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0952Y1 - Upper board and raised access floors system with the same - Google Patents

Upper board and raised access floors system with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0952Y1
KR200440952Y1 KR2020080004907U KR20080004907U KR200440952Y1 KR 200440952 Y1 KR200440952 Y1 KR 200440952Y1 KR 2020080004907 U KR2020080004907 U KR 2020080004907U KR 20080004907 U KR20080004907 U KR 20080004907U KR 200440952 Y1 KR200440952 Y1 KR 20044095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top plate
reinforcing
sheet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4907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철환
박성하
강헌성
배문성
이충화
장호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20200800049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0952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09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0952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4Sectional false floors, e.g. computer floors
    • E04F15/02405Floor panels
    • E04F15/02417Floor panels made of box-like elements
    • E04F15/02423Floor panels made of box-like elements filled with core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4Sectional false floors, e.g. computer floors
    • E04F15/02447Supporting structures
    • E04F15/02458Framework supporting the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4Sectional false floors, e.g. computer floors
    • E04F15/02447Supporting structures
    • E04F15/02464Height adjustable elements for supporting the panels or a panel-supporting framework
    • E04F15/0247Screw jacks
    • E04F15/02476Screw jacks height-adjustable from the upper side of the flo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강도가 향상되고 두께가 감소된 상판 및 이 상판을 구비하는 이중 바닥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 바닥 시스템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상부판 및 하부판을 구비하는 상판을 포함한다. 상기 상부판과 하부판 사이에는 빈 공간을 형성하는 보강 리브가 배치되고, 빈 공간에는 종이, 제진 시트 또는 비닐 시트를 다중으로 압착하여 형성한 보강 시트가 배치된다. 이러한 구성의 상판은 지지판에 의해 지지되고, 지지판은 지지대 고무에 설치된 레벨링 볼트에 의해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된다.Provided is a top plate with improved strength and reduced thickness and a double bottom system having the top plate. The double bottom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op plate having a top plate and a bottom plat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A reinforcing rib is formed between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and a reinforcing sheet formed by pressing multiple sheets of paper, a damping sheet, or a vinyl sheet is disposed in the empty space. The top plate of such a configuration is supported by the support plate, and the support plate is installed to enable height adjustment by a leveling bolt installed on the support rubber.

상판, 보강재, 보강시트, 종이, 제진시트, 비닐 시트, 강도 Top plate, reinforcing material, reinforcing sheet, paper, vibration damping sheet, vinyl sheet, strength

Description

상판 및 이 상판을 구비하는 이중 바닥 시스템{UPPER BOARD AND RAISED ACCESS FLOORS SYSTEM WITH THE SAME}UPPER BOARD AND RAISED ACCESS FLOORS SYSTEM WITH THE SAME}

본 고안은 이중 바닥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강도가 향상되고 두께가 감소된 상판 및 이 상판을 구비하는 이중 바닥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uble floor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top plate having improved strength and reduced thickness and a double floor system having the top plate.

하부 공간 활용의 장점으로 인해 오래 전부터 전산실과 같은 상업용에 적용되고 있는 이중 바닥 시스템은 통상적으로 상판과, 상판을 지지하는 지지대로 이루어지며, 지지대는 상판을 지지하는 지지판과, 지지판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상판을 레벨링하는 레벨링 볼트와, 레벨링 볼트의 저부에 설치되는 지지대 고무를 포함한다.Due to the advantages of utilizing the lower space, the double-floor system, which has long been used in commercial applications such as computer rooms, is usually made of a top plate, a support plate for supporting the top plate, and the support plate is screwed to the support plate, A leveling bolt for leveling the top plate, and a support rubber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leveling bolt.

그러나, 종래의 이중 바닥 시스템은 층간 소음(경량 바닥 충격음 및/또는 중량 바닥 충격음) 저감 성능과 온돌 난방층에서 발생하는 고하중 등의 다양한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지 못하고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double floor system does not effectively suppress various problems such as interlayer noise (light floor impact sound and / or heavy floor impact sound) reduction performance and high load generated in the ondol heating layer.

따라서, 아직까지는 상기한 이중 바닥 시스템이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 즉 주거용으로는 적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Therefore, the above-mentioned double floor system is not applied to apartment houses such as apartments, that is, residential so far.

이에, 상기한 이중 바닥 시스템을 공동주택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강도가 우 수한 상판의 개발이 필수적으로 선행되어야 한다.Therefore, in order to apply the above-mentioned double-floor system to a multi-family house, the development of a high strength top plate must be inevitably preceded.

또한, 상기 상판은 충분한 하부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두께가 최소화되는 것도 필요하다.In addition, the top plate is also required to minimize the thickness to ensure a sufficient lower space.

이에 종래에는 파티클 보드(PB: Particle Board), 합판(Plywood), MDF(Medium Density Fiberboard), HDF(High Density Fiberboard), OSB(Oriented Standard Board) 등의 목질계, 목모(木毛)시멘트판, 콘크리트 시멘트판 등의 무기질계, 합성수지계, 스틸계, 알루미늄계 등의 단일재료 또는 목질과 알루미늄 등의 2가지 이상의 재료를 동시에 사용하는 복합재료 등으로 제조한 판상 부재를 이용하여 상판을 구성하고 있으며, 가격 대비 강성 및 가공 용이성을 고려하여 파티클 보드를 판상 부재로 주로 사용하고 있다.Therefore, conventionally, such as particle board (PB: Particle Board), plywood (Plywood), MDF (Medium Density Fiberboard), HDF (High Density Fiberboard), OSB (Oriented Standard Board), wood system, wood cement board, The upper plate is composed of a plate member made of a single material such as inorganic cement, synthetic resin, steel or aluminum, or a composite material using two or more materials such as wood and aluminum at the same time. Particle board is mainly used as a plate member in consideration of stiffness and easy processing.

여기에서, 상기 파티클 보드는 목재 및 기타 식물 섬유질의 소편(particle) 즉 절삭편 또는 파쇄편 등에 합성수지 접착제를 첨가하여 성형, 열압시킨 것으로 500∼900㎏/m3의 밀도를 갖는 판상 제품을 말한다.Here, the particle board is a plate-like product having a density of 500 to 900 kg / m 3 by molding and hot pressing by adding a synthetic resin adhesive to particles of wood and other plant fibers, that is, cutting pieces or crushed pieces.

그런데, 파티클 보드를 사용하여 제조한 상판은 강도 향상을 위해 상판의 두께를 증가시키는 경우 하부 공간이 축소되는 문제점이 있고, 하부 공간을 증가시키기 위해 두께를 감소시키는 경우 강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By the way, the top plate manufactured using the particle board has a problem that the lower space is reduced when the thickness of the top plate is increased to improve the strength, the strength is lowered when the thickness is reduced to increase the lower space.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상부판과 하부판 및 이 판들 사이에 배치되는 보강재를 포함하는 샌드위치 구조로 상판을 구성하기도 하였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top plate has been conventionally configured with a sandwich structure including an upper plate and a lower plate and a reinforcing material disposed between the plates.

샌드위치 구조로 형성된 상판의 한 예로, 유럽 공개특허번호 0108904호는 병 풍 모양의 막 구조로 형성된 보강재를 구비하는 상판을 개시하고 있다.As an example of a top plate formed of a sandwich structure, EP-A-0108904 discloses a top plate having a reinforcement formed of a bottle-like membrane structure.

그런데, 병풍 모양의 막 구조로 형성된 보강재를 구비하는 종래의 상판은 여러개의 보강재를 상부판 또는 하부판에 고정 설치해야 하고, 설치 작업시에 각각의 보강재를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해야 하는 등의 이유로 인해 작업성이 저하되고, 또한 상판 조립 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By the way, the conventional top plate having a reinforcement formed of a screen-like membrane structure has to be fixed to the top plate or the bottom plate to install a plurality of reinforcement, and each reinforcement must be arranged at the same interval during installation work, etc. There is a problem that the deterioration of the properties, and also takes a lot of time for the top plate assembly work.

따라서,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종래의 상판을 구비하는 이중 바닥 시스템은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 즉 주거용으로는 적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Therefore, as mentioned above, the conventional double-floor system having a top plate is not applied to a common house such as an apartment, that is, residential.

이에, 본 고안은 강도가 향상되고 두께가 감소된 상판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object to provide a top plate with improved strength and reduced thickness.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상기한 상판을 구비함으로써 공동주택에 적용이 가능한 이중 바닥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ouble-floor system that can be applied to a multi-family house by providing the top plate.

상기한 본 고안의 첫 번째 목적은,The first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지지대에 의해 지지되는 이중 바닥 시스템의 상판으로서,As the top plate of the double bottom system supported by the support,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상부판 및 하부판;An upper plate and a lower plat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상기 상부판과 하부판을 일정 간격으로 유지하는 보강 리브; 및Reinforcing ribs for maintaining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at regular intervals; And

상기 보강 리브에 의해 상기 상부판 및 하부판 사이에 형성된 빈 공간에 배치되는 보강 시트(sheet)Reinforcing sheet disposed in the empty space formed between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by the reinforcing rib

를 포함하는 상판에 의해 달성할 수 있다.It can achieve by the top plate containing.

본 고안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보강 시트는 다중의 압착 종이층, 다중의 제진 시트층 또는 다중의 비닐 시트층 중에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inforcing sheet may be made of any one of a plurality of compressed paper layers, a plurality of damping sheet layers, or a plurality of vinyl sheet layers.

상기 보강 시트는 보강 리브에 의해 형성된 빈 공간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며, 상부판 및 하부판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한 개의 판에는 보강 시트를 고정하기 위한 접착 테이프가 배치된다. 물론, 상기 보강 리브도 접착 테이프에 고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보강 리브와 보강 시트는 동일한 기판에 접착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reinforcing sheet is formed in the same size as the empty space formed by the reinforcing ribs, and at least one of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is disposed with an adhesive tape for fixing the reinforcing sheet. Of course, the reinforcing ribs can also be fixed to the adhesive tape. In this case, the reinforcing rib and the reinforcing sheet are preferably fixed to the same substrate.

그리고, 상기 접착 테이프 대신에 접착제 또는 결합 수단(못, 스크류 등)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it is also possible to use an adhesive or bonding means (nail, screw, etc.) instead of the adhesive tape.

이러한 구성의 상판은 상기 보강 리브 및 보강 시트에 의해 강도가 증가되므로, 상판의 두께를 축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top plate of such a configuration has an effect of reducing the thickness of the top plate because the strength is increased by the reinforcing ribs and the reinforcing sheet.

더욱이, 상기 빈 공간과 동일한 크기로 이루어진 보강 시트를 접착 테이프에 접착하는 것에 의해 상판 조립 작업이 완료되므로, 병풍 형상의 막구조로 이루어진 보강재를 사용하는 종래의 경우에 비해 조립 작업성이 향상된다.Furthermore, since the top plate assembling work is completed by adhering a reinforcing sheet having the same size as that of the empty space to the adhesive tape, the assembling workability is improved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case using the reinforcing material having a screen-like film structure.

이러한 구성의 상판을 구비하는 이중 바닥 시스템은 상판을 지지하는 지지대를 더욱 포함하는데, 상기 지지대는 상판을 지지하는 지지판과, 지지판에 설치된 너트에 나사 결합되는 레벨링 볼트 및 상기 레벨링 볼트와 슬라브 사이에 설치되는 지지대 고무를 포함한다.The double bottom system having a top plate of such a configuration further includes a support for supporting the top plate, which is installed between the support plate for supporting the top plate, a leveling bolt screwed to a nut installed on the support plate, and between the leveling bolt and the slab. It includes support rubber.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상판은 상부판 및 하부판 사이에 보강 리브 및 보강 시트를 배치하고 있으므로, 두께 축소 및 강도 향상이 가능하여 상판의 하부 공간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고,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top plat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between the reinforcing rib and reinforcing sheet between the top plate and the bottom plat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thickness and improve the strength can easily secure the lower space of the top plate This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assemblability.

또한, 상기한 구성의 상판을 이용하면 상판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의 배치 간격을 종래보다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시공 속도 향상과 아울러 지지대 사용 개수를 줄일 수 있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use of the upper plate of the above configuration can increase the spacing of the support for supporting the upper plate than in the prior art,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construction speed and reduce the number of the use of the support to reduce the cost, etc. .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tail as follows.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상판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2는 도 1의 상판을 구비한 이중 바닥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top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show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double bottom system having a top plate of FIG.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 바닥 시스템(100)은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지지대(10)와, 슬라브(30)와의 사이에 하부 공간을 형성하도록 지지대(10)에 의해 지지되는 상판(20)을 포함한다.As shown, the double floor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e support 10 to form a lower space between the plurality of supports 10 and the slab 30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A top plate 20 is supported.

상기한 이중 바닥 시스템(100)에서 사용하는 지지대(10)는 크게 지지판(12), 레벨링 볼트(14) 및 지지대 고무(16)로 구성된다.The support 10 used in the double bottom system 100 is largely composed of a support plate 12, a leveling bolt 14 and a support rubber 16.

레벨링 볼트(14)의 일단부는 지지판(12)에 설치된 너트(12')에 나사 결합되며, 레벨링 볼트(14)의 다른 단부에 구비된 볼트 헤드(미도시함)는 지지대 고무(16)에 착탈 가능하게, 그리고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One end of the leveling bolt 14 is screwed into a nut 12 'installed on the support plate 12, and a bolt head (not shown)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leveling bolt 14 is detachable from the support rubber 16. Possibly and rotatably coupled.

상기 레벨링 볼트(14)는 지지판(12)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역할을 하는 부품으로, 나사선의 조밀도와 재질이 중요하다. 나사선의 조밀도는 조밀할수록 정밀한 높이 조절이 가능하지만 시공 속도가 느리고, 나사선의 불량 발생 가능성이 높은 단점이 있으므로, 일정한 규격의 볼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leveling bolt 14 is a part that serves to adjust the height of the support plate 12, the density and material of the thread is important. The more dense the screw thread, the more precise the height can be adjusted. However, the construction speed is slow and the defect of the screw thread is likely to occur. 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use a bolt of a certain size.

예컨대, 레벨링 볼트(14)로는 직경이 5 내지 20㎜이고, 길이는 20 내지 200㎜인 KS B1002 규격의 볼트를 사용할 수 있다.For example, as the leveling bolt 14, a bolt of KS B1002 standard having a diameter of 5 to 20 mm and a length of 20 to 200 mm can be used.

상기 지지판(12)은 상판(20)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부품으로, 지지판(12)의 중심부에는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통공에는 너트(12')가 삽입되며, 지지판(12)의 상부면에는 상판(20)과의 접착을 위한 접착 테이프(미도시함)가 부착된다.The support plate 12 is a part that serves to stably support the top plate 20, a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support plate 12, the nut 12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the support plate 12 An adhesive tape (not shown) for adhering to the upper plate 20 is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상기 지지판(12)은 금속, 플라스틱, 무기질, 나무 등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판(20)과의 일체화를 위한 못박음 고정이 가능하도록 판상형 목재를 사용한다.The support plate 12 may be made of metal, plastic, inorganic material, wood, or the like, and preferably uses a plate-shaped wood to enable nailing fixing for integration with the top plate 20.

그리고, 상기 너트(12')가 삽입되는 위치의 지지판(12) 상면에는 도포된 접착제를 수용하는 접착제 수용홈(12")이 구비된다.In additi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12 at the position where the nut 12 'is inserted is provided with an adhesive accommodating groove 12 "for accommodating the applied adhesive.

한편, 레벨링 볼트(14)의 너트쪽 단부에는 회전 공구용 계합부(미도시함), 즉 일자 또는 십자형 홈이 형성된다. 따라서, 회전 공구, 예컨대 드라이버를 이용하여 레벨링 볼트(14)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지지판(12)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at the nut end of the leveling bolt 14, an engagement portion (not shown) for a rotary tool, that is, a straight or cross groove is formed. Therefore, the height of the support plate 12 can be adjusted by rotating the leveling bolt 14 using a rotating tool, for example, a driver.

그리고, 상기 레벨링 볼트(14)의 너트(12')쪽 단부로부터 일정 길이만큼, 예 를 들어 레벨링 볼트(14)의 길이방향 전체에는 한 개 이상의 키홈(미도시함)이 형성된다. 상기 키홈은 지지판(12)의 접착제 수용홈에 수용된 접착제가 지지대 고무(16)에 공급될 수 있도록 통로 역할을 하는 것으로, 키홈의 개수와 깊이는 사용하고자 하는 접착제의 유동성을 감안하여 설계한다. At least one key groove (not shown) is formed in the entire length direction of the leveling bolt 14, for example, by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nut 12 ′ end of the leveling bolt 14. The key groove serves as a path to allow the adhesive contained in the adhesive receiving groove of the support plate 12 to be supplied to the support rubber 16, and the number and depth of the key grooves are designed in consideration of the fluidity of the adhesive to be used.

물론, 키홈을 구비하는 레벨링 볼트 대신에 중공형의 레벨링 볼트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Of course, it is also possible to use hollow leveling bolts instead of leveling bolts with keyways.

상기 접착제로는 흘러내리기 용이하도록 유동성이 좋으며, 1시간 내지 24시간 이내의 경화 속도를 갖는 에폭시, 비닐, 수용성 계통의 접착제를 선택적으로 사용하거나, 별도로 개발된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As the adhesive, the fluidity is good so as to easily flow down, and an epoxy, vinyl, or water-based adhesive having a curing rate of 1 hour to 24 hours may be selectively used, or an adhesive developed separately may be used.

그리고, 상기 지지판(12)에 설치되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상판(20)은 상부판(22) 및 하부판(24)을 구비한다.In addition, the upper plate 2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ed on the support plate 12 includes an upper plate 22 and a lower plate 24.

상기 상부판(22) 및 하부판(24) 사이에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보강재가 배치되는데, 상기 보강재는 보강 리브(26)와 보강 시트(28)로 구성된다.Between the upper plate 22 and the lower plate 24 is disposed a reinforc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inforcement is composed of a reinforcing rib 26 and the reinforcing sheet 28.

상기 보강 리브(26)는 리브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그의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The reinforcing rib 26 is formed in a rib shape, and the material thereof is not particularly limited.

상기 보강 리브(26)는 전체적으로 상부판(22) 및 하부판(24)의 테두리부를 둘러싸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필요에 따라 상부판(22) 및 하부판(24)의 폭방향 또는 길이방향으로 중간 부분에도 형성된다.The reinforcing rib 26 is formed in a shape surrounding the edges of the upper plate 22 and the lower plate 24 as a whole, and an intermediate portion in the width direction or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pper plate 22 and the lower plate 24 as necessary. Is also formed.

이러한 구성의 보강 리브(26)는 상부판(22) 및 하부판(24) 사이에 적어도 한 개 이상의 빈 공간(26')을 형성하게 된다.The reinforcing ribs 26 in this configuration form at least one void 26 'between the top plate 22 and the bottom plate 24.

예컨대, 상기 보강 리브(26)가 상부판(22) 및 하부판(24)의 테두리부를 둘러싸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부판(22) 및 하부판(24) 사이에 한 개의 빈 공간(26')이 형성되며, 상부판(22) 및 하부판(24)의 폭방향 또는 길이방향으로 중간 부분에도 보강 리브가 형성되는 경우에는 2개 이상의 빈 공간이 형성된다.For example, when the reinforcing rib 26 is formed in a shape surrounding the edges of the upper plate 22 and the lower plate 24, one empty space 26 ′ between the upper plate 22 and the lower plate 24 is provided. Is formed, and two or more empty spaces are formed when the reinforcing ribs are also formed in the middle portion in the width direction or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pper plate 22 and the lower plate 24.

도 1에는 상부판(22) 및 하부판(24)의 테두리부와 폭방향 중간 부분에 보강 리브(26)가 배치된 것을 예로 들어 도시하였지만, 상기 보강 리브의 배치 위치는 제한적이지 않다.Although FIG. 1 illustrates that the reinforcing ribs 26 are disposed at the edges of the upper plate 22 and the lower plate 24 and the middle portion in the width direction, the arrangement position of the reinforcing ribs is not limited.

이러한 구성의 보강 리브(26)는 상부판(22) 또는 하부판(24)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한 개의 판에 고정된 접착 테이프(24')에 접착 고정된다.The reinforcing ribs 26 of this configuration are adhesively fixed to the adhesive tape 24 'fixed to at least one of the upper plate 22 and the lower plate 24.

그리고, 보강 리브(26)에 의해 상부판(22) 및 하부판(24) 사이에 형성된 빈 공간(26')에는 이 공간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된 보강 시트(28)가 상기 접착 테이프(24')에 의해 접착 고정된다.In the empty space 26 'formed between the upper plate 22 and the lower plate 24 by the reinforcing rib 26, a reinforcing sheet 28 having the same size as the space is provided on the adhesive tape 24'. Is fixed by adhesive.

물론,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접착 테이프 대신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것도 가능하다.Of course, although not shown, it is also possible to apply the adhesive instead of the adhesive tape.

상기 보강 시트(28)는 종이(paper), 제진 시트 또는 비닐 시트 등 여러 가지 재질의 시트를 다중으로 압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보강 시트(28)는 여러장의 종이를 다중으로 압착하여 형성한 종이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reinforcing sheet 28 may be formed by pressing a plurality of sheets of various materials such as paper, vibration damping sheet, or vinyl sheet. For example, the reinforcing sheet 28 may be formed of a paper layer formed by pressing a plurality of sheets of paper multiple times.

그리고,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상부판의 상부면과 하부판의 하부면에는 제진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제진 시트를 부착하거나, 제진 도료를 코팅할 수 있으며, 또한, 내수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비닐 시트를 부착하거나, 방수 코팅 처리하는 것도 가능하다.Although not show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may be attached to the vibration damping sheet to improve the vibration damping, or to coat the vibration damping paint, and also to attach the vinyl sheet to improve the water resistance, Waterproof coating is also possible.

이와 같이, 상기 상부판의 상부면과 하부판의 하부면에는 제진 시트 및 비닐 시트 외에도 다양한 종류의 오버레이층을 형성할 수 있다.As such, in addition to the damping sheet and the vinyl sheet, various types of overlay layers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와 고안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In the above,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t is possible to carry out various modifications within the scope of the utility model registration claims and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상판의 분해 사시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top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상판을 구비하는 이중 바닥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이다.FIG. 2 is a schematic structural diagram of a double bottom system having a top plate of FIG. 1.

Claims (6)

지지대에 의해 지지되는 이중 바닥 시스템의 상판으로서,As the top plate of the double bottom system supported by the support,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상부판 및 하부판;An upper plate and a lower plat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상기 상부판과 하부판을 일정 간격으로 유지하는 보강 리브; 및Reinforcing ribs for maintaining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at regular intervals; And 상기 보강 리브에 의해 상기 상부판 및 하부판 사이에 형성된 빈 공간에 배치되는 보강 시트를 포함하며,A reinforcing sheet disposed in the empty space formed between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by the reinforcing ribs, 상기 보강 시트는 다중 압착의 층 구조로 형성되는 상판.The reinforcing sheet is a top plate formed of a multi-compression layer structur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보강 시트는 다중의 압착 종이층, 다중의 제진 시트층 또는 다중의 비닐 시트층 중에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판.The reinforcing sheet is a top plate, characterized in that made of any one of a plurality of crimped paper layer, a plurality of damping sheet layer or a plurality of vinyl sheet layer.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보강 시트는 보강 리브에 의해 형성된 빈 공간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판.The reinforcing sheet is a top plat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the same size as the empty space formed by the reinforcing rib.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보강 시트는 상부판 및 하부판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한 개의 판에 구비된 접착 테이프에 접착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판.The reinforcing sheet is an upper plate, characterized in that the adhesive fixed to the adhesive tape provided on at least one of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제 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접착 테이프에는 상기 보강 리브도 접착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판.The top plate, characterized in that the reinforcing ribs are also adhesively fixed to the adhesive tape.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상판을 구비하는 이중 바닥 시스템으로서,A double bottom system comprising the top plat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상기 상판을 지지하는 지지판;A support plate for supporting the top plate; 상기 지지판에 설치된 너트에 나사 결합되는 레벨링 볼트; 및A leveling bolt screwed to a nut installed on the support plate; And 상기 레벨링 볼트와 슬라브 사이에 설치되는 지지대 고무Support rubber installed between the leveling bolt and the slab 를 더욱 포함하는 이중 바닥 시스템.Double floor system further comprising.
KR2020080004907U 2008-04-14 2008-04-14 Upper board and raised access floors system with the same KR200440952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4907U KR200440952Y1 (en) 2008-04-14 2008-04-14 Upper board and raised access floors system with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4907U KR200440952Y1 (en) 2008-04-14 2008-04-14 Upper board and raised access floors system with the sam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1645A Division KR20070053875A (en) 2005-11-22 2005-11-22 Upper board and raised access floors system with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0952Y1 true KR200440952Y1 (en) 2008-07-09

Family

ID=41645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4907U KR200440952Y1 (en) 2008-04-14 2008-04-14 Upper board and raised access floors system with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0952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34829B2 (en) Floor panel and method for the manufacture thereof
US20170211281A1 (en) Panel with footfall and ambient sound deadening, covering composed of panels, sound-reducing coating, process for its production and apparatus for this purpose
RU2456162C2 (en) Facing panel
SE525657C2 (en) Flooring boards for floating floors made of at least two different layers of material and semi-finished products for the manufacture of floorboards
US20040154240A1 (en) Sound insulating floor structure
KR20070054313A (en) Upper board and raised access floors system with the same
RU2340742C2 (en) Building panel
KR200440952Y1 (en) Upper board and raised access floors system with the same
KR100868697B1 (en) Support apparatus of flooring
WO2010046521A1 (en) Panel for e.g. wall or ceiling provided with magnets
KR20070053875A (en) Upper board and raised access floors system with the same
KR200440950Y1 (en) Upper board and raised access floors system with the same
JP2000345694A (en) Floor heating structure
KR20070053491A (en) Upper board and raised access floors system with the same
JP2995528B2 (en) Floor material
JPH08199780A (en) Soundproofing double structure
JP6813412B2 (en) Floor material for soil
JP5670675B2 (en) Sound insulation dry double floor and its construction method
JP2500869Y2 (en) Floor material for vehicles
JP3886624B2 (en) Panel material and staircase wall formed by the panel material
SE544344C2 (en) Integrated wooden and steel floor beam
JPH07150748A (en) Floor material
KR101452036B1 (en) High intense upper board for house access floor
JP2001329649A (en) Panel
JPH0972078A (en) Flooring-finished double-structure flo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4

Year of fee payment: 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