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6661Y1 - 줄넘기 - Google Patents

줄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6661Y1
KR200436661Y1 KR2020070001861U KR20070001861U KR200436661Y1 KR 200436661 Y1 KR200436661 Y1 KR 200436661Y1 KR 2020070001861 U KR2020070001861 U KR 2020070001861U KR 20070001861 U KR20070001861 U KR 20070001861U KR 200436661 Y1 KR200436661 Y1 KR 2004366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pe
weights
string
skipping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18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창율
Original Assignee
김창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창율 filed Critical 김창율
Priority to KR20200700018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666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66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666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00Apparatus for jumping
    • A63B5/20Skipping-ropes or similar devices rotating in a vertical plan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op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금형에서 일체로 사출 성형되는 웨이트들에 의한 강한 원심력의 발휘가 가능하여 원활한 줄넘기 운동이 가능하고, 또 줄의 고정 지지가 신속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줄넘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은 이를 위하여 양 손잡이(110)와, 이들 손잡이 사이에 고정되는 줄(120)로 구성되는 줄넘기(100)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줄(120)로는 다양한 형태를 갖는 다수개의 웨이트들(130)이 금형을 이용한 사출 성형방법에 의해 일체로 고정 설치되어 지고, 상기 손잡이(110)의 내부 속으로 끼워지는 줄(120)은 상기 웨이트들(130) 사이에 노출되는 줄(120)에 대해 일방으로 개구된 절개 홈(142)을 통해 구멍(142)에 착탈자재 되게 끼워지되 상기 웨이트들(130)이 구멍(144)에서 빠지지 않도록 받침되는 고정 링(140)에 의해 고정지지 되며, 상기 고정 링(140)은 상기 손잡이(110)의 일 단부로 형성되는 걸림턱(150)에 상호 걸려져 고정 지지 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줄넘기, 줄, 고정 링, 웨이트

Description

줄넘기{Roppe skipping}
도 1은 종래 줄넘기 구조의 이례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다른 줄넘기 구조를 보인 일부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웨이트의 성형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금형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줄과 웨이트의 성형 완료 단면구조를 보인 횡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웨이트들의 각종 단면 구조를 보인 종단면도들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줄과 손잡이의 조립 고정 구조를 보인 조립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있어서 가-가 선내 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고정 링의 각 실시 구조를 보인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0: 줄넘기 110: 손잡이
120: 줄 130: 웨이트들
140: 고정 링 142: 절개 홈
144: 구멍 146: 걸림돌기
150: 걸림턱
본 고안은 운동기구로 사용되는 줄넘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웨이트의 구비로 인해 원활한 회전 운동이 가능하고, 또 줄이 지면에 직접 닿지 않아 손상 및 파손을 방지하며, 손잡이에 대한 줄의 길이 조절 및 고정이 매우 간편 용이함은 물론 생산성 및 조립성의 향상을 통한 생산 단가를 현저하게 낮출 수 있도록 한 줄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줄넘기는 양 손잡이를 손으로 잡고 이들 사이에 구비된 줄을 회전시켜 가면서 이에 맞추어 뜀을 뛰는 운동기구로서, 이는 휴대가 용이하고, 또 장소에 거의 구애받지 않고 남녀 노소 누구나가 간편하게 즐길 수 있는 운동기구의 하나이다. 특히 줄넘기는 전신 운동 효과가 탁월하고, 또 다른 운동에 비해 적은 비용과 시간으로도 최대의 운동효과를 누릴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하게 된다.
하지만, 종래 알려지고 있는 줄넘기는 손잡이에 비해 줄이 가벼워 줄의 회전 운동시 원심력이 상대적으로 작아 줄이 원활하게 회전되지 못하여 쉽게 걸리거나 발에 빈번히 걸리게 되어 운동 효과를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줄의 소재를, 고무재나 연질의 합성수지재로 구성하여 강한 회전력이 발휘되도록 한 것이 있었으나, 이는 줄이 회전하는 과정에서 일정 부위가 지면에 직접 마찰 접촉되기 때문에 줄이 쉽게 손상되는 문제가 있고, 이로 인해 오래 사용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 원심력은 강한 반면 지면에 대한 줄의 마찰 면적이 넣어 줄을 회전시키는 동작이 매우 힘들고, 줄이 자주 꼬이는 문제들을 피할 수 없었다.
근자에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다양한 형태의 줄넘기가 제안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 일 예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줄넘기 기구’는, 국내 실용신안등록 제366442호(2004.11.09 공고)에 개재된 것으로서, 그 구성을 보면, 양 손잡이(10) 사이로 구비되는 로프(20)의 외주연을 따라 소정 길이로 압출 절단된 커버(30)가 끼워지도록 하여 종래 로프만을 이용하던 줄넘기에 있어서, 로프의 손상과 파손을 방지하고, 줄의 꼬임 현상도 방지되는 것이다.
하지만 상기한 구성의 줄넘기 기구는 커버(30)의 구성으로 인해 줄넘기 운동시 로프(20)가 직접 지면에 마찰되지 않아 로프의 손상이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에도 불구하고, 상기 커버(30)를 로프(20)에 대해 일일이 끼워야 한다는 조립상의 현저한 문제를 가지게 되고, 또 로프와 커버와의 사이에 일정한 공간이 존재함에 따라 로프를 회전시킬 때 상기 커버가 지면과 잦은 마찰 및 충격에 의해 깨지거나 손상되는 경우, 이를 교체하는 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불편하게 되는 구상의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기한 구성의 줄넘기 기구는 일부의 이점에도 불구하고, 일정한 길이로 절단된 커버(30)를 일일이 로프(20)에 대해 끼워야 하는 조립 작업 시간이 과다하게 소요되어 생산성의 저하를 피할 수 없고, 또 사용시 커버(30)가 손상되는 경우, 역시 커버(30)를 일일이 분리해낸 다음 새롭게 끼워야 하는 유지 보수가 상 당히 불편하고 번거롭다는 것이다. 특히 상기 커버(30)를 로프(20)에 일일이 끼우는 조립 과정에 의해 제조 단가가 상승되는 문제를 피할 수 없게 되는 것이다.
그 외에도, 이와 유사한 기술로서, 국내 특허공개 제 2006-33662호(2006.04.19 공개)에 개재된 ‘줄넘기’ 구조가 있으나, 이 역시 섬유를 꼬아 만든 줄의 외주연으로 줄 보호부재를 끼워 구성함으로써, 줄의 손상이나 파손을 방지하고, 또 줄 보호부재가 지면에 닿음으로써 마찰 및 공기 저항을 줄여 줄넘기 동작이 원활하게 되는 등의 이점이 있으나, 이 역시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사출물인 줄 보호부재를 줄에 대해 일일이 끼워 조립함에 따른 조립성의 번거로움과 작업 시간의 과다 소요로 인해 생산성의 저하와 더불어 제작 단가의 상승을 피할 수 없게 된다는 것이다.
그리고, 종래 줄넘기 구조에 있어서는 무엇보다도 손잡이에 대한 줄의 고정작업이 매우 어렵고 곤란하였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줄 고정구를 이용한 매듭 방식이 주로 이용되고 있으나, 이는 줄의 길이 조절에 상당한 어려움과 불편함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줄넘기 손잡이에 대한 줄의 고정 구조가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나, 여전히 구조적인 문제를 피할 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줄의 손상과 파손을 방지하면서도, 줄에 일체로 구비되는 웨이트들에 의해 안정된 회전력을 제공하게 되고, 또 손잡이에 대한 줄의 고 정이 매우 신속 용이하고 간편할 뿐 아니라 양호한 조립성 및 생산성에 의한 제작 단가를 현저하게 낮출 수 있어 제품의 높은 품질 및 가격 경쟁력을 가질 수 있도록 한 줄넘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양 손잡이와, 이들 손잡이 사이에 고정되는 줄로 구성되는 줄넘기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줄로는 다양한 형태를 갖는 다수개의 웨이트들이 금형을 이용한 사출 성형방법에 의해 적정한 간격으로 일체로 고정 설치되어 지고, 상기 손잡이의 내부 속으로 끼워지는 줄은 상기 웨이트들 사이에 노출되는 줄에 대해 일방으로 개구된 절개 홈을 통해 구멍에 착탈자재 되게 끼워지되 상기 구멍의 상부로 위치되는 웨이트가 구멍에서 빠지지 않도록 받침하는 고정 링에 의해 고정지지 되며, 상기 고정 링은 상기 손잡이의 일 단부로 형성되는 걸림턱에 상호 걸려져 고정 지지되도록 구성된 줄넘기 구성에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웨이트들은 그 외주면의 단면 형상을 구(球) 또는 다각형 형상으로 구성하거나 또는 길이방향에서 볼 때 럭비공과 같이 양단부를 중심으로 중앙부를 향해 볼록하게 구배진 형태로 구성하여 지면과의 마찰 저항 감소에 따른 파손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웨이트들은, 다양한 색상으로 사출 성형되고 또 배치되어 지도록 구성하여 다양한 장식미를 제공하고, 또 안전 사고의 위험도 줄일 수 있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웨이트들은 사출 성형시 기본 소재에 대해 형광물 질(螢光物質) 또는/및 발광도료(發光塗料)를 더 첨가 성형하여 주간은 물론 야간에도 화려한 발광을 통한 화려한 장식을 제공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고정 링의 절개 홈은 줄이 끼워지는 초기 진입단부 쪽이 구멍과 연계되어 지는 내측 단부보다 더 확개되는 형태로 구성하거나, 또는 고정 링(140)의 구멍으로는 이보다 내측으로 돌출되는 형태의 걸림돌기를 더 돌출되게 형성하여 줄에 대한 끼움 및 웨이트에 대한 안정된 받침이 가능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르면, 줄은 다양한 색상을 가지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줄넘기(100)는, 양 손잡이(110)와, 이들 손잡이 사이에 고정되는 줄(120)로 구성되고, 상기 줄(120)로는 다양한 형태를 갖는 다수개의 웨이트들(130)이 금형을 이용한 사출 성형방법에 의해 일체로 고정 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 손잡이(110)의 내부 속으로 끼워지는 줄(120)은 상기 웨이트들(130) 사이에 노출되는 줄(120)에 대해 일방으로 개구된 절개 홈(142)을 통해 구멍(144)에 착탈자재 되게 끼워지되 상기 구멍(144)의 상부로 위치되는 웨이트(130)가 상기 구멍(144)에서 빠지지 않도록 받침하는 고정 링(140)에 의해 고정지지 되며, 상기 고정 링(140)은 상기 손잡이(110)의 일 단부로 형성되는 걸림턱(150)에 상호 걸려지도록 구성된 것이다.
손잡이(110)로는 줄넘기 동작시 미끄러짐을 방지하고, 또 지압 효과를 제공하기 위한 다수의 돌기들(112)이 구비되어 있고, 줄(120)이 고정된 후 마개(114)에 의해 커버되어 지도록 구성되어져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줄(120)에 구비되는 웨이트들(130)은 상 하부금형(150)(152)에 의해 일체로 사출 성형 된다. 이러한 웨이트들(130)은, 도 3 과 상 하부금형(150)(152) 사이에 줄(120)이 수평상태로 구비되고, 이들 사이에 형성된 사출공간(154)에 대해 형성된 게이트들을 통해 사출물을 고압으로 사출 성형하고, 또 냉각 취출하는 것에 의해 연속 반복적으로 형성되어 진다. 그리고, 줄(120)에 대해 일체로 사출 성형되는 웨이트들(130)은 줄(120)에 고압으로 사출 성형되기 때문에 해당 사출 성형 부위의 줄(120)은 도 4와 같이 내부로 압축되는 형태이고, 웨이트들(130)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은 이보다 확장되는 단면 형태를 취하게 됨에 따라 사용시 전혀 움직이지 않고 단단히 결합되어 질 수 있다.
상 하부금형(150)(152)에서 웨이트들(130)이 일체로 사출 성형되는 줄(120)은 필요한 길이 만큼 절단하여 사용하게 된다.
그리고, 상 하부금형(150)(152)에서 줄(120)에 일체로 사출 성형되는 웨이트들(130)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안정된 원심력을 감안하여 비록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필요한 경우 집단으로 또는 불규칙적으로 적절하게 형성되어 질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본 고안에 사용되는 줄(120)은, 웨이트들(130)이 일체로 사출 성형되 는 점을 감안하여 섬유를 여러 가닥으로 꼬아 만든 것이 사용되어짐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렇게 함으로서 사출 성형에 따른 고열에 견디고, 강한 인장 강도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웨이트들(130)은 그 외주면이 구 형상(도 5a) 또는 다각형 형상(도 5b ~ 도 5d)으로 다양하게 형성되어 질 수 있다. 또, 상기한 웨이트들(130)은 줄넘기 운동시 지면과의 접촉면적을 최소화하여 공기 저항 및 마찰을 줄이기 위해 길이방향에서 볼 때 럭비공과 같이 양단부를 중심으로 중앙부를 향해 볼록하게 구배진 형태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한 구조를 갖는 웨이트들(130)은 다양한 색상으로 사출 성형되어 질 수 있다. 예컨대 줄(120)의 색상을 기준으로 노란색, 빨간색, 파란색 등 다양한 색상으로 사출 성형되어 질 수 있다. 그리고, 다양한 장식성의 제공을 위해, 필요한 경우에는 하나의 줄(120)에서도 각각의 색상을 갖는 웨이트들(130)이 다양하게 배치되게 성형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웨이트들(130)은 사출 성형시 기본 소재에 형광물질(螢光物質)이나, 발광도료(發光塗料)를 더 첨가하여 성형함으로써, 흥미 유발은 물론 주간 또는 어두운 야간에도 시각적으로 아름다운 장식미를 제공하게 되고, 또 안전 사고의 위험도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구성의 웨이트들(130)은 특별히 소재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줄넘기 운동에 따른 안전성이나, 양호한 마찰성 등을 고려하여 연성 재질의 폴리에틸렌(polyethylene)이 사용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도 1, 도 6, 도 7을 참조하면, 웨이트들(130)이 구비된 줄(120)은 그 양 단부가 양 손잡이(110)의 내부로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웨이트들(130)의 줄에 대해 와셔 형태의 고정 링(140)을 수평 상태로 끼운 후 손잡이(110)와 줄(120)을 잡아당기면, 상기 고정 링(140)이 손잡이(110)의 걸림턱(150)에 안착지지 된다. 이때 고정 링(140)은 일방으로 개구된 절개홈(142)을 통해 구멍(144)이 줄(120)에 탄성적으로 끼워지게 되고, 또 구멍(142)은 웨이트들(130)의 외부 직경 보다 적은 크기를 갖기 때문에 상기 구멍(144)의 상부로 위치되는 웨이트(130)의 일 측면이 상기 고정 링(140)의 상면에 걸려져 빠지지 않게 된다. 또 절개홈(142)은 줄(120)의 직경보다 적은 크기를 갖기 때문에 탄성적으로 끼워진 후에는 임의적으로 빼내지 않는 이상 쉽게 빠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경우, 고정 링(140)을 이용하여 웨이트들(130)이 형성된 줄(120)을 손잡이(110) 내부에 신속하고 간편하게 결합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또 안정된 결합 지지가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줄(120)의 길이를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고정 링(140)을 이용하여 적정하게 조절하면 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줄넘기(100)에 이용되는 줄(120)은 다양한 색상으로 직조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렇게 줄(120)을 다양한 색상으로 구성함으로써 이에 구비되는 다양한 색상의 웨이트들(130)과 조화를 이루어 더욱 아름답고 화려한 장식미를 제공하게 되는 이점을 가질 수 있다.
한편, 도 8과 같이 고정 링(140)에 형성되는 절개홈(142)은 줄(120)의 고정 시 초기 진입단부인 외측이 구멍(144)과 연계되는 내측단부 보다 더 확장되도록 절개 형성하여 줄(120)에 대한 고정 링(140)의 끼움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 도 9와 같이 고정 링(140)의 구멍(144)으로는 그 내부 직경보다 내측으로 돌출되는 형태의 걸림돌기(146)를 더 구성하여 구멍(144)에 끼워진 줄(120)에 대한 고정력 및 웨이트들(130)의 받침력을 더욱 높일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물론 상기 걸림돌기(146)는 도면상 하나만이 도시된 것이나, 그 이상으로 수로 형성되어 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줄넘기(100)를 이용하여 줄을 넘는 경우, 여러 가닥의 섬유 직조로 이루어진 줄(120)은, 그 외주면으로 일체 형성된 웨이트들(130)의 하중에 의해 손잡이(110)를 잡고 회전시키는 경우 강한 원심력이 작용되어 원활한 회전이 가능하게 됨에 따라 줄넘기 동작이 안정되게 이루어지게 된다.
또 웨이트들(130)이 줄(120)에 대해 적정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어 지면과의 마찰 저항 및 공기 저항의 감소를 가져와 줄(120)의 회전이 그만큼 부드럽고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어린아이들의 경우에도 줄넘기 운동을 힘들이지 않고 쉽게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줄넘기 운동시, 웨이트들(130)이 다양한 색상 및 발광 소재를 이용하여 제작함으로써, 운동에 따른 재미를 더하고, 또 시각적인 장식 효과도 아울러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본 고안은 웨이트들(130)이 줄(120)을 압착하는 상태로 사출 성형되어 짐에 따라 지면과의 접촉에 의해서도 쉽게 파손되지 않게 되고, 또 그 외주면 단면형상이 구형 또는 구형에 가까운 다각형, 예컨대 사각, 오각, 육각 등 다각형으로 이루어져 있고 또 구배져 있기 때문에 마찰 저항의 감소를 통해 그만큼 파손율을 현저하게 저하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여러 가닥의 꼬아진 섬유 직조의 줄에 대해 줄넘기 운동시 줄에 대한 강한 원심력을 제공하기 위한 웨이트들이 적정한 간격으로 배치되게 일체로 사출 성형되어 있어, 줄의 회전시 웨이트들이 지면과 접촉됨에 다라 줄의 훼손을 방지하고, 또 마찰 및 공기 저항의 감소와 더불어 강한 원심력에 의한 줄의 신속하고 원활한 회전 운동이 가능하게 되는 이점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웨이트들이 형성되지 않은 사이의 줄에 대해 고정 링을 끼워주는 것에 의해 줄과 손잡이의 결합 고정이 신속하고 간편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또 줄의 길이 조절 역시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줄과, 웨이트들이 다양한 색상을 가지고, 또 발광 소재를 이용하여 제작함으로써 특히 야간에 더욱 화려하고 아름다운 장식 외관을 제공하게 됨은 물론 흥미를 유발하여 줄넘기 운동을 더욱 즐겁고 신나게 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웨이트들이 줄에 대해 일체로 사출 성형되어 짐에 따라 종래와 같이 일일이 줄에 끼우는 조립 공정이 불필요함에 따라 줄넘기의 제작성 및 생산성의 향상을 통한 제작 단가를 현저하게 낮출 수 있어 제품의 높은 가격 경쟁력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Claims (8)

  1. 양 손잡이(110)와, 이들 손잡이 사이에 고정되는 줄(120)로 구성되고, 상기 줄(120)로는 다양한 형태를 갖는 다수개의 웨이트들(130)이 금형을 이용한 사출 성형방법에 의해 일체로 고정 설치되어 지며, 상기 손잡이(110)의 내부 속으로 끼워지는 줄(120)은 상기 웨이트들(130) 사이에 노출되는 줄(120)에 대해 일방으로 개구된 절개 홈(142)을 통해 구멍(144)에 착탈자재 되게 끼워지되 상기 구멍(144)의 상부에 위치되는 고정 링(140)에 의해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고정지지 되는 공지의 줄넘기(100)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줄(120)의 길이를 조정하는 고정 링(140)의 구멍(144)으로는 이에 받침되는 상기 웨이트(130)가 과도하게 진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돌기(146)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고정 링(140)은 상기 손잡이(110)의 일 단부로 형성되는 걸림턱(150)에 상호 걸려 고정 지지 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줄넘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2020070001861U 2007-02-01 2007-02-01 줄넘기 KR2004366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1861U KR200436661Y1 (ko) 2007-02-01 2007-02-01 줄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1861U KR200436661Y1 (ko) 2007-02-01 2007-02-01 줄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6661Y1 true KR200436661Y1 (ko) 2007-09-18

Family

ID=416293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1861U KR200436661Y1 (ko) 2007-02-01 2007-02-01 줄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6661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4907B1 (ko) * 2007-10-08 2009-06-29 김택중 줄넘기
WO2013073895A1 (ko) * 2011-11-18 2013-05-23 You Jung-Hyun 줄넘기
KR20190055644A (ko) * 2017-11-15 2019-05-23 김기선 줄넘기기가 용이한 줄넘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4907B1 (ko) * 2007-10-08 2009-06-29 김택중 줄넘기
WO2013073895A1 (ko) * 2011-11-18 2013-05-23 You Jung-Hyun 줄넘기
KR20190055644A (ko) * 2017-11-15 2019-05-23 김기선 줄넘기기가 용이한 줄넘기
KR102135165B1 (ko) * 2017-11-15 2020-07-17 김기선 줄넘기기가 용이한 줄넘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46007B2 (en) Indicator pull lead
US4322077A (en) Wrist band for tennis rackets and the like
KR200436661Y1 (ko) 줄넘기
US20130225339A1 (en) Artificial feather for shuttlecock, shuttlecock,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rtificial feather for shuttlecock
CN203954604U (zh) 一种跳跳球
US20130344977A1 (en) Sports shaft grip
US20080026883A1 (en) Lacrosse Head With Separable Parts
US20120104187A1 (en) Hanger device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CN203954593U (zh) 一种音乐跳跳球
EP1263509B1 (en) Racquet with visually differentiated grommets and method of stringing thereof
CN203954606U (zh) 一种跳跳球
US20090291779A1 (en) Field hockey practice tethered assembly
US5797814A (en) Retention device for sports racquets, especially for racquetball racquets
KR101340622B1 (ko) 롤 블라인드용 줄의 안전체결구
US20100267310A1 (en) Mobile available for utilization of both sides
US9630118B2 (en) Connectable and extendable diving stick
KR200457322Y1 (ko) 줄넘기 줄의 웨이트 구조
KR101444403B1 (ko) 줄넘기
KR200388332Y1 (ko) 새털방울제기
KR200438674Y1 (ko) 신발 장신구
KR20190000946U (ko) 개인 연습용 공 틀
KR20190002489U (ko) 친환경 비즈 줄넘기
KR101587585B1 (ko) 텐트 고정용 야광 펙
CN220828477U (zh) 一种钢丝绳定位紧固器
EP3302744B1 (en) Yo-yo to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