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7231Y1 - 풀칠기 - Google Patents

풀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7231Y1
KR200437231Y1 KR2020070002358U KR20070002358U KR200437231Y1 KR 200437231 Y1 KR200437231 Y1 KR 200437231Y1 KR 2020070002358 U KR2020070002358 U KR 2020070002358U KR 20070002358 U KR20070002358 U KR 20070002358U KR 200437231 Y1 KR200437231 Y1 KR 20043723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pool
connecting rod
pool supply
supply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23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주생
Original Assignee
박주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주생 filed Critical 박주생
Priority to KR20200700023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723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723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723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1/00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1/28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performed by transfer from the surfaces of elements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brushes, pads,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7/00Paperhanging
    • B44C7/02Machines, apparatus, tools or accessories therefor
    • B44C7/04Machines, apparatus, tools or accessories therefor for applying adhes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 B05C1/04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work of indefinite length
    • B05C1/08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work of indefinite length using a roller or other rotating member which contacts the work along a generating line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7/00Special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made by multi-step processes
    • D21H27/18Paper- or board-based structures for surface covering
    • D21H27/20Flexible structures being applied by the user, e.g. wallpaper

Landscapes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풀칠기에 관한 것으로 상기 풀칠기에 의해 벽지에 풀을 일정한 두께로 골고루 발라지므로 도배 작업의 효율성 향상 및 풀칠 작업이 매우 용이할 뿐만 아니라 도배 작업장 주변의 환경이 깨끗하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의 풀칠기(100)는 액상의 풀이 담겨짐은 물론 풀을 배출하는 배출공(11)이 갖는 풀공급통(10)과, 상기 풀공급통(10)의 하방에 회전되게 설치되는 제1롤러(30)와 제2롤러(40)로 이루어짐은 물론 제1롤러(30)의 직경이 제2롤러(4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롤러부와, 상기 풀공급통(10)의 하부에 구비되어 조절판(20)과 가이드부(13) 및 고정부로 이루어진 풀배출조절부와, 상기 풀공급통(10)의 양측면에는 풀공급통(10)과 제1롤러(30)를 연결 및 제1롤러(30)와 제2롤러(40)를 연결하도록 제1연결대(50)와 제2연결대(60) 및 제3연결대(70)로 이루어진 연결부와, 상기 풀공급통(10)의 양측면에는 배출공(11)과 제1롤러(3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부가 구성된 것이다.
풀칠기, 풀공급통, 제1롤러, 제2롤러, 풀배출조절부, 연결부, 간격조절부

Description

풀칠기{PASTER}
도 1은 본 고안 풀칠기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풀칠기의 구조를 분리한 상태로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풀칠기의 단면 구조를 측면에서 나타낸 측단면도.
도 4와 도5는 본 고안 풀칠기가 작동되는 상태를 측면에서 나타낸 측면도.
도 6은 본 고안 풀칠기의 간격조절부가 작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7a와 도 7b는 본 고안 풀칠기의 간격조절부를 나타낸 다른 실시예.
도 8은 본 고안 풀칠기의 롤러부 중 제1롤러를 나타낸 다른 실시예.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풀공급통 11: 배출공
13: 가이드부 14: 체결볼트
15: 탄성부재 16: 고정너트
20: 조절판 21: 체결공
30: 제1롤러 40: 제2롤러
50: 제1연결대 60: 제2연결대
70: 제3연결대 71: 장공
81: 조절홈부 82: 조절돌부
83: 관통공 84: 조절볼트
90; 조절패널 100: 풀칠기
본 고안은 풀칠기에 관한 것으로써, 좀 더 구체적으로는 상기 풀칠기에 의해 벽지에 발라지는 풀의 두께를 일정하게 함은 물론 골고루 발라지도록 하여 작업의 편리성 및 효율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상기 풀칠기의 사용을 보다 용이하도록 하는 풀칠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내벽의 시멘트 미장면이 균일하지 않거나 불순물이나 잔여물에 의해 미관이 보기 좋지 않은 경우 상기 내벽의 미관을 미려하도록 벽지를 붙인다.
이 때, 상기 내벽 즉, 벽면이나 천장에 벽지를 붙이기 위해서는 우선, 붓을 이용하여 상기의 붓에 접착제 즉, 풀을 묻힌 후 상기 붓을 벽지의 뒷면에 바름에 따라 상기의 붓에 묻어 있던 풀은 벽지의 뒷면에 발라지며, 상기 풀이 발라진 벽지를 원하는 벽면이나 천장에 붙이므로 도배시공이 완료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벽지를 도배할 때 사용되는 풀을 액체 등을 담을 수 있는 통이나 그릇에 부어 붓을 사용하여 수작업으로 풀칠을 하여야 함에 따라 도배작업에 따른 작업시간이 많이 걸림은 물론 작업 인력손실 및 비용이 많이 발생되므로 인해 작업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작업자가 벽지에 풀을 바를 때 상기 작업자의 손이나 옷 및 도배하는 주변 바닥 등에 풀이 묻게 되므로 인해 작업장 주변 환경이 지저분해짐에 따라 이를 청소하여야 하는 등의 문제점도 있었다.
그리고, 붓을 이용하여 풀칠함에 따라 벽지에 발라지는 풀의 두께가 일정하지 않음은 물론 골고루 분포되지 못함에 따라 상기의 벽지를 벽면이나 천장에 붙일 때 벽지와 벽지 사이로 불이 새어나오는 등의 문제 및 사용되는 풀이 불필요하게 많은 양이 소비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풀을 담는 통과 상기 통에서 배출되는 풀을 눌러주는 복수개의 롤러 및 풀배출조절부, 연결부, 간격조절부로 구성된 풀칠기를 구비하도록 하여 상기 풀칠기에 의해 벽지에 풀을 일정한 두께로 골고루 발라지므로 도배 작업의 효율성 향상 및 풀칠 작업이 매우 용이할 뿐만 아니라 상기 풀이 작업자 및 바닥에 묻거나 떨어지는 것을 방지함에 따라 도배 작업장 주변의 환경이 깨끗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액상의 풀이 담겨짐은 물론 상기의 풀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공이 갖는 풀공급통과, 상기 풀공급통의 하방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롤러와 제2롤러로 이루어진 롤러부가 구비된 풀칠기에 있어서, 상기 풀공급통의 하부에는 상기 배출공을 통해 배출되는 풀의 양을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풀공급통의 전, 후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배출공을 개폐하는 조절판과, 상기 풀공급통의 하부 양측부에 형성되어 상기 조절판의 삽탈을 안내하는 가이드부와, 상기 삽탈된 조절판을 고정하는 고정부로 이루어지는 풀배출조절부를 구비하고, 상기 롤러부의 제1롤러는 제2롤러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함과 함께 상기 제1롤러의 외주면에는 배출되는 풀을 벽지에 일정두께로 바르도록 무수히 많은 돌부를 돌출 형성하며, 상기 롤러부의 제2롤러 외주면에는 상기 제2롤러의 길이방향으로 복수개의 요부와 철부가 반복적으로 위치되도록 형성하고, 상기 풀공급통의 하부 양측면에는 상기 풀공급통과 제1롤러를 연결함과 함께 상기 제1롤러와 제2롤러를 연결하기 위하여 상기 풀공급통의 양측면에 각각 형성된 장공형태의 연결공과 각각 볼트 체결됨과 함께 제1롤러의 양측면에 상기 제1롤러가 회전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도록 '├'형태로 형성되는 제1연결대와, 상기 제1롤러의 양측면과 제2롤러의 양측면에는 상기 제1롤러와 제2롤러가 회전 가능하도록 각각 결합되는 제2연결대와, 상기 제1연결대의 타측과 상기 제2연결대 사이에는 상기 풀공급통의 후면이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2연결대에 하부를 볼트 체결함과 함께 상기 제1연결대에 볼트 체결되는 장공을 갖는 제3연결대로 이루어지는 연결부를 구비하며, 상기 풀공급통의 양측면에는 풀의 점도에 따라 상기 배출공과 제1롤러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도록 하는 간격조절부가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풀칠기가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의 풀칠기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 풀칠기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 풀칠기 의 구조를 분리한 상태로 나타낸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 풀칠기의 단면 구조를 측면에서 나타낸 측단면도이고, 도 4와 도5는 본 고안 풀칠기가 작동되는 상태를 측면에서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 풀칠기의 간격조절부가 작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본 고안은 건물의 내벽 즉, 벽면이나 천장 등의 미관을 미려하도록 벽지를 도배할 때 상기 벽지를 벽면이나 천장이 붙이기 위해 상기 벽지에 풀을 도포 및 바르는 풀칠기(10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의 풀칠기(100)는 도 1과 도 2에서와 같이 크게, 풀공급통(10)과 풀배출조절부 및 롤러부와, 연결부 그리고, 간격조절부로 구비되어 있다.
상기 풀칠기(100)에는 액상의 풀을 담도록 하는 풀공급통(10)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풀공급통(10)의 하부에는 상기 풀공급통(10)에 담겨진 풀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하는 배출공(1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풀공급통(10)의 후면에 풀칠기(100)를 이동시키도록 사용자가 잡을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18)가 결합되어 있고, 상기 손잡이(18)는 풀공급통(10)에 볼트 체결 및 용접 등 다양한 방법으로 결합되어 있는데, 어떠한 방식으로 결합하여도 무방하다.
상기의 손잡이(18)는 길이 조정이 가능하도록 2단 이상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는 작업자 및 제품의 사양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비하기 위함이다.
상기 풀공급통(10)의 하부에는 상기 풀공급통(10)의 담겨진 풀이 외부로 일정량을 배출하도록 상기 풀의 배출량을 조절하도록 하는 풀배출조절부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의 풀배출조절부는 도 2와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배출공(11) 측인 풀공급통(10)의 하부에는 풀칠기(100)의 전, 후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배출공(11)을 통해 배출되는 풀의 배출량을 조절하도록 상기 배출공(11)을 개폐하는 조절판(20)이 삽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 배출공(11)측인 풀공급통(10)의 하부 양측부에는 삽탈되면서 배출공(11)을 개폐하는 조절판(20)의 양측면을 잡아주면서 상기 전, 후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조절판(20)의 삽탈을 안내하는 가이드부(13)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풀공급통(10)과 조절판(20)에는 상기 삽탈되면서 배출공(11)을 개폐하는 조절판(20)을 고정하도록 하는 고정부가 구비되어 있다.
즉, 상기 고정부는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배출공(11)의 상부인 상기 풀공급통(10) 전면에는 상기 풀공급통(10)의 전면으로 돌출되는 복수개의 체결볼트(14)가 결합되어 있고, 상기 조절판(20)에는 상기 각 체결볼트(14)가 각각 삽입되는 복수개의 체결공(2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풀공급통(10)의 전면과 상기 조절판(20)의 각 체결공(21) 사이인 상기 각 체결볼트(14)의 외주면에는 상기 가이드부(13)의 안내를 받아 삽탈되는 조절판(20)이 상기 풀공급통(10) 측으로 밀리면서 상기 조절판(20)이 배출공(11)을 막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조절판(20)의 밀림을 방지하도록 일정 탄성을 갖는 탄성부재(15)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각 체결공(21)으로 삽입된 상기 각 체결볼트(14)의 단부에는 상기 배출 공(11)을 개폐하는 조절판(20)의 삽탈 길이를 조절함은 물론 상기 삽탈되는 조절판(20)의 유동 방지 및 상기 조절판(20)이 각 체결볼트(14)에서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조절판(20)을 고정하는 고정너트(16)가 체결되어 있다.
상기 배출공(11)의 일측인 풀공급통(10)에는 상기 풀공급통(10)에 담겨진 풀이 배출공(11)을 통해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하기 위하여 상기의 풀을 배출공(11)으로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날개부(12)가 상기 배출공(11) 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풀공급통(10)의 하방에는 상기 풀공급통(10)의 배출공(11)을 통해 배출되어 벽지에 발라지는 풀의 두께를 일정하게 유지함은 물론 상기 벽지에 도포된 풀이 벽지에 골고루 분포되게 발라지도록 상기 배출되는 풀을 눌러주는 롤러부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롤러부는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풀공급통(10)의 하방에 위치하여 배출공(11)을 통해 배출되는 풀을 벽지에 바르도록 함은 물론 상기 벽지에 발라지는 풀의 두께를 일정하도록 상기의 풀을 눌러주는 제1롤러(30)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1롤러(30)의 후방에는 상기 제1롤러(30)가 회전하면서 지나간 부분의 풀을 한 번 더 눌러주어 상기의 풀이 벽지에 골고루 분포되도록 회전하는 제2롤러(4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1롤러(30)의 외주면에는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배출공(11)을 통해 풀을 외부로 보다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함은 물론 상기 배출되는 풀을 벽지에 골고루 분포되게 발라지도록 무수히 많은 돌부(32)가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의 각 돌 부(32)는 제1롤러(30)의 외측으로 갈수록 직경 및 단면적이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각 돌부(32)는 도면상에서와 같이 다이아몬드 형상뿐만 아니라 삼각이나 사각 및 다각형상의 다양한 형상으로 돌출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롤러부의 제1롤러(30)는 도 8에서와 같은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제1롤러(30)의 외주면에는 상기 배출공(11)을 통해 풀을 외부로 보다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함은 물론 상기 배출되는 풀을 벽지에 골고루 분포되게 발라지도록 상기 제1롤러(30)의 외주면을 따라 나사산 형상으로 복수개의 요부(35)와 철부(3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롤러(40)의 외주면에는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제1롤러(30)에 의해 벽지에 발라진 풀을 고르게 펴지면서 발라짐은 물론 상기 풀의 두께가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상기 제2롤러(40)의 길이방향으로 복수개의 요부(42)와 철부(43)가 반복적으로 위치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롤러(30)의 직경은 상기 풀칠기(100)에서 풀공급통(10)의 배출공(11)을 통해 풀이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됨은 물론 상기 배출되는 풀을 벽지에 일정한 두께로 골고루 발라질 뿐만 아니라 상기 풀칠기(100)의 전방으로 무게중심을 두어 풀칠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제2롤러(4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제1롤러(30)와 제2롤러(40)의 각 양측면 중앙에는 힌지(31,41)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롤러(30)와 제2롤러(40)의 각 양측면에는 상기 제1,2롤러(30,40)가 보다 원활하게 회전됨은 물론 회전력을 향상시키 도록 하는 베어링(34,44)이 각각 결합되어 있다.
상기 풀공급통(10)의 하부 양측면에는 상기 풀공급통(10)과 제1롤러(30)를 서로 연결함과 함께 상기 각 롤러(30,40)를 서로 연결하도록 하는 연결부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연결부는 도 2와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풀공급통(10)의 양측면과 상기 제1롤러(30)의 양측면을 각각 연결하는 제1연결대(50)와, 상기 제1롤러(30)의 양측면과 상기 제2롤러(40)의 양측면을 서로 각각 연결하는 제2연결대(60)와, 상기 각 제1연결대(50)와 상기 각 제2연결대(60)를 서로 각각 연결하는 제3연결대(7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에서, 상기 각 제1연결대(50)의 일측 상부는 상기 풀공급통(10)의 양측면에 형성된 연결공(17)에 볼트 체결에 의해 유동됨 없이 고정 설치됨은 물론 상기 각 제1연결대(50)의 일측 하부는 상기 제1롤러(30)가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제1롤러(30)의 양측면에 각각 힌지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각 제1연결대(50)의 타측은 상기 풀칠기(100)의 이동에 의해 상기 풀공급통(10)의 후면이 위로 이동되더라도 상기 제2롤러(40)가 바닥 즉, 벽지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3연결대(70)가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3연결대(70)와 서로 연결 결합되도록'├'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각 제2연결대(60)의 일측은 상기 제1롤러(30)가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제1롤러(30)의 양측면에 각각 힌지 결합됨은 물론 상기 각 제2연결대(60)의 타측은 상기 제2롤러(40)가 회전가능하게 상기 제2롤러(40)의 양측면에 각각 힌 지 결합되어 있다.
상기 각 제3연결대(70)의 하부는 상기 제2연결대(60)의 소정위치에 볼트 체결에 의해 유동됨 없이 고정되도록 각각 결합되어 있고, 상기 각 제3연결대(70)의 상부에는 상기 풀칠기(100)의 이동에 의해 상기 풀공급통(10)의 후면이 상하로 이동하더라도 상기 제2롤러(40)의 외주면이 바닥 즉, 벽지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각 제1연결대(50)의 타측이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하는 장공(7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연결대(50)의 일측 상부와 볼트 체결되는 상기 풀공급통(10)의 연결공(17)은 상기 후술할 간격조절부에 의해 상기 제1연결대(50)가 풀칠기(100)의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길이가 긴 장공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풀공급통(10)의 양측면에는 상기 풀공급통(10) 내에 담겨진 풀의 점도에 따라 상기 배출공(11)을 통해 풀이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상기 배출공(11)과 제1롤러(3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도록 하는 간격조절부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간격조절부는 도 2와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각 제1연결대(50)의 상부에는 풀공급통(10)에 제1연결대(50)를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풀공급통(10)의 각 연결공(17)에 볼트가 삽입 체결되도록 상기 제1연결대(50)의 내측으로 파여진 형태의 조절홈부(8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풀공급통(10)의 양측면에는 상기 제1연결대(50)의 조절홈부(81) 내로 삽입되게 위치되는 조절돌부(82)가 각각 결합되어 있고, 상기 조절돌부(82)의 내측 에는 상기 조절돌부(82)의 내주면을 따라 나사산을 갖는 관통공(8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각 조절돌부(82)의 관통공(83) 내에는 상기 제1연결대(50)와 일단이 접촉됨은 물론 상기 제1연결대(50)를 상하방향으로 유동 및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관통공(83)을 따라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조절볼트(84)가 삽입 설치되어 있다
한편, 간격조절부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7a와 도 7b에서와 같이, 상기 제1연결대(50)의 상부에는 풀공급통(10)에 제1연결대(50)를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풀공급통(10)의 각 연결공(17)에 볼트가 삽입 체결되도록 상기 제1연결대(50)의 내측으로 파여진 형태의 조절홈부(8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연결대(50)의 상방에는 상기 제1연결대(50)의 상부를 감싸면서 상기 풀공급통(10)의 상하방향으로 유동 및 이동 가능하도록 볼트에 의해 상기 풀공급통(10)의 양측면에 각각 고정되어 상기 제1연결대(50)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하는 조절패널(90)이 결합되어 있다.
상기 조절패널(90)은 제1연결대(50)의 높이를 조절함은 물론 상기 제1연결대(50)의 상부를 감쌈에 따라 상기 제1연결대(50)가 좌우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풀칠기(100)를 이용하여 벽지에 풀을 발라 상기 풀이 발라진 벽지를 건물의 내벽 즉, 벽면이나 천장에 붙이게 된다.
즉, 상기 풀칠기(100)의 풀공급통(10)에 풀을 담은 다음 상기 풀공급통(10) 의 전면에 돌출 형성된 각 체결볼트(14)의 단부에 각각 체결된 고정너트(16)를 회전시킨다.
그리고 나서, 조절판(20)을 조작하면 상기의 조절판(20)은 상기 풀공급통(10)의 하부 양측부에 형성된 가이드부(13)를 따라 전, 후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풀공급통(10)의 배출공(11)을 통해 배출되는 풀의 배출량을 조절하도록 개폐 공간을 확보한다.
그런 다음, 상기 각 고정너트(16)를 고정함에 따라 상기 조절판(20)은 상기 각 고정너트(16)에 의해 풀공급통(10)의 전방으로 탈거되는 것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상기 각 체결볼트(14) 외주면에 설치된 탄성부재(15)에 의해 상기 풀공급통(10) 측으로 조절판(20)이 밀리는 것이 방지되므로 인해 상기 배출공(11)을 통해 일정한 양의 풀이 풀공급통(10)의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상기 풀공급통(10) 내에 담겨진 풀의 점도에 따라 상기 배출공(11)을 통해 풀이 배출되는 정도가 달라짐에 따라 상기 배출공(11)과 제1롤러(3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부가 구비되어 있다.
즉, 상기 간격조절부는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연결대(10)의 조절홈부(81) 내에 위치함은 물론 상기 풀공급통(10)의 양측면에 각각 결합된 조절돌부(82)의 관통공(83) 내에 삽입 설치된 조절볼트(84)를 렌치나 드라이버를 이용하여 회전시켜 상기 풀공급통(10)의 배출공(11)과 제1롤러(3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한다.
또는, 상기 간격조절부의 다른 실시에는 도 7a와 도 7b에서 도시한 바와 같 이, 상기 풀공급통(10)의 배출공(11)과 제1롤러(30) 사이의 간격을 원하는 상태로 이격되도록 상기 제1롤러(30)을 위치시킨 다음 상기 제1연결대(50)의 조절홈부(81)를 통해 상기 풀공급통(10)의 연결공(17)에 볼트를 체결하여 상기 풀공급통(10)의 양측면에 제1연결대(50)를 각각 결합하고 나서 상기 제1연결대(50)의 상부를 감싸도록 조절패널(90)을 볼트 체결함에 따라 상기 제1연결대(50)의 유동됨 없이 상기 배출공(11)과 제1롤러(3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한다.
이와 같은 간격조절부에 의해, 상기 풀의 점도가 높은 경우에는 상기 각 조절볼트(84)를 회전시켜 상기 각 조절볼트(84)의 단부에 접촉된 상기 각 제1연결대(50)를 상기 풀공급통(10)의 하방으로 밀리도록 위치시킨 후 상기 각 제1연결대(50)의 상부와 상기 풀공급통(10)의 연결공(17)에 볼트를 체결하여 상기 풀공급통(10)의 양측면에 제1연결대(50)의 상부를 결합함에 따라 상기 배출공(11)과 제1롤러(30) 사이의 간격을 보다 넓게 이격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풀의 점도가 묽을 경우에는 상기 각 조절볼트(84)를 회전시켜 상기 각 제1연결대(50)를 풀공급통(10)의 상방으로 밀어 올려 위치시킨 후 상기 각 제1연결대(50)의 상부와 상기 풀공급통(10)의 연결공(17)에 볼트를 체결하여 상기 풀공급통(10)의 양측면에 제1연결대(50)의 상부를 결합함에 따라 상기 배출공(11)과 제1롤러(30) 사이의 간격을 좁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풀공급통(10)의 양측면에 각각 형성된 연결공(17)은 장공형태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제1연결대(50)가 각 조절볼트(84)에 의해 상기 풀공급통(10)의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배출공(11)과 제1롤러(30) 사이의 간격을 보다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와 같이, 상기 조절판(20)에 의해 배출공(11)의 개폐공간을 조절함과 함께 상기 각 조절볼트(84)에 의해 배출공(11)과 제1롤러(3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한 상태에서 상기 풀칠기(100)를 벽지의 상면에 올려놓고 손잡이(18)를 잡고서 상기 풀칠기(100)를 이동시키게 되면 상기 풀공급통(10)의 배출공(11)을 통해 원하는 양의 풀이 배출된다.
상기 배출공(11)을 통해 배출되는 풀은 상기 회전하는 제1롤러(30)의 외주면에 묻혀지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계속해서 회전되는 상기 제1롤러(30)의 회전에 의해 벽지에 풀이 발라지게 된다.
이 때, 상기 제1롤러(30)의 외주면에는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제1롤러(30)의 외주면에는 무수히 많은 돌부(32)가 돌출 형성되어 있거나 또는,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제1롤러(30)의 외주면을 따라 복수개의 요부(35)와 철부(36)가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상기 제1롤러(30)의 돌부(32) 및 요, 철부(35,36)에 의해 보다 원활하게 풀이 상기 제1롤러(30)의 외주면에 묻혀짐은 물론 상기 제1롤러(30)에 의해 원활하게 이동되면서 벽지에 풀이 발라질 뿐만 아니라 상기 제1롤러(30)의 자체 하중에 의해 풀이 눌러지면서 일정한 두께로 골고루 발라진다.
한편, 전, 후방향으로 상기 풀칠기(100)가 이동되고, 상기 제1롤러(30)의 후방에 결합된 제2롤러(40)도 회전되면서 이동됨은 물론 상기 제2롤러(40)의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복수개의 요부(42)와 철부(43)가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상기 회전되는 제2롤러(40)에 의해 벽지에 발라진 풀이 한 번 더 눌러지므로 인해 상기 벽지 에 발라지는 풀은 일정두께를 유지함은 물론 골고루 펴지면서 발라지게 된다.
즉, 상기 제1롤러(30)에 의해 배출되어 벽지에 발라진 풀이 눌러지면서 일정두께로 골고루 발라짐은 물론 상기 제1롤러(30)가 지나가면서 벽지에 발라진 풀을 상기 제2롤러(40)가 한 번 더 눌러주면서 벽지에 일정 두께로 골고루 발라줌에 따라 상기 벽지에는 풀이 골고루 퍼진 상태에서 일정 두께를 유지한다.
여기서, 상기 풀칠기(100)를 이동시킬 때 작업자가 실수나 작업 부주의에 의해 손잡이(18)를 들어 올려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풀칠기(100)의 풀공급통(10) 후면이 들려지는 경우가 발생되더라도 상기 풀칠기(100)의 연결수단에 의해 상기 제2롤러(40)가 벽지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상기 벽지와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상기 풀칠기(100)의 풀공급통(10) 후면이 들려지게 되면 상기 연결수단의 제1연결대(50) 타측이 들려져 올라간 만큼 상기 제1연결대(50)의 타측과 결합된 제3연결대(70)의 장공(71)을 따라 올라가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제1연결대(50)의 타측은 장공(71)을 따라 올라가고 상기 풀공급통(10)의 후면이 들려진 상태로 기울었지만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제2롤러(40)는 여전히 벽지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바닥에 울퉁불퉁한 상태인 경우에도 상기 풀칠기(100)를 밀면서 이동시키면 상기 제3연결대(70)의 장공(71)을 따라 상기 제1연결대(50)의 타측이 상하로 이동되므로 상기 제2롤러(40)는 지면의 높낮이에 상관없이 이동되어 상기 제2롤러(40)는 항상 벽지와 접촉된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의 풀칠기(100)에 의해 벽지에 풀이 다 발라지면 상기 풀이 발라진 벽지를 벽면이나 천장에 붙여서 도배작업을 하면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상기의 풀칠기는 예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고안은 한정되지 않으며 그 고안의 기술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풀칠기에서 두 개의 롤러 즉, 풀공급통의 하방에 전면과 후면에 각각 롤러를 회전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상기 전면의 제1롤러는 풀공급통에서 배출되는 풀을 벽지에 일정두께로 발라줄 뿐만 아니라 상기 후면의 제2롤러는 상기 제1롤러가 지나간 부분의 풀을 골고루 펴지도록 한 번 더 눌러줌에 따라 상기 벽지에 풀이 일정한 두께를 유지함은 물론 상기 벽지의 전면에 골고루 펴지면서 발라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롤러부의 제1롤러 외주면에 무수히 많은 돌부를 돌출 형성하거나 또는 복수개의 요, 철부를 형성함과 함께 제2롤러의 외주면에 복수개의 요부와 철부를 반복적으로 형성함으로써, 상기의 효과 즉, 풀공급통에서 풀의 배출이 보다 용이학 이루어지고, 상기 배출되는 풀을 골고루 펴짐은 물론 일정두께로 발라지도록 하는 효과를 더욱더 높이는 효과도 있다.
그러므로, 상기 본 고안의 풀칠기에 의해 벽지에 풀을 바름에 따라 도배작업에 따른 풀이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음 물론 작업 인력 손실을 방지하여 작업 효율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버려지는 것 없이 필요한 양만큼의 풀만 사용함에 따라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도 있다.
그리고, 상기 풀칠기에 의해 벽지에 풀이 일정두께로 골고루 펴지면서 발라짐에 따라 상기 풀이 발라진 벽지를 벽면이나 천정에 붙일 때 상기 벽지와 벽지 사이의 이음새로 풀이 새어 나오지 않으므로 도배작업 후 매우 깔끔하게 처리됨은 물론 미관이 미려한 효과도 있다.
또한, 상기 풀칠기를 이용하여 벽지에 풀을 바름에 따라 작업자의 옷이나 신체 및 주변에 풀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므로 도배 작업 시 주변 환경 및 작업자가 항상 깨끗한 상태를 유지할 뿐만 아니라 상기 풀칠기에 의해 발라진 벽지는 벽면이나 천장에 깨끗하고 매끈한 상태로 붙여지는 효과도 있다.
한편, 풀칠기에 조절판과 가이드부, 체결볼트, 고정너트 및 탄성부재가 구비된 풀배출조절부를 구비함과 함께 조절홈부와 조절돌부, 관통공 및 조절볼트가 구비된 간격조절부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풀배출조절부에 의해 풀공급통에서 배출되는 풀의 양을 일정하게 유지함은 물론 풀이 보다 원활하게 배출될 뿐만 아니라 상기 간격조절부에 의해 다양한 점도를 갖는 풀도 풀공급통의 외부로 보다 원활하게 배출되는 효과도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풀배출조절부와 간격조절부에 의해 풀칠기로부터 벽지에 발리지는 풀의 낭비를 방지함에 따라 비용 절감의 효과가 매우 높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점도를 갖는 풀을 일정하게 배출함에 따라 도배작업에 따른 효과를 한층 더 높일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여기서, 상기 풀칠기의 각 구성을 분리 및 결합함으로써, 상기 풀칠기의 각 구성을 매우 용이하게 분리 및 결합 작업하여 현장에서 상기 풀칠기의 사용을 보다 편리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상기 풀칠기의 휴대가 용이함은 물론 가지고 다니기가 매우 편리하면서 간단한 효과도 있다.
또한, 풀칠기의 무게를 최소화하도록 설계 및 재질을 구성함으로서, 현장에서 적은 힘으로도 상기의 풀칠기를 보다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상기에서와 같은 효과에 의해 본 고안 즉, 풀칠기에 대하여 소비자의 신뢰성이 향상됨은 물론 구매 의욕이 향상되는 등 실생활 및 산업용으로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4)

  1. 액상의 풀이 담겨짐은 물론 상기의 풀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공이 갖는 풀공급통과, 상기 풀공급통의 하방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롤러와 제2롤러로 이루어진 롤러부가 구비된 풀칠기에 있어서,
    상기 풀공급통의 하부에는 상기 배출공을 통해 배출되는 풀의 양을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풀공급통의 전, 후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배출공을 개폐하는 조절판과, 상기 풀공급통의 하부 양측부에 형성되어 상기 조절판의 삽탈을 안내하는 가이드부와, 상기 삽탈된 조절판을 고정하는 고정부로 이루어지는 풀배출조절부를 구비하고,
    상기 롤러부의 제1롤러는 제2롤러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함과 함께 상기 제1롤러의 외주면에는 배출되는 풀을 벽지에 일정두께로 바르도록 무수히 많은 돌부를 돌출 형성하며,
    상기 롤러부의 제2롤러 외주면에는 상기 제2롤러의 길이방향으로 복수개의 요부와 철부가 반복적으로 위치되도록 형성하고,
    상기 풀공급통의 하부 양측면에는 상기 풀공급통과 제1롤러를 연결함과 함께 상기 제1롤러와 제2롤러를 연결하기 위하여 상기 풀공급통의 양측면에 각각 형성된 장공형태의 연결공과 각각 볼트 체결됨과 함께 제1롤러의 양측면에 상기 제1롤러가 회전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도록 '├'형태로 형성되는 제1연결대와, 상기 제1롤러의 양측면과 제2롤러의 양측면에는 상기 제1롤러와 제2롤러가 회전 가능하도록 각각 결합되는 제2연결대와, 상기 제1연결대의 타측과 상기 제2연결대 사이에는 상기 풀공급통의 후면이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2연결대에 하부를 볼트 체결함과 함께 상기 제1연결대에 볼트 체결되는 장공을 갖는 제3연결대로 이루어지는 연결부를 구비하며,
    상기 풀공급통의 양측면에는 풀의 점도에 따라 상기 배출공과 제1롤러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도록 하는 간격조절부가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풀칠기.
  2. 제 1 항에 있어서,
    풀배출조절부의 고정부는,
    배출공의 상부인 풀공급통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체결볼트와,
    상기 각 체결볼트가 삽입되도록 조절판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체결공과,
    상기 풀공급통과 조절판 사이에 각 체결볼트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상기 풀공급통 측으로 조절판의 밀림을 방지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각 체결공으로 삽입된 상기 각 체결볼트의 단부에 체결되어 상기 조절판의 삽탈 길이를 조절함은 물론 상기 삽탈된 조절판을 고정하는 고정너트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풀칠기.
  3. 제 1 항에 있어서,
    간격조절부는,
    제1연결대의 상부에는 풀공급통에 제1연결대를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풀공급 통의 각 연결공에 볼트가 삽입체결되도록 상기 제1연결대의 내측으로 파여진 형태의 조절홈부와,
    상기 각 조절홈부 내에 위치되도록 풀공급통의 양측면에 결합되어 나사산이 형성된 관통공을 갖는 조절돌부와,
    상기 조절돌부의 관통공 내에 삽입 설치되어 상기 제1연결대와 일단이 접촉됨은 물론 상기 관통공을 따라 상하로 이동되면서 상기 제1연결대를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조절볼트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풀칠기.
  4. 제 1 항에 있어서,
    간격조절부는,
    제1연결대의 상부에는 풀공급통에 제1연결대를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풀공급통의 각 연결공에 볼트가 삽입 체결되도록 상기 제1연결대의 내측으로 파여진 형태의 조절홈부와,
    상기 제1연결대의 상방에는 상기 제1연결대의 상부를 감싸면서 상기 풀공급통의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볼트에 의해 상기 풀공급통의 양측면에 각각 고정되어 상기 제1연결대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하는 조절패널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풀칠기.
KR2020070002358U 2007-02-08 2007-02-08 풀칠기 KR20043723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2358U KR200437231Y1 (ko) 2007-02-08 2007-02-08 풀칠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2358U KR200437231Y1 (ko) 2007-02-08 2007-02-08 풀칠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7231Y1 true KR200437231Y1 (ko) 2007-11-15

Family

ID=416368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2358U KR200437231Y1 (ko) 2007-02-08 2007-02-08 풀칠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723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0158B1 (ko) * 2017-09-01 2017-10-25 김현준 스테인레스 판재의 발색 공정용 산화부식처리 장치
CN111779236A (zh) * 2020-08-02 2020-10-16 丁凤景 一种墙面腻子涂抹、抹平一体式刮刀及其操作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0158B1 (ko) * 2017-09-01 2017-10-25 김현준 스테인레스 판재의 발색 공정용 산화부식처리 장치
CN111779236A (zh) * 2020-08-02 2020-10-16 丁凤景 一种墙面腻子涂抹、抹平一体式刮刀及其操作方法
CN111779236B (zh) * 2020-08-02 2022-01-07 安徽省凤阳县名城建筑安装有限责任公司 一种墙面腻子涂抹、抹平一体式刮刀及其操作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094936A1 (en) Drywall tape dispensing mudbox
US5846176A (en) Roller tool for concrete finishing
CN110878625B (zh) 一种便于调整涂抹角度的涂刷辊
US4537522A (en) Paint dispensing applicator with safety features
KR200437231Y1 (ko) 풀칠기
AU2015204330B2 (en) Paint edging system and apparatus
US9061315B1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painting a surface
GB2410909A (en) Adhesive applicator
WO2006120480A3 (en) Tiling adhesive applicator
US8517077B2 (en) Automatic taper
US6045282A (en) Multi-roller paint applicator system
KR20150007776A (ko) 휴대용 페인트 도장용구
KR200433874Y1 (ko) 풀칠기
CN212193544U (zh) 手动滚胶机
CN212943678U (zh) 一种真石漆喷涂装置
CN212926909U (zh) 一种用于室内涂装装置
US20120034018A1 (en) Grout Sealer Applicator
CN114046024A (zh) 一种高效的建筑墙面涂装装置
KR20110000776U (ko) 타일줄눈 코팅 붓
CN208807736U (zh) 一种防滴落滚筒刷
CN112593685A (zh) 一种建筑装修瓷砖腻子粉涂抹器
CN114232943B (zh) 一种建筑施工用的便携式室内刮腻子装置
KR200293561Y1 (ko) 풀칠기
CN214462237U (zh) 一种用于装修作业的快速刷墙装置
CN214090642U (zh) 一种粉刷工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1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