opening formed in some of the side surfaces corresponding to the collection space. Garbage bins are placed in storage spaces. The crumb portion is disposed in the collection space and has a first sidewall portion that can be folded corresponding to the opening, and is pulled up by the user's pulling force to drop the collected garbage into the trash can. Here, the first sidewall portion is disposed parallel to the ground surface during the collection of waste, and folded to be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ground according to a user's manipulation to receive the waste. Accordingly, by collecting the garbage, the dustpan collects the garbage and is drawn in the form of a gourd according to the user's operation to drop it in the trash bin, so that the garbage collection operation can be easily performed while the dustpan function and the handcart function are performed in parallel. have.

쓰레기류, 쓰레받기, 수거, 두레박, 낙하, 레일 Garbage, dustpan, collection, trash, drop, rail

Description

쓰레기 수거장치{WASTE COLLECTION CONTAINER}Garbage Collection Units {WASTE COLLECTION CONTAINER}

본 고안은 쓰레기 수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두레박 기능이 내장된 쓰레기 수거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arbage collection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garbage collection device with a built-in bakbak function.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업소, 공공시설 등의 바닥 청소에 사용되고 있는 청소용구는 단순히 빗자루로 쓰레기류를 일정 구역에 모은 후 빗자루로 쓰레기류를 쓰레받기에 담는 형태로 되어 있다. 기존의 쓰레받기류는 덮개가 장착되어 있지 않은 개방형이라 작업중 예측치 못한 상황 발생시 수집해 놓았던 쓰레기류가 밖으로 흘러나오는 문제점이 있다.In general, cleaning tools used for cleaning floors in homes, businesses, and public facilities are simply brooms that collect garbage in a certain area, and then brooms are disposed of in the garbage. Existing dustpans are open, not equipped with a cover, so there is a problem in that garbage collected during an unexpected situation during work flows out.

상기한 쓰레받기에 담겨진 쓰레기류는 보다 넓은 별도의 수납공간, 예를들어 쓰레기 수거용 손수레 등에 수납된다. 현재, 도로의 청소를 위하여 환경미화원이 사용하는 쓰레기 수거용 손수레는 쓰레기 종량제가 전국적으로 전면 실시된 1995년 이전부터 사용되던 손수레로, 폭 80cm, 길이 120cm 및 높이 100cm이고, 손잡이 부분만 100cm로 총 연장은 220cm나 되며, 무게는 70kg~110kg 정도나 되는 소위 리어카이다.Garbage contained in the dustpan is stored in a larger separate storage space, for example, a garbage collection cart. Currently, the waste collection trolley used by the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for cleaning the road is a trolley used before 1995 when the waste-based system was implemented nationwide. It is 80cm wide, 120cm long and 100cm high, and the handle portion is 100cm. It is 220cm long and weighs 70kg ~ 110kg.

이와 같은 손수레는 적재함을 목재 등으로 만들어 불결할 뿐 아니라, 무겁고 폭이 넓어 도로 등에서는 차량과 충돌하는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어왔다. 또한, 현재의 손수레는 환경미화원이 도로변에서 수거하여 적재한 쓰레기류를 다시 적환 암록박스까지 운반하여 처리하여야 하는 등 운반, 이동이 불편하고 작업능률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Such a trolley is not only dirty because it is made of a loading box made of wood, etc., but also heavy and wide, there has been a risk of a safety accident colliding with a vehicle on a road. In addition, the current cart has had a problem that the transport and movement is inconvenient, and the work efficiency is greatly reduced, such as the environmental sanitation center has to transport the waste collected and collected from the roadside to the red rock box.

이에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쓰레받기 기능과 손수레 기능을 병행하면서 쓰레기 수거 작업을 용이하게 달성하기 위해 두레박 기능이 내장된 쓰레기 수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such a conventional problem,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garbage collection device with a bakbak function to easily achieve the garbage collection operation in parallel with the dustpan function and the cart function will be.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일실시예에 따른 두레박 기능이 내장된 쓰레기 수거장치는 본체부, 쓰레기통 및 두레박부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부는 보관공간과 수거공간으로 구획되고, 상기 수거공간에 대응하는 측면들중 일부에 형성된 개구부를 갖는다. 상기 쓰레기통은 상기 보관공간에 배치된다. 상기 두레박부는 상기 수거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개구부에 대응하여 절첩이 가능한 제1 측벽부를 갖고서, 사용자의 끌어올리는 힘에 의해 끌어올려져 상기 수집된 쓰레기류를 상기 쓰레기통에 낙하시킨다. 여기서, 상기 제1 측벽부는 쓰레기류 수집시 지표면에 평행하게 배치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지표면에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절첩되어 쓰레기류를 수용한다. In order to realiz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 garbage collection device having a trash pack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main body portion, a trash can, and a trash foil portion. The body portion is divided into a storage space and a collection space, and has an opening formed in some of the side surfaces corresponding to the collection space. The trash can is disposed in the storage space. The circumferential portion is disposed in the collection space and has a first sidewall portion that can be folded to correspond to the opening, and is pulled up by a user's pulling force to drop the collected garbage into the trash can. Here, the first side wall portion is disposed parallel to the ground surface during the collection of waste, and folded in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ground according to the user's operation to accommodate the waste.

본 실시예에서, 상기 두레박부는 사각 형상의 바닥부, 상기 바닥부의 에지에서 연장된 제2, 제3 및 제4 측벽부들, 서로 마주하는 측벽들에 부착된 2개의 가이드봉들, 상기 가이드봉들을 서로 연결하는 제1 연결봉, 및 제1 와이어를 통해 상기 제1 연결봉에 연결되면서 제2 와이어를 통해 상기 제1 측벽부의 양쪽 에지들에 연 결된 제2 연결봉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측벽부가 지표면에 평행하게 배치될 때, 상기 두레박부는 쓰레받기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제2 연결봉이 상기 제1 연결봉에 근접함에 따라, 상기 제1 측벽부가 지표면에 수직하게 배치되어, 상기 두레박부는 상부가 개구된 사각 박스 형상을 정의한다. 여기서, 상기 두레박부는 상기 가이드봉들이 부착된 측벽들 각각에 부착된 제1 및 제2 레일 바퀴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레일 바퀴들은 상기 수거공간에 대응하여 상기 본체부의 내측벽에 형성된 레일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ircumferential portion is a rectangular bottom portion, second, third and fourth side wall portions extending from the edge of the bottom portion, two guide rods attached to the side walls facing each other, the guide rods A first connecting rod connected to each other, and a second connecting rod connected to both edges of the first sidewall portion through a second wire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ng rod through a first wire, wherein the first sidewall portion is connected to the ground surface. When disposed in parallel, the circumferential portion performs a dust collecting function, and as the second connecting rod approaches the first connecting rod, the first sidewall portion is disposed perpendicular to the ground surface, and the circumferential portion is a rectangular box having an upper opening. Define the shape. Here, the circumferential portion further includes first and second rail wheels attached to each of the sidewalls to which the guide rods are attached, and the first and second rail wheels correspond to the inner wall of the main body part corresponding to the collection space. It can move along the formed rail.

본 실시예에서, 상기 쓰레기통은 사각통 형상을 정의하고, 상기 사각통 형상의 바닥부에는 상기 쓰레기류에 포함된 모래류를 외부로 유출시키는 철망부재가 배치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trash can defines a rectangular box shape, the bottom portion of the rectangular box shape is disposed in the wire mesh member for outflowing the sand included in the waste to the outside.

이러한 두레박 기능이 내장된 쓰레기 수거장치에 의하면, 쓰레기류를 수거하는 쓰레받기가 쓰레기류를 수거한 후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두레박 형태로 이끌려져 쓰레기통에 낙하시키므로써, 쓰레받기 기능과 손수레 기능을 병행하면서 쓰레기 수거 작업을 용이하게 달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garbage collection device with a built-in garbage function, the garbage collector for collecting garbage is collected in the form of a garbage container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after the garbage is collected and dropped into a garbage bin, thereby bringing the garbage function and the cart function together. The collection operation can be easily achieved.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두레박 기능이 내장된 쓰레기 수거장치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garbage collection device with a built-in foil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두레박 기능이 내장된 쓰레기 수거장치(100)는 본체부(110), 쓰레기통(120) 및 두레박부(13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ure 1,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arbage collection device with a built-in bakbak function includes a main body 110, a trash bin 120 and a bakbakbak 130.

상기 본체부(110)는 보관공간(112)과 수거공간(114)으로 구획되고, 상기 수거공간(114)에 대응하는 측면들중 일부에 형성된 개구부(115)를 갖는다. 상기 본체부(110)는 상기 개구부의 바닥면과 양측부를 감싸는 받침부재(116)와, 바닥면에 대응하게 부착된 2개의 바퀴(117)들을 더 포함한다. 이에 따라, 쓰레기 수거장치(100)의 본체부(110)에 바퀴(117)들이 부착되어 있으므로, 작업중 이동시에도 공간 이동의 편리성을 도모할 수 있다.The main body 110 is divided into a storage space 112 and a collection space 114, and has an opening 115 formed in some of the side surfaces corresponding to the collection space 114. The main body 110 further includes a support member 116 surrounding the bottom surface and both sides of the opening, and two wheels 117 attached to the bottom surface. Accordingly, since the wheels 117 are attached to the main body 110 of the garbage collection apparatus 100, it is possible to facilitate the space movement even during movement during operation.

상기 쓰레기통(120)은 상기 보관공간에 배치된다. The waste bin 120 is disposed in the storage space.

상기 두레박부(130)는 상기 수거공간(114)에 배치되고, 상기 개구부(115)에 대응하여 절첩이 가능한 제1 측벽부(312)를 갖는다. 상기 두레박부(130)는 사용자의 끌어올리는 힘에 의해 끌어올려져 상기 수집된 쓰레기류를 상기 쓰레기통(120)에 낙하시킨다. 여기서, 상기 제1 측벽부(312)는 쓰레기류 수집시 지표면에 평행하게 배치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지표면에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절첩되어 쓰레기류를 수용한다. 즉,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제1 측벽부(312)가 닫혀져 수거된 쓰레기류를 본체부(110)내에 완전 수용하게 되므로 수집된 쓰레기류가 밖으로 흘러나오지 않을 뿐 아니라, 바람 등의 영향으로 쓸어 담아놓은 먼지 등이 비산되지 않으므로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The circumferential portion 130 is disposed in the collection space 114, and has a first sidewall portion 312 that can be folded to correspond to the opening 115. The crumb portion 130 is pulled up by the user's pulling force to drop the collected garbage to the bin (120). Here, the first side wall portion 312 is disposed parallel to the ground surface during the collection of waste, and folded to be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ground in accordance with the user's operation to accommodate the waste. That is, since the first side wall part 312 is closed according to the user's operation, the collected wastes are completely accommodated in the main body unit 110, so that the collected wastes do not flow out, and are swept away by the influence of wind or the like. Since dust is not scattered, the work efficiency can be increased.

상기 쓰레기 수거장치(100)는 상기 본체부에 부착되어 Z축 방향으로 연장된 제1 고정봉(118)과, 상기 제1 고정봉(118)의 에지에서 X축 방향으로 연장된 제2 고 정봉(119)을 더 포함한다. 상기 쓰레기 수거장치(100)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상기한 제2 고정봉을 이용하여 상기 쓰레기 수거장치(100)를 이동시킨다. The waste collection apparatus 100 is attached to the main body portion, the first fixing rod 118 extending in the Z-axis direction, and the second fixing rod extending in the X-axis direction from the edge of the first fixing rod 118 (119) is further included. A user using the waste collection apparatus 100 moves the waste collection apparatus 100 using the second fixing rod.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두레박부(130)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FIG.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thin portion 130 shown in FIG. 1.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두레박부(130)는 바닥부(314), 제2, 제3 및 제4 측벽부들(316, 318, 320), 2개의 가이드봉들(322, 324), 제1 연결봉(326), 제1 와이어(328), 제2 와이어(330), 제3 와이어(331) 및 제2 연결봉(332)을 포함한다. 1 and 2, the thin portion 130 may include a bottom portion 314, second, third and fourth sidewall portions 316, 318 and 320, two guide rods 322 and 324, The first connecting rod 326, the first wire 328, the second wire 330, the third wire 331, and the second connecting rod 332 are included.

구체적으로, 상기 바닥부(314)는 사각 형상을 정의한다. 상기 제2, 제3 및 제4 측벽부들(316, 318, 320)은 상기 바닥부(314)의 에지에서 연장된다. 상기 2개의 가이드봉들(322, 324)은 서로 마주하는 측벽들에 부착된다. 본 실시예에서, 하나의 가이드봉(322)은 상기 제2 측벽부(316)에 부착되고, 나머지 하나의 가이드봉(324)은 제4 측벽부(320)에 부착된다. 상기 제1 연결봉(326)은 상기 가이드봉들(322, 324)을 서로 연결한다. 상기 제2 연결봉(332)은 상기 제1 와이어(328)를 통해 상기 제1 연결봉(326)에 연결되고, 상기 제2 및 제3 와이어(330, 331)를 통해 상기 제1 측벽부(312)의 양쪽 에지들 각각에 연결된다. Specifically, the bottom portion 314 defines a square shape. The second, third and fourth sidewall portions 316, 318, 320 extend at the edge of the bottom portion 314. The two guide rods 322, 324 are attached to sidewalls facing each other. In this embodiment, one guide rod 322 is attached to the second side wall portion 316, and the other guide rod 324 is attached to the fourth side wall portion 320. The first connecting rod 326 connects the guide rods 322 and 324 to each other. The second connecting rod 332 is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ng rod 326 through the first wire 328 and the first sidewall portion 312 through the second and third wires 330 and 331. Are connected to each of both edges of the.

상기 제1 측벽부(312)가 지표면에 평행하게 배치될 때, 상기 두레박부(130)는 쓰레받기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제2 연결봉(332)이 상기 제1 연결봉(312)에 근접함에 따라, 상기 제1 측벽부(312)가 지표면에 수직하게 배치되어, 상기 두레박부(130)는 상부가 개구된 사각 박스 형상을 정의한다. When the first side wall portion 312 is disposed parallel to the ground surface, the circumferential portion 130 performs a dust collecting function. As the second connecting rod 332 approaches the first connecting rod 312, the first side wall portion 312 is disposed perpendicular to the ground surface, and the thin portion 130 has a rectangular box shape having an upper portion opened. Define.

상기 두레박부(130)는 상기 가이드봉들(322, 324)이 부착된 제2 및 제4 측벽들(316, 320) 각각에 부착된 제1 및 제2 레일 바퀴들(334, 336)을 더 포함한다. 상 기 제1 및 제2 레일 바퀴들(334, 336)은 상기 수거공간에 대응하여 상기 본체부(110)의 내측벽에 형성된 레일을 따라 이동한다. The circumferential portion 130 further includes first and second rail wheels 334 and 336 attached to the second and fourth sidewalls 316 and 320 to which the guide rods 322 and 324 are attached. Include. The first and second rail wheels 334 and 336 move along a rail formed on an inner wall of the main body 110 in response to the collection space.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쓰레기통(120)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쓰레기통(120)을 설명하는 평면도이다.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trash can 120 shown in FIG. 1. 4 is a plan view illustrating the trash can 120 illustrated in FIG. 3.

도 1,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쓰레기통(120)은 서로 연결된 4개의 측벽들에 의해 실질적으로 사각통 형상을 정의한다. 상기한 사각통 형상은 상기 본체부에 의해 정의되는 보관공간(112)에 배치되도록 지표면의 법선 방향에서 일정 각도(θ1)만큼 기울어지도록 형성된다. 1, 3, and 4, the waste bin 120 defines a substantially rectangular barrel shape by four sidewalls connected to each other. The rectangular cylinder shape is formed to be inclined by a predetermined angle θ1 in the normal direction of the ground surface so as to be disposed in the storage space 112 defined by the main body.

상기 쓰레기통(120)은 상기 사각통 형상의 바닥부에 부착된 철망부재(122)를 더 포함한다. 상기 철망부재(122)는 쓰레기류에 포함된 모래류나 물 등을 외부로 유출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수거되는 쓰레기류에 포함되는 모래 등을 제거하므로써, 쓰레기류의 무게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수거되는 쓰레기류에 포함되는 물 등을 외부로 유출시키므로써, 쓰레기류의 무게뿐 아니라 악취 등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trash can 120 further includes a wire mesh member 122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rectangular box shape. The wire mesh member 122 performs a function of outflowing sand or water contained in the waste to the outside. Accordingly, the weight of the waste can be reduced by removing sand and the like contained in the collected waste. In addition, by spilling the water and the like contained in the collected waste to the outside, it is possible to prevent not only the weight of the waste, but also the odor.

상기 쓰레기통(120)은 서로 마주하는 측벽들의 상측에 X축 방향으로 부착된 손잡이 부재(124)를 더 포함한다. 상기 손잡이 부재(124)는 보관공간(112)에 수용된 쓰레기류를 수거할 때 사용자가 이용하게 된다. The trash can 120 further includes a handle member 124 attached to the X-axis direction on the upper side of the side walls facing each other. The handle member 124 is used by the user when collecting the garbage contained in the storage space 112.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본체부(110)의 내측면을 설명하는 평면도이다. 특히, 두레박부가 담겨지는 쓰레기류를 수용한 후,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끌어올려져 쓰레기통에 낙하시키는 일련의 동작까지 도시된다. FIG. 5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n inner side surface of the main body 110 shown in FIG. 1. In particular, after receiving the garbage contained in the thin portion, it is shown up to a series of operations to be pulled up and dropped in the trash can according to the user's operation.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체부(110)가 정의하는 수거공간(114)에는 Z 축 방향으로 레일(111)이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레일(111)은 Z축과 일정 각도를 갖는 직선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상기 레일(111)은 수거공간(114)의 바닥부에 근접해서는 직선 형상을 갖고, 수거공간(114)의 상측부에 근접해서는 굴곡 형상을 갖는다. 상기 레일(111)을 통해 수거공간에 배치된 두레박부(130)는 이송된다. 1 to 5, the rail 111 is disposed in the Z-axis direction in the collection space 114 defined by the main body 110. In this embodiment, the rail 111 is disposed substantially parallel to a straight line having an angle with the Z axis. The rail 111 has a straight shape near the bottom of the collection space 114, and has a curved shape near the top of the collection space 114. The thin portion 130 disposed in the collection space through the rail 111 is transferred.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두레박 기능이 내장된 쓰레기 수거장치(100)를 작동예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operation example of the garbage collection device 100 with a built-in foil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두레박부(130)의 제1 측벽부(312)는 지표면에 평행하게 배치되어, 받침부재(116)에서 정의되는 공간으로 외부에서 유입되는 쓰레기류를 제공받는다. 5 and 6, the first side wall portion 312 of the circumferential portion 130 is disposed in parallel to the ground surface, and receives wastes flowing from the outside into the space defined by the support member 116.

이어, 사용자의 조작, 즉, 상기 제2 연결봉(332)이 상기 제1 연결봉(326)에 근접함에 따라, 제2 및 제3 와이어(330, 331)에 의해 제1 측벽부(312)는 받혀져 상부가 개구된 박스 형상을 정의하면서 수납되는 쓰레기류를 가둔다.Subsequently, as the user's manipulation, that is, the second connecting rod 332 approaches the first connecting rod 326, the first sidewall portion 312 is received by the second and third wires 330 and 331. The top of the cage defines the shape of the open box, which traps the garbage.

이어, 사용자가 +Z축 방향으로 끄는 힘에 의해 +Z 축방향으로 두레박부(130)는 상기 레일(111)을 따라 이송된다. 상기 두레박부(130)는 초기에는 직선 형상의 레일(111)을 따라 이송되다가 수거공간(114)의 정점에 근접함에 따라 곡선 형상의 레일(111)을 따라 이동되면서 보관공간(112)쪽으로 기울어진다. 보관공간(112)쪽으로 기울어진 두레박부(130)는 보관공간(112)에 배치된 쓰레기통(120)으로 쓰레기류를 낙하시킨다. Subsequently, the circumferential portion 130 is moved along the rail 111 in the + Z axis direction by a force dragged by the user in the + Z axis direction. The thin portion 130 is initially transported along a straight rail 111 and is inclined toward the storage space 112 as it moves along the curved rail 111 as it approaches the apex of the collection space 114. . The thin portion 130 inclined toward the storage space 112 drops the wastes into the trash can 120 disposed in the storage space 112.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쓰레기류를 수거하는 쓰레받기가 쓰레기류를 수거한 후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두레박 형태로 이끌려져 쓰레기통에 낙하시키므로써, 쓰레기 수거 작업을 용이하게 달성할 수 있다. 특히, 두레박부에 수거된 쓰레기류는 본체부의 내부에 완전 수용되므로 쓰레기류가 유출될 가능성이 없어 바람이 심하게 부는 상황에서도 쓰레기류의 수집 및 보관이 쉬워, 옥외에서의 장시간 작업시 특히 편리성을 증대시켜준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collecting the garbage, the dust collector is collected in the form of a gourd according to the user's operation and is dropped into the garbage can, thereby easily achieving the garbage collection operation. In particular, since the garbage collected in the thin portion is completely accommodated inside the main body, there is no possibility of spillage of the garbage, so it is easy to collect and store the garbage even in the windy conditions, and it is particularly convenient when working outdoors for a long time. Increase.

이상에서는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changed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subject innovation described in the utility model registration claims below. I can understand that.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두레박 기능이 내장된 쓰레기 수거장치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garbage collection device with a built-in foil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두레박부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FIG.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thin portion shown in FIG. 1. FIG.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쓰레기통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trash bin shown in FIG. 1.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쓰레기통을 설명하는 평면도이다. 4 is a plan view illustrating the trash can shown in FIG. 3.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본체부의 내측면을 설명하는 평면도이다. FIG. 5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n inner side of a main body part shown in FIG. 1. FIG.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두레박 기능이 내장된 쓰레기 수거장치를 작동예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operation example of a garbage collection device with a built-in gorebak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쓰레기 수거장치 110 : 본체부100: garbage collection device 110: main body

120 : 쓰레기통 130 : 두레박부120: trash can 130: bakbak

112 : 보관공간 114 : 수거공간112: storage space 114: collection space

115 : 개구부 116 : 받침부재115: opening 116: supporting member

117 : 바퀴 312, 316, 318, 320: 측벽부117: wheels 312, 316, 318, 320: side wall

118, 119 : 고정봉 314 : 바닥부118, 119: fixing rod 314: bottom

322, 324 : 가이드봉 326, 332 : 연결봉322, 324: guide rod 326, 332: connecting rod

328, 330, 331 : 와이어 334, 336 : 레일 바퀴328, 330, 331: wire 334, 336: rail wheel

Claims (5)

보관공간과 수거공간으로 구획되고, 상기 수거공간에 대응하는 측면들중 일부에 형성된 개구부를 갖는 본체부;A main body partitioned into a storage space and a collection space and having an opening formed in some of the side surfaces corresponding to the collection space; 상기 보관공간에 배치된 쓰레기통; 및 A trash can disposed in the storage space; And 상기 수거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개구부에 대응하여 절첩이 가능한 제1 측벽부를 갖고서, 사용자의 끌어올리는 힘에 의해 끌어올려져 상기 수집된 쓰레기류를 상기 쓰레기통에 낙하시키는 두레박부를 포함하고,It has a first side wall portion disposed in the collection space, the first side wall portion that can be folded corresponding to the opening, is pulled up by the user's pulling force to drop the collected garbage to the trash bin, 상기 제1 측벽부는 쓰레기류 수집시 지표면에 평행하게 배치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지표면에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절첩되어 쓰레기류를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수거장치. The first side wall portion is disposed in parallel to the ground surface during the collection of waste, waste collection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folded in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ground surface in accordance with the user's operation to accommodate the was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두레박부는 사각 형상의 바닥부, 상기 바닥부의 에지에서 연장된 제2, 제3 및 제4 측벽부들, 서로 마주하는 측벽들에 부착된 2개의 가이드봉들, 상기 가이드봉들을 서로 연결하는 제1 연결봉, 및 제1 와이어를 통해 상기 제1 연결봉에 연결되면서 제2 와이어를 통해 상기 제1 측벽부의 양쪽 에지들에 연결된 제2 연결봉을 포함하고,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hin portion is a rectangular bottom portion, the second, third and fourth side wall portions extending from the edge of the bottom portion, two guide rods attached to the side wall facing each other, the guide rod A first connecting rod connecting each other to each other, and a second connecting rod connected to both edges of the first sidewall portion through a second wire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ng rod through a first wire, 상기 제1 측벽부가 지표면에 평행하게 배치될 때, 상기 두레박부는 쓰레받기 기능을 수행하고, When the first side wall portion is disposed parallel to the ground surface, the circumferential portion performs a dust trap function, 상기 제2 연결봉이 상기 제1 연결봉에 근접함에 따라, 상기 제1 측벽부가 지 표면에 수직하게 배치되어, 상기 두레박부는 상부가 개구된 사각 박스 형상을 정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수거장치.As the second connecting rod is closer to the first connecting rod, the first side wall portion is disposed perpendicular to the ground surface, wherein the circumferential portion defines a rectangular box shape with an upper opening.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두레박부는 상기 가이드봉들이 부착된 측벽들 각각에 부착된 제1 및 제2 레일 바퀴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수거장치.The garbage collection device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circumferential portion further comprises first and second rail wheels attached to each of the sidewalls to which the guide rods are attached.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제1 및 제2 레일 바퀴들을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수거공간에 대응하여 내측벽에 형성된 레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수거장치. 4. The garbage coll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main body portion includes a rail formed on an inner wall corresponding to the collection space to move the first and second rail wheel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쓰레기통은 사각통 형상을 정의하고, 상기 사각통 형상의 바닥부에는 상기 쓰레기류에 포함된 모래류를 외부로 유출시키는 철망부재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수거장치. The garbage collect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rash bin defines a rectangular box shape, and a wire mesh member is disposed at the bottom of the rectangular box shape to allow the sands included in the trash to flow out.
KR2020070014566U 2007-08-31 2007-08-31 Waste collection container KR200442269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4566U KR200442269Y1 (en) 2007-08-31 2007-08-31 Waste collection contai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4566U KR200442269Y1 (en) 2007-08-31 2007-08-31 Waste collection contain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2269Y1 true KR200442269Y1 (en) 2008-10-23

Family

ID=41649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4566U KR200442269Y1 (en) 2007-08-31 2007-08-31 Waste collection contai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2269Y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4750A (en) * 2014-04-29 2015-11-06 코웨이 주식회사 A food waste disposer having a storage
KR101930712B1 (en) * 2018-05-02 2018-12-24 이영준 Garbage bin integrated garbage can
KR20200008191A (en) * 2018-07-16 2020-01-28 이영준 Garbage lifter for garbage bin integrated garbage bi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4750A (en) * 2014-04-29 2015-11-06 코웨이 주식회사 A food waste disposer having a storage
KR102222209B1 (en) * 2014-04-29 2021-03-03 코웨이 주식회사 A food waste disposer having a storage
KR101930712B1 (en) * 2018-05-02 2018-12-24 이영준 Garbage bin integrated garbage can
KR20200008191A (en) * 2018-07-16 2020-01-28 이영준 Garbage lifter for garbage bin integrated garbage bin
KR102088225B1 (en) * 2018-07-16 2020-03-12 이영준 Garbage lifter for garbage bin integrated garbage bi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2269Y1 (en) Waste collection container
CN207158065U (en) A kind of folding utility dustbin
CN206126007U (en) Hand propelled sanitation car
CN216071527U (en) Garbage classification vehicle
KR20090008445U (en) A cart for separating and collecting trash
CN204197759U (en) Integrated form is unpowered dumper
KR102088225B1 (en) Garbage lifter for garbage bin integrated garbage bin
CN205662888U (en) Laborsaving refuse collection ware of preventing wind
CN205612409U (en) Sanitation car cleans in miniature factory
KR200369868Y1 (en) Cart for gathering waste
CN203450659U (en) Movable environment-friendly garbage can
KR101930712B1 (en) Garbage bin integrated garbage can
KR100880668B1 (en) Stroller-type Handcart for Cleaning
CN206275377U (en) A kind of handcart for passenger train compartment cleaning
CN202369028U (en) Garbage collection, clearance and transportation vehicle
CN205031192U (en) Household garbage disposer
CN202248242U (en) Highway cleaning fence
CN213504144U (en) Garbage bin for municipal works
RU67969U1 (en) DEVICE FOR CLEANING STREET BINS
CN214783538U (en) Cleaning vehicle with garbage collection basket
KR20100001216U (en) a dustpan
KR20110005591U (en) A Dustpan with a back-container
KR200415867Y1 (en) carts
CN218148031U (en) Auxiliary sweeper
CN202321343U (en) Portable recycle bi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