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7694Y1 - 탄알 공급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사격 장치 - Google Patents

탄알 공급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사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7694Y1
KR200437694Y1 KR2020070000064U KR20070000064U KR200437694Y1 KR 200437694 Y1 KR200437694 Y1 KR 200437694Y1 KR 2020070000064 U KR2020070000064 U KR 2020070000064U KR 20070000064 U KR20070000064 U KR 20070000064U KR 200437694 Y1 KR200437694 Y1 KR 20043769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llet
pipe
supply
valve
shoo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00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각종
Original Assignee
유각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각종 filed Critical 유각종
Priority to KR20200700000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769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769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769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BWEAPONS FOR PROJECTING MISSILES WITHOUT USE OF EXPLOSIVE OR COMBUSTIBLE PROPELLANT CHARGE; WEAP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41B11/00Compressed-gas guns, e.g. air guns; Steam guns
    • F41B11/50Magazines for compressed-gas guns; Arrangements for feeding or loading projectiles from magazines
    • F41B11/57Electronic or electric systems for feeding or load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BWEAPONS FOR PROJECTING MISSILES WITHOUT USE OF EXPLOSIVE OR COMBUSTIBLE PROPELLANT CHARGE; WEAP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41B11/00Compressed-gas guns, e.g. air guns; Steam guns
    • F41B11/70Details not provided for in F41B11/50 or F41B11/60
    • F41B11/72Valves; Arrangement of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ming, Guidance, Guns With A Light Source, Armor, Camouflage, And Targe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실내 사격 장치에 관한 것으로, 탄창 교체 작업없이 사격기에 탄알을 자동으로 공급하고, 사격기에 탄알을 공급하는 주기를 늘려 사격을 하는 동안 사격 리듬이 깨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탄알 공급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사격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탄알 공급 장치는 하부에 유(U)자형의 축적부를 가지며, 일측은 사격기와 연결되는 탄알 공급관을 갖는다. 배관은 탄알이 공급되는 입구와, 입구와 연결되며 탄알 공급관의 타측이 연결되는 출구를 가지며, 입구로 공급된 탄알들을 출구를 통해 상기 탄알 공급관으로 배출시킨다. 밸브부는 배관에 내설되어 배관을 개폐하는 밸브를 갖는다. 공기 공급부는 밸브 아래의 배관 부분에 연결되어 배관으로 일정압의 공기를 공급한다. 그리고 제어부는 일정양의 탄알이 탄알 공급관에 축적될 때까지 밸브를 개방하고, 일정양이 축적되면 밸브를 닫고 공기 공급부를 동작시켜 배관으로 일정압의 공기를 공급하여 탄알 공급관에 축적된 탄알을 사격기로 공급한다.
탄알, 탄창, 실내, 사격, 공기압

Description

탄알 공급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사격 장치{Apparatus for supplying bullet and shooting apparatus using the same}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탄알 공급 장치를 갖는 사격 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탄알 공급 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탄알 공급 장치로 사격기에 탄알을 공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
10 : 탄알 공급부 12 : 탄알
20 : 탄알 공급 장치 30 : 제어부
40 : 배관 50 : 밸브부
51: 밸브 52 : 개폐기
55, 56 : 밸브 체크 센서 60 : 공기 공급부
70 : 탄알 공급관 71 : 축적부
73 : 탄알 체크 센서 80 : 사격기
100 : 사격 장치
본 고안은 실내 사격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탄알을 사격기에 자동으로 공급하는 탄알 공급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사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주5일 근무와 더불어 여가활동과 건강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레저스포츠를 즐기는 인구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레저스포츠 중에서 실내 사격은 집중력과 안정감을 키워주고, 스트레스 해소에 도움을 준다.
실내 사격은 통상적으로 플라스틱 소재의 탄알을 사용하는 사격기로 목표물을 조준하여 맞추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이때 탄알을 사격기의 약실로 공급하는 수단으로 탄창을 사용한다. 따라서 실내 사격을 위해서는 사수가 사격기에 탄창을 일일이 결합해야 한다.
그런데 탄창으로 사격기에 공급할 수 있는 탄알은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수사는 탄창이 빌 때마다 사격을 중지하고 빈탄창을 새탄창으로 교체하는 작업을 반복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존재한다. 이 경우 자의가 아닌 타의로 사격이 중지되기 때문에, 사수는 사격 리듬이 깨질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제 1 목적은 탄창 교체 작업없이 사격기에 탄알을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제 2 목적은 사격기에 탄알을 공급하는 주기를 늘려 사격을 하는 동안 사격 리듬이 깨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탄알 공급 장치는 탄알 공급관, 배관, 밸브부, 공기 공급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탄알 공급부는 하부에 유(U)자형의 축적부를 가지며, 일측은 사격기와 연결된다. 배관은 탄알이 공급되는 입구와, 입구와 연결되며 탄알 공급관의 타측이 연결되는 출구를 가지며, 입구로 공급된 탄알들을 출구를 통해 상기 탄알 공급관으로 배출시킨다. 밸브부는 배관에 내설되어 배관을 개폐하는 밸브를 갖는다. 공기 공급부는 밸브 아래의 배관 부분에 연결되어 배관으로 일정압의 공기를 공급한다. 그리고 제어부는 일정양의 탄알이 탄알 공급관에 축적될 때까지 밸브를 개방하고, 일정양이 축적되면 밸브를 닫고 공기 공급부를 동작시켜 배관으로 일정압의 공기를 공급하여 탄알 공급관에 축적된 탄알을 사격기로 공급한다.
본 고안에 따른 탄알 공급 장치에 있어서, 입구로 공급된 탄알들이 자유낙하에 의해 출구를 통해 탄알 공급관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배관은 연직 방향으로 설치된다.
본 고안에 따른 탄알 공급 장치에 있어서, 밸브부는 밸브를 회전시켜 배관을 개폐하는 개폐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개폐기는 밸브에 연결되어 배관 밖으로 돌출된 회전축과,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모터와, 밸브 개폐에 대응되는 회전축의 회전각을 체크하여 제어부에 전송하며, 제어부로 하여금 모터를 정지시키는 밸브 체크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고안에 따른 탄알 공급 장치에 있어서, 밸브 체크 센서는 회전축이 90도씩 회전하는 지점을 체크하는 제 1 체크 센서와, 회전축이 180도씩 회전하는 지점을 체크하는 제 2 체크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제어부는 제 2 체크 센서로부터 체크 신호를 수신하면, 밸브가 열리거나 닫힌 상태 중에서 한 상태인 것으로 인식한다.
본 고안에 따른 탄알 공급 장치는 탄알 공급관에 설치되며, 탄알 공급관의 축적부에 일정 높이까지 탄알이 축적되는 지의 여부를 체크하는 탄알 체크 센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탄알 체크 센서는 축적부의 양쪽 중 적어도 한쪽에 설치된다. 제어부는 탄알 체크 센서로부터 체크 신호를 수신하면, 밸브를 닫고 공기 공급부를 동작시켜 배관으로 일정압의 공기를 공급하여 탄알 공급관에 축적된 탄알을 사격기로 공급한다.
본 고안에 따른 탄알 공급 장치에 있어서, 공기 공급부는 0.2 내지 1 bar의 공기를 공급한다.
한편 본 고안은 또한 전술된 탄알 공급 장치와, 탄알 공급 장치의 배관으로 탄알을 공급하는 탄알 공급부와, 탄알 공급 장치로부터 탄알을 공급받아 사격하는 사격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사격 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탄알 공급 장치(20)를 갖는 사격 장치(100) 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탄알 공급 장치(20)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사격 장치(100)는 탄알 공급부(10), 탄알 공급 장치(20) 및 사격기(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탄알 공급부(10)는 탄알 공급 장치(20)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위치쪽에 설치되며, 중력을 이용하여 탄알 공급 장치(20)로 탄알(12)을 공급한다. 탄알 공급 장치(20)는 공기압을 이용하여 사격기(80)의 탄창에 해당되는 부분에 복수의 탄알(12)을 공급한다. 그리고 사격기(80)는 탄알 공급 장치(20)로부터 공급받은 탄알(12)을 발사하는 기구로서, 공기압을 이용하여 탄알(12)을 목표물로 발사시킨다. 이때 탄알(12)은 실내 사격용으로 사용되는 플라스틱 소재의 탄알로서, 직경은 6mm이고, 무게는 0.2 내지 0.3g의 구형이다.
특히 탄알 공급 장치(20)는 제어부(30), 배관(40), 밸브부(50), 공기 공급부(60) 및 탄알 공급관(7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배관(40), 밸브부)(50), 공기 공급부(60)의 공기 공급관(61) 부분은 케이스(21)에 내설될 수 있다.
제어부(30)는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로서, 탄알 공급 장치(20)의 전반적인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제어부(30)는 탄알 공급부(10)로부터 일정양의 탄알(12)을 공급받아 사격기(80)로 공급할 수 있도록 각 부분을 제어한다.
배관(40)은 입구(41)와 출구(43)가 연통된 일자형으로, 연직 방향으로 설치된다. 배관(40)의 입구(41)에 탄알 공급부(10)가 연결되며, 탄알(12)은 자유낙하에 의해 배관(40)의 입구(41)를 지나 출구(43)를 통과하게 된다.
탄알 공급관(70)은 하부에 유(U)자형의 축적부(71)를 가지며, 일측은 사격기(80)와 연결되고, 타측은 배관(40)의 출구(43)에 연결된다. 따라서 배관(40)을 통과한 탄알(12)은 축적부(71)에 모이게 된다.
밸브부(50)는 배관(40)에 연결되어 배관(40)을 개폐하는 수단으로서, 배관(40)에 내설된 밸브(51)와, 밸브(51)를 회전시켜 배관(40)을 개폐하는 개폐기(5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공기 공급부(60)는 밸브(40) 아래의 배관(40) 부분에 연결되며, 밸브(51)에 의해 배관(40)이 닫힌 상태에서 배관(40)으로 일정압의 공기(63)를 공급한다. 이때 배관(60)과 공기 공급부(60)는 공기 공급관(61)으로 연결된다. 밸브(51)는 닫혀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배관(40)으로 공급된 일정압의 공기(63)는 배관(40)의 출구(43)를 통하여 탄알 공급관(70)쪽으로 공급된다.
특히 제어부(30)는 일정양의 탄알(12)이 탄알 공급관(70)의 축적부(71)에 축적될 때까지 밸브(51)를 개방시킨다. 제어부(30)는 일정양의 탄알(12)이 축적부(71)에 축적되면 밸브(51)를 닫고, 공기 공급부(60)를 동작시켜 배관(40)으로 일정압의 공기(63)를 공급하여 축적부(71)에 축적된 탄알(12)을 사격기(80)로 공급한다.
밸브부(50)의 개폐기(52)는 밸브(51)에 연결되어 배관(40) 밖으로 돌출된 회전축(53)과, 회전축(53)을 회전시키는 모터(54)와, 밸브(51) 개폐에 대응되는 회전축(53)의 회전각을 체크하여 제어부(30)에 전송하는 밸브 체크 센서(55, 5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제어부(30)는 밸브 체크 센서(55, 56)로부터 체크 신호를 수신하면 모터(54)를 정지시킨다.
밸브 체크 센서(55, 56)는 회전축(53)이 90도씩 회전하는 지점을 체크하는 제 1 체크 센서(55)와, 회전축(53)이 180도씩 회전하는 지점을 체크하는 제 2 체크 센서(5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제어부(30)는 제 2 체크 센서(56)로부터 체크 신호를 수신하면, 밸브(51)가 열리거나 닫힌 상태 중에서 한 상태인 것으로 인식한다.
회전축(53)이 90도씩 회전할 때마다 밸브(51)는 개폐된다. 즉 연직 방향으로 설치된 배관(40)에 대해서, 밸브(51)가 연직 방향에 수직인 수평면을 향하고 있을 때 닫힌 상태가 되고, 연직 방향에 수평인 방향(즉 수직면)을 향하고 있을 때 열린 상태가 된다. 즉 밸브(51)를 수평면 또는 수직면에 대해서 90도씩 회전시킬 때마다 밸브(51)는 개폐된다.
한편 밸브 체크 센서(55, 56)가 회전축(53)이 90 또는 180도 회전한 지점을 체크할 수 있도록, 회전축(53)의 외주면에서 체크바(57, 58)가 설치되어 있다. 체크바(57, 58)는 0도, 90도, 180도, 270도 지점에 설치된 제 1 체크바(57)와, 제 1 체크바(57)와 일정 간격 이격되어 0도 및 180도 지점에 설치된 제 2 체크바(58)를 포함한다.
밸브 체크 센서(55, 56)는 광센서로서 일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된 발광부와 수광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밸브 체크 센서(55, 56)의 발광부와 수광부 사이에 체크바(57, 58)가 위치하여 발광부에서 조사된 광이 수광부로 수광되는 것 을 차단하면, 밸브 체크 센서(55, 56)는 체크 신호를 제어부(30)로 전송한다.
탄알 공급관(70)의 축적부(71)에 축적되는 탄알(12)의 양을 체크할 수 있는 탄알 체크 센서(73)가 탄알 공급관(70)에 설치된다. 탄알 공급관(70)은 하부에 축적부(71)를 갖기 때문에, 탄알 공급부(10)에서 공급된 탄알(12)은 축적부(71)를 중심으로 쌓이게 된다. 탄알 체크 센서(73)는 축적부(71)에 일정 높이까지 탄알(12)이 축적되는 지의 여부를 체크한다. 이때 제어부(30)는 탄알 체크 센서(73)로부터 체크 신호를 수신하면, 밸브(51)를 닫고 공기 공급부(60)를 동작시켜 배관(40)으로 일정압의 공기(63)를 공급하여 축적부(71)에 축적된 탄알(12)을 사격기(80)로 공급한다.
한편 탄알 체크 센서(73)의 설치 위치는 축적부(71)에 축적되는 탄알(12)의 양과, 축적된 탄알(12)을 사격기(80)로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공기(63)의 압력에 따라 결정된다. 탄알 체크 센서(73)로는 밸브 체크 센서(55, 56)와 동일한 광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탄알 체크 센서(73)는 축적부(71)의 최하부를 기준으로 양쪽 중 적어도 한쪽에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배관(40)과 연결되는 쪽의 탄알 공급관(70)에 설치된 예를 개시하였다.
그리고 공기 공급부(60)는 탄알 공급관(70)에 축적된 탄알(12)을 사격기(80)로 밀어올려 안정적인 사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0.2 내지 1 bar의 압력으로 공기(63)를 공급한다. 이때 공기압이 0.2 bar 이하인 경우, 탄알 공급관(70)에서 사격기(80)로 축적된 탄알(12)을 어느 정도 밀어올릴 수는 있지만 사격기(80)의 약실로 탄알(12)을 제대로 공급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그리고 1 bar 이상 인 경우, 탄알(12)을 미는 힘이 강하여 약실에 장전된 탄알(12)을 아래의 탄알(12)이 밀어올리기 때문에, 약실에 탄알(12)들이 끼여 발사되지 않거나 여러개의 탄알(12)이 한꺼번에 발사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고안에 따른 탄알 공급 장치(20)를 이용하여 사격기(80)로 탄알(12)을 공급하는 과정(90)을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도 4는 도 2의 탄알 공급 장치(20)로 사격기(80)에 탄알(12)을 공급하는 과정(90)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제어부(30)는 밸브(51)를 개방하여 탄알 공급관(70)에 탄알(12)을 축적한다(91). 즉 탄알 공급부(10)에 탄알(12)이 준비된 상태에서, 제어부(30)가 밸브(51)를 개방하면, 탄알 공급부(10)의 탄알(12)은 배관(40)을 통과하여 탄알 공급관(70)의 축적부(71)에 축적된다. 이때 공기 공급부(60)는 정지된 상태를 유지한다.
다음으로 제어부(30)는 탄알 체크 센서(73)로부터 체크 신호를 수신하여 탄알 공급부(70)에 탄알(12)이 일정양 축적되었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92).
판단 결과 일정양이 축적되지 않은 경우, 제어부(30)는 밸브(51)의 개방 상태를 유지하여 탄알 축적 과정을 진행한다. 판단 결과 일정양이 축적되면 즉 탄알 체크 센서(73)로부터 체크 신호를 수신하면, 제어부(30)는 밸브(51)를 닫아 탄알 공급부(10)로부터 탄알 공급관(70)으로 탄알(12)이 공급되는 것을 차단한다(93).
그리고 제어부(30)는 공기 공급부(60)를 동작시켜 배관(40)으로 일정압의 공기(63)를 공급하여 탄알 공급관(70)에 축적된 탄알(12)을 사격기(80)로 공급한다 (94).
이와 같이 사격기(80)에 탄알(12)이 공급된 상태에서 사수는 사격기(80)를 이용하여 사격을 수행한다. 한편 제어부(30)는 사격이 수행되는 동안 공기 공급부(60)를 통하여 계속적으로 일정압의 공기(63)를 공급하여, 사격기(80)의 약실로 탄알(12)이 차례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고안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구조를 따르면 탄알 공급 장치는 탄알 공급관으로 공급받은 탄알을 공기압을 이용하여 사격기에 직접 제공하기 때문에, 탄창 교체 작업없이 사격기에 탄알을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다.
탄알 공급관에 축적된 일정양의 탄알은 탄창을 통해 공급하는 탄알의 양보다는 많기 때문에, 사격기에 탄알을 공급하는 주기를 늘려 사격을 하는 동안 사격 리듬이 깨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Claims (11)

  1. 하부에 유(U)자형의 축적부를 가지며, 일측은 사격기와 연결되는 탄알 공급관과;
    탄알이 공급되는 입구와, 상기 입구와 연결되며 상기 탄알 공급관의 타측이 연결되는 출구를 가지며, 상기 입구로 공급된 탄알들을 상기 출구를 통해 상기 탄알 공급관으로 배출시키는 배관과;
    상기 배관에 내설되어 상기 배관을 개폐하는 밸브를 갖는 밸브부와;
    상기 밸브 아래의 배관 부분에 연결되어 상기 배관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공급부와;
    일정양의 탄알이 상기 탄알 공급관에 축적될 때까지 상기 밸브를 개방하고, 일정양이 축적되면 상기 밸브를 닫고 상기 공기 공급부를 동작시켜 상기 배관으로 일정압의 공기를 공급하여 상기 탄알 공급관에 축적된 탄알을 사격기로 공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격 장치용 탄알 공급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로 공급된 탄알들이 자유낙하에 의해 상기 출구를 통해 상기 탄알 공급관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배관은 연직 방향으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격 장치용 탄알 공급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부는 상기 밸브를 회전시켜 상기 배관을 개폐하 는 개폐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격 장치용 탄알 공급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기는,
    상기 밸브에 연결되어 상기 배관 밖으로 돌출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모터와;
    상기 밸브 개폐에 대응되는 상기 회전축의 회전각을 체크하여 상기 제어부에 전송하며, 상기 제어부로 하여금 상기 모터를 정지시키는 밸브 체크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격 장치용 탄알 공급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체크 센서는,
    상기 회전축이 90도씩 회전하는 지점을 체크하는 제 1 체크 센서와;
    상기 회전축이 180도씩 회전하는 지점을 체크하는 제 2 체크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격 장치용 탄알 공급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체크 센서로부터 체크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밸브가 열리거나 닫힌 상태 중에서 한 상태인 것으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격 장치용 탄알 공급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탄알 공급관에 설치되며, 상기 탄알 공급관의 축적부에 일정 높이까지 탄알이 축적되는 지의 여부를 체크하는 탄알 체크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격 장치용 탄알 공급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탄알 체크 센서는 상기 축적부의 양쪽 중 적어도 한쪽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격 장치용 탄알 공급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탄알 체크 센서로부터 체크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밸브를 닫고 상기 공기 공급부를 동작시켜 상기 배관으로 일정압의 공기를 공급하여 상기 탄알 공급관에 축적된 탄알을 사격기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격 장치용 탄알 공급 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공급부는 0.2 내지 1 bar의 공기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격 장치용 탄알 공급 장치.
  11. 제 1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탄알 공급 장치와;
    상기 탄알 공급 장치의 배관으로 탄알을 공급하는 탄알 공급부와;
    상기 탄알 공급 장치로부터 탄알을 공급받아 사격하는 사격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격 장치.
KR2020070000064U 2007-01-03 2007-01-03 탄알 공급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사격 장치 KR20043769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0064U KR200437694Y1 (ko) 2007-01-03 2007-01-03 탄알 공급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사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0064U KR200437694Y1 (ko) 2007-01-03 2007-01-03 탄알 공급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사격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7694Y1 true KR200437694Y1 (ko) 2007-12-18

Family

ID=416284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0064U KR200437694Y1 (ko) 2007-01-03 2007-01-03 탄알 공급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사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769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8180B1 (ko) * 2016-07-22 2016-11-21 주식회사 알지에스전자 사격게임용 탄알 공급장치
KR101953826B1 (ko) 2016-12-06 2019-03-06 주식회사 제이엔텍 탄환 공급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사격 게임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8180B1 (ko) * 2016-07-22 2016-11-21 주식회사 알지에스전자 사격게임용 탄알 공급장치
KR101953826B1 (ko) 2016-12-06 2019-03-06 주식회사 제이엔텍 탄환 공급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사격 게임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75530B2 (en) Paintball gun
CA2584120C (en) Procedure and device for feeding balls into the projectile chamber of a handgun
US825079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igger assemblies for firearms
US8100119B2 (en) Paintball system
US5727538A (en) Electronically actuated marking pellet projector
US8316756B1 (en) Upper receiver gas control for direct impingement firearms
US20050188973A1 (en) Rotary bolt
US8209897B2 (en) Targeting system for a projectile launcher
US8136515B2 (en) Paintball loader and paintball gatling gun
US20090253103A1 (e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firearms training, simulation and operations
US20070131209A1 (en) Electronic paintball marker
KR200437694Y1 (ko) 탄알 공급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사격 장치
US20220333893A1 (en) Shooting game system using airsoft gun, method for controlling safe distan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uto-tracer
RU2357172C2 (ru) Устройство подачи боеприпасов
US20030005917A1 (en) Shooting game apparatus using compressed air
JP4586069B2 (ja) 武器シミュレータ
SA520420328B1 (ar) أداة تأمين
KR101677241B1 (ko) 2열 사열(斜列) 소총
KR200394117Y1 (ko) 공압을 이용한 사격 게임기용 탄환 발사 장치
US20120227724A1 (en) Paintball Markers
US8201545B2 (en) Paintball marker
US20240044603A1 (en) Blank firing system
US20050223884A1 (en) Semi-automatic weapon
ES2349149T3 (es) Sistema de armas.
RU2287758C1 (ru) Газобаллонное многозарядное оружи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