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7129Y1 - 베개 일체형 돗자리 - Google Patents

베개 일체형 돗자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7129Y1
KR200437129Y1 KR2020070002330U KR20070002330U KR200437129Y1 KR 200437129 Y1 KR200437129 Y1 KR 200437129Y1 KR 2020070002330 U KR2020070002330 U KR 2020070002330U KR 20070002330 U KR20070002330 U KR 20070002330U KR 200437129 Y1 KR200437129 Y1 KR 20043712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low
mat
body parts
cloth
integr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23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수령
Original Assignee
김수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수령 filed Critical 김수령
Priority to KR20200700023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712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71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712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001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several cushions, mattresses or the like, to be put together in one cov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4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 A47C21/042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for ventilating or cooling
    • A47C21/046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for ventilating or cooling without active means, e.g. with openings or heat conduct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2009/1018Foam pillows

Landscapes

  • Bedding I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돗자리와 함께 베개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돗자리에 누울 때 일체로 형성된 베개를 사용할 수 있게 하고, 동시에 용이하고 소형으로 접어져서 휴대 및 운반을 용이하게 하는 베개 일체형 돗자리에 관한 것으로서, 복수의 가로 방향 나무 살을 엮고 외곽이 천으로 마감되어 형성된 2개 돗자리 본체부, 2장의 돗자리 본체부가 가로 방향으로 접히는 것이 가능하도록 2개 돗자리 본체부를 연결하는 접이부, 및 복수의 가로 방향 나무 살로 엮고 외곽이 천으로 마감되며 돗자리 본체부 상부면 일측 끝단부에 돌출된 베개 본체부를 갖는 베개를 포함하는 베개 일체형 돗자리를 제공한다.
돗자리, 베개, 베갯속

Description

베개 일체형 돗자리{Mat with pillow}
도 1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돗자리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서 베개가 접힌 경우를 도시하는 상세도,
도 3a 내지 도 3c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서 베개가 접히지 않은 경우 돗자리를 접는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돗자리의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돗자리의 사시도, 및
도 6은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서 베개가 접힌 경우를 도시하는 상세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00, 200, 300: 돗자리
10, 10': 돗자리 본체부
20: 마감부
30: 접이부
150, 150', 250, 250', 350, 350': 베개
151, 251, 351: 베개 본체부
152, 252, 352: 마감부
153, 253, 353: 베개 내장부
254, 354: 베개 측면 지지부
본 고안은 베개 일체형 돗자리에 관한 것으로서, 돗자리와 함께 베개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돗자리에 누울 때 일체로 형성된 베개를 사용할 수 있게 하고, 동시에 용이하고 소형으로 접어져서 휴대 및 운반을 용이하게 하는 돗자리를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야외에서 자리용으로 사용되는 돗자리는 베개를 함께 제공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사용자가 돗자리에 편히 눕기 위해서는 돗자리와는 별도로 베개를 준비하고 휴대하며 운반하여야 한다. 이렇듯 돗자리와 베개를 별개로 준비하는 것은 귀찮은 일이고, 돗자리와 베개의 운반을 위한 별도의 공간을 필요로 한다.
한편, 돗자리와 베개가 일체로 형성된 경우라고 할지라도, 베개가 일체로 형성된 돗자리는 쉽게 소형으로 접혀져서 휴대가 간편하여야 한다. 베개 일체형 돗자리가 휴대하는 경우의 휴대 공간이 돗자리와 베개를 별도로 휴대하는 경우에 비하여 작지 않다면, 일체형 돗자리를 사용하는 이점은 줄어들 것이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베개와 일체형으로 제작된 돗자리를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휴대가 간편하도록 쉽게 접을 수 있는 베개 일체형 돗자리를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추가적으로, 본 고안은 인체에 유익한 소재로 제작된 베갯속을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복수의 가로 방향 나무 살을 엮고 외곽이 천으로 마감되어 형성된 2개 돗자리 본체부, 2장의 돗자리 본체부가 가로 방향으로 접히는 것이 가능하도록 2개 돗자리 본체부를 연결하는 접이부, 및 복수의 가로 방향 나무 살로 엮고 외곽이 천으로 마감되며 돗자리 본체부 상부면 일측 끝단부에 돌출된 베개 본체부를 갖는 베개를 포함하는 베개 일체형 돗자리를 제공한다.
베개 본체부 내부 공간의 양 측면은 개방되거나 베개 측면 지지부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베개 측면 지지부는 접철 가능할 수 있다.
배게 본체부 내부 공간에는 베갯속으로서의 베개 내장부가 내장될 수 있다. 배게 내장부는 인체에 유익한 찻잎, 한약재, 향기 식물 등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기술한다.
<제 1 실시예>
도 1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베개 일체형 돗자리(100)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제 1 실시예에 따른 베개 일체형 돗자리(100)는 2개 돗자 리 본체부(10, 10'), 2개 돗자리 본체부(10, 10')를 연결하는 접이부(30), 및 각각의 돗자리 본체부(10, 10')의 상부면 일측 끝단부에 형성된 2개의 베개(150, 150')로 구성된다.
돗자리 본체부(10, 10')는 가로 방향 나무 살을 엮어서 같은 크기로 제작된다. 나무 살은 대나무, 왕골, 야생초 등의 천연 재료를 1밀리미터 내지 20밀리미터의 얇은 폭으로 세절하여 제작된다. 나무 살을 엮어서 제작된 돗자리는 통풍성이 우수하여 여름철에 널리 이용된다. 돗자리 본체부(10, 10')의 하부면은 천에 의해 보강될 수 있다. 돗자리 본체부(10, 10')의 외곽은 천 원단을 권회하고 실로 박음질한 마감부(20)에 의해 마감 처리된다. 상술한 방식으로 제작된 돗자리 본체부(10, 10')는 세로 방향으로 용이하게 권취될 수 있다.
2개의 돗자리 본체부(10, 10')는 접이부(30)에 의해 가로 방향으로 연결된다. 2개의 돗자리 본체부(10, 10')는 접이부(30)에 의해 가로 방향으로 접힐 수 있다.
돗자리 본체부(10, 10') 상부면 일측 끝단부에는 베개(150, 150')가 일체로 형성된다. 베개(150, 150')는 돗자리 본체부(10, 10') 상부면에 돌출될 수 있도록 제작된 베개 본체부(151), 베개 본체부(151) 내부 공간에 삽입될 수 있는 베개 내장부(153)로 구성되고, 베개 본체부(151) 내부 공간 측면은 개방되어 있다.
베개 본체부(151)는 돗자리 본체부(10, 10')와 같이 가로 방향 나무 살을 엮어서 제작된다. 바람직하게는 베개 본체부(151)는 돗자리 본체부(10, 10')로부터 연속적으로 제작된다. 베개 본체부(151)의 하부면은 천에 의해 보강될 수 있다. 베 개 본체부(151)의 측외곽은 천 원단을 권회하고 실로 박음질한 마감부(152)에 의해 마감 처리된다.
베개 본체부(151)에는 베개 내장부(153)가 삽입되어 베개(150, 150')에 인가되는 머리의 무게가 지지된다. 베개 내장부(153)는 쿠션감이 있는 폴리에스테르, 스티로폼과 같은 재료나 플라스틱 조각을 천 또는 원단 소재로 감싸서 제작될 수 있다. 또는, 바람직하게는 찻잎, 한약재, 향기 식물과 같이 인체에 유익한 재료를 천 또는 원단 소재로 감싸서 베개 내장부(153)가 제작된다. 베개 내장부(153)는 베개 본체부(151) 내부 공간의 측면을 통해 삽입 및 제거될 수 있다.
도 2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베개 내장부(153)가 제거되었을 때 베개 본체부(151)는 돗자리 본체부(10, 10')의 상부면 상에 접힐 수 있다. 베개 내장부(153)가 제거된 경우, 기존의 접돗자리 접는 방식과 유사하게, 돗자리 본체부(10, 10')와 베개 본체부(151)는 접이부(30)를 중심으로 가로 방향으로 접힌 후 세로 방향으로 권취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돗자리(100)는 소형으로 접혀질 수 있지만 제거된 2개의 베개 내장부(153)를 별도로 휴대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다.
베개 내장부(153)가 베게 본체부(151)에 삽입된 경우 돗자리(100)를 접는 방법을 도 3a 내지 3c를 참조하여 기술한다. 도 3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2개의 돗자리 본체부(10, 10')의 하부면이 접하도록 접이부(30)를 중심으로 돗자리(100)를 가로 방향으로 접는다. 도 3b를 참조하면, 2개의 베개(150, 150')는 적층된 돗자리 본체부(10, 10')를 중심으로 상하 대칭으로 위치한다. 돗자리(100)는 베개(150, 150')를 출발점으로 하여 세로 방향으로 권취된다. 최종적으로 도 3c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베개(150, 150')를 중심으로 돗자리(100)는 권취된다. 돗자리(100)는 도 3c와 같이 소형으로 접혀서 보관이 용이하다.
<제 2 실시예>
도 4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베개 일체형 돗자리(200)의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 2 실시예에 따른 베개 일체형 돗자리(200)는 2개 돗자리 본체부(10, 10'), 2개 돗자리 본체부(10, 10')를 연결하는 접이부(30), 및 각각의 돗자리 본체부(10, 10')의 상부면 일측 끝단부에 형성된 2개의 베개(250, 250')로 구성된다.
돗자리 본체부(10, 10')는 가로 방향 나무 살을 엮어서 같은 크기로 제작된다. 나무 살은 대나무, 왕골, 야생초 등의 천연 재료를 1밀리미터 내지 20밀리미터의 얇은 폭으로 세절하여 제작된다. 나무 살을 엮어서 제작된 돗자리는 통풍성이 우수하여 여름철에 널리 이용된다. 돗자리 본체부(10, 10')의 하부면은 천에 의해 보강될 수 있다. 돗자리 본체부(10, 10')의 외곽은 천 원단을 권회하고 실로 박음질한 마감부(20)에 의해 마감 처리된다. 상술한 방식으로 제작된 돗자리 본체부(10, 10')는 세로 방향으로 용이하게 권취될 수 있다.
2개의 돗자리 본체부(10, 10')는 접이부(30)에 의해 가로 방향으로 연결된다. 2개의 돗자리 본체부(10, 10')는 접이부(30)에 의해 가로 방향으로 접힐 수 있다.
돗자리 본체부(10, 10') 상부면 일측 끝단부에는 베개(250, 250')가 일체로 형성된다. 베개(250, 250')는 돗자리 본체부(10, 10') 상부면에 돌출될 수 있도록 제작된 베개 본체부(251), 베개 본체부(251) 내부 공간 측면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베개 측면 지지부(253)로 구성되고, 선택적으로 베개 내장부(252)가 베개 본체부(251) 내부에 내장될 수 있다.
베개 본체부(251)는 돗자리 본체부(10, 10')와 같이 가로 방향 나무 살을 엮어서 제작된다. 바람직하게는 베개 본체부(251)는 돗자리 본체부(10, 10')로부터 연속적으로 제작된다. 베개 본체부(151)의 하부면은 천에 의해 보강될 수 있다. 베개 본체부(251)의 측외곽은 천 원단을 권회하고 실로 박음질한 마감부(252)에 의해 마감 처리된다.
베개 본체부(251) 내부 측면에는 베개 측면 지지부(254)가 고정 설치되어 베개(250, 250')에 인가되는 머리의 무게가 지지된다. 베개 측면 지지부(254)는 돗자리 본체부(10, 10') 및 베개 본체부(251)와 같은 나무 살을 엮어서 제작되거나 다른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한편, 베개 본체부(251)에는 베개 내장부(253)가 내장되어 베개(250, 250')에 인가되는 머리의 무게가 지지될 수 있다. 베개 내장부(253)는 쿠션감이 있는 폴리에스테르, 스티로폼과 같은 재료나 플라스틱 조각이 베개 본체부(251) 내부에 내장되어 제작될 수 있다. 또는, 바람직하게는 찻잎, 한약재, 향기 식물과 같이 인체에 유익한 재료가 베개 본체부(251) 내부에 내장되어 베개 내장부(253)가 제작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작된 돗자리(200)를 보관하기 위하여 접는 방법은 2개의 돗자리 본체부(10, 10')의 하부면이 접하도록 접이부(30)를 중심으로 돗자리(200)를 가로 방향으로 접는 단계(도 3a 참조), 베개(250, 250')를 출발점으로 하여 세로 방향으로 권취하는 단계(도 3b 참조)로 이루어진다. 돗자리(200)는 소형으로 접히기 때문에(도 3c 참조),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하다.
<제 3 실시예>
도 5는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베개 일체형 돗자리(300)의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 2 실시예에 따른 베개 일체형 돗자리(300)는 2개 돗자리 본체부(10, 10'), 2개 돗자리 본체부(10, 10')를 연결하는 접이부(30), 및 각각의 돗자리 본체부(10, 10')의 상부면 일측 끝단부에 형성된 2개의 베개(350, 350')로 구성된다.
돗자리 본체부(10, 10')는 가로 방향 나무 살을 엮어서 같은 크기로 제작된다. 나무 살은 대나무, 왕골, 야생초 등의 천연 재료를 1밀리미터 내지 20밀리미터의 얇은 폭으로 세절하여 제작된다. 나무 살을 엮어서 제작된 돗자리는 통풍성이 우수하여 여름철에 널리 이용된다. 돗자리 본체부(10, 10')의 하부면은 천에 의해 보강될 수 있다. 돗자리 본체부(10, 10')의 외곽은 천 원단을 권회하고 실로 박음질한 마감부(20)에 의해 마감 처리된다. 상술한 방식으로 제작된 돗자리 본체부(10, 10')는 세로 방향으로 용이하게 권취될 수 있다.
2개의 돗자리 본체부(10, 10')는 접이부(30)에 의해 가로 방향으로 연결된다. 2개의 돗자리 본체부(10, 10')는 접이부(30)에 의해 가로 방향으로 접힐 수 있 다.
돗자리 본체부(10, 10') 상부면 일측 끝단부에는 베개(350, 350')가 일체로 형성된다. 베개(350, 350')는 돗자리 본체부(10, 10') 상부면에 돌출될 수 있도록 제작된 베개 본체부(351), 베개 본체부(351) 내부 공간 측면에 접철 가능하게 설치되는 베개 측면 지지부(353)로 구성되고, 선택적으로 베개 내장부(352)가 베개 본체부(351) 내부에 내장될 수 있다.
베개 본체부(351)는 돗자리 본체부(10, 10')와 같이 가로 방향 나무 살을 엮어서 제작된다. 바람직하게는 베개 본체부(351)는 돗자리 본체부(10, 10')로부터 연속적으로 제작된다. 베개 본체부(151)의 하부면은 천에 의해 보강될 수 있다. 베개 본체부(351)의 측외곽은 천 원단을 권회하고 실로 박음질한 마감부(352)에 의해 마감 처리된다.
베개 본체부(351) 내부 측면에는 베개 측면 지지부(354)가 접철 가능하게 설치된다.
베개(350, 350')를 사용할 때 베개 측면 지지부(354)는 수직으로 세워지고 베개(350, 350')로 인가되는 머리의 무게는 베개 측면 지지부(354)를 통해 지지된다. 베개 측면 지지부(354)가 수직으로 세워진 돗자리(300)를 보관하기 위하여 접는 방법은 2개의 돗자리 본체부(10, 10')의 하부면이 접하도록 접이부(30)를 중심으로 돗자리(300)를 가로 방향으로 접는 단계(도 3a 참조), 베개(350, 350')를 출발점으로 하여 세로 방향으로 권취하는 단계(도 3b 참조)로 이루어진다. 돗자리(300)는 소형으로 접히기 때문에(도 3c 참조),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하다.
베개(350, 350')를 사용하지 않을 때 베개 측면 지지부(354)는 접히는 것이 가능하다. 도 6을 참조하면, 베개 측면 지지부(354)는 내측으로 눕혀지고, 베개 본체부(351)는 돗자리 본체부(10, 10') 상면 상으로 접혀진다. 베개 측면 지지부(354)가 접혀진 경우, 기존의 접돗자리 접는 방식과 유사하게, 돗자리 본체부(10, 10')와 베개 본체부(351)는 접이부(30)를 중심으로 가로 방향으로 접힌 후 세로 방향으로 권취될 수 있다.
베개 측면 지지부(354)는 돗자리 본체부(10, 10') 및 베개 본체부(251)와 같은 나무 살을 엮어서 제작되거나 다른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한편, 베개 본체부(351)에는 베개 내장부(353)가 삽입되어 베개(350, 350')에 인가되는 머리의 무게가 지지될 수도 있다. 베개 내장부(353)는 쿠션감이 있는 폴리에스테르, 스티로폼과 같은 재료나 플라스틱 조각을 천 또는 원단 소재로 감싸서 제작될 수 있다. 또는, 바람직하게는 찻잎, 한약재, 향기 식물과 같이 인체에 유익한 재료를 천 또는 원단 소재로 감싸서 베개 내장부(353)가 제작된다. 베개 내장부(353)는 베개 측면 지지부(354)가 접혀서 개방된 경우 베개 본체부(351) 내부 공간 측면을 통해 삽입 및 제거될 수 있다.
본 고안은 베개와 일체형으로 제작된 돗자리를 제공한다.
동시에, 본 고안에 따른 베개 일체형 돗자리는 소형으로 접힐 수 있기 때문에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하다.
추가적으로, 본 고안은 인체에 유익한 소재로 제작된 베갯속을 포함하는 베 개 일체형 돗자리를 제공한다.
비록 본 고안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실용신안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Claims (8)

  1. 복수의 가로 방향 나무 살을 엮고 외곽이 천으로 마감되어 형성된 2개 돗자리 본체부(10, 10');
    상기 2장의 돗자리 본체부(10, 10')가 가로 방향으로 접히는 것이 가능하도록 상기 2개 돗자리 본체부를 연결하는 접이부(30); 및
    복수의 가로 방향 나무 살로 엮고 외곽이 천으로 마감되며 상기 돗자리 본체부(10, 10') 상부면 일측 끝단부에 돌출된 베개 본체부(151), 및 상기 베개 본체부 내부에 착탈 가능한 베개 내장부(153)를 갖고, 상기 베개 본체부(151) 내부 양 측면은 개방되어 있는 2개 베개(1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개 일체형 돗자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개 내장부(153)는 인체에 유익한 찻잎, 한약재, 향기 식물 중 적어도 하나를 천으로 감싸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개 일체형 돗자리.
  3. 복수의 가로 방향 나무 살을 엮고 외곽이 천으로 마감되어 형성된 2개 돗자리 본체부(10, 10');
    상기 2장의 돗자리 본체부(10, 10')가 가로 방향으로 접히는 것이 가능하도록 상기 2개 돗자리 본체부를 연결하는 접이부(30); 및
    복수의 가로 방향 나무 살로 엮고 외곽이 천으로 마감되며 상기 돗자리 본체부(10, 10') 상부면 일측 끝단부에 돌출된 베개 본체부(251, 351), 및 상기 베개 본체부(251, 351) 내부 양 측면에 설치되는 베개 측면 지지부(254, 354)를 갖는 2개 베개(250, 3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개 일체형 돗자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베개(250)는 상기 베개 본체부(251) 내부에 내장되는 베개 내장부(253)를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개 일체형 돗자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베개 내장부(253)는 인체에 유익한 찻잎, 한약재, 향기 식물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개 일체형 돗자리.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베개 측면 지지부(354)는 접철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개 일체형 돗자리.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베개(350)는 상기 베개 본체부(351) 내부에 착탈 가능한 베개 내장부(353)를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개 일체형 돗자리.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베개 내장부(353)는 인체에 유익한 찻잎, 한약재, 향기 식물 중 적어도 하나를 천으로 감싸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개 일체형 돗자리.
KR2020070002330U 2007-02-08 2007-02-08 베개 일체형 돗자리 KR20043712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2330U KR200437129Y1 (ko) 2007-02-08 2007-02-08 베개 일체형 돗자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2330U KR200437129Y1 (ko) 2007-02-08 2007-02-08 베개 일체형 돗자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7129Y1 true KR200437129Y1 (ko) 2007-11-05

Family

ID=416367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2330U KR200437129Y1 (ko) 2007-02-08 2007-02-08 베개 일체형 돗자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7129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0293B1 (ko) * 2007-10-13 2009-08-03 이학철 의자용 바닥보호매트
KR200460523Y1 (ko) * 2009-08-31 2012-05-29 김재성 목베개
WO2016111448A1 (ko) * 2015-01-09 2016-07-14 배상민 탈착식 베개가 구비된 돗자리 세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0293B1 (ko) * 2007-10-13 2009-08-03 이학철 의자용 바닥보호매트
KR200460523Y1 (ko) * 2009-08-31 2012-05-29 김재성 목베개
WO2016111448A1 (ko) * 2015-01-09 2016-07-14 배상민 탈착식 베개가 구비된 돗자리 세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07519B2 (en) Portable sleeping assembly
US20160088951A1 (en) Combination Foldable Mattress and Ottoman
US7581788B1 (en) Cover for lounge chair
US7600275B2 (en) Portable furniture combination and carrier
US20080060691A1 (en) Relief package
KR200437129Y1 (ko) 베개 일체형 돗자리
US20160166093A1 (en) Foldable blanket and pillow system
US20140230152A1 (en) Pillow
US20100244501A1 (en) Cushion that converts into an ottoman
US9155252B2 (en) Above-ground planting bed
KR200387384Y1 (ko) 베개 구조체
KR101184478B1 (ko) 의자커버 겸용 쿠션
CN202525665U (zh) 一种便携式折叠婴儿床
CN205903006U (zh) 碳纤维折叠桌椅
CN204861728U (zh) 野营垫
CN215604699U (zh) 一种被子
KR20000005185U (ko) 접이식 방석겸용 의자
JP3240921U (ja) ハンモック用ベッドクッション
KR102107011B1 (ko) 백패킹 취침용품
CN218852322U (zh) 一种便携式高填充褥子
CN218683234U (zh) 一种防护罩及其带防护罩的户外家具
CN205196619U (zh) 折叠式猫隧道
CN208491354U (zh) 一种新型保暖折叠椅
JP2005330002A6 (ja) 折畳み可能な組立式多機能多目的容器
KR101199555B1 (ko) 받침대 기능을 갖는 도시락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