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1917Y1 - Frame structure of in-line skate - Google Patents

Frame structure of in-line skat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1917Y1
KR200441917Y1 KR2020070015477U KR20070015477U KR200441917Y1 KR 200441917 Y1 KR200441917 Y1 KR 200441917Y1 KR 2020070015477 U KR2020070015477 U KR 2020070015477U KR 20070015477 U KR20070015477 U KR 20070015477U KR 200441917 Y1 KR200441917 Y1 KR 20044191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protrusion
boot
coupled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5477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혁종
Original Assignee
이혁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혁종 filed Critical 이혁종
Priority to KR20200700154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1917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19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1917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04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wheels arranged otherwise than in two pairs
    • A63C17/06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wheels arranged otherwise than in two pairs single-track typ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2203/00Special features of skates, skis, roller-skates, snowboards and courts
    • A63C2203/42Details of chassis of ice or roller skates, of decks of skateboards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인라인 스케이트용 부츠(boot)의 바닥과 결합되는 프레임에는 앞쪽과 뒤쪽에 돌출부를 형성하여 서로 결합시키도록 되어 있는데, 프레임의 중간부분에 돌출부를 더 형성함으로써, 부츠의 중간부분이 내려앉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인라인 스케이트용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the frame is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boots for inline skates (boot) to form a protrusion on the front and rear to combine with each other, by forming a protrusion on the middle portion of the frame, the middle portion of the boot is lowered It relates to an inline skate frame that can prevent sitting.

본 고안에 따른 인라인 스케이트용 프레임은 수직방향의 측면부와, 상기 측면부의 상부끼리를 연결하는 상면부로 구성되는데, 상기 상면부에는 앞부분과 뒷부분에 부츠와 결합되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의 상면(上面)에는 부츠와의 결합시 볼트를 체결하는 장공(長孔)이 형성되며, 상기 앞부분과 뒷부분에 형성된 돌출부 사이에 중간돌출부가 더 형성된 것을 구성적 특징으로 한다.The frame for inline skat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vertical side portion and an upper surface portion connecting the upper portions of the side portions, wherein the upper surface portion is provided with a protrusion coupled to the front and rear portions,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protrusion ( The upper surface is formed with a long hole (長 孔) is fastened to the bolt when coupled with the boot, characterized in that the intermediate projection is further formed between the protrusion formed in the front and rear portion.

인라인 스케이트, 프레임, 중간돌출부, 패드 In-line skates, frames, mid-projections, pads

Description

인라인 스케이트용 프레임 구조{Frame structure of in-line skate}Frame structure for inline skating {Frame structure of in-line skate}

본 고안은 인라인 스케이트용 프레임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라인 스케이트용 부츠(boot)의 바닥과 결합되는 프레임에는 앞쪽과 뒤쪽에 돌출부를 형성하여 부츠와 프레임을 결합시키도록 되어 있는데, 프레임의 중간부분에 돌출부를 더 형성함으로써, 부츠의 중간부분이 내려앉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인라인 스케이트용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rame structure for inline skates, and more specifically, the frame is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boots for inline skates (boot) to form a protrusion on the front and rear to combine the boots and the frame, the fram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rame for inline skating which can prevent the middle part of the boot from falling down by further forming a protrusion at the middle part of the boot.

인라인 스케이트(in-line skate)는 다수의 바퀴가 프레임 내에 전후방향으로 일열로 배열되고 프레임의 상부에 부츠를 결합 고정시켜 구성한 것으로, 처음에는 스케이트를 타고 균형을 잡기가 어렵지만 숙련이 되면 빠른 속도를 낼 수 있고 다양한 묘기를 발휘할 수 있는 재미가 있는 데다, 최근에는 레저 활동이 많아지면서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건강증진도 하면서 즐길 수 있는 스포츠로서 대중화가 급격히 진행되고 있다.In-line skates consist of a number of wheels arranged in a row in the frame in a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with fastening boots on top of the frame. It is fun to play and show various stunts. Recently, as leisure activities increase, popularization is rapidly progressing as a sport that can be enjoyed while promoting health regardless of age or gender.

인라인 스케이트의 프레임은 인라인 스케이트의 구성요소 중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로, 인라이너의 하중을 지지하고 휠(wheel)이 원활히 회전할 수 있도록 부츠와 휠을 연결시켜주는 역할을 하며, 진행 중 지면과 바퀴간 충격, 주행 방해물과의 충돌 등 각종 방해에 대한 충격 및 외력에 내성을 가지면서도 무게가 가볍고 부피가 부담되지 않아야 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프레임의 재질은 폴리우레탄과 나일론, 카본(Carbon), 컴포지트(Composite), 알루미늄(Aluminum), 그 밖에 두 가지 이상의 소재를 사용하여 한가지 소재의 장단점을 보완한 다양한 제품이 출시되고 있다.The frame of the inline skate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elements of the inline skate, and it supports the load of the inliner and connects the boots and the wheels to allow the wheels to rotate smoothly. In general, the frame is made of polyurethane, nylon, carbon, and composites because it must be light in weight and not bulky, yet resistant to shocks and external forces such as impacts and collisions with obstacles. A variety of products are available that complement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one material using two or more materials.

인라인 스케이트의 프레임은 레이싱용은 가속능력과 빠른 속도에서 주행 안정성이 뛰어나도록 길이가 긴 프레임을 사용하며, 하키용은 빠른 기동성과 조정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부츠 길이와 같은 프레임 길이를 사용하며, 휘트니스용은 부츠길이보다 앞뒤로 약간씩 더 긴 프레임을 사용하는 등 지정된 용도에 따라 다양한 형상을 하고 있다.The frame of the inline skate uses a long frame for racing speed and excellent driving stability while the hockey frame uses the same frame length as the boot length for easy maneuverability and maneuverability. Fitness uses a variety of shapes depending on the intended use, such as using a slightly longer frame back and forth than the boot length.

이와 같은 인라인 스케이트용 프레임에 대하여 많은 기술들이 출원되고 등록되었는데, 예를 들면, 실용신안등록 제367992호와 제395812호를 들 수 있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프레임(1)과 부츠(6)는 볼트(7)에 의해 결합되는데, 프레임의 상면(上面)인 연결부(2)에는 앞부분과 뒷부분에 돌출부(4)를 형성하고, 돌출부(4)의 상면에는 볼트를 체결하는 통공(3)이 형성되어 있어서, 프레임에 형성 된 통공에서 부츠의 바닥에 형성된 너트부로 볼트를 체결하여 결합 고정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Many techniques have been filed and registered for such inline skate frames, for example, Utility Model Registrations No. 367992 and 395812. 1 and 2, the frame 1 and the boot 6 are joined by bolts 7, and the connecting part 2, which is the upper surface of the frame, has a protrusion 4 at the front and the rear part thereof. And a through hole 3 for fastening the bolt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rotruding portion 4, and is configured to fasten the bolt with a nut formed at the bottom of the boot in the through hole formed in the frame.

이와 같이 부츠와 프레임은 돌출부에 체결하는 볼트에 의해서만 결합되고, 돌출부 사이는 공간이 형성되는 구조로 되어 있는데, 인라이너의 체격이 점차 커짐에 따라 프레임의 앞부분과 뒷부분에 형성된 돌출부 중심 사이의 거리가 종전에는 165㎜이었으나, 요즘에는 195㎜ 또는 그 이상으로 제품이 출시되고 있다. 돌출부는 프레임에도 형성되어 있지만, 부츠에도 같은 형상의 돌출부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데, 이와 같이 돌출부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인라이너의 체중이 실려 결국에는 부츠의 중간부분이 내려앉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As such, the boots and the frame are coupled only by bolts fastened to the protrusions, and the spaces are formed between the protrusions. As the inliner's physique grows, the distance between the center of the protrusions formed at the front and the rear of the frame has been changed. Was 165 mm, but nowadays products are being marketed to 195 mm or more. The protrusions are formed in the frame, but the same shape of the protrusions are formed in the boots. However, since the space is formed between the protrusions, the weight of the inliner is loaded and eventually the middle portion of the boots falls down. Will occur.

오래 사용하다 보면 부츠의 중간부분이 주저앉아 사용할 수 없게 될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한 각종 사고의 원인이 되는 문제가 발생하는데, 더군다나 요즘에 출시되는 제품은 돌출부 사이의 거리가 더 멀어졌기 때문에 부츠의 중간부분이 더 쉽게 내려앉아 사용할 수 없게 될 뿐만 아니라 각종 안전사고를 일으키게 되는 문제가 빈발하고 있다.If you use it for a long time, the middle part of the boot will not be able to sit down and become unusable, which will cause various accidents.In addition, the products in these days have a longer distance between the protrusions. Not only does this make it easier to settle down, it also becomes a problem that causes various safety accidents.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아무리 오래 사용하더라도 인라인 스케이트 부츠의 중간부분이 내려앉지 않는 인라인 스케이트용 프레임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rame for inline skating does not fall down the middle portion of the inline skate boots no matter how long use.

본 고안에 따른 인라인 스케이트용 프레임은 수직방향의 측면부와, 상기 측면부의 상부끼리를 연결하는 상면부로 구성되는데, 상기 상면부에는 앞부분과 뒷부분에 부츠와 결합되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의 상면(上面)에는 부츠와의 결합시 볼트를 체결하는 장공(長孔)이 형성되며, 상기 앞부분과 뒷부분에 형성된 돌출부 사이에 중간돌출부가 형성되며, 중간돌출부의 상면(上面)에 볼트로 결합시켜 중간돌출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패드(pad)를 더 포함하는 것을 구성적 특징으로 한다.The frame for inline skat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vertical side portion and an upper surface portion connecting the upper portions of the side portions, wherein the upper surface portion is provided with a protrusion coupled to the front and rear portions,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protrusion ( The upper surface is formed with a long hole (長 孔) is fastened to the bolt when engaged with the boots, the intermediate projection is formed between the protrusion formed in the front portion and the rear portion, the intermediate projection by coupling to the upper surface of the intermediate projection portion (bol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pad (pad) to adjust the height of.

바람직하게는, 체결한 볼트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패드의 상부에는 볼트머리를 수용하는 홈을 형성한다.Preferably, a groove is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pad to accommodate the bolt head so that the fastened bolt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이상과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인라인 스케이트용 프레임 구조는, 인라인 스케이트용 부츠(boot)의 바닥과 결합되는 프레임에는 앞부분과 뒷부분에 돌출부를 형 성하여 결합시키고, 앞부분과 뒷부분에 형성된 돌출부 사이의에 중간부분에 중간돌출부를 더 형성함으로써, 부츠의 중간부분이 내려앉는 것을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다.Frame structure for inline skat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frame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boots for inline skates (boot) by forming a protrusion on the front and rear portion, the middle between the protrusion formed on the front and rear portion By further forming an intermediate protrusion on the portion, the middle portion of the boot can be completely prevented from falling down.

도 3과 도 4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인라인 스케이트용 프레임에 대하여 설명하면, 인라인 스케이트용 프레임(10)은 수직방향의 측면부(11)와, 상기 측면부(11)의 상부끼리를 연결하는 상면부(12)로 구성되는데, 상기 상면부(12)에는 앞부분과 뒷부분에 부츠(20)와 결합되는 돌출부(13)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13)의 상면(上面)에는 부츠(20)와의 결합시 볼트(17)를 체결하는 장공(14)이 형성되며, 상기 앞부분과 뒷부분의 돌출부(13) 사이에 중간돌출부(15)가 더 형성된다.Referring to Figures 3 and 4 with respect to the inline skate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line skate frame 10 is the upper surface connecting the upper side of the side portion 11 and the side portion 11 in the vertical direction It is composed of a portion 12, the upper surface portion 12 is formed in the front portion and the rear portion is formed with a projection (13) coupled with the boot 20, the upper surface of the projection (13) with the boot (20) A long hole 14 for fastening the bolt 17 is formed when the coupling is formed, and an intermediate protrusion 15 is further formed between the front and rear protrusions 13.

모든 인라인 스케이트용 프레임에는 앞부분과 뒷부분에만 돌출부(13)가 형성되어 있는데, 프레임에 형성된 상기 돌출부(13)와 대응되는 위치에 부츠에도 돌출부가 형성되고 부츠의 돌출부에는 너트가 형성되어 있어서, 프레임의 돌출부(13)에 형성된 장공(14)을 통해서 프레임(10)측에서 부츠(20)측으로 볼트(17)로 체결하여 부츠와 프레임을 결합시키도록 되어 있다.All the inline skating frames have protrusions 13 formed only at the front and rear portions thereof. The protrusions are formed at the boots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protrusions 13 formed at the frame, and nuts are formed at the protrusions of the boots. The bolts 17 are fastened from the frame 10 side to the boot 20 side through the long holes 14 formed in the protrusions 13 to couple the boots and the frame.

본 고안에 따른 인라인 스케이트용 프레임은, 앞부분과 뒷부분의 돌출부(13) 사이에 중간돌출부(15)를 더 형성한 것이 가장 큰 구성적 특징인데, 이와 같이 중 간돌출부(15)를 형성함으로써, 인라인 스케이트를 오래 사용하더라도 부츠의 중간부분이 처지지 않도록 중간돌출부(15)가 받쳐주게 된다.Inline skating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ost constituent feature is that the intermediate protrusion 15 is further formed between the front and rear projections 13, in this way by forming the intermediate protrusion 15, Even if the skate is used for a long time, the intermediate protrusion 15 supports the middle portion of the boot so as not to sag.

중간돌출부(15)와 부츠(20)의 바닥면 사이는 1∼3㎜ 정도의 틈을 남겨두는 것이 바람직한데, 부츠(20)의 바닥면 형상이 부츠마다 다를 수 있기 때문에, 다시 말하면, 부츠의 중간부분의 오목한 정도가 다르기 때문에 중간돌출부(15)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하여 중간돌출부(15)의 상면(上面)에 패드(pad)(18)를 결합시킨다. It is preferable to leave a gap of about 1 to 3 mm between the intermediate protrusion 15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boot 20. Since the bottom shape of the boot 20 may vary from boot to boot, in other words, Since the concave degree of the intermediate portion is different, the pad 18 is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intermediate protrusion 15 to adjust the height of the intermediate protrusion 15.

프레임(10)의 앞부분과 뒷부분에 형성된 돌출부(13)는 프레임측에서 부츠측으로 볼트를 체결하여 결합시키지만, 패드(18)는 부츠(20)에 결합시키는 것이 아니라 프레임에 결합시키는 것이기 때문에, 패드(18)에서 중간돌출부(15)로 볼트 등 체결수단을 체결하는데, 체결했을 때 볼트머리가 패드의 상면보다 위로 더 튀어나오지 않도록 패드(18)의 상면에 볼트머리를 수용하는 홈(19)을 형성해 두어야 한다. 또한 패드(18)는 일정한 두께로 제작해도 되고, 두께가 다른 다양한 종류로 제작할 수도 있으며, 패드를 복수 개 중첩시켜서 높이를 조절해도 상관없다.The protrusions 13 formed at the front and rear portions of the frame 10 fasten bolts from the frame side to the boot side, but the pads 18 are coupled to the frame rather than the boots 20. In 18), the fastening means such as a bolt is fastened to the intermediate protrusion 15. When the fastening is performed, a groove 19 is formed on the top surface of the pad 18 so that the bolt head does not protrude upward from the top surface of the pad. Should be placed. In addition, the pads 18 may be produced with a constant thickness or may be produced in various kinds having different thicknesses, and the pads may be overlapped with each other to adjust the height.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게시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런 실시예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일반적인 인라인 스케이트를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general inline skate.

도 2는 종래의 인라인 스케이트용 프레임의 사시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of a frame for a conventional inline skate.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인라인 스케이트의 측면도이다.3 is a side view of the inline skate according to the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인라인 스케이트용 프레임의 사시도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line skate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인라인 스케이트용 프레임에 체결되는 패드의 사시도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of a pad fastened to an inline skate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Descrip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

10 : 프레임 11 : 측면부10 frame 11 side part

12 : 상면부 13 : 돌출부12: upper surface portion 13: protrusion

14 : 장공 15 : 중간돌출부14: long hole 15: intermediate protrusion

16 : 구멍 17 : 볼트16: hole 17: bolt

18 : 패드(pad) 19 : 홈18: pad 19: groove

20 : 부츠20: boots

Claims (4)

수직방향의 측면부와, 상기 측면부의 상부끼리를 연결하는 상면부로 구성된 인라인 스케이트용 프레임에 있어서,In the in-line skate frame composed of a vertical side portion and an upper surface portion connecting the upper portions of the side portion, 상기 상면부에는 앞부분과 뒷부분에 부츠와 결합되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의 상면(上面)에는 부츠와의 결합시 볼트를 체결하는 장공(長孔)이 형성되며, 상기 앞부분과 뒷부분의 돌출부 사이에 중간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중간돌출부의 상면에 결합되는 패드(pad)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라인 스케이트용 프레임. The upper surface portion is formed with a protrusion coupled to the front and the rear portion, the upper surface (上面)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上面) is a long hole (長 부츠) for fastening the bolt when engaged with the boots, between the front and rear projections An intermediate protrusion is formed in the in-line skate fram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pad (pad)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intermediate protrusion.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중간돌출부와 패드는 볼트로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라인 스케이트용 프레임.The intermediate protrusion and the pad frame for inline skates, characterized in that coupled to the bolt.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패드의 상면(上面)에는 체결시킨 볼트의 머리 부분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볼트머리를 수용하는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라인 스케이트용 프레임.And a groove for accommodating the head of the bolt so that the head of the fastened bolt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on an upper surface of the pad.
KR2020070015477U 2007-09-17 2007-09-17 Frame structure of in-line skate KR200441917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5477U KR200441917Y1 (en) 2007-09-17 2007-09-17 Frame structure of in-line skat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5477U KR200441917Y1 (en) 2007-09-17 2007-09-17 Frame structure of in-line skat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1917Y1 true KR200441917Y1 (en) 2008-09-22

Family

ID=416222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5477U KR200441917Y1 (en) 2007-09-17 2007-09-17 Frame structure of in-line skat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1917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08171B2 (en) Personal transportation device for supporting a user's foot having multiple transportation attachments
US7059613B2 (en) Personal transportation device for supporting a user's foot having multiple transportation attachments
US8635728B2 (en) Modular ramp system
US4930796A (en) Riding vehicle
US20110298194A1 (en) Road Skeez
US6626441B1 (en) Bicycle ski link assembly
US7581735B2 (en) Skateboard ski with spring suspension
US6209894B1 (en) Summer sled
US4886283A (en) Recreational vehicle
US8505931B2 (en) Sled
US20080246235A1 (en) Shock absorbing tandem roller skate
KR200441917Y1 (en) Frame structure of in-line skate
KR20090003996U (en) S-board
KR101211173B1 (en) Free board skate
US3415528A (en) Ice skate
US6394469B1 (en) In-line roller skate provided with an internal support for a user's foot
US20120313336A1 (en) Unicycle roller skate
KR100794741B1 (en) Skate board
CN107205520A (en) Roller skidding shoe system with guide rail and boots
CN101362018A (en) Single-wheel ice skates
KR101555288B1 (en) Board sled
CN210114804U (en) Single-row skating shoes
FI71906C (en) CART.
US6702303B1 (en) Roller skate vehicle with seat
KR200392485Y1 (en) boots structure of inline ska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