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7236Y1 - 기능성 고무장갑 - Google Patents

기능성 고무장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7236Y1
KR200437236Y1 KR2020070001017U KR20070001017U KR200437236Y1 KR 200437236 Y1 KR200437236 Y1 KR 200437236Y1 KR 2020070001017 U KR2020070001017 U KR 2020070001017U KR 20070001017 U KR20070001017 U KR 20070001017U KR 200437236 Y1 KR200437236 Y1 KR 20043723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bber gloves
embossing
finger
swell
h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10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미숙
Original Assignee
배미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미숙 filed Critical 배미숙
Priority to KR20200700010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723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723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723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055Plastic or rubber gloves
    • A41D19/0079Plastic or rubber gloves with channels for conveying fluid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055Plastic or rubber gloves
    • A41D19/0082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500/00Materials for garments
    • A41D2500/50Synthetic resins or rub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Glo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주로 물을 많이 사용하는 세탁작업을 할 때 손을 보호하기 위해 손에 착용하는 고무장갑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고무장갑이 가지는 다양한 기능과는 전혀 달리한 기능을 부가구성하여서 된 고무장갑으로서 각 손가락의 마디 부분과 손등 및 손목으로부터 팔뚝에 대응하는 긴 부분의 외주면 전체둘레에 각기 스웰엠보싱과 파상형의 골(
Figure 112007500577982-utm00001
= 큰주름 = 자바라) 을 형성하여 착탈작용의 편의성과 착용 된 상태에서는 장갑의 긴 부분이 쉽게 흘러내리지 않도록 신축력과 지지력을 부여한 기능을 비롯하여 손이나 손가락을 펴거나 꾸부릴 때 상기 스웰 엠보싱에 의한 신축성에 따라 손과 손가락의 움직임을 유연하게 하고, 피부와의 접촉 촉감과 통풍작용의 원활한 수행으로 장갑의 착용감을 높이 하는 새로운 기능의 고무장갑을 제공한다.
파상형의 골, 스웰 엠보싱

Description

기능성 고무장갑{Ability Rubber Gloves}
도 1은 종래 고무장갑을 예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적용된 구조로 성형 된 고무장갑의 전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도 2의 A-A선 단면도로서 "A" 부분은 요부를 확대한 상세도
도 4는 본 고안 도 2의 B-B선 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 도 2의 C-C선 확대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엠보싱(Embossing) 14 - 손등
15a - 검지손가락 15b - 장지손가락
15c - 약지손가락 15d - 계지손가락
a, b, c, d, e, f, g, h, - 스웰 엠보싱(Swell Embossing)
16 - 손목 18 - 긴 부분
20 - 끼움구부 22 - 파상형의 골(
Figure 112007500577982-utm00002
= 큰주름)
24 - 고무장갑
본 고안은 손빨래와 같이 주로 물을 많이 사용하는 작업으로부터 손을 보호하기 위해 손에 끼는 고무장갑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무장갑을 손에 끼고 벗는 착탈작업이 매우 용이하고 또한 손에 착용했을 때도 손목 위로 팔뚝에 대응하는 긴 부분이 잘 흘러내리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착용시 손가락과 손등의 각 마디(指關節 = 손가락을 이루는 14개의 뼈 = 指骨)와 접촉시 신축성과 유연성을 부여하여 손을 펴거나 오므릴 때 손의 압박감(壓迫感)을 해소할 수 있게 한 구성의 기능성 고무장갑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고무장갑은 잘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형틀을 염화칼슘(鹽化calcium)과 라텍스(Latex)가 혼합(混合)된 용액에 침지인양(沈漬引揚)하는 디핑(Dipping) 방법에 의해 손바닥의 엠보싱을 비롯하여 손등의 다양한 무늬와 형태는 물론 팔뚝으로 끼워지는 장갑의 긴 부분까지도 그 상부쪽 주면 둘레에 약간의 주름부를 가지는 등 그 나름대로의 기능을 가지는 수십 종류의 고무장갑이 출현 되어 있음은 익히 알려진 사실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장갑들에 대해 그 기능을 일일이 설명하지 않더라도 본 고안과 상응하는 부분에 대해서만 종래의 고무장갑이 갖는 결점을 기술하는 것이 본원 고안을 더욱 쉽게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즉, 종래의 고무장갑은 외주면인 손바닥에는 엠보싱이 형성되어 있어 세탁물 등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 팔뚝에 끼워지는 장갑의 긴 부분은 그 상부쪽 외주면 둘레에 약간의 주름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 외에도 다양한 종류의 기능을 구비하고 있지만, 이러한 고무장갑들은 한결같이 내주면이 전체적으로 평활( 平滑) 하여 피부와의 밀착성을 높이 하기 때문에 장갑을 끼거나 벗는 일이 매우 불편하고 번거로웠으며, 특히 팔뚝 위로 착용해야 하는 고무장갑의 긴 부분은 팔뚝에 착용 된 옷(의류) 위로 끼워 강제로 잡아당겨 착용해야 하기 때문에 이 부분이 종종 찢어지는 경우가 자주 발생함에 따라 장갑 자체를 폐기해야 하는 경제적인 손실도 수반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평활한 고무장갑의 내주면이 피부에 긴밀히 밀착됨으로 해서 땀이나 습기가 차는 등 마찰촉감이 좋지 않고 또 공기의 유통도 차단되어 장시간 동안 착용하고 작업을 할 경우 피부에 손상을 주는 결점도 있어 왔다.
더구나 손과 손가락이 끼워진 고무장갑의 평활한 내주면은 손등이나 손바닥 및 각 손가락에 이루기까지 밀착된 상태로 착용 되어 있어서, 손이나 손가락을 꾸부리거나 펼 때, 손가락의 각 마디 부분에 심한 압박감을 주게 되어 손가락의 움직임이 유연하고 부드럽지 못한 단점과 또 팔뚝 위로 끼워지는 장갑의 긴 부분은 작업시 자주 흘러내리는 폐단이 있어서, 대부분이 작업중 다른 한 손으로 흘러내린 고무장갑의 상구부쪽을 잡고 팔뚝에 착용 된 옷 위로 잡아당겨서 올려주고 있는데 이때도 당김력을 강하게 할 경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장갑이 찢어지는 경우가 허다하여 장갑의 수명을 다하지 못하고 폐기해야 하는 문제점도 있게 된다.
본 고안의 목적은 통상의 방법으로 손바닥 면이 엠보싱으로 형성되는 고무장갑을 구성함에 있어서, 고무장갑의 손목에서부터 팔뚝에 대응(對應)하는 긴 부분의 상부쪽 끼움구부까지 향할수록 점차 내직경이 약간씩 넓어지게 하되 그 주면 둘레전체에는 파상형의 골(
Figure 112007500577982-utm00003
= 큰주름 = 자바라)을 일정한 간격으로 종설(從 設)하여 배하고 손가락과 손이 끼워지는 장갑의 손목 아랫부분은 손등과 손가락의 각 마디(指骨 = 여기서는 12개의 지골을 지칭함)와 접하는 부분에 비교적 길고 크게 두드러진 형태의 스웰 엠보싱(Swell Embossing)을 융출시켜 줌으로서, 사용 전후의 착탈작용이 용이하고 또 착용시에는 팔뚝의 긴 부분이 흘러내리지 아니할 뿐만 아니라 손등과 손가락 각 마디에 형성된 길고 크게 두드러진 스웰 엠보싱에 의한 신축작용으로 손과 손가락을 폈다 오므리는 작업이 매우 부드럽고 유연함은 물론 상기 파상형의 골(
Figure 112007500577982-utm00004
= 큰주름 = 자바라)과 융출된 스웰 엠보싱에 의해 통풍작업이 원활하여 손에 땀이나 습기가 차지 아니하여 착용상태의 촉감을 매우 만족스럽게 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은 고무장갑을 구성함에 있어서, 종래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 목적달성에 현저한 효과를 구현하기 위해 고안한 것으로서 손바닥 면이 거칠거칠한 미세한 엠보싱으로 이루어지는 고무장갑의 손등과 손가락의 각 마디와 접촉되는 부분을 길고 크게 두드러진 스웰 엠보싱으로 융출시켜주되, 손목으로부터 팔뚝에 대응하는 고무장갑의 긴 부분은 상부쪽 끼움구부를 향할수록 점차 그 내직경이 약간씩 넓어지게 형성하여 주고, 그 주면 둘레 전체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파상형의 골(
Figure 112007500577982-utm00005
= 큰주름 = 자바라)을 손목 부분까지 종설하여 장갑의 착탈작용을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흘러 내림도 방지하고 또한 손과 손가락을 폈다 오므렸다 하는 유연성과 부드러움 성도 함께 제공하는 본 고안의 고무장갑은 팔뚝에 착용 된 의류 (옷) 위로 긴 부분이 용이하게 착탈 가능토록 하면서도 통풍작업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 기능성 고무장갑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종래 고무장갑의 일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구성을 보인 전체 사시도이며, 도 3과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 도 2의 A-A선과 B-B선 및 C-C선을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
먼저, 본 고안과 같은 많은 종류의 종래 고무장갑(10)은 그 어느 것이나 금형(도시생략)을 염화칼슘(化―calcium)과 라텍스(Latex)가 혼합된 용액에 침지인양하는 디핑작업을 통해 성형하고 있음은 공지한 기술구성으로서 이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처 성형 된 본 고안의 전체 사시도로서 바닥면으로 엠보싱(12)을 가지고 손등(14)과 각 손가락의 검지손가락(15a)과 장지손가락(15b) 및 약지손가락(15c) 그리고 계지손가락(15d)의 각 마디와 접하는 부분에 비교적 길고 크게 두드러진 형태의 스웰 엠보싱(a)(b)(c)(d)(e)(f)(g)(h)으로 융출 시켜주되 손목(16)으로부터 팔뚝에 대응하는 긴 부분(18)은 상부쪽의 끼움구부(20)로 갈수록 점차 약간씩 넓어지게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긴 부분의 주면 둘레 전체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파상형의 골(
Figure 112007500577982-utm00006
= 큰주름 = 자바라)(22)을 종설하여 구성된 고무장갑(24)으로서 미서명부호 "A"는 도 3의 요부를 확대한 상세 단면을 보인 것이고 15e는 엄지손가락을 나타낸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본 고안의 고무장갑(24)은 종래의 장갑(10)을 성형하는 방법과 같이 염화칼슘과 라텍스가 혼합된 용액에 여러 번 침지인양하는 "디핑" 작업을 통해 이루어짐은 통상의 기술로서 본 고안을 용액속으로 침지인양하는 고무장갑(24)의 금형(도시생략)은 생략하였지만, 우선 기존의 고무장갑(10)을 성형하는 금형과는 달리 본 고안 도 2의 사시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손목(16) 위로부터 팔뚝에 대응(對應)하는 긴 부분(18)은 상부쪽의 끼움구부(20)로 갈수록 점차 약간씩 넓어지게 형성되고 그 주면 둘레 전체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파상형의 골(
Figure 112007500577982-utm00007
= 큰주름 = 자바라)(22)이 종설 되어 있어서 고무장갑(24)의 착탈작용이 상기 파상형의 골(22)에 의한 신축구조에 의해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일단 착용 된 고무장갑(24)은 작업중에도 파상형의 골(22)에 의한 지지력으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손목(16)으로부터 끼움구부(20)까지 형성된 긴 부분(18)은 점차적으로 끼움구부(20)쪽을 향할수록 약간씩 넓게 형성되어 있는데다가 그 주면 전체 둘레가 파상형의 골(
Figure 112007500577982-utm00008
= 큰주름 = 자바라)(22)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긴 부분(18)에 의한 상기와 같은 착탈작용뿐만 아니라 착용시에도 외부공기의 통풍작용이 원활하여 장갑(24)을 낀 손에 땀이나 습기가 차지 아니하므로 착용시의 촉감성을 높이는 기능과 팔뚝에 걸친 의류 위로 긴 부분(18)을 쉽게 올리고 내릴 수 있는 기능도 함께한다.
한편으로 손이 끼워지는 고무장갑(24)의 손바닥 면은 종래와 같이 엠보싱(12)을 가지고 있는 것을 감안하더라도 고무장갑(24)의 손등(14)과 엄지손가락(15a)과 장지손가락(가운데 손가락)(15b) 및 약지손가락(약손가락)(15c) 그리고 계지손가락(새끼손가락)(15d)의 각 마디와 접하는 부분에는 외면으로 비교적 길고 크게 두드러진 스웰 엠보싱(Swell Embossing)(a)(b)(c)(d)(e)(f)(g)(h)이 융출되어 있어서 고무장갑(24)을 착용한 상태에서 손가락을 오므리거나 펼 때, 상기 스웰 엠보싱(a)(b)(c)(d)(e)(f)(g)(h)에 의한 신축작용으로 고무장갑(24)의 내주면이 손가락(15a)(15b)(15c)(15d)이나 손등(14)에 밀착되지 아니하기 때문에 손에 압박감을 주지 않게 됨으로써, 손가락(15a)(15b)(15c)(15d)에 대한 움직임의 유연성과 피부와의 접촉촉감을 양호히 하고 특히 상술한 바와 같이 파상형의 골(
Figure 112007500577982-utm00009
= 큰 주름 = 자바라)(22)을 통한 외부공기가 손등(14)과 손가락(15a)(15b)(15c)(15d)에 까지 통풍작용을 수행함으로써 작업시 종래와 같이 손에 꼭 끼는 고무장갑(10)에서 같은 불쾌감 등을 해소하는데도 매우 중요한 기능을 발휘하는 고안이다.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실시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형실시는 본 고안 청구범위기재 범위 내에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고무장갑은 종래 많은 종류의 고무장갑들이 가지는 기능과는 전혀 다른 새로운 기능 즉, 손바닥에 형성되는 미세한 엠 보싱을 제외한 다른 부분 예컨대 손목으로부터 팔뚝에 밀착되는 이들 부분에는 장갑을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도록 손목으로부터 긴 부분의 상부쪽 끼움구부로 향할수록 긴 부분의 내직경을 점진적으로 넓게 형성되어 있고, 또 그 주면 전체 둘레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파상형의 골(
Figure 112007500577982-utm00010
= 큰주름 = 자바라)을 종설한 기능과 또한, 손등과 손가락의 마디와 접하는 부분에 비교적 길고 크게 두드러진 형태의 스웰 엠보싱으로 융출되어 지게 한 기능을 부가하여 성형한 것이어서 고무장갑을 착용하고 작업을 할 때 손가락이나 손에 압박감을 주지 아니 하는 유연하고 부드러운 상태로 손을 자연스럽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내주면과의 밀착시 촉감을 부드럽게 하면서도 상기 파상형의 골과 스웰 엠보싱에 의한 착용시의 신축작용으로 외부공기의 통풍성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는 기능적 효과를 제공하는 실용성과 경제성 및 부가가치의 창출을 높이 하는 실용적 고안이다.

Claims (1)

  1. 손바닥으로 엠보싱(12)을 가지는 고무장갑(24)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고무장갑(24)의 손등(14)과 엄지손가락(15e)을 제외한 나머지 검지손가락(15a)과 장지손가락(15b) 및 약지손가락(15c), 그리고 계지손가락(15d)의 각 마디와 접하는 부분에는 비교적 길고 크게 두드러진 형태의 스웰 엠보싱(a)(b)(c)(d)(e)(f)(g)(h)으로 유출시켜주되, 손목(16)으로부터 팔뚝에 대응하는 긴 부분(18)의 상부쪽 끼움구부(20)로 갈수록 점차 그 내직경을 약간씩 넓어지게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긴 부분(18)의 주면 둘레 전체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파상형의 골(
    Figure 112007500577982-utm00011
    = 큰주름 = 자바라)(22)를 종설 하면서 된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고무장갑
KR2020070001017U 2007-01-19 2007-01-19 기능성 고무장갑 KR20043723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1017U KR200437236Y1 (ko) 2007-01-19 2007-01-19 기능성 고무장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1017U KR200437236Y1 (ko) 2007-01-19 2007-01-19 기능성 고무장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7236Y1 true KR200437236Y1 (ko) 2007-11-29

Family

ID=416379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1017U KR200437236Y1 (ko) 2007-01-19 2007-01-19 기능성 고무장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723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3640U (ko) * 2015-04-13 2016-10-21 주식회사 코멕스산업 공기 방울 고무장갑
KR101831046B1 (ko) 2016-02-25 2018-02-22 정 준 배 기능성 고무장갑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3640U (ko) * 2015-04-13 2016-10-21 주식회사 코멕스산업 공기 방울 고무장갑
KR200482181Y1 (ko) 2015-04-13 2017-01-09 주식회사 코멕스산업 공기 방울 고무장갑
KR101831046B1 (ko) 2016-02-25 2018-02-22 정 준 배 기능성 고무장갑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44383B2 (en) Medical/dental/utility glove with anti-fatigue and ergonomic improvement
KR200437236Y1 (ko) 기능성 고무장갑
CN206334068U (zh) 充气式伸指伸腕康复手套
KR100776491B1 (ko) 내주면에 밀착성 방지를 위한 고무장갑의 성형방법
US20200375285A1 (en) Medical/Dental/Utility Glove with Anti-Fatigue and Air Channel Improvements
EP3210483A1 (en) Rubber glove
CN110786574B (zh) 一种易穿戴的指戴套
JP3179565U (ja) 手首サポータ
JP2021185286A (ja) 手袋
KR200386467Y1 (ko) 주부 습진 방지 및 지압 효과용 고무장갑
KR200406371Y1 (ko) 작업용 고무장갑
CN213963628U (zh) 一种医用食指末端指节加厚型外科手套
WO2006022070A1 (ja) ラテックスグローブ
KR102674056B1 (ko) 고무 장갑
CN204814313U (zh) 腕关节保护装置
KR200315758Y1 (ko) 손등부가 신축성 망사로 구성된 골프장갑
JP3233510U (ja) 濡れ防止用アームリング
KR200215472Y1 (ko) 막이 있는 수영장갑
KR20240001877A (ko) 고무 장갑
KR200231721Y1 (ko) 고무장갑을 벗을때 신축력(伸縮力)을 최소화하여 쉽게이탈이 가능할 수 있는 고무장갑
KR200158810Y1 (ko) 벗김 손잡이가 형성된 고무장갑
KR200389616Y1 (ko) 고무장갑
JP3132008U (ja) 施術用手袋
RU42736U1 (ru) Перчатка
KR200392697Y1 (ko) 고무장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