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6892Y1 - 슬라이드 개폐구조를 갖는 콤팩트 용기 - Google Patents

슬라이드 개폐구조를 갖는 콤팩트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6892Y1
KR200436892Y1 KR2020060032186U KR20060032186U KR200436892Y1 KR 200436892 Y1 KR200436892 Y1 KR 200436892Y1 KR 2020060032186 U KR2020060032186 U KR 2020060032186U KR 20060032186 U KR20060032186 U KR 20060032186U KR 200436892 Y1 KR200436892 Y1 KR 2004368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case
case
lower case
compact container
sl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321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유승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20200600321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689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68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689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006Vanity boxes or cases, compacts, i.e. containing a powder receptacle and a puff or applica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20Non-removable lids or covers linearly sli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5/00Clamping or other pressure-applying devices for securing or retaining closure members
    • B65D45/32Clamping or other pressure-applying devices for securing or retaining closure members for applying radial or radial and axial pressure, e.g. contractible bands encircling closure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13/00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 B65D2313/04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of magnetic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상부케이스가 하부케이스로부터 슬라이딩 개폐되게 한 콤팩트 용기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부케이스의 일단 양측에는 슬라이딩홈을 갖는 연결부를 형성하고, 하부케이스의 일단 양측에는 돌출핀을 갖는 안치부를 각각 형성하되, 그 상부케이스는 하부케이스로부터 직선상의 슬라이딩과 회전에 의해 하부케이스로부터 개폐되게 구성하고, 이들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는 반대 극성을 갖는 막대자석의 인력과 척력에 의해 서로 결속 및 이격되게 함으로써,
콤팩트 화장품을 사용함에 있어 한 손으로도 용이하게 상부케이스의 개방 및 밀폐가 가능하므로 그 사용상의 편리함이 배가되는 것이며, 슬라이딩 및 회전에 의해 개폐되므로 사용자의 호기심을 유발시켜 구매욕구를 향상시키는 것이며, 상부케이스 및 하부케이스의 결속수단이 단순하고 간단하여 생산원가의 절감은 물론 우수한 조립성에 의해 대량생산에 이바지할 수 있으므로 매우 뛰어난 경제적 특징을 갖는 슬라이드 개폐구조를 갖는 콤팩트 용기에 관한 것이다.
콤팩트 용기, 슬라이딩홈, 연결부, 돌출핀, 안치부, 막대자석

Description

슬라이드 개폐구조를 갖는 콤팩트 용기{Compact case having slide type open-close structure}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콤팩트 용기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콤팩트 용기의 결합 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에 의한 콤팩트 용기의 개폐작동도로서,
도 3a는 상부케이스가 후측으로 슬라이딩 된 상태도
도 3b는 후측으로 슬라이딩 된 상부케이스가 막대자석의 척력에 의해 회전 상승된 상태도
도 3c는 후측으로 슬라이딩 된 상태에서의 회전 전개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콤팩트 용기의 개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거울 2 : 파우더충전부
3,3' : 막대자석 10 : 상부케이스
11,11' : 슬라이딩홈 12,12' : 연결부
20 : 하부케이스 21,21' : 돌출핀
22,22' : 안치부
본 고안은 상부케이스가 하부케이스로부터 슬라이딩 개폐되게 한 콤팩트 용기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부케이스의 일측에는 슬라이딩홈을 갖는 연결부를 형성하고, 하부케이스의 일측에는 돌출핀을 갖는 안치부를 대향 형성하여, 상기 상부케이스의 슬라이딩 및 회전에 의해 하부케이스의 상부가 개방되게 하면서도 막대자석의 인력과 척력에 의한 결합 및 이격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한 손으로도 콤팩트 용기의 용이한 개방 및 밀폐가 가능하면서도, 종래의 콤팩트 용기에 비하여 크게 단순화된 구성 및 막대자석에 의한 결속부로 인하여 제조원가의 절감은 물론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켜 매우 뛰어난 경제성을 갖는 슬라이드 개폐구조를 갖는 콤팩트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콤팩트, 아이샤도우와 같은 화장품 용기는, 상하로 분리되어진 케이스의 일측을 힌지 고정하여, 그 각각의 케이스 내측에 거울 및 내용물 접시, 분첩 케이스 등을 내장하여 생산하였다.
이러한 콤팩트용기는 화장품이 개발된 이래 지금까지 동일한 구조의 용기로만 제작되어 왔으므로 소비자의 다양한 구매 취향을 만족시키기 위해 보다 다양한 형태 및 디자인을 갖는 제품이 출시되어 다양한 개성을 갖는 소비자의 욕구를 만족시키고자 하였으나, 동일한 구조 내에서 단순하게 외부케이스의 형태나 색상 등의 제한적인 변경을 통해 소비자의 욕구를 만족시키고자 하므로 소비자는 쉽게 식상해 하고 있는 것이다.
특히, 근자에 들어서는 본 고안 출원인에 의해 안출된 슬라이딩 개폐 및 출몰 수단에 의한 콤팩트 용기가 출시되고 있으나, 이와 같은 구조로 된 슬라이드 개폐 용기는 구조적으로 매우 복잡하여 그 제조원가 및 생산단가가 과도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며, 조립성 및 생산성 역시 뛰어나지 않아 대량 생산에 차질을 빚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일반적인 콤팩트 용기 및 상기한 선출원의 예에 의한 콤팩트 용기는 대부분 양손을 이용하여 개방하거나 밀폐시키는 형태의 구조를 갖고 있어, 한 손에 물건 등을 파지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아예 사용할 수 없거나 무리한 동작을 행함에 따라 콤팩트 용기를 떨어트리거나 체결부를 파손시키는 예가 빈번한 것이다.
본 고안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상부케이스의 일단 양측에는 슬라이딩홈을 갖는 연결부를 형성하고, 하부케이스의 일단 양측에는 돌출핀을 갖는 안치부를 각각 형성하되, 그 상부케이스는 하부케이스로부터 직선상의 슬라이딩과 회전에 의해 하부케이스로부터 개폐되게 구성하고, 이들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는 서로 반대극성으로 대향된 막대자석의 인력과 척력에 의해 서로 결속되거나 이격되게 함으로써,
콤팩트 화장품을 사용함에 있어 한 손으로도 용이하게 상부케이스의 개방 및 밀폐가 가능하므로 그 사용상의 편리함이 배가되는 것이며, 슬라이딩 및 회전에 의해 개폐되므로 사용자의 호기심을 유발시켜 구매욕구를 향상시키는 것이며, 상부케이스 및 하부케이스의 결속수단이 단순하고 간단하여 생산원가의 절감은 물론 우수 한 조립성에 의해 대량생산에 이바지할 수 있으므로 매우 뛰어난 경제적 특징을 갖는 슬라이드 개폐구조를 갖는 콤팩트 용기를 제공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콤팩트 용기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콤팩트 용기의 결합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구성은, 거울(1)을 갖는 상부케이스(10)와 파우더충전부(2)를 갖는 하부케이스(20)를 분리 형성하되,
상부케이스(10)는, 일단 양측에 장공 형태로 된 슬라이딩홈(11)(11')이 형성된 하향의 연결부(12)(12')를 돌출 형성하고,
하부케이스(20)는, 일단 양측에 돌출핀(21)(21')이 형성된 요홈상의 안치부(22)(22')를 형성하여,
상부케이스(10)의 연결부(12)(12')가 하부케이스(20)의 안치부(22)(22')로 삽입되고, 그 안치부(22)(22')의 돌출핀(21)(21')이 슬라이딩홈(11)(11') 내에 삽입 계지되게 구성한 것이다.
이때, 상기한 상부케이스(10)의 하부 선단과 하부케이스의 상부 선단에는 각각 반대 극성으로 대향된 막대자석(3)(3')을 형성하여 이들의 인력과 척력에 의해 상,하부케이스(10)(20)의 결속과 이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의한 본 고안 슬라이드 개폐구조를 갖는 콤팩트 용기의 작용을 첨부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와 같이 본 고안 콤팩트 용기는 하부면에 거울(1)이 형성된 상부케이스(10)와, 상부면에 파우더충전부(2)가 형성된 하부케이스(20)로 구분 형성된 것으로서, 이들의 힌지 결합 및 막대자석(3)(3')에 의한 결속 및 이격수단에 의해 용이한 개폐 작용 및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상부케이스(10)는 일단 양측에 장공 형태로 된 슬라이딩홈(11)(11')을 갖는 연결부(12)(12')가 하향 돌출 형성되어 있고, 하부케이스(20)의 일단 양측에는 상기한 연결부(12)(12')의 두께와 일치하는 깊이로 된 요홈상의 안치부(22)(2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한 안치부(22)(22')에는 상기한 슬라이딩홈(11)(11')으로 끼워지는 돌출핀(21)(21')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한 상부케이스(10)는 그 슬라이딩홈(11)(11') 상에 하부케이스(20)의 돌출핀(21)(21')이 삽입되도록 이들을 상호 체결하면 조립이 완성되는 것이며, 상부케이스(10)의 하부면과 하부케이스(20)의 상부면에는 서로 반대 극성을 갖는 막대자석(3)(3')이 서로 대향 형성되어 있어 상기와 같은 조립 상태의 상부케이스(10)와 하부케이스(20)의 결속 및 이격을 가능케 하는 것이다.
즉, 상부케이스(10)와 하부케이스(20)가 서로 일치하여 닫힘 상태인 경우에는 상기한 막대자석(3)(3')이 서로 다른 극성을 갖고 마주하고 있으므로 이들 막대자석(3)(3')의 인력에 의해 상부케이스(10)와 하부케이스(20)가 서로 슬라이딩되거나 회전 개방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한 상부케이스(10)를 전개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콤 팩트 용기를 한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엄지손가락을 이용하여 상부케이스(10)를 후측으로 밀어 이동되게 하면 도 3a의 도시와 같이 그 돌출핀(21)(21')은 슬라이딩홈(11)(11') 일단부에 위치하게 되는 것이며, 이와 동시에 대응의 막대자석(3)(3')은 서로 동일한 극성이 상,하로 배치되므로 이들의 척력에 의해 도 3b의 도시와 같이 상부케이스(10)가 돌출핀(21)(21')을 축점으로 소폭 상향 회전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이격 회전 상태에서 사용자의 검지나 중지 손가락을 이용하여 그 상부케이스(10)의 타측 단부를 하측으로 누르게 되면 그 상부케이스(10)는 돌출핀(21)(21')을 축점으로 하여 상향 회전되는 것이므로 도 3c의 도시와 같이 자연스럽게 하부케이스(20)의 상측이 개방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상부케이스(10)는 무게중심이 하측을 향하고 있으므로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파지력을 제거하여도 도 4의 도시와 같이 개방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게 되므로 별도의 퍼프 등을 이용하여 노출된 하부케이스(20)의 파우더를 이용하여 화장을 하면 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화장이 종료되면 회전되어 있는 상부케이스(10)를 하측으로 눌러 본래의 위치로 역회전시킨 후, 후진되어 있는 상부케이스(10)를 전진방향으로 밀게 되면 대응의 막대자석(3)(3')으로부터 발생하는 척력에 의해 서로 이격되어 있는 상부케이스(10)와 하부케이스(20)가 서로 반대 극성으로 상,하 배치되는 막대자석(3)(3')의 인력에 의해 견고한 체결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 콤팩트 용기는 서로 반대 극성의 막대자석(3)(3')이 갖는 인력에 의해 그 체결상태가 유지되게 하면서도, 콤팩트 용기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부케이스(10)를 후측으로 밀게 되면 서로 반대 극성으로 대향된 막대자석의 극성이 일치하게 되어 이로부터 발생하는 척력에 의해 해당 부분이 상향 회전하여 들뜨게 되므로 보다 용이하게 상부케이스(10)를 회전 개방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사용 후 이를 다시 닫아 보관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회전 개방 상태의 상부케이스(10)를 본래의 위치로 회전시키는 경우 대응의 막대자석(3)(3')으로부터 제공되는 척력에 의해 상부케이스(10)와 하부케이스(20)가 관성에 의해 충돌하여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후퇴된 상태의 상부케이스(10)를 전방으로 슬쩍 밀어주는 동작만으로도 막대자석(3)(3')의 반대 극성에 의해 부드러우면서도 비교적 안정적인 결합 상태가 유지되는 것이다.
이에 본 고안 콤팩트 용기는 한 손으로도 손쉽게 케이스의 개방 및 결합이 가능함은 물론 비교적 단순한 구성 및 부품들로 이루어져 있어 생산원가의 절감은 물론 뛰어난 생산성에 의해 대량 생산에 이바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 슬라이드 개폐구조를 갖는 콤팩트 용기는, 콤팩트 화장품을 사용함에 있어 한 손으로도 용이하게 상부케이스의 개방 및 밀폐가 가능하므로 그 사용상의 편리함이 배가되는 것이며, 슬라이딩 및 회전에 의해 개폐되므로 사용자의 호기심을 유발시켜 구매욕구를 향상시키는 것이며, 상부케이스 및 하부케이스의 결속수단이 단순하고 간단하여 생산원가의 절감은 물론 우수한 조립성에 의해 대량생산에 이바지할 수 있으므로 매우 뛰어난 경제적 특징을 갖는 것이다.

Claims (2)

  1. 거울(1)을 갖는 상부케이스(10)와 파우더충전부(2)를 갖는 하부케이스(20)가 힌지 결합된 콤팩트 용기에 있어서,
    상부케이스(10)는, 일단 양측에 장공 형태로 된 슬라이딩홈(11)(11')이 형성된 하향의 연결부(12)(12')를 돌출 형성하고,
    하부케이스(20)는, 일단 양측에 돌출핀(21)(21')이 형성된 요홈상의 안치부(22)(22')를 형성하여,
    상부케이스(10)의 연결부(12)(12')가 하부케이스(20)의 안치부(22)(22')로 삽입되고, 그 안치부(22)(22')의 돌출핀(21)(21')이 슬라이딩홈(11)(11') 내에 삽입 계지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개폐구조를 갖는 콤팩트 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케이스(10)의 하부 선단과 상기 하부케이스의 상부 선단에는 각각 반대 극성으로 대향된 막대자석(3)(3')을 형성하여 이들의 인력과 척력에 의해 상,하부케이스(10)(20)의 결속과 이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개폐구조를 갖는 콤팩트 용기.
KR2020060032186U 2006-12-20 2006-12-20 슬라이드 개폐구조를 갖는 콤팩트 용기 KR20043689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32186U KR200436892Y1 (ko) 2006-12-20 2006-12-20 슬라이드 개폐구조를 갖는 콤팩트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32186U KR200436892Y1 (ko) 2006-12-20 2006-12-20 슬라이드 개폐구조를 갖는 콤팩트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6892Y1 true KR200436892Y1 (ko) 2007-10-17

Family

ID=416327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32186U KR200436892Y1 (ko) 2006-12-20 2006-12-20 슬라이드 개폐구조를 갖는 콤팩트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6892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6990Y1 (ko) 2008-02-13 2009-12-17 (주)아모레퍼시픽 슬라이드형 자동열림 콤팩트
KR100987229B1 (ko) 2008-07-10 2010-10-12 정규선 슬라이드 개폐방식의 화장품 케이스
KR101081480B1 (ko) * 2009-01-07 2011-11-08 정유나 슬라이드 개폐방식의 화장품 케이스
KR101510958B1 (ko) 2013-11-13 2015-04-09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용기
CN109924654A (zh) * 2019-04-26 2019-06-25 宁波金雨科技实业有限公司 一种旋转粉底盒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6990Y1 (ko) 2008-02-13 2009-12-17 (주)아모레퍼시픽 슬라이드형 자동열림 콤팩트
KR100987229B1 (ko) 2008-07-10 2010-10-12 정규선 슬라이드 개폐방식의 화장품 케이스
KR101081480B1 (ko) * 2009-01-07 2011-11-08 정유나 슬라이드 개폐방식의 화장품 케이스
KR101510958B1 (ko) 2013-11-13 2015-04-09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용기
CN109924654A (zh) * 2019-04-26 2019-06-25 宁波金雨科技实业有限公司 一种旋转粉底盒
CN109924654B (zh) * 2019-04-26 2024-01-23 宁波金雨科技实业有限公司 一种旋转粉底盒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57888B2 (ja) コンパクトケース
KR200436892Y1 (ko) 슬라이드 개폐구조를 갖는 콤팩트 용기
KR100466180B1 (ko) 버튼 개방식 화장품 케이스
EP1959789B1 (en) Cosmetics case with applicator holder
WO2007097480A1 (en) Cosmetics vessel
KR100860288B1 (ko) 화장품 용기
KR20080036823A (ko) 화장품 용기
US20220031042A1 (en) Container for a cosmetic product, comprising a hinged intermediate panel having closing means
KR200456827Y1 (ko) 콤팩트 케이스
KR200393380Y1 (ko) 내용물케이스의 슬라이딩 출몰구조를 갖는 콤팩트용기
US20190142134A1 (en) Cosmetics case
KR200436393Y1 (ko) 콤팩트용기
KR100800410B1 (ko) 화장품 용기
KR20080036819A (ko) 화장품 용기
KR102089282B1 (ko) 듀얼 화장품 용기
KR200438527Y1 (ko) 스윙 형태의 개폐구조를 갖는 콤팩트 용기
KR200393233Y1 (ko) 내용물케이스의 슬라이딩 출몰구조를 갖는 콤팩트용기
KR200436387Y1 (ko) 집게형 여닫이 구조를 갖는 콤팩트 용기
KR200440619Y1 (ko) 슬라이드 개폐구조를 갖는 메이크업 팔레트
KR20220075817A (ko) 개폐 구조가 개선된 화장품 케이스
KR100933928B1 (ko) 화장품 용기
KR200449166Y1 (ko) 거울이 회전되는 색조 화장품 용기
KR200414837Y1 (ko) 콤팩트용기
KR20200005140A (ko) 이중 수납형 화장품 수납용기
KR200385158Y1 (ko) 개폐가 용이한 콤팩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4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