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0372Y1 - 물 사용량의 계측이 가능한 자가 발전식 절수기 - Google Patents

물 사용량의 계측이 가능한 자가 발전식 절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0372Y1
KR200440372Y1 KR2020070006065U KR20070006065U KR200440372Y1 KR 200440372 Y1 KR200440372 Y1 KR 200440372Y1 KR 2020070006065 U KR2020070006065 U KR 2020070006065U KR 20070006065 U KR20070006065 U KR 20070006065U KR 200440372 Y1 KR200440372 Y1 KR 2004403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unit
self
flow rate
al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60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연응준
Original Assignee
연응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응준 filed Critical 연응준
Priority to KR20200700060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037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03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037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8Jet regulators or jet guides, e.g. anti-splash devices
    • E03C1/086Jet regulators or jet guides, easily mountable on the outlet of ta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17/00Other machines or engines
    • F03B17/06Other machines or engines using liquid flow with predominantly kinetic energy conversion, e.g. of swinging-flap type, "run-of-river", "ultra-low head"
    • F03B17/062Other machines or engines using liquid flow with predominantly kinetic energy conversion, e.g. of swinging-flap type, "run-of-river", "ultra-low head"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at right angle to flow direc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0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 G01F1/05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mechanical effects
    • G01F1/1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mechanical effects using rotating vanes with axial admission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2001/026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with flow restricting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20Hydro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 Measuring Volume Flow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전에 설치되는 절수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물 사용량을 외부에서 식별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이 사용량에 따라 경보수단이 순차적으로 가동되어, 물 사용에 따른 경각심을 고취시킬 수 있도록 한 자가 발전식 절수기에 관한 것이다.
절수, 절수기, 자가 발전부, 경보부, 표식부, 수전

Description

물 사용량의 계측이 가능한 자가 발전식 절수기{Self-generating water reducer}
도 1은 본 고안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물 사용량의 계측이 가능한 자가 발전식 절수기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 블럭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물 사용량의 계측이 가능한 자가 발전식 절수기의 외형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물 사용량의 계측이 가능한 자가 발전식 절수기의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자가 발전식 절수기 10. 절수기 몸체
11. 설치구 11a. 기밀링
12. 분사구
20. 회전팬
30. 자가 발전부 31. 회동축
40. 유량 계측부 50. 표식부
60. 콘트롤러 70. 경보부
71. 발광 다이오드
100. 수전
본 고안은 수전에 설치되는 절수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물 사용량을 외부에서 식별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이 사용량에 따라 경보수단이 순차적으로 가동되어, 물 사용에 따른 경각심을 고취시킬 수 있도록 한 물 사용량의 계측이 가능한 자가 발전식 절수기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수전 등지에는, 통상 물을 분사 또는 직사하는 절수기가 설치되어 사용의 편의를 도모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절수기는 직사와 분사 기능만을 겸비하고 있어서, 물의 사용량을 예측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수전을 개방시켜 물을 계속 흘린 상태에서 세수를 하거나, 설거지 등을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세수나 설거지 등을 하면 물의 사용량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발생하며, 특히 수자원이 부족한 우리나라의 실정을 감안할 때, 이러한 문제점은 더욱 심화된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고안의 목적은, 물의 배출량을 실시간으로 계측하여 사용자에게 인지시킴으로써, 물 낭비에 따른 경각심을 고취시킬 수 있는 물 사용량의 계측이 가능한 자가 발전식 절수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고안에서 제공되는 하기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본 고안에 따른 물 사용량의 계측이 가능한 자가 발전식 절수기는,
수전에 고정되는 설치구와, 상기 수전을 통해 유입된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분사구가 연통하여 형성된 절수기 몸체와;
상기 설치구와 분사구 사이에 설치되어, 물의 배출압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팬과;
상기 회전팬이 회동축과 결속되어, 회전팬의 회전력을 통해 전류를 생성하는 자가 발전부와;
상기 자가 발전부를 통해 생성된 전류량을 계측하여, 물 배출량을 산출하는 유량 계측부와;
상기 자가 발전부를 통해 생성된 전류를 통해 구동되며, 상기 유량 계측부를 통해 계측된 유량값을 디스플레이하는 표식부;
상기 자가 발전부를 통해 생성된 전류를 통해 구동되며, 유량 계측부를 통해 계측된 유량값에 따라 순차적으로 발광 또는 경음하는 경보수단을 구비하여 사용량에 따라 단계적으로 다른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부; 및
상기 유량 계측부와 표식부 및 경보부를 제어하는 콘트롤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사용자가 수전을 통해 배출되는 유량을 표식부를 통해 인지하고, 경보부의 경보에 의해 물 사용에 따른 경각심을 고취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물 사용량의 계측이 가능한 자가 발전식 절수기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물 사용량의 계측이 가능한 자가 발전식 절수기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 블럭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물 사용량의 계측이 가능한 자가 발전식 절수기의 외형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물 사용량의 계측이 가능한 자가 발전식 절수기의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다.
본 고안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물 사용량의 계측이 가능한 자가 발전식 절수기(1)는,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전(100)에 고정되는 설치구(11)와, 상기 수전(100)을 통해 유입된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분사구(12)가 연통하여 형성된 절수기 몸체(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면을 보면, 상기 절수기 몸체(10)에 마련된 설치구(11)에는 기밀링(11a)이 마련되어 수전(100)과 기밀상태를 이루어 결속되도록 구성되며, 분사구(12)에는 직사 또는 분사 기능을 선택할 수 있는 공지의 조절부(미도시)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분사구(12)를 통해 배출되는 물 배출량을 사용자가 식별하여 인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물 사용에 따른 경각심을 고취시켜 절수효과가 기대되도록 하고 있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수전(100)으로부터 유입된 물의 유입 및 배출되 는 경로인 설치구(11)와 분사구(12) 사이에, 물의 배출압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팬(20)을 설치하고, 이 회전팬(20)에 자가 발전부(30)의 회동축(31)을 결속시켜, 물의 배출에 따른 회전팬(20)의 회전작용에 의해 소정의 전류가 생성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자가 발전부(30)를 통해 생성된 전류량을 계측하여, 물 배출량을 산출하는 유량 계측부(40)와; 상기 자가 발전부(30)를 통해 생성된 전류를 통해 구동되며, 상기 유량 계측부(40)를 통해 계측된 유량값을 디스플레이하는 표식부(50); 및 상기 유량 계측부(40)와 표식부(50)를 제어하는 콘트롤러부(60)를 부가하여 구성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최초 수전(100)으로부터 물이 설치구(11)를 통해 유입되어 분사구(12)를 통해 배출되면, 회전팬(20)은 물의 배출압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자가 발전부(30)는 소정량의 전류를 생성하게 되며, 상기 유량 계측부(40)는 상기 자가 발전부(30)를 통해 생성된 전류량을 계측하여 유량을 계측한다.
이와 같이 계측된 유량값은 최종적으로 표식부(50)를 통해 디스플레이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절수기(1)는, 표식부(50)를 통해 사용자에게 물 사용량을 인지시킴으로써, 물 사용에 따른 경각심이 고취시켜 절수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한편, 본 고안에서는 이러한 자가 발전식 절수기(1)를 구현함에 있어 상기 절수기 몸체(10)에, 자가 발전부(30)를 통해 생성된 전류를 통해 구동되며, 유량 계측부(40)를 통해 계측된 유량값에 따라 발광 또는 경음하는 경보부(70)를 마련하도록 하고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71)로 이루어진 경보부(70)를 마련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경보부(70)로 채택하고 있는 발광 다이오드(71)는, 저전력을 소모하므로 자가 발전부를 통해 소량의 전류가 생성하는 본 장치에 매우 적합하다.
상기 경보부(70)로 채택된 발광 다이오드(71)는, 물 사용량에 따라 점등색깔을 달리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예컨대, 물 사용량이 10L이하의 경우에는 녹색으로 , 20L 이하일 경우에는 노란색으로, 그리고 30L 이상일 경우에는 빨간색으로 점등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 다른 형태로는, 물 사용량에 따라 발광 다이오드의 점등 개수를 달리할 수 있다. 예컨대, 물 사용량이 10L이하의 경우에는 1개가 , 20L 이하일 경우에는 2개가, 그리고 30L 이상일 경우에는 3개가 점등되도록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경보부(70)를 부가하여 마련하게 되면, 사용자는 물 사용에 따른 경각심이 보다 고취되어 향상된 절수효과가 기대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는 물 사용량을 사용자가 식별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이 사용량에 따라 경보수단이 순차적으로 가동되어, 물 사용에 따른 경각심을 고취시킬 수 있도록 한 절수기를 제안하고 있다.
이러한 절수기가 상용화되어 실생활에 보급되면, 물 사용에 따른 경각심이 고취되어 물 사용량이 대폭 감소되어서, 수자원 보호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본 고안에서는 이러한 절수기를 구현함에 있어 자가 발전식 구조를 마련하여, 별도의 전원공급 구조 없도록 함으로써, 구조의 간소화를 이룩하고 있기도 하다.

Claims (2)

  1. 수전에 고정되는 설치구와, 상기 수전을 통해 유입된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분사구가 연통하여 형성된 절수기 몸체와;
    상기 설치구와 분사구 사이에 설치되어, 물의 배출압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팬과;
    상기 회전팬이 회동축에 고정되어, 회전팬의 회전력을 통해 전류를 생성하는 자가 발전부와;
    상기 자가 발전부를 통해 생성된 전류량을 계측하여, 물 배출량을 산출하는 유량 계측부와;
    상기 자가 발전부를 통해 생성된 전류를 통해 구동되며, 상기 유량 계측부를 통해 계측된 유량값을 디스플레이하는 표식부;
    상기 자가 발전부를 통해 생성된 전류를 통해 구동되며, 유량 계측부를 통해 계측된 유량값에 따라 순차적으로 발광 또는 경음하는 경보수단을 구비하여 사용량에 따라 단계적으로 다른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부; 및
    상기 유량 계측부와 표식부 및 경보부를 제어하는 콘트롤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사용자가 수전을 통해 배출되는 유량을 표식부를 통해 인지하고, 경보부의 경보에 의해 물 사용에 따른 경각심을 고취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사용량의 계측이 가능한 자가 발전식 절수기.
  2. 삭제
KR2020070006065U 2007-04-12 2007-04-12 물 사용량의 계측이 가능한 자가 발전식 절수기 KR20044037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6065U KR200440372Y1 (ko) 2007-04-12 2007-04-12 물 사용량의 계측이 가능한 자가 발전식 절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6065U KR200440372Y1 (ko) 2007-04-12 2007-04-12 물 사용량의 계측이 가능한 자가 발전식 절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0372Y1 true KR200440372Y1 (ko) 2008-06-11

Family

ID=41645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6065U KR200440372Y1 (ko) 2007-04-12 2007-04-12 물 사용량의 계측이 가능한 자가 발전식 절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037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43117A (zh) * 2017-12-29 2018-07-31 成都科达环保产业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基于空气制水和中水回用技术的生态循环系统
WO2023067036A1 (de) * 2021-10-20 2023-04-27 Neoperl Gmbh Sanitäre funktionseinhei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43117A (zh) * 2017-12-29 2018-07-31 成都科达环保产业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基于空气制水和中水回用技术的生态循环系统
WO2023067036A1 (de) * 2021-10-20 2023-04-27 Neoperl Gmbh Sanitäre funktionseinhei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0372Y1 (ko) 물 사용량의 계측이 가능한 자가 발전식 절수기
CN107000190B (zh) 流体流动工具的电子计数器及其监控工具使用情况的方法
ES2836146T3 (es) Procedimiento y dispositivo para monitorizar el flujo de un líquido
CA2846169A1 (en) Ozone shower device
AU2010258511A1 (en) Device for detecting a water leak
JP2014532530A (ja) 洗濯機用排水ポンプおよび洗濯機
US20120285243A1 (en) Rotation measuring device
US20180340629A1 (en) Display device of faucet
ITMI20011371A1 (it) Apparecchio di cottura con registrazione della quantita' d'acqua
JP5505856B2 (ja) 水栓装置
KR20150117009A (ko) 자가발전을 이용한 수전부착형 유체 온도표시장치
KR200376769Y1 (ko) 수온감응 발광 샤워헤드
ITMI952021A1 (it) Dispositivo per lavare il cielo della vasca di una macchina lavastoviglie
CN201598460U (zh) 在排水阀上设有混浊度传感器的洗衣机
KR20110064750A (ko) 발전과 수온표시 및 버블 발생을 위한 다기능 수도 장치
JP4745890B2 (ja) 自動水栓装置
KR200375801Y1 (ko) 정수기 필터 교환시기 알림장치
CN216721084U (zh) 一种带转向监测功能的风扇罩
US11022123B2 (en) Transfer pump and transfer pump accessory
CN217355807U (zh) 一种温变式发光抽拉龙头
IT201800007198A1 (it) Idropulitrice con interfaccia elettronica
KR200211494Y1 (ko) 정수기 필터의 교환 시기를 알려주는 장치
KR20220059286A (ko) 자가발전 및 인체감지식 샤워수전장치
CN206145223U (zh) 一种根据管内流体流量来控制的阀门
KR200361627Y1 (ko) 절수형 급수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