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9826Y1 - 다용도 공구 - Google Patents

다용도 공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9826Y1
KR200439826Y1 KR2020070004520U KR20070004520U KR200439826Y1 KR 200439826 Y1 KR200439826 Y1 KR 200439826Y1 KR 2020070004520 U KR2020070004520 U KR 2020070004520U KR 20070004520 U KR20070004520 U KR 20070004520U KR 200439826 Y1 KR200439826 Y1 KR 2004398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cover
knife
tool
glass
t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45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재열
Original Assignee
강재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재열 filed Critical 강재열
Priority to KR20200700045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982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98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982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00Hand knives with adjustable blade; Pocket knives
    • B26B1/08Hand knives with adjustable blade; Pocket knives with sliding bla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1/00Hand knives combined with other implements, e.g. with corkscrew, with scissors, with writing implem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Kni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용도 공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몸체의 전면과 배면에 각각 수평상으로 장공을 형성하고, 상기 장공에 각각 조임레버를 형성하되, 상기 조임레버에 연결된 상태로 몸체 내부로 부터 일측으로 출몰되도록 톱날과 칼날을 몸체 내부에 내장하며, 상기 몸체의 상단부에 슬라이딩 작동하는 작동체에 장판이나 타일에 구멍을 천공할 수 있는 타일공구를 형성하고, 상기 몸체의 상단 일측에 유리를 절단하는데 사용하는 유리칼을 형성하며, 몸체의 저면부에는 칼을 갈아주기 위한 숯돌을 형성하고, 상기 몸체의 타측으로 연마칼과 연마가위가 상하부에 형성된 끼움부를 형성하며, 상기 끼움부에 손잡이커버를 억지끼움하여 사용토록 하되, 상기 손잡이커버의 내부에 줄자를 권취 내장시켜 손잡이 커버의 일단으로 줄자가 인출될 수 있도록 하면서 손잡이커버의 전면 상단에는 수평계를 형성하여 구성하므로서, 유리를 절단하거나, 타일에 구멍을 뚫거나, 수평을 재거나, 길이를 측정하거나 절단 및 칼, 가위 등을 갈아주는 등 다용도로 사용할 수 있고, 휴대 및 보관이 간편한 다용도 공구에 관한 것이다.
다용도 공구, 유리칼, 톱, 손잡이 커버, 줄자

Description

다용도 공구{Multi-purpose tool}
도 1 은 본 고안의 다용도 공구를 보인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다용도 공구를 보인 배며도.
도 3 은 본 고안의 다용도 공구를 보인 정면도.
도 4 는 본 고안의 다용도 공구를 보인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몸체, 2,3: 장공,
4,5: 조임레버, 6: 톱날,
7: 칼날, 8: 숯돌,
9: 작동체, 10: 타일공구,
11: 유리칼, 12: 끼움부,
13: 연마칼, 14: 연마가위,
15: 손잡이커버, 16: 줄자,
17: 수평계,
본 고안은 다용도 공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유리를 절단하거나, 타일에 구멍을 뚫거나, 수평을 재거나, 길이를 측정하거나 절단 및 칼, 가위 등을 갈아주는 등 다용도로 사용할 수 있고, 휴대 및 보관이 간편한 다용도 공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리를 절단하기 위해서는 유리절단기의 첨단부분에 공업용 다이아몬드 등이 부설된 공구를 이용하여 유리를 절단하였고, 타일과 같이 단단하고 표면이 미끄러운 소재에 구멍을 뚫기 위해서는 끝이 날카로운 전용공구를 이용하여야만 하였고, 바닥면의 수평을 재기 위해서는 수평계를 이용해야만 하였다.
또한, 칼을 이용하여 절단하거나 톱질을 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대개 칼이나 톱만으로 이루어진 전용공구를 준비하여야 하였다.
그러나, 종래에는 상기와 같이 여러가지 공구가 한몸체에 형성된 제품이 제공되지 않았기 때문에 사용자가 톱질, 칼질, 타일에 구멍을 뚫거나 유리를 자르려고 할때 그에 대응하는 전용공구를 구비해야만 하므로 사용상 번거로움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었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몸체의 전면과 배면에 각각 수평상으로 장공을 형성하고, 상기 장공에 각각 조임레버를 형성하되, 상기 조임레버에 연결된 상태로 몸체 내부로 부터 일측으로 출몰되도록 톱날과 칼날을 몸체 내부에 내장하며, 상기 몸체의 상단부에 슬라이딩 작동하는 작동체에 장판이나 타일에 구멍을 천공할 수 있는 타일공구를 형성하고, 상기 몸체의 상단 일측에 유리를 절단하는데 사용하는 유리칼을 형성하며, 몸체의 저면부에는 칼을 갈아주기 위한 숯돌을 형성하고, 상기 몸체의 타측으로 연마칼과 연마가위가 상하부에 형성된 끼움부를 형성하며, 상기 끼움부에 손잡이커버를 억지끼움하여 사용토록 하되, 상기 손잡이커버의 내부에 줄자를 권취 내장시켜 손잡이 커버의 일단으로 줄자가 인출될 수 있도록 하면서 손잡이커버의 전면 상단에는 수평계를 형성하여 구성하므로서, 유리를 절단하거나, 타일에 구멍을 뚫거나, 수평을 재거나, 길이를 측정하거나 절단 및 칼, 가위 등을 갈아주는 등 다용도로 사용할 수 있고, 휴대 및 보관이 간편한 다용도 공구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4 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도면에 의하면, 본 고안의 다용도 공구는 한 몸체(1)에 다수의 공구를 조합하여 구성한 것으로, 유리절단작업,타일에 구멍 뚫기작업, 톱질, 길이측정, 수평조절, 절단작업, 가위연마, 칼 연마 등의 작업을 실시할 수 있게된다.
도면부호 1 은 몸체를 나타낸다.
상기 몸체(1)의 전면과 배면에 각각 수평상으로 장공(2)(3)을 형성하고, 상기 몸체(1) 내부로 부터 일측으로 출몰되도록 톱날(6)과 칼날(7)을 몸체(1) 내부에 내장하되, 상기 톱날(6)과 칼날(7)의 일면에 결합된 상태의 조임레버(4)(5)가 상기 장공(2)(3)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한다.
이에따라, 사용자가 상기 조임레버(4)(5)를 손으로 잡고 움직임에 따라 몸체(1) 내부로 부터 톱날(6) 또는 칼날(7)이 몸체(1)로 부터 출몰 작동하게 되어 사용자가 톱질 또는 칼질을 실시할 수 있게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1)의 상단부에 슬라이딩 작동하도록 작동체(9)를 형성하고, 상기 작동체(9)에 장판이나 타일에 구멍을 천공할 수 있는 타일공구(10)를 형성하고, 상기 몸체(1)의 상단 일측에 유리를 절단하는데 사용하는 유리칼(11)을 형성하며, 몸체(1)의 저면부에는 칼을 갈아주기 위한 숯돌(8)을 형성하여, 사용자가 타일에 구멍을 천공하거나 유리절단 및 칼을 갈아주는 작업을 몸체(1)에 구비된 타일공구(10), 유리칼(11) 및 숯돌(8)을 이용하여 실시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몸체(1)의 타측으로 연마칼(13)과 연마가위(14)가 상하부에 형성된 끼움부(12)를 형성하며, 상기 끼움부(12)에 손잡이커버(15)를 억지끼움하여 사용토록 하는데,
상기 손잡이커버(15)의 내부에 줄자(16)를 권취된 상태로 내장시켜 손잡이 커버(15)의 일단으로 줄자(16)가 인출될 수 있도록 하면서 손잡이커버(15)의 전면 상단에는 수평계(17)를 형성하여 수평상태를 재는데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끼움부(12)에 손잡이커버(15)를 끼우게 되면, 끼움부(12)에 형성된 연 마칼(13)과 연마가위(14)가 손잡이 커버(15)에 의해 가려지게 되므로, 사용자는 안전하게 손잡이커버(15)와 몸체(1)를 손으로 잡고 톱질 또는 칼질을 수행할 수 있게된다.
상기 설명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다용도 공구는 하나의 몸체에 다수의 독립적인 소형 공구가 형성되므로 각각의 공구를 휴대할 때 보다 부피가 감소하여 휴대가 용이하며, 몸체(1)에 착탈식으로 끼워지는 손잡이커버(15)에 의해 공구 사용작업이 용이해지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몸체의 전면과 배면에 각각 수평상으로 장공을 형성하고, 상기 장공에 각각 조임레버를 형성하되, 상기 조임레버에 연결된 상태로 몸체 내부로 부터 일측으로 출몰되도록 톱날과 칼날을 몸체 내부에 내장하며, 상기 몸체의 상단부에 슬라이딩 작동하는 작동체에 장판이나 타일에 구멍을 천공할 수 있는 타일공구를 형성하고, 상기 몸체의 상단 일측에 유리를 절단하는데 사용하는 유리칼을 형성하며, 몸체의 저면부에는 칼을 갈아주기 위한 숯돌을 형성하고, 상기 몸체의 타측으로 연마칼과 연마가위가 상하부에 형성된 끼움부를 형성하며, 상기 끼움부에 손잡이커버를 억지끼움하여 사용토록 하되, 상기 손잡이커버의 내부에 줄자를 권취 내장시켜 손잡이 커버의 일단으로 줄자가 인출될 수 있도록 하면서 손잡이커버의 전면 상단에는 수평계를 형성하여 구성하므로서, 유리를 절단하거나, 타일에 구멍을 뚫거나, 수평을 재거나, 길이를 측정하거나 절단 및 칼, 가 위 등을 갈아주는 등 다용도로 사용할 수 있고, 휴대 및 보관이 간편한 다용도 공구를 제공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Claims (1)

  1. 몸체(1)의 전면과 배면에 각각 수평상으로 장공(2)(3)을 형성하고, 상기 장공(2)(3)에 각각 조임레버(4)(5)를 형성하되, 상기 조임레버(4)(5)에 연결된 상태로 몸체(1) 내부로 부터 일측으로 출몰되도록 톱날(6)과 칼날(7)을 몸체(1) 내부에 내장하며,
    상기 몸체(1)의 상단부에 슬라이딩 작동하도록 형성된 작동체(9)에 장판이나 타일에 구멍을 천공할 수 있는 타일공구(10)를 형성하고, 상기 몸체(1)의 상단 일측에 유리를 절단하는데 사용하는 유리칼(11)을 형성하며, 몸체(1)의 저면부에는 칼을 갈아주기 위한 숯돌(8)을 형성하고,
    상기 몸체(1)의 타측으로 연마칼(13)과 연마가위(14)가 상하부에 형성된 끼움부(12)를 형성하며, 상기 끼움부(12)에 손잡이커버(15)를 억지끼움하여 사용토록 하되,
    상기 손잡이커버(15)의 내부에 줄자(16)를 권취 내장시켜 손잡이 커버(15)의 일단으로 줄자(16)가 인출될 수 있도록 하면서 손잡이커버(15)의 전면 상단에는 수평계(17)를 형성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공구.
KR2020070004520U 2007-03-20 2007-03-20 다용도 공구 KR2004398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4520U KR200439826Y1 (ko) 2007-03-20 2007-03-20 다용도 공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4520U KR200439826Y1 (ko) 2007-03-20 2007-03-20 다용도 공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9826Y1 true KR200439826Y1 (ko) 2008-05-07

Family

ID=416417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4520U KR200439826Y1 (ko) 2007-03-20 2007-03-20 다용도 공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982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65747B2 (en) Double-edged utility knife
US7530131B1 (en) Multi-functional utility tool
US20050172416A1 (en) Hand-held carpenters tool
US8695221B2 (en) Utility knife with extended travel carriage
WO2009126779A2 (en) Utility knife multi-tool
US7269867B2 (en) Combination tool
US20110010955A1 (en) Ruler with Abrasive Edge
US5283954A (en) Knife
EP2000241A2 (en) Tile Saw with Releasable Tool
CA2562504A1 (en) Utility knife for glaziers
TW200618907A (en) Hand tool with cutting blade having cutting surfaces with wear-enhancing coating thereon
WO2007098364A2 (en) Scraper having weighted cutting head for removing nail heads and other debris from surfaces
EP2995406B1 (en) Mitre saw with improved carrying mode
KR200439826Y1 (ko) 다용도 공구
US7229344B1 (en) Blade sharpening tool
US9421814B2 (en) Marking blade
KR200495797Y1 (ko) 교체형 가압구가 구비되는 다기능 커터
KR200446412Y1 (ko) 서각용 칼
CN214081870U (zh) 裁切器结构
CN201077067Y (zh) 多功能手动工具
CN210067354U (zh) 一种多功能油漆工具刀
CN203805604U (zh) 根雕专用刀
JP3159918U (ja) 石膏ボードの加工用工具
KR101943736B1 (ko) 다용도 공구
KR20070037467A (ko) 석고보드대패겸용 커터 및 석고보드대패겸용 커터의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