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6704Y1 - 창호지지대가 장착된 발코니 창호의 구조물 - Google Patents

창호지지대가 장착된 발코니 창호의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6704Y1
KR200436704Y1 KR2020060031910U KR20060031910U KR200436704Y1 KR 200436704 Y1 KR200436704 Y1 KR 200436704Y1 KR 2020060031910 U KR2020060031910 U KR 2020060031910U KR 20060031910 U KR20060031910 U KR 20060031910U KR 200436704 Y1 KR200436704 Y1 KR 20043670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support
balcony
bolt
bui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319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철
Original Assignee
김영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철 filed Critical 김영철
Priority to KR20200600319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670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67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670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56Fastening frames to the border of openings or to similar contiguous fram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60Mounting or coupling member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600/62Bol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37Length, width adjustment
    • E05Y2800/372Telescopical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rotection
    • E05Y2800/428Protection against w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oor And Window Frames Mounted To Open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발코니 창호의 하부면을 지지하도록 상판이 형성되어 있고 상판과 측면판에 볼트홈이 형성되어 있는 상부받침대를 지지하도록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측면에 볼트홈이 형성된 하부지지대를 볼트로 연결한 창호지지대가 장착된 발코니 창호의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창호지지대, 발코니 창호, 구조물

Description

창호지지대가 장착된 발코니 창호의 구조물{window structure with sustainer}
도 1은 본 고안의 구조물에서 사용한 창호지지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구조물에서 사용한 창호지지대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구조물에서 사용한 창호지지대를 나타낸 분해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구조물에서 사용한 창호지지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구조물에서 사용한 창호지지대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구조물에서 사용한 창호지지대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구조물에서 사용한 창호지지대를 나타낸 분해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구조물에서 사용한 창호지지대를 나타낸 분해단면도.
도 9는 창호지지대가 장착된 발코니 창호의 구조물을 나타낸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하부지지대 12, 12': 높이조절돌기
15: 볼트홈 20: 볼트
30: 하부지지대 32: 상판
33: 볼트홈 34: 측면판
35: 볼트홈 36, 36': 높이조절홈
37: 볼트홈
100: 발코니 창호 200: 옹벽
210: 난간대 220: 마감재
230: 지지대 240: 스치로폴 단열재
250: 콘크리트 260: 석고보드
본 고안은 창호지지대가 장착된 발코니 창호의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발코니 창호의 하부면을 지지하도록 상판이 형성되어 있고 상판과 측면판에 볼트홈이 형성되어 있는 상부받침대를 지지하도록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측면에 볼트홈이 형성된 하부지지대를 볼트로 연결한 창호지지대가 장착된 발코니 창호의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주택은 물론 아파트 또는 대형 건물에는 사람 또는 화물의 출입을 위한 여러 형태 및 크기의 문이 설치되어 있으며, 또한 외부와의 공기의 순환 및 채광 또는 시각적인 효과를 위해 다양한 형태의 창이 설치되어 있다. 다수의 가구가 입주하여 거주하는 대부분의 아파트에는 전방부, 후방부 또는 전후방 모두에 발코니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와 같은 발코니에는 외부와의 차단을 위해 창틀 또는 샤시가 시공되어 있다. 이와 같은 창틀 또는 샤시는 건물의 발코니 또는 창을 형성하는 벽의 개구부에 고정되어 설치되는 창틀, 샤시프레임 및 그 샤시프레임에 이동 가능하게 또는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를 포함한다.
종래의 건물 발코니에 설치되는 발코니 창호 구조물에 있어서 발코니 창호는 발코니 창호의 후방 하부면에 조적벽돌을 사용하여 설치하며 건물의 발코니에 창호를 설치하는 경우 창호지지대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창호를 지지하는 높이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없고 종래의 설치방법에서 조적벽돌을 사용하기 때문에 설치구조물의 무게가 무겁고 건축물에 무리를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창틀 및 샤시프레임의 시공 후에는 대부분 그 창틀 또는 샤시프레임과 발코니 또는 베란다의 바닥 사이에 틈새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이 같은 틈새를 마감 또는 마무리하기 위해 그 틈새에 발포재와 같은 백업재를 채워넣은 후 실리콘 본드로 최종 마무리하고 있다. 발코니의 방수턱에 샤시가 설치되는 경우 발코니 샤시와 방수턱에 우레탄 코팅을 도포 시공을 하였는데 창틀 또는 샤시를 설치하는 경우 창틀과 옹벽 사이 및 샤시와 옹벽 사이에 틈새에 코팅한 우레탄 코팅은 여러가지 문제점이 도출되었다. 종래의 방법은 우레탄을 일정한 용기에 폴리우레탄, 경화제 및 석유를 넣고 손이나 기계로 반죽을 하여 작업장소로 운반하여야 하고 시공하고자 하는 부위에 프라이머를 도포한 후 크기에 알맞는 백업재인 발포재를 채워넣고 우레탄을 도포하며 필요한 경우 면을 평평하고 반듯하게 하기 위해서 마스킹테이프를 사용한다.
종래의 우레탄 시공방법은 루프를 이용하여 준비된 백업재를 끼워넣는 작업이 필요하며 용기에 폴리우레탄, 경화제 및 석유를 넣고 섞어야 하고 2 내지 3시간 후에는 경화가 이루어져 재사용이 불가능하며 우레탄 시공후 시공도구의 손질이 번 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종래의 우레탄 시공방법은 여름과 겨울, 낮과 밤의 기온차가 40 내지 50도를 오르내릴 때 우레탄의 수축 팽창이 반복되면 샤시와 옹벽면에 접촉되는 접촉면에 크랙이 발생하여 누수가 생기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우레탄 시공방법은 우레탄 코팅 후 가스가 발생하여 기포가 생기고 사용자의 불만이 많아 재작업을 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으며 우레탄은 먼지와 같은 오염물질이 묻으면 청소가 불가능하여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건물의 발코니에 창호를 설치하는 경우 창호지지대를 사용하여 창호를 지지하는 높이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종래의 설치방법에서 사용된 조적벽돌 대신에 가벼운 건축구조물을 사용하기 때문에 설치구조물의 무게를 경감하고 건축물에 무리를 주지 않아 설치가 용이한 창호지지대가 장착된 발코니 창호의 구조물을 개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창호지지대가 장착된 발코니 창호의 구조물은 아파트 또는 연립주택에 샤시가 설치된 발코니의 4면 또는 다면을 깔금하게 마무리하는 것이며 설치가 용이하여 작업성이 우수하고 시공비가 저렴하며 외부 누수를 획기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건물의 발코니에 설치되는 발코니 창호의 후방 하부면에 1개 또는 다수개의 창호지지대가 장착되어 설치된 발코니 창호의 구조물에 있어서 창호지지대가 발코니 창호(100)의 하부면을 지지하도록 상판(32)이 형성되어 있고 상판의 하부에 ㄷ자 형태의 측면판(34)이 부착되어 있으며 상판(32)과 측면판(34)에 볼트홈(33, 35)이 형성되어 있는 상부받침대(30); 상기 상부받침대(30)를 지지하도록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측면에 볼트홈(15)이 형성된 하부지지대(10); 상기 발코니 창호(100)의 하부면과 상부받침대(30)의 상판(32)을 연결하고 상부받침대(30)와 하부지지대(10)를 연결하는 볼트(2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지지대가 장착된 발코니 창호의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창호지지대가 장착된 발코니 창호의 구조물에 있어서 창호지지대는 지지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부받침대의 측면판(34) 내부에 다수개의 높이조절홈(36, 36')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높이조절홈(36, 36')에 끼워서 고정할 수 있도록 하부지지대(10)의 측면에 높이조절돌기(12, 12')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건물의 발코니에 설치되는 발코니 창호의 구조물에 있어서 발코니 창호의 후방 하부면에 1개 또는 다수개의 창호지지대를 장착하여 발코니 창호의 후방을 고정한 후 건물의 발코니에 발코니 창호를 설치하는 발코니 창호의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9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건물의 발코니에 설치되는 발코니 창호의 구조물에 있어서 발코니 창호는 발코니 창호(100)의 하부면을 지지하도록 상부받침대(30)를 창호(100)의 하부면에 볼트(20)를 사용하여 고정한 후 상기 상부받침대(30)를 지지하도록 하부지지대(10)를 상부받침대(30)에 볼트(20)를 사용하여 고정한다. 본 고안의 창호지지대에서 상부받침대(30) 및 하부지지대(10)는 직육면체 형태, 원기둥 형태, 3각기둥형태, 4각기둥 형태와 같이 여 러가지 형태로 제작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발코니 창호의 구조물을 이용하여 건물의 발코니에 창호(100)를 설치하는 경우 창호지지대는 상부받침대의 측면판(34) 내부에 다수개의 높이조절홈(36, 36')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높이조절홈(36, 36')에 끼워서 고정할 수 있도록 하부지지대(10)의 측면에 높이조절돌기(12, 12')가 형성되어 있어 창호를 지지하는 높이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종래의 설치방법에서 사용된 조적벽돌 대신에 가벼운 건축구조물을 사용하기 때문에 설치구조물의 무게를 경감하고 건축물에 무리를 주지 않아 설치가 용이하다.
실시예 1
도 1 내지 도 3 및 도 9와 같이 건물의 발코니에 창호(100)를 설치하기 위하여 건물의 방수턱옹벽(200) 상단에 발코니 창호(100)의 전방 부위를 올려놓는다. 발코니 창호(100)의 후방 하부에 상부받침대(30)를 끼워넣고 볼트(20)로 부착하고 상부받침대(30)의 하부에 하부지지대(10)를 고정하였다. 건물의 방수턱옹벽(200)과 창호지지대 사이에 스치로폴 단열재(240)를 채워넣고 스치로폴 단열재(240)와 창호지지대 사이의 공간 및 창호지지대의 하부 주위를 콘크리트(250)로 미장한 후 콘크리트(250)의 상부는 석고보드(260)로 처리하였다.
건물의 발코니에 발코니 창호(100)를 설치하는 경우 창호(100)와 방수턱옹벽(200) 사이에 틈새가 생기며 상기 틈새를 메우기 위하여 틈새 사이에 지지대(230)를 밀어넣어 받치고 창호누수차단마감재(220)를 틈새에 끼워 빗물과 같은 누수를 방지하였다.
실시예 2
도 4 내지 도 8과 같이 건물의 발코니에 창호(100)를 설치하기 위하여 건물의 방수턱옹벽(200) 상단에 발코니 창호(100)의 전방 부위를 올려놓는다. 발코니 창호(100)의 후방 하부에 상부받침대(30)를 끼워넣고 볼트(20)로 부착하고 상부받침대(30)의 하부에 하부지지대(10)를 고정하였다. 상부받침대의 높이조절홈(36, 36')에 하부지지대(10)의 측면에 높이조절돌기(12, 12')를 끼워넣어 창호를 지지하는 높이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상부받침대(30)의 하부에 하부지지대(10)를 고정하였다. 건물의 방수턱옹벽(200)과 창호지지대 사이에 스치로폴 단열재(240)를 채워넣고 스치로폴 단열재(240)와 창호지지대 사이의 공간 및 창호지지대의 하부 주위를 콘크리트(250)로 미장한 후 콘크리트(250)의 상부는 석고보드(260)로 처리하였다. 마감재의 시공방법은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시공하였다.
본 고안은 건물의 발코니에 창호를 설치하는 경우 창호지지대를 사용하여 창호를 지지하는 높이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종래의 설치방법에서 사용된 조적벽돌 대신에 가벼운 건축구조물을 사용하기 때문에 설치구조물의 무게를 경감하고 건축물에 무리를 주지 않아 설치가 용이한 창호지지대가 장착된 발코니 창호의 구조물로서 건축산업상 매우 유용한 것이다.

Claims (2)

  1. 건물의 발코니에 설치되는 발코니 창호의 후방 하부면에 1개 또는 다수개의 창호지지대가 장착되어 설치된 발코니 창호의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창호지지대는 발코니 창호(100)의 하부면을 지지하도록 상판(32)이 형성되어 있고 상판의 하부에 ㄷ자 형태의 측면판(34)이 부착되어 있으며 상판(32)과 측면판(34)에 볼트홈(33, 35)이 형성되어 있는 상부받침대(30); 상기 상부받침대(30)를 지지하도록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측면에 볼트홈(15)이 형성된 하부지지대(10); 상기 발코니 창호(100)의 하부면과 상부받침대(30)의 상판(32)을 연결하고 상부받침대(30)와 하부지지대(10)를 연결하는 볼트(2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지지대가 장착된 발코니 창호의 구조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창호지지대는 지지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부받침대의 측면판(34) 내부에 다수개의 높이조절홈(36, 36')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높이조절홈(36, 36')에 끼워서 고정할 수 있도록 하부지지대(10)의 측면에 높이조절돌기(12, 12')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지지대가 장착된 발코니 창호의 구조물.
KR2020060031910U 2006-12-18 2006-12-18 창호지지대가 장착된 발코니 창호의 구조물 KR20043670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31910U KR200436704Y1 (ko) 2006-12-18 2006-12-18 창호지지대가 장착된 발코니 창호의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31910U KR200436704Y1 (ko) 2006-12-18 2006-12-18 창호지지대가 장착된 발코니 창호의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6704Y1 true KR200436704Y1 (ko) 2007-09-27

Family

ID=416296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31910U KR200436704Y1 (ko) 2006-12-18 2006-12-18 창호지지대가 장착된 발코니 창호의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670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87868B2 (en) Method of installing windows into a concrete structure
US8782975B2 (en) Flood proof door
US6735793B2 (en) Water containment block
US9341018B2 (en) Combined flood proof door and window
KR20130045711A (ko) 실내장식용 커튼월 시공장치
WO2010065034A2 (en) Insulated exterior cladding system
EA015475B1 (ru) Алюминиевая фасадная конструкция с внешним видом кирпича или керамики
US20090049776A1 (en) Stable and efficient building system
US8201368B2 (en) Blind frame for a window or a door
KR200436704Y1 (ko) 창호지지대가 장착된 발코니 창호의 구조물
JP6514785B2 (ja) 暖かい家を建築するための窓枠断熱工法
GB2352753A (en) Flood barrier
RU2632617C2 (ru) Способ облицовки фасада перекрытий при монолитном строительстве зданий
KR101072091B1 (ko) 창호 시공 시 가틀의 수평 조절작업을 위한 조절부재
KR20080041548A (ko) 창호지지대가 장착된 발코니 창호의 구조물
KR100414677B1 (ko) 조립식 패널 설치 시스템
KR100579447B1 (ko) 건축물 창문틀 보강구조
KR200247957Y1 (ko) 조립식 패널 설치 시스템
GB2374096A (en) Facade for remedial support lintel
KR102666868B1 (ko) 불균일 벽면 시공이 용이한 구조를 가지는 타일벽체패널
KR101365137B1 (ko) 이동식 석조 흡연실
KR20040094466A (ko) 화장실 건식시공방법
RU2563529C2 (ru) Способ монтажа наружной стены с вентилируемым навесным фасадом
KR102572471B1 (ko) 욕실 내진용 enm 타일벽체 시공방법
WO2002010529A1 (en) Prefabricated build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91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