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8289Y1 - Umbrella Case, Umbrella Removably Attachable to the Case and Umbrella Assembly Combined therewith - Google Patents

Umbrella Case, Umbrella Removably Attachable to the Case and Umbrella Assembly Combined therewith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8289Y1
KR200438289Y1 KR2020070013595U KR20070013595U KR200438289Y1 KR 200438289 Y1 KR200438289 Y1 KR 200438289Y1 KR 2020070013595 U KR2020070013595 U KR 2020070013595U KR 20070013595 U KR20070013595 U KR 20070013595U KR 200438289 Y1 KR200438289 Y1 KR 20043828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mbrella
case
cap
handle
umbrella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3595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라태호
Original Assignee
라태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태호 filed Critical 라태호
Priority to KR20200700135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8289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82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8289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24Protective coverings for umbrellas when closed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11/00Umbrella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attachment
    • A45B11/02Umbrella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attachment attached to the body of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9/00Details
    • A45B9/02Handles or head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B
    • A45B2200/10Umbrellas; Sunshades
    • A45B2200/1009Umbrellas; Sunshade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 A45B2200/1054Umbrellas; Sunshade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with containers for storing objects, e.g. box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B
    • A45B2200/10Umbrellas; Sunshades
    • A45B2200/1081Umbrella handles

Landscapes

  • Walking Sticks, Umbrellas, And Fans (AREA)

Abstract

본 고안에서는 내부에 우산을 수용할 수 있는 수납공간이 구비되어 있는 본체의 일단에 우산의 손잡이가 끼워질 수 있는 결합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우산 케이스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우산 케이스는 비가 오지 않은 경우에는 수납공간에 우산을 수용하고, 비가 오는 경우에는 우산을 손으로 파지하지 않고서도 어깨에 매어지는 우산 케이스의 결합 수을 통하여 우산을 고정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지게 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umbrella case having a coupling means that can be fitted to the handle of the umbrella on one end of the body is provided with a storage space for accommodating the umbrella therein. Umbrella 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can accommodate the umbrella in the storage space when the rain does not rain, the umbrella can be fixed through the combined number of the umbrella case is attached to the shoulder without holding the umbrella by hand in the rain Have.

Description

우산 케이스, 이 우산 케이스에 장착될 수 있는 우산 및 이들이 결합된 우산 어셈블리{Umbrella Case, Umbrella Removably Attachable to the Case and Umbrella Assembly Combined therewith}Umbrella Case, Umbrella Removably Attachable to the Case and Umbrella Assembly Combined therewith}

본 고안은 우산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필요에 따라 내부에 수납된 우산이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는 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우산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umbrella cas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umbrella case provided with a means that can be coupled to detachable umbrella stored therein as needed.

비 또는 눈이 내리는 경우에 비 또는 눈으로부터 특히 머리 부위를 가릴 수 있는 장비로서 우산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비가 내리지는 않지만 궂은 날에는 우산을 펴서 사용하지는 않는다 하더라도 우산을 보관할 필요성이 있는데, 통상적으로 다른 물품이 수납되어 있는 가방 등의 내부에 우산을 수용한다. 그러나 비가 내려서 우산을 사용하다가 비가 그쳐 우산을 사용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 비에 젖은 우산을 다른 물품이 수납되어 있는 가방 등의 내부에 함께 보관한다면 비에 젖은 우산으로 인하여 다른 물품이 젖어 손상될 수 있다. Umbrella is widely used as a device that can shield the head area from rain or snow, especially in the case of rain or snow. By the way, it does not rain, but on inclement days it is necessary to keep the umbrella, even if you do not use it to open the umbrella. However, if the umbrella is rained and you do not need to use the umbrella because the rain stops, if you keep the umbrella wet with rain inside the bag that contains other items, the umbrella may get wet and be damaged by rain. .

특히, 우천시에 우산을 사용한 후 건물 내부로 들어갈 때나 대중교통수단을 이용할 때 물에 젖은 우산으로 인하여 주위의 사람들에게 불편함을 초래하기 때문에 우산의 처리 및 보관이 곤란한 경우가 있다. 요즘 공공장소 등에서는 바닥에 빗물이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우산을 감쌀 수 있는 일회용 비닐팩 등을 제공하고 있으나, 비가 올 때마다 이러한 일회용 비닐팩을 준비하여야 하므로 낭비를 초래하게 된다. In particular, when using the umbrella in rainy weather when entering the building or when using public transportation, the umbrella wet because of the inconvenience to people around it may be difficult to handle and store the umbrella. Nowadays, public places and the like provide disposable vinyl packs that can wrap umbrellas to prevent rain from flowing down on the floor. However, these disposable plastic packs need to be prepared whenever it rains, resulting in waste.

이에 최근에는 다른 물품과 별도로 우산만을 수용할 수 있는 휴대형의 우산 케이스가 제안되고 있는데, 일례로 도 1은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68389호에 개시되어 있는 우산 가방의 전체적인 외관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위 등록실용신안에 개시된 우산 가방(1)은 뚜껑(10)과, 우산을 수납하기 위하여 상기 뚜껑에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몸체(20, 30)와, 우산으로부터 흘러내린 빗물을 수거하기 위한 물받이통(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Recently, a portable umbrella case that can accommodate only an umbrella separately from other articles has been proposed. For example,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overall appearance of an umbrella bag disclosed in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68389. . As shown in FIG. 1, the umbrella bag 1 disclosed in the above registration utility model has a lid 10, one or more bodies 20 and 30 coupled to the lid for accommodating the umbrella, and flowed down from the umbrella. It comprises a drip tray (40) for collecting rain water.

이때, 제1몸체(20)는 상단부에 뚜껑(10)에 결합가능한 제1결합부와, 하단부에 제2몸체(30) 또는 물받이통(40)에 결합가능한 제2결합부가 구비되며, 제2몸체(30)는 상단부에 뚜껑(10) 또는 제 1 몸체(20)와 결합가능한 제3결합부가 하단부에 물받이통(40)에 결합가능한 제4결합부가 구비되어 있으며, 제1몸체(20)와 제2몸체(30) 사이에는 연결고정수단(36)이 구비된다. 특히, 제1몸체(20)의 외경이 제2몸체(30)의 내경보다 작게 구성되어 제1몸체(20)는 제2몸체(30)의 내부로 삽입, 슬라이딩되어 전체 몸체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물받이통(40)의 상단부 내주면으로 제1몸체(20)의 하단부에 형성된 제2결합부 또는 제2몸체(30)의 하단부에 형성된 제4결합부와 결합가능한 제5결합부가 형성되며, 그 내부에는 우산으로부터 흘러내린 빗물을 수거하여 역류되지 않도록 역류방지유닛이 구비되어 있으며, 그 외주면으로는 배출구(67)가 구비되어 빗물을 배출할 수 있다. 아울러, 제1몸체(20)의 상단부 외주면과 제2몸체(30)의 하단부 외주면에 가방끈(80)을 설치하기 위한 고정부(82)가 구비되어 있다. At this time, the first body 20 is provided with a first coupling portion that can be coupled to the lid 10 at the upper end, and a second coupling portion that can be coupled to the second body 30 or the drip tray 40 at the lower end thereof. The body 30 is provided with a fourth coupling part that can be coupled to the drip tray 40 at a lower end thereof with a third coupling part capable of engaging with the lid 10 or the first body 20 at the upper end, and with the first body 20. The connection fixing means 36 is provided between the second bodies 30. In particular, the outer diameter of the first body 20 is configured to be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second body 30, the first body 20 is inserted into the second body 30, the sliding can adjust the length of the entire body. It is configured to be. On the other hand, as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upper end of the water reservoir 40 is formed a second coupling portion formed in the lower end of the first body 20 or the fifth coupling portion that can be combined with the fourth coupling portion formed in the lower end of the second body 30, The inside is provided with a backflow prevention unit to collect the rainwater flowing down from the umbrella so as not to flow back, the discharge port 67 is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to discharge the rainwater. In addition, the fixing portion 82 for installing the bag strap 80 is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upper end of the first body 20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second body 30.

하지만, 위 등록실용신안에 제시되어 있는 우산 가방은 비가 내리지 않는 경우에 물에 젖은 우산을 수용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보행자가 비를 피하기 위하여 우산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우산 가방에 수납, 보관되어 있는 우산을 펼쳐서 적어도 하나의 손을 사용하여 우산을 파지하여야 하는데, 무거운 물건이나 많은 짐을 소지한 상태에서 하나의 손으로 우산을 파지하면서 보행하는 것은 여간 성가신 일이 아니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손을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우산을 사용할 수 있는 많은 다양한 장비가 특허 또는 실용신안 등에 개시된 바 있다. However, the umbrella bag presented in the above registration utility model is only for accommodating wet umbrellas in the rain. Therefore, when a pedestrian wants to use an umbrella to avoid the rain, he must hold the umbrella with at least one hand by unfolding the umbrella stored and stored in an umbrella bag. Walking while holding an umbrella is not annoying. In order to solve such inconveniences, many various equipments that can use an umbrella without using a hand have been disclosed in patents or utility models.

일례로,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188835호에서는 어깨에 걸 수 있는 가방에 우산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관과 이 지지관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 등이 구비되어 있는 우산 장착형 가방을 기술하고 있으며,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369510호에서는 어개를 감쌀 수 있도록 절곡부를 갖는 어깨걸이대와, 어깨걸이대의 하단부 외주면을 감싸면서 힌지 결합부가 형성된 연결구와, 연결구에 일측이 힌지 결합되고, 우산대 배치홈이 형성되며 우산대 배치홈을 향해 슬라이딩되어 우산대 배치홈에 놓인 우산대를 가압 지지할 수 있는 우산대지지구와, 어깨걸이대의 하단부에 착용자의 가슴으로 둘러메는 멜빵을 구비하고 있는 어깨걸이용 우산 홀더를 개시하고 있고,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411415호에서는 우산대 고정홈이 반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고정대와 이동대가 고정볼트로 연결되어 있는 우산대 지지구와, 일단이 우산대 지지구의 하단에 연결되는 가용성 연결봉의 타단이 매설되는 고정구와, 상기 고정구에 연결되는 판체 형상의 지지판과, 지지판을 신체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지지판의 좌우에 설치되는 고정벨트가 구비되어 있는 우산 착용구를 제시하고 있다. For example,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188835 describes an umbrella-mounted bag equipped with a support tube for supporting an umbrella on a shoulder bag and a fixing part for fixing the support tube. In Utility Model No. 39510, the shoulder strap having a bent portion to wrap the fish, the connector formed by the hinge coupling portion surround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shoulder strap, and one side is hinged to the connector, an umbrella stand arrangement groove is formed, umbrella stand placement groove Umbrella holder for sliding shoulders and supporting the umbrella stand placed in the umbrella stand placement groove and the suspenders wrapped around the wearer's chest at the bottom of the shoulder stand is disclosed, the domestic registration room In Shinan No. 411415, the holder and the moving stand where the umbrella stand fixing groove is formed in a semicircular shape are fixed. Umbrella stand support connected to the tether, a fixture in which the other end of the soluble connecting rod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umbrella stand support, the plate-shaped support plate connected to the fixture and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upport plate to fix the support plate to the body Umbrella wearing hole is provided with a fixing belt to be installed.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이른바 "핸즈-프리" 형태의 우산 착용 장치는 그 크기 및 무게를 무시할 수 없을 정도로 비교적 대형이어서 간편하게 외출하고자 하는 보행자가 이들 장치를 사용하기에는 큰 부담이 된다. 뿐만 아니라, 종래의 우산 착용 장치는 우산을 보관하기 위한 별도의 공간을 마련하여야 할 뿐만 아니라 우산을 고정한 뒤에 벨트 등을 사용하여 신체의 특정 영역을 감아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여야 하기 때문에 불쾌감을 초래할 수 있고, 미관을 고려해 볼 때도 바람직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However,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so-called "hands-free" type umbrella wearing device is relatively large so that its size and weight can not be ignored, so that a pedestrian who wants to easily go out is a great burden to use these devices. In addition, the conventional umbrella wearing device should not only provide a separate space for storing the umbrella, but also may cause discomfort because the user must maintain a close state by winding a specific area of the body using a belt or the like after fixing the umbrella. In view of the aesthetics, there is an undesirable problem.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제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우산을 내부에 수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필요에 따라 우산과 안정적으로 체결되어 비가 오는 경우에도 우산을 손으로 파지할 필요가 없는 우산 케이스, 우산 케이스에 결합되는 우산 및 이들이 결합된 우산 어셈블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ccommodated inside the umbrella, as well as if necessary to hold the umbrella by hand even when it is raining stably with the umbrella as neede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umbrella case, an umbrella coupled to an umbrella case, and an umbrella assembly to which they are combined.

본 고안의 목적은 휴대성 및 사용에서의 편의성을 크게 개선한 우산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우산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umbrella case and an umbrella assembly including the same that greatly improved portability and ease of use.

본 고안의 다른 목적 및 이점은 후술하는 본 고안의 구성 및 첨부하는 도면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rawings and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와 같은 목적을 갖는 본 고안의 일 관점에 따르면, 내부에 우산을 수용할 수 있는 수납공간을 갖는 케이스 본체와; 상기 케이스 본체의 일단으로 체결되며, 그 전단으로 우산손잡이가 내입될 수 있는 결합부가 형성되어 있는 캡과; 상기 케이스 본체에 장착되는 어깨끈을 포함하는 우산 케이스를 제공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object, a case body having a storage space for accommodating an umbrella therein; A cap that is fastened to one end of the case body and has a coupling portion formed therein to allow an umbrella handle to be inserted into its front end; It provides an umbrella case including a shoulder strap mounted to the case body.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결합부는 상기 우산손잡이가 끼워질 수 있는 내입부를 구비하며, 상기 내입부의 내주면으로 상기 우산손잡이에 형성된 고정돌기가 탈착될 수 있는 끼움홈이 형성되어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upling portion has an inner portion into which the umbrella handle can be fitted, and a fitting groove to which the fixing protrusion formed on the umbrella handle is detachable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portion.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결합부는 상기 우산손잡이의 하단이 관통할 수 있는 삽입홀을 구비하며, 상기 관통홀의 내주면으로 상기 우산손잡이에 형성된 고정돌기가 탈착될 수 있는 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의 선단부는 상기 우산손잡이의 상단에 설치된 걸림단이 안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upling part has an insertion hole through which the lower end of the umbrella handle can penetrate, and a fitting groove to which the fixing protrusion formed on the umbrella handle is detachable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hrough hole is formed. The front end of the through hole is configured to be seated on the upper end of the umbrella handle.

특히, 본 발명에 따라 케이스 본체와 결합되는 캡은 바람직하게는 케이스 본체로부터 탈착 가능하게 체결되며, 일례로 케이스 본체와 캡은 서로 대응되는 나사산 결합을 통하여 체결되거나 또는 상기 케이스 본체와 상기 캡은 회동수단을 통하여 부분적으로 결합되어 있으며, 탈착 가능한 체결 수단을 통하여 체결된다. In particular, the cap coupled to the case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fastened detachably from the case body, for example, the case body and the cap is fastened through a threaded coupling corresponding to each other or the case body and the cap is rotated It is partially coupled via means and is fastened via a detachable fastening means.

한편, 본 고안에 따라 케이스 본체에 장착되는 어깨끈에는 길이 조절 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houlder strap is mounted on the case body is provided with a length adjusting means.

본 고안의 다른 관점에 따르면, 상술한 우산 케이스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우산으로서, 우산대의 끝단에 형성되는 우산손잡이의 외주면으로 누름 스위치와, 상기 누름 스위치와 연동되어 상기 우산 케이스를 이루는 캡의 결합부로 끼워질 수 있는 고정돌기기 구비되어 있는 우산손잡이를 포함하는 우산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우산손잡이의 상단 일측이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걸림단이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umbrella that can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above-mentioned umbrella case, a push switch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mbrella handle formed at the end of the umbrella stand, and the cap to link the push switch to form the umbrella case There is provided an umbrella comprising an umbrella handle which is provided with a fixing protrusion which can be fitted into a coupling portion of the. Preferably, the upper end of the umbrella handle may be provided with a locking end protruding outward.

본 고안의 또 다른 관점에 따르면, 본 고안은 상술한 우산 케이스와; 상기 우산 케이스를 이루는 결합부로 내입될 수 있는 우산손잡이가 구비되어 있는 우산을 포함하는 우산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umbrella case; It provides an umbrella assembly including an umbrella that is equipped with an umbrella handle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coupling forming the umbrella case.

본 고안에서는 그 내부에 수납공간을 가지면서도 필요에 따라서는 우산의 손잡이를 통하여 우산을 고정될 수 있는 우산 케이스를 제안하고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n umbrella case that can be fixed to the umbrella through the handle of the umbrella if necessary, while having a storage space therein.

즉, 본 고안에 따른 비가 오지 않은 경우에는 우산을 접어 어깨에 맬 수 있도록 고안된 우산 케이스 내부에 수용하여 간편하고 용이하게 수용할 수 있으면서 비가 오는 등의 이유로 우산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는 케이스 내부에 수납되었던 우산을 꺼내어 케이스 일단에 형성된 결합부로 손잡이를 고정시키면 손을 사용하여 우산을 파지하지 않고서도 우산을 사용할 수 있다. That is, when the ra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rained, it is housed inside the umbrella case designed to fold the umbrella on the shoulder and can be easily and easily accommodated. Take out the umbrella and fix the handle with a coupling part formed at one end of the case can use the umbrella without holding the umbrella by hand.

따라서 종래 핸즈-프리 형태로 고안된 우산 체결 장치 등과 비교할 때 본 고안의 우산 케이스는 그 크기가 크게 감소되었을 뿐만 아니라 미관상으로 볼 때도 훨씬 양호하고, 특히 휴대가 간편하고 용이하게 우산을 탈착할 수 있기 때문에 휴대 및 사용에 있어서 편의성이 크게 향상되었다. Therefore, the umbrella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only significantly reduced in size but also much better in aesthetic view compared with the umbrella fastening device designed in the conventional hands-free form, and in particular, because it is easy to carry and can easily detach the umbrella. Convenience in carrying and using has been greatly improved.

본 고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기술하기에 앞서, 본 명세서에서 "우산 어셈블리" 또는 "우산 조립체"라는 용어는 본 발명에 따른 우산 케이스의 단부에 형성된 체결 수단을 통하여 우산이 결합되어 있는 전체 구성 또는 우산 케이스와 우산이 결합되어 있는 전체로서의 물품을 지칭한다는데 유의하여야 한다. Prior to describing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 "umbrella assembly" or "umbrella assembly" herein refers to the overall configuration or umbrella to which the umbrella is coupled via a fastening means formed at the end of the umbrella 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Note that it refers to the article as a whole in which the case and the umbrella are combined.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방 형태의 우산 케이스의 전체 외관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로서, 본 고안에 따른 우산 케이스(100)는 바람직하게는 원통형의 형상을 갖는 케이스 본체(110)와, 상기 케이스 본체(110)에 장착될 수 있는 어깨끈(130)과, 상기 케이스 본체(110)의 일단으로 체결되며 예를 들어 우산손잡이와 결합될 수 있는 캡(140)을 포함한다. 이때, 어깨끈(130)은 상기 케이스 본체(110)의 선단과 후단에 각각 형성되는 어깨끈 장착부(134)에 연결고리(136, 도 3b 참조) 등을 통하여 고정될 수 있으며, 길이조절부(132)가 형성되어 사용자에 따라 그 길이를 길게 하거나 짧게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캡(140)은 그 후단부에 형성된 캡 체결부(150)를 통하여 상기 케이스 본체(110)의 전단과 체결되며, 그 전단부에는 우산손잡이가 내입될 수 있는 결합부(160)가 형성되어 있다. 2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overall appearance of an umbrella case in the form of a ba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mbrella cas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a case body 110 having a cylindrical shape And a shoulder strap 130 that can be mounted to the case body 110, and a cap 140 that is fastened to one end of the case body 110 and that can be coupled with an umbrella handle, for example. At this time, the shoulder strap 130 may be fixed to the shoulder strap mounting portion 134 formed at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case body 110 through a connecting ring 136 (see FIG. 3B), and the length adjusting part ( 132 is formed can be adjusted to length or short depending on the user. On the other hand, the cap 140 is fastened with the front end of the case body 110 through the cap fastening portion 150 formed at the rear end, the front end portion is formed with a coupling portion 160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umbrella handle It is.

본 고안에 따른 우산 케이스의 구성을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a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 케이스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3b는 본 고안의 우산 케이스를 이루는 캡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것과 같이, 대략 원통형의 형상을 갖는 케이스 본체(110)의 내부는 우산을 수용할 수 있도록 비어 있는 수납공간(112)으로서, 개구된 일면인 전면 단부는 캡(140)의 후단부에 형성된 캡 체결부(150)가 바람직하게는 탈착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반면에, 그 후면 단부는 밀폐되어 수용공간(112)으로 인입된 우산이 우산 케이스(110)의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본 고안에 따른 케이스 몸체(110)는 예를 들어 방수 가능한 재질의 직물 또는 무게를 줄이고 쉽 게 파손되지 않도록 내구성이 강한 열경화성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수지 재질을 압출 성형 등의 방법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configuration of the umbrella 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Figure 3a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umbrella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in more detail the configuration of the cap forming the umbrella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illustrated, the interior of the case body 110 having a substantially cylindrical shape is an empty storage space 112 to accommodate an umbrella, and the front end, which is an open side, is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cap 140. While the cap fastening portion 150 is preferably detachably connected, the rear end thereof is sealed to prevent the umbrella introduced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112 from escaping to the outside of the umbrella case 110. The case body 1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such as a durable thermosetting plastic so as not to be easily damaged by reducing the weight of the fabric or waterproof material, for example, by extrusion molding.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케이스 본체(110)의 외경이 캡(140)의 후단부에 형성된 캡 체결부(150)의 내경보다 작도록 구성되는데, 케이스 본체(110)의 개방된 전단부의 외주면을 따라 케이스 체결부로서의 제1나사산(120)이 형성되고, 캡 체결부(150)의 내주면을 따라 상기 제1나사산(120)에 대응되는 제2나사산(152, 도 4 참조)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케이스 본체(110)와 캡(140)을 체결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케이스 본체(110)의 전면을 캡 체결부(150)의 안쪽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캡(140)을 일정방향, 예를 들어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고, 반대로 케이스 본체(110)로부터 캡(140)을 제거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케이스 본체(110)에 결합되어 있는 캡(140)을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와 같이 케이스 본체(110)에 체결되는 캡(140)은 내구성이 강한 열경화성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열가소성 플라스틱 소재의 캡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In particular,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outer diameter of the case body 110 is configured to be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cap fastening portion 150 formed on the rear end of the cap 140,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open front end of the case body 110 A first screw thread 120 as a case fastening portion is formed, and a second screw thread 152 (see FIG. 4) corresponding to the first screw thread 120 is formed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p fastening portion 150. Accordingly, when the case body 110 and the cap 140 are to be fastened, the cap 140 may be moved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for example, while the front surface of the case body 110 is positioned inside the cap fastening part 150. For example, when rotating in a clockwise direction, on the contrary, when removing the cap 140 from the case body 110, the cap 140 coupled to the case body 110 is rotated counterclockwise. As described above, the cap 140 fastened to the case main body 110 is preferably made of a durable thermosetting plastic,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한편, 도 3b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캡(140)의 선단부에 형성되는 우산 결합부(160)에는 우산대의 끝단에 설치, 연결되는 우산손잡이의 적어도 일부분, 예를 들어 우산손잡이의 하단부가 삽입될 수 있는 내입부로서의 관통홀(162)이 구비되어 있으며, 그 관통홀(162)의 내주면, 바람직하게는 양측 내주면으로는 관통홀(162)에 삽입되는 우산손잡이의 장착수단으로서의 고정돌기(236, 도 5a 참조)가 삽입될 수 있는 끼움홈(164)이 형성되어 관통홀(162)로 내입되는 우산손잡이가 안정적으로 장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바람직하게는 캡(140)의 전면부에 형성되는 관통홀(162)의 선단부(166)는 단면이 일정한 폭을 가지도록 구성되어, 후술하는 우산손잡이의 걸림턱(232, 도 5a 참조)의 하단이 안착되도록 함으로써, 우산손잡이가 관통홀(162)을 통하여 아래 방향으로 완전히 관통되는 것을 방지하는 일종의 걸림단으로 기능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referring to Figure 3b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mbrella coupling portion 160 is formed at the tip of the cap 140, at least a portion of the umbrella handle is installed, connected to the end of the umbrella stand, for example umbrella handle A through hole 162 is provided as an inner part into which the lower end of the through hole 162 can be inserted. A fitting groove 164 into which the fixing protrusion 236 (see FIG. 5A) can be inserted is formed so as to stably mount the umbrella handle into the through hole 162. On the other hand, preferably the front end portion 166 of the through hole 162 formed in the front portion of the cap 140 is configured so that the cross section has a constant width, the locking step (232, see Figure 5a) of the umbrella handle to be described later) By allowing the bottom of the seat to be seated, the umbrella handle may function as a kind of locking end that prevents the umbrella handle from being completely penetrated downwardly through the through hole 162.

이와 같이 구성되는 우산 케이스를 통하여 필요에 따라 우산을 우산 케이스의 내부로 인입시켜 수용하거나 또는 우산 케이스로부터 우산을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는데,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 케이스(100)의 내부로 우산(200)을 인입하거나 또는 인출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것과 같이, 우산(200)을 케이스 본체(110)의 내부의 수납공간으로 수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캡(140)의 후단부에 형성되는 캡 체결부(150)를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캡 체결부(150)의 내주면에 형성된 제2나사산(152)과 케이스 본체(110) 전면 외주면에 형성된 케이스 체결부로서의 제1나사산(120) 사이의 결합을 해제하여 캡(140)을 케이스 본체(110)로부터 이탈시킴으로써, 케이스 본체(110)의 개구된 전면을 통하여 우산(200)을 수납공간(112)으로 인입시킨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우산손잡이(230)가 케이스 본체(110)의 선단부에 배치되도록 우산(200)을 인입한다. Through the umbrella cas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umbrella can be accommodated by being introduced into the inside of the umbrella case or used by drawing out the umbrella from the umbrella case. FIG. 4 shows an umbrella cas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of pulling in or out of the umbrella 200 into the interior. As shown, when the umbrella 200 is to be stored in the storage space inside the case body 110, the cap fastening portion 150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cap 140 is rotated counterclockwise to the cap. The cap 140 is removed from the case body 110 by releasing the coupling between the second screw thread 152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astening part 150 and the first screw thread 120 as the case fastening portion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se body 110. ), The umbrella 200 is led into the storage space 112 through the opened front surface of the case body 110. At this time, preferably, the umbrella 200 is introduced so that the umbrella handle 230 is disposed at the front end of the case body 110.

이어서, 우산(200)이 인입된 케이스 본체(110)의 제1나사산(120)이 형성된 전면으로 캡(140)을 배치시키고, 캡(140)의 후단부에 형성된 캡 체결부(150)의 내 주면에 형성된 제2나사산(152)과 케이스 본체(110)의 전면 외주면에 형성된 제1나사산(120)을 맞춘 뒤에 캡(140)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우산(200)은 케이스 본체(110) 및 캡(140)에 의하여 밀폐된 상태로 보관된다. Subsequently, the cap 140 is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where the first screw thread 120 of the case body 110 into which the umbrella 200 is inserted is formed, and the cap fastening portion 150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cap 140 is disposed. When the cap 140 is rotated in a clockwise direction after aligning the second screw thread 152 formed on the main surface and the first screw thread 120 formed on the front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se body 110, the umbrella 200 is the case body 110. And it is stored in a closed state by the cap 140.

한편, 우산(200)을 사용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캡(140)을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캡 체결부(150)에 형성된 제2나사산(152)과 케이스 본체(110)의 선단에 형성된 제1나사산(120) 사이의 결합을 해제하여 캡(140)을 케이스 본체(110)로부터 이탈시킨 뒤, 케이스 본체(110)의 개구된 전단을 통하여 케이스 본체(110)에 수용된 우산(200)을 인출한다. 이어서, 캡(140)과 케이스 본체(110)를 다시 체결한 상태에서 우산을 펼친 뒤, 후술하는 것과 같이 우산을 케이스 본체(110)의 전면에 체결된 캡(140)의 결합부(160)로 우산 손잡이(230)를 장착하여 손으로 우산을 파지하지 않고서도 우산을 사용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necessary to use the umbrella 200 by rotating the cap 140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the second screw thread 152 formed on the cap fastening portion 150 and the first formed on the tip of the case body 110. The cap 140 is released from the case body 110 by releasing the coupling between the threads 120, and then the umbrella 200 accommodated in the case body 110 is drawn out through the open front end of the case body 110. . Subsequently, the umbrella 140 is unfolded while the cap 140 and the case body 110 are fastened again, and then the umbrella is coupled to the coupling portion 160 of the cap 140 fasten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case body 110 as described below. By mounting the umbrella handle 230, the umbrella can be used without holding the umbrella by hand.

본 고안에 따른 우산 케이스로 우산손잡이가 장착되거나 또는 우산 케이스로부터 우산손잡이를 분리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5a 및 도 5b는 각각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 케이스로 우산손잡이가 장착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6a 및 도 6b는 각각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 케이스로 우산손잡이가 장착되는 상태 및 우산 케이스로부터 우산손잡이가 제거되는 상태의 우산손잡이 및 캡의 결합부 사이의 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As an umbrella 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umbrella handle is mounted or a process of separating an umbrella handle from an umbrella case will be described. 5A and 5B are diagrams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process of mounting an umbrella handle as an umbrella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and FIGS. 6A and 6B are respectively as umbrella cas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mbrella handle is mounted and the umbrella handle and the coupling portion of the cap in the state the umbrella handle is removed from the umbrella case.

앞서 살펴본 것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우산 케이스의 전면에 형성된 캡(140)에는 우산손잡이(230)가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결합부(160)가 전면에 형성되어 있다. 한편, 본 고안에 따라 우산대(210)의 일단으로 연결되는 우산손잡이(230)의 일측 상단은 외측으로 돌출되는 걸림턱(232)이 구비되어 있으며, 우산손잡이(230)의 양측 외주면으로는 케이스 본체(110)의 전면에 체결되는 캡(140)으로 우산손잡이(230)를 탈착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는 우산손잡이 장착부(233)가 구비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우산손잡이 장착부(233)는 우산손잡이(230)의 상단에 형성되는 누름 스위치(234)와, 상기 누름 스위치(234)와 연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누름 스위치(234)의 아래쪽에 형성되는 고정돌기(236)를 포함하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누름 스위치(234)는 걸림턱(232)의 저면보다 위쪽에 형성되고, 상기 고정돌기(236)는 걸림턱(232)보다 아래쪽에 형성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cap 140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umbrella 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oupling portion 160 is coupled to the umbrella handle 230 to be detachable.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e side upper end of the umbrella handle 230 connected to one end of the umbrella stand 210 is provided with a locking jaw 232 protruding outward, the case body as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both sides of the umbrella handle 230 Umbrella handle mounting portion 233 that can be detachably mounted to the umbrella handle 230 to the cap 140 is fastened to the front of 110 is provided. According to a preferre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mbrella handle mounting portion 233 is connected to the push switch 234 and the push switch 234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umbrella handle 230, the push switch 234 of the The fixing protrusion 236 is formed at the bottom. Preferably, the push switch 234 is formed above the bottom of the locking step 232, the fixing protrusion 236 is formed below the locking step 232.

특히,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고정돌기(236)는 커넥터(238)를 통하여 누름 스위치(234)와 연결되어 있으며, 누름 스위치(234)의 안쪽으로는 스프링과 같은 탄성수단(239)이 측설되어 있다. 이에 따라 누름 스위치(236)를 우산손잡이(230)의 중심을 향하여 가압하면 고정돌기(236) 역시 우산손잡이(230)의 내측으로 함몰되도록 구성되고, 누름 스위치(236)에 가해진 압력을 해제하면 탄성수단(239)에 탄력에 의하여 누름 스위치(236) 및 고정돌기(236)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한다.  In particular, as shown in FIGS. 6A and 6B, the fixing protrusion 236 is connected to the push switch 234 through the connector 238, and an elastic means such as a spring is formed inside the push switch 234. 239 is staked out. Accordingly, when the push switch 236 is pressed toward the center of the umbrella handle 230, the fixing protrusion 236 is also configured to be recessed into the inside of the umbrella handle 230, and when the pressure applied to the push switch 236 is released, it is elastic. Resilience to the means 239 causes the push switch 236 and the securing projection 236 to return to their original positions.

따라서 우천 시에 우산(200)을 우산 케이스로 결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케이스 본체(110)의 전면으로 체결되는 캡(140)의 상단으로 우산손잡이(230)를 배치시키고, 누름 스위치(234)를 누른 상태에서 캡(140)의 선단부에 형성된 관통 홀(162)로 우산손잡이(23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우산손잡이(230)를 아래 방향으로 움직인다. 이에 따라 우산손잡이(230)는 그 하단부터 관통홀(162)로 내입되는데, 우산손잡이(230)의 일측 상단에 형성된 걸림턱(232)의 저면이 일정한 단면 폭을 갖는 관통홀(162)의 선단부(166)에 놓이면 우산손잡이(230)는 더 이상 아래 방향으로 움직이지 못한다. 즉, 본 고안에 따른 관통홀(166)의 선단부(166)의 상단으로 우산손잡이의 걸림턱(232)이 안착됨에 따라 우산손잡이(232)가 관통홀(162)의 내부를 완전히 관통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는 것이다. Therefore, in case of rain, when the umbrella 200 is to be combined with an umbrella case, the umbrella handle 230 is disposed at the top of the cap 140 that is fastened to the front of the case body 110, and the push switch 234 is pressed. The umbrella handle 230 is moved downward so that the umbrella handle 230 can be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162 formed at the tip end of the cap 140 in the state. Accordingly, the umbrella handle 230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162 from the bottom thereof, and the front end of the through hole 162 having the constant cross-sectional width of the bottom of the latching jaw 232 formed at the top of one side of the umbrella handle 230. When placed at 166, umbrella handle 230 no longer moves downward. That is, the umbrella handle 232 is prevented from completely penetrating the inside of the through hole 162 as the locking jaw 232 of the umbrella handle is seated at the upper end of the tip portion 166 of the through hole 166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이런 상태에서 누름 스위치(230)의 압력을 해제하면 우산손잡이(230)의 대략 중간 높이에서 우산손잡이(230)의 중심을 향하여 함몰되어 있던 고정돌기(236)가 원래의 위치로 돌출되고, 관통홀(162)의 양측 내주면에 형성된 끼움홈(164)으로 끼워짐으로써, 우산손잡이(230)가 안정적으로 관통홀(162)로 내입될 수 있다(도 6a 참조). 한편, 비가 그치는 등의 이유로 우산을 사용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누름 스위치(234)를 우산손잡이(230)의 중심을 향하여 가압하면 이에 연결되어 있는 고정돌기(236) 역시 우산손잡이(230)의 중심으로 함몰되어 끼움홈(230)을 벗어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우산을 위쪽으로 올리게 되면 우산손잡이(230)가 캡(140)의 관통홀(162)로부터 쉽게 이탈되는데, 우산손잡이(230)가 관통홀(162)로부터 완전히 이탈된 상태에서 누름스위치(234)에 가해진 압력을 해제하여 고정돌기(236)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된다. When the pressure of the push switch 230 is released in this state, the fixing protrusion 236 recessed toward the center of the umbrella handle 230 at an approximately middle height of the umbrella handle 230 protrudes to its original position, and the through hole By being fitted into the fitting grooves 164 formed at both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162, the umbrella handle 230 may be stably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s 162 (see FIG. 6A).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not necessary to use the umbrella for reasons such as the rain stops, pressing the push switch 234 toward the center of the umbrella handle 230, the fixing projections 236 connected thereto also as the center of the umbrella handle 230 Recessed out of the fitting groove 230. In this state, when the umbrella is raised upward, the umbrella handle 230 is easily detached from the through hole 162 of the cap 140, and the umbrella handle 230 is completely pushed away from the through hole 162 by a push switch ( The fixing protrusion 236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by releasing the pressure applied to the 234.

한편, 상술한 것과 같은 구성 외에도 다른 형태의 우산케이스 및 이 우산 케이스에 장착되는 다른 형태의 우산이 가능한데, 도 7a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우산 케이스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b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우산 케이스를 이루는 캡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였으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우산 케이스를 구성하는 케이스 본체(110)와 캡(140)은 완전히 분리되지 않는 형태이다. 즉, 바람직하게는 원통 형상을 갖는 케이스 본체(110)의 개구된 선단부와 캡(140)의 후단부의 일부는 힌지와 같은 회동 수단(153)을 통하여 결합, 고정되어 있으며, 케이스 본체(110)의 선단부의 다른 영역, 예를 들어 케이스 본체(110)의 상단 선단부와 캡(140)의 상단 후단부에는 탈착 가능한 체결 수단이 구비되어 있다. On the other hand, in addition to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another type of umbrella case and another type of umbrella mounted to the umbrella case is possible, Figure 7a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umbrella cas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b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ap forming an umbrella cas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e case body 110 and the cap 140 constituting the umbrella 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re not completely separated. That is, a portion of the open front end of the case body 110 having a cylindrical shape and the rear end of the cap 140 is preferably coupled and fixed through a rotation means 153 such as a hinge, Removable fastening means are provided in other areas of the front end, for example, the upper end of the case body 110 and the upper rear end of the cap 140.

일례로, 케이스 본체(110)의 상단 선단부의 외주면으로는 케이스 체결부로서의 제 1 벨크로테이프(124)가 부착되어 있으며, 캡(140)의 상단 후단부에는 캡 체결부로서 상기 제 1 벨크로테이프(124)와 탈착 가능하도록 접착될 수 있는 제 2 벨크로테이프(154)가 돌출되어 있다. 따라서 제 2 벨크로테이프(154)를 제 1 벨크로테이프(124)로 접착시키거나 또는 제 1 벨크로테이프(124)로부터 제 2 벨크로테이프(154)를 떼어내는 것에 따라, 케이스 본체(110)의 선단부가 개방되거나 폐쇄될 수 있으며, 케이스 본체(110)의 선단부가 개방됨에 따라 케이스 본체(110)의 내부로 우산을 인입, 수용하거나 또는 케이스 본체(110)로부터 우산을 인출할 수 있다. For example, a first velcro tape 124 as a case fastening portion is attached to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end of the case body 110, and a first velcro tape as a cap fastening portion is attached to an upper end of the cap 140. A second Velcro tape 154 that protrudes from the 124 is detachably protruded. Therefore, by adhering the second Velcro tape 154 to the first Velcro tape 124 or removing the second Velcro tape 154 from the first Velcro tape 124, the tip portion of the case body 110 is It may be opened or closed, and as the front end of the case body 110 is opened, the umbrella may be introduced into or received into the case body 110, or the umbrella may be withdrawn from the case body 110.

도면에서는 케이스 본체(110)와 캡(140)을 탈착 가능하게 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벨크로테이프(124, 154)를 예시하였으나,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다. 예를 들어, 케이스 체결부로서 제 1 벨크로테이프(124) 대신에 케이스 본체(110)의 선단부로 체결홈, 체결홀, 또는 암-버클(female buckle)과 같은 암체결구를 형성하고, 캡 체결부로서 제 2 벨크로테이프(154) 대신에 체결홈, 체결홀 또는 암-버클에 탈착 가능하게 끼워질 수 있는 일명 똑딱단추라고도 불리는 스냅 패스너(snap fastener) 또는 벨트 등을 통하여 캡에 고정되어 있는 수-버클(male buckle)과 같은 수체결구를 구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In the drawings, the Velcro tapes 124 and 154 are illustrated as a means for detachably fastening the case body 110 and the cap 140,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instead of the first Velcro tape 124 as the case fastening portion, the front end of the case body 110 forms a female fastening hole such as a fastening groove, a fastening hole, or a female buckle, and a cap fastening portion. Can be secured to the cap via a snap fastener or belt, also known as a snap button, which can be removably fitted in a fastening groove, fastening hole or arm-buckle instead of the second Velcro tape 154. It is of course possible to have a male fastener such as a male buckle.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르면 캡(140)의 선단부로 우산이 장착될 수 있는 결합부(160)가 구비되는데, 본 고안에 따른 결합부(160)로는 예를 들어 우산손잡이의 하단부가 삽입될 수 있는 내입부로서 그 저면이 폐쇄되어 있는 안착홈(163)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안착홈(162)의 양측 내주면으로는 안착홈(163)에 삽입된 우산손잡이의 고정돌기(236)가 삽입될 수 있는 끼움홈(164)이 형성된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저면이 폐쇄된 안착홈(163)으로 우산손잡이가 삽입되므로 우산손잡이가 아래 방향으로 완전히 관통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안착홈(164)의 선단부 상단은 걸림단으로 기능할 필요가 없다.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provided with a coupling portion 160 that can be mounted to the front end of the cap 140, the coupling portion 16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the lower end of the umbrella handle can be inserted A seating groove 163 having a bottom surface of the seating groove 163 is formed as an inner mouth portion, and fixing protrusions 236 of the umbrella handle inserted into the seating groove 163 are inserted into both inner peripheral surfaces of the seating groove 162. The fitting groove 164 can be formed. In particular,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umbrella handle is inserted into the seating groove 163 with the bottom closed, so that the umbrella handle can be prevented from penetrating completely in the downward direction, so that the upper end of the seating recess 164 may function as a locking end. no need.

본 실시예에 따른 우산 케이스로 우산이 탈착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는데, 도 8a 및 도 8b는 각각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우산 케이스로 우산손잡이가 장착되는 상태 및 우산 케이스로부터 우산손잡이가 제거되는 상태의 우산손잡이 및 캡의 결합부 사이의 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앞서 살펴본 것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케이스 본체와 탈착 가능하게 체결되는 캡(140)의 선단부에 형성된 결합부로서 그 저면이 폐쇄되어 있는 안착홈(163)을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안착홈(163)으로 내입되는 우산손잡이(230)가 캡(140)의 상면으로부터 안착홈(163)으로 내입됨에 따라 우산손잡이(230)의 저면은 안착홈(163)의 폐쇄된 저면에 의하여 지지되기 때문에, 본 실시예에 따른 우산손잡이(230)는 바람직하게는 양 측면으로 우산손잡이 장착부(233)로서 누름 스위치(234)와 이 누름 스위치(234)의 조작에 따라 연동되는 고정돌기(236) 외에 걸림턱과 같은 구성은 필요하지 않게 된다. 상술한 것과 마찬가지로 누름 스위치(234)의 조작에 따라 고정돌기(236)는 안착홈(163)의 양측 내주면에 형성된 끼움홈(164)으로 탈착 가능하도록 끼워진다. The umbrella 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mounted so that the umbrella is detachable. FIGS. 8A and 8B are umbrella holder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and the umbrella handle is removed from the umbrella case. Figure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mbrella handle and the coupling portion of the cap.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a coupling part formed at a distal end of the cap 140 detachably fastened to the case body has a seating recess 163 having a bottom thereof closed. Therefore, as the umbrella handle 230 that is inserted into the seating groove 163 is inserted into the seating groove 163 from the top surface of the cap 140, the bottom of the umbrella handle 230 is located on the closed bottom of the seating groove 163. Since it is supported by, the umbrella handle 23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preferably fixed to both sides of the fixed projection interlock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push switch 234 and the push switch 234 as the umbrella handle mounting portion 233 ( 236, the configuration such as the locking step is not necessary.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push switch 234, the fixing protrusion 236 is fitted to be detachably inserted into the fitting grooves 164 formed on both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mounting groove 163.

이어서, 본 고안에 따른 우산 케이스를 사용하여 손을 사용하여 우산을 파지하지 않고서도 우산을 사용하는 사용 상태를 설명한다.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우산 케이스에 우산손잡이를 결합하여 손으로 우산을 파지하지 않고 비를 피하고 있는 사용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보행자는 비가 오지 않는 경우에는 우산 케이스의 내부에 우산을 수납한 상태에서 어깨끈(120)을 통하여 우산 케이스(100)를 어깨에 맨 상태에서 보행한다. 만약 비가 오는 경우에는 보행자는 도 4에서 설명한 것처럼 캡(140)을 케이스 본체(110)로부터 분리하여 케이스 본체(110) 내부에 수납된 우산을 인출한 뒤에 다시 캡(140)을 케이스 본체(110)와 체결한다. 이어서, 도 5a 내지 도 5b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우산손잡이(230)를 캡(140)의 선 단에 형성된 결합부로 장착하여 우산 손잡이를 고정시킨다. 우산을 캡(140)에 장착하기 전이나 후에 우산을 펼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보행자는 길이조절부(122)를 조작하여 우산 케이스(100)가 자신의 어깨에 밀착, 고정될 수 있도록 케이스 본체(110)에 장착된 어깨끈(120)의 길이를 조절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본 고안에 따른 우산 케이스(100)로 우산(200)이 고정되어 있는 우산 어셈블리(300)의 구조가 가능하게 되며 사용자는 우산을 손으로 파지하지 않고서도 비를 피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Next, using the umbrella 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 state of use using the umbrella without holding the umbrella by hand. 9 is a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use state in which an umbrella handle is coupled to an umbrella 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avoid rain without holding an umbrella by hand. When the pedestrian does not rain, the pedestrian walks in the state where the umbrella case 100 is placed on the shoulder through the shoulder strap 120 in a state where the umbrella is stored inside the umbrella case. If it rains, the pedestrian separates the cap 140 from the case body 110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withdraws the umbrella stored inside the case body 110, and then returns the cap 140 to the case body 110. Fasten with Subsequently, as illustrated in FIGS. 5A to 5B, the umbrella handle 230 is mounted to the coupling portion formed at the tip of the cap 140 to fix the umbrella handle. Umbrella can be opened before or after mounting the umbrella to the cap 140, the pedestrian in the process to operate the length adjusting part 122, the case body so that the umbrella case 100 is in close contact, fixed to their shoulders ( Adjust the length of the shoulder strap 120 mounted on 110. Through this process, the structure of the umbrella assembly 300 in which the umbrella 200 is fixed to the umbrella cas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ossible, and the user can avoid the rain without holding the umbrella by hand. will be.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기초하여 본 고안의 구성 및 작동을 기술하였으나, 본 고안이 상술한 내용으로 제한되는 것은 결코 아니다. 오히려,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평균적 전문가라면 상술한 실시예에 기초하여 다양한 변형과 변경을 용이하게 추고할 수 있음은 자명한 사실이다. 그러나 그와 같은 변형과 변경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한다는 사실은 후술하는 청구의 범위를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In the above,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based on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Rather, it is obvious that an average expert in the art may easily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based on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However, the fact that such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belo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through the claims that will be described later.

도 1은 종래 길이 조절이 가능한 우산 가방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ventional umbrella bag adjustable length.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가방 형태의 우산 케이스의 전체 외관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overall appearance of the umbrella case in the form of a ba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a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 케이스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3b는 본 고안의 우산 케이스를 이루는 캡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도시한 사시도. Figure 3a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umbrella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in more detail the configuration of the cap forming the umbrella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 케이스의 내부로 우산을 인입하거나 또는 인출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4 is a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n umbrella is introduced or withdrawn into an umbrella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a 및 도 5b는 각각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 케이스로 우산손잡 이가 장착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Figures 5a and 5b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rocess of mounting the umbrella handle as an umbrella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도 6a 및 도 6b는 각각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 케이스로 우산손잡이가 장착되는 상태 및 우산 케이스로부터 우산손잡이가 제거되는 상태의 우산손잡이 및 캡의 결합부 사이의 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6A and 6B schematically show a relationship between an umbrella handle and a coupling portion of a cap in a state where an umbrella handle is mounted as an umbrella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state in which the umbrella handle is removed from the umbrella case; drawing.

도 7a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우산 케이스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b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우산 케이스를 이루는 캡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Figure 7a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umbrella cas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b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ap forming an umbrella cas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a 및 도 8b는 각각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우산 케이스로 우산손잡이가 장착되는 상태 및 우산 케이스로부터 우산손잡이가 제거되는 상태의 우산손잡이 및 캡의 결합부 사이의 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8A and 8B schematically show a relationship between an umbrella handle and a coupling portion of a cap in a state where an umbrella handle is mounted as an umbrella cas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state in which the umbrella handle is removed from the umbrella case; drawing.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우산 케이스에 우산손잡이를 결합하여 손으로 우산을 파지하지 않고 비를 피하고 있는 사용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9 is a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use state in which an umbrella handle is coupled to an umbrella 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avoid rain without holding an umbrella by hand.

Claims (9)

내부에 우산을 수용할 수 있는 수납공간을 갖는 케이스 본체와;A case body having a storage space for accommodating an umbrella therein; 상기 케이스 본체의 일단으로 체결되며, 그 전단으로 우산손잡이가 내입될 수 있는 결합부가 형성되어 있는 캡과;A cap that is fastened to one end of the case body and has a coupling portion formed therein to allow an umbrella handle to be inserted into its front end; 상기 케이스 본체에 장착되는 어깨끈을 포함하는 우산 케이스.An umbrella case including a shoulder strap mounted to the case body.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결합부는 상기 우산손잡이가 끼워질 수 있는 내입부를 구비하며, 상기 내입부의 내주면으로 상기 우산손잡이에 형성된 고정돌기가 탈착될 수 있는 끼움홈이 형성되어 있는 우산 케이스. The coupling part is an umbrella case having an inlet portion to which the umbrella handle can be fitted, and a fitting groove to which the fixing protrusion formed on the umbrella handle is detachable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let portion is formed.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결합부는 상기 우산손잡이의 하단이 관통할 수 있는 삽입홀을 구비하며, 상기 관통홀의 내주면으로 상기 우산손잡이에 형성된 고정돌기가 탈착될 수 있는 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의 선단부는 상기 우산손잡이의 상단에 설치된 걸림단이 안착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우산 케이스. The coupling part has an insertion hole through which the lower end of the umbrella handle can penetrate, and a fitting groove is formed in which the fixing protrusion formed on the umbrella handle is detachable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hrough hole, and the tip portion of the through hole is the umbrella handle. Umbrella case is configured to be seated on the upper end of the installation.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캡은 상기 케이스 본체로부터 탈착 가능하게 체결되어 있는 우산 케이스. And the cap is detachably fastened from the case body.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케이스 본체와 상기 캡은 회동수단을 통하여 부분적으로 결합되어 있으며, 탈착 가능한 체결 수단을 통하여 체결되어 있는 우산 케이스. The case body and the cap is partly coupled through the rotation means, the umbrella case is fastened via a removable fastening means.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어깨끈은 길이 조절 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우산 케이스. The shoulder strap is an umbrella case is provided with a length adjusting means. 제 1항 내지 제 6항에 기재되어 있는 우산 케이스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우산으로서, An umbrella that can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umbrella case described in claim 1, 우산대의 끝단에 형성되는 우산손잡이의 외주면으로 누름 스위치와, 상기 누름 스위치와 연동되어 상기 우산 케이스를 이루는 캡의 결합부로 끼워질 수 있는 고정돌기기 구비되어 있는 우산손잡이를 포함하는 우산. An umbrella comprising an umbrella handle having a push switch to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an umbrella handle formed at an end of an umbrella stand, and a fixing protrusion which is interlocked with the push switch to be fitted to a coupling portion of a cap forming the umbrella case. 제 7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우산손잡이의 상단 일측이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걸림단이 구비되어 있는 우산. Umbrella is provided with a locking end protruding outward one side of the umbrella handle. 제 1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되어 있는 우산 케이스와; An umbrella cas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상기 우산 케이스를 이루는 결합부로 내입될 수 있는 우산손잡이가 구비되어 있는 우산을 포함하는 우산 어셈블리. Umbrella assembly including an umbrella that is provided with an umbrella handle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engaging portion forming the umbrella case.
KR2020070013595U 2007-08-16 2007-08-16 Umbrella Case, Umbrella Removably Attachable to the Case and Umbrella Assembly Combined therewith KR200438289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3595U KR200438289Y1 (en) 2007-08-16 2007-08-16 Umbrella Case, Umbrella Removably Attachable to the Case and Umbrella Assembly Combined therewith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3595U KR200438289Y1 (en) 2007-08-16 2007-08-16 Umbrella Case, Umbrella Removably Attachable to the Case and Umbrella Assembly Combined therewith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8289Y1 true KR200438289Y1 (en) 2008-02-04

Family

ID=41339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3595U KR200438289Y1 (en) 2007-08-16 2007-08-16 Umbrella Case, Umbrella Removably Attachable to the Case and Umbrella Assembly Combined therewith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8289Y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9046B1 (en) 2010-04-16 2013-04-29 엄영식 An umbrella with case
KR101460511B1 (en) 2013-05-15 2014-11-20 김주혁 device of umbrella
JP2019031769A (en) * 2017-08-09 2019-02-28 拓巳 本間 Rainwear
US11439213B2 (en) * 2019-09-11 2022-09-13 Min Soo KYUNG Wallet-type portable umbrella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9046B1 (en) 2010-04-16 2013-04-29 엄영식 An umbrella with case
KR101460511B1 (en) 2013-05-15 2014-11-20 김주혁 device of umbrella
JP2019031769A (en) * 2017-08-09 2019-02-28 拓巳 本間 Rainwear
US11439213B2 (en) * 2019-09-11 2022-09-13 Min Soo KYUNG Wallet-type portable umbrella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08722B1 (en) Umbrella mountable on a backpack
US8678019B2 (en) Umbrella engaged with a back pack
KR200438289Y1 (en) Umbrella Case, Umbrella Removably Attachable to the Case and Umbrella Assembly Combined therewith
KR200445380Y1 (en) Umbrella integrated with waterproof jacket
US20130048692A1 (en) Umbrella carrier
KR101245881B1 (en) Umbrella for bag
KR101083705B1 (en) Packsack stickable an umbrella
KR200384637Y1 (en) A knapsack which is possessed a separation and combination type umbrella keeping means
JP3120483U (en) A school bag with a foldable umbrella storage bag
KR200266363Y1 (en) a waterproof cover for an wet umblrella
KR200479147Y1 (en) Umbrellar equipped with the bag-cover
KR101460511B1 (en) device of umbrella
KR100745702B1 (en) An umbrella with case for rainwater
KR20100001919U (en) Handle structure of umbrella or parasol
KR200289295Y1 (en) Valise being able to dispose/separate a mat therein/therefrom
JP2007167595A (en) Folding umbrella storing/retaining bag
JP3079843U (en) Portable umbrella case
KR20180129373A (en) Rain Pedestal Umbrella
KR20190066974A (en) Receive rain with an functionality umbrella in the umbrella stand
KR200188835Y1 (en) Packsack stickable an umbrella
CN110367660B (en) Portable umbrella and working method thereof
KR20100076616A (en) An umbrella with waterproof cover storage
JP3110821U (en) Backpack
KR20000020846U (en) A bag having a function of containg umbreller
KR20100003318U (en) umbrella have a custody ca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1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