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6312Y1 - 합성수지 이중관 및 그것의 제조 장치 - Google Patents

합성수지 이중관 및 그것의 제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6312Y1
KR200436312Y1 KR2020060031676U KR20060031676U KR200436312Y1 KR 200436312 Y1 KR200436312 Y1 KR 200436312Y1 KR 2020060031676 U KR2020060031676 U KR 2020060031676U KR 20060031676 U KR20060031676 U KR 20060031676U KR 200436312 Y1 KR200436312 Y1 KR 2004363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uble pipe
synthetic resin
tube
endothelial
circumferential ri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316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상덕
Original Assignee
정상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상덕 filed Critical 정상덕
Priority to KR20200600316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631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63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631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1/00Hoses, i.e. flexible pipes
    • F16L11/20Double-walled hoses, i.e. two concentric h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1/00Hoses, i.e. flexible pipes
    • F16L11/04Hoses, i.e. flexible pipes made of rubber or flexible plastics
    • F16L11/11Hoses, i.e. flexible pipes made of rubber or flexible plastics with corrugated wa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합성수지 이중관은, 원통형 구조를 갖는 내피와, 상기 내피의 외면에서 주름 구조로 팽창되게 형성되어 상기 내피와의 사이에 중공부를 갖도록 형성된 외피로 구성되고; 상기 외피에는 주름 구조를 이루는 산 부분과 산 부분 사이의 골 부분에 관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원주 리브가 관의 둘레 방향으로 형성되거나, 골 부분에 내측으로 들어간 원주 리브가 관의 둘레 방향으로 형성됨으로써, 관의 강성 및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고, 본 고안에 따른 이중관 제조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합성수지 이중관을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합성수지, 이중관, 내피, 외피, 중공부, 원주 리브, 주름 구조

Description

합성수지 이중관 및 그것의 제조 장치{Plastic double pipe, and its manufacturing apparatus}
도 1은 일반적인 이중관 제조 장치가 도시된 도면,
도 2는 일반적인 이중관 제조 장치에 구비되는 수지 공급 장치가 도시된 단면도,
도 3은 종래 이중관 제조용 몰드가 도시된 사시도,
도 4는 종래 기술의 이중관이 도시된 사시도,
도 5는 종래 기술의 이중관이 도시된 단면도,
도 6 내지 도 8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중관이 도시된 도면들로서, 도 6은 사시도, 도 7은 횡단면도, 도 8은 종방향 단면도,
도 9a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중관 제조용 몰드가 도시된 평면도,
도 9b는 도 9a의 A-A 선 방향의 단면도,
도 10은 도 9a와 도 9b에 도시된 몰드의 사시도,
도 11 내지 도 13은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이중관이 도시된 도면들로서, 도 11은 사시도, 도 12는 횡단면도, 도 13은 종방향 단면도,
도 14a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이중관 제조용 몰드가 도시된 평면 도,
도 14b는 도 14a의 B-B 선 방향의 단면도,
도 15는 도 14a와 도 14b에 도시된 몰드의 사시도,
도 16 내지 도 18은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이중관이 도시된 도면들로서, 도 16은 사시도, 도 17은 횡단면도, 도 18은 종방향 단면도,
도 19a는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이중관 제조용 몰드가 도시된 평면도,
도 19b는 도 19a의 C-C 선 방향의 단면도,
도 20은 도 19a와 도 19b에 도시된 몰드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이중관 110 : 내피
120 : 외피 121 : 산 부분
122 : 골 부분 125 : 원주 리브
125A : 원주 리브 130 : 중공부
200 : 몰드 블록 210 : 성형부
211 : 산 형성부 212 : 골 형성부
213 : 석션홈 214 : 석션홀
215 : 리브 형성부
본 고안은 PVC 등 합성수지로 제작되는 이중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관의 산 부분이나 골 부분에 관의 둘레 방향으로 원주 리브를 형성하여 관의 강성 및 내구성이 향상되도록 한 합성수지 이중관 및 그것의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하폐수관 또는 케이블 매립용 관은 땅속에 매몰되어 설치되는 관계로, 일반 배관에 비해 더 높은 강도와 내구성, 단열성 등이 요구되는데, 이를 위하여 단일층 구조의 일반적인 배관 대신, 관의 내피와 외피 사이에 소정 형태의 중공부를 갖는 이중관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이중관은 PVC, PE 등의 합성 수지재로 제작된 합성수지 이중관이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 이는 성형성이 양호하여 경제적이면서도 어느 정도 내구성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합성수지 이중관은 자동 생산 공정을 통해 상당할 정도(예를 들면, 약 6m 정도)로 길게 제작된 다음, 필요한 길이만큼 절단하여 배관 공사 현장에 공급하게 된다.
이하, 합성수지 이중관의 제조 장치 및 구조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일반적인 이중관 제조 장치가 도시된 도면으로서, 이를 참조하여 이중관 제조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살펴본다.
이중관 제조 장치는 액상수지를 압출하는 압출기(10)와, 이 압출기(10)로 부터 연속적으로 압출되어져 나오는 소재를 진공 흡인방식 또는 연속 블로우 방식에 의해 외측으로 팽창시켜 금형의 내면에 흡착되게 함으로써 소정의 형상으로 이중관을 성형하는 몰딩기(30)로 구성된다.
또한, 이중관 제조 장치는,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성형된 이중관을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기, 연속된 성형 이중관을 일정 길이로 절단하기 위한 절단기, 절단된 이중관을 적재하기 위한 스택커 등도 추가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같은 이중관 제조 장치에서, 도 2를 참조하여, 상기 압출기(10)의 구조를 설명한다.
상기 압출기(10)는 한쪽 끝단(도면상 왼쪽)에 액상 수지가 압출되면서 투입되는 수지 투입부(11)가 구성되고, 압출 바디(12)의 입구 쪽에는 콘 구조로 점차 확장되는 수지 공급로(13)가 형성되며, 상기 수지 공급로(13)의 끝에는 이중관의 내피 및 외피용 수지 분리부(14)가 형성된다.
또한 압출 바디(12)의 중간부에는 상기 내피 및 외피용 수지 분리부(14)에서 외피용 수지 배출부(15)와 내피용 수지 배출부(16)로 연결되는 관로(17)가 각각 형성되며, 그 중간에 이중관의 중공부를 형성하기 위해 공기 주입부(18)와 공기층 형성용 공기 배출부(19) 사이를 연결하는 관로(20)가 형성된다.
상기 관로(17)(20)가 위치되는 압출 바디(12)에는 내피 및 외피용 수지 가열부(21)가 구성되고, 상기 외피용 및 내피용 수지 배출부(15)(16) 쪽에는 관 성형 냉각부(23)가 위치된다.
다음, 도 1을 참조하여, 상기 몰딩기(30)를 설명한다.
상기 몰딩기(30)는 다수의 몰드 볼록(40)이 상하부에 무한궤도 형태로 이동되게 설치되어 상부 금형(31)과 하부 금형(32)을 구성하게 되고, 상기 하부 금형과 하부 금형이 만나는 부분에 이중관이 성형되는 성형부(M)가 위치되고, 이 성형부를 제외한 무한궤도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비성형부(NM)가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압출기(10)를 통해 상기 성형부(M)에 공급된 수지는 아래에 설명될 몰드 블록(40)의 형상에 따라 이중관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상기 몰딩기(30)에는 상기 상,하부 몰드 블록(40)을 무한궤도 형태로 이동시키기 위한 동력수단과 동력전달수단이 구비됨은 물론이다.
도 3은 상기와 같은 몰딩기(30)에 사용되는 종래 기술의 몰드 블록(40)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종래 기술의 몰드 블록(40)은 그 내면에 요철부(41)가 형성되는데, 이 요철부(41)는 이중관의 외피가 흡인되면서 팽창될 때, 주름 구조를 갖도록 형성하기 위해서이다.
이와 같은 요철부(41)는 도 4와 도 5에서 이중관(50) 외피(52)의 골 부분(52b)을 형성할 수 있도록 상대적으로 돌출된 골 형성부(42)와, 이 골 형성부(42) 사이에 내측으로 들어간 구조로 형성되어 이중관 외피(52)의 산 부분(52a)을 형성할 수 있도록 산 형성부(43)로 구성되고, 이러한 골 형성부(42)와 산 형성부(43)가 번갈아가며 일정 간격마다 형성된다.
상기 요철부(41) 중에서 산 형성부(43)의 모서리 부분에는 원주 방향으로 석션홈(45)이 길게 형성되며, 이 석션홈(45)에는 다수의 석션홀(46)들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이중관(50)을 성형할 때, 산 부분(52a)이 팽창할 수 있도록 상기 석션홀(46)을 통해 외부에서 흡인하게 된다.
도 4는 상기와 같은 몰드 블록(40)을 이용한 이중관 제조 장치를 통해 성형된 이중관이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5는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합성수지 이중관은 내경이 일정하게 형성된 원통 구조를 갖는 내피(51)와, 이 내피(51)의 외면에 주름 구조로 결합되는 외피(52)로 구성되고, 이와 같은 결합 구조에 의해 내피(51)와 외피(52) 사이에는 일정 간격마다 중공부(53)가 연속하여 형성된다.
참고로, 도 4와 도 5에 도시된 이중관(5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몰드 블록(40)이 도 1의 성형부(M)에서와 같이 다수개가 서로 밀착된 상태로 이동하면서 성형된 이중관을 보여준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합성수지 이중관은 도 4와 도 5에서와 같이 요철부(41)가 일정 간격마다 균일하게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보다 높은 강도를 갖는 이중관을 구현하는 데는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 합성수지 이중관은 주름 구조로 형성됨에 따라 관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의 강성은 어느 정도 유지되나, 관의 길이 방향으로의 강성은 상대적으로 약해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즉, 통상 합성수지 이중관은 지중에 매설되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이때 관의 관의 외부로부터 상당한 압력을 받게 되는데, 산과 골이 일정 간격으로 연속하여 형성된 요철부만으로는 보다 높은 수직 강도 및 내구력을 실현하는데, 한계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이중관의 산이나 골 부분에 강도 보강을 위한 원주 리브를 형성함으로써 관의 강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켜, 지중 매설 사용시에 내구력이 더욱 증대될 수 있도록 하는 합성수지 이중관 및 그것의 제조 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합성수지 이중관은, 원통형 구조를 갖는 내피와, 상기 내피의 외면에서 주름 구조로 팽창되게 형성되어 상기 내피와의 사이에 중공부를 갖도록 형성된 외피로 구성되고; 상기 외피에는 주름 구조를 이루는 산 부분과 산 부분 사이의 골 부분에 관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원주 리브가 관의 둘레 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원주 리브는 그 높이가 상기 산 부분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원주 리브는 그 단면이 반원형 또는 호형 구조로 돌출되어 형성되거나, 다각 구조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합성수지 이중관은, 원통형 구조를 갖는 내피와, 상기 내피의 외면에서 주름 구조로 팽창되게 형성되어 상기 내피와의 사이에 중공부를 갖도록 형성된 외피로 구성되고; 상기 외피에는 산 부분에 관의 내측 방향으로 들어간 원주 리브가 관의 둘레 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원주 리브는 그 절단면이 다각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합성수지 이중관은, 원통형 구조를 갖는 내피와, 상기 내피의 외면에서 주름 구조로 팽창되게 형성되어 상기 내피와의 사이에 중공부를 갖도록 형성된 외피로 구성되고; 상기 외피에는 산 부분과 골 부분이 연속하여 형성되되, 인접한 산 부분 또는 골부분의 높이가 서로 달라지는 구조가 반복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여 가능하게 된다.
다음,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합성수지 이중관 제조 장치는, 상기 합성수지 이중관을 제작토록 복수의 몰드 블록을 갖는 합성수지 이중관 제조 장치에 있어서, 상기 몰드 블록은 호형 또는 반원형 오목 구조를 갖는 성형부를 갖고, 상기 성형부는 상기 외피의 주름부를 형성토록 상대적으로 돌출된 골 형성부와, 이 골 형성부 사이에 위치되고 상대적으로 내측으로 파인 산 형성부로 형성되되; 상기 골 형성부 또는 산 형성부에는 상기 원주 리브를 형성토록 원주 방향으로 리브 형성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리브 형성부는 그 절단면이 볼록 홈 또는 오목 홈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로, 각각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각각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유사한 구성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앞서 설명한 부분과 동일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반복 설명을 피하고 간략히 설명한다.
[제 1 실시예 ]
도 6 내지 도 8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중관이 도시된 도면들로서, 도 6은 사시도, 도 7은 횡단면도, 도 8은 종방향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중관(100)은 도 6 내지 도 8을 참고하면, 원통형 구조를 갖는 내피(110)와, 이 내피(110)의 외면에서 주름 구조로 팽창되게 형성되어 상기 내피(110)와의 사이에 중공부(130)를 갖도록 형성된 외피(12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외피(120)는 주름 구조를 갖도록 다수의 요철부로 형성되는데, 이 요철부는 상대적으로 외측으로 돌출된 산 부분(121)과 내측으로 들어간 골 부분(122)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외피(120)의 요철부는 산 부분(121)과 골 부분(122)이 반복되는 구조로 형성되며, 그 사이의 간격, 즉 피치는 일정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외피(120)에는 산 부분(121)과 산 부분(121) 사이의 골 부 분(122)에 관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원주 리브(125)가 관의 둘레 방향 즉, 원형 링 구조로 형성된다.
이러한 원주 리브(125)는 이중관(100)을 성형할 때, 외피(120)의 골 부분(122)이 팽창할 때 함께 외측으로 팽창되면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내부는 상기 내피(110)와의 사이에 중공부(130)를 갖도록 형성된다.
또한 원주 리브(125)는 그 형상을 후술할 몰드 블록(200)의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반원형 구조로 돌출된 모양을 예시하였다.
여기서 원주 리브(125)의 높이는 외피(120)의 산 부분(121)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산 부분(121)의 높이와 동일하게 형성하거나, 필요에 따라서는 더 높게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중관의 제조 장치 및 방법에 대해 도 9a 내지 도 10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9a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중관 제조용 몰드가 도시된 평면도이고, 도 9b는 도 9a의 A-A 선 방향의 단면도이며, 도 10은 도 9a와 도 9b에 도시된 몰드의 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합성수지 이중관은 도 1과 도 2를 참고하여 앞서 설명한 이중관 제조 장치를 이용하여 제조하게 되는데, 다만 액상의 수지가 투입되어 이중관(100)이 성형되는 몰드 블록(200)의 구성을 달리한다.
즉, 종래의 몰드 블록은 본 고안의 이중관(100)에 형성된 원주 리브(125)를 형성할 수 있는 구성이 없으나, 본 고안에 따른 몰드 블록(200)은 원주 리브(125)를 형성할 수 있는 구조가 구비된다.
이에 대해 도 9a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참고로 도 9a 내지 도 10에서는 상측 또는 하측 중 어느 한쪽의 몰드 블록(200)만을 도시한 것으로, 동일한 구조의 몰드 블록(200) 한 쌍이 상호 결합되어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이중관(100)을 성형하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른 몰드 블록(200)은 호형 또는 반원형 오목 구조를 갖는 성형부(210)가 형성된다.
상기 성형부(210)는 이중관(100)에서 주름 구조를 갖는 외피(120)를 형성토록 요철부가 형성되는데, 이 요철부는 상대적으로 돌출되어 외피(120)의 골 부분(122)을 형성하는 골 형성부(212)와, 이 골 형성부(212) 사이에 위치되고 상대적으로 내측으로 파인 구조로 형성되어 외피(120)의 산 부분(121)을 형성하는 산 형성부(211)로 이루어진다.
상기 성형부(210)에서 상기 골 형성부(212)와 산 형성부(211)는 동일한 피치를 갖도록 반복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산 형성부(211)에는 내측 모서리 부분에 관의 둘레 방향으로 파인 석션홈(213)이 형성되고, 이 석션홈(213)에는 다수의 석션홀(214)들이 일정 간격마다 형성된다. 이와 같은 석션홀(214)은 이중관(100)을 성형할 때 외부에서 흡입력이 제공되는 부분으로 외피(120)가 상기 몰드 블록(200)의 산 형성부(211)와 골 형 성부(212)에 흡착되면서 주름 구조를 갖도록 형성하기 위한 것이다.
물론, 이중관(100)의 내피와 외피 사이에는 도 2에서 공기층 형성용 공기 배출부(19)를 통해 공기를 주입함으로써 그 사이에 중공부(130)를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외피(120)는 내측에서는 공기층 형성용 공기 배출부(19)를 통해 공기를 주입함과 아울러, 외측에서는 상기 석션홀(214)을 통해 외피(120)를 흡인하게 됨으로써 중공부(130)를 갖는 외피(120)가 제작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이중관(100)을 성형하는 몰드 블록(200)은 상기 골 형성부(212)에 상기 원주 리브(125)를 형성토록 오목하게 파인 리브 형성부(215)가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리브 형성부(215)는 상기 이중관(100)의 원주 리브(125)가 반원형 구조로 형성됨에 따라 이와 동일하게 반원형으로 파인 리브 형성부(215)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리브 형성부(215)는 상기 합성수지 이중관(100)의 원주 리브(125)의 형상에 따라 그와 동일한 모양으로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 2 실시예 ]
도 11 내지 도 13은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이중관이 도시된 도면들로서, 도 11은 사시도, 도 12는 횡단면도, 도 13은 종방향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14a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이중관 제조용 몰드가 도시 된 평면도이고, 도 14b는 도 14a의 B-B 선 방향의 단면도이며, 도 15는 도 14a와 도 14b에 도시된 몰드의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이중관(100)은 전술한 제 1 실시예의 구성과 기본적인 구성이 모두 동일하나, 다만 제 1 실시예는 원주 리브(125)가 반원형 구조로 형성된 반면, 본 실시예에서는 사각 구조로 형성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이중관(100)의 원주 리브(125)는 그 절단면이 사각 구조로 형성된 것을 예시하였다.
물론, 원주 리브(125)는 사각 구조 외에도 삼각 또는 오각 등 실시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이중관(100)은 달리 표현하면, 외피(120)는 산 부분(121)과 골 부분(122)이 연속하여 반복되되, 산 부분(121)의 높이가 인접한 산 부분(본 실시예에서 원주 리브)(125)보다 낮게 형성되고, 또한 낮은 쪽의 산 부분(125)의 폭이 높은 쪽의 산 부분(121)의 폭보다 작게 형성되는 구조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이중관(100)을 성형하는 몰드 블록(200)은 리브 형성부(215)의 모양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제 1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 3 실시예 ]
도 16 내지 도 18은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이중관이 도시된 도면들로서, 도 16은 사시도, 도 17은 횡단면도, 도 18은 종방향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19a는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이중관 제조용 몰드가 도시된 평면도이고, 도 19b는 C-C 선 방향의 단면도이며, 도 20은 도 19a와 도 19b에 도시된 몰드의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이중관(100)은, 전술한 제 1 내지 2 실시예의 원주 리브(125)와 형성 위치 및 돌출 구조가 상이하고, 나머지 구조는 동일하다.
즉, 본 실시예의 원주 리브(125A)는 상기 외피(120)의 산 부분(121)에 관의 내측 방향으로 들어간 구조로 형성된다. 물론, 상기 원주 리브(125A)도 관의 둘레 방향으로 원형 구조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는 달리 표현하면, 외피(120)에 형성된 산 부분(121)과 골 부분(122)(125A) 중 산 부분(121)의 높이는 모두 일정하나, 상기 원주 리브(125A)를 포함하는 골 부분(122)(125A)의 높이가 다르게 형성되고 그 폭도 다르게 형성되는 구조로 설명할 수 있다.
즉, 상기 깊게 형성된 골 부분(122)의 폭이 상대적으로 낮게 형성된 골 부분(상기 원주 리브가 형성된 부분)(125A)의 폭보다 크게 형성된다.
다음, 상기 몰드 블록(200)도 산 형성부(211)에 상기 원주 리브(125A)를 형성토록 돌출되는 리브 형성부(215)가 형성된다.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몰드 볼록(200)도 상기와 같은 구성을 제외하고는 기본적으로 전술한 본 고안의 제 1, 2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고안에 따른 합성수지 이중관은, 외피의 산 부분과 산 부분 사이 또는 산 부분의 상면에 원주 리브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관의 내외 방향으로 압축 강도가 향상됨과 아울러 내구력도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을 갖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고안에 따른 합성수지 이중관 제조 장치는, 상기한 바와 같은 내구성이 향상되는 본 고안의 합성수지 이중관을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7)

  1. 원통형 구조를 갖는 내피와, 상기 내피의 외면에서 주름 구조로 팽창되게 형성되어 상기 내피와의 사이에 중공부를 갖도록 형성된 외피로 구성되고;
    상기 외피에는 주름 구조를 이루는 산 부분과 산 부분 사이의 골 부분에 관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원주 리브가 관의 둘레 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 이중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원주 리브는 그 높이가 상기 산 부분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 이중관.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원주 리브는 그 단면이 반원형 또는 호형 구조로 돌출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 이중관.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원주 리브는 그 단면이 다각 구조로 돌출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 이중관.
  5. 원통형 구조를 갖는 내피와, 상기 내피의 외면에서 주름 구조로 팽창되게 형성되어 상기 내피와의 사이에 중공부를 갖도록 형성된 외피로 구성되고;
    상기 외피에는 산 부분에 관의 내측 방향으로 들어간 원주 리브가 관의 둘레 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 이중관.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원주 리브는 그 절단면이 다각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 이중관.
  7. 원통형 구조를 갖는 내피와, 상기 내피의 외면에서 주름 구조로 팽창되게 형성되어 상기 내피와의 사이에 중공부를 갖도록 형성된 외피로 구성되고;
    상기 외피에는 산 부분과 골 부분이 연속하여 형성되되, 인접한 산 부분 또는 골부분의 높이가 서로 달라지는 구조가 반복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 이중관.
KR2020060031676U 2006-12-14 2006-12-14 합성수지 이중관 및 그것의 제조 장치 KR20043631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31676U KR200436312Y1 (ko) 2006-12-14 2006-12-14 합성수지 이중관 및 그것의 제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31676U KR200436312Y1 (ko) 2006-12-14 2006-12-14 합성수지 이중관 및 그것의 제조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7619A Division KR20080008132A (ko) 2006-07-19 2006-07-19 합성수지 이중관 및 그것의 제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6312Y1 true KR200436312Y1 (ko) 2007-07-26

Family

ID=416307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31676U KR200436312Y1 (ko) 2006-12-14 2006-12-14 합성수지 이중관 및 그것의 제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631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20800B2 (en) Multi-wall corrugated pipe couplings and methods
CA2743807C (en) Three-wall corrugated pipe couplings and methods
EP2000723A1 (en) Fluid conducting pipe having rigid sections alternating with flexible sections
KR100792353B1 (ko) 합성수지 이중관, 그것의 제조 장치 및 방법
CN110906065A (zh) 一种外多边形增强波纹管及其成型工艺
US9341289B1 (en) Corrugated drainage pipe with protuberances
KR200436312Y1 (ko) 합성수지 이중관 및 그것의 제조 장치
KR101200091B1 (ko) 내경코팅부를 구비한 원료 절약형 폴리프로필렌 하수관
KR20080008132A (ko) 합성수지 이중관 및 그것의 제조 장치
KR102036168B1 (ko) 하수관용 이중벽관 및 그 제조방법
KR100904550B1 (ko) 공간 보강대를 갖는 디씨 파이프와 그 성형방법
KR100922601B1 (ko) 차수벽을 이용한 강도 향상형 하수관과 그 제조장치
CN213712226U (zh) 承插式双壁波纹管
KR100535367B1 (ko) 코러게이트 삼중관 및 그 제조장치
CN211574432U (zh) 一种外多边形增强波纹管
KR20140002251A (ko) 내경코팅부를 구비한 원료 절약형 폴리프로필렌 하수관용 제작장치
KR100922604B1 (ko) 차수벽을 이용한 강도 향상형 하수관과 그 제조장치
KR101181180B1 (ko) 강성이 향상된 합성수지 다중벽관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KR100554536B1 (ko) 토목 및 도로공사용 피이 구조용 고강도 나선관 제조방법
KR100703634B1 (ko) 형상변형 방지용 보강 홈을 가진 비대칭 나선형 주름 유공 배수관 코로게이트 성형 제조공법
CN219327854U (zh) 一种耐高压hdpe双壁波纹管及其成型模块
KR100739501B1 (ko) 보강형 다중 구조의 코러게이트관
KR200293771Y1 (ko) 구조용 나선관 제조장치
KR100908475B1 (ko) 공간 보강대를 갖는 디씨 파이프의 성형방법
KR100550103B1 (ko) 구조용 나선관 제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