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1463Y1 - Safety apparatus of rope for heights work - Google Patents
Safety apparatus of rope for heights work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41463Y1 KR200441463Y1 KR2020070014029U KR20070014029U KR200441463Y1 KR 200441463 Y1 KR200441463 Y1 KR 200441463Y1 KR 2020070014029 U KR2020070014029 U KR 2020070014029U KR 20070014029 U KR20070014029 U KR 20070014029U KR 200441463 Y1 KR200441463 Y1 KR 200441463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xing
- work
- line
- holding members
- work lin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43—Lifelines, lanyards, and anchors therefore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0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against falling down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0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against falling down
- E04G21/3223—Means supported by building floors or flat roofs, e.g. safety railings
- E04G21/3233—Means supported by building floors or flat roofs, e.g. safety railings without permanent provision in the floor or roof
- E04G21/3242—Means supported by building floors or flat roofs, e.g. safety railings without permanent provision in the floor or roof using cla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고소 작업시 작업줄의 상단을 구조물에 감아 매듭을 형성하는 것에 의해 작업줄을 구조물에 고정함과 동시에, 작업줄의 상단을 매듭과 함께 구조물에 2중으로 고정하는 것에 의해 매듭이 풀리는 경우에도 작업줄이 구조물로부터 풀리지 않도록 하여 작업자의 추락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작업줄의 매듭 풀림에 대한 안전성을 작업자에게 확신시킴으로써 작업시 심리적 불안감 없이 작업에만 전념할 수 있는 고소 작업줄용 안전장치를 개시한다.When working at height, the work line is fixed to the structure by winding the top of the work line to form the knot, and at the same time the knot is loosened by double fixing the top of the work line to the structure together with the knot. By preventing the worker from falling off by preventing it from being released from the structure, and assures the worker of safety of loosening the knot of the work line, the safety device for the height of the working place that can concentrate on the work without psychological anxiety at work is disclosed. .
본 고안의 고소 작업줄용 안전장치는, 구조물에 감긴 양쪽의 작업줄을 각각 착탈 가능하게 감싸 고정하는 고정홀더와, 상기 양쪽의 고정홀더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고정홀더는, 고정단이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호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자유단이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개폐가능하게 되어 작업줄의 바깥둘레면을 착탈 가능하게 감싸도록 형성된 제1 및 제2 홀딩부재와, 상기 제1 및 제2 홀딩부재의 자유단에 설치되어 제1 및 제2 홀딩부재를 조여 작업줄을 고정하거나 제1 및 제2 홀딩부재를 풀어 작업줄을 고정해제하는 고정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고정홀더는, 제1 및 제2 홀딩부재의 고정해제를 제한하기 위해 자물쇠로 제1 및 제2 홀딩부재를 걸어 잠그도록 구성된다.Safety device for the aerial work lin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fixing holder for detachably wrapping and fixing each working line wound on the structure, and a connecting member for connecting the two fixed holder, the fixing holder is fixed end First and second holding members rotatably connected to each other about the hinge axis, and free ends of which are open and close about the hinge axis to removably sur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ork line; 2 is provided on the free end of the holding member is fixed to the first and second holding member to secure the work line or the first and second holding member is composed of a fixing member for releasing the work line, the fixing holder, And to lock and lock the first and second holding members with a lock to restrict release of the first and second holding members.
Description
본 고안은 고소 작업줄용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작업줄의 상단을 구조물에 고정한 작업줄의 매듭부분이 풀려 발생하는 작업자의 추락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매듭 풀림에 대한 안전성을 확보함으로써 작업자의 심리적 부담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한 고소 작업줄용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fety device for aerial work line, and more particularly, by preventing the fall of the worker caused by loosening the knot of the work line fixed to the structure of the work line and securing the safety of the knot loosening It relates to a safety device for the height of the suede to solve the psychological burden of the worker.
일반적으로 고층의 상업용 빌딩 또는 고층 아파트와 같이 높은 건물의 외벽을 도색하거나 청소하는 등의 고소 작업시, 건물 옥상에 구비된 구조물에 작업줄의 상단을 단단히 묶어 고정하고, 작업줄을 건물의 외벽 아래로 길게 늘어뜨려 설치한 후, 작업줄에 작업용 좌대를 연결하여 천천히 하강하면서 작업을 수행하고 있다.In general, when suing or painting the outer wall of a high building such as a high-rise commercial building or a high-rise apartment, the upper part of the work line is firmly tied to the structure provided on the roof of the building, and the work line is fixed under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After long installations, the work base is connected to the work line and slowly descends to perform work.
도 1은 상기와 같은 고소 작업시 작업줄의 상단을 건물 옥상의 구조물에 고정한 일예를 나타낸 것으로, 구조물(A)에 작업줄(B)을 감은 후, 매듭(C)을 지어 작업줄(B)의 상단을 묶어 고정하는 형태를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매듭(C)은 여러 가지 형태가 있으나, 주로 8자 매듭을 사용하여 풀림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Figure 1 shows an example of fixing the upper end of the working line to the structure of the roof of the building when working as described above, after winding the working line (B) to the structure (A), line the knot (C) working line (B) The form of tying and fixing the top of the most is used, the knot (C) has a number of forms, but mainly to prevent the loosening by using the eight-character knot.
그러나 8자 매듭은 작업줄(B)에 작업자의 하중에 의한 인장력이 작용하는 경 우, 매듭(C)이 더욱 조여지도록 되어 있어 매듭(C)이 잘 풀리지 않는 장점이 있지만, 강한 인장력이 작용한 상태에서도 쉽게 풀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매듭(C)의 풀림에 의해 추락사고의 우려가 높은 단점이 있으며, 작업자는 혹시 매듭(C)이 풀리지 않을까 하는 심리적 불안감을 가지고 있는 상태에서 작업에 임하고 있다.However, the eight-character knot has the advantage that the knot (C) is not loosened because the knot (C) is further tightened when the tensile force is applied to the work line (B) by the worker's load. Since it is a structure that can be easily released even in a state, there is a high risk of falling accident due to the loosening of the knot (C), and the worker may have a psychological anxiety that the knot (C) may be loosened. I wrestle.
이러한 고소 작업시의 작업줄 매듭 고정방식은 자연적이든 제3 자에 의한 인위적인 부주의 또는 고의에 의하든 매듭(C)이 풀릴 가능성이 있다는 점에서, 언제든지 추락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불안한 작업환경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작업자의 심리적 부담감은 더욱 가중되는 문제가 있었다.This method of fixing the work knot at the time of suing has an unstable working environment where a fall accident can occur at any time in that the knot (C) may be released naturally or by artificial carelessness or intentionality.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sychological burden of the worker is further increased.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고소 작업시 작업줄의 상단을 구조물에 감아 매듭을 형성하는 것에 의해 작업줄을 구조물에 고정함과 동시에, 작업줄의 상단을 매듭과 함께 구조물에 2중으로 고정하는 것에 의해 매듭이 풀리는 경우에도 작업줄이 구조물로부터 풀리지 않도록 하여 작업자의 추락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고소 작업줄용 안전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he purpose is to secure the work line to the structure by winding the top of the work line to the structure during the height work to form a knot, at the same time, the top of the work line It is to provide a safety device for the aerial work line that can prevent the fall of the worker in advance by preventing the working line from being released from the structure even when the knot is released by double fixing to the structure with the knot.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작업줄의 매듭 풀림에 대한 안전성 및 신뢰성을 작업자에게 확신시킴으로써 작업시 심리적 불안감을 없애고 작업에만 전념할 수 있는 고소 작업줄용 안전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afety device for the height of the working line to eliminate the psychological anxiety and concentrate on the work only by assuring the worker the safety and reliability of loosening the knot of the working line.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고소 작업을 위해 건물에 설치되는 작업줄의 상단을 건물의 구조물에 감아 고정하기 위한 안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에 감긴 양쪽의 작업줄을 각각 착탈 가능하게 감싸 고정하는 고정홀더와, 상기 양쪽의 고정홀더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로 구성된 고소 작업줄용 안전장치에 특징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the safety device for fixing the upper end of the work line to be installed in the building for the aerial work to the structure of the building, so that both work lines wound on the structure to be removabl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afety device for the working height consisting of a fixed holder for wrapping and fixing, and a connecting member for connecting both of the fixed holder.
또한, 본 고안의 상기 고정홀더는, 고정단이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호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자유단이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개폐가능하게 되어 작업줄의 바깥둘레면을 착탈 가능하게 감싸도록 형성된 제1 및 제2 홀딩부재와, 상기 제1 및 제2 홀딩부재의 자유단에 설치되어 제1 및 제2 홀딩부재를 조여 작업줄을 고정하거나 제1 및 제2 홀딩부재를 풀어 작업줄을 고정해제하는 고정부재로 구성된 고소 작업줄용 안전장치에 특징이 있다.In addition, the fixed hold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end is formed so that the fixed end is rotatably connected to each other around the hinge axis and the free end can be opened and closed about the hinge axis to detachably surrou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working line. And a second holding member and the free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holding members, tightening the first and second holding members to fix the working line or releasing the first and second holding members to release the working line. It is characterized by the safety device for aerial work lines composed of fixed members.
또한, 본 고안의 상기 고정홀더는, 제1 및 제2 홀딩부재의 고정해제를 제한하기 위해 자물쇠로 제1 및 제2 홀딩부재를 걸어 잠그도록 구성된 고소 작업줄용 안전장치에 특징이 있다.In addition, the fixing hold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afety device for the aerial work line configured to lock the first and second holding member with a lock to limit the release of the first and second holding member.
또한 본 고안의 상기 고정홀더는, 작업줄과 접하는 제1 및 제2 홀딩부재의 안쪽면에 미끄럼방지용의 요철부를 형성한 고소 작업줄용 안전장치에 특징이 있다.In addition, the fixing hold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afety device for the aerial work line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and second holding member in contact with the working line to prevent the slippery.
본 고안에 따른 고소 작업줄용 안전장치에 의하면, 건물 옥상의 구조물에 감은 후, 매듭을 형성하여 고정되는 작업줄 양쪽에 고정홀더를 각각 고정하는 것에 의해 작업줄을 매듭과 함께 2중으로 고정할 수 있고, 고정홀더에 의한 작업줄의 고정이 제1 및 제2 홀딩부재를 고정부재로 조이는 조임력에 의해 견고하게 이루어지므로, 작업줄의 풀림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써 작업줄의 매듭이 풀림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작업자의 추락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safety device for the aerial work l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fter winding the structure on the roof of the building, it is possible to double the working line with the knot by fixing the fixing holders on both sides of the working line to form a knot. Since the fixing of the working line by the fixing holder is made firmly by the tightening force of tightening the first and second holding members to the fixing member, it is possible to reliably prevent loosening of the working line, thereby releasing the knot of the working line. Falling accidents of workers can be prevented.
또한 본 고안의 고소 작업줄용 안전장치에 의하면, 고정홀더를 자물쇠로 잠글 수 있도록 됨에 따라 작업자가 자물쇠를 직접 잠그는 경우, 추락 사고에 대한 심리적 불안감 없이 작업에만 열중할 수 있고, 작업자가 부주의 또는 안전 불감증에 의해 자물쇠를 잠그지 않는 경우를 대비하여 자물쇠의 잠금 및 잠금해제를 안전 관리자가 담당하게 되면, 작업 안전수칙을 강제하여 작업줄의 풀림에 의한 추락 사고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위험한 고소 작업에 따른 열악한 작업환경을 크게 개선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safety device for the aerial work line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operator locks the lock directly by locking the fixed holder, the worker can concentrate only on the work without psychological anxiety about the fall accident, the worker carelessness or safety insensitivity If the safety manager is in charge of locking and unlocking the lock in case the lock is not locked by the operator, the safety rules can be enforced to reliably prevent the accident caused by the loosening of the work line, The poor working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work can be greatly improved.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고소 작업줄용 안전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 내지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고소 작업줄용 안전장치의 고정홀더를 나타낸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safety device for the aerial work l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3 to 5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sectional view showing a fixing holder of the safety device for the aerial work l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의 고소 작업줄용 안전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의 구조물(A)에 작업줄(B)의 상단을 감은 후, 매듭(C)으로 묶어 고정한 상태에서 양쪽의 작업줄(B)을 연결하여 고정함으로써 매듭(C)과 함께 2중의 고정구조가 되도록 한 것으로, 양쪽의 작업줄(B)에 고정하기 위한 2개의 고정홀더(10)와, 상기 2개의 고 정홀더(10)를 연결하는 연결부재(20)로 구성된다.Safety device for the aerial work lin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2, after winding the upper end of the working line (B) in the structure (A) of the building, tied to the knot (C) both working lines (B) ) By fixing by connecting the two knots (C) to a double fixed structure, two fixing holders (10) for fixing to both working lines (B), and the two fixing holders (10) Consists of a
상기 고정홀더(10)는 작업줄(B)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는 구조로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의 고정단이 힌지축(11)을 중심으로 상호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의 자유단이 상기 힌지축(11)을 중심으로 개폐가능하게 된 한 쌍의 제1 및 제2 홀딩부재(12,13)를 구비하며, 제1 및 제2 홀딩부재(12,13)는 작업줄(B)의 바깥둘레면을 감싸도록 반원형의 형상을 가진다. 따라서 힌지축(11)을 중심으로 자유단을 개폐하는 것에 의해 양쪽의 제1 및 제2 홀딩부재(12,13)내에 작업줄(B)을 끼워 넣거나 제1 및 제2 홀딩부재(12,13)로부터 작업줄(B)을 빼낼 수 있도록 되어 있다.The
또한 제1 및 제2 홀딩부재(12,13)의 자유단에는 상기 힌지축(11)을 중심으로 제1 및 제2 홀딩부재(12,13)를 당겨 조임으로써 작업줄(B)을 제1 및 제2 홀딩부재(12,13)가 가압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고정부재(15)가 구비된다.In addition, the first end of the first and second holding members (12, 13) by pulling and tightening the first and second holding members (12, 13) around the hinge shaft (11) to the first working line (B) And a
고정부재(15)는 볼트(15a)와 너트(15b)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를 위해 제1 및 제2 홀딩부재(12,13)의 자유단에 관통구멍을 형성한 고정부(12a,13a)를 각각 일체로 돌출 형성하여 볼트(15a) 및 너트(15b)로 고정 및 고정 해제시킴으로써 제1 및 제2 홀딩부재(12,13)를 조여 작업줄(B)을 고정하거나 제1 및 제2 홀딩부재(12,13)를 풀어 작업줄(B)의 고정을 해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견고한 고정을 위해 2개의 고정부재(15)로 고정부(12a,13a)를 고정하도록 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1개의 고정부재를 사용하여 고정할 수도 있다. The
고정홀더(10)의 사이즈는 작업줄(B)의 굵기에 대응하여 설정할 수 있고, 구 조적 강도를 위해 금속으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1 및 제2 홀딩부재(12,13)의 안쪽면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줄(B)과의 사이에서 미끄럼이 발생하지 않도록 작업줄(B)과 접촉하는 면에 요철부(14a,14b)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ize of the fixed
그리고 고정홀더(10)는, 제1 및 제2 홀딩부재(12,13)의 고정해제를 제한하기 위해 자물쇠(16)로 제1 및 제2 홀딩부재(12,13)를 걸어 잠그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제1 홀딩부재(12)의 고정부(12a)에는 잠금편(17)이 제2 홀딩부재(13)의 고정부(13a)쪽으로 돌출형성되고, 잠금편(17)에는 잠금구멍(17a)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2 홀딩부재(13)의 고정부(13a)에는 상기 잠금편(17)이 관통하는 관통구멍(17b)을 형성하고 있다.And the fixed
따라서 제1 및 제2 홀딩부재(12,13)의 폐쇄시 잠금편(17)이 관통구멍(17b)으로 관통하여 고정부(13a)의 반대편으로 잠금구멍(17a)이 노출되고, 이 잠금구멍(17a)에 자물쇠(16)를 채움으로써 제1 및 제2 홀딩부재(12,13)의 고정해제를 제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때 상기 자물쇠(16)는 열쇠로 여는 방식과 비밀번호로 여는 방식 모두 채용할 수 있다. Accordingly, when the first and second holding
한편, 양쪽의 고정홀더(10)를 연결하는 연결부재(20)는, 작업줄(B)에 작용하는 인장력을 감안하여 충분한 구조적 강도와 내구성을 가지는 쇠사슬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고정홀더(10)의 제1 홀딩부재(12) 또는 제2 홀딩부재(13)에는 연결구멍(21)을 형성하여 연결부재(20)인 쇠사슬로 양쪽의 고정홀더(10)를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the connecting
이러한 구성의 본 고안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축(11)을 중심으로 하여 제1 및 제2 홀딩부재(12,13)를 회전시켜 자유단을 개방하게 되면, 제1 및 제2 홀딩부재(12,13)의 안쪽으로 작업줄(B)을 끼워 넣을 수 있게 되고, 이어서 제1 및 제2 홀딩부재(12,13)를 회전시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유단을 폐쇄시킴과 동시에, 고정부재(15)인 볼트(15a)와 너트(15b)를 조이게 되면, 양쪽의 제1 및 제2 홀딩부재(12,13)가 작업줄(B)의 바깥둘레면을 가압하므로 작업줄(B)에 고정홀더(10)가 견고하게 고정된다.The present invention of this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ure 3 when the first end and the second holding member (12, 13) around the
이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홀딩부재(12,13) 안쪽면에 형성된 요철부(14a,14b)가 작업줄(B)의 불규칙한 면에 끼워져 가압되므로 이들 사이에서 미끄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로 인해 고정홀더(10)를 작업줄(B)에 더욱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At this time, as shown in FIG. 5, since the
이와 같이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조물(A)에 매듭(C)으로 묶여 고정된 작업줄(B) 양쪽에 고정홀더(10)를 간단하게 고정할 수 있게 되고, 양쪽의 고정홀더(10)는 연결부재(20)에 의해 연결되어 고정된 것이므로, 매듭(C)이 풀리는 경우에도 작업줄(B)이 구조물(A)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여 작업자의 추락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Thus, as shown in FIG. 2, the
한편,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고정홀더(10)의 제1 및 제2 홀딩부재(12,13)를 폐쇄하는 과정에서 제1 홀딩부재(12)의 고정부(12a)에 형성된 잠금편(17)이 제2 홀딩부재(13)의 고정부(13a)에 형성된 관통구멍(17b)으로 관통하여 잠금편(17)의 잠금구멍(17a)이 고정부(13a)의 반대쪽으로 노출되고, 이 잠금구멍(17b)에 자물 쇠(16)를 채움으로써 자물쇠(16)를 채운 특정된 사람만 고정홀더(10)의 고정 상태를 해제할 수 있게 되어 작업자는 마음 놓고 작업에 열중할 수 있게 되며, 상기 자물쇠의 잠금 및 잠금해제를 안전 관리자가 직접 담당하게 되면, 작업자의 부주의나 안전 불감증으로 자물쇠를 채우지 않음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Meanwhile, as shown in FIGS. 3 and 4, the locking piece formed on the
지금까지 설명된 실시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과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내에서 이 분야의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경, 변형 또는 치환이 가능할 것이며, 그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embodiments described so far are merely illustrative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utility model registration claims Various changes, modifications, or substitutions will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such embodiments should be understoo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종래의 고소 작업용 작업줄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state of a conventional work height aerial work.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고소 작업줄용 안전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safety device for the aerial work l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고소 작업줄용 안전장치의 고정홀더를 나타낸 사시도.3 and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xing holder of the safety device for aerial work l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고소 작업줄용 안전장치의 고정홀더를 나타낸 단면도.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ixing holder of the safety device for aerial work l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고정홀더 11 : 힌지축10: fixed holder 11: hinge axis
12,13 : 제1 및 제2 홀딩부재 14a,14b : 요철부12,13: first and
15 : 고정부재 16 : 자물쇠15: fixing member 16: lock
Claims (4)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70014029U KR200441463Y1 (en) | 2007-08-24 | 2007-08-24 | Safety apparatus of rope for heights work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70014029U KR200441463Y1 (en) | 2007-08-24 | 2007-08-24 | Safety apparatus of rope for heights work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41463Y1 true KR200441463Y1 (en) | 2008-08-19 |
Family
ID=416458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70014029U KR200441463Y1 (en) | 2007-08-24 | 2007-08-24 | Safety apparatus of rope for heights work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41463Y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99789B1 (en) * | 2021-06-21 | 2022-05-20 | 아성글로벌(주) | Safety bar ring for a high place working |
-
2007
- 2007-08-24 KR KR2020070014029U patent/KR200441463Y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99789B1 (en) * | 2021-06-21 | 2022-05-20 | 아성글로벌(주) | Safety bar ring for a high place working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3574794B1 (en) | Shoelace folding and releasing device | |
US8905449B2 (en) | Caribiner | |
KR102389099B1 (en) | Automatic hook having locking device | |
KR200441463Y1 (en) | Safety apparatus of rope for heights work | |
JP2010168856A (en) | Tower-climbing prevention device | |
JP6917048B2 (en) | Kaishakunin arm, and a crane arm with a kaishakunin arm | |
KR101712567B1 (en) | Shackle | |
JP2011226127A (en) | Tower-climbing prevention device | |
JP4185655B2 (en) | Opening / closing operation device for telephone pole switch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 |
US7644894B1 (en) | Cable management and tie-off apparatus | |
JPH08301571A (en) | Unslinging hook | |
KR101518869B1 (en) | Crane safe hook | |
JP4150893B2 (en) | Fall prevention fence for railway vehicles | |
JP4781090B2 (en) | Hook holding device | |
JPS583748Y2 (en) | Main rope hook for longi | |
JP5021832B1 (en) | Climber | |
US7546665B2 (en) | Cinch for tether | |
US5895083A (en) | Automatic cable disconnector | |
JPS63143085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laying main rope for lifeline under tension in construction spot | |
JPH0223329Y2 (en) | ||
JPS6019732Y2 (en) | Emergency rescue bag fixing device | |
KR20240020847A (en) | Safety device for prevention of falling | |
GB2438068A (en) | Device for lifting a building panel having a top rail | |
CN118224402A (en) | Remote detachable ground pump pipe fixing device and use method thereof | |
JPH033639Y2 (e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813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813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912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812 Year of fee payment: 8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